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87A -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87A
KR20150005487A KR20140163597A KR20140163597A KR20150005487A KR 20150005487 A KR20150005487 A KR 20150005487A KR 20140163597 A KR20140163597 A KR 20140163597A KR 20140163597 A KR20140163597 A KR 20140163597A KR 20150005487 A KR20150005487 A KR 20150005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harging
restricting
holding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610B1 (ko
Inventor
게이지 구리바야시
마사야 요시오카
사토루 우에노
노보루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05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충전 커넥터측을 걸어 고정시켜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하는 유지부(1)와,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가 걸어 고정됨으로써 충전 커넥터(30)의 빠짐 방지를 실행하는 걸림부(2)와,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3)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CONNECTOR HOLDING DEVICE AND CHARGING APPARATUS USING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지식 전기 자동차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등의 차량(이하, 전기 자동차라 함)에 탑재되는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커넥터를 유지하는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인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가솔린 차나 디젤 차를 대신하는 전기 자동차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전기 자동차에 탑재되는 이차전지는 예를 들면,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 케이블을 거쳐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이 실행된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자동차의 충전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지상에 세워 마련되는 폴(pole)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충전 케이블을 거쳐서 전기 자동차에 마련한 상대측 커넥터에 착탈 자유롭게 결합되는 충전 커넥터와, 폴의 상부 외측면에 마련되고 충전 커넥터의 도전부를 수납하는 형태로 충전 커넥터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커넥터 수납부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11-122714호
그런데, 충전 장치가 구비하는 커넥터 수납부는 충전 커넥터의 도전부를 수납하는 형태로 충전 커넥터를 커넥터 수납부에 유지시킨 것만의 경우, 커넥터 수납부에 수납된 충전 커넥터가, 이용자의 의도에 반해 커넥터 수납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상술한 커넥터 수납부에서는 충전 커넥터에 장난을 치거나, 충전 커넥터 등이 도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전 커넥터측을 걸어 고정시키고 의도하지 않게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유지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커넥터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충전 커넥터의 래치부가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의 빠짐 방지를 실행하는 걸림부와, 상기 래치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해제 위치와 규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지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된 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규제부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양부는 상기 래치부와 접촉하여, 상기 래치부가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래치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커넥터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규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 유지 장치의 전방부에는 상기 잠금부의 자물쇠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걸림부는 상자형상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내부에 움푹 패인 개구부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래치부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어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충전 커넥터로부터 도출되는 충전 케이블을 유지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넥터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벽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상술한 커넥터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유지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전 커넥터측을 걸어 고정시켜 의도하지 않게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충전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전 커넥터측을 걸어 고정시켜 의도하지 않게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커넥터 유지 장치에 충전 커넥터를 유지시킨 이용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사시도, (b)는 주요부 측면도, (c)는 주요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유지 장치의 규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다른 커넥터 유지 장치에 충전 커넥터를 유지시킨 이용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의 커넥터 유지 장치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상면도, (d)는 배면도, (e)는 규제부의 위치를 (a)와는 다르게 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의 커넥터 유지 장치의 이용 상태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6는 실시형태 2의 커넥터 유지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a)는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 (b)는 잠금부가 규제부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잠금된 상태의 사시도, (c)는 (b)의 상태에 있어서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커넥터 유지 장치를 구비한 충전 장치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의 커넥터 유지 장치를 구비한 충전 장치의 개략 회로 블럭도이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에 대해,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하는 유지부(1)와,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가 걸어 고정됨으로써 충전 커넥터(30)의 빠짐 방지를 실행하는 걸림부(2)와, 도 1의 (b)의 일점쇄선의 화살표의 방향에 나타내는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3)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에 마련된 충전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건(gun)형 플러그를 구성하는 충전 건(charging gun)의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충전 커넥터(30)는 충전 케이블(30d)을 거쳐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선단부(30b)가 원주형상으로 돌출된 L자형상의 바디부(30a)를 구비하고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바디부(30a)의 선단부(30b)(도 1의 (c) 참조)와 반대측으로부터 충전 케이블(30d)이 도출되어 있다. 충전 커넥터(30)는 선단부(30b)에 내장하는 도전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술한 충전 포트측에 급전한다. 충전 커넥터(30)의 바디부(30a)에는 이용자가 충전 커넥터(30)를 쥐기 쉽도록 그립부(30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충전 케이블(30d)은 전기 자동차에 급전할 수 있도록, 상용 전원 등의 전원측의 콘센트(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다. 또, 충전 케이블(30d)은 예를 들면, 직경 12㎜의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으며, 소망에 따라 3m, 7.5m나 15m 등의 적절한 길이의 것이 이용된다.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는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중에 충전 커넥터(30)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 포트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충전 포트에 마련된 전기 자동차의 걸림부에 거는 금속제의 걸림 발톱(30ga)을 구비한 훅 형상으로 하고 있다.
충전 커넥터(30)의 바디부(30a)에는 누름 버튼식의 해제 스위치(30c)가 바디부(30a)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다.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는 해제 스위치(30c)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원주형상의 선단부(30b)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1의 (b)의 일점쇄선의 화살표를 참조)으로 걸림 발톱(30ga)이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충전 커넥터(30)에는 선단부(30b)의 외주면과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래치부(30g)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 충전 커넥터(30)에 마련된 래치부(30g)를 이용해서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세로로 긴 상자형상의 본체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a)는 본체부(10a)의 정면의 하부 대략 중앙에 내부에 움푹 패인 개구부(10c)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부(1)와 유지부(1)의 외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된 걸림부(2)는 상자형상의 본체부(10a)에 있어서의 내부에 움푹 패인 개구부(10c)내에 구비되어 있다. 유지부(1)는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전 커넥터(30)의 선단부(30b)의 외경보다도 내경이 약간 큰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규제부(3)는 본체부(10a)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개구부(10c)내에 일광이나 수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차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규제부(3)의 차양부는 정면에서 보아, 위쪽으로 돌출해서 만곡된 초승달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규제부(3)는 도 2의 (a)에 도시된 상측 해제 위치 및 도 2의 (b)에 도시된 하측 규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규제부(3)는 본체부(10a)의 내측 전면 및 후방에 각각 마련된 전방측 가이드부(100a)와 후방측 가이드부(100b)의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규제부(3)는 차양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얇은 두께부(3b)와 얇은 두께부(3b)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접촉부(3c)를 구비하고 있다. 규제부(3)의 얇은 두께부(3b)의 전면에는 돌기부(3d)가 마련되고, 전방측 가이드(100a)의 후면에는 돌기부(3d)가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상측 및 하측 위치결정홈(100a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규제부(3)를 하측으로 누르면, 얇은 두께부(3b)가 후방으로 탄성변형되어, 돌기부(3d)가 상측 위치결정홈(100ab)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규제부(3)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규제부(3)가 도 2의 (b)에 도시된 하측 규제위치에 도달하면, 돌기부(3d)가 하측 위치결정홈(100ab)에 삽입되어, 규제부(3)가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접촉부(3c)가 후방 가이드부(100b)의 상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제부(3)의 하방에의 과도한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하측 규제위치에서, 규제부(3)는 차양부의 내면이 래치부(30g)와 접촉하여 래치부(30g)가 선단부(30b)의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충전 커넥터(30)의 원주형상의 선단부(30b)를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유지부(1)에 삽입해서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한다.
충전 커넥터(30)는 유지부(1)에의 삽입에 수반해서,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가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걸림부(2)에 맞닿고, 래치부(30g)가 걸림부(2)의 형상을 따라 선단부(30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걸림부(2)를 넘어서 선단부(30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를 걸림부(2)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도 1의 (b) 및 (c) 참조).
계속해서, 규제부(3)를 본체부(10a)에 대해 아래쪽(도 1의 (b)의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규제부(3)와 유지부(1)로 충전 커넥터(30)를 협지한다(도 1의 (b) 및 (c) 참조). 규제부(3)와 유지부(1)에 의해 협지된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는 충전 커넥터(30)의 해제 스위치(30c)를 눌러도 원주형상의 선단부(30b)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규제부(3)는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래치부(30g)와 걸림부(2)의 걸림의 해제를 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지부(1)는 본체부(10a)에 마련된 지지축(10e)을 지점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외저면에 지지 프레임(1c)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충전 커넥터(30)를 유지부(1)에 삽입하기 쉽도록, 본체부(10a)의 정면에 대략 평행한 상태와, 유지부(1)에의 하중을 완화할 수 있도록 본체부(10a)의 정면에 대해 연직 방향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가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커넥터(30)의 일부를 삽입해서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하는 유지부(1)와,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가 걸어 고정됨으로써 유지부(1)에 유지된 충전 커넥터(30)의 빠짐 방지를 실행하는 걸림부(2)를 별도의 구성으로 시킨 것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커넥터(30)에 있어서의 래치부(30g)의 걸림 발톱(30ga)을 걸어서 걸어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원주형상의 봉을 본체부(10a)의 개구부(10c)내에 마련한 것이라도 좋다. 즉,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원주형상의 봉이 유지부(1)와 걸림부의 기능을 겸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러한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예를 들면, 주택의 옥외의 벽재(W)에 부착해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전 커넥터(30)를 걸어 고정시켜 의도하지 않게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충전 커넥터(30)의 도난 방지나 장난 방지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 1과 같이, 래치부(30g)를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부(2)와 규제부(3)를 구비한 구성에 부가해서,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부(4)(도 6의 (a) 참조)를 마련한 점이 다르다. 또, 도면 중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를, 도 4 또는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하고,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를 구비한 충전 장치(20)를 도 7 및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하는 유지부(1)와,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가 걸어 고정됨으로써 충전 커넥터(30)의 빠짐 방지를 실행하는 걸림부(2)와,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을 실행하지 않을 때에, 충전 커넥터(30)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며, 상자형상의 본체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a)는 본체부(10a)의 정면의 대략 중앙에 내부에 움푹 패인 개구부(10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지부(1)와 걸림부(2)는 상자형상의 본체부(10a)에 있어서의 내부에 움푹 패인 개구부(10c)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3)는 개구부(10c)의 일부를 덮어 본체부(10a)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a)는 정면측에 있어서의 직사각형형상의 전부(10aa)와, 배면측에 있어서의 직사각형형상의 후부(10ab)와, 후부(10ab)측에서 전부(10aa)측에 걸쳐 충전 케이블(30d)을 유지 가능한 케이블 유지부(10ac)를 갖고 있다(도 5의 (b) 참조). 케이블 유지부(10ac)는 위쪽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직경이 12㎜인 충전 케이블(30d)의 4개분을 병렬해서 유지 가능한 반원주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유지부(10ac)는 환상으로 감은 충전 케이블(30d)이 본체부(10a)의 전부(10aa)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전부(10aa)보다도 반원주형상의 상부를 낮게 하고 있다. 즉, 본체부(10a)는 충전 커넥터(30)로부터 도출되는 충전 케이블(30d)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블 유지부(10ac)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본체부(10a)에는 본체부(10a)의 정면에 충전 커넥터(30)의 선단부(30b)의 외경보다도 내경이 약간 큰 움푹 패임부(1a)를 갖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유지부(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유지부(1)에는 충전 커넥터(30)의 선단부(30b)에 있어서의 도시하고 있지 않은 가이드부를 꽂아 넣어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부(1b)(도 4의 (a) 참조)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본체부(10a)의 내부에 있어서, 유지부(1)에 마련된 축부(1d)를 본체부(10a)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도 4의 (b)의 파선의 화살표를 참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4의 (b) 및 도 5의 (b) 참조). 즉, 유지부(1)는 본체부(10a)의 정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도 4의 (a) 참조)와, 유지부(1)에의 하중을 완화할 수 있도록 본체부(10a)의 정면에 대해 연직 방향의 하향으로 경사 가능한 상태(도 4의 (e) 참조)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충전 커넥터(30)의 선단부(30b)를 유지부(1)에 꽂아넣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규제부(3)는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는 상태(도 4의 (a) 참조)와,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도 4의 (e) 참조)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규제부(3)가,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상태(도 5의 (a) 참조)에서 잠그는 잠금부(4)를 구비하고 있다(도 6 참조).
규제부(3)는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전부(10aa)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본체부(10a)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차양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규제부(3)를 본체부(10a)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부(10a)의 전부(10aa)에는 자물쇠(4a)가 노출된다(도 4의 (e) 및 도 5의 (a) 참조). 여기서,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충전 커넥터(30)를 유지부(1)에 삽입해서 규제부(3)를 본체부(10a)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규제부(3)와 본체부(10a)의 유지부(1)로 충전 커넥터(30)를 협지한다. 규제부(3)와 유지부(1)로 협지된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는 충전 커넥터(30)의 해제 스위치(30c)를 눌러도 원주형상의 선단부(30b)의 외주면으로부터의 거리를 멀리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규제부(3)는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래치부(30g)와 걸림부(2)의 걸림의 해제를 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커넥터 유지 장치(10)에는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상태(도 5의 (a) 참조)로 규제부(3)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잠금부(4)의 자물쇠(4a)가 외부에 노출된다. 잠금부(4)는 한 쌍의 절결부(4aa)를 구비한 원주형상의 자물쇠(4a)에, 도시하지 않은 열쇠를 끼워 맞춰 열쇠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자물쇠(4a)가 회전한다. 자물쇠(4a)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a)에 고정되는 지지판(10b)을 거쳐서,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본체부(10a)의 내부측에서, 자물쇠(4a)로부터 돌출된 긴 형상의 플랜지부(4b)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4b)는 자물쇠(4a)의 회전과 연동해서 자물쇠(4a)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플랜지부(4b)의 선단 부위에는 플랜지부(4b)의 일 표면측에서 본체부(10a)의 내벽면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볼록부(4ba, 4ba)가 마련되어 있고, 한 쌍의 볼록부(4ba, 4ba)와 플랜지부(4b)의 일 표면으로 오목부(4b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지판(10b)은 규제부(3)와 일체로서 연동하는 단면이 C자형상의 슬라이드부(3a)를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부(3a)에는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본체부(10a)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aa)가 마련되어 있다(도 6의 (c) 참조). 플랜지부(4b)는 충전 커넥터(30)의 래치부(30g)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상태에 있어서, 볼록부(4ba, 4ba)에 의해 돌기부(3aa)를 협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부(4)는 규제부(3)의 본체부(10a)에 대한 이동을 억제해서 래치부(30g)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상태에서 잠글 수 있다.
또,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반드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이용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중에 충전 커넥터(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 포트에 마련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전기 자동차측에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지부(1)는 충전 커넥터(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포트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충전 장치(20)에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충전 장치(20)는 예를 들면, 공공시설이나 상업시설의 주차장 등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을 실행하는 충전 스탠드이다. 충전 장치(20)는 개폐 가능한 도어체(22)를 전면측에 갖는 각기둥형상의 상자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체(21)와, 하우징체(21)의 내부에 마련된 콘센트 블럭(23)(도 8 참조)을 구비해서 구성하고 있다.
도어체(22)는 금속에 의해서 직사각형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어체(22)를 하우징체(21)에 대해 닫는 닫힘 위치와, 도어체(22)를 하우징체(21)에 대해 여는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힌지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좌측단부가 하우징체(21) 전면의 좌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도어체(22)에는 잠금 장치(20)가 부착되어 있고, 도어체(2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장치(20)에 의해서 도어체(22)를 하우징체(21)에 대해 잠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어체(22)의 아래쪽의 코너부에는 충전 케이블(30d)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절결부(22a)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 장치(20)에는 하우징체(21)의 우측면에 커넥터 유지 장치(10)가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본체부(10a)에는 벽재로 되는 하우징체(2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0d)를 구비하고 있다(도 4의 (d) 참조). 부착부(10d)는 커넥터 유지 장치(10)를 충전 장치(20)의 하우징체(21)의 측면에 도시하고 있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 부착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후부(10ab)의 상하 방향에 마련한 2개소의 관통 구멍(11a, 11b)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측의 관통 구멍(11a)은 커넥터 유지부(10)나 충전 케이블(30d) 등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관통 구멍(11a)은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대경부(大徑部)(11aa)와, 대경부(11aa)의 상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나사의 나사 축부의 축직경보다 약간 큰 관통 유지부(11ab)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의 관통 구멍(11b)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의 나사 축부의 축직경보다도 약간 큰 원형으로 형성하고 있고, 커넥터 유지 장치(10)의 위치를 부착부(10d)에 의해 조정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충전 장치(20)의 콘센트 블럭(23)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전 차단기(35)나 3극 플러그에 대응한 삽입구(31A)가 마련된 콘센트(31)를 구비하고 있다. 콘센트(31)는 충전 케이블(30d)의 충전 콘센트(30)와 반대측의 단부에 마련된 전원 플러그가 접속하기 쉽고 물방울 등이 침입하기 어렵도록, 하우징체(21)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 하향으로 경사진 배치로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 블럭(23)의 콘센트(31)에는 누전 차단기(35)를 거쳐서 전원 케이블(3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 케이블(34)의 타단부는 하우징체(21)의 외부로 인출되고, 예를 들면, 상용 전원 등의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따라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케이블(34)을 거쳐서 콘센트(31)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때문에, 충전 케이블(30d)의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31)에 꽂고, 충전 커넥터(30)를 전기 자동차에 마련된 충전 포트에 접속함으로써,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블럭(23)에는 인터 록 장치(32)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 록 장치(32)는 스위치(32A)와, 스위치(32A)를 거쳐서 급전로에 접속되는 여자 코일(32B)과, 콘센트(31)에의 급전로에 삽입되어 여자 코일(32B)이 여자 되어 있는 동안만 온으로 되는 릴레이 접점(32C)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32A)는 하우징체(21)의 내부에 있어서 도어체(22)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32A)는 도어체(22)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도어체(22)의 이면측으로부터 하우징체(21)의 내부측으로 돌출된 구동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온으로 전환된다. 또한, 스위치(32A)는 도어체(22)가 닫힘 위치에 없을 때에는 상기 구동편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오프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체(22)가 닫힘 위치에 있으면, 스위치(32A)가 온으로 전환됨으로써 여자 코일(32B)에 여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릴레이 접점(32C)이 온되어 콘센트(31)를 거쳐, 충전 커넥터(30)에의 급전로가 형성된다. 한편, 도어체(22)가 닫림 위치에 있지 않으면, 스위치(32A)가 오프로 전환됨으로써 릴레이 접점(32C)도 오프로 전환되고, 콘센트(31)를 거쳐서 충전 커넥터(30)에의 급전로가 차단된다. 따라서, 충전 커넥터(30)의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31)에 접속하고, 도어체(22)를 닫음으로써 비로소 통전되므로, 도어체(22)가 열려 하우징체(21) 내부의 충전 케이블(30d) 등에 접촉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통전하는 일이 없으며, 감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콘센트 블럭(23)에는 충전 커넥터(30)의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31)에 접속되어 통전되어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2개의 표시등(33A)(도 7의 (a) 참조)의 점등 제어를 실행하는 점등 제어 회로(33)가 마련되어 있다. 각 표시등(33A)은 예를 들면, 녹색이 발광 가능한 녹색 발광 다이오드와 적색이 발광 가능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점등 제어 회로(33)는 예를 들면, 통전되어 있는 상태이면 한쪽의 표시등(33A)을 점등시켜 녹색으로 발광시킨다. 점등 제어 회로(33)는 통전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면 한쪽의 표시등(33A)을 소등시킨다. 또한, 점등 제어 회로(33)는 충전중이면 다른 쪽의 표시등(33A)을 점등시켜 적색으로 발광시킨다.
또,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충전 장치(20) 또는 충전 케이블(30d)에, 전기 자동차와의 접속 상태의 검출이나 누전 검출, 이상시에 있어서의 전기 자동차측과 전원측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분리를 실행하는 충전 회로 차단 장치(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를 마련하고 있다. 충전 회로 차단 장치는 외부 전원과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의 사이의 급전 경로를 온 오프하는 릴레이(도시하지 않음)와,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충전 회로 차단 장치는 릴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경로가 차단된다. 충전 회로 차단 장치는 릴레이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제어 회로는 파일럿 신호를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도시하고 있지 않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외부 전원 및 충전 케이블(30d)의 정격 전류를 통지한다. ECU는 외부 전원 및 충전 케이블(30d)의 정격 전류에 의거한 충전 전류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한다. 또한, 제어 회로는 누전 등의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 릴레이를 강제적으로 열어 급전 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를 구비한 충전 장치(20)는 전기 자동차에의 충전시에 있어서, 케이블 유지부(10ac)에 충전 케이블(30d)의 여분의 길이를 두루 감음으로써,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으로 나아가게 하는 일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시 이외일 때에 있어서도, 케이블 유지부(10ac)에 충전 케이블(30d)을 두루 감음으로써,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으로 나아가게 하는 일 없이 유지할 수 있다(도 5의 (b) 및 도 7 참조).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유지부(10ac)에 충전 케이블(30d)을 두루 감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충전시에 있어서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충전 케이블(30d)에 이용자 등의 발이 걸리는 것 등에 의해 충전 플러그(30d) 등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충전시 이외일 때에도, 충전 케이블(30d)을 지면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할 수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30d)에 발이 걸리는 것 등에 의해 하우징체(21) 부근에서의 통행의 방해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케이블 유지부(10ac)는 하우징체(21)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충전 케이블(30d)을 하우징체(21) 내부에 수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하우징체(21)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충전 장치(20) 또는 충전 케이블(30d)에 충전 회로 차단 장치 등을 마련하는 경우, 충전 케이블(30d)은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급전선 이외에,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선도 내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충전 케이블(30d)은 급전선만을 내장하는 것에 비해 직경이 굵다. 또한, 충전 케이블(30d)은 충전 장치(20)로부터 멀어진 전기 자동차에 대해서도 접속 가능한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 케이블(30d)에는 전기 자동차와 접속하기 위한 충전 커넥터(30)가 마련되어 있고, 충전 케이블(30d)을 외부에 방치해 두면, 발이 걸리는 등에 의해 충전 장치(20) 부근에서의 통행의 방해로 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유지 장치(10)에 케이블 유지부(10ac)를 일체로서 마련하여 충전 케이블(30d)을 유지하는 것은 큰 이점으로 된다.
또,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도 7에 있어서 충전 장치(20)의 하우징체(21)의 우측면에 마련하고 있지만, 반드시 하우징체(21)의 우측면에만 한정되지 않고, 좌측면이라도 좋고, 충전 장치(20)의 하우징체(21)의 정면측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충전 장치(20)의 하우징체(21)에 마련하는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주택의 벽면에 마련해도 좋다.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1개에만 한정되지 않고, 소망에 따라 복수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는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유지 장치(10)에 있어서의 유지부(1) 및 걸림부(2)와 마찬가지로, 유지부(1)와 걸림부(2)의 기능을 겸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유지 장치(10)를 구비한 충전 장치(20)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충전 커넥터(30)를 걸어 고정시켜 의도하지 않게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유지 장치(10)를 구비한 충전 장치(20)는 충전 커넥터(30)의 도난 방지나 장난 방지를 실행할 수 있다.
1: 유지부 2: 걸림부
3: 규제부 4: 고정부
10: 커넥터 유지 장치 10a: 본체부
10ac: 케이블 유지부 10c: 개구부
10d: 부착부 20: 충전 장치
30: 충전 커넥터 30g: 래치부
30d: 충전 케이블

Claims (6)

  1. 커넥터 유지 장치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에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커넥터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충전 커넥터의 래치부가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충전 커넥터의 빠짐 방지를 실행하는 걸림부와,
    상기 래치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해제 위치와 규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 유지 장치의 전방으로 돌출된 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규제부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차양부는 상기 래치부와 접촉하여, 상기 래치부가 상기 걸림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래치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상태에서 잠그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규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 유지 장치의 전방부에는 상기 잠금부의 자물쇠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걸림부는 상자형상의 본체부에 있어서의 내부에 움푹 패인 개구부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래치부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덮어 상기 본체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충전 커넥터로부터 도출되는 충전 케이블을 유지하는 케이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벽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커넥터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KR1020140163597A 2011-05-20 2014-11-21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KR101843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3521 2011-05-20
JP2011113521A JP5845456B2 (ja) 2011-05-20 2011-05-20 コネクタ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53204A Division KR101484815B1 (ko) 2011-05-20 2012-05-18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87A true KR20150005487A (ko) 2015-01-14
KR101843610B1 KR101843610B1 (ko) 2018-03-29

Family

ID=471556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53204A KR101484815B1 (ko) 2011-05-20 2012-05-18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KR1020140163597A KR101843610B1 (ko) 2011-05-20 2014-11-21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53204A KR101484815B1 (ko) 2011-05-20 2012-05-18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45456B2 (ko)
KR (2) KR101484815B1 (ko)
CN (1) CN102790317B (ko)
TW (1) TWI4568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986A (ko) * 2020-05-20 2021-11-30 주식회사 스타코프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0767B2 (ja) 2011-09-27 2016-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充電装置
JP6124550B2 (ja) * 2012-10-18 2017-05-1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ーのホルダー
JP6212725B2 (ja) * 2013-01-23 2017-10-18 日東工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保持構造
JP5535349B1 (ja) * 2013-02-06 2014-07-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動車給電設備用充電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5632932B2 (ja) * 2013-02-14 2014-11-26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自動車給電設備用充電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JP2014235915A (ja) * 2013-06-03 2014-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変換システムおよびコネクタ
JP6249737B2 (ja) * 2013-11-25 2017-12-20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JP6237436B2 (ja) * 2014-04-18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装置
JP2016002896A (ja) * 2014-06-17 2016-01-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CN104617619A (zh) * 2015-01-26 2015-05-13 申俊云 一种充电器
CN104836297B (zh) * 2015-05-12 2017-05-24 江苏中科时代电气制造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用充电枪支架盒
TWI573325B (zh) * 2015-11-26 2017-03-01 陳卿富 訊號插頭(二)
US9742140B2 (en) * 2015-12-23 2017-08-22 Thermacut, K.S. Connector assembly for a plasma arc torch
CN106655334A (zh) * 2016-11-07 2017-05-10 林圣斌 一种安装于塔库停车板的充电桩
CN106764793A (zh) * 2016-11-30 2017-05-31 马瑞利汽车零部件(芜湖)有限公司 带有行车电脑的汽车车灯
USD866465S1 (en) 2017-10-06 2019-11-12 Mark Harrison Bracket for a battery charging cable
CN107650725B (zh) * 2017-10-16 2024-03-19 安徽易威斯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充电插座接口用的开合装置
KR101843570B1 (ko) * 2017-12-26 2018-03-30 대영채비(주)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충전 건의 거치 상태 모니터링 장치
KR102425642B1 (ko) * 2019-12-19 2022-07-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충전스테이션 구조
CN113471765A (zh) * 2021-06-21 2021-10-01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电子锁的电动汽车慢充装置
CN113783037B (zh) * 2021-09-10 2023-06-02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一种新能源汽车充电防脱落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099A (en) * 1992-01-22 1994-06-21 Hughes Aircraft Company Wall/ceiling mounted inductive charger
JP2910504B2 (ja) * 1993-04-27 1999-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JP3385727B2 (ja) * 1994-05-31 2003-03-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JP2904024B2 (ja) * 1994-08-08 1999-06-1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チャージ用コネクタ
JP3135040B2 (ja) * 1995-11-30 2001-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KR100820804B1 (ko) * 2002-01-11 2008-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전원차단장치
JP2004303581A (ja) * 2003-03-31 2004-10-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5123144B2 (ja) * 2008-11-21 2013-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
CN102414044B (zh) * 2009-04-23 2013-12-18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充电电缆以及车辆的充电系统
JP5500864B2 (ja) * 2009-04-28 2014-05-21 日東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419214B2 (ja) * 2009-09-18 2014-02-19 日東工業株式会社 充電用ケーブル保持構造
JP5297967B2 (ja) * 2009-10-05 2013-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5268868B2 (ja) * 2009-11-26 2013-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充電自動車用の充電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CN201820963U (zh) * 2010-10-25 2011-05-04 南京康尼科技实业有限公司 用于电连接器的按钮式锁紧装置
CN102005679A (zh) * 2010-12-10 2011-04-06 怡达电气(苏州)有限公司 电动车充电连接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986A (ko) * 2020-05-20 2021-11-30 주식회사 스타코프 전기 자동차 충전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815B1 (ko) 2015-01-20
JP2012244802A (ja) 2012-12-10
TW201308784A (zh) 2013-02-16
CN102790317B (zh) 2016-01-13
JP5845456B2 (ja) 2016-01-20
CN102790317A (zh) 2012-11-21
KR101843610B1 (ko) 2018-03-29
KR20120130069A (ko) 2012-11-28
TWI456849B (zh) 2014-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610B1 (ko) 커넥터 유지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충전 장치
CA2805662C (en)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US8696374B2 (en) Power feeding control device
JP3135040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EP2698271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WO2013076552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140184158A1 (en) Vehicle charging device
US20140242818A1 (en) Connector fitting structure
WO2013076542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JP5600534B2 (ja) 充電装置
JP2015204207A (ja) 充電コネクタ
KR20120129831A (ko)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JP2015119518A (ja)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JP2012213285A (ja) 充電ボックス
KR20120126299A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JP2013109981A (ja) 給電制御装置
JP5639008B2 (ja) 充電装置
JP2015204205A (ja) 充電コネクタ
JP6238160B2 (ja) 充電ボックス
KR101308708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JP2013211146A (ja) 外部給電コネクタ、給電ポートおよび、給電ポートを設けた車両
JP2014093907A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及び充電スタンド
JP2015072869A (ja) 給電用コネクタ
KR20160120093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커넥터의 플러그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6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11

Effective date: 2018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