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753B1 -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 Google Patents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753B1
KR100968753B1 KR1020040072439A KR20040072439A KR100968753B1 KR 100968753 B1 KR100968753 B1 KR 100968753B1 KR 1020040072439 A KR1020040072439 A KR 1020040072439A KR 20040072439 A KR20040072439 A KR 20040072439A KR 100968753 B1 KR100968753 B1 KR 100968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gasoline
fuel
diesel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658A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7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를 개선하여 휘발유 주유건 삽입시 주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젤차량의 주유관(400) 입구에 이분된 원뿔형상의 캡(100)과; 상기 캡(100)의 하측 외면을 각각 상기 주유관(400)에 탄성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힌지(200)와; 경유 주유건(520)에 대응하도록 상기 캡(100)의 하측 외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00)으로 구성되어, 디젤차량에 가솔린이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캡, 탄성힌지, 걸림턱, 주유관, 가솔린, 주유건, 디젤

Description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Fuel filler for diesel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휘발유 주유건을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경유 주유건을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캡 200 : 탄성힌지
300 : 걸림턱 400 : 주유관
510 : 휘발유 주유건 520 : 경유 주유건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를 개선하여 휘발유 주유건 삽입시 주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디젤차량에 가솔린이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할 수 있는 연료탱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연료탱크에는 주유관이 연통 형성된 주유구가 마련되어 연료를 급유할 수 있다.
통상, 승용차와 같이 소형의 차량에는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어 휘발유가 연료로 사용하며, 승합차나 트럭 등 대형의 차량에는 디젤 엔진이 장착되어 경유가 연료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승용의 소형 차량에도 디젤 엔진이 적용됨에 따라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에 휘발유가 급유되는 사례가 급증하게 됨으로써, 디젤 엔진에 휘발유가 급유되어 엔진 계통에 손상을 주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를 개선하여 휘발유 주유건과 경유 주유건의 직경 차이를 이용하여 경유 주유건만이 주유구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여 디젤차량에 가솔린이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주유관 입구에 이분된 원뿔형상의 캡과; 상기 캡의 하측 외면을 각각 상기 주유관에 탄성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힌지와; 경유 주유건에 대응하도록 상기 캡의 하측 외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휘발유 주유건을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에 경유 주유건을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젤차량의 주유관(400) 입구에 이분된 원뿔형상의 캡(100)과; 상기 캡(100)의 하측 외면을 각각 상기 주유관(400)에 탄성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힌지(200)와; 경유 주유건(520)에 대응하도록 상기 캡(100)의 하측 외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와 연통 형성된 주유관(400)의 입구에 양분되어 마련된 캡(100), 상기 캡(100)을 탄성 회동시키면서 상기 주유관(400) 입구에 지지하는 탄성힌지(200), 그리고 상기 캡(100)의 각 중단에 돌출되어 경유 주유건(520)에 대응하는 걸림턱(3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통상 휘발유 주유건(510)의 직경이 경유 주유건(520)의 직경 보다 작은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작은 직경의 휘발유 주유건(510)이 주유구의 주유관(400)에 삽입될 경우 캡(100)에 접촉하여 급유가 불가능하며, 큰 직경의 경유 주유건(520)이 주유구의 주유관(400)에 삽입될 경우에만 이분된 캡(100)이 서로 벌어지면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캡(1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대략 원뿔 형상의 패널로 이루어져 이분되어 있으며, 휘발유 주유건(510)과의 접촉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기밀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 일측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회동시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모서리 부위가 라운딩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100)의 중단 직경은 휘발유 주유건(510)의 직경에 상응하며, 상기 걸림턱(300)의 돌출 길이는 경유 주유건(520)과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적절하다.
즉, 휘발유 주유건(510)이 주유관(400) 입구에 삽입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발유 주유건(510)이 상기 걸림턱(300)과의 접촉 없이 원뿔형 캡(100)의 중단에 접촉하여 휘발유 주유건(100)의 삽입을 불능케 하는 동시에, 휘발유 주유건(510)의 입구를 상기 캡(100)이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캡(100)의 개구 직경 및 그 경사각을 적절하게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캡(100)을 주유관(400) 입구에 탄성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힌지(200)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미도시한 탄성체를 이용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캡(100)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주유관(400) 입구를 폐쇄하도록 하며, 경유 주유건(520)이 삽입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던 경유 주유건(520)이 상기 캡(100)의 중단에 돌출된 걸림턱(300)에 접촉하여 상기 캡(100)이 탄성힌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서로 벌어지도록 하여 주유관(400)의 입구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휘발유 주유건(510)이 삽입되는 경우와 경유 주유건(520)이 삽입되는 경우를 각각 구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휘발유 주유건(510)이 주유구에 삽입될 경우, 삽입되던 휘발유 주유건(5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관(400) 입구에 탄성힌지(200)에 의하여 지지된 캡(100)의 중단에 걸려 더 이상의 삽입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폐쇄된 캡(100)에 의하여 휘발유 주유건(510)이 막히게 됨으로써, 디젤차량의 연료탱크 내에 휘발유를 주유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경유 주유건(520)이 주유구에 삽입될 경우, 삽입되던 경유 주유건(5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00)의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300)과 접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캡(100)은 탄성힌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서로 벌어지게 되어 주유관(400)의 입구가 개방됨으로써 경유를 급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삽입하였던 경유 주유건(520)을 주유관(400)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 기 캡(100)은 탄성힌지(2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주유관(400) 입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는 휘발유 주유건(510)이 삽입될 경우 캡(100)에 의하여 휘발유 주유건(510)의 삽입이 불가능 할 뿐 아니라, 상기 캡(100)이 휘발유 주유건(510)의 입구를 폐쇄시키게 되며, 경유 주유건(520)이 삽입될 경우 걸림턱(300)에 의하여 캡(100)이 회동하면서 서로 벌어지면서 주유관(400) 입구가 개방되어 경유의 급유가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디젤엔진이 적용된 소형차량에 휘발유가 급유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휘발유가 디젤 차량에 급유되어 발생하는 엔진계통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주유원의 편의는 물론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를 개선하여 휘발유 주유건과 경유 주유건의 직경 차이를 이용하여 경유 주유건만이 주유구 내에 삽입 가능하도록 하여 디젤차량에 가솔린이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디젤차량의 주유관 입구에 이분된 원뿔형상의 캡과;
    상기 캡의 하측 외면을 각각 상기 주유관에 탄성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힌지와;
    경유 주유건에 대응하도록 상기 캡의 하측 외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휘발유 주유건과의 접촉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밀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 일측은 회동시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중단 직경은 휘발유 주유건의 직경에 상응하며, 상기 걸림턱의 돌출 길이는 경유 주유건과 접촉 가능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KR1020040072439A 2004-09-10 2004-09-10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KR100968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439A KR100968753B1 (ko) 2004-09-10 2004-09-10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439A KR100968753B1 (ko) 2004-09-10 2004-09-10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658A KR20060023658A (ko) 2006-03-15
KR100968753B1 true KR100968753B1 (ko) 2010-07-08

Family

ID=3712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439A KR100968753B1 (ko) 2004-09-10 2004-09-10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035U (ko) * 1986-12-08 1988-11-14
KR19980057782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타연료 주입 방지 장치
KR19990035690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연료누출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5035U (ko) * 1986-12-08 1988-11-14
KR19980057782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귀 타연료 주입 방지 장치
KR19990035690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연료누출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658A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3865B2 (en) Structure of fuel filler neck to prevent misfueling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9272617B2 (en) Anti-misfueling filler neck device
US10207579B2 (en) Fuel-mixing prevention filler neck device
US9701194B2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KR20080106577A (ko) 연료 분사 노즐 억제자
KR20090114949A (ko)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US6431228B2 (en) Spring-loaded contaminant cover for tank filler neck closure assembly
KR100968753B1 (ko)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KR100980950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KR200415543Y1 (ko)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KR101481331B1 (ko)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CA2973861A1 (en) Capless automotive fueling system with miss-fuel inhibitor
KR20210073123A (ko) 캡리스 필러 넥 구조
KR20160053566A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KR100853415B1 (ko) 디젤승용차의 주유구
KR101702787B1 (ko)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20060037948A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KR101613398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100502148B1 (ko) 차량용 연료 주입구 캡 걸이구조
KR10078537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JP3227716U (ja) 自動車で使用するための一時保護装置
KR20060029521A (ko)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