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156A -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156A
KR20150000156A KR1020130072202A KR20130072202A KR20150000156A KR 20150000156 A KR20150000156 A KR 20150000156A KR 1020130072202 A KR1020130072202 A KR 1020130072202A KR 20130072202 A KR20130072202 A KR 20130072202A KR 20150000156 A KR20150000156 A KR 20150000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worm
protein
silk protein
skin
silkwo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446B1 (ko
Inventor
지상덕
김남숙
김기영
성규병
김용순
권해용
최종오
김미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3007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446B1/ko
Priority to PCT/KR2013/008380 priority patent/WO2014046446A1/ko
Publication of KR2015000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04Animal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은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강력한 강도로 인하여 식이용으로 활용이 불가능하였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를 얻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소비자들의 건강증진과 농가소득 증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Description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Health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kworm products having silk protein}
본 발명은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누에고치를 생산하는 양잠산업은 고조선시대부터 이어온 우리나라의 전통산업으로써 1970년대에는 연간 100만 상자 이상의 누에를 농가에서 사육하였으나, 경제발전과 고급 화학섬유의 영향으로 현재는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이에, 현재의 양잠산업은 건조누에, 수번데기, 동충하초 등 건강기능식품원료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전환하였는데, 그 중 농가의 주 생산품목은 혈당강하용으로 활용되는 "5령3일 건조누에"이다.
"5령3일 건조누에"를 이용하는 이유는 4면잠의 경우 5령3일이 지나면 가공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는 강력한 강도로 인하여 식이가 불가능한 견사단백질이 누에의 몸속에서 급속히 비대해지기 때문이다. 견사단백질은 견사선의 형태로 누에 몸속에 저장되어 있다가 누에가 숙잠이 되면 토사를 하여 실크의 원료인 누에고치를 짓게 된다. 이 누에고치 또한 매우 부드럽긴 하나 강력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 자연상태로는 식이가 불가능하다.
이에 현재 산업현장에서는 누에고치를 산 등의 유기용매나 효소 등으로 분해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나, 원료의 특성상 동충하초, 수번데기 등을 생산할 때 부산물로 발생하는 누에고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농가소득 유발효과가 낮아 농민들이 대량생산하기 어려우며, 가공비용이 많이 드는 관계로 소비자 가격은 상대적으로 높아 대중상품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누에고치의 특성상 견사단백질 성분 외에는 다른 성분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건강기능성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누에에 함유된 불포화지방산 등 여러 가지 유용성분과 함께 견사단백질을 섭취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15510호(등록일: 2012년 02월 06일, 명칭: 저온에서 액상으로 효소 추출하는 누에 등의 효소 분해 추출물의 추출방법)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88-0000190호(공개일: 1988년 03월 12일, 명칭: 누에를 이용한 영양식품의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은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은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를 열에 익혀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 및,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로부터 추출된 겔 또는 액상 형태의 누에추출물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는 4면잠의 경우 5령3일이후 누에부터 숙잠기까지의 누에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는 가열될 물 또는 증기의 열로 익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열은 55~1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은 80~104℃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강력한 강도로 인하여 식이용으로 활용이 불가능하였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를 얻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소비자들의 건강증진과 농가소득 증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섭취한지 3개월 후 피부결(보습)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섭취한지 6개월 후 피부주름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섭취한지 6개월 후 얼굴에 생긴 검버섯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섭취한지 6개월 후 복부에 생긴 검버섯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섭취한지 6개월 후 발바닥에 생긴 피부각질 상태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간편하면서 인체에 유용한 재료와 방법을 통해 식이용으로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건강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기존에 식이용으로 활용되었던 견사단백질이 비대해지지 전인 5령3일경의 누에뿐만 아니라 그동안 식이용 활용이 불가능하였던 견사단백질이 포함된 모든 누에를 식이용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를 열에 익혀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 및,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로부터 추출된 겔 또는 액상 형태의 누에추출물로 이루어진 누에가공물을 사용한다.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4면잠 누에의 경우 5령3일 누에란 누에가 마지막 잠을 자고 5령이 되어 3일째 되는 것으로, 약 3일이 지나면 체내에서 단백질 성분의 견사선(이하, 견사단백질이라 명명함)이 급속히 비대해지기 시작하고, 내장이 점차 퇴화되며 5령7일~8일 정도가 되면 견사단백질만으로 가득차게 된다. 이를 숙잠이라 하는데, 이 숙잠이 된 누에는 내장이 모두 퇴화되어 더 이상 뽕을 먹지 못하고 체내에 들어 있는 견사단백질을 입으로 토하며 고치를 짓게 된다.
이러한 누에의 견사단백질은 특성상, 살아있는 상태로는 거부감을 느껴 섭취가 곤란하고, 냉동 또는 건조하면 물리적인 성질이 매우 단단하게 바뀌어, 섭취시 인체내에서 소화흡수는 물론 식용섭취 자체가 불가능하며, 견사단백질을 토하여 만들어진 누에고치실 상태 역시 촉감은 매우 부드럽지만 강력한 강도로 인하여 자연상태로는 식용섭취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다.
숙잠이 토사를 하여 생산된 누에고치를 식·의약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누에고치를 용해해야지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에 많은 설비가 필요하며, 생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된 제품의 단가가 높아져 대중상품으로 발돋움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누에는 5령4일 이후 급격하게 성장하는데, 이때 뽕을 하루라도 더 주게 되면 숙잠 직전까지는 누에의 중량이 1일에 10~30 중량% 내외로 증가되기 때문에, 농가입장에서는 5령3일누에보다 더 늦게 수거하여 판매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3면잠, 4면잠을 포함한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모든 누에를 이용하여, 누에몸에 함유된 견사단백질을 식이용으로 섭취가 가능하도록 살아 있는 상태의 생누에를 열에 익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열될 물이나 증기의 열로 익혀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 및,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로부터 추출된 겔 또는 액상 형태의 누에추출물로 이루어진 누에가공물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가열될 물이 열에 익히는 것은 물에 삶는다고 표현하며 증기의 열로 익히는 것은 수증기로 찐다라고 표현함)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설명하면, 농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식량문제의 해결과 의학기술이 발전되면서 인간의 수명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은 11% 정도이고, 40년 후에는 40% 수준의 초고령화 시대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간의 가장 큰 소망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으로서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는 것은 축복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한편에서는 축복이 아닌 저주로 보는 의견도 매우 많은 현실인바, 이는 경제적인 어려움과 노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건강문제 및 추한 모습으로 변해가는 외모에 대한 불안감 등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모든 인간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기본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위하여 많은 사람들은 각종 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 등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은 효과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 많은 사람의 이용이 어렵고, 화장품의 경우에도 신체의 일부분에만 효과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젊고 아름답게 보이기 위하여 각종 성형수술에 의존하고 있지만, 가격이 비싸면서도 부작용의 우려가 있고, 건강증진과는 무관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피부미용효과와 더불어 건강증진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효과대비 가격도 싸고, 생산자인 농민들에게는 높은 부가가치를 올려줄 수 있는 획기적인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누에는 국내에서 식품원료로 승인이 돼있으며 그 중에서도 견사단백질이 비대해지기 전인 5령3일 누에를 혈당강하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상황으로 견사단백질이 들어있는 익힌 누에의 경우 식품원료 사용승인 등 별도의 법적인 절차가 필요없기 때문에, 산업현장에 보급하기 위해서는 조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등 성분의 함량분석과 섭취시 거부감 여부, 맛, 향 등에 대한 관능평가가 필요하고, 나아가서는 익힌누에의 활용도 창출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건강기능성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은 피부미용을 위하여 보습제의 사용, 성형수술, 보톡스 주사, 마사지, 주름살 제거용 기구·접착패드 사용, 건강기능식품 섭취, 기능성 화장품 및 기타 세포재생물질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 중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는 피부마사지의 경우에는 피부표면에만 작용하므로 피부노화 방지효과가 일시적이면서도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화장품의 경우에도 피부의 일부분에만 사용하고 효과도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은 토코페롤 등의 항산화제, 오메가3 지방산 등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콜라겐 제제의 복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콜라겐 제제는 복용하더라도 거대 단백질이기 때문에 소화흡수가 잘되지 못하고 피부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콜라겐을 이용한 화장품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해 피부미용의 주요조직인 콜라겐, 멜라닌세포 등에 작용하지 못하고 피부표면에만 작용하므로 효능이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탈모인구는 1천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나, 대머리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특효약은 아직 없는 상태로서, 탈모가 됐을 때에는 모발이식수술을 받거나, 가발을 쓰는 방법 이외에는 치료방법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모발이식수술도 가격이 비싸면서도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못되고, 이식수술을 받은 부위만 탈모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탈모는 예방만이 최선의 방법으로서, 과로, 스트레스 등을 피하고, 모근영양에 효과가 좋은 식품의 섭취를 통하여 탈모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친밀감의 표현이나 업무 등으로 인하여 자의반 타의반으로 음주를 많이 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숙취로 인하여 고생하는 사람이 많은 실정에 있다. 숙취란 음주후 간에서 미처 분해되지 못한 알콜의 유독성 대사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의 영향과 탈수현상 및 전해질 부족 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괴로운 현상을 말하며, 아세트알데히드가 생성되면 간과 뇌에 영향을 주어 속이 메스껍고 두통과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알콜의 작용으로 체외로 수분과 함께 각종 미네랄 성분이 많이 배출되면 나른하고, 무기력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숙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위장에서 흡수된 알콜의 분해를 촉진시키고, 간에서 알콜분해시 생성된 아세트알데히드를 체외로 빨리 배설시키거나 분해를 촉진시켜야하는데 많은 사람들은 이를 위하여 콩나물, 감, 칡, 헛개나무, 꿀물 등을 섭취하거나, 숙취해소용 음료를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들의 숙취해소효과가 기대만큼 따라주지 못하고 있고, 사전에 숙취를 예방하는 것보다는 사후에 경감시키는 것이 대부분으로 일정시간 이상은 숙취에 시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수 많은 사람들이 과도한 업무와 스트레스로 육체적, 정신적인 피로를 호소하고 있다. 피로의 원인은 과로, 수면부족, 임신 등의 생리적인 원인,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증 등의 정신적인 원인, 질병에 의한 원인 등 다양하다. 근육 피로란 과로나 과도한 운동 등으로 인하여 혈중 젖산 함량이 높아져서 일어나는 육체적인 피로로서 휴식을 취하면 해소가 된다. 하지만 만성피로는 피로가 장기간 지속돼 휴식을 취해도 피로 증상이 가시지 않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 것을 말하며, 집중력 저하, 기억력 장애, 수면장애, 위장장애, 식욕부진, 체중감소 및 우울, 불안 등의 정신적인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만성피로와 관련한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정신치료, 유산소 운동 등의 치료법이 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 이견이 많고 아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신경안정제, 카페인 음료 등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은 중독성이 우려되고, 카페인 성분이 많은 음료를 마시는 것은 일시적인 효과에 불과한 상황이다.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시간 동안 신을 벗지 못하고 일을 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러한 생활습관은 무좀의 발생에 매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무좀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실정이다. 무좀이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피부진균증으로 전문용어로는 족부백선이라고 하며, 무좀을 일으키는 곰팡이는 사람의 피부에서 잘 번식되고, 특히 피부가 습하면 왕성하게 자라는 특징이 있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무좀균이 있어도 무좀의 증상이 없는 사람이 있는 등 개인차이도 있다. 초기의 무좀은 바르는 무좀약에 의하여 증상이 좋아질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먹는 무좀약을 처방하고 있는데, 많은 사람들은 무좀약을 바르거나 먹어도 쉽게 낳지 않고, 약간의 무좀균이 남아 있어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평생을 무좀과 같이 사는 사람들이 많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누에의 면성 및 성장단계와 무관하게 견사단백질이 누에 체내에 들어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 누에를 식이용으로 섭취가 가능하게 가공함으로서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를 나타내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도출해 낸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를 나타내는 누에가공물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단계: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생누에 준비
1)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생누에의 수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라 함은 4면잠의 경우에는 흔히 5령3일 이후의 누에를 말하지만, 3면잠 등의 경우에는 견사단백질이 비대해지는 시기가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누에 체내에서 견사단백질이 비대해지기 시작하는 시기의 누에부터 숙잠기까지의 모든 누에를 의미한다.
숙잠이라 함은 누에몸속에 견사단백질이 가득 차 있는 누에로서 고치를 완전히 지어 번데기로 탈피하기 전까지의 견사단백질이 누에 몸속에 들어있는 누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누에의 면성과 관계없이 견사단백질이 비대해지기 시작하는 시기의 누에부터 숙잠을 포함한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살아있는 상태의 모든 누에 를 수거하여 사용하되, 누에를 수거하는 시기는 사용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거하여 사용한다.
예컨데. 경제성이 최우선 고려사항이면 숙잠보다는 누에의 중량이 가장 많이 나가는 5령5일~5령6일경의 누에를 수거하여 원료로 이용한다.
또한, 건강기능성 제고가 최우선 고려사항이면 필요로 하는 건강기능성을 나타내는 경과일수의 누에를 수거하여 원료로 이용한다.
또한, 맛 또는 제조하는 제품의 성분 표준화가 최우선 고려사항이면 누에몸속에 있는 누에똥이 대부분 배출되고 견사단백질이 가득 찬 숙잠을 수거하여 원료로 이용한다.
2) 생누에를 냉장보관하는 과정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견사단백질이 몸속에 들어 있는 누에를 이용하여 삶거나 쪄야지만 견사단백질의 식이용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공처리 전까지 누에의 생명유지 및 견사단백질의 토사방지 또는 최소화를 위한 환경조건의 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를 수거하는 즉시 열수에 삶거나 수증기로 찌는 것이 좋은데, 수거직후에 삶거나 찌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수거직후부터 가공처리 직전까지 누에를 냉장보관해야 한다. 이때 냉장에 적합한 온도는 5∼10℃를 포함하는 온도범위에 냉장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 중에 누에가 똥과 오줌을 배설하여 누에의 피부가 오염될 경우에는 누에몸에 물을 뿌려주며 세척한 다음 다시 냉장보관시킴으로서 누에를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시켜준다.
2. 제2단계: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생누에를 가공하여 누에가공물(이하, 익힌누에 분말이라고 함) 제조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 및,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로부터 추출된 겔 또는 액상의 누에추출물로 이루어진 누에가공물을 회수하기 위해,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상태의 살아있는 생누에를 물에 삶거나 수증기로 쪄서 익힌다.
이때, 사용된 가열방식은 하기에 나열한 방식 중 선택하여 사용한다.
① 용기 내부에 압력을 주어 상압에서 누에를 넣고 물이 끓는 점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누에를 삶거나 수증기로 찌는 방법(가압조건)
이때, 가압조건이라 함은 용기를 완전히 밀폐하고 온도를 물이 끓는 온도 이상으로 설정한 후 가열하여 용기 내부의 온도를 고압에 의한 고온의 환경조건으로 조성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② 용기 내부에 압력이나 진공을 주지 않고 누에를 삶거나 찌는 방법(상압조건)
상압조건이란 인공적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감하지 않은 상태에서 누에를 삶거나 찌는 것을 말하는데, 물이 끓는 점 이상의 온도에서 익힐 수도 있고, 끓는 점 미만의 온도에서 익힐 수도 있다.
이 때 물이 끓는 점 이하의 온도인 99℃ 이하 55℃ 이상의 온도에서는 익히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익히는 시간이 길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온도를 105℃ 이상으로 설정하고, 용기 내부에서 수증기가 순환되도록 하여 용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가열하면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최대 104℃ 내외까지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데, 이 방식에 의하여 삶거나 찌는 방법도 상압조건에 속하며 이 방법은 무압력순환추출법이라고 한다.
③ 용기내부에 진공을 주어 100℃ 이하에서도 물이 끓도록 하여 누에를 삶거나 수증기로 찌는 방법(감압조건)을 사용한다.
이때, 감압조건이라 함은 용기내부를 진공에 가까운 환경조건으로 조성하여 압력을 낮춰 줌으로서 100℃ 미만 온도에서도 물이 끓도록 해주는 것을 말한다.
다시말해 생누에를 물에 침수시켜 삶을 경우에는 55~125℃의 온도범위내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80~104℃의 온도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수증기로 쪄서 익힐 경우에도 55~125℃의 온도범위내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성분변화의 최소화 및 삶는시간이 단축되는 80~104℃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특히, 10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는 수증기로 쪄서 익힐때에는 진공을 주어 감압시켜 가열하였을 때 생성된 수증기로 쪄서 익히는 것이 좋다.
이때, 수증기로 찔 때 압력조건별 온도범위는 가압조건에서는 가압을 하여 수증기가 발생하는 모든 온도범위를 의미하며, 상압조건에서는 100~104℃를 포함하는 온도범위, 감압조건에서는 55~100℃미만의 온도를 포함하는 물이 끓거나 수증기가 발생하여 누에를 찔 수 있는 온도범위를 말한다.
상기 전술한 누에를 삶거나 찔때 압력조건, 가열온도, 가열시간 등은 경제성, 건강기능성, 맛, 활용하고자 하는 대상((익힌 누에 또는 겔 또는 액상형태의 누에추출물)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때, 변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와 같이 압력조건별, 온도조건별로 다르며, 압력조건이나 온도조건이 같을 경우에도 삶거나 찌는 누에의 양, 누에의 상태 등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이상의 과정과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차례 연구 결과, 누에의 면성 및 성장단계와 무관하게 누에 함유 견사단백질의 식용가능한 최적조건들을 도출해내어 누에가공물을 생산하게 되었으며, 이에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제품화하기 위하여 섭취시 맛, 향 및 거부감 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거부감은 거의 없었고, 맛과 향도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피부미용과 건강증진효과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섭취 전과 비교하여 섭취 후에는 피부가 부드러워 지고, 주름, 검버섯, 기미, 주근깨, 피부각질 등이 감소하며, 탈모증상이 멈추고, 숙취증상이 완화되고, 무좀증상이 감소되며, 피로가 경감되는 등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누에가공물은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설명하면,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누에가공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므로 그대로 섭취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일에 3g내외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누에가공물은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 여러기능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기능성 효과를 얻고자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사용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에가공물을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효성분인 누에가공물 0.5 내지 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누에 가공물이 0.5 중량% 미만일 경우 누에가공물이 나타내는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효과 등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워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사용이 어려우며, 99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관능적인 면에서 적합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 그대로 사용하거나, 냉장, 냉동 또는 건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건조된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분말, 환, 과립, 정제 등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추출액을 이용하여 음료, 차, 진액등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식품 요리시 첨가제로 사용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섭취하는 양은 사용 목적(건강증진)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하면 된다.
즉, 이러한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일반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우유, 요구르트 등 유산균 음료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으로 사용하는 고추장, 된장, 간장, 청국장 등의 장류와 김치, 깍두기 등의 발효식품, 소고기국, 돼지고기국, 김치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등의 국, 찌개류 등 모든 음식 요리시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누에가공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대비 0.001 ~ 95 중량%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0 중량%로 포함되며, 나머지 잔량으로 그 외 화장료로 허용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누에 가공물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누에가공물이 나타내는 주름, 검버섯, 기미, 주근깨, 피부각질 등이 감소하는 등 피부미용에 우수한 효과를 얻기 어려워 본 발명이 목적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누에가공물의 함량이 너무 많아 화장품 제형으로 제조할 시 다른 재료들과이 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오히려 화장품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렇게 조성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 및 목적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제형의 일예로는 로션제(lotion), 액제(液劑), 유제, 에멀션제, 현탁제(懸濁劑), 정제(錠劑) 및 캡슐제(capsule)가 있다.
화장료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싱 폼, 클렌싱 워터, 팩 또는 보디오일 등의 기초 화장료 및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또는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색조 화장료 형태로 활용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과 함께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삶을 경우 누에 상태별 식이 가능성 여부 확인
1. 실험재료
누에는 견사단백질이 비대해 지기 시작한 4면잠 누에의 5령4일경 누에부터 숙잠기까지의 누에를 살아 있는 상태 그대로(이하, '생누에'라 명명함)를 사용하였다.
비교대상으로 상기 생누에를 냉동시켜 얻은 냉동누에와 상기 생누에를 건조시켜 얻은 건조누에를 사용하였다.
2. 실험방법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생누에, 냉동누에, 건조누에를 물에 침수시킨 후, 가압(115℃), 상압(104℃), 감압(80℃)의 압력조건과 온도조건을 각각 주어 각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삶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익힌 누에 및 누에추출물을 대상으로 그 특성 및 식이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3.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1 내지 표 4과 같이 나타났다.
대상 삶는
온도
삶는
시간
견사단백질 비대여부 익힌 누에 및 누에추출물의 식용가능여부
생누에
냉동누에
건조누에
80~115℃ 10시간 견사단백질 비대 이전 누에
(5령1일~3일)
○ 생누에, 냉동누에, 건조누에의 익힌 누에 및 액상의 누에추출물 모두 식용섭취 가능
견사단백질 비대 이후 누에
(5령3일이후~숙잠)
○ 생누에
: 견사단백질이 포함된 익힌 누에의 몸체 및 액상의 누에추출물 모두 식용섭취 가능
○ 냉동누에 및 건조누에
: 누에 함유 견사단백질은 식용섭취 곤란(견사단백질이 매우 단단함)
견사단백질을 제외한 누에 몸체 및 액상의 누에추출물은 식용섭취 가능
삶는온도 생누에의 익힌 누에(견사단백질 포함)의 특징 생누에의 액상의 누에추출물의 특징
115℃
(가압)
○ 삶은 직후 견사단백질이 물러져, 쉽게 잘라지고, 섭취시 찐밤 맛처럼 포실포실 함.
○ 건조 후 손으로 누르면 견사단백질이 약간 딱딱하지만, 섭취시 잘씹히고 고소한 맛이남.
○ 짙은 밤색의 액체상태
○ 맛은 약간 거북한 맛
104℃
(상압)
○ 삶은 직후 견사단백질이 물러져 쉽게 잘라지고, 섭취시 찐밤 맛처럼 포실포실함.
○ 건조후에 손으로 누르면 견사단백질이 약간 딱딱하지만, 섭취시 잘씹히고 고소한 맛이남.
○ 중간 밤색의 액체상태
○ 맛은 구수한 맛
○ 약간의 겔(점액)상태로 이루어진 물질 발생
80℃
(감압)
-진공
○ 삶은 직후 누에몸체와 견사단백질의 구분없이 뭉그러져 잘라지고, 섭취시 찐밤 맛이 나며 포실포실한 느낌이 듦.
○ 건조후에 손으로 누를 경우 누에몸체와 함께 견사단백질이 부드러운 분말로 되며 섭취시 약간 비린 듯하면서 고소한 맛이남.
○ 엷은 밤색의 액체상태
○ 맛은 약간 비린 맛
○ 겔(점액)상태 물질이 많이 생성됨
-누에령기가 숙잠기로 갈수록 겔(점액)상태 물질이 더 많이 생성됨
삶는온도 냉동누에를 익힌 누에(견사단백질포함)의 특징 냉동누에의 액상의 누에추출물의 특징
115℃
(가압)
○ 삶은 직후 견사단백질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섭취시 나무뿌리 씹는 것과 같이 씹히지 않음
○ 건조후 견사단백질이 딱딱해 섭취 곤란
○ 짙은 밤색의 액체상태로서 섭취 가능
○ 맛은 먹기에 거북스러움
104℃
(상압)
○ 삶은 직후 견사단백질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섭취시 찰고무 씹는 것과 같이 씹히지 않음
○ 건조후 견사단백질이 딱딱해 섭취 곤란
○ 중간 밤색의 액체상태로서 섭취가능
○ 맛은 먹기에 거북스러움
80℃
(감압)
-진공
○ 엷은 밤색의 액체상태로서 섭취가능
○ 맛은 먹기에 거북스러움
삶는온도 건조누에를 익힌 누에(견사단백질포함)의 특징 건조누에의 액상의 누에추출물의 특징
115℃
(가압)
○ 삶은 직후 견사단백질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섭취시 나무뿌리 씹는 것과 같이 씹히지 않음
○ 건조후에는 견사단백질이 딱딱해 섭취 곤란
○ 짙은 밤색의 액체상태로서 섭취가능
○ 맛은 먹기에 거북스러움
104℃
(상압)
○ 중간 밤색의 액체상태로서 섭취가능
○ 맛은 먹기에 거북스러움
80℃
(감압)
-진공
○ 엷은 밤색의 액체상태로서 섭취가능
○ 맛은 먹기에 거북스러움
상기 표 1 내지 4에 나타나 있듯이, 냉동누에와 건조누에를 삶을 경우, 견사단백질을 제외한 누에의 몸체는 식이 가능하긴 하나, 견사단백질은 식이가 가능하도록 물러지거나 연화되지 않고 누에 몸체 속에 원래 형태 그대로 남아 있고, 강도가 강해 씹히지 않아 식이가 불가능하였다.
반면, 살아있는 생누에를 삶을 경우에는 생누에가 함유하고 있는 견사단백질이 삶는 과정에서 뭉그러져서 누에의 몸체와 견사단백질간의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견사단백질과 누에의 몸체는 분리되더라도 견사단백질이 부드럽게 연화되어 누에몸체와 견사단백질 모두 식이가 가능하였다.
<실시예 2> 삶는 시간 경과에 따른 익힌 누에의 체내 함유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특성 변화 확인
상기 실험예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동누에와 건조누에를 물로 삶을 경우에는 누에 몸체 속에 들어 있는 견사단백질이 경화된 상태로 매우 단단하여 식용으로 섭취하기가 불가능한 반면, 살아있는 생누에를 물로 삶으면 견사단백질이 뭉그러지거나 연화돼 식용섭취가 가능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숙잠의 맛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에, 익힌 누에의 견사단백질의 식용섭취가 가능한 생누에 중 견사단백질의 함량이 가장 많은 생누에의 숙잠을 대상으로 쉽게 이용이 가능한 100℃에서 삶을 경우 삶는 시간 경과에 따른 익힌 누에의 체내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과정 및 견사단백질의 변성단계별 식용 섭취 가능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와 같이 조사되었으며,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특성상태에 따라 단계를 부여하였다.
구분
1단계
(도 2a)
2단계
(도 2b)
3단계
(도 2c)
4단계
(도 2d)
덜익힌 누에 1차변성기누에 2차변성기 누에 3차변성기 누에
견사단백질의 눌리적 특성 누에를 좌우로 당기면 견사단백질이 껌처럼 길게 늘어남 견사단백질이 늘어나지 않고 누에와 함께 뭉그러짐 누에 체내의 견사단백질이 경화됨 경화된 견사단백질이 부드럽게 연화돼 누에와 함께 절단됨
식용섭취 가능여부 삶은직후 초중반까지 식용곤란 중반이후 식용가능 식용섭취 우수 초반
식용
가능
중반
식용
곤란
후분
식용
가능
식용섭취 우수
건조및 분말화 후 초반식용섭취곤란 중반식용섭취가능 후반 식용섭취 양호 식용섭취 우수 초반식용섭취양호 중반식용섭취가능 후반식용섭취양호 식용섭취 우수
상기 표 5에 나타나 있듯이, 누에를 삶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설명하면, 1단계(이하, '덜익힌 누에'라 명명함.)는 생누에를 삶는 초기단계로서 누에를 좌우로 잡아당기면 체내 견사단백질이 덜 익어서 당기는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고, 식용섭취시 섬유질 찌꺼기가 입안에 남게되며, 이를 건조하면 견사단백질이 딱딱해지며, 이를 다시 분쇄하면 비교적 잘 분쇄돼 중반 이후에는 식용섭취가 가능해졌다.
2단계(견사단백질의 1차변성기 누에: 이하 '1차변성기누에'라 명명함)는 누에가 익어서 체내 견사단백질의 늘어짐이 없이 누에몸체와 견사단백질이 함께 절단되고, 절단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누에몸체와 함께 견사단백질이 뭉그러져 누에몸체와 견사단백질의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식용섭취시에는 섬유질 찌꺼기 등이 입안에 남지 않고 용이하게 섭취가 가능하였고, 건조 및 분쇄시에도 분말이 용이하게 제조돼 식용섭취가 가능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3단계(견사단백질의 2차변성기 누에: 이하 '2차변성기누에'라 명명함)는 2단계에서 물러져서 뭉그러지던 누에몸체 속의 견사단백질이 다시 단단하게 경화되어 누에몸체와 별개로 분리되는데, 분리된 견사단백질은 삶은 직후에는 단단해지고, 건조하면 딱딱해져 섭취가 곤란하지만, 이를 분쇄하면 동결하거나 건조한 누에를 삶은 누에의 견사단백질에 비하여 쉽게 분쇄되어 식용섭취가 가능하였다.
마지막 4단계(견사단백질의 3차변성기 누에: 이하 '3차변성기누에'라 명명함)에서는 3단계에서 딱딱하게 경화되었던 견사단백질이 다시 한번 변성되어 부드럽게 물러짐으로 인해 약한 힘에도 쉽게 잘라져 식용섭취가 용이해지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실험결과 생누에를 익힐 경우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성질이 4단계로 진행되면서 변성되었다. 견사단백질의 변성단계별 누에에 함유된 견사단백질의 식용섭취 특성은 1단계(덜익힌 누에) 중반이후의 누에부터는 식용섭취가 가능하였으며, 그 중 식용으로 섭취하기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변성단계는 2단계(1차변성기) 및 4단계(3차변성기)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생누에를 익히는 방법, 압력 및 온도조건 별 익히는 시간에 따른 견사단백질의 변성특성 확인
1. 실험방법
견사단백질의 누에체내 함량이 가장 많은 숙잠을 이용하여 삶거나 쪄서 50~125℃에서 최소 1분에서 시작하여 3차 변성시까지(최대 72시간) 확인하여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특성변화시점과 그 특징을 조사하여 하기 표 6, 표 7과 같이 나타났다.
온도 방법 1차변성 2차변성 3차변성 특징
가압
조건
125℃ 삶기 3분
내외
7분
내외
3시간
내외
탄냄새와 맛이 나고, 누에표피의 색상이 검게 변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없어짐
증기 8분
내외
10분
내외
5시간
내외
115℃ 삶기 25분
내외
30분
내외
5시간
내외
탄 냄새와 맛은 나지 않지만, 누에 표피의 색상이 약간 검게 변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 없어짐
증기 1시간
내외
1.5시간
내외
7시간
내외
상압
조건
104℃ 삶기 1.5시간
내외
2시간
내외
12시간
내외
겔상태 물질이 대량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증기 3시간
내외
4시간
내외
15시간
내외
겔상태 물질이 약간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100℃ 삶기 2시간
내외
5시간
내외
15시간
내외
겔상태 물질이 대량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증기 4시간
내외
5시간
내외
40시간
내외
겔상태 물질이 약간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90℃ 삶기 3시간
내외
5시간
내외
50시간
내외
겔상태 물질이 대량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80℃ 삶기 7시간
내외
15시간내외 72시간
이후
미변성
70℃ 삶기 8시간
내외
15시간내외 1차변성시 덜익힌 누에와 경화된 누에가 혼재, 겔상태 물질이 약간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60℃ 삶기 8시간
내외
15시간내외 1차변성시 덜익힌 누에와 경화된 누에가 혼재하고, 일부누에는 개체내에서도 혼재
견사단백질을 제외한 누에몸체가 역한 맛
55℃ 삶기 8시간
내외
30시간내외 1차변성이 거의 없이 덜익힌 누에에서 2차변성으로 진행되어 경화되며, 2차변성 초기의 견사단백질은 식용 가능
견사단백질을 제외한 누에몸체가 역한 맛
50℃ 삶기 변성안됨 견사단백질의 변성이 전혀 안되고 표피가 질겨 누에가 잘 잘라지지 않음
냄새와 맛이 매우 역겨움
압력조건 온도
방법 1차변성 2차변성 3차변성 특징
감압
조건
(진공)
90℃ 삶기 5시간
내외
30시간내외 60시간내외 겔상태 물질이 대량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증기 5시간
내외
6시간
내외
80시간내외 겔상태 물질이 약간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 90℃시험구는 침수시 3차변성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한 관계로 72시간 이상 시험
80℃
삶기 10시간내외 24시간내외 72시간이후
미변성
겔상태 물질이 대량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증기 10시간내외 13시간내외 겔상태 물질이 약간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70℃
삶기 12시간내외 15시간내외 1차변성시 덜익힌 누에와 경화된 누에가 혼재, 겔상태 물질이 약간 생성됨
초기에는 지방성분이 나와 매우 진득진득하지만 겔상태 물질 생성과 더불어 없어짐
증기 12시간내외 15시간내외
2. 실험결과
1) 물에 침수시켜 삶아 익힌 누에의 특징
상기 표 6과 표 7에 나타나듯이, 생누에를 물에 침지하여 삶을 경우에는 55~125℃, 바람직하게는 80~104℃에서 삶을 경우 식이섭취가 가능한 익힌 누에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0℃에서 삶을 경우에는 72시간이 경과하여도 견사단백질의 변성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누에의 표피가 질겨서 누에를 당겨도 잘 잘라지지 않고, 오랜시간을 삶으면 냄새와 맛이 매우 역겨워 식용섭취가 곤란하였다.
55℃에서 삶을 경우에는 누에몸체 속의 견사단백질이 덜 익어서 당기면 길게 늘어나다 1차변성이 거의 없이 서서히 2차변성으로 이행되는데, 오랜시간 동안 삶아서 삶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냄새와 맛이 식용섭취하기에 역겹게 변하였다. 2차변성된 견사단백질을 누에몸체에서 분리하여 섭취하면 2차변성 초기에는 식용섭취가 가능하지만, 삶는 시간 경과에 따라 나무뿌리 씹는 것과 같이 입안에 섬유질 찌꺼기가 많이 생기며, 72시간동안을 삶아도 3차변성이 일어나지 않았다.
60℃에서 삶을 경우에는 견사단백질의 1차변성이 일어나기는 하지만 익기 전 누에와 경화된 누에가 혼재하고, 일부 누에는 개체 내에서도 익기 전 누에와 경화된 누에가 혼재하였다. 1차변성기부터 2차변성기 초기사이에 경화된 견사단백질을 누에몸체에서 분리하여 섭취하면 덜 말린 오징어를 구운 맛과 유사하였지만, 견사단백질을 제외한 누에몸체는 섭취시 약간 역겨운 맛이 났다. 또한, 견사단백질이 완전히 2차변성이 되면 식용섭취가 곤란하였고, 72시간 동안을 삶아도 다시 연화돼 3차변성이 일어나지 않았다.
70℃에서 삶을 경우에는 견사단백질의 변성과정 및 식용섭취시 특성과 맛이 60℃에서와 유사하였는데, 누에몸체에서 나는 역겨운 냄새와 맛은 거의 없었다.
80℃에서 삶을 경우에는 견사단백질의 1차변성기가 지속되는 시간이 가장 길어 1차변성기의 누에를 제조하기에 유리한 반면 72시간을 삶아도 2차변성된 견사단백질의 3차변성이 일어나지 않았다.
90℃ 이상의 온도에서 삶을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견사단백질의 3차변성이 이뤄졌고, 80℃이하의 온도에서 삶아 3차변성이 일어나지 않은 누에를 다시 90℃이상의 온도에서 삶으면 3차 변성이 일어나 경화되었던 견사단백질이 연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80℃~104℃의 중간온도에서 삶을 경우에는 삶는 온도가 115℃ 이상으로 너무 높거나 70℃이하로 낮은 시험구에 비하여 1차변성기가 지속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고, 덜익힌 누에와 2차변성된 누에가 혼재하는 비율이 적었다.
80℃~104℃ 시험구의 삶은 직후의 누에는 식용섭취시 1차변성된 누에와 3차 변성된 누에 모두 섭취하기에 우수하였다. 건조한 다음에는 1차변성된 누에의 경우 삶는 온도가 낮아질수록, 그리고 삶는시간이 길어져 2차변성기에 가까워질수록 더 부드럽게 분말화되지만, 3차변성된 누에는 3차변성기 초기에는 견사단백질이 약간 딱딱하다가, 삶는 시간이 오래될수록 점점 더 부드럽게 변하였다.
가압을 하여 115℃ 이상의 온도로 삶을 경우, 고온의 영향으로 인하여 견사단백질 변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으며, 이로 인하여 1차변성기 때는 견사단백질이 덜 익힌 누에가 일부 혼재하다 바로 2차변성기로 진행되는 특징을 나타냈다.
가압을 하여 삶는 온도별로 익힌 누에의 색상과 맛을 비교한 결과, 115℃ 시험구의 경우에는 누에의 색상이 약간 검게는 변하였지만 탄 맛은 거의 느껴지지 않는데 비하여, 125℃의 고온으로 삶을 경우 삶는 시간이 길어지면 누에의 색상이 검게 변하고, 약간 탄 맛이 났다.
또한, 115℃ 및 125℃ 시험구 모두 익힌 누에를 건조할 경우 상압이나 감압조건을 주어 낮은 온도에서 익힌 누에에 비하여 견사단백질이 약간 딱딱하게 변하였는데 식용섭취는 가능하였다.
다음으로, 누에를 삶으면 모든 온도범위의 삶은 누에에서 누에에 함유된 지방성분이 용해돼 나와 누에표피가 매우 점성이 있으면서도 미끈미끈하였으며, 미끈한 물질을 물에 넣고 씻으면 거품이 많이 일어나는데, 누에를 삶기 시작하는 초기에는 미끈한 정도가 매우 심하고, 삶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누에 표피의 지방성분이 줄어들며 미끈한 정도가 감소하였다.
삶는 온도별로는 가압을 하여 115℃ 이상온도에서 삶을 경우 초기에는 지방성분의 영향으로 매우 미끈미끈하지만, 삶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 점성을 잃으며 2차변성기를 거쳐 3차변성기가 되면 점성이 거의 사라지게 된다.
상압 또는 감압조건에서 104℃ 이하의 온도로 삶을 경우에도 초기에는 매우 미끈하지만, 가압상태에서 익힌 누에와 달리 지방성분이 추출되어 나온 견사단백질의 성분과 함께 합쳐지며 겔(점액)상태의 물질로 바뀌게 된다.
겔(점액)상태의 물질은 삶는 시간이 길어지면 뭉쳐져 액상의 누에추출물과 분리되는데, 이를 여과하면 외형상 마치 해파리의 몸체와 유사하게 보이는 물질로서 액상의 누에추출물과 분리가 가능하고, 이를 진공동결건조하면 섭취시 단맛이 나서 섭취하기에 좋은 분말상태로 되었다.
또한, 삶는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0시간 내외의 삶는 시간에서는 삶은 직후 회수한 액상의 누에추출물의 온도가 높을 때는 액체상태이다가, 시간 경과에 따라 액상의 누에추출물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액상의 누에추출물 전체가 서서히 굳어져 묵과 같이 겔상태로 변하고, 이를 다시 가온하면 액체 생태로 회귀하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80~104℃에서 삶을 경우 삶는 초기단계에서는 지방성분의 영향으로 누에의 표피가 미끈미끈하면서도 겔(점액)상태 물질이 생성되기 전에 액상의 누에추출물을 회수하면 연한 황색의 액체가 되는데, 삶는 온도 및 시간 등 조건에 따라 뽕잎차, 인삼차 등의 맛과 유사한 맛을 나타냈다.
2) 수증기로 쪄서 익힌 누에의 특징
생누에를 수증기로 찔 경우에는 상기 표 6과 표 7에 나타나듯이, 생누에를 물에 삶는 것과 달리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변성시각이 삶는 온도 및 압력조건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나지만, 견사단백질의 물리적 변성과정과 삶아져 나온 누에의 특성은 물속에 침수시켜 익힌 누에와 동일하였다. 즉, 생누에를 수증기로 찔 경우에도 55~125℃의 온도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로 쪄서 익힐 경우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누에를 얻게 되었다(70℃미만의 데이터는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익힌 누에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다만, 수증기를 이용하여 찔경우에는 수증기에 의하여 소량의 누에추출물이 생성되고, 누에체외로 용해되어 나오는 겔(점액)상태물질도 소량만 생성되는바, 생누에를 물에 삶아 익힌 누에에 비하여 누에에 함유된 성분이 추출물로 용해되어 나가는 양이 매우 적어 익힌 누에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생누에를 수증기로 쪄서 익힐 경우에는 감압조건에서는 감압으로 인하여 낮은 온도에서 수증기가 발생하면서도 견사단백질이 익는 온도로서 55~100℃미만의 온도범위, 상압조건에서는 55~104℃의 온도범위, 가압조건에서는 압력을 가하여 105℃~125℃의 온도범위에서 식이섭취가 가능한 익힌 누에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익힌 누에가 식품용 또는 화장품 등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누에가공물의 성분분석결과
상기 실시예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누에가공물 중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에 대한 성분분석을 하였으며, 그 분석항목으로는 조성분 함량(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아미노산 함량,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비교대상으로는 냉동건조누에분말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 9, 10, 11과 같이 나타났다.
누에 가공방법별 조성분 분석결과
구분
(%)
냉동건조누에
분말
익힌 생누에 숙잠의 건조분말
물에 삶은 생누에
숙잠분말
수증기로 찐 생누에 숙잠분말
5령3일누에 숙잠 감압
(80℃)
상압
(100℃)
가압
(115℃)
상압(100℃)
1차변성 2차변성 3차변성 덜익은
누에
1차변성 2차변성 3차변성
수분 6.90 4.13 4.96 4.74 4.00 4.48 3.51 4.91 3.10
조단백질 48.22 53.40 57.92 61.81 62.04 61.49 63.47 66.83 64.57
조지방 7.55 17.78 8.32 17.20 10.50 11.69 15.40 14.07 16.49
조섬유 5.55 2.59 2.18 2.43 2.79 2.34 2.44 2.42 4.46
조회분 10.11 4.60 2.66 2.06 1.90 3.50 2.92 2.89 3.01
냉동건조한 숙잠 및 익힌 숙잠 생누에의 조단백질 함량 검토결과
구분
(%)
기준량
(숙잠의 조단백질 총량 예상량)
숙잠의 조단백질 함량 분석결과
냉동건조 숙잠의 건조분말 100℃에 익힌 생누에 숙잠의 건조분말
물에 삶은 생누에 수증기로 찐 생누에
견사선 함유 2차변성기 견사선 견사선이 덜익은누에 1차변성기 견사선 2차변성기
견사선
3차변성기
견사선
견사선 포함 숙잠의 조단백질 함량 비율 68.1 53.4 61.8 61.6 63.3 66.9 64.4
기준량 대비 분석된 조단백질의 비율 - 78.4 90.7 90.5 93.0 98.2 94.6
1) 조단백질
가) 조단백질 함량 검사결과
ⓛ 익히지 않은 냉동건조누에의 분말
5령3일누에 분말은 조단백질이 48%에 비하여 숙잠 분말의 조단백질 함량이 약간 많은 53%로 나타났는데, 숙잠분말은 견사선(견사단백질 성분)의 영향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야 하지만, 약간의 증가에 그친 것은 분석시 견사단백질 중 피브로인 성분이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아 분석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② 익힌 생누에 숙잠의 건조 분말
익히지 않은 숙잠의 냉동건조 분말(53%)에 비하여 익힌 생누에 숙잠의 조단백질 함량은 최대 67%로 높게 나타난 바, 이는 생누에 숙잠을 익힐 경우 누에체내에 함유된 견사선 중 피브로인 성분이 연화돼 단백질 성분이 용이하게 용해돼 나온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익힌 생누에 숙잠의 건조분말은 물에 삶은 누에에 비하여(최대 62%) 수증기로 찐 누에의 조단백질 함량이 높았는바(최대 67%), 이는 물에 넣고 삶은 누에의 경우 견사선 중 세리신 성분이 물에 용해돼 나간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나) 숙잠 익힌누에의 조단백질 함량 분석결과
ⓛ 냉동건조한 숙잠 1마리당 조단백질 함량 예상량
냉동건조한 숙잠을 견사선과 누에몸체로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할 경우 단백질 성분으로 이뤄진 견사선의 무게가 37.8%이다. 나머지 62.2%의 누에몸체를 대상으로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48.7%의 조단백질 함량을 나타낸바 견사선을 제외한 누에 1마리당 30.3%의 조단백질이 함유된 것으로 판단되는 바, 상기 결과로 볼 때 견사선의 무게와 누에몸체에 함유된 조단백질의 총량은 68.1% 내외로 판단된다.
② 견사선이 함유된 냉동건조한 숙잠의 조단백질 함량 분석결과
53.4%의 조단백질이 검출되어 견사선이 제거된 숙잠에 비하여(48.7%) 조단백질 함량이 약간만 증가하는데 그쳤는바, 누에 전체에 함유된 조단백질 총량 예상량(68.1%)의 78.4%의 성분만이 분석됐다. 이는 견사선 중 누에체내에 들어 있는 강력한 강도의 피브로인 성분(냉동되거나 냉동건조한 누에에 함유된 피브로인 성분은 강도가 강하여 섭취가 불가능한 특징이 있음)은 분석이 되지 않고, 물에 녹아 섭취가 가능한 세리신 성분 증 일부의 성분만이 분석돼 나온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③ 100℃ 물에 넣어 삶어서 익힌 숙잠 생누에의 조단백질 함량 분석결과
61.8%의 조단백질이 검출되어 기준량인 숙잠의 조단백질 총 예상량에 비하여 90.7%의 조단백질 함량비율을 나타낸바, 이는 견사선 중 강도가 강한 피브로인성분도 분석돼 나온 결과로 보인다.(생누에를 물에 삶거나 수증기로 쪄서 익힐 경우 누에체내의 견사선 중 피브로인이 부드럽게 연화돼 식용섭취가 가능한 특징이 있음) 조단백질 함량이 예상 함량보다 약간 적게 나온 원인은 누에체내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조단백질 성분이 분석은 됐지만, 물에 넣어 삶을 때 조단백질 성분 중 일부의 성분이 물에 용해돼 나갔기 때문에 조단백질 성분이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④ 100℃ 수증기에 쪄서 익힌 숙잠 생누에의 조단백질 함량 분석결과
익히는 시간이 경과되면서 견사선이 덜익은 누에는 61.6% 1차변성된 누에는 63.3%, 2차변성된 누에는 66.9%, 3차변성된 누에는 64.4%의 조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이는 익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단백질이 더 많이 검출되지만, 동시에 누에체외로 용출돼서 나가는 것도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⑤ 상기 결과에 대한 고찰
익히지 않고 건조한 누에를 익혀서 분말화한 누에는 견사선의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성분분석시 조단백질이 분석되지 않기 때문에 조단백질 함량이 낮게 나타나며, 생누에를 물이나 수증기로 익혀 건조하여 분말화하면 누에 몸속의 견사선이 부드럽게 연화되기 때문에 성분분석시 견사선에 함유된 단백질 성분이 용이하게 용해됨으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조지방 함량
가) 익히지 않은 냉동건조누에의 분말
5령3일누에 분말(8%)에 비하여 숙잠의 조지방 함량이 18%로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나) 익힌 생누에 숙잠의 냉동건조누에 분말
익히지 않은 숙잠의 냉동건조 분말(18%)에 비하여 익힌 생누에 숙잠의 조지방 함량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난바(8~17%), 이는 생누에 숙잠을 익힐 경우 누에체내에 함유된 지방성분의 일부가 용해돼 나간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숙잠 생누에를 익히는 온도에 따라서는 80℃와 115℃보다 100℃에서 조지방의 함량이 12~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0℃에서는 물에 삶은 누에와 수증기로 찐 누에의 조지방 함량이 견사단백질의 2차변성기 기준으로 14~17%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3) 조섬유 및 조회분 함량
가) 익히지 않은 냉동건조누에의 분말
누에령기가 숙잠으로 진행될수록 조섬유 및 조회분 함량비율이 낮아졌는바, 이는 누에체내에 단백질 성분인 견사선 함량은 늘어나는 반면 잠분량은 감소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나) 익힌 생누에 숙잠의 냉동건조누에 분말
조섬유는 익히지 않은 누에와 익힌 누에와의 차이가 크지 않고, 익힌 누에 중 물에 삶거나 수증기로 찐 누에별로도 큰 차이가 없으며, 견사선의 변성단계별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조회분은 익히지 않은 누에(4.6%)에 비하여 익힌 누에의 함량이 적고(1.9~3.5%), 수증기로 찐누에에 비하여 물에 삶은 누에의 함량이 적게 나타난바, 이는 익히는 과정에서 무기질이 누에의 체외로 물과 함께 용해돼 나갔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구성아미노산 함량
구분(%) 수증기로 의한 생누에
숙잠분말의 아미노산
냉동건조누에분말의
아미노산
참고
(녹용 상대품의 아미노산)
상압조건
(100℃)
가압조건
(115℃)
감압조건
(80℃)
5령3일
누에분말
숙잠
분말
시스테인
(Cysteine)
0.405 0.408 0.420 0.517 0.490 0.693
메치오닌
(Methionine)
0.700 0.751 0.678 0.731 0.873 1.065
아스파르트산
(Aspartic acid)
4.934 4.864 4.897 4.648 5.193 4.753
트레오닌
(Threonine)
2.276 2.218 2.256 2.212 2.388 2.265
세린
(Serine)
7.087 6.630 7.279 2.667 5.078 2.105
글루탐산
(Glutamic acid)
4.555 4.601 4.479 6.346 4.956 5.769
글리신
(Glycine)
12.581 11.911 12.930 3.682 6.551 7.598
알라닌
(Alanine)
9.847 9.334 10.010 3.767 5.425 4.178
발린
(Valine)
2.260 2.404 2.384 2.556 2.400 2.867
이소루신
(Isoleucine)
1.389 1.716 1.640 2.316 1.935 1.044
루신
(Leucine)
2.226 2.344 2.220 3.498 2.822 3.752
타이로신
(Tyrosine)
4.854 4.670 4.920 2.625 3.523 0.118
페닐알라닌
(Phenylalanine)
1.911 1.939 1.870 2.172 1.979 2.365
라이신
(Lysine)
2.404 2.455 2.311 2.950 2.924 3.582
히스티딘
(Histidine)
1.175 1.199 1.153 1.339 1.403 1.901
아르기닌
(Arginine)
2.110 2.092 2.053 2.480 2.339 3.856
프롤린
(Proline)
1.478 1.513 1.488 2.286 1.890 4.925
* 생누에 숙잠분말은 견사단백질의 1차변성기 성분기준임
지방산 함량
구분(%) 수증기로 의한 생누에
숙잠분말의 아미노산
냉동건조누에분말의
아미노산
참고
(녹용 상대품의
아미노산)
상압조건
(100℃)
가압조건
(115℃)
감압조건
(80℃)
5령3일
누에분말
숙잠
분말
미리스트산
(Myristic acid)
(C14:0)
0.028 0.030 0.027 0.020 0.028 0.137
팔미트산
(Palmitic acid)
(C16:0)
3.966 4.001 3.937 1.345 4.178 1.078
팔미톨레산
(Palmitoleic acid)
(C16:ln7)
0.142 0.135 0.142 0.032 0.139 0.049
스테아르산
(Stearic acid)
(C18:0)
1.243 1.293 1.185 0.856 1.536 0.606
올레산
(Oleic acid)
(C18:ln9)
4.209 4.094 4.120 1.287 4.909 0.571
리놀레산
(Linoleic acid)
(C18:2n6)
0.992 0.964 0.953 0.889 1.202 0.357
감마리놀레산
(γ-Linoleic acid)
(C18;3n6)
0.017 0.015 0.017 0.009 0.020 -
리놀렌산
(Linolenic acid)
(C18:3n3)
4.785 4.618 4.675 3.102 5.748 -
에이코센산
(Eicosenoic acid)
(C20;ln9)
0.020 0.029 0.026 0.011 0.018 0.553
아라키드산
(Arachidonic acid)
(C20;4n6)
- - - - - 0.042
합계 15.40 15.18 15.08 7.55 17.7 3.393
* 생누에 숙잠분말은 견사단백질의 1차변성기 성분기준임
(다) 수증기로 익힌 생누에 숙잠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분석결과
표 10과 표 11에 나타나 있듯이, 익히는 비용이 적게 들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의 함량이 높으며, 성분의 유실이 비교적 적은 방법인 100℃ 수증기로 찐 견사선의 1차변성기 누에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피부보습, 뇌 신경수초 보호, 지방과 지방산 대사, 근육성장 및 면역세포 생성에 기여하는 세린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 대사 촉진 및 유독물질 해독효과가 있는 알라닌의 함량이 매우 높고 우울증, 무관심, 무기력 해소에 효과가 있는 타이로신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난바, 이들 아미노산은 생누에 숙잠을 수증기로 쪄서 익힐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오메가3의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이 4.8%로 다량 함유돼 건강식품으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누에가공물의 관능평가 및 기능성 평가
상기 실시예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누에가공물 중 숙잠 생누에를 100℃ 수증기로 쪄서 익힌 누에 중 견사단백질의 1차 변성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 및 기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대상인원은 총 32명이며, 1일 섭취량은 1회에 1g씩 1일 3회로 하여 1일에 3g씩을 식후에 섭취하게 하였으며(일부는 최소 섭취량 확인을 위하여 1일에 0.5g씩 섭취하게 하였고, 최대 섭취량 확인을 위하여 1일에 10g, 20g, 30g 씩 섭취하게 함), 섭취기간은 3~6개월이다.
기능성 평가를 위하여 장기간 섭취하는 사람은 피부의 상태가 닭살과 같이 거칠거나, 피부주름, 검버섯, 기미, 주근깨, 각질 등의 증상을 2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섭취 직전 현재 탈모증상이 있고, 음주후 숙취가 심하며, 정신적, 육체적으로 피로감이 심하고, 무좀증상 등을 2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선정하여 시험하였다.
섭취할 때는 음주, 흡연 등 모든 기존의 생활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하였으며, 단 별도의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참여를 시키지 않거나 섭취하던 것을 중단하게 한 다음 섭취를 시켰다.
조사항목은 맛, 향, 거부감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피부미용, 탈모예방, 숙취예방, 피로경감 효과에 대한 기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1) 관능평가조사결과
관능평가조사결과, 하기 표 12, 13, 14, 15, 16와 같이 나타났다.
생누에를 익힌누에 중 가장 좋은 맛을 나타내는 누에령기 조사결과
구분(%) 5령3일 익힌누에 5령5일 익힌누에 숙잠 익힌누에
8 0 92
익힌누에(숙잠 생누에) 분말 섭취시 맛 및 냄새 조사결과
구분(%) 매우좋다 약간좋다 보통이다 약간나쁘다 매우나쁘다
34 29 34 3 0
냄새 19 22 59 0 0
익힌누에(숙잠 생누에) 분말 섭취시 거부감 여부 조사 결과
구분(%) 거부감이 없고
매우 좋다
거부감이 없고
약간 좋다
보통이다 약간의
거부감이 있다
매우 섭취하기
싫다
거부감여부 56 25 19 0 0
익힌누에(숙잠 생누에) 분말의 지속적인 섭취 필요성 여부 조사결과
구분(%) 매우
필요하다
약간의
필요성이 있다
보통이다 약간
불필요하다
매우
불필요하다
지속섭취
필요성 여부
72 25 3 0 0
익힌누에(숙잠 생누에) 분말의 섭취시 체중변화여부
구분(%) 매우 체중이 감소했다 약간 체중이
감소했다
변화가 없다 약간 체중이
증가했다
매우 체중이
증가했다
체중변화
여부
0 9 85 6 0
상기 표 12 내지 16에 나타나 있듯이, 누에 경과기간별 익힌누에를 대상으로 맛에 대하여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숙잠 익힌누에의 맛이 가장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숙잠 익힌누에 분말에 대한 맛, 냄새, 거부감 등에 대한 조사결과, 맛이 좋다는 의견이 63%이고 보통 맛이라는 의견이 34%로 나타났으며, 냄새는 보통이라는 의견이 59%로 가장 많았으며, 거부감이 있다는 의견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숙잠 익힌누에의 맛은 번데기와 유사한 고소한 맛이 나 먹을 때 거부감이 전혀 없고 맛이 있어 지속적인 섭취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바, 건강을 위하여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누에를 지속적으로 섭취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응답한 시험자가 72%로 나타났으며, 섭취의 필요성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혀 없었다.
또한, 익힌누에 분말을 장기간 섭취한 결과 체중의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85%이고, 체중이 1~2kg 정도 증감하였다고 응답한 사람이 각 6%와 9%로서, 숙잠 익힌누에는 체중 변화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피부미용효과 조사결과
피부미용효과 조사결과, 하기 표 17 내지 표 22 및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나타났다.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피부결 상태(피부보습)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피부결 상태가 보통이하로 거칠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 부드러워졌다 약간 부드러워졌다 변화가 없다 약간 거칠어졌다 매우거칠어졌다
피부결 상태 57 40 3 0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피부주름 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피부주름이 보통 이상 있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적어졌다 약간적어졌다 변화가 없다 약간많아졌다 매우많아졌다
피부주름상태 12 52 36 0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검버섯 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검버섯이 보통 이상 있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적어졌다 약간적어졌다 변화가 없다 약간많아졌다 매우많아졌다
검버섯상태 14 72 14 0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기미 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여자로서 기미가 보통 이상 있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적어졌다 약간적어졌다 변화가 없다 약간많아졌다 매우많아졌다
기미상태 20 80 0 0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주근깨 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주근깨가 보통 이상 있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적어졌다 약간적어졌다 변화가 없다 약간많아졌다 매우많아졌다
주근깨상태 6 63 31 0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피부각질 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피부각질이 보통 이상 있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적어졌다 약간적어졌다 변화가 없다 약간많아졌다 매우많아졌다
피부각질상태 27 57 12 4 0
상기 표 17 내지 22 및 도 1 내지 5에 나타나 있듯이,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누에를 장기간 섭취한 결과 거친 피부가 매끄럽게 부드러워지고 혈색이 좋아졌다고 응답하였다.
피부가 매우 부드러워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57%, 약간 부드러워졌다는 비율은 40%로 나타났으며, 거칠어졌다는 응답은 전혀 없었다.
피부주름의 경우 얼굴의 잔주름이 비교적 양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매우 적어 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12%, 약간 적어 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52%로 나타났다.
검버섯의 경우 얼굴과 몸 등에 생긴 검버섯이 비교적 양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바, 매우 적어 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14%, 약간 적어 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72%로 나타났다.
기미의 경우 섭취자 5명 전원이 섭취 6개월 후 얼굴에 생긴 기미의 색상이 엷어졌다고 응답하였다.
피부각질의 경우 발바닥 등에 생긴 각질이 얇아지고 매끄럽게 변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84%로 높게 나타났다.
주근깨의 경우 얼굴이나 몸에 생긴 주근깨가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사람이 69%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윤기가 나는 등 피부상태가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견사선 함유 익힌누에에는 피부보습과 콜라겐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세린(Serine, 7.1%), 라이신(Lysine 2.5%), 프롤린(Proline, 1.5%) 등의 아미노산과 오메가3 지방산의 하나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 4.8%)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친 것이 원인으로 예상된다.
3) 탈모예방효과 조사결과
탈모예방효과 조사결과, 하기 표 23과 같이 나타났다.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탈모진행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탈모증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증상이 거의 없어졌다 증상이 약간 없어졌다 변화가 없다 증상이 약간
심해졌다
증상이 매우 심해졌다
탈모
진행상태
27 46 27 0 0
상기 표 23에 나타나 있듯이, 탈모가 진행되고 있는 22명을 대상으로 익힌누에를 섭취시킨 결과 머리카락이 빠지는 양이 섭취하기 전보다 줄어들었다는 응답이 73%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누에에는 모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메치오닌(Methionine, 0.7%), 라이신(Lysine, 2.5%) 등의 아미노산과 오메가3 지방산의 하나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 4.8%)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친 것이 원인으로 예상된다.
4) 숙취예방효과 조사결과
숙취예방효과 조사결과, 하기 표 24, 25와 같이 나타났다.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음주후 취하는 정도 조사결과(20% 알콜농도의 소주를 1회에 반병 이상 섭취하는 시험자를 대상으로 익힌누에 분말을 섭취하기 전과 동일량의 음주를 하였을 경우 취하는 느낌)
구분(%) 매우
덜취한다
약간
덜취한다
변화가 없다 약간
더 취한다
매우
더 취한다
취하는 정도 31 52 13 4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음주후 숙취상태 조사결과(본인의 적정음주량을 초과하여 마신 후 느끼는 숙취의 정도)
구분(%) 숙취가 매우
덜해졌다
약간
덜해졌다
변화가 없다 숙취가 약간 심해졌다 매우 심해졌다
숙취 정도 42 54 4 0 0
상기 표 24와 25에 나타나 있듯이, 평소 20% 알콜농도의 소주량 기준 반병(180㎖) 이상을 마시는 사람을 대상으로 음주후 취하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익힌누에를 섭취한 다음에 동일한 양의 술을 섭취할 경우 덜 취한다는 응답이 83%로 높게 나타났다.
적정 음주량을 초과하여 마셨을 때 느끼는 숙취의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익힌누에를 장기간 섭취한 다음에는 섭취하기 전에 비하여 숙취의 정도가 덜해졌다는 응답이 9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누에에는 간 대사 촉진, 지방간 개선, 콜레스테롤 제거, 간 해독 등 간 기능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테인(Cysteine, 0.4%), 메치오닌(Methionine, 0.7%),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4.9%), 트레오닌(Threonine, 2.3%), 알라닌(Alanine, 9.9%), 아스파라긴산(Asparagine acid, 0.007%) 등의 아미노산 성분이 다량 함유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친 것이 원인으로 예상된다.
5) 피로 감소효과 조사결과
피로 감소효과 조사결과, 하기 표 26, 27과 같이 나타났다.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육체적 피로증상 감소여부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육체적 피로 증상이 보통 이상 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활력이 넘친다 약간 활력이 넘친다 변화가 없다 약간 더 피곤하다 매우 더 피곤하다
육체적 피로 해소여부 25 54 21 0 0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정신적 피로증상 감소여부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정신적 피로 증상이 보통 이상 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매우활력이 넘친다 약간 활력이 넘친다 변화가 없다 약간 더 피곤하다 매우 더 피곤하다
정신적 피로 해소여부 4 58 38 0 0
상기 표 26과 27에 나타나 있듯이, 육체적 피로 감소여부 조사결과 79%가 익힌누에를 섭취하기 전에 비하여 피로가 빨리 풀리고 활력이 넘친다고 응답하였으며, 정신적 피로 감소여부 조사결과에서는 62%가 정신이 안정되고 활력이 넘친다고 응답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누에에는 스테미너를 증진시키고 피로를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4.9%), 이소루신(Isoleucine, 1.4%), 라이신(Lysine, 2.5%), 베타알라닌(β-alanine, 0.005%), 시투룰린(Citrulline, 0.005%) 등의 아미노산 성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육체적 피로를 감소시킨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정신적 피로는 두뇌활동촉진, 정서안정, 정신적 활력증진에 도움을 주는 글루탐산(Glutamic acid, 4.7%), 발린(Valine, 2.3%),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2.1%), 아르기닌(Arginine, 2.2%) 등의 성분과, 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등 스트레스 방어작용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전구체 역할을 하여 감정조절기능 작용을 함으로서 우울증, 무관심, 무기력, 나른함 등의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타이로신(Tyrosine, 4.9%)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6) 무좀 감소효과 조사결과
피로 감소효과 조사결과, 하기 표 28과 같이 나타났다.
견사단백질 함유 익힌누에 섭취시 무좀 상태 조사결과(전체 조사인원 중 무좀 증상이 보통 이상 있다고 답변한 시험자 대상)
구분(%) 무좀이 거의 없어졌다 무좀이 약간 없어졌다 변화가 없다 무좀이 약간 심해졌다 무좀이 매우 심해졌다
무좀상태 20 50 30 0 0
상기 표 28에 나타나 있듯이, 무좀 증세가 있는 20명을 대상으로 익힌누에를 섭취한 후에 무좀이 감소되었는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70%가 무좀이 나아졌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테인(Cysteine, 0.4%), 세린(Serine, 7.1%), 라이신(Lysine, 2.5%), 아르기닌(Arginine, 2.2%), 트립토판(Tryptophan, 0.007%) 등을 비롯한 각종 영양원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아짐에 따라 신체에서 무좀균이 활동할 환경이 나빠진 것이 원인으로 예상된다.
7) 기타 특이사항
근육생성을 위하혀 근력운동을 하는 사람의 경우 근육생성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을 하였는바, 이는 근육성장 및 강화의 주요인자로 작용하는 세린(Serine, 7.1%), 글루탐산(Glutamic acid, 4.7%), 글리신(Glycine, 12.7%), 루신(Leucine, 2.3%), 프롤린(Proline, 1.5%) 등의 아미노산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되며, 그 외 간기능이 떨어지고 지방간이 많은 사람들은 간기능이 좋아지고, 지방간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고, 혈압이 높은 사람은 고혈압이 정상혈압으로 회복되었고(145118),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고생하는 사람은 알레르기성 비염이 완화되었으며, 뇨단백 증상이 있는 사람은 소변의 거품이 없어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는, 강력한 강도로 인하여 식이용으로 활용이 불가능하였던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를 일반적인 식품원료를 비롯하여 피부미용과 탈모예방, 숙취예방, 피로경감, 우울증완화, 무좀경감 등의 건강기능식품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가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산업화시 피부보습, 피부주름완화, 검버섯완화, 기미완화, 주근깨완화, 피부각질완화, 무좀완화, 탈모완화, 숙취예방, 피로도완화 등의 피부미용 및 건강증진효과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타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효과 대비 저렴한 소비자가격의 실현이 가능하여 대중적인 상품으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돼, 국민건강 증진과 농가소득 증대 및 양잠산업 발전 등 공공의 이익에 큰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은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를 열에 익혀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 및,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로부터 추출된 겔 또는 액상 형태의 누에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건강기능식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는 4면잠의 경우 5령3일이후 누에부터 또는 숙잠기까지의 누에인,
    건강기능식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는 가열될 물 또는 증기의 열로 익히는,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은 55~125℃인 것이 특징인,
    건강기능식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은 80~104℃인 것이 특징인,
    건강기능식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항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보습용, 피부주름완화용, 검버섯완화용, 기미완화용, 주근깨완화용, 피부각질완화용, 무좀완화용, 탈모완화용, 숙취예방용, 피로도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8.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은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를 열에 익혀 식이용 섭취가 가능한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분말 및,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로부터 추출된 겔 또는 액상 형태의 누에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는 4면잠의 경우 5령3일이후 누에부터 또는 숙잠기까지의 누에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견사단백질을 갖는 생누에는 가열될 물 또는 증기의 열로 익히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은 55~125℃인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은 80~104℃인 것이 특징인,
    화장료 조성물.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선택된 어느 한항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보습용, 피부주름완화용, 검버섯완화용, 기미완화용, 주근깨완화용, 피부각질완화용, 무좀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72202A 2012-09-20 2013-06-24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546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202A KR101546446B1 (ko) 2013-06-24 2013-06-24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PCT/KR2013/008380 WO2014046446A1 (ko) 2012-09-20 2013-09-17 견사단백질을 갖는 누에의 가공방법, 이를 통해 가공된 누에가공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202A KR101546446B1 (ko) 2013-06-24 2013-06-24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156A true KR20150000156A (ko) 2015-01-02
KR101546446B1 KR101546446B1 (ko) 2015-08-24

Family

ID=5247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202A KR101546446B1 (ko) 2012-09-20 2013-06-24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4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436B1 (ko) * 2018-05-14 2019-10-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20200052789A1 (en) * 2016-11-01 2020-02-13 Jeong-Soo Kim Variable wavelength filter, and light receiver and light receiving method using variable wavelength filter
WO2021101019A1 (ko) * 2019-11-20 2021-05-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잠 추출물을 이용한 개(canine) 지방유래줄기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분화 유도방법, 및 이를 포함한 체지방 감소 및 비만 예방용 반려동물 사료첨가물
KR20210092463A (ko) * 2020-01-16 2021-07-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뽕을품은누에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금의 제조 방법
CN115404706A (zh) * 2022-09-01 2022-11-29 江南大学 一种光动力抑菌除臭蚕沙织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812A (ko) 2017-11-09 2019-05-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비알코올성 간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6692B1 (ko) 2019-06-19 2022-08-2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9631A (ko) 2021-11-12 2023-05-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3764A (ko) 2022-06-17 2023-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홍잠의 효능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27B1 (ko) * 2009-12-15 2013-02-05 이정호 잠사 추출물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52789A1 (en) * 2016-11-01 2020-02-13 Jeong-Soo Kim Variable wavelength filter, and light receiver and light receiving method using variable wavelength filter
KR102030436B1 (ko) * 2018-05-14 2019-10-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1101019A1 (ko) * 2019-11-20 2021-05-27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잠 추출물을 이용한 개(canine) 지방유래줄기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분화 유도방법, 및 이를 포함한 체지방 감소 및 비만 예방용 반려동물 사료첨가물
KR20210061750A (ko) * 2019-11-20 2021-05-2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잠 추출물을 이용한 개(canine) 지방유래줄기세포의 갈색 지방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 분화 유도방법, 및 이를 포함한 체지방 감소 및 비만 예방용 반려동물 사료첨가물
KR20210092463A (ko) * 2020-01-16 2021-07-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뽕을품은누에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익힌 누에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금의 제조 방법
CN115404706A (zh) * 2022-09-01 2022-11-29 江南大学 一种光动力抑菌除臭蚕沙织物及其制备方法
CN115404706B (zh) * 2022-09-01 2023-09-15 江南大学 一种光动力抑菌除臭蚕沙织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446B1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446B1 (ko) 견사단백질이 함유된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CN101828661B (zh) 一种用于改善皮肤水分、除皱的保健食品
CN105167037A (zh) 一种具有补血养颜功效的姜汁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581327B (zh) 一种无添加剂含木耳养发乌发健康食品及其生产方法
CN106387899A (zh) 一种美白祛斑抗皱嫩肤的功能性产品
CN103750094B (zh) 雄蜂蛹保健膏及其制备方法
CN105077435A (zh) 一种酸甜口感的黑木耳姜汁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358623B1 (ko)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955770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기능성 김치
CN103750311A (zh) 一种核桃红枣口含片
KR10173833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04473250A (zh) 一种山药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287089B (zh) 一种荔枝果醋及其制备方法
JP2012067082A (ja) 経口組成物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CN104905157A (zh) 一种蜜醋黑豆的加工方法
KR20210007139A (ko) 목이버섯을 이용한 뮤즐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목이버섯 뮤즐리
KR102447752B1 (ko)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한 젤 형태의 건강식품 제조방법
JPH02167038A (ja) プロポリス含有のゼリー
KR100984028B1 (ko) 새콤달콤한 조성물을 난(卵)에 전이하여 구운 새로운 향미의 도포 난(卵) 제조방법
TWM603278U (zh) 果凍食品之披覆結構
JP2017042144A (ja) 経口組成物
KR20060079777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키위 녹차[과일 침출차]
KR2006006940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홍차(과일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