KR20150013023A -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023A
KR20150013023A KR1020140088469A KR20140088469A KR20150013023A KR 20150013023 A KR20150013023 A KR 20150013023A KR 1020140088469 A KR1020140088469 A KR 1020140088469A KR 20140088469 A KR20140088469 A KR 20140088469A KR 20150013023 A KR20150013023 A KR 2015001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ldehyde
reactor
methylol
amount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828B1 (ko
Inventor
엄성식
김민수
김태윤
고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4889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130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4/0066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12550A1/ko
Priority to US14/441,765 priority patent/US9487461B2/en
Priority to CN201480003198.7A priority patent/CN104812730B/zh
Priority to JP2015542985A priority patent/JP6109955B2/ja
Priority to EP14830347.2A priority patent/EP2910542B2/en
Priority to IN4210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4210A/en
Publication of KR2015001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45/6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45/7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reaction of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with the same or other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 C07C45/75Reactions with formaldehy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45/86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이론적 최소 몰비 이상의 과량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포름알데히드 폐수를 줄이고 제조된 메틸올알칸알을 수소화 반응에 적용할 경우 수소화 반응의 촉매 독으로 작용가능한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수소화 반응의 효율 또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DIMETHYOLALKANAL}
본 발명은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저감함으로써 포름알데히드 폐수를 줄임과 동시에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리메틸올알칸은 알키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합성 윤활유, 계면활성제, 반응성 모노머 등의 원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상기 트리메틸올알칸은 디메틸올알칸(이하 메틸올알칸알 이라 칭함)의 수소화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아민계 촉매 하에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를 반응시켜 메틸올알칸알을 제조하는 공정은 배치 타입의 일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도 2 참조).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은 상기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의 투입 몰비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를 높일 목적으로 이론적 최소 몰비 이상으로 과량의 포름 알데히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원료로 사용되는 포름 알데히드는 물질의 특성상 순도 30% 내지 42%정도의 수용액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과량 사용하는 포름 알데히드 함량만큼 반응 후 폐수가 많아진다. 또한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는 전량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잔량은 메틸올알칸알을 수소화 반응시킬 경우 수소화 반응 촉매 독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를 계속하던 중, 이론적 최소 몰비 이상의 과량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저감함으로써 포름알데히드 폐수를 줄임과 동시에 반응 생성물 중 메틸올알칸알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민계 촉매 하에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를 반응시키되, 반응 생성물 중 0.5 내지 5 중량%의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포함하는 메틸올알칸알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킬알데히드는 일례로, 탄소수가 4 내지 5 인 알킬기를 갖는 노말과 이소 타입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노말 부틸알데히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알데히드와 포름 알데히드의 반응 촉매로서 제공되는 아민계 촉매는 일례로 3급 아민과 같은 통상의 약염기 촉매를 통상 사용하는 촉매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급 아민은 구체적인 예로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메틸 에틸아민, 시클로헥실 디메틸아민, 메틸 디에틸 아민,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틸올알칸알은 일례로, 디메틸올부탄알(dimethylol butanal), 하이드록시 피발알데히드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아민계 촉매 하에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를 반응시키되, 투입된 포름알데히드의 전환율을 증가시켜 반응생성물 중 포름알데히드 잔량 0.5 내지 5 중량%, 혹은 0.7 내지 3.9 중량% 포함하는 메틸올알칸알을 제조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의 반응 몰비는 2 이하일 수 있다. 일례로, 알킬알데히드로서 노말 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메틸올알칸알로서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할 경우, 이론적으로는 포름알데히드 2몰과 n-부틸알데히드 1몰이 있어야 디메틸올 부탄알이 제조되지만, 상기 디메틸올 부탄알의 선택도를 높일 목적으로 포름알데히드를 2몰 이상의 과량으로 적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최초 투입된 포름알데히드의 함량은 각 단계별로 분할 투입되는 알킬알데히드의 총 100 중량% 대비 20 내지 70중량% 범위 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포름알데히드 투입량을 알킬알데히드의 총 100 중량% 대비 20 내지 70중량%와 같은 최소량으로 사용하면서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의 반응 몰비는 2 이하, 혹은 0.5 내지 1.63인 공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메틸올알칸알은, 반응생성물 중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간 비가 10 이상, 혹은 10-40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조된 메틸올알칸알은, 반응 생성물 중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으로부터 계산된 포름알데히드 전환율(%),간 비가 0.25 이상, 0.25-0.525, 혹은 0.281-0.52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제조공정은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 와 상기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되는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가 직렬 연결된 연속 반응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는 본 발명의 총 n개로 구성된 연속 반응기 중 첫번째 구비된 반응기를 지칭하고,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총 n개로 구성된 연속 반응기 중 첫번째 구비된 반응기를 제외한 나머지 반응기들을 모두 지칭한다.
구체적인 예로, n은 2 내지 4일 수 있고, n이 4(즉, 총 4개의 반응기가 연속 구비된)인 경우, 첫번째 구비된 반응기가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에 해당하고,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 반응기들은 모두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에 해당한다.
즉,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 각각에 알킬알데히드가 분할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알데히드는 일례로 균등 분할 투입될 수 있으며, 또한 입수하고자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에 따라 분할 투입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에는 포름알데히드와 3급 아민이 일괄 투입될 수 있고, 여기서 포름알데히드 투입량과 상기 알킬알데히드의 분할 투입 총량은, 앞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알킬알데히드의 분할 투입 총 100 중량% 대비 포름알데히드 투입량을 20 내지 70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1 내지 3개의 반응기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포름알데히드 전량 저감용 반응기는 자체 직렬 연결에 의해, 상술한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직렬 연결된 구조를 계속 유지하게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 중 최종 반응기에서는 포름알데히드는 잔량이 극소화되는 시점이지만 알킬알데히드는 여전히 분할 투입되고 있으므로, 알킬알데히드가 포름알데히드 잔량보다 과량으로 된다.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20 내지 80 ℃, 혹은 50 내지 80 ℃범위 내에서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같거나 높은 반응 온도로 운전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가 50 ℃로 운전되는 경우에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1 내지 3기)는 각각 50 ℃, 혹은 이중 1기 이상을 최대 80 ℃까지 승온시켜 운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가 80 ℃일 때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1 내지 3기)는 모두 80 ℃로 운전할 수 있다.
이는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내 반응 온도를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내 반응온도보다 높여줌으로써 반응 후 포름 알데히드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두 반응기의 온도차이가 30 ℃ 이상이 되면 고비점 부산물 생성이 증가되어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이 저감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일례로 연속 교반식 반응기(CSTR) 및 벤투리-노즐 반응기 등 반응열을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통상의 반응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메틸올알칸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소화 반응에 적용시 촉매 독으로 작용할 수 있는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0.5 내지 5.0 중량%까지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수소화 반응에 적용하여 수첨 화합물(트리메틸올알칸)을 제조하기에 적절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이론적 최소 몰비 이상의 과량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메틸올알칸알의 수율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포름알데히드 폐수를 줄이고 제조된 메틸올알칸알을 수소화 반응에 적용할 경우 수소화 반응의 촉매 독으로 작용가능한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수소화 반응의 효율 또한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 노말 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한 경우 제조된 디메틸올부탄알을 수소화 반응시킨 결과, 불순물이 거의 없는 고순도 트리메틸올 프로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2기)의 다중 반응기가 직렬 연결된 연속 공정을 통하여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하는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배치 반응기를 사용하여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하는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한 반응 장치를 사용하여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00 ml사이즈의 3종 연속 교반식 반응기(CSTR)를 직렬로 연결하였으며, 이중 제1 반응기는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로 사용하고, 나머지 반응기들(이하, 편의상 제2 반응기, 제3 반응기라 지칭한다)은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로 사용하였다.
우선, 제1 반응기에 노말 부틸알데히드 2.7g/min, 42%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3.2 g/min, 및 트리에틸아민 촉매를 0.9g/min의 속도로 일정하게 공급하였다. 이때 제1 반응기 내 반응온도는 80 ℃로 유지하면서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를 1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1 반응기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을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를 구성하는 제2 반응기로 이송하였다. 상기 이송 배관에는 프레쉬(fresh) 노말 부틸알데히드 0.3 g/min를 투입하여 제2 반응기 내에서 프레쉬(fresh) 노말 부틸알데히드가 분할 투입되도록 하였다. 이때 제2 반응기 내 반응온도는 80 ℃로 유지하면서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를 1000 rpm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2 반응기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을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를 구성하는 최종 제3 반응기로 이송하였다. 상기 이송 배관에는 프레쉬(fresh) 노말 부틸알데히드 0.2 g/min를 투입하여 제3 반응기 내에서 프레쉬(fresh) 노말 부틸알데히드가 분할 투입되도록 하였다. 제3 반응기 내 반응온도는 80 ℃로 유지하면서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를 1000rpm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제3 반응기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최종 반응 생성물을 샘플링 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반응생성물 중 포름알데히드(FA) 잔량과 디메틸올부탄알 함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이때 다음과 같은 계산 방식에 따라 포름알데히드 전환율, 포름알데히드/노말 부틸알데히드의 몰비를 각각 계산하고 하기표 1에 정리하였다.
포름알데히드( FA ) 전환율 계산: (원료 중 포름 알데히드 함량 - 반응생성물 중 포름알데히드 함량)/원료 중 포름알데히드 함량 * 100
포름알데히드/노말 부틸알데히드의 몰비 계산: (반응에 투입된 포름알데히드 총량/30)/(반응에 투입된 부틸알데히드 총량/72.1)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제2, 제3 반응기 내 반응 온도를 하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대체하고, 포름 알데히드를 제1반응기에 1.6g/min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제2, 제3 반응기 내 반응 온도를 하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대체하고, 포름 알데히드는 제1 반응기에 4.7g/min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 제2, 제3 반응기 내 반응 온도를 하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대체하고, 포름 알데히드는 제1 반응기에 5.1g/min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포름알데히드 잔량, 디메틸올부탄올 함량,포름알데히드 전환율, 포름알데히드/노말 부틸알데히드의 몰비를 각각 계산하고 하기표 1에 결과를 정리하였다.
비교예 1
도 1 대신 도 2에 도시한 반응 장치를 사용하여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00 ml 1종 연속 교반식 반응기(CSTR)에 노말 부틸알데히드 1.1 g/min, 42% 포름알데히드 수용액 1.1 g/min및 트리에틸아민 촉매 0.3 g/min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때 상기 반응기 내 반응 조건을 80 ℃로 유지하면서 반응기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를 1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반응기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포름알데히드(FA) 잔량, 포름알데히드(FA) 전환율, 디메틸올부탄알 함량, 포름알데히드/노말 부틸알데히드의 몰비를 각각 계산하고 결과를 하기표 1에 함께 정리하였다.
구분 반응 후 FA잔량 FA전환율 반응 후 DMB함량 FA/n-BAL 반응온도 반응기 개수
wt% % wt% mol/mol 타입
실시예 1 1.5 92.0 30.5 1 80/80/80 3개
(직렬 연결)
실시예 2 3.8 89.5 40.8 0.5 50/50/50 3개
(직렬 연결)
실시예 3 0.7 93.4 26.3 1.5 80/80/80 3개
(직렬 연결)
실시예 4 3.9 80.0 42 1.63 50/80/80 3개
(직렬 연결)
비교예 1 5.5 50.3 7.1 1.5 80 1개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반응 후 0.7 내지 3.9 중량%의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포함하는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할 뿐 아니라, 상기 포름알데히드와 노말 부틸알데히드의 반응 몰비가 0.5 내지 1.63이었고, 디메틸올부탄알의 함량 또한 26.3 내지 42%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비교예 1에서 보듯이, 반응 후 5.5 중량%의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포함하는 디메틸올부탄알을 제조할 뿐 아니라, 상기 포름알데히드와 노말 부틸알데히드의 반응 몰비가 1.5이었고, 디메틸올부탄알의 함량 또한 7.1%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르면,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간 비는 10 이상, 구체적으로는 10.736 내지 37.571으로 계산되었고,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으로부터 계산된 포름알데히드 전환율(%),간 비는 0.25 이상, 구체적으로는 0.281 내지 0.525로 계산된 반면, 비교예 1에 따르면,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간 비는 1.5 이하, 구체적으로는 1.29로 계산되었고,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으로부터 계산된 포름알데히드 전환율(%),간 비는 0.15 이하, 구체적으로는 0.141로 계산되었다.

Claims (12)

  1. 아민계 촉매 하에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를 반응시키되,
    반응 생성물 중 0.5 내지 5 중량%의 포름알데히드 잔량을 포함하는 메틸올알칸알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름알데히드와 알킬알데히드의 반응 몰비는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된 포름알데히드의 함량은 알킬알데히드의 총 100 중량% 대비 20 내지 70 중량%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올알칸알은 반응생성물 중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간 비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올알칸알은 메틸올알칸알의 함량(%),과 포름알데히드 잔량으로부터 계산된 포름알데히드 전환율(%),간 비가 0.2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 와 상기 메틸올알칸알에 포함되는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가 직렬 연결된 연속 반응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에 알킬알데히드가 분할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에 포름알데히드와 3급 아민이 일괄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1 내지 3개의 반응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20 내지 80 ℃ 범위 내에서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같거나 높은 반응 온도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올알칸알의 선택도 개선용 반응기와 포름알데히드 잔량 저감용 반응기는 연속 교반식 반응기 및 벤투리 노즐 반응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올알칸알은 수소화 반응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KR1020140088469A 2013-07-26 2014-07-14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KR10152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6606 WO2015012550A1 (ko) 2013-07-26 2014-07-21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US14/441,765 US9487461B2 (en) 2013-07-26 2014-07-21 Method for preparing methylol alkanal
CN201480003198.7A CN104812730B (zh) 2013-07-26 2014-07-21 羟甲基链烷醛的制备方法
JP2015542985A JP6109955B2 (ja) 2013-07-26 2014-07-21 メチロールアルカナールの製造方法
EP14830347.2A EP2910542B2 (en) 2013-07-26 2014-07-21 Method for preparing methylol alkanal
IN4210DEN2015 IN2015DN04210A (ko) 2013-07-26 2014-07-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775 2013-07-26
KR1020130088775 2013-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023A true KR20150013023A (ko) 2015-02-04
KR101529828B1 KR101529828B1 (ko) 2015-06-17

Family

ID=5248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469A KR101529828B1 (ko) 2013-07-26 2014-07-14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87461B2 (ko)
EP (1) EP2910542B2 (ko)
JP (1) JP6109955B2 (ko)
KR (1) KR101529828B1 (ko)
CN (1) CN104812730B (ko)
IN (1) IN2015DN04210A (ko)
WO (1) WO201501255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843A (ko) *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KR20190029233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메틸올부탄알의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20190041195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메틸올부탄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20190123435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름알데히드의 회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931B1 (ko) * 2018-10-22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메틸올부탄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CN114082390A (zh) * 2021-11-02 2022-02-25 盐城市春竹香料有限公司 一种连续制备2-亚甲基丁醛的装置及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54080B (de) 1959-06-04 1963-09-12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drei- und mehrwertigen Alkoholen durch alkalische Kondensation
DE2045669B2 (de) * 1970-09-16 1977-06-23 Ruhrchemie Ag, 4200 Oberha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xypivalaldehyd
JPS515367A (ko) 1974-07-03 1976-01-17 Kanegafuchi Chemical Ind
DE2507461C3 (de) 1975-02-21 1986-05-07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2- Dimethylolalkanalen
DE2855506C3 (de) * 1978-12-22 1981-04-30 Ruhrchemie Ag, 4200 Oberha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thyl-nonyl-acetaldehyd
US5146004A (en) * 1991-07-25 1992-09-08 Eastman Kodak Company Continuo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ethyl-2-(hydroxymethyl) hexanal and 2-butyl-2-theyl-1,3-propanediol
DE19653093A1 (de) 1996-12-20 1998-06-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lkoholen
US5994592A (en) * 1997-02-19 1999-11-30 Nippon Kasei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2,2'-bis(hydroxymethyl)alkanal and 2,2'-bis(hydroxymethyl)alkanoic acid
JP4117413B2 (ja) * 1997-02-19 2008-07-16 ペルストルプ スペシヤルテイ ケミカルズ アーベー 2,2’−ビス(ヒドロキシメチル)アルカナールおよび2,2’−ビス(ヒドロキシメチル)アルカン酸の製造方法
DE19963445A1 (de) * 1999-12-28 2001-07-05 Basf Ag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Formaldehyd aus polyolhaltigen Reaktionsgemischen unter Zusatz von Lösungsmitteln
DE10317543A1 (de) * 2003-04-16 2004-11-04 Basf Ag Verfahren zur Hydrierung von Methylolalkanalen
EP2376414A2 (de) * 2008-12-09 2011-10-19 Basf S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roh-polymethylolen
KR20110110303A (ko) * 2009-01-12 2011-10-06 바스프 에스이 폴리메틸올의 제조 방법
CN102775296A (zh) * 2012-07-18 2012-11-14 如皋市金陵化工有限公司 一种2,2-二羟甲基丁酸的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843A (ko) * 2016-10-13 2018-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KR20190029233A (ko) *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메틸올부탄알의 분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20190041195A (ko) *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메틸올부탄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방법
KR20190123435A (ko) * 2018-04-24 2019-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름알데히드의 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550A1 (ko) 2015-01-29
JP6109955B2 (ja) 2017-04-05
CN104812730A (zh) 2015-07-29
EP2910542A4 (en) 2016-09-28
CN104812730B (zh) 2017-07-28
IN2015DN04210A (ko) 2015-10-16
US9487461B2 (en) 2016-11-08
KR101529828B1 (ko) 2015-06-17
EP2910542B1 (en) 2019-12-04
EP2910542B2 (en) 2022-09-14
JP2016501202A (ja) 2016-01-18
EP2910542A1 (en) 2015-08-26
US20150291496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828B1 (ko) 메틸올알칸알의 제조방법
EP2751056B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olefins and use thereof
TWI403496B (zh) 雙三羥甲基丙烷和富含三羥甲基丙烷的生成物流之製造方法
CN104640836B (zh) 使用反应精馏制备乙二醇酯的方法
RU274157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2,2-диметил-1,3-пропандиола
CN110121486B (zh) 三羟甲基丙烷的制备方法
JP2021519795A (ja) ノルマルブタノール、イソ−ブタノール、及び2−アルキルアルカノールを供給する方法
CN102264677A (zh) 将甘油转化成丙醇的方法
KR101134659B1 (ko)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의 제조방법
JP2004196805A (ja) t−ブタノールの製法
CN112004791B (zh) 制备二羟甲基丁醛的方法和使用其制备三羟甲基丙烷的方法
US20130137820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Or A Copolymer Thereof
EP194858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acetat unter nutzung der dabei freiwerdenden reaktionswärme
WO2016091058A1 (zh) 一种由2-戊烯制备3-戊酮的方法
KR102052084B1 (ko) 네오펜틸 글리콜의 제조방법
US8703868B2 (en) Integrated process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or a copolymer thereof and ethanol
CN114163302B (zh) 一种3-甲基-1,5-戊二醇的制备方法
KR20180047257A (ko) 트리메틸올프로판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US2654786A (en) Polyethylene glycols from etherestes of glycolic acid
KR101706449B1 (ko) 활성이 개선된 폴리나트륨인산염 담지 촉매 및 이를 이용하여 2,3-부탄디올로부터 메틸에틸케톤과 1,3-부타디엔을 제조하는 방법
KR102325331B1 (ko) 터트-부탄올로부터 이소부틸렌의 제조방법
CN101723787B (zh) 提高异戊烯中2-甲基-2-丁烯含量的方法
CN106673956B (zh) 生产脂肪醇的设备和方法
KR101653029B1 (ko) 액상 수소화 방법
KR20230094327A (ko) 아세톤의 수소화를 통한 이소프로판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