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066A -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066A
KR20140145066A KR20140059772A KR20140059772A KR20140145066A KR 20140145066 A KR20140145066 A KR 20140145066A KR 20140059772 A KR20140059772 A KR 20140059772A KR 20140059772 A KR20140059772 A KR 20140059772A KR 20140145066 A KR20140145066 A KR 20140145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opinion
display
terminal
pres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9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히코 마유미
도시오 다나카
다케아키 고바야시
겐지 사카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는, 복수 단말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의견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표시부에 표시된 의견으로부터 분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이 지정되면,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 및 선택된 의견 이외의 의견이 입력된 단말이, 선택된 의견에의 대응에 관련된 복수의 항목의 각각이 선택 가능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지시를 하도록 구성된 지시부를 포함하고, 미리 결정된 기준은, 복수 단말의 각각에 있어서 과거에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에 기초하여,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는 데 사용된 기준이다.

Description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PRESENTER SELECTION SUPPORT APPARATUS, PRESENTER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PRESENTER SELECTION SUPPORT METHOD}
[관련 출원으로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6월 12일 출원된 우선권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24009호에 기초하며, 그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고, 그 전체 내용이 여기서 참조용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논의된 실시예들은, 수업, 세미나, 회의 등을 할 때, 교육 운용을 지원하는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정보 처리 단말을 이용하여, 다지점 회의를 할 수 있게 되어 왔다.
이러한 정보 처리 단말을 이용한 다지점 회의에서는, 다지점 회의를 목적에 따라서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발언권의 우선도를, 회의 참가자의 속성(사회적 지위, 직위, 전문 분야 등), 발언 누적 시간, 발언 횟수 등의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변수로 하는 함수에 의해서 계산하는 기술 등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08-274888호 공보를 참조바란다.
최근, 초등 및 중등 교육의 교육 기관에 있어서, 선생님 및 학생이 정보 처리 단말을 이용하는 차세대형 교육이 행해져 왔다.
차세대형 교육용으로, 시각을 이용한 디스커션 지원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수업의 운용은, 교사 단말에서 학생 단말로 과제를 송신하고, 각 학생은, 학생 단말에서 과제에 대한 의견을 입력하여, 교사 단말에 회신한다. 교사 단말에서 각 학생의 의견이 집약되어, 교사와 학생의 공유 화면이 되는 교실 내의 스크린에 매트릭스형으로 학생 전원의 찬부(贊否)와 의견이 표시된다. 그리고, 교사는 각 학생이 다른 학생들이 입력한 다른 의견에 관해서 그의 의견을 발표하게 한다.
여기서, 클래스 내의 학생 전원(예컨대 수십명)이 발표를 하는 경우, 같은 의견이 발표된 의견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어, 발표 내용이 의견 간에 중복되어 시간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같은 의견에 대해서는, 대표자만 발표를 하게 하는 것이 수업의 운용으로서는 효율적이다.
한편,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회의의 목적에 따라서 복수의 참가자 중에서 발언권의 우선도에 기초하여 발언자를 결정하고 있어, 과제에 대하여 집약된 의견 중에서, 같은 의견에 대해서 대표자를 결정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을 차세대형 교육에 이용했다고 해도, 클래스 내의 각 학생으로부터 집약한 수십이나 되는 의견의 내용을 단시간에 파악하기는 곤란하다. 그 때문에, 효율적으로, 의견이 같다고 생각되는 학생의 대표자가 동일한 의견을 발표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학생 중에는, 과제에 대하여 다른 학생과는 상이한 주안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XX씨와 같은 의견입니다"라고 교사 단말에 회신함으로써, 발표를 피하고자 시도하는 학생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학생을 판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생이 발표를 피하고자 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는, 복수 단말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의견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의견이 분류되어 이루어지는 1 이상의 그룹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는 의견이 지정되면, 그 어느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 및 상기 어느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상기 선택부에 의해서 선택된 의견 이외의 의견이 입력된 단말에 대하여, 그 선택된 의견에의 대응에 관련한 복수 항목의 각각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지시를 하도록 구성된 지시부를 포함한다.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상기 복수 단말의 각각에 있어서 과거에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에 기초하여, 그 어느 그룹에 속하는 의견이 입력된 단말 중에서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여, 특정된 단말에 입력된 의견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이다.
또한, 상기 해결되어야 할 과제는,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실행시, 컴퓨터에 상기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발표자 선정 지원 프로그램, 및 컴퓨터 실행 가능한 발표자 선정 지원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의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이점은 청구항에 특히 나타낸 요소 및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달성될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예시적이며 설명적이고,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학생이 발표를 피하고자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의견 입력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체 학생의 의견을 공유 화면에 표시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그룹화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대표 발표자를 특정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확대 표시된 의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동일 의견 통신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마스킹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학생 데이터베이스와 과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의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1000)은, 서버(100)와, 교사 단말(1)과, 복수의 학생 단말(3)과, 공유 화면(8)을 갖는다.
공유 화면(8)은 교사(1t) 및 학생(3s)에 의해서 참조되는 화면이다. 공유 화면(8)은 프로젝터를 통해 교실 내의 스크린에 투영된 화면이라도 좋다. 서버(100)와, 교사 단말(1)과, 복수의 학생 단말(3)과, 프로젝터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서버(100)와, 교사 단말(1)은, 각각 별도의 컴퓨터 장치로서 예시하지만, 하나의 컴퓨터 장치로 통합될 수도 있다.
교사 단말(1)은 컴퓨터 장치이며, 교사(1t)에 의해서 이용된다. 학생 단말(3)은 컴퓨터 장치이며, 각 학생(3s)에 의해서 이용된다. 교사 단말(1) 및 학생 단말(3)의 각각은, 예컨대 CPU로 형성된 제어부와, 표시부와, 입력부와, 통신부를 갖는다. 표시부는 입력 기능도 겸비한 터치 패널 타입 표시부라도 좋다. 이 경우, 입력부는 생략되더라도 좋다.
공유 화면(8)은, 교실 내의 스크린에 투영되어, 클래스 내의 교사(1t) 및 복수의 학생(3s)에 의해서 참조되는 화면이며, 표시부에 상당한다.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은 서버(100)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서버(100)에 의해서 교사 단말(1)에도 공유 화면(8)과 같은 표시 내용이 표시된다.
서버(100)는 컴퓨터 장치이며,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부(4)와 기억부(130)를 갖는다. 서버(100)는 발표자 선정 장치에 상당한다.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부(4)는, 서버(100)에 인스톨된 발표자 선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실현되고, 동일한 의견을 갖는 학생의 그룹을 대표하여 발표하는 대표 발표자를 선택하는 선택부에 상당한다. 교사 단말(1) 및 각 학생 단말(3)은 네트워크(2)를 통해 발표자 선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다.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부(4)는, 학생 단말(3)로부터 송신된 과제에 대한 의견 및 찬부를 집약한 의견 DB(33)를 참조하여, 과제에 대하여 같은 의견이라고 하는 학생 중에서, 진짜로 동일한 의견의 학생을 판정한다.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부(4)는, 또한,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와,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를 갖는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발표자 선정 처리에 관해서, 교사 단말(1) 및 공유 화면(8)에 관련한 처리를 제어하는 제1 선택부에 상당한다.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발표자 선정 처리에 관해서, 학생 단말(3)에 관련한 처리를 제어하는 제2 선택부에 상당한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교사 단말(1)을 위한 처리를 하고, 교사(1t)가 임의 학생의 의견을 지정하면, 그 의견과 같은 의견의 그룹으로부터, 과거에 대표 발표자가 발표한 의견에 학생이 동의한 횟수를 나타내는, 발표에서 면제된 횟수(이하 "발표 면제 횟수"라 칭함)가 가장 많은 학생을 대표 발표자로서 특정한다. 특정한 대표 발표자가 된 학생의 의견은 공유 화면(8)에 확대 표시된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교사 단말(1)에 교사(1t)용의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교사(1t)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교사 단말(1)에 표시된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또한, 교사(1t)의 교사 단말(1)에의 입력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학생 단말(3)을 위한 처리를 하고, 대표 발표자가 발표한 의견에 학생이 동의한 횟수를 나타내는 발표 면제 횟수를 카운트한다.
발표 면제 횟수는 과거에 대표 발표자가 발표한 의견에 학생이 동의한 횟수를 나타낸다. 한편, 발표 면제 횟수는, 과거에 대표 발표자가 발표한 의견에 동의함으로써, 학생이 발표를 면제 받은 횟수를 나타낸다고도 말할 수 있다.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해서, 학생 단말(3)에 학생(3s)용의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학생(3s)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학생 단말(3)에 표시된다.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학생(3s)의 학생 단말(3)에의 입력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공유 화면(8)은, 예컨대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부(4)의 제어에 의해서, 교실 내의 스크린에 투영되는 화면이다.
학생 DB(31)는, 학생의 ID마다 대응시켜, 이름, 발표 면제 횟수 등의 학생 정보를 기억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과제 DB(32)는, 과제 ID마다 대응시켜, 교사(1t)가 미리 작성한 과제가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의견 DB(33)는, 과제 ID에 대응시켜, 각 학생의 찬부의 선택, 의견 등을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2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서버(100)는 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되는 단말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주기억 장치(12)와, 보조 기억 장치(13)와, 입력 장치(14)와, 표시 장치(15)와, 통신 I/F(인터페이스)(17)와, 드라이브 장치(18)를 갖고, 모두 버스(B)에 접속된다.
CPU(11)는 주기억 장치(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서버(100)를 제어한다. 예컨대, 주기억 장치(12)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이 이용되며, CPU(1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CPU(11)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CPU(11)에서의 처리로 얻어진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주기억 장치(12)의 메모리 영역의 일부가 CPU(11)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작업 영역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보조 기억 장치(13)용으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이용되며,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보조 기억 장치(13)에 저장한다. 보조 기억 장치(1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일부가 주기억 장치(12)에 로드되어, CPU(1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각종 처리가 실현된다. 기억부(130)는 주기억 장치(12) 및/또는 보조 기억 장치(13)를 갖는다.
입력 장치(14)는, 마우스, 키보드 등을 지니고, 관리자 또는 교사에 의해 서버(100)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표시 장치(15)는 CPU(11)의 제어 하에 처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통신 I/F(17)는 예컨대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등에 접속하여, 예컨대 교사 단말(1), 학생 단말(3) 사이의 통신 제어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신 I/F(17)에 의한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서버(100)에 의해서 행해지는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예컨대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등의 기억 매체(19)에 의해서 서버(100)에 제공된다.
드라이브 장치(18)는, 드라이브 장치(18)에 셋트된 기억부(19)(예컨대, CD-ROM 등)와 서버(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한다.
또한, 기억부(19)에, 후술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표자 선정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 기억부(19)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드라이브 장치(18)를 통해 서버(100)에 인스톨된다. 인스톨된 프로그램은 서버(100)에 의해 실행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로서 CD-ROM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매체의 임의 형태를 포함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CD-ROM 외에, DVD 디스크, USB 메모리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라도 좋다.
구체적인 처리 흐름의 설명에 앞서서, 교사 단말(1), 학생 단말(3), 공유 화면(8)의 화면예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표자 선정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3은 의견 입력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의견 입력 화면(21)은 학생 단말(3)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의견 입력 화면(21)은, 과제(211), 지시 내용(212), 찬부 선택(213), 의견란(214), "교사에게 송신" 버튼(215), "의견 클리어" 버튼(216) 등을 갖는다.
과제(211)는 교사(1t)에 의해서 지정된 과제를 나타낸다. 지시 내용(212)은, 의견 입력 화면(21)에서 학생(3s)이 하도록 하는 것을 지정한다. 이 예에서는, 과제(211)에 "Q001 잔해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표시된다. 또한, 지시 내용(212)은 예컨대 "위의 과제에 관해서 찬부와 의견을 기입하고, "교사에게 송신"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를 나타낸다.
찬부 선택(213)은, 학생(3s)이 과제(211)에 대하여 찬성 또는 반대의 어느 한 쪽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영역이다. 의견란(214)은, 학생(3s)에 의한 의견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입력 영역이다. 학생(3s)은 의견란(214)에 과제(211)에 대한 의견을 입력한다.
"교사에게 송신" 버튼(215)은, 학생(3s)이 과제(211)에 대한 찬부 선택(213)으로 선택한 찬부의 결과와, 의견란(214)에 입력한 의견을 송신하기 위한 버튼이다. "교사에게 송신" 버튼(215)을 누름에 따라서, 찬부의 결과와 의견이 학생 단말(3)에서 서버(100)로 송신된다.
"의견 클리어" 버튼(216)은, 학생(3s)이 과제(211)에 대한 찬부 선택(213)으로 선택한 찬부의 결과와, 의견란(214)에 입력한 의견을 초기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버튼이다. 학생(3s)은 "의견 클리어" 버튼(216)을 누름으로써, 찬부 선택(213)과 의견란(214)을 초기 상태로 되돌려, 찬부의 선택 및 의견의 입력을 다시 할 수 있다.
학생 단말(3)로부터 송신된 찬부의 결과 및 의견은 서버(100)의 기억부(130) 내의 의견 DB(33)에 기억된다.
도 4는 전체 학생의 의견을 공유 화면에 표시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91)은, 과제(911), 의견 일람(912), "전체 발표 종료" 버튼(913)을 포함한다.
과제(911)는 교사(1t)에 의해서 지정된 과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과제(911)에 "과제: 잔해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가 표시된다. 의견 일람(912)은 전체 학생(3s)의 의견 내용을 표시한다.
이 예에서는, 클래스의 학생이 40명인 경우, 40의 의견 내용이 표시되지만,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클래스의 전체 학생수가 8명인 경우를 나타낸다. 학생 A∼H의 각각의 찬부의 결과 및 의견이 표시된다. 학생 A, B, C, D 및 E는 과제(911)에 대하여 "○ 찬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학생 F, G 및 H는 과제(911)에 대하여 "X 반대"를 보이고 있다.
교사(1t)가, 교사 단말(1)에서, 교사 단말(1)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91)의 의견 일람(912)으로부터 임의 학생의 의견을 포인터(9)로 지정하면, 서버(100)의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그 의견과 같은 의견을 그룹화하여,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그룹을 알아보기 쉽도록 각 그룹에 대하여 상이한 색으로 그룹화된 의견을 표시한다.
도 5는 그룹화하고 표시된 의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92)은, 과제(911), 의견 일람(912), "전체 발표 종료" 버튼(913)을 포함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내용(92)의 의견 일람(912)에서는, 학생 C의 의견과 동일한 의견을, 학생 C의 의견과 함께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화되고, 그룹화된 의견은 용이하게 다른 의견과 식별할 수 있도록 배경색을 바꿔 표시한다. 그룹 내의 의견은 동일한 배경색으로 표시된다. 그룹화는, 예컨대 기존의 문서 유사도의 판정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이 예에서는, 학생 C의 의견 및 학생 A, B, D, E의 의견이, 학생 C의 의견과 함께 그룹화되지 않은 학생 F, G 및 H의 의견과는 식별 가능하도록 다른 배경색으로 표시된다. 교사(1t)는, 지정한 학생 C와 같은 의견인 학생 A, B, D, E의 의견이 존재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의견 일람(912)에 있어서, 그룹 내의 의견의 배경색이 변경된 후, 발표자 면제 횟수가 가장 많은 학생이 대표 발표자로서 특정된다. 특정된 학생(3s)의 의견이 의견 일람(912)에서 강조 표시된 후(도 6), 특정한 학생(3s)의 의견을 공유 화면(8)에 확대 표시하게 한다(도 7).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의견의 확대 표시를 하고, 지정한 학생(3s)과 같은 의견을 송신한 다른 학생(3s)의 학생 단말(3)에는 동일 의견 통신 화면(도 8)을 표시하게 한다.
도 6은 대표 발표자를 특정한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93)은, 도 4와 마찬가지로, 과제(911), 의견 일람(912), "전체 발표 종료" 버튼(913)을 포함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내용(93)의 의견 일람(912)에서는, 강조 표시(93a)에 의해서, 학생 A가 대표 발표자로서 특정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교사(1t)는, 학생 C의 의견을 선택했지만, 학생 A는, 같은 의견을 갖는 학생(3s)을 대표하여 발표하게 된다.
도 7은 확대 표시된 의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표시 내용(94)은, 교사(1t)가 학생 A의 의견을 지정한 경우에 공유 화면(8)에 확대하여 표시되는 내용이며, 과제(941), 의견(942), "확대 표시 종료" 버튼(943), "전체 발표 종료" 버튼(944)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내용(94)은 교사 단말(1)에도 표시된다. 표시 내용(94)은 학생 단말(3)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과제(941)는 교사(1t)에 의해서 지정된 과제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과제(941)에 "과제: 잔해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가 표시된다. 의견(942)은, 학생 A가 발표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학생 A의 찬부의 결과 및 의견을 나타낸다.
"확대 표시 종료" 버튼(943)은 표시 내용(94)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버튼이다. 학생 A의 발표가 종료된 경우에, 교사(1t)가 교사 단말(1)에 표시된 표시 내용(94)에서 "확대 표시 종료" 버튼(943)을 누르면, 서버(100)의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표시 내용(94)의 표시를 종료한다.
"전체 발표 종료" 버튼(944)은, 표시 내용(94)의 표시 종료 및 전체 발표를 종료하기 위한 버튼이다. 학생 A의 발표가 종료된 경우에, 교사(1t)가 교사 단말(1)에 표시된 표시 내용(94)으로부터 "전체 발표 종료" 버튼(944)을 누르면, 서버(100)의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표시 내용(94)의 표시를 종료하여, 전체 발표를 종료한다.
도 8은 동일 의견 통신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학생 A가 교사(1t)에 의해서 지정되어 발표하고 있는 경우의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의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은, 학생 A와 동일한 의견을 송신한 다른 학생 B∼E의 학생 단말(3)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은, 메시지(241), 지시 내용(242),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 "보충하고 싶다" 버튼(244), "의견이 다르다" 버튼(245)을 갖는다.
메시지(241)는 교사(1t)가 지시한 학생이 발표 중임을 나타낸다. 지시 내용(242)은,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에서 지시 내용에 따라 학생(3s)에 행하게 하는 것을 지정한다. 이 예에서는, 메시지(241)에 "지금 A씨가 발표중입니다."가 표시된다. 또한, 지시 내용(242)은, 예컨대 "A씨의 의견과 비교하여, 당신의 생각과 맞는 버튼을 눌러 주세요" 를 나타낸다.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은, 학생은 발표 중인 A씨의 의견과 완전히 같음을 통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보충하고 싶다" 버튼(244)은, 학생이 발표 중인 A씨의 의견에 대하여 보충하고 싶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의견이 다르다" 버튼(245)은, 학생의 의견은, 발표 중인 A씨의 의견과 다르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예에서,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발표 대표자로서 특정된 학생 A가 교사(1t)에 의하여 지정된 경우, 동일 그룹 내의 학생 A 이외의 학생 B∼E를 동일 의견 후보라고 판단한다. 동일 의견 후보인 학생 B∼E의 학생 단말(3)에,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이 표시된다. 학생 A와 동일 의견이 아닌, 즉, 학생 A와 동일 그룹에 속하지 않는 학생 F, G 및 H의 학생 단말(3)에는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학생이 학생 A와 동일 그룹에 속해 있더라도, 동일 의견 플래그(후술함)가 "9", "1" 또는 "2"로서 설정된 학생의 단말(3)에는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은 표시되지 않는다.
학생 B∼E는 각각 이하의 조작을 했다고 하자. ·학생 B는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눌렀다. ·학생 C는 발표를 피하고자 생각하여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눌렀다. ·학생 D는 버튼을 아무것도 누르지 않았다. ·학생 E는 "보충하고 싶다" 버튼(244)을 눌렀다. 한편, "의견이 다르다" 버튼(245)을 누른 학생은 학생 A와 같은 의견이 아닌 것으로서 취급하면 된다.
학생 A의 의견의 확대 표시(도 7)가 종료된 경우, 즉, 학생 A의 발표가 종료되면, 공유 화면(8)에는,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표시 내용(95)이 표시된다. 도 9는 마스킹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95)은, 도 4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과제(911), 의견 일람(912), "전체 발표 종료" 버튼(913)을 포함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내용(95)의 의견 일람(912)에서는, 발표가 끝난 학생 A의 의견에 대하여, 빨강 등의 다른 문자색과는 상이한 색에 의해 "발표 끝남"의 보조 표시(95a)가 표시된다.
학생 B∼E 중 "동일 의견 통신 화면"에서 버튼을 누른 학생에 대해서, 초록 등의 다른 문자색과는 상이한 색에 의해 보조 표시(95b)가 표시된다. 버튼을 누른 학생은 학생 B, C 및 E이다. 학생 B와 학생 C가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눌렀기 때문에, 학생 B와 학생 C의 의견에는 "A씨와 완전히 동일하다"를 나타내는 보조 표시(95b)가 표시되고, 학생 E의 의견에는 "보충하고 싶다"를 나타내는 보조 표시(95e)가 표시된다.
표시 내용(93)의 의견 일람(912)에서는, 대표 발표자인 학생 A의 의견과, 학생 A가 발표한 의견에 대하여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누른 학생 B 및 학생 C의 의견이 마스킹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다른 학생 D∼H의 의견은 당초의 표시로 유지된다.
이러한 공유 화면(8)에서의 표시가 교사 단말(1)에도 행해진다. 그 후, 교사(1t)가, 학생 A가 발표한 의견을 보충하기 위해서, 학생 E를 포인터(9)로 지정하면, 상술한 학생 C를 지정한 경우(도 4)와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서버(100)에서의,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부(4)에 의한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에 관해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단계 S51∼S61까지의 처리가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한 처리에 상당한다. 또한, 단계 S71∼S77까지의 처리가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한 처리에 상당한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a, *b 및 *c의 주석은 도 12에 도시하는 "의견 플래그"의 값의 변화에 대응되어 있다.
교사(1t)가, 과제 DB(32)에 기억되어 있는 과제 중에서 과제를 선택하면,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학생 DB(31)에 등록되어 있는 학생(3s)의 학생 단말(3)에 교사(1t)에 의해서 선택된 과제를 송신한다(단계 S51).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과제를 수신한다(단계 S71).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해서, 학생 단말(3)에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의견 입력 화면(21)이 표시된다. 학생(3s)은, 의견 입력 화면(21)에서 과제에 대한 찬부를 선택하고, 과제에 대한 의견을 입력하여, 교사(1t)에게 송신한다(단계 S72). 또한,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선택된 찬부의 결과 및 입력된 의견을, 학생 ID에 대응시켜 의견 DB(33)에 기억한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의견 DB(33)를 참조하여, 전체 학생의 의견(도 4)을 공유 화면(8)에 표시한다(단계 S52). 전체 학생의 의견(도 4)이 교사 단말(1)에도 표시된다.
교사(1t)가 의견 일람(912)(도 4)으로부터 임의 학생 C의 의견을 지정하면(단계 S53),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의견 DB(33)를 참조하여, 학생 C와 같은 의견이라고 간주한 그룹에 속하고, 또한 "의견 플래그"가 "9", "1" 또는 "2" 이외의 값을 보이는 "의견 플래그"를 갖는 학생 A, B, D, E를 특정한다(단계 S54).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학생 DB(31)를 참조하여, 특정된 학생 A, B, D, E 중 발표 면제 횟수가 최대인 학생 A를 특정하여, 의견 DB(33)의 학생 A의 "의견 플래그"를 "9"로 설정한다(단계 S55). 또한,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대하여, 학생 B∼E의 학생 단말(3)에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의 표시를 지시한다.
그리고,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학생 DB(31)의 학생 A의 발표 면제 횟수를 리셋한다(단계 S56). 또한,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의견 DB(33)의 학생 DB(31)의 학생 B∼E의 "의견 플래그"를 제로로 설정한다(단계 S57).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학생 A의 의견을 공유 화면(8)에 확대 표시(도 7)하여, "누름 가능 시간"의 계측을 시작한다(단계 S58). 그리고, 학생 A의 발표가 종료되면,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공유 화면(8)에서의 학생 A의 의견의 확대 표시(도 7)를 종료하고, "누름 가능 시간"의 계측을 종료한다(단계 S59).
단계 S55에 있어서의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한 표시 지시에 따라서,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학생 B∼E의 학생 단말(3)에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을 표시한다(단계 S73). 학생 A는 의견을 발표 중이다.
그리고, 학생 단말(3)에 표시된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에서, 학생 B∼E 각각이 버튼(243∼245) 중 어느 하나를 누른다(단계 S74). 학생 B∼E는, 의견의 확대 표시(도 7) 동안만, 즉, 누름 가능 시간 동안만,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에서의 버튼 선택이 가능하다. 학생 단말용 처리부(70)가 버튼 누름을 검지하면, 의견 DB(33)의 학생 B∼E의 학생 ID에 대응하는 "의견 플래그"를 기록한다(단계 S75). "의견 플래그"의 조작은 하기와 같다.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이 눌린 경우, 의견 DB(33)의 "의견 플래그"를 "1"로 설정한다. ·"보충하고 싶다" 버튼(244)이 눌린 경우, 의견 DB(33)의 "의견 플래그"를 "2"로 설정한다. ·"의견이 다르다" 버튼(245)이 눌린 경우, 의견 DB(33)의 "의견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
학생 단말용 처리부(70)는, "의견 플래그"가 "1"을 보이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6). "의견 플래그"가 "1"을 보이지 않는 경우,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의견 플래그" 중 어느 하나가 "1"을 보이는 경우, 학생 DB(31)의 학생 B∼E의 관련 학생 ID에 대응하는 "발표 면제 횟수"를 카운트업하고(단계 S77),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서의 처리의 종료에 따라서, 의견 DB(33)를 참조함으로써, "의견 플래그"가 "9" 또는 "1"을 보이는 학생의 의견을 마스킹하고, 또한, 학생 B∼E의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6)에 있어서의 버튼의 선택에 따른 보조 표시를 하여, 공유 화면(8)을 재표시한다(단계 S60).
보조 표시는, "의견 플래그"가 "9"를 나타내면 "발표 끝남", "의견 플래그"가 "1"을 나타내면 "완전히 동일하다", "의견 플래그"가 "2"를 나타내면 "보충하고 싶다" 를 나타낸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교사(1t)에 의해서 "전체 발표 종료" 버튼(913 또는 944)이 눌렸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 "전체 발표 종료" 버튼(913 또는 944)의 누름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단계 S53으로 되돌아가, 상술한 것과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한 처리에 연동하여,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한 처리도 반복된다.
도 11 및 도 12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학생 DB(31), 과제 DB(32)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고, 도 12에 의견 DB(33)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한다.
학생 DB(31)는 학생 ID, 이름, 발표자 면제 횟수 등의 학생 정보에 관한 항목을 갖는다. 학생 ID란의 학생 ID는 학생(3s)을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이름란의 이름은 학생(3s)의 전체 이름을 나타내고, 발표자 면제 횟수란의 발표자 면제 횟수는 다른 학생과 같은 의견이기 때문에, 발표를 면제 받은 횟수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학생 ID "ST001"에 대하여, 이름"A", 발표자 면제 횟수 "4" 등의 학생 정보가 대응되어 있다. 학생의 발표자 면제 횟수는, 의견 발표를 하는 경우에 리셋되어 제로가 설정된다(도 10a의 단계 S56).
대표 발표자가 1번째 발표자인 경우에는 발표자 면제 횟수를 리셋하고, 발표자의 1번째 이후의 발표인 경우에는, 발표자 면제 횟수를 리셋하는 대신에, 미리 결정된 비율로 발표자 면제 횟수를 설정한 값으로 변경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매월 월초의 타이밍에, 전체 학생의 발표자 면제 횟수를 리셋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과제 DB(32)는 과제 ID와 과제의 항목을 갖는다. 과제 ID는 과제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과제는 교사(1t)에 의해서 미리 준비된 과제의 내용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과제 ID "Q001"로 특정되는 과제는 "잔해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이다.
의견 DB(33)는 과제 ID, 학생 ID, 찬부, 의견, 의견 플래그의 항목을 갖는다. 과제 ID는 과제 DB(32)에 등록되어 있는 과제 ID를 나타낸다. 학생 ID는 학생 DB(31)에서 등록되어 있는 학생 ID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학생 ID에 더하여, "( )" 안에 학생의 이름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름을 생략하더라도 좋다.
찬부란은, 학생(3s)이 의견 입력 화면(21)(도 3)에서 과제에 대하여 학생(3s)이 선택한 찬부의 결과를 나타낸다. 의견란은, 학생(3s)이 의견 입력 화면(21)에서 과제에 대하여 학생(3s)이 입력한 의견을 나타낸다.
의견 플래그란은 발표에 관한 학생(3s)의 의견 천이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의견 플래그란의 의견 플래그의 값은, 원래 1의 값으로 나타내어지지만, 의견 천이를 나타내기 위해서, 학생(3s)의 버튼 선택 등의 사건마다 구별된 값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의견 플래그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a: 지정시", "*b: 누름시" 및 "*c: 재표시시"의 각 상태에서 설정된 값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하는 의견 DB(33)에서는, 과제 ID로 특정되는 과제 "잔해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합니까?"에 대하여, 학생 ID "ST001"의 학생 A가 교사(1t)에 의하여 지정되어 발표한 경우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른 과제에 관해서도 동일한 구조로 데이터가 의견 DB(33)에 기억되어 관리된다.
도 4에 도시하는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91)의 의견 일람(912)에 있어서, 교사(1t)에 의한 임의로 학생 C를 선택한 경우를 가지고 설명한다.
이 데이터의 예에 있어서, 학생 ID "ST001"의 학생 A는 과제에 대하여 "찬성"이며, "곤란할 때에는 도와야한다"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도 10a의 단계 S72). 학생 A는, 교사(1t)에 의하여 대표 발표자로서 지정되었기 때문에("*a: 지정시": 도 6의 공유 화면(8)의 표시 내용(93) 및 도 10a의 단계 S55), 학생 A의 의견 플래그에는 "9"가 설정된다(도 10a의 단계 S56).
학생 A는 대표 발표자이기 때문에, 학생 A에 대한 처리에서는, "*b: 누름시" 및 "*c: 재표시시"의 사건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학생 A의 의견 플래그가 변경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편의상 "/"로 나타낸다. "/"는 의견 플래그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나타낼 뿐이며, 의견 플래그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c: 재표시시"에는, 학생 A의 의견 플래그는, "*a: 지정시"에 설정된 "9"를 보인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도 9)에는, 학생 A의 의견은 마스킹되어, 다음 발표자 후보로부터 면제된다.
교사 단말용 처리부(50)는, 교사(1t)에 의하여 임의로 선택된 학생 C의 지정에 따라서, 지정된 학생 C와 동일 의견이며, 또한 의견 플래그의 값 "9", "1", "2" 이외의 것인 학생 B∼E의 의견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한다(도 10b의 단계 S57). 학생 A∼E 이외의 학생 F를 포함하는 다른 학생에게서는, 의견 플래그는 미설정을 나타내는 "-"를 보인다.
학생 ID "ST002"의 학생 B는, 과제에 대하여 "찬성"이며, "이러한 것은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도 10a의 단계 S72). 학생 B는, 이 의견에 의해,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학생 C와 같은 의견이라고 판단되어, 학생 B의 의견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다(*a: 지정시: 도 10b의 단계 S57).
또한, 학생 B는, 학생 C와 같은 의견이라고 판단됨으로써 표시된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에서,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선택한다(*b: 누름시).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해서, 학생 B의 의견 플래그가 "1"로 설정된다(도 10b의 단계 S75). 공유 화면(8)에 의견 일람(912)이 재표시될 때에는(*c: 재표시시), 학생 B의 의견 플래그는 "1"을 보인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도 9)에는,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학생 B의 의견은 마스킹되어(도 10b의 단계 S60), 다음 발표자 후보로부터 면제된다. 학생 B의 발표 면제 횟수가 카운트업된다.
학생 ID "ST003"의 학생 C는 과제에 대하여 "찬성"이며, "모두가 도우면, 간단하게 없어질 것 같다"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도 10a의 단계 S72). 교사(1t)에 의해서 지정된 학생 C의 의견 플래그는 "0"으로 설정된다(*a: 지정시: 도 10b의 단계 S57).
또한, 학생 C는, 학생 C의 학생 단말(3)에 표시된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에서,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선택한다(*b: 누름시).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해서, 학생 C의 의견 플래그가 "1"로 설정된다(도 10b의 단계 S75). 공유 화면(8)에 의견 일람(912)이 재표시될 때에는(*c: 재표시시), 학생 C의 의견 플래그는 "1"을 보인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도 9)에는,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학생 C의 의견은 마스킹되고(도 10b의 단계 S60), 다음 발표자후보로부터 면제된다. 학생 C의 발표 면제 횟수가 카운트업된다.
학생 ID "ST004"의 학생 D는 과제에 대하여 "찬성"이며, "매립에 이용하면 좋다"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도 10a의 단계 S72). 학생 D는, 이 의견에 의해,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학생 C와 동일 의견이라고 판단되어, 학생 D의 의견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다(*a: 지정시: 도 10a의 단계 S55).
또한, 학생 D는, 학생 D가 학생 A와 동일 의견이라고 판단됨으로써 표시된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6)에서, 공유 화면(8)의 확대 표시 동안, 어느 버튼(243∼245)도 선택하지 않았다(*b: 누름시).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해서, 학생 D의 의견 플래그가 소거되어, 설정 없음을 나타내는 "-"(null)으로 변경된다(도 10b의 단계 S75).
학생 D의 경우, 의견 플래그가 "1"이 아니기 때문에,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한 학생 D에 대한 판정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그 후, 공유 화면(8)에 의견 일람(912)이 재표시될 때에는(*c: 재표시시), 학생 D의 의견 플래그는 설정 없음을 나타내는 "-"(null)을 보인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도 8)에는, 학생 D의 의견 플래그는 마스킹되지 않는다(도 10b의 단계 S60). 학생 D는 다음 발표자 후보가 된다.
학생 ID "ST005"의 학생 E는 과제에 대하여 "찬성"이며, "피차일반이다. 어디라도 지진으로 인한 재해는 일어날 수 있다"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도 10a의 단계 S72). 학생 E는, 이 의견에 의해, 교사 단말용 처리부(50)에 의해서, 학생 A와 동일 의견이라고 판단되어, 학생 E의 의견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된다(*a: 지정시: 도 10b의 단계 S57).
또한, 학생 E는, 학생 E가 학생 C와 같은 의견이라고 판단됨으로써 표시된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에서, "보충하고 싶다" 버튼(244)을 선택한다(*b: 누름시). 학생 단말용 처리부(70)에 의해서, 학생 E의 의견 플래그가 "2"로 설정된다(도 10b의 단계 S75).
학생 E의 의견 플래그는 "1"을 보이지 않는, 즉, 학생 E는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누르지 않았기 때문에, "발표 면제 횟수"의 카운트업(도 10b의 단계 S77)은 억제되어 실행되지 않는다.
그 후, 공유 화면(8)에 의견 일람(912)이 재표시될 때에는, 학생 E의 의견 플래그는 "2"를 보인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에는(*c: 재표시시), 학생 E의 의견은 마스킹되지 않는다(도 10b의 단계 S60). 학생 E는 다음 발표자 후보가 된다.
학생 ID "ST006"의 학생 F는 과제에 대하여 "반대"이며, "장소의 문제가 있다. 남아 있는 장소가 없을 것 같다."라고 의견을 내고 있다(도 10a의 단계 S72). 학생 F는, 이 의견에 의해 학생 A와는 동일 의견이 아니라고 판단되어, 의견 플래그에는 값이 설정되지 않고, 즉, 학생 F의 의견 플래그는 미설정의 상태를 유지한다(*a: 지정시: 도 10a의 단계 S55).
또한, 학생 F의 의견은, 학생 C와는 동일 의견이 아니라고 판단됨으로써, 학생 C에 대한 처리에서는, *b: 누름시의 사건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학생 F의 의견 플래그가 변경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c: 재표시시"에는, 학생 F의 의견 플래그는 미설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에는(*c: 재표시시), 학생 F의 의견은 마스킹되지 않는다(도 10b의 단계 S60).
학생 G 및 학생 H에 대한 처리는 학생 F의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에 있어서("*c: 재표시시"), 학생 G 및 학생 H의 의견은 마스킹되지 않는다(도 10b의 단계 S60).
결과, 학생 C와 동일 의견의 그룹(학생 A∼E) 중, 대표 발표자인 학생 A와, 학생 B 및 C를 제외하고, 학생 D 및 E가 다음 발표자 후보로서,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도 9)에는, 용이하게 판별하기 쉽도록 표시된다.
공유 화면(8)의 재표시시(도 9)에, 학생 A 다음에 학생 E가 대표 발표자로서 지정되어, 전 대표 발표자인 학생 A의 의견에 대하여 보충하는 경우, 발표자 면제 횟수를 미리 결정된 비율에 따른 값으로 변경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율이 "50%"이라면, 학생 E의 발표자 면제 횟수 "2"는 "1"로 변경된다. 또한, 학생 E가 전 대표 발표자의 의견과는 다른 의견을 발표한 경우, 미리 결정된 비율 "90%"으로 하여도 좋다. 즉, 보충하는 의견, 다른 의견 등의 의견의 종별에 따른 비율로 발표자 면제 횟수를 감산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대표 발표자의 의견에 대하여,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에 있어서, "완전히 동일하다" 버튼(243)을 누른 경우는, 발표자 면제 횟수를 "20%" 삭감하고, "보충하고 싶다" 버튼(244)을 누른 경우는, 발표자 면제 횟수를 "50%" 삭감하고, "의견이 다르다" 버튼(235)을 누른 경우 및 어느 버튼(243∼235)도 누르지 않은 경우는, 발표자 면제 횟수를 "90%" 삭감하는 방식으로 삭감 비율을 지정한 삭감 비율 가중의 구조를, 도 10a의 단계 S56에서의 처리에 구비하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전 대표 발표자인 학생 A의 의견에 대하여 보충하는 학생 E가 교사(1t)에 의해서 지정된 경우(도 10a의 단계 S53), 도 12에 도시하는 의견 DB(33)를 참조하면, 학생 E와 동일 의견이라고 간주한 그룹에 속하고, 또한 "의견 플래그"가 "9", "1" 및 "2" 이외의 것을 보이는 학생은 학생 D이며(도 10a의 단계 S54), 동일 그룹 내에는 "9", "1", "2" 이외의 "의견 플래그"를 갖는 학생은 학생 E와 학생 D만으로 된다.
학생 DB(31)(도 11)가 참조됨으로써, 학생 D의 발표 면제 횟수"0", 학생 E의 발표 면제 횟수 "2"이기 때문에, 최대 발표 면제 횟수를 갖는 학생 E가 대표 발표자로서 특정된다(도 10a의 단계 S55). 의견 DB(33)의 학생 E의 현재의 의견 플래그 "2"를 기억부(130)의 작업 영역에 일시적으로 기억하여, "9"로 설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학생 D만의 학생 단말(3)에 동일 의견 통신 화면(24)(도 8)이 표시된다.
상술한 삭감 비율 가중의 구조를 갖춘 경우, 학생 DB(31)의 학생 E의 발표 면제 횟수를 리셋하는 대신에, 작업 영역에 일시적으로 기억한 의견 플래그 "2"(즉, "보충하고 싶다")에 대응하는 삭감 비율 "50%"에 기초하여, 학생 DB(31)의 학생 E의 발표 면제 횟수를 "2"에서 "1"로 삭감한다(도 10a의 단계 S56).
이 예에서는, 의견 플래그와 발표자 면제 횟수의 삭감 비율은 다음과 같이 대응시킨다. ·의견 플래그 "1"(즉, "완전히 동일하다")에 대하여 삭감 비율 "20%"이 대응한다. ·의견 플래그 "2"(즉, "보충하고 싶다")에 대하여 삭감 비율 "50%"이 대응한다. · 의견 플래그 "-"(즉, "의견이 다르다" 또는 버튼 누름 없음)에 대하여 삭감 비율 "90%"이 대응한다.
또한, 발표자 면제 횟수는 이러한 발표자 면제 횟수의 삭감 비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업 과목이나 내용에 따라서, 교사(1t)에 의해서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래스의 학생수가 다수(예컨대, 40명) 있었던 경우에는, 교사(1t)는, 같은 의견의 학생(3c)끼리를 용이하게 그룹화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교사(1t)는, 공유 화면(8)의 의견 일람(912)에서 분할된 40명 학생의 각 학생(3s)의 의견을 임의로 한 명 한 명씩 발표하게 하거나, 또는 각 학생(3s)의 의견을 낭독하게 한다. 각 학생(3s)의 의견 내용을 파악하는 것만으로 시간을 낭비해 버리기 때문에, 수업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학생 전체의 의견을 모으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교사(1t)가 실제로 학생(3s)을 지정하여 발표시키는 경우, 학생(3s)이 "XX씨와 같은 의견입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어, 여러 가지 의견을 다루려고 한 경우에 시간이 쓸데없이 지나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발언을 하는 학생(3s) 중에는, 학생(3s)이 주안점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XX씨와 같은 의견입니다"라고 진술함으로써, 학생(3c)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는 것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표자 선정 지원 처리를 적응한 경우에는, 발표한 의견에 관한 선택지로부터 같은 의견으로 하는 항목을 선택한 횟수가 최대가 되는 학생(3s)을 대표 발표자로서 특정한다. 따라서, 학생(3c)이 안일하게 발표 대표자와 같은 의견이라고 하여 발표를 피하고자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대표 발표자와 "같은 의견"인 학생(3s)의 의견에, 예컨대 마스킹을 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교사(1t)는 "같은 의견"인 학생(3s)을 다음 발표자 후보로부터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대표 발표자의 의견에 보충하고 싶다고 하는 학생(3s)의 의견에 보조 표시를 하기 때문에, 교사(1t)는 다음에 발표할 학생(3s)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1t)는 수업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여러 가지 의견을 갖는 복수의 학생(3s)을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된 복수의 의견에 있어서, 지정된 의견과 동일 의견 중에서, 학생이 과거에 발표를 면제 받은 횟수에 기초하여 하나의 의견을 선택하여 대표 발표자를 결정함으로써, 학생이 의견 발표를 계속해서 면제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에 정리한다.
(1) 학생 단말(3)에서 입력된 의견을 서버(100)(또는 교사 단말(1))에 의하여 집약하여 스크린(공유 화면(8))에 표시하고, 교사(1t)의 조작에 의해서 지정된 의견에 관해서 학생(3s)이 발표하는 수업 형태가 있다.
(2) 상기 (1)과 같은 수업 형태에서는, 표시된 의견의 각각에 관해서 학생(3s)을 발표하게 하려면 시간적으로 효율이 나쁘다.
(3) 상기 (2)에서, 의견이 비슷한 학생(3s)이 여러 명 존재하는 경우는, 여러 명(3s) 중 한 명(3s)에게 대표하여 발표하게 하고, 그 이외의 학생(3s)에게는 보충점을 발표하게 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다.
(4) 상기 (3)의 경우, 대표 발표자 이외의 학생(3s)이, 실제로는 상이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표 발표자와 "같은 의견입니다"라고 진술하여, 발표를 피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5)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4)를 감안하여, 상기 (3)과 같은 방법을 행하는 경우에, 학생(3s)이 안일하게 대표 발표자와 "같은 의견입니다"라고 하여 발표를 피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인용된 모든 예와 조건적 언어는, 기술을 성공시키기 위하여 발명자에 의하여 기여된 발명 및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독자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교육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 및 조건으로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의 이러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우수성 및 열등성을 보여주는 것에 관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기에 다양한 변경, 대체, 및 개조가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로서,
    복수 단말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의견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표시부에 표시된 의견으로부터 분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이 지정되면,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 및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선택부에 의해서 선택된 의견 이외의 의견이 입력된 단말이, 선택된 의견에의 대응에 관련된 복수 항목의 각각이 선택 가능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지시를 하도록 구성된 지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복수 단말의 각각에 있어서 과거에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에 기초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이 입력된 단말 중에서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여, 특정된 단말에 입력된 의견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인 것인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항목 각각이 선택 가능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를, 의견을 입력한 사람마다 카운트하도록 구성된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는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의견을 입력한 사람에 의하여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가 리셋되는 것인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의견을 입력한 사람에 의하여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는, 미리 결정된 삭감 비율에 의하여 삭감되는 것인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5.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으로서,
    복수 단말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의견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부;
    표시부에 표시된 의견으로부터 분류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이 지정되면,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의견 이외의 의견이 입력된 단말이, 선택된 의견에의 대응에 관련된 복수의 항목의 각각이 선택 가능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지시를 하도록 구성된 제1 지시부;
    제1 지시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 입력 단말이,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게 하고,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를 의견을 입력한 사람마다 카운트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지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에 기초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이 입력된 단말 중에서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여, 특정된 단말에 입력된 의견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 기준인 것인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6.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으로서,
    복수 단말의 각각으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의견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부에 표시된 의견으로부터 분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 중 특정 그룹이 지정되면,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 중 어느 하나를 미리 결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의견 이외의 의견이 입력된 단말이, 선택된 의견에의 대응에 관련된 복수 항목의 각각이 선택 가능한 화면을 표시하게 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복수 단말의 각각에 있어서 과거에 상기 복수의 항목 중 하나의 항목이 선택된 횟수에 기초하여, 특정 그룹에 속하는 의견이 입력된 단말 중에서 어느 한 단말을 특정하여, 특정된 단말에 입력된 의견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인 것인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KR20140059772A 2013-06-12 2014-05-19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KR201401450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4009A JP6111883B2 (ja) 2013-06-12 2013-06-12 発表者選定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JP-P-2013-124009 2013-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066A true KR20140145066A (ko) 2014-12-22

Family

ID=52019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9772A KR20140145066A (ko) 2013-06-12 2014-05-19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61149B2 (ko)
JP (1) JP6111883B2 (ko)
KR (1) KR201401450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89B1 (ko) * 2021-03-05 2021-09-27 김우식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8595B2 (ja) * 2015-02-23 2020-03-1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6617412B2 (ja) * 2015-02-23 2019-12-11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6519249B2 (ja) * 2015-03-16 2019-05-29 富士通株式会社 回答支援プログラム、回答支援装置、及び回答支援方法
JP6447283B2 (ja) * 2015-03-19 2019-01-09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04766255B (zh) * 2015-03-30 2018-04-06 济南大学 一种支持终端的课程匹配及支持互动管理系统及方法
CN104900100B (zh) * 2015-06-25 2019-02-22 范红 一种教育学素质培养导学装置
KR101713982B1 (ko) * 2016-05-30 2017-03-09 더에이치알디지식과학습주식회사 학습 프로그램용 포스트잇 운영 시스템
CN105913702A (zh) * 2016-07-04 2016-08-31 南阳理工学院 一种行政法教学系统
JP6828780B2 (ja) * 2019-08-19 2021-02-10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0570699B (zh) * 2019-08-27 2021-11-02 格局商学教育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直播教学的智能客户管理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858A (ja) * 1988-09-02 1990-03-07 Hitachi Ltd 電話会議話者選択方式
JPH08274888A (ja) 1995-03-31 1996-10-18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多地点間会議システムの議事進行制御方法
EP1297403A4 (en) * 2000-05-01 2006-12-20 Invoke Solutions Inc INTERACTIONS BETWEEN MACROGROUPES
US6599130B2 (en) * 2001-02-02 2003-07-29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Iterative video teaching aid with recordable commentary and indexing
US20030034999A1 (en) * 2001-05-31 2003-02-20 Mindspeak, Llc Enhancing interactive presentations
JP2003153224A (ja) * 2001-11-13 2003-05-23 Hitachi Ltd オンライン会議システム
US20040139156A1 (en) * 2001-12-21 2004-07-15 Matthews W. Donald Methods of providing direct technical support over networks
US20040023195A1 (en) * 2002-08-05 2004-02-05 Wen Say Ling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through a role-playing game
US7357640B2 (en) * 2003-07-02 2008-04-15 Drb Lit Ltd. Lock-In Training system
JP2006092364A (ja) 2004-09-24 2006-04-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会議支援方法および電子会議支援システム
JP2006345250A (ja) * 2005-06-09 2006-12-21 Fujitsu Ltd 発言者決定方法
US20070020603A1 (en) * 2005-07-22 2007-01-25 Rebecca Woulfe Synchronou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ance education
US20070122789A1 (en) * 2005-11-29 2007-05-31 Yoo Sung W Context aware tutorial
US8021164B2 (en) * 2005-12-23 2011-09-20 Allen Epstein Method for teaching
US20110300527A1 (en) * 2005-12-23 2011-12-08 Allen Epstein Teaching method
JP2007325063A (ja) * 2006-06-02 2007-12-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会議システム
JP4983465B2 (ja) * 2007-07-30 2012-07-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遠隔会議システム
JP2009098740A (ja) 2007-10-12 2009-05-07 Shikoukan Inc 討議評価支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システム
JP4985370B2 (ja) * 2007-12-06 2012-07-25 日本電気株式会社 遠隔講義システム
KR20090127539A (ko)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토론방식을 이용하는 인터넷 어학학습 시스템 및 방법
JP4763028B2 (ja) * 2008-08-28 2011-08-31 みずほ情報総研株式会社 討論支援システム、討論支援方法及び討論支援プログラム
US20120231441A1 (en) * 2009-09-03 2012-09-13 Coaxis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content collaboration
JP5432805B2 (ja) * 2010-04-05 2014-03-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発言機会均等化方法、発言機会均等化装置及び発言機会均等化プログラム
WO2013016719A1 (en) * 2011-07-28 2013-01-31 School Improvement Network, Llc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GB201215377D0 (en) * 2012-08-21 2012-10-10 Colby Mark A Collabr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89B1 (ko) * 2021-03-05 2021-09-27 김우식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41101A (ja) 2014-12-25
US9761149B2 (en) 2017-09-12
JP6111883B2 (ja) 2017-04-12
US20140370483A1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5066A (ko)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US11217109B2 (en) Apparatus,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uthoring and managing lesson plans and course design for virtual conference learning environments
JP6734852B2 (ja) イベントを追跡し、仮想会議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Stothard et al. Taxonomy of interactive computer-based visualisation systems and content for the mining industry–part 2
US201501212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CN104221047A (zh) 用于共享演示数据和注释的方法和设备
US20140244534A1 (en) Career development workflow
JP6111882B2 (ja) 発表者絞り込み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282090A1 (en)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Devices
JP6668595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5338612B2 (ja) 電子会議システム
Kassis et al. Discover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for communication on active highway construction sites
JP6432128B2 (ja) 評価方法、プログラム、装置及びシステム
CN112634099A (zh) 基于大数据的实践管理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9219677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
Egusa et al. Improving the Usability of Manga-on-a-Tablet for Collaborative Learning.
JP2008165669A (ja) コメント情報共有方法
US201303323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jury selection and consulting
JP739451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Denkl et al. Avoiding future fatal incidents through applying lessons from past knowledge
Rossi et al. LEAP Virtual Obeya
Gilbert et al. Usability Testing
Chiu Telepinup: Dynamic remote interaction in design reviews
Ashdown Implementation of Asymmetric Distributed Collab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9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18

Effective date: 2018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