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789B1 -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789B1
KR102305789B1 KR1020210029316A KR20210029316A KR102305789B1 KR 102305789 B1 KR102305789 B1 KR 102305789B1 KR 1020210029316 A KR1020210029316 A KR 1020210029316A KR 20210029316 A KR20210029316 A KR 20210029316A KR 102305789 B1 KR102305789 B1 KR 102305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ervice server
memo
memo pa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식
Original Assignee
김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식 filed Critical 김우식
Priority to KR102021002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메시지와 사진을 포함한 메모 정보를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들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과 관리자들 사이에 상기 디지털 보드가 공유될 수 있으며, 관리자와 사용자들 사이에 쌍방향 소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메모 정보들을 사용자 정보와 해시태그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의 색상, 모양, 크기를 다르게 생성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고 상기 그룹에 따라 검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가능하고 평가나 피드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Digital notepa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입력한 메모 정보를 디지털 메모장들로 각각 생성하고,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단일의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간에 공유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종이로 이루어진 수첩이나 탈부착 가능한 메모지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한 내용을 기록하고, 탈부착 가능한 메모지는 기록 후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의 탈부착 가능한 메모지는 뒷면에 접착제가 붙어 있어서 쉽게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형태의 수첩이나 메모지는 기록 내용을 수정하거나 변경할 경우 새로 교체해야 하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탈부착 가능한 메모지는 탈부착을 반복시 접착력이 감소되어 분실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 가능한 스마트 단말기가 널리 보급화되면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에 메모 내용을 기록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94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다수의 사용자들끼리 공유 및 소통이 가능한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사용자들이 입력한 상기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는, QR 코드와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의 색상, 모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보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을 확대 표시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확대 표시된 디지털 메모장에 공감도를 표시가능하도록 공감 선택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에서 공감 선택 버튼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들끼리 클러스터링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디지털 보드에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디지털 보드에 상기 메모 정보를 추가 입력가능하도록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사용자들이 입력한 상기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의 색상, 모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보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을 확대 표시하고, 상기 확대 표시된 디지털 메모장에 공감도를 표시가능하도록 공감 선택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에서 공감 선택 버튼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들끼리 클러스터링하고, 상기 디지털 보드에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메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에 대한 앱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 상기 앱을 설치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사용자들이 입력한 상기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은,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상기 서비스 서버와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입력된 상기 복수의 메모 정보들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메시지와 사진을 포함한 메모 정보를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들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들과 관리자들 사이에 상기 디지털 보드가 공유될 수 있으며, 관리자와 사용자들 사이에 쌍방향 소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상기 복수의 메모 정보들을 사용자 정보와 해시태그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의 색상, 모양, 크기를 다르게 생성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고 상기 그룹에 따라 검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가능하고 평가나 피드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20), 관리자 단말기(3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20)과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와 무선 통신을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과 상기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각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등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후술하는 관리자가 주최 또는 발표하는 포럼, 학술대회, 온라인 설명회 등에 참여하는 참여자나 구성원, 유튜브 생중계를 시청하는 시청자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은 각각 메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1)와, 상기 서비스 서버(1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디지털 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입력부(21)는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 등 메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는 상기 디지털 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2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사람이며, 포럼, 학술대회, 온라인 설명회 및 유튜브 생중계 등의 발표자일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는 관리자가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해시 태그를 검색하거나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디지털 메모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31)와, 상기 서비스 서버(10)가 제공하는 디지털 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입력부(31)는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입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2)는 상기 디지털 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미리 설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 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이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대형 스크린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상기 서비스 서버(10)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와 유,무선 통신을 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10)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30)로부터 상기 디지털 보드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와 별도로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화면을 동기화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10)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20)에 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의 접속 방법을 전송한다.(S1)
여기서,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의 접속 방법은,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 접속 설명을 포함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웹 페이지는,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제작된 콘텐츠이다.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는 QR 코드와 URL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한다.(S2)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의 디스플레이부(22)에 메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S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1)는,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입력창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소속,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시태그는 복수개가 미리 설정되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추가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표시되는 입력 항목이나 개수 등을 관리자가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에 관리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들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를 포함하는 메모 정보를 입력한다.(S4)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로부터 입력된 메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 정보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메모장(M)을 생성한다.(S5)
이 때,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M)을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M)의 색상, 모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디지털 보드에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이 부착된 상태로 표시될 때, 상기 디지털 메모장(M)의 색상에 따라 서로 다른 그룹을 시각적으로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한다.(S6)
상기 디지털 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30) 등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형성된 콘텐츠이다.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은 상기 디지털 보드에 무작위로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정렬 방식에 따라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 중 일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추후 사용자나 관리자가 선택하여 확대 표시될 수 있으므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디지털 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지털 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에 모두 전송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에 상기 디지털 보드가 각각 표시된다.(S7)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32)에 표시된 디지털 보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0)에 동기화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수의 사용자들이나 관리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함께 보고, 상기 디지털 보드를 함께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의 입력부(31)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 중 어느 하나를 클릭이나 터치하여 선택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 중에서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M)을 상기 디지털 보드의 중앙부에 확대하여 표시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된 디지털 보드에서 어느 하나의 디지털 메모장(M)을 직접 클릭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사용자가 클릭한 디지털 메모장(M)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22)에만 확대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보드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디지털 보드의 검색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보드는 디지털 메모장들(M) 외에 로고, 검색 메뉴, 공감 선택 버튼, QR 코드, 초기화 버튼 및 종료 버튼 등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로고는,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운영하는 업체나 기관 등을 나타내는 문자나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검색 메뉴는,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M)에 입력된 메시지 내용에 따라 검색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로고를 클릭시 상기 검색 메뉴가 나타나도록 설정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자가 상기 디지털 보드에 표시된 상기 로고를 클릭하면, 상기 디지털 보드에 상기 검색 메뉴가 표시된다.
상기 관리자는 상기 검색 메뉴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원하는 해시 태그를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들(M)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시 태그에 따라 디지털 메모장들(M)의 색상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관리자가 검색한 해시 태그에 해당하는 디지털 메모장들(M)만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가 상기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면, 기존 화면으로 복구될 수 있다.
또한, 더 이상 검색을 원하지 않을 때, 상기 종료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검색 메뉴가 사라지고 상기 로고가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은, 상기 디지털 메모장(M)마다 구비되어, 공감도를 표시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이 클릭된 디지털 메모장들(M)끼리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나 관리자는 상기 확대 표시된 디지털 메모장(M)의 공감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공감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의 클릭 개수가 많은 디지털 메모장(M)을 따로 분류하여, 추후 공감 선택이 많이 된 디지털 메모장(M)을 따로 보여주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QR 코드는, 상기 디지털 보드의 하부 일측에 표시되고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나 상기 관리자가 상기 메모 정보를 추가로 입력시 상기 QR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QR코드 대신 URL 등을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각 발송한 메시지와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M)이 디지털 보드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공유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사용자들간에 쌍방향 소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해시 태그나 공감 선택 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1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에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전송하고,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메모 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서비스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20)에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에 대한 앱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앱 스토어를 통해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에 대한 앱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20)에 설치하여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서비스 서버 20: 사용자 단말기
3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0)

  1.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사용자들이 입력한 상기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의 색상, 모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보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을 확대 표시하고,
    상기 디지털 보드에 로고, 검색 메뉴, 공감 선택 버튼, QR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검색 메뉴는,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 보드에 표시된 상기 로고를 클릭하면 상기 디지털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관리자가 상기 디지털 보드에서 상기 검색 메뉴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에 입력된 메시지 내용에 따라 검색가능하며,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은, 사용자나 관리자가 클릭하여 공감도를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디지털 메모장마다 구비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에서 공감 선택 버튼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들끼리 클러스터링하여 표시하고,
    상기 QR 코드는, 상기 디지털 보드의 하부 일측에 표시되고 상기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의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나 관리자가 상기 메모 정보를 추가로 입력시 사용하는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페이지의 주소는, QR 코드와 URL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에 무선 통신을 통해 디지털 메모장 서비스에 대한 앱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에 상기 앱을 설치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 메시지, 사진 및 해시태그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메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사용자들이 입력한 상기 메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모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해시태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클러스터링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와 상기 사진을 포함한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이 부착된 디지털 보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디지털 보드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메모장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그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메모장의 색상, 모양,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 보드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보드에 부착된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을 확대 표시하고,
    상기 디지털 보드에 로고, 검색 메뉴, 공감 선택 버튼, QR 코드를 표시하고,
    상기 검색 메뉴는, 관리자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디지털 보드에 표시된 상기 로고를 클릭하면 상기 디지털 보드에 표시되며, 상기 관리자가 상기 디지털 보드에서 상기 검색 메뉴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 메모장들에 입력된 메시지 내용에 따라 검색가능하며,
    상기 공감 선택 버튼은, 사용자나 관리자가 클릭하여 공감도를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디지털 메모장마다 구비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디지털 메모장들 중에서 공감 선택 버튼이 선택된 디지털 메모장들끼리 클러스터링하여 표시하는 디지털 메모장 운영 방법.
  10. 삭제
KR1020210029316A 2021-03-05 2021-03-05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30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316A KR102305789B1 (ko) 2021-03-05 2021-03-05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316A KR102305789B1 (ko) 2021-03-05 2021-03-05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789B1 true KR102305789B1 (ko) 2021-09-27

Family

ID=7792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316A KR102305789B1 (ko) 2021-03-05 2021-03-05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7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65A1 (ko) * 2022-10-05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29U (ko) 2010-03-30 2011-10-06 고마음 접착식 필기 메모 노트
KR20120137527A (ko) * 2011-04-05 2012-12-24 주식회사 삼성경제연구소 네트워크 기반의 토의 시스템 및 토의 방법
KR20140145066A (ko) * 2013-06-12 2014-12-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KR20200098086A (ko) * 2019-02-11 2020-08-20 이혜영 프레젠테이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29U (ko) 2010-03-30 2011-10-06 고마음 접착식 필기 메모 노트
KR20120137527A (ko) * 2011-04-05 2012-12-24 주식회사 삼성경제연구소 네트워크 기반의 토의 시스템 및 토의 방법
KR20140145066A (ko) * 2013-06-12 2014-12-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발표자 선정 지원 장치, 발표자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발표자 선정 지원 방법
KR20200098086A (ko) * 2019-02-11 2020-08-20 이혜영 프레젠테이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65A1 (ko) * 2022-10-05 2024-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2943B (zh) 用于基于角色显示Web会议的文档再现的方法和系统
JP5369702B2 (ja) 共有情報表示装置、共有情報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315054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28803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0050800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meetings for providing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8370323A (zh) 经由网络进行的会议
CN105100679B (zh) 提供协作服务的服务器和方法及接收协作服务的用户终端
JP2014238848A (ja) 移動端末の動作方法
CN104106034A (zh) 用于将应用事件与电子设备的联系人对照的装置和方法
JP2015069284A (ja) 画像処理装置
JP6851972B2 (ja)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
US10965480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s for recording a meeting
US11392272B2 (en)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configured to render suggested graphical objects
US118613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and retaining application data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with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US8228825B2 (en) Delivering unified user experience by automatically teaming up information appliances with general purpose PC through internet
JP2015230512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画面作成支援システム
US20150348114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305789B1 (ko) 디지털 메모장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2009187094A (ja) 会議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17033103A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それを含むデジタルサイネージ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商品広告または役務広告の提供方法
Wakatsuki et al. Development of web-based remote speech-to-text interpretation system captiOnline
JP2015162149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1065288A (ja) 会合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298343B2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for individual steps of executing application
JP2017091559A (ja) 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