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908A -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 - Google Patents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908A
KR20150007908A KR20130132248A KR20130132248A KR20150007908A KR 20150007908 A KR20150007908 A KR 20150007908A KR 20130132248 A KR20130132248 A KR 20130132248A KR 20130132248 A KR20130132248 A KR 20130132248A KR 20150007908 A KR20150007908 A KR 2015000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mponent
magnets
fixing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712B1 (ko
Inventor
이사오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아키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키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nipulator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각종 부품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를 제공한다.
부품의 고정 지그(1)는, 부품(100)의 배열 방향(D1)의 일측에 N극을 향한 상태로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20)과, 자석(20)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10)를 구비하고, 자석(20)은 자석(20) 측과 부품(100) 측을 연결하는 방향(D3)의 치수가 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 이상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Fixing jig, fixing device, and fixing and conveying carrier for parts}
본 발명은, 전자 부품 등의 각종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각종 부품을 고정한 상태로 반송하기 위한 부품의 반송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전 진동자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의 패키지 및 리드의 봉지는 심(seam) 용접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이 심 용접은 일반적으로 패키지의 개구부 상에 리드를 올려놓은 후에, 한 쌍의 용접 롤러를 패키지와 리드의 접촉부에 눌러 붙여 전동(轉動)시키면서 펄스형상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또한, 스폿 용접 등에 의해 패키지에 리드를 가접하는 공정이 심 용접 전에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전자 부품이 점점 소형화됨에 따라 패키지 및 리드도 매우 미소한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외력을 받는 것만으로 패키지 상의 리드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리드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가접 또는 심 용접이 행해지면, 봉지 불량이 생기기 쉽고 제품 수율이 저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자석에 의해 리드를 흡인함으로써, 리드를 패키지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는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31945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 제3416919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또는 2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자화 방향(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으로 한 원반형 자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흡인력이 약한 것에 비해 감자(減磁)가 큰 문제가 있었다. 즉, 자극면(N극면 및 S극면) 이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이 많은 것에 따른 손실이 클 뿐만 아니라, 원래 주로 자극면 이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리드(캡)를 흡인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력이 작은 데다가 자력이 없어지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 패키지 및 리드로 향하는 방향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스폿 용접이나 심 용접시의 열의 영향을 받기 쉽고 열에 의한 감자도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화 방향이 직경 방향이기 때문에 자석에서의 어떤 방향이 자화 방향인지의 판별이 어렵고, 또한 원형 단면의 오목부 내에 수용할 필요가 있어서 자석의 방향이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자석을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각종 부품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은, 부품의 배열 방향의 일측에 N극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과, 상기 자석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측과 상기 부품 측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가, 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 이상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이다.
(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N극면 및 S극면이 대략 평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이다.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상기 부품보다 긴 범위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이다.
(4)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부품마다 대응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흡인용 자석과, 상기 부품의 배열 범위 밖에서 상기 부품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정용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이다.
(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와,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장치이다.
(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5)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품에 대해 근접 이격하도록 상기 고정 지그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장치이다.
(7)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와, 상기 부품을 보유지지하는 부품 보유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이다.
(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7)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부품 보유지지 부재로서 겸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이다.
본 발명의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에 따르면, 각종 부품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지그의 평면도이며, 도 1의 (b)는 부품의 고정 지그의 저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자석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종래 사용되고 있던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의 (b)는 본 실시형태의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조정용 자석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조정용 자석의 다른 하나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자석의 그 밖의 배치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지그(1)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부품의 고정 지그(1)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2의 (a)는 도 1의 (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B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부품의 고정 지그(1)(이하, 단순히 "고정 지그(1)"라고 함)는, 각종 트레이나 반송 캐리어 등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각종 트레이나 반송 캐리어 상에 놓인 부품(100)을 고정(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그(1)는 대략 평판형의 보유지지 부재(10)와, 이 보유지지 부재(10)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영구자석인 자석(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품(100)은 압전 진동자 등의 전자 부품이 내부에 수용된 세라믹제 패키지(100a)와, 패키지(100a)의 개구부를 덮도록 패키지(100a) 상에 놓이는 코바르제 리드(100b)로 구성되어 있고, 스폿 용접에 의해 리드(100b)가 패키지(100a)에 가접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고정 지그(1)는 구체적으로 강자성체인 리드(100b)를 자석(20)의 자력에 의해 흡인함으로써, 리드(100b)를 패키지(100a) 상에 눌러 붙여 위치 결정 고정함과 동시에, 부품(100) 전체를 각종 트레이나 반송 캐리어 상에 눌러 붙여 위치 결정 고정하는 것이다.
보유지지 부재(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10a) 측에 복수의 수용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11)는 자석(20)을 내부에 수용하여 소정 위치에 보유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석(20)의 형상에 맞춘 대략 직방체 형상의 움푹 패인 곳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11)의 바닥부에는 대략 원형 단면의 액세스 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세스 홀(12)은 바닥면(10b) 측으로부터 수용 오목부(11) 내에 액세스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 오목부(11) 내에의 자석(20)의 장착,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보유지지 부재(10)의 길이방향의 양단 근방에는, 고정 지그(1)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공(13) 및 보유지지 부재(10)를 가대 등에 고정하는 볼트 등이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공(14)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10)의 폭방향의 양단 근방에 마련된 작은 구멍(15)은 보유지지 부재(10)의 조립시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것이다.
보유지지 부재(1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판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홀(12)이 형성된 베이스판(10c) 상에 수용 오목부(11)를 구성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된 복수의 박판(10d)을 적층하고, 이들을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보유지지 부재(10)는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판(10c) 및 박판(10d)을 비자성체인 SUS304로 구성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11)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 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32개가 일렬로 나열됨과 동시에, 이 수용 오목부(11)의 열이 폭방향으로 16열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수용 오목부(11)는 보유지지 부재(10)에 있어서 32×16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통과공(14)과 간섭하는 4개소에서는 수용 오목부(11)를 생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32×16-4=508개의 수용 오목부(11)가 보유지지 부재(10)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용 오목부(11) 중에서 보유지지 부재(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2개씩을 제외한 내측의 28×16=448개는, 부품(1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흡인용 수용 오목부(11a)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고정 지그(1)는 제1 배열 방향(D1)으로 28개, 제2 배열 방향(D2)으로 16개의 28×16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448개의 부품(100)(리드(100b))을 자석(20)의 자력에 의해 개별적으로 흡인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의 2×16-4=28개의 수용 오목부(11)는, 고정 지그(1)의 주위에 생성되는 자력선(자기장) 상태를 조정하는 자석(20)을 배치하기 위한 조정용 수용 오목부(11b)로 되어 있다.
자석(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11) 내에 수용되어 있고, 이에 의해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용 수용 오목부(11a) 내에 수용된 448개의 자석(20)은 부품(1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부품(100)을 실제로 흡인하기 위한 흡인용 자석(21)로 되어 있다. 또한, 조정용 수용 오목부(11b) 내에 수용된 28개의 자석(20)은 자력선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용 자석(22)로 되어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자석(20)은 각각 보유지지 부재(10)의 길이방향의 일측(본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의 우측)에 N극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모든 자석(20)은 제1 배열 방향(D1)의 일측에 N극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자석(20) 중에서 흡인용 자석(21)은 부품(100)의 배열 범위(M) 내에서 각 부품의 대략 바로 아래(直下)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정용 자석(22)은 부품(100)의 배열 범위(M) 밖에서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의 (a) 및 (b)는 자석(2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20)을 대략 입방체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전체길이)(L1)와 부품(100)의 제2 배열 방향(D2)의 치수(전체길이)(L2)와 상하 방향(D3)의 치수(전체길이)(L3)가 거의 같아지도록 하고 있다. 자석(20)의 형상을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100)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감자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20)의 N극면(20a)과 S극면(20b)을 연결하는 방향(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 즉 자화 방향)인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L1)를 가능한 한 짧게 함과 동시에, 자석(20) 측과 부품(100) 측을 연결하는 방향인 상하 방향(D3)의 치수(L3)를 가능한 한 길게 함으로써, 복수의 자석(20)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을 적정한 상태로 하고, 이에 의해 부품(100)의 확실하고 안정적인 보유지지(고정)와 감자의 저감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의 (a)는 종래 사용되고 있던 자석(23)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의 (b)는 본 실시형태의 자석(20)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선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 이들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자력선의 기재는 반드시 정확하지 않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100)의 고정에 종래 사용되고 있던 자석(23)은 상하 방향(D3)의 치수를 짧게(얇게) 하고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를 길게 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단, 자석(23)을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자극면인 N극면(23a) 및 S극면(23b) 이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 즉 자유 자극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감자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석(23)에서는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를 길게 함으로써 자석(23)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서로 대향하는 N극면(23a)과 S극면(23b)을 연결하는 자력선이 많이 발생함과 동시에, 제1 배열 방향(D1)으로 나열된 복수의 자석(23)이 하나의 가늘고 긴 자석으로서 행동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 즉, N극면(23a) 및 S극면(23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은 부품(100)의 흡인에 유효하게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며, N극면(23a) 및 S극면(23b) 이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부품(100)을 흡인하게 되기 때문에, 흡인력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감자가 더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석(20)에 따르면,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L1)를 비교적 짧게 하고 상하 방향(D3)의 치수(L3)를 비교적 길게 하고 있기 때문에, 자극면인 N극면(20a) 및 S극면(20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을 늘림과 동시에, 자극면 이외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자유 자극을 줄임과 동시에, 주로 N극면(20a) 및 S극면(20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부품(100)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석(20)에 따르면, 부품(100)을 종래와 같은 피치로 배열한 경우에도 자석(20)끼리의 간격을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대향하는 N극면(20a)과 S극면(20b)을 연결하는 자력선을 줄임과 동시에, 제1 배열 방향(D1)으로 나열된 복수의 자석(20)이 하나의 가늘고 긴 자석으로서 행동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서로 인접하는 자석(20)끼리의 간섭을 저감하고, 개개의 자석(20)의 N극면(20a) 및 S극면(20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부품(100)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자석(20)은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L1)를 비교적 짧게 하고 상하 방향(D3)의 치수(L3)를 비교적 길게 함으로써, 부품(100)(패키지(100a)와 리드(100b))을 용접할 때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L1)를 짧게 함으로써 부품(100) 측으로부터 전해지는 열의 수열 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상하 방향(D3)의 치수(L3)를 길게 함으로써 열이 자석(20) 전체에 전해지기 어렵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열에 의한 감자가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석(20)은 종래의 자석(23)에 비해 경년 감자가 작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감자도 생기기 어렵고, 또한 개개의 자석(20)이 적절한 강도의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자석(20)은 제1 배열 방향(D1)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부품(100)을 복수의 자석(20)에 의해 흡인하여 고정하는 데에 최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의 (a)로 되돌아가서, 본 실시형태의 자석(20)에서는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L1)와 부품(100)의 제2 배열 방향(D2)의 치수(L2)와 상하 방향(D3)의 치수(L3)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자석(20)의 치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치수(L1)는 치수(L3) 이하, 즉 치수(L3)와 동일하거나 치수(L3)보다 짧은 것이면, 상술한 효과를 확실히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치수(L1)가 치수(L3)보다 긴 경우이어도, 치수(L3)의 110% 이하이면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 치수(L1 및 L3)의 구체적인 수치 및 비율은 부품(100)의 치수 형상, 부품(100)의 배열 피치, 자석(20)의 착자 정도 및 필요한 흡인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한, 치수(L2)의 구체적인 수치 또는 치수(L1, L3)에 대한 치수(L2)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품(100)의 치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자유 자극의 저감 및 수열 면적의 축소의 관점에서는 치수(L2)는 치수(L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석(20)은, 부품(100)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흡인하기 위해서는 부품(100)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이보다 작은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표면 실장형 압전 진동자 등 부품(100)이 미소한 전자 부품인 경우에는, 치수(L1, L2, L3)는 각각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치수(L1)가 2mm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석(20)의 치수(L1, L2, L3)를 각각 2mm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자석(20)의 형상은 대략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적절한 형상을 채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자석(20)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원통형이나 다각기둥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자석(20)을 기둥형이나 통형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 방향을 축심(C) 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착자나 이방성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석(20)을 대형화하지 않고 필요한 자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극면인 N극면(20a) 및 S극면(20b)을 대략 평면형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유 자극을 줄임과 동시에 N극면(20a) 및 S극면(20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부품(100)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석(20)의 자화 방향의 판별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자화 방향을 정하여 자석(20)을 고정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자석(20)의 재질(종류)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페라이트 자석, 네오딤 자석, 사마륨 코발트 자석 또는 알니코 자석 등 필요한 흡인력이나 사용 환경 등에 따른 적절한 자석을 채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5의 (a) 및 (b)는 조정용 자석(22)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용 자석(22)을 부품(100)의 배열 범위(M)의 외측에서 부품(100)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부품(100)에 작용하는 자력선 상태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부품(100)을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보유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5의 (a)는 조정용 자석(22)을 배치하지 않은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N극면(20a) 및 S극면(20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이 많아지도록 자석(20)을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정용 자석(22)을 배치하지 않고 부품(100)마다 대응시켜 배치하는 흡인용 자석(21)만을 사용한 경우, 예를 들면 제1 배열 방향(D1)의 S극 측단(타측단)의 흡인용 자석(21)에 흡인되는 리드(100b)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 곳으로부터의 자력선이 집중되는 S극면(20b)으로 향하여 보다 강하게 끌어당겨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배열 방향(D1)의 N극 측단(일측단)의 흡인용 자석(21)에 흡인되는 리드(100b)는, 먼 곳으로 향하는 자력선이 집중되는 N극면(20a)으로 향하여 보다 강하게 끌어당겨지게 된다.
그러면, 예를 들면 부품(100) 전체가 미소하고 경량인 경우에는, 배열 범위(M)의 양단에 배치된 부품(100)은 자력선을 따르도록 자세를 변화시키게 되고, 이 결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리드(100b)의 가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패키지(100a)로부터 리드(100b)가 벗어날 가능성도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조정용 자석(22)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제1 배열 방향(D1)의 양측에서 부품(100)의 배열 범위(M)를 넘어 자석(20)을 배치함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 곳을 통과하는 자력선이 집중되는 가장 끝의 S극면(20b)(N극면(20a))을 부품(100)으로부터 멀리함과 동시에, 배열 범위(M)의 끝의 부품(100)에 작용하는 자력선 상태를 이보다 내측의 부품(100)에 작용하는 자력선과 동등한 상태로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열 범위(M) 내에 배치된 모든 부품(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흡인용 자석(21)의 자력에 의해 모든 리드(100b)를 패키지(100a)로 향하여 적절히 눌러 붙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패키지(100a)에 대한 리드(100b)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부품(100) 전체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인용 자석(21) 및 조정용 자석(22)을 대략 동일한 자석(20)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흡인용 자석(21)끼리의 사이의 거리(즉, 부품(100)의 배열 피치)(P1)와 흡인용 자석(21)과 조정용 자석(22) 사이의 거리(P2)를 대략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조정용 자석(22)의 강도나 치수 형상을 흡인용 자석(21)과 다르게 하거나 흡인용 자석(21)과 조정용 자석(22) 사이의 거리(P2)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자력선 상태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용 자석(22)을 원칙적으로 제1 배열 방향(D1)의 양측에 각각 2개씩 배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조정용 자석(22)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조정용 자석(22)들간의 거리(P3)를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자력선 상태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조정용 자석(22) 대신에 철, 코발트 또는 니켈 등의 강자성체를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이 경우에도 조정용 자석(22)을 배치한 경우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유지지 부재(10)의 삽입통과공(14)과 간섭하는 개소에서는 조정용 자석(22)을 생략하도록 하고 있지만, 삽입통과공(14)에 삽입통과되는 볼트 등이 강자성체이기 때문에, 조정용 자석(22)을 생략하지 않은 열과 마찬가지로 자력선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조정용 자석(22)의 다른 하나의 작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석(20)의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L1), 즉 자화 방향의 치수를 가능한 한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자석(20)은 본래 자신의 내부에 생기는 반자계(反磁界; 도면 중에서의 좌측으로 향하는 점선 화살표)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자석(20)을 자화 방향을 따라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양단 이외의 각 자석(20)에는 두 인접 자석(20)의 사이에 생기는 정자계(正磁界; 도면 중에서의 우측으로 향하는 점선 화살표)가 작용하게 되어 반자계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용 자석(22)을 마련함으로써 모든 흡인용 자석(21)에 정자계를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용 자석(21)에 생기는 반자계에 기인하는 결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의 (a) 및 (b)는 자석(20)의 그 밖의 배치예를 도시한 개략도 및 평면도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자석(20)의 자화 방향(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을 제1 배열 방향(D1)과 대략 일치시키도록(대략 평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 방향이 상하 방향(D3)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 제1 배열 방향(D1)에 대해 각도를 갖는 방향이 되는 자세로 자석(20)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직사각형 부품(100)의 대각선 방향과 자석(20)의 자화 방향을 대략 일치시키는(대략 평행하게 하는), 즉 부품(100)의 전체길이가 가장 길어지는 방향과 자화 방향을 대략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100)을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자석(20)은 반드시 자화 방향을 제1 배열 방향(D1)과 대략 일치시킨 자세로 배치할 필요는 없고, 부품(100)의 형상이나 배열 등에 따른 적절한 방향으로 자화 방향을 향한(옮긴) 자세로 배치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서도 각 자석(20)은 제1 배열 방향(D1)의 일측에 N극을 향한 상태인 것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100)의 형상이나 배열 등에 따른 적절한 경사 방향을 제1 배열 방향(D1)이라고 정의하면, 자석(20)의 자화 방향과 제1 배열 방향(D1)이 대략 일치한다고 간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치한 경우에서도 자석(20)을 상술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부품(100)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감자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경우의 자석(20)의 치수(L1)는 자화 방향의 치수이지만 제1 배열 방향(D1)의 치수는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조정용 자석(22)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배열 범위(M) 내에 배치된 모든 부품(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반자계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자석(20)을 이와 같이 배치한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열 방향(D1)의 양측과 더불어 제2 배열 방향(D2)의 양측에도 조정용 자석(22)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경우에서도 조정용 자석(22)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력선 상태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개수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흡인용 자석(21) 및 조정용 자석(22)을 서로 자화 방향이 다른 자세로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위치마다 자화 방향이 다르도록 자세를 변화시켜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부품의 고정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장치(2)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 이들 도면에서는 부품의 고정 장치(2)의 각 부를 간략화하여 기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부품의 고정 장치(2)(이하, 단순히 "고정 장치(2)"라고 함)는, 부품(100)을 반송하는 반송 캐리어(200)를 지지함과 동시에, 반송 캐리어(200) 상에 놓인 부품(100)(리드(100b))을 고정(위치 결정)하는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장치(2)는 고정 지그(1)와, 고정 지그(1)가 장착되는 장착 부재(30)와, 장착 부재(30)를 승강시키는 이동 기구(40)와, 반송 캐리어(2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정 장치(2)에는 반송 캐리어(200)를 반입하는 반입 장치(60)와, 반송 캐리어(200)를 반출하는 반출 장치(70)가 접속되어 있다.
장착 부재(30)는, 지지 부재(50)가 반송 캐리어(200)를 지지하는 지지면(50a)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고정 지그(1)는, 삽입통과공(14)에 삽입통과되는 볼트 등(도시생략)에 의해 장착 부재(30)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장착 부재(30)의 상면(30a)에는 위치 결정 핀(32)이 상방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핀이 위치 결정공(13)에 삽입통과됨으로써 고정 지그(1)가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
이동 기구(40)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나 볼 나사 전동 기구 등의 이미 알려져 있는 구조에 의해 장착 부재(3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지그(1)는 장착 부재(30)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지지 부재(50)의 지지면(50a) 상에 놓인 반송 캐리어(200)에 대해 근접 이격하게 되어 있다.
지지 부재(50)는, 반송 캐리어(200)의 단부를 지지면(50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즉, 지지면(50a)에는 고정 지그(1)가 통과 가능한 개구(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고, 이동 기구(40)에 의해 상승한 고정 지그(1)는 반송 캐리어(200)의 하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고정 지그(1)의 상승에 따라 위치 결정 핀(32)이 반송 캐리어(200)에 설치된 위치 결정공(202)에 삽입통과됨으로써, 고정 지그(1)에 대해 반송 캐리어(200)가 위치 결정되게 되어 있다.
반입 장치(60) 및 반출 장치(70)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 등이어도 되고 로봇 아암 등이어도 된다. 또한, 반송 캐리어(200)의 반입 방향 및 반출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 8의 (b) 및 (c)는 고정 장치(2)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고정 장치(2)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그(1)를 하강시킨 상태를 대기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반입 장치(60)에 의해 부품(100)을 올려놓은 반송 캐리어(200)가 반입된 후에,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그(1)를 상승시킨다. 이 때, 위치 결정 핀(32)이 반송 캐리어(200)의 위치 결정공(202)에 삽입통과됨으로써 반송 캐리어(200)가 고정 지그(1)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이 결과, 고정 지그(1)가 구비하는 흡인용 자석(21)이 리드(100b)를 흡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100b)가 패키지(100a)에 눌러 붙여져 부품(100)이 고정된다. 그 후, 도시는 생략하지만, 리드(100b)의 심 용접 등의 소정의 공정이 행해진다. 소정의 공정이 완료된 후는 고정 지그(1)를 하강시켜 부품(100)의 고정을 해제함과 동시에, 위치 결정 핀(32)을 반송 캐리어(200)의 위치 결정공(202)으로부터 빼내어 반출 장치(70)에 의해 반송 캐리어(200)를 반출한다.
또, 이동 기구(40)는 위치 결정 핀(32)을 장착 부재(30)와는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한 것이어도 된다. 즉, 우선 위치 결정 핀(32)만을 상승시켜 반송 캐리어를 위치 결정한 후에, 고정 지그(1)를 상승시켜 흡인용 자석(20)을 리드(100b)를 흡인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50)는 반송 캐리어(200)에 고정 지그(1)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부품(100)을 소정의 배열로 보유지지하는 트레이를 지지 부재(50) 상에 대략 항상적으로 배치하도록 하고, 부품(100)을 고정 장치(2)에 대해 반입, 반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이동 기구(40)를 생략하고 항상 부품(100)을 흡인 가능한 위치에 흡인용 자석(21)을 배치해 두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3)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3)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고정 반송 캐리어(3)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3)(이하, 단순히 "고정 반송 캐리어(3)"라고 함)는, 부품(100)(리드(100b))을 흡인용 자석(21)에 의해 흡인하여 고정(위치 결정)한 상태로 반송하는 것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반송 캐리어(3)는 고정 지그(1)와, 고정 지그(1)의 보유지지 부재(10)에 겹치도록 하여 장착되는 부품 보유지지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부품 보유지지 부재(80)는 대략 평판형 부재로서, 고정 지그(1)의 보유지지 부재(10)의 상면(10a) 측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부품 보유지지 부재(80)의 상면(80a)에는, 부품(100)을 수용하기 위한 움푹 패인 곳인 부품 수용 오목부(81)가 흡인용 수용 오목부(11a)에 대응하는 위치(바로 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지그(1)를 반송 캐리어에 넣고 고정 반송 캐리어(3)로 함으로써, 부품(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유지지하여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부품 보유지지 부재(80)의 보유지지 부재(10)에의 장착은,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나 걸어맞춤 등에 의한 것이어도 되고,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즉, 고정 지그(1)는 고정 반송 캐리어(3)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어도 되고 그렇지 않아도 된다. 또한, 부품 보유지지 부재(80)는 보유지지 부재(1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판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1장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도 9의 (b)는 보유지지 부재(10)를 부품 보유지지 부재(80)로서 겸용하도록 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보유지지 부재(10)의 바닥면(10b) 측으로 개구하도록 수용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상면(10a) 측에 부품 수용 오목부(81)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정 지그(1)만으로 고정 반송 캐리어(3)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수용 오목부(11)를 보유지지 부재(10)의 상면(10a) 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하고, 그 위에 부품 수용 오목부(81)를 마련하도록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지그(1)는, 부품(100)의 배열 방향(제1 배열 방향(D1))의 일측에 N극을 향한 상태로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20)과, 자석(20)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10)를 구비하고, 자석(20)은 자석(20) 측과 부품(100) 측을 연결하는 방향(상하 방향(D3))의 치수(L3)가 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자화 방향)의 치수(L1) 이상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종 부품(100)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자석(20)을 복잡한 형상으로 하거나 철제 요크 등을 추가하거나 하지 않고 개개의 자석(20)(흡인용 자석(21))에 적절한 흡인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감자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자석(20)은 N극면(20a) 및 S극면(20b)이 대략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자유 자극을 줄임과 동시에, N극면(20a) 및 S극면(20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선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부품(100)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자석(20)의 자화 방향의 판별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수용 오목부(11)의 형상 등에 따라 자석(20)의 방향을 용이하게 정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나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자석(20)은 배열 방향을 따라 부품(100)보다 긴 범위에 걸쳐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100)에 작용하는 자력선을 적절한 상태로 조정함과 동시에, 반자계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100)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자석(20)은 부품(100)마다 대응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흡인용 자석(21)과, 부품(100)의 배열 범위(M) 밖에서 부품(100)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정용 자석(22)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100)에 작용하는 자력선을 적절한 상태로 조정함과 동시에 반자계의 영향을 저감하여, 복수의 부품(100)을 각각 대응하는 흡인용 자석(21)에 의해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장치(2)는, 부품의 고정 지그(1)와 부품(10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종 부품(100)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고정한 상태로 각종 공정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품의 고정 장치(2)는, 부품(100)에 대해 근접 이격하도록 고정 지그(1)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100)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용이하게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부품(100) 및 반송 캐리어(20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여 부품(10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3)는, 고정 지그(1)와 부품(100)을 보유지지하는 부품 보유지지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종 부품(100)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고정한 상태로 효율적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10)는 부품 보유지지 부재(80)로서 겸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3)를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는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패키지(100a) 및 리드(100b)로 이루어지는 부품(100)에 있어서 리드(100b)를 흡인하여 고정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부품(1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각종 부품이어도 된다. 즉, 부품(100)은 부품(100) 전체가 자석(20)(흡인용 자석(21))에 흡인됨으로써 반송 캐리어(200) 등에 대해 고정(위치 결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10) 및 부품 보유지지 부재(80)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품(100)의 종류나 제조 공정 등에 대응한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10)는 복수의 판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장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유지지 부재(10)는 자석(20)을 수용 오목부(11) 내에 수용함으로써 보유지지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걸어맞춤이나 클램프, 접착 등 그 밖의 이미 알려져 있는 수법에 의해 자석(20)을 보유지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배열 방향(D1) 및 제2 배열 방향(D2)은 수평면 내의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면 내의 방향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면 내의 방향이어도 된다. 즉, 부품(100)의 배열 방향은 부품(100)의 종류나 제조 공정에 따른 임의의 방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부품(100)에 대해 하나의 흡인용 자석(21)을 배치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품(100)의 종류나 형상 등에 따라 하나의 부품(100)에 대해 복수의 흡인용 자석(21)을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복수의 부품(100)에 대해 하나의 흡인용 자석(21)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정용 자석(22)을 마련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부품(100)의 종류나 형상 등 또는 자석(20)의 종류나 착자 정도에 따라서는 조정용 자석(22)을 마련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가장 바람직한 작용 및 효과를 열거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종 전자 부품이나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그 밖의 각종 물품의 제조나 물류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부품의 고정 지그
2 부품의 고정 장치
3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
10 보유지지 부재
20 자석
20a N극면
20b S극면
21 흡인용 자석
22 조정용 자석
40 이동 기구
50 지지 부재
80 부품 보유지지 부재
100 부품
D1 제1 배열 방향
D3 상하 방향
L1 제1 배열 방향(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
L3 상하 방향(자석 측과 부품 측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
M 배열 범위

Claims (8)

  1. 부품의 배열 방향의 일측에 N극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자석;
    상기 자석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자석 측과 상기 부품 측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가, N극과 S극을 연결하는 방향의 치수 이상이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N극면 및 S극면이 대략 평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상기 부품보다 긴 범위에 걸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부품마다 대응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흡인용 자석과, 상기 부품의 배열 범위 밖에서 상기 부품에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정용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지그.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품에 대해 근접 이격하도록 상기 고정 지그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장치.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품의 고정 지그;
    상기 부품을 보유지지하는 부품 보유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부품 보유지지 부재로서 겸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고정 반송 캐리어.
KR1020130132248A 2013-07-12 2013-11-01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 KR101545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6154A JP6068281B2 (ja) 2013-07-12 2013-07-12 部品の固定治具および固定装置、ならびに固定搬送キャリア
JPJP-P-2013-146154 2013-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08A true KR20150007908A (ko) 2015-01-21
KR101545712B1 KR101545712B1 (ko) 2015-08-19

Family

ID=5225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248A KR101545712B1 (ko) 2013-07-12 2013-11-01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68281B2 (ko)
KR (1) KR101545712B1 (ko)
CN (1) CN1042755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6727A (zh) * 2023-09-21 2023-10-27 中科摩通(常州)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机用磁钢自动输送设备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8026B2 (ja) * 2016-07-07 2021-01-20 株式会社Fuji ワーク搭載システム
DE102016011747B4 (de) * 2016-09-29 2018-06-07 Mühlbauer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ührungslosen Übertragen von zumindest teilweise ferromagnetischen elektronischen Bauteilen von einem Träger zu einem Subtrat
JP7249295B2 (ja) * 2020-01-10 2023-03-30 株式会社ニフコ シートカバーの取付構造
JP2022063968A (ja) * 2020-10-13 2022-04-25 株式会社Fuji 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0351A (en) * 1986-11-05 1989-08-22 Ibm Corporation Tamper-resistant packaging for protection of information stored in electronic circuitry
JP3194544B2 (ja) * 1992-09-18 2001-07-30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のキャップ仮止め用治具
JP3187981B2 (ja) * 1992-09-25 2001-07-16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シーム接合装置
JPH0648983U (ja) * 1992-12-16 1994-07-05 キンセキ株式会社 封止用治具
JP3416919B2 (ja) * 1994-12-08 2003-06-16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チップを収納したパッケ−ジのキャップ仮止め用治具とキャップ接合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8306813A (ja) * 1995-05-11 1996-11-22 Nippon Avionics Co Ltd 半導体パッケージのキャップ仮止め用治具
JP3701863B2 (ja) * 2000-11-30 2005-10-05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セラミック基板気密封止方法
JP2005142214A (ja) * 2003-11-04 2005-06-02 Daishinku Corp パッケージのキャップ位置決め治具およびパッケージのキャップ位置決め方法
JP4742502B2 (ja) * 2004-02-23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磁気シールド体、磁気シールド構造及び磁気メモリ装置
KR20070013134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기판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8010731A (ja) * 2006-06-30 2008-01-17 Epson Toyocom Corp パッケージの封止方法、パッケージ封止装置
CN101515119A (zh) * 2009-04-03 2009-08-26 清华大学 采用气浮平面电机的硅片台双台交换系统
JP5244701B2 (ja) * 2009-05-20 2013-07-24 株式会社 大昌電子 基板保持搬送用治具、基板押さえ部材、押さえ部材取り外し治具、メタルマスク版、プリント配線基板の搬送方法、電子部品付き配線基板の製造方法、基板搬送装置
JP2010283983A (ja) * 2009-06-04 2010-12-16 Katsuyuki Kamibayashi 発電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6727A (zh) * 2023-09-21 2023-10-27 中科摩通(常州)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机用磁钢自动输送设备及其工作方法
CN116946727B (zh) * 2023-09-21 2024-01-02 中科摩通(常州)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机用磁钢自动输送设备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712B1 (ko) 2015-08-19
JP2015016537A (ja) 2015-01-29
CN104275567B (zh) 2017-06-06
CN104275567A (zh) 2015-01-14
JP6068281B2 (ja)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712B1 (ko) 부품의 고정 지그 및 고정 장치와 고정 반송 캐리어
JP6740353B2 (ja) 磁気浮上システム、磁気浮上システム用のキャリア、及び、磁気浮上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JP6529170B2 (ja) ワーク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ワークの外観検査方法
TWI504550B (zh) Element reversing unit and conveying device and conveying method
TW201448101A (zh) 用於搬動基板堆疊之保持系統、裝置及方法
JP2005217136A (ja) 積層電子部品の整列方法及び装置
JP2012201451A (ja) チェーンコンベヤ装置
TWI708657B (zh) 加工裝置
JP5156898B1 (ja) 部品搬送装置、部品搬送方法
JP3273085B2 (ja) プリント基板支持装置
KR20190051799A (ko) 반송 장치, 반송 방법, 및 외관 검사 장치
JP2000000956A (ja) スクリ―ン印刷機
KR100786737B1 (ko) 워크 반송 장치
CN209973717U (zh) 磁吸组件和磁力输送装置
JP2014150089A (ja) 短冊状基板の搬送トレイ、その押さえ治具及びそれらの搬送方法
JP2003069285A (ja) チップ型電子部品の方向揃え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70127325A (ko) 반도체소자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핸들러
JP3922192B2 (ja) 基板固定装置および基板固定方法
JP2010027752A (ja) 搭載ヘッド及び部品実装機
JP2557760B2 (ja) 物品の磁気式搬送装置
TWI588929B (zh) 承載設備及其操作方法
CN220975079U (zh) 一种紧固件转运装置
CN112151231B (zh) 包括单独磁铁部件的电路板及利用smt设备的磁铁安装方法
JP2019153682A (ja) チップキャリア
JP2004010097A (ja) 電子デバイス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