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1331B1 -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Google Patents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1331B1 KR101481331B1 KR1020130140821A KR20130140821A KR101481331B1 KR 101481331 B1 KR101481331 B1 KR 101481331B1 KR 1020130140821 A KR1020130140821 A KR 1020130140821A KR 20130140821 A KR20130140821 A KR 20130140821A KR 101481331 B1 KR101481331 B1 KR 1014813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portion
- guard
- passage
- gun
- fu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오주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젤 주유건에 비해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솔린 연료를 잘못 주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젤 차량의 주유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유건이 통과하도록 된 외측 파이프 내부의 통로부에 설치되어 규정된 치수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건이 통로부에 삽입되면 통로부 내 주유건 통로를 차단하는 오주유 방지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오주유 방지기구는 하단에 누름단이 형성되고, 통로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로부에 삽입된 주유건에 의해 통로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드와; 상기 가드 하측의 통로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부 상측의 눌림단이 상기 가드의 누름단에 의해 외측으로 눌리면서 통로부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플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주유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주유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 주유건에 비해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솔린 연료를 잘못 주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젤 차량의 주유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탑재되어 있고, 차량의 연료탱크는 주유관 끝의 주유구를 통해 연료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주유구를 통해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주유건은 연료의 혼유(오주유)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가솔린 연료의 주입을 위한 주유건과 디젤 연료의 주입을 위한 주유건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다.
통상적으로 디젤 주유건의 직경이 가솔린 주유건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되며, 디젤 차량의 주유구 직경 또한 가솔린 차량의 주유구 직경보다 크게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직경 차이로 인해 디젤 주유건을 가솔린 차량의 주유구에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가솔린 주유건을 디젤 차량의 주유구에 삽입하는 것은 가능하여 가솔린을 디젤 차량에 주유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가솔린을 디젤 차량에 잘못 주유하여 디젤 차량의 연료계통에 가솔린이 유입되면 차량 운행 중 엔진 시동이 꺼져 차량이 멈추는 위험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연료탱크, 펌프, 필러넥, 연료라인 등의 부품들을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승용 디젤 차량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승용 디젤 차량에 가솔린 연료를 잘못 주입하는 오주유 발생 건수가 늘고 있고, 더욱이 셀프 주유소의 증가로 인해 운전자가 부주의로 주유건을 잘못 선택하여 오주유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바, 디젤 차량의 혼유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디젤 차량의 오주유 방지 장치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미국공개특허 제2012-0211489호, 미국특허 제7967041호, 미국특허 제7665493호, 미국특허 제7302977호, 미국특허 제7182111호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오주유 방지 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주유구를 특정 부재(예를 들면, 회전하는 플래퍼)가 물리적으로 막고 있다가 직경이 큰 디젤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에만 주유건이 부재를 밀어 주유구 통로를 개방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주유소가 아닌 도로상에서 긴급히 주유가 필요한 경우 보통의 PET 병이나 깔때기를 이용해서는 주유가 어렵고, 긴급한 상황임에도 부재가 막고 있는 주유구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 디젤 주유건 직경과 유사한 용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디젤 주유건에 비해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솔린 연료를 잘못 주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디젤 차량의 주유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긴급한 상황에서 보다 쉽게 연료를 주유할 수 있는 차량 주유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유건이 통과하도록 된 외측 파이프 내부의 통로부에 설치되어 규정된 치수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건이 통로부에 삽입되면 통로부 내 주유건 통로를 차단하는 오주유 방지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오주유 방지기구는 하단에 누름단이 형성되고, 통로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로부에 삽입된 주유건에 의해 통로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드와; 상기 가드 하측의 통로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부 상측의 눌림단이 상기 가드의 누름단에 의해 외측으로 눌리면서 통로부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플래퍼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퍼는 주유건의 직경에 상응하는 가드의 회전량에 따라 가드의 누름단에 의해 지지되어 통로부의 통로를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가드의 누름단이 눌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다시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에 의하면, 통로부에 설치된 가드와 플래퍼를 가지는 오주유 방지 기구에 의해 규정된 치수보다 작은 직경의 가솔린 주유건에 대해서는 통로부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해줌으로써 가솔린 연료가 디젤 차량에 잘못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는 평상시 플래퍼가 통로부를 열어준 상태로 있다가 작은 직경의 가솔린 주유건 삽입시에만 통로부를 닫아 주유건 삽입을 차단해주므로 긴급한 상황에서 병이나 깔때기 등을 이용하여 연료를 주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에 가솔린 주유건을 삽입할 때 오주유 방지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에 규정된 직경의 디젤 주유건을 삽입할 때와 빼낼 때 오주유 방지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 도 5c는 디젤 주유건이 편심된 위치로 삽입되었을 때 통로부 및 오주유 방지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에 가솔린 주유건을 삽입할 때 오주유 방지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에 규정된 직경의 디젤 주유건을 삽입할 때와 빼낼 때 오주유 방지기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 도 5c는 디젤 주유건이 편심된 위치로 삽입되었을 때 통로부 및 오주유 방지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 주유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젤 주유건에 비해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이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디젤 타량에 가솔린 연료를 잘못 주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주유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유구 장치를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1에서 외측 파이프(10)의 일부에 대해서는 주유구 장치의 내부 구성이 보일 수 있도록 그 윤곽만을 선으로 나타내어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주유구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디젤 차량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측 파이프(10), 외측 파이프(10) 상부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리테이너(20), 외측 파이프(10) 하부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리테이너(30), 상기 제1리테이너(20)와 제2리테이너(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두 리테이너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원통형의 통로부(40), 상기 통로부(40)에 설치되는 오주유 방지기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리테이너(20)는 주유건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일종의 가이드 부재로서, 하단 중심부에는 주유건이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는 입구홀(21)이 형성되어 있고, 제1리테이너(20) 하부 내측면은 상기 입구홀(21)까지 내경이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리테이너(30)는 통로부(40)를 지지하도록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서, 그 중앙에 제1리테이너(20)의 입구홀(21) 및 통로부(40) 내측면과 함께 주유건(1)이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홀(31)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통로부(40)는 제1리테이너(20)와 제2리테이너(30)를 연결하면서 양측의 두 리테이너 사이에서 주유건이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부로, 외측 파이프(10)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0)에 의해 측방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탄성부재(60)는 외측 파이프(10) 내에서 통로부(40)가 측방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부재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파이프(10)와 통로부(40) 사이에서 통로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60)은 상하 양단부에 비해 중앙부의 직경이 확대된 항아리 형상의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고, 직경이 작은 양단부는 통로부(40) 외측면에, 직경이 큰 중앙부는 외측 파이프(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통로부(40)는 외측 파이프(10) 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특히 제1리테이너(20)의 입구홀(21)과 제2리테이너(30)의 통로홀(31)을 기준으로 규정의 주유건(디젤 주유건)이 편심된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통로부(40)가 주유건에 의해 중앙에서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주유건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주유를 마친 후 주유건이 외부로 빠진 상태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통로부(40)가 원래의 중앙위치로 복원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주유 방지기구(50)는 통로부(40)와 함께 오주유 방지 기능을 위한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부로, 통로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가드(guard)(51)와 플래퍼(flapper)(55)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가드(51)와 플래퍼(55)는 통로부(40)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배치되도록 설치되는데, 일례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로부(40)에 그 원주방향으로 등간격(90°간격) 배치되는 4개의 가드(51)와 4개의 플래퍼(5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드(51)와 플래퍼(55)는 통로부(40)에 형성된 장착홀(4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복수 개의 가드(51)와 플래퍼(55)가 설치되는 통로부(40)의 각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착홀(41)이 형성되고, 각 장착홀(41) 내측에 가드(51)와 플래퍼(55)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하나의 장착홀(41)에 하나씩의 가드(51)와 플래퍼(55)가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해당 장착홀(41)에서 가드(51)와 플래퍼(55)가 통로부(40)의 반경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통로부 내외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각각의 가드(51)와 플래퍼(55)가 장착홀(41)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통로부(4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결합부(52,56)(회전중심부임)를 중심으로 통로부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특히 가드(51)의 경우 힌지결합부(52)를 중심으로 미도시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드(51)의 탄력 회전을 위한 탄성부재는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힌지결합부(52)에서 가드(51)와 통로부(40) 사이에 설치되어 가드에 탄성복원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이때, 힌지결합부(52)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은 가드(51)를 통로부(40) 내측 방향으로 탄력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된다.
또한 가드(51)의 힌지결합부(52)는 가드 상단부에 위치가 설정되고, 플래퍼(55)의 힌지결합부(56)는 눌림단(57)의 하측으로 위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플래퍼(55) 상단의 눌림단(57)이 가드(51) 하단의 누름단(53)에 의해 눌릴 경우 플래퍼(55)가 통로부(40) 내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불어 각 가드(51)는 통로부(40)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54)를 가지며, 통로부(40)의 장착홀(41) 상단에는 가드(51)의 통로부 내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턱(4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오주유 방지기구(50)는 주유건이 삽입되지 않은 평상시의 경우에 주유건 통로를 개방하고 있다가, 가솔린 주유건이 잘못 삽입될 경우에는 플래퍼(55)가 가솔린 주유건의 삽입을 차단하도록 통로를 닫아 폐쇄하고, 규정된 직경의 디젤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에는 통로를 열어(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래퍼가 통로를 일시적으로 닫았다가 주유건에 의해 밀리면서 다시 여는 방향으로 회전함) 디젤 주유건이 삽입될 수 있게 해준다.
즉, 평상시 플래퍼가 주유건 통로를 닫고 있다가 디젤 주유건의 삽입시에만 플래퍼가 동작하여 통로를 열어주는 종래의 방식(가솔린 주유건 삽입시에는 주유건 삽입이 불가하도록 열리지 않고 통로를 막음)과 달리, 본 발명에서의 오주유 방지기구(50)는 평상시 및 디젤 주유건 삽입시에는 통로 개방 상태를 이루고 있다가 가솔린 주유건 삽입시에만 닫히는 플래퍼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방식의 오주유 방지기구(50)는, 평상시 플래퍼가 닫혀 있는 상태로 있다가 규정된 직경의 디젤 주유건이 삽입될 때에만 플래퍼가 열리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긴급 주유가 필요한 상황에서 PET 병이나 깔때기 등을 이용해서도 연료를 주입할 수 있다는 분명한 이점을 가진다.
종래의 경우 규정된 직경의 디젤 주유건이 삽입될 때에만 주유건이 미는 강제적인 힘에 의해 플래퍼가 열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긴급 주유 수단, 즉 PET 병이나 깔때기 등을 이용해서는 플래퍼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연료를 주입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주유구 장치는 디젤 주유건을 제1리테이너(20)의 입구홀(21)을 통해 편심된 위치로 삽입하더라도 통로부(40) 및 이에 설치된 오주유 방지기구(50)가 주유건의 편심량에 맞추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국 주유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도 5a ~ 도 5c 참조).
물론, 규정 치수보다 직경이 작은 가솔린 주유건에 대해서는 어떠한 상황으로 삽입되든 간에 플래퍼에 의해 통로가 열리지 않아 주유가 불가능하다.
이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규정된 치수에 비해 작은 직경의 가솔린 주유건(1a)을 삽입할 때 오주유 방지기구(5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가솔린 주유건(1a) 삽입시에 플래퍼(55)가 닫히는 동작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주유건(1)이 삽입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각 가드(51)가 힌지결합부(52)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 3a와 같은 위치로 유지되며, 플래퍼(55)가 통로부(40)를 열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가드(51)는 통로부(40)의 장착홀(41)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42)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어서 통로부 내측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통로부 내측으로 돌출부(54)가 돌출된 상태로만 위치 및 자세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한 각 가드(51) 하단의 누름단(53)은 플래퍼(55) 상단의 눌림단(57) 내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규정 치수보다 작은 직경(예, Φ 20)의 가솔린 주유건(1a)이 삽입될 경우,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솔린 주유건(1a)이 각 가드(51)의 돌출부(54)를 눌러주게 되면서 가드들을 동시에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가드(51) 하단의 누름단(53)이 플래퍼(55) 상단의 눌림단(57)을 눌러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는데, 이에 플래퍼(55)들이 눌림단(57) 하측의 힌지결합부(56)를 중심으로 통로부(40) 내측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고, 결국 플래퍼(55)들이 통로부(40) 내측의 주유건 통로를 폐쇄하게 되어 더 이상의 주유건 삽입은 불가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가솔린 주유건(1a)으로 플래퍼(55)를 밀어도 외측 방향으로 벌어진 각 가드(51)의 누름단(53)이 플래퍼(55)의 내측 표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플래퍼(55)가 열리지 않는다.
특히, 플래퍼(55)가 외측 방향(열림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가드(51)가 플래퍼(55)의 회전을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가솔린 주유건(1a)을 통로부(40)로부터 다시 빼내지 않는 한 플래퍼(55)가 움직이지 않고 통로부(40)를 막고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a ~ 도 4d는 규정된 직경의 디젤 주유건(1b)을 삽입할 때와 빼낼 때 오주유 방지기구(5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의 상태에서 규정된 직경(예, Φ 23)의 디젤 주유건(1b)이 통로부(40) 내측으로 삽입되면, 디젤 주유건(1b) 역시 돌출부(54)를 눌러주어 가드(51)를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다만, 디젤 주유건(1b)의 직경이 가솔린 주유건의 직경보다 크므로 디젤 주유건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솔린 주유건의 삽입시보다 가드(51)를 더욱 많이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가드(51)들이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동안 누름단(53)이 눌림단(57)의 내측 표면을 눌러주게 되면서 각 가드(51)가 하측의 플래퍼(55)를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통로부(40) 내에 삽입된 디젤 주유건(1b)이 내측방향으로 회전된 플래퍼(55)에 닿기 전에 회전 중인 가드(51)의 누름단(53)이 플래퍼(55)의 눌림단(57) 바깥으로 먼저 벗어나게 된다.
이어 디젤 주유건(1b)의 삽입이 계속되면서 주유건이 플래퍼(55)를 밀어 다시 외측 방향으로 시키는 동안 가드(51)의 누름단(53)은 플래퍼(55)의 눌림단(57) 외측으로 완전히 넘어가 위치하게 되고, 결국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퍼(55)가 다시 열리면서 주유건이 주유가 가능하도록 외측 파이프(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오주유 방지기구(50)의 플래퍼(55)는 주유건의 직경에 상응하는 가드(51)의 회전량에 따라 가드의 누름단(53)에 의해 지지되어 통로부(40)의 주유건 통로를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가드(51)의 누름단(53)이 눌림단(57)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다시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어 주유가 끝난 뒤 주유건(1b)을 다시 빼내주게 되면, 돌출부(54)를 눌러주고 있던 주유건이 제거되면서 가드(51)가 탄성부재(코일 스프링)에 의해 다시 통로부(40)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 복원되고, 결국 도 4d와 같이 가드(51)의 누름단(53)이 플래퍼(55)의 눌림단(57) 내측 표면에 접하여 있게 되는 평상시의 상태가 된다.
한편, 도 5a ~ 도 5c는 디젤 주유건(1b)이 편심된 위치로 삽입되었을 때 통로부(40) 및 오주유 방지기구(50)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주유건(1b)이 편심된 위치로 삽입되는 경우라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부(40)와 오주유 방지기구(50)가 주유건(1b)에 의해 측방으로 움직여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측방 이동된 상태라 하더라도 디젤 주유건(1b)이 삽입된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작동순서로 플래퍼(55)가 동작하여 통로부(40)를 열어주게 되며, 이후 주유건(1)이 제거되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부(40)를 탄성 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코일 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통로부(40)와 오주유 방지기구(50)의 위치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a : 가솔린 주유건 1b : 디젤 주유건
10 : 외측 파이프 20 : 제1리테이너
21 : 입구홀 30 : 제2리테이너
31 : 통로홀 40 : 통로부
41 : 장착홀 42 : 걸림턱
50 : 오주유 방지기구 51 : 가드
52 : 힌지결합부 53 : 누름단
54 : 돌출부 55 : 플래퍼
56 : 힌지결합부 57 : 눌림단
55 : 플래퍼 60 : 탄성부재(코일 스프링)
10 : 외측 파이프 20 : 제1리테이너
21 : 입구홀 30 : 제2리테이너
31 : 통로홀 40 : 통로부
41 : 장착홀 42 : 걸림턱
50 : 오주유 방지기구 51 : 가드
52 : 힌지결합부 53 : 누름단
54 : 돌출부 55 : 플래퍼
56 : 힌지결합부 57 : 눌림단
55 : 플래퍼 60 : 탄성부재(코일 스프링)
Claims (8)
- 주유건이 통과하도록 된 외측 파이프 내부의 통로부에 설치되어 규정된 치수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건이 통로부에 삽입되면 통로부 내 주유건 통로를 차단하는 오주유 방지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오주유 방지기구는
하단에 누름단이 형성되고, 통로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통로부에 삽입된 주유건에 의해 통로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드와;
상기 가드 하측의 통로부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부 상측의 눌림단이 상기 가드의 누름단에 의해 외측으로 눌리면서 통로부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플래퍼;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퍼는 주유건의 직경에 상응하는 가드의 회전량에 따라 가드의 누름단에 의해 지지되어 통로부의 통로를 닫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가드의 누름단이 눌림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다시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드와 플래퍼가 상기 장착홀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통로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장착홀에서 통로부 내외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원주방항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드와 플래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드는 통로부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통로부에 삽입된 주유건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눌리면서 통로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주유 방지기구는 가드를 통로부 내측 방향으로 탄력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의 통로부 내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상기 통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외측 파이프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측방으로의 탄력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외측 파이프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제1리테이너와 제2리테이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두 리테이너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통로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큰 직경 부분이 외측 파이프의 내측면에, 작은 직경 부분이 통로부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0821A KR101481331B1 (ko) | 2013-11-19 | 2013-11-19 |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0821A KR101481331B1 (ko) | 2013-11-19 | 2013-11-19 |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1331B1 true KR101481331B1 (ko) | 2015-01-09 |
Family
ID=5258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0821A KR101481331B1 (ko) | 2013-11-19 | 2013-11-19 |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133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72782A (zh) * | 2018-04-25 | 2018-08-07 | 江苏长川科技有限公司 | 一种油箱注油口自密封防漏油结构 |
CN115304014A (zh) * | 2022-08-11 | 2022-11-08 | 鸿洋集团有限公司 | 一种加油机用防漏油加油枪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9665Y1 (ko) * | 2005-01-06 | 2005-03-23 | 박용현 | 혼유방지장치 |
KR20060016033A (ko) * | 2004-08-16 | 2006-02-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디젤 차량 연료 주입구의 이종 연료 주입 방지 장치 |
KR200415543Y1 (ko) * | 2006-02-03 | 2006-05-03 | 정준규 |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
WO2010023810A1 (ja) * | 2008-08-25 | 2010-03-04 | 株式会社ニフコ | 誤給油防止装置 |
-
2013
- 2013-11-19 KR KR1020130140821A patent/KR1014813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6033A (ko) * | 2004-08-16 | 2006-02-21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디젤 차량 연료 주입구의 이종 연료 주입 방지 장치 |
KR200379665Y1 (ko) * | 2005-01-06 | 2005-03-23 | 박용현 | 혼유방지장치 |
KR200415543Y1 (ko) * | 2006-02-03 | 2006-05-03 | 정준규 |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
WO2010023810A1 (ja) * | 2008-08-25 | 2010-03-04 | 株式会社ニフコ | 誤給油防止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72782A (zh) * | 2018-04-25 | 2018-08-07 | 江苏长川科技有限公司 | 一种油箱注油口自密封防漏油结构 |
CN115304014A (zh) * | 2022-08-11 | 2022-11-08 | 鸿洋集团有限公司 | 一种加油机用防漏油加油枪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15679B2 (en) |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 |
KR101500136B1 (ko) |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 |
US8714214B2 (en) | Mis-fuel inhibitor | |
CN101124102B (zh) | 无盖填充颈封闭件的导向运动 | |
KR101510051B1 (ko) |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 |
KR101795235B1 (ko) |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 |
US20140332530A1 (en) |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 |
US10081241B2 (en) | Diesel fuel guard | |
KR101481331B1 (ko) |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 |
KR20080106577A (ko) | 연료 분사 노즐 억제자 | |
US20080041492A1 (en) | Automotive fuel filling system | |
CN104691313A (zh) | 用于车辆的阻止加错油系统 | |
KR101755751B1 (ko) |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 |
KR101702787B1 (ko) |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 |
KR20060091473A (ko) | 디젤엔진 차량의 가솔린 주입 방지장치 | |
KR200415543Y1 (ko) |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 |
KR20160053566A (ko) |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 |
KR101498491B1 (ko) |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 |
KR101498490B1 (ko) |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 |
KR102714480B1 (ko) | 캡리스 필러 넥 구조 | |
KR20210073123A (ko) | 캡리스 필러 넥 구조 | |
KR20060029521A (ko) |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 |
KR20060023613A (ko) |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 |
KR100968753B1 (ko) |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 |
KR20060037948A (ko) |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