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713A -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 Google Patents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713A
KR20140139713A KR1020130060064A KR20130060064A KR20140139713A KR 20140139713 A KR20140139713 A KR 20140139713A KR 1020130060064 A KR1020130060064 A KR 1020130060064A KR 20130060064 A KR20130060064 A KR 20130060064A KR 20140139713 A KR20140139713 A KR 2014013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trusion
slider
rota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272B1 (ko
Inventor
류부열
최필선
이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272B1/ko
Priority to US14/059,257 priority patent/US9067488B2/en
Priority to CN201310547161.8A priority patent/CN104175866B/zh
Publication of KR2014013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회전돌기를 이용하여 주유건의 직경에 따라 스톱퍼의 회전을 잠금 혹은 잠금해제시킴으로써, 휘발유가 디젤 차량의 연료탱크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Filler neck device for preventing fuel from mixing}
본 발명은 디젤 차량에 가솔린 연료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마련되고, 상기 연료탱크는 주유관과 연결되고, 주유관 끝에 연료 주유구를 지칭하는 차량 연료 필러 넥(Fuel Filler Neck)이 마련되어 연료를 급유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 필러 넥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연료 주유건은 가솔린 또는 디젤 연료에 따라 그 직경이 달라지고, 연료의 주유 속도 또한 달라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디젤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유건의 직경은 가솔린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유건의 직경보다 크다.
이에 따라, 디젤 차량 및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유건의 직경에 대응하여 디젤 차량의 연료 주유구 직경이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유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종래에는 주로 대형차에 디젤 연료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승용차가 보편화되는 추세이며, 고유가로 인한 자가 주유도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가솔린 및 디젤연료에 따른 연료 주유건 및 연료 주입구의 직경 차이로 인해 디젤 차량용 연료 주유건이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입구에 삽입이 불가능하지만, 가솔린 차량용 연료 주유건이 디젤 차량의 연료 주입구에 삽입가능하여 주유 실수로 가솔린 연료를 디젤 차량에 급유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솔린 연료가 디젤 차량의 연료 계통에 유입된 상태에서 디젤 엔진을 구동하게 되면 운행 중 시동이 꺼져서 차량이 갑자기 멈추게 되는 큰 일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솔린 연료(휘발유)로 인한 기계적 마모를 가져올 수밖에 없어 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에는 연료와 관련된 부품들을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회전돌기를 이용하여 주유건의 직경에 따라 스톱퍼의 회전을 잠금 혹은 잠금해제시킴으로써, 휘발유가 디젤 차량의 연료탱크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는 연료주입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고, 주유건의 삽입으로 주유건과 접촉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돌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돌기의 작동에 따라 걸림 해제되어 상하이동가능한 슬라이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힌지구조로 장착되어 하우징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플래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힌지구조로 장착되고, 플래퍼의 회전을 잠금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스톱퍼; 및 상기 슬라이더와 스톱퍼를 연결하는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돌기는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돌기부; 상기 상부돌기부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하부연결부; 및 상기 하부연결부의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더의 걸림홀에 삽입 체결로 슬라이더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걸림턱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돌기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돌출길이가 커짐에 따라 디젤 주유건의 삽입 시 주유건과의 접촉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걸림턱이 슬라이더의 걸림홀에서 해제됨에 따라 플래퍼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돌기부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봤을 때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돌기부의 상부면이 일정한 곡률의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주유건과 균일하게 접촉가능하여 주유건의 삽입력이 상부돌기부에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ㄷ자 단면 형상의 삽입홈을 가지는 회전돌기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돌기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돌기가 회전돌기 삽입부에 삽입 안착됨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판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돌기는 상단부가 판스프링 고정부에 걸려 고정되는 판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입구부; 상기 입구부의 하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하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서 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돌기의 힌지돌기를 고정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벽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하우징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외측면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스프링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을 통해 슬라이더의 힌지돌기와 스톱퍼의 힌지돌기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스톱퍼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젤 주유건을 삽입하는 경우에 회전돌기를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슬라이더가 회전돌기의 걸림턱에 의해 걸림 해제 상태로 되고,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스톱퍼 또한 잠금 해제 상태로 되며, 디젤 주유건을 삽입하여 플래퍼를 개방시킴으로써 디젤 연료를 주유할 수 있다.
하지만, 가솔린 주유건을 삽입하는 경우에 회전돌기의 움직임이 변동되지 않고, 슬라이더가 회전돌기의 걸림턱에 의해 걸림으로 잠금상태로 되며, 링크를 매개로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스톱퍼 또한 잠금상태로 되어, 플래퍼가 스톱퍼에 의해 걸려 개방되지 않음으로써 가솔린 주유건의 삽입 불가로 휘발유가 디젤 차량의 연료탱크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에서 가솔린 주유건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에서 디젤 주유건 삽입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가솔린 주유건(80) 삽입 시 플래퍼(7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가솔린 연료가 디젤차량의 연료탱크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는 디젤 차량의 연료 계통에 적용되며, 통상 가솔린 연료 주유건과 디젤 연료 주유건은 한 주유소에 배치되어 가솔린 차량 및 디젤 차량에 맞는 연료를 각각 주유해야 하지만, 주유자의 실수로 가솔린 주유건(80)을 디젤 차량에 연료주입구에 삽입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솔린 주유건(80)이 연료주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80)은 연료주입구에 삽입되지 못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디젤 주유건(81)만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연료주입구에 설치되며, 크게 하우징(20), 리테이너(10), 회전돌기(30), 슬라이더(40), 슬라이더 스프링(44), 링크(50), 스톱퍼(60), 플래퍼(70), 플래퍼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유건이 연료주입구에 삽입된다라고 하는 것은 상기한 구성에서 상하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플래퍼(70)를 밀어 개방시킴에 따라 하방향으로 삽입됨을 의미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중심축 방향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 관(tube) 구조이고, 내부에 승용디젤 차량용 주유건은 물론 상용디젤 차량용 주유건(승용디젤보다 직경이 더 큼)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우징(20)의 내경은 상용디젤 차량용 주유건의 외경보다 더 크다.
하우징(20)은 측면에 회전돌기(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지고, 개구부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20)의 측면 양측에 ㄷ자 단면형상의 회전돌기 삽입부(2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 삽입부(21)는 상단부가 개구되고, ㄷ자의 개방부가 하우징(20)의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며 회전돌기 삽입부(21)의 하단부와 측면이 막혀 있고, 내부에 삽입홈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회전돌기(30)의 힌지돌기(34)가 회전돌기 삽입부(21)의 상단부를 통해 삽입되고 회전돌기 삽입부(21) 내측 저면에 조성된 삽입홈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 측면의 개방부에 판스프링 고정부(22)가 양측의 회전돌기 삽입부(21)를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판스프링(35)의 상단부가 판스프링 고정부(22)에 상부에서 하방으로 끼워져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의 하단 일측에 스톱퍼 지지돌기부(23)가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스톱퍼 지지돌기부(23)의 하단에 힌지홀이 구비되어 힌지홀을 통해 스톱퍼(60)의 중심회전돌기(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하단 타측에 플래퍼 지지돌기부(24)가 돌출형성되고, 플래퍼 지지돌기부(24)의 하단에 힌지홀이 구비되어 힌지홀을 통해 플래퍼(70)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10)는 하우징(20)의 상단 내측에 삽입 장착되는 삽입부(11)와,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입구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는 외경이 하우징(20)의 내경과 대응되어 하우징(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 상단에서 플랜지부(13)가 외경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고, 플랜지부(13)에서 체결돌기가 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가 회전돌기 삽입부(21)의 상단부를 통해 끼워짐으로써 리테이너(10)를 하우징(20)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회전돌기(30)의 힌지축(72)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에 개구부가 하우징(20)과 동일하게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회전돌기(30)가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20) 내부에 측방향으로 돌출가능하다.
그리고, 리테이너(10)의 입구부(12)는 그 외곽부의 직경이 하우징(2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그 외곽부에서 삽입부(11)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내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서 주유건을 하우징(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 상단에서 플랜지부(13)가 외경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형성되고,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와 플랜지부(13)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14)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형성되어 리테이너(10)의 입구부(1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30)는 주유건의 삽입 시 주유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하우징(20)의 측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의 단면기준으로 대략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부돌기부(31)와, 상부돌기부(31)의 저면 중앙에서 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된 하부연결부(32)와, 하부연결부(32)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걸림턱(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돌기(30)의 상부돌기부(31)는 양쪽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힌지돌기(34)를 가지고, 힌지돌기(34)가 회전돌기 삽입부(21)에 삽입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30)의 상부돌기부(31)는 하우징(20) 및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20)의 내부에 측방향으로 삽입되고,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에서 개구된 면을 기준으로 그 안쪽에 위치하는 상부돌기부(31)의 앞쪽면은 상단부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주유건을 하우징(20)의 내부에 하방으로 삽입하면 회전돌기(30)의 상부돌기부(31)가 뒤쪽(하우징(20)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돌기부(31)의 앞쪽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의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며, 주유건이 상부돌기부(31)의 앞쪽면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접촉하여 주유건의 삽입력이 고르게 전달된다.
상기 회전돌기(30)의 하부연결부(32)는 후술할 슬라이더(40)와 판스프링(35)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은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 삽입되어 슬라이더(4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기(30)의 뒤쪽면은 수직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판스프링(35)과 접촉되어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판스프링(35)은 전체적으로 판 형태로 탄성을 가지고, 판스프링(35)의 상단부는 U자 형태로 구부려져 있어서 판스프링(35)의 상단부에 형성된 U자형의 걸림홈에 판 형태의 판스프링 고정부(22)가 삽입되도록 판스프링(35)의 상단부가 판스프링 고정부(22)에 걸려 있게 되고 리테이너(10)를 하우징(20)의 상단에 조립시 리테이너(10)의 측면에 위치한 플랜지부(13)에 의해 하방향 가압력을 받아 고정되며, 판스프링(35)의 하단부가 하우징(20)의 측방향으로 가압력을 받는 경우에 탄성에 의해 판스프링 고정부(22)를 중심으로 회전변형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40)는 원형의 링 형태로 하우징(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라이더 스프링(4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탄성지지된다.
이때, 슬라이더(40)는 리테이너(10)의 삽입부(11)와 하우징(2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고, 하우징(20)의 내벽에는 하우징 가이드(25)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더(4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이 원주방향으로 규제되는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40)의 일측에는 ㄱ자 형태의 스프링 고정돌기(41)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되고, 슬라이더 스프링(44)의 상단부가 스프링 고정돌기(41)의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고, 슬라이더 스프링(44)의 하단부가 하우징(20)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40)에는 걸림홀(42)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이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40)의 일 측면에는 힌지돌기(43)가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링크(50)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50)는 슬라이더(40)와 스톱퍼(60)를 연결하기 위한 부품이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바(BAR) 형태이고, 링크(5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힌지홈이 형성되어, 힌지홈을 통해 슬라이더(40)의 힌지돌기(43)와 스톱퍼(6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돌기(62)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이때, 링크(50)는 스톱퍼(60)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슬라이더(40)에 힘을 전달한다.
스톱퍼(60)는 대략 C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톱퍼(60)의 양측면에 힌지돌기(62)가 형성되어 하우징(20)의 스톱퍼 지지돌기부(23)에 형성된 힌지홈과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스톱퍼(60)의 내측에는 걸림홈(63)이 형성되어 플래퍼(70)가 걸림홈(63)에 삽입됨으로 플래퍼(7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래퍼(70)는 장방향의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연료주입구에서 주유건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문이며, 하우징(2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20)의 하단부를 개폐한다.
이때, 플래퍼(70)의 일단부는 스톱퍼(60)의 걸림홈(63)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플래퍼(70)의 타단부에 힌지부(71)가 형성되어 힌지부(71)에 형성된 힌지홀을 통해 하우징(20)에 힌지결합된다.
즉, 힌지축(72)이 플래퍼(70)의 힌지부(71)에 형성된 힌지홀과 하우징(20)의 플래퍼 지지돌기부(24)에 형성된 힌지홀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됨으로 플래퍼(70)의 타단부가 하우징(20)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72)에 플래퍼 스프링(73)이 삽입설치되고, 플래퍼 스프링(73)의 일단부가 하우징(20)에 고정되고 플래퍼 스프링(73)의 타단부가 플래퍼(70)에 고정되어, 플래퍼(70)가 플래퍼 스프링(7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닫힘방향)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1. 가솔린 주유건(80) 삽입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80)을 하우징(20)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에 회전돌기(30)의 최소 내경보다 주유건의 직경이 작기때문에 가솔린 주유건(80)이 회전돌기(30)를 밀지 못하고 그대로 플래퍼(70)까지 내려오게 된다.
이때, 가솔린 주유건(80)이 플래퍼(70)를 하방향으로 밀지만, 플래퍼(70)는 스톱퍼(60)의 걸림홈(63)에 잠긴 상태로 열리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퍼(70)가 열리려면 슬라이더(40)가 하강하여 스톱퍼(60)가 회전함으로 플래퍼(70)가 열릴 수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가솔린 주유건(80)이 삽입된 경우에는 회전돌기(30)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이 슬라이더(40)에 삽입된 상태로 걸려 있어서 슬라이더(40)가 하강하지 못하고, 링크(50)를 매개로 슬라이더(40)와 연결되는 스톱퍼(60) 역시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결국, 회전돌기(30)를 밀지 못하는 한 그것도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이 모두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서 동시에 분리되지 않는 한 슬라이더(40)는 하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고, 스톱퍼(60)도 링크(50)와 슬라이더(40)에 의해 잠긴 상태로 되기 때문에, 플래퍼(70)가 스톱퍼(60)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어 개방되지 못하며, 이로써 가솔린 주유건(80)이 플래퍼(70)에 의해 막혀 가솔린 연료가 디젤차량의 연료탱크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 디젤 주유건(81) 삽입 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디젤 주유건(81)을 하우징(20)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에 회전돌기(30)의 최소 내경보다 주유건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디젤 주유건(81)이 회전돌기(30)를 밀어 하우징(20)의 바깥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어서, 상기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이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서 벗어나 슬라이더(4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디젤 주유건(81)이 직하방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돌기(30)의 밀림상태가 유지되며 주유건이 플래퍼(70)에 닿아 플래퍼(70)를 하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더(40)의 잠금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링크(50)를 통해 슬라이더(40)와 연결되어 있는 스톱퍼(60) 또한 잠금 상태가 해제 되므로, 플래퍼(7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플래퍼(70)의 일단부가 스톱퍼(60)의 걸림홈(63)에 삽입된 상태에서 디젤 주유건(81)이 스톱퍼(60)를 하방향으로 누르면, 스톱퍼(60)의 상단부가 회전하고, 스톱퍼(60)의 상단부와 힌지결합된 링크(50)의 하단부가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링크(50)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된 슬라이더(40)를 하방향으로 당겨 하강시킴으로써 플래퍼(7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디젤 주유건(81)을 하우징(20)의 내부에서 빼내면 플래퍼 스프링(7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플래퍼(70)가 원래 위치, 즉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우징(20)의 하단부를 닫게 되고, 주유건이 회전돌기(30)의 상부돌기부(31) 하단부 위쪽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슬라이더 스프링(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40)가 원래 위치로 상승하게 되고, 판스프링(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전돌기(30)의 상부돌기부(31)가 하우징(20) 안쪽으로 회전하여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이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 다시 복귀되어 걸려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상태에 의해 가솔린 주유건(80)을 삽입하는 경우에 회전돌기(30)의 움직임이 변동되지 않고, 슬라이더(40)가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에 의해 걸림으로 잠금상태로 되며, 링크(50)를 매개로 슬라이더(40)와 연결되는 스톱퍼(60) 또한 잠금상태로 되어, 플래퍼(70)가 스톱퍼(60)에 의해 걸려 개방되지 않음으로써 가솔린 주유건(80)의 삽입 불가로 휘발유가 디젤 차량의 연료탱크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젤 주유건(81)을 삽입하는 경우에 회전돌기(30)를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슬라이더(40)가 회전돌기(30)의 걸림턱(33)에 의해 걸림 해제 상태로 되고, 슬라이더(40)와 연결되는 스톱퍼(60) 또한 잠금 해제 상태로 되며, 디젤 주유건(81)을 삽입하여 플래퍼(70)를 개방시킴으로써 디젤 연료만을 주유할 수 있다.
10 : 리테이너 11 : 삽입부
12 : 입구부 13 : 플랜지부
14 : 보강리브 20 : 하우징
21 : 회전돌기 삽입부 22 : 판스프링 고정부
23 : 스톱퍼 지지돌기부 24 : 플래퍼 지지돌기부
25 : 하우징 가이드 30 : 회전돌기부
31 : 상부돌기부 32 : 하부연결부
33 : 걸림턱 34 : 힌지돌기
35 : 판스프링 40 : 슬라이더
41 : 스프링 고정돌기 42 : 걸림홀
43 : 힌지돌기 44 : 스프링
50 : 링크 60 : 스톱퍼
61 : 중심돌기 62 : 힌지돌기
63 : 걸림홈 70 : 플래퍼
71 : 힌지부 72 : 힌지축
73 : 플래퍼 스프링 80 : 가솔린 주유건
81 : 디젤 주유건

Claims (9)

  1. 연료주입구에 설치되고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에 힌지구조로 장착되고, 주유건의 삽입으로 주유건과 접촉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돌기(30);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돌기(30)의 작동에 따라 걸림 해제되어 상하이동가능한 슬라이더(40);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 힌지구조로 장착되어 하우징(20)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플래퍼(70);
    상기 하우징(20)의 하단부에 힌지구조로 장착되고, 플래퍼(70)의 회전을 잠금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스톱퍼(60); 및
    상기 슬라이더(40)와 스톱퍼(60)를 연결하는 링크(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30)는 하우징(2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부돌기부(31);
    상기 상부돌기부(31)의 저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된 하부연결부(32); 및
    상기 하부연결부(32)의 하단에 돌출형성되어,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 삽입 체결로 슬라이더(4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걸림턱(33);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돌기의 상단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하우징(2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길이가 커짐에 따라 디젤 주유건(81)의 삽입 시 주유건과의 접촉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걸림턱(33)이 슬라이더(40)의 걸림홀(42)에서 해제됨에 따라 플래퍼(7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기부(31)는 하우징(20)의 상부에서 봤을 때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부돌기부(31)의 상부면이 일정한 곡률의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주유건과 균일하게 접촉가능하여 주유건의 삽입력이 상부돌기부(31)에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ㄷ자 단면 형상의 삽입홈을 가지는 회전돌기 삽입부(21)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돌기(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돌기(34)가 회전돌기 삽입부(21)에 삽입 안착됨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판스프링 고정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돌기(30)는 상단부가 판스프링 고정부(22)에 걸려 고정되는 판스프링(3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리테이너(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10)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는 입구부(12);
    상기 입구부(12)의 하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하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
    상기 삽입부(11)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부(13); 및
    상기 플랜지부(13)의 저면에서 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돌기 삽입부(21)에 삽입되어 회전돌기(30)의 힌지돌기(34)를 고정하는 체결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내벽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하우징 가이드(25)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4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외측면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스프링(44)의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44) 고정부를 포함하고, 스프링(44)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50)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힌지홈을 통해 슬라이더(40)의 힌지돌기(43)와 스톱퍼(60)의 힌지돌기(62)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스톱퍼(6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4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20130060064A 2013-05-28 2013-05-28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10148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064A KR101481272B1 (ko) 2013-05-28 2013-05-28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14/059,257 US9067488B2 (en) 2013-05-28 2013-10-21 Filler neck apparatus for preventing fuel from mixing
CN201310547161.8A CN104175866B (zh) 2013-05-28 2013-11-06 用于防止燃料混入的加注孔颈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064A KR101481272B1 (ko) 2013-05-28 2013-05-28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13A true KR20140139713A (ko) 2014-12-08
KR101481272B1 KR101481272B1 (ko) 2015-01-09

Family

ID=5195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0064A KR101481272B1 (ko) 2013-05-28 2013-05-28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67488B2 (ko)
KR (1) KR101481272B1 (ko)
CN (1) CN1041758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87B1 (ko) * 2015-12-30 2017-0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102152242B1 (ko) * 2019-03-14 2020-09-04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오주유 방지 캡리스 연료 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0117B2 (en) 2012-02-17 2018-06-19 Stant Usa Corp. Filler neck closure assembly
KR101510051B1 (ko) * 2014-04-16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JP6533584B2 (ja) * 2015-01-30 2019-06-19 マーティンリア メタル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燃料入口アセンブリ
JP6524551B2 (ja) * 2015-06-19 2019-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ィラーパイプ
KR101795235B1 (ko) * 2016-04-08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9987922B2 (en) * 2016-08-16 2018-06-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pless refueling mechanism
FR3067297B1 (fr) * 2017-06-13 2019-07-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hibition d’un detrompeur de reservoir
FR3067987B1 (fr) * 2017-06-26 2019-08-09 Microtechnic Dispositif de detrompage pour conduit de remplissage en carburant d’un reservoir de vehicule et vehicule comprenant ce dispositif
KR101956499B1 (ko) 2017-12-28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의 통합형 혼유 방지 장치
US11597269B2 (en) * 2019-11-13 2023-03-07 Toyoda Gosei Co., Ltd. Fue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0216A (en) * 1972-04-06 1973-05-01 Ford Motor Co Fuel tank insert for admitting preselected pump nozzles
US4977936A (en) * 1986-03-31 1990-12-18 Stant Inc. Filler neck sealing assembly
AT7933U1 (de) * 2004-07-16 2005-11-15 Tesma Motoren Getriebetechnik Füllrohr für den treibstofftank eines kraftfahrzeuges mit selektiver öffnung
US7182111B2 (en) * 2004-08-11 2007-02-27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US7077178B2 (en) * 2004-08-11 2006-07-18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KR20060030924A (ko) * 2004-10-07 2006-04-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차량용 가솔린연료 오주입 방지 장치
US7665493B2 (en) * 2005-02-10 2010-02-23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US7293586B2 (en) 2005-06-22 2007-11-13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DE102005047459A1 (de) * 2005-09-30 2006-08-24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Tankeinfüllstutzen für ein Diesel-Kraftfahrzeug
FR2898550B1 (fr) * 2006-03-15 2008-12-2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Systeme de securite pour tubulure de remplissage
DE102006014438B4 (de) * 2006-03-27 2009-12-24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Tankeinfüllstutzen für Diesel-Kraftfahrzeuge
US20080178962A1 (en) * 2007-01-22 2008-07-31 Inergy Auto. Systems Research (Societe Anonyme) Sealing system for fill pipe head and associated pipe
AT9945U1 (de) * 2007-03-27 2008-06-15 Magna Steyr Fuel Systems Gesmb Einfüllstutzen eines treibstofftanks mit schutz vor fehlbetankung
KR100861482B1 (ko) 2007-05-16 2008-10-02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차량 연료의 혼용 주유 방지장치
WO2009012197A2 (en) * 2007-07-19 2009-01-22 Stant Manufacturing Inc.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EP2093090B1 (en) 2008-02-21 2014-07-23 Stant USA Corp.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KR20090114949A (ko) 2008-04-30 2009-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JP5319974B2 (ja) * 2008-07-18 2013-10-16 株式会社アステア 給油口閉鎖装置
JP5431691B2 (ja) * 2008-07-18 2014-03-05 株式会社アステア 給油口閉鎖装置
EP2502772B1 (en) * 2009-11-18 2014-08-27 Nifco Inc. Device for preventing fueling error
GB201000628D0 (en) * 2010-01-15 2010-03-03 Steadman William L Incorrect filling prevention
JP2011213233A (ja) 2010-03-31 2011-10-27 Asteer Co Ltd 給油口の誤給油防止装置
US8539993B2 (en) * 2010-03-31 2013-09-24 Toyoda Gosei Co., Ltd. Fuel ta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494291B2 (ja) * 2010-06-30 2014-05-14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CN201900989U (zh) * 2010-12-09 2011-07-20 亚普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具备防错功能的加油口部结构
JP5666330B2 (ja) * 2011-02-07 2015-02-12 株式会社ニフコ 給油口開閉装置
DE102011011518B4 (de) * 2011-02-17 2012-11-29 Magna Steyr Fuel Systems Gesmbh Füllstutzen für den Treibstofftank eines Kraftfahrzeuges mit selektiver Öffnung
JP5370420B2 (ja) * 2011-06-10 2013-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EP2636555B1 (de) * 2012-03-08 2014-04-30 Magna Steyr Fuel Systems GmbH Einfüllstutzen für einen Diesel-Kraftstoffbehälter mit einer Sperrvorrichtung
WO2014153498A1 (en) * 2013-03-22 2014-09-25 Stant Usa Corp.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87B1 (ko) * 2015-12-30 2017-0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102152242B1 (ko) * 2019-03-14 2020-09-04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오주유 방지 캡리스 연료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272B1 (ko) 2015-01-09
CN104175866A (zh) 2014-12-03
US9067488B2 (en) 2015-06-30
US20140352846A1 (en) 2014-12-04
CN104175866B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272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101417637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US9505302B2 (en) Misfueling preventing apparatus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7967042B2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JP2007518619A (ja) 車両のタンクに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フィラーネック
JP5494291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20090114949A (ko)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JP5353792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JP5353793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20200034860A (ko) 차량용 연료 도어 장치
KR100902735B1 (ko)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KR20060091473A (ko) 디젤엔진 차량의 가솔린 주입 방지장치
KR101755751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20150012953A (ko) 차량의 혼유 방지용 주유구 장치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KR101481331B1 (ko)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KR101702787B1 (ko)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102152242B1 (ko) 차량용 오주유 방지 캡리스 연료 주입 장치
KR100767527B1 (ko) 연료캡의 연료 오주입 방지 장치
KR10078537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KR20060037948A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