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521A -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521A
KR20060029521A KR1020040078504A KR20040078504A KR20060029521A KR 20060029521 A KR20060029521 A KR 20060029521A KR 1020040078504 A KR1020040078504 A KR 1020040078504A KR 20040078504 A KR20040078504 A KR 20040078504A KR 20060029521 A KR20060029521 A KR 2006002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inlet
inj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일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9521A/ko
Publication of KR2006002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유시 차량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료의 주유건 사이즈보다도 작은 사이즈의 다른 연료 주유건이 연료주입구 내에 넣어지는 경우 연료주입구 통로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주입건 삽입 및 연료 투입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연료탱크에 다른 종류의 연료가 오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주입구 내벽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각 삽입홈에 설치되어 삽입홈과 주입구 통로 사이를 이동하면서 주입구 통로를 개폐하는 두 커버부재와; 상기 각 삽입홈 내에서 해당 커버부재를 주입구 통로상에 위치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체와; 연료주입구 내벽 각 삽입홈 상측으로 마련된 장착공간 내에 설치되어, 차량 사용 연료를 주입하게 되는 정상의 주유건이 삽입될 때 주입구 통로가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두 커버부재를 동시에 삽입홈 내로 삽입 구동시키는 커버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료, 오주입 방지, 연료탱크, 연료주입구장치, 로울러, 커버부재, 와이어

Description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Fuel injection device for a fuel tank for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주입구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주입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주입구 11 : 연료주입구 통로
12a, 12b : 구동부 장착공간 13a, 13b : 삽입홈
21a, 21b : 커버부재 22a, 22b : 탄성체
23 : 커버구동부 24 : 메인 로울러
25 : 방향전환 로울러 26 : 와이어
본 발명은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유시 차량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료의 주유건 사이즈보다도 작은 사이즈의 다른 연료 주유건이 연료주입구 내에 넣어지는 경우 연료주입구 통로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주입건 삽입 및 연료 투입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연료탱크에 다른 종류의 연료가 오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엔진의 차량과 디젤 엔진 차량에는 각 엔진에 적합한 연료를 사용하여야 하나,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연료를 잘못 주유하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발화점이 낮은 가솔린 연료를 디젤 엔진 차량에 주유하여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디젤 엔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연료의 종류에 따라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가 다르고, 가솔린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가 디젤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보다 작기 때문에, 가솔린 차량에서는 디젤 연료가 주유되는 연료 오주입 문제가 없으나, 디젤 차량의 경우에는 가솔린 연료를 넣게 되는 연료 오주입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여가를 즐기기 위해 차량을 이용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다목적 차량인 SUV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SUV 차량들은 동일한 차량 디자인에 가솔린 엔진이 장착된 차량과 디젤 엔진이 장착된 차량을 적용시켜 병행 생산하거나 혹은 수입 차량을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승용디젤 엔진을 장착한 차량이 출시될 예정이므로 외관으로 봐서는 같은 차량이지만 사용하는 연료가 다른 경우가 빈번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차량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 차량의 디자인만으로는 가솔린을 사용하는 차량인지 디젤을 사용하는 차량인지 구분하기가 어렵고, 차량에 연료를 보충하기 위해 주유소를 이용할 때 차량 운전자가 아닌 주유원이 각 차량의 사용 연료를 구분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특히, 자동차에 대한 상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주유원인 경우 디자인만 보고서 자칫 잘못하면 디젤을 주유할 차량에 가솔린을 주유하거나, 가솔린을 주유해야 할 차량에 디젤을 주유하는 연료 오주입을 범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연료 오주입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최근 들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 주유시 차량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료의 주유건 사이즈보다도 작은 사이즈의 다른 연료 주유건이 연료주입구 내에 넣어지는 경우 연료주입구 통로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주입건 삽입 및 연료 투입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연료탱크에 다른 종류의 연료가 오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는,
연료주입구 내벽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각 삽입홈에 설치되어 삽입홈과 주입구 통로 사이를 이동하면서 주입구 통로를 개폐하는 두 커버부재와;
상기 각 삽입홈 내에서 해당 커버부재를 주입구 통로상에 위치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체와;
연료주입구 내벽 각 삽입홈 상측으로 마련된 장착공간 내에 설치되어, 차량 사용 연료를 주입하게 되는 정상의 주유건이 삽입될 때 주입구 통로가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두 커버부재를 동시에 삽입홈 내로 삽입 구동시키는 커버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구동부는,
원주 일측이 주입구 통로상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정상 주유건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주유건 직경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 메인 로울러와;
상기 장착공간 내 각 메인 로울러 하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 로울러와;
상기 각 메인 로울러에 일단부가 감겨져 방향전환 로울러에 의해 안내된 후 타단이 해당 커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 로울러의 회전시 감겨지면서 주입구 통로가 개방되도록 커버부재를 삽입홈 내로 당겨주는 와이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 커버부재가,
원형 조합상태에서 주입구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반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주입구 통로로부터 횡배치상태로 상기 각 삽입홈 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형 조합상태에서 주입구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반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주입구 통로로부터 횡배치상태로 상기 각 삽입홈 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의 종류에 따라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가 다른 것에 착안한 것이며, 이하 설명에서는 주유건이 장착된 일반 차량용 주유기에서 가솔린과 디젤 연료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연료의 종류에 따라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가 다르고, 가솔린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가 디젤 주유기의 주유건 사이즈보다 작기 때문에, 본 발명의 연료주입구장치는 디젤 차량의 연료주입구에 적용이 가능하며, 디젤 주유건을 연료주입구에 넣게 되면 연료주입구 통로를 개방하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솔린 주유건을 넣게 되면 연료주입구의 한쪽 벽에 붙여서 삽입하더라도 연료주입구 통로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여 연료의 오주입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주입구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주입구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료주입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주입구(10) 내벽에 일정 공간만큼 빈 공간을 형성하여 커버구동부(23)가 설치되는 구동부 장착공간(12a,12b)이 마련되고, 이 구동부 장착공간(12a,12b)의 하측으로는 커버부재(21a,21b)가 삽입되는 삽입홈(13a,13b)이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 장착공간(12a,12b)과 삽입홈(13a,13b)은 연료주입구(10) 내벽에 180°방향 좌우 양쪽으로 각각 마련되며, 상기 각 삽입홈(13a,13b)은 연료주입구(10)의 통로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양쪽의 각 구동부 장착공간(12a,12b)과 삽입홈(13a,13b)에는 동일한 구성의 커버구동부(23)와 커버부재(21a,21b)가 각각 설치되는데, 먼저 상기 커버부재(21a,21b)는 연료주입구 통로(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양쪽의 두 커버부재(21a,21b) 모두 삽입홈(13a,13b) 내에 횡배치상태로 삽입 가능한 반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해당 삽입홈(13a,13b) 내의 탄성체(22a,22b)에 의해 탄력지지된다.
상기 두 커버부재(21a,21b)는 삽입홈(13a,13b)과 주입구 통로(11) 사이를 이동하면서 주입구 통로(11)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22a,22b)는 해 당 커버부재(21a,21b)를 주입구 통로(11)를 차단한 상태에 위치하도록, 즉 해당 커버부재(21a,21b)를 주입구 통로(11)상에 위치하도록 탄력지지한다.
양쪽의 상기 두 커버부재(21a,21b)는 통상의 경우 삽입홈(13a,13b) 내에 설치된 탄성체(22a,22b)에 의해 지지되어 주입구 통로(11)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두 커버부재(21a,21b)가 하나의 원형태로 조합되어 주입구 통로(11)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커버구동부(23)는 구동부 장착공간(12a,12b) 내에 설치되어 차량 사용 연료를 주입하게 되는 정상의 주유건이 삽입될 때 주입구 통로(11)가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각 커버부재(21a,21b)를 동시에 삽입홈(13a,13b) 내로 삽입 구동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구동부(23)는, 원주 일측이 주입구 통로(11)상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정상 주유건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주유건 직경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 메인 로울러(24)와; 상기 장착공간(12a,12b) 내 각 메인 로울러(24) 하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 로울러(25)와; 상기 각 메인 로울러(24)에 일단부가 감겨져 방향전환 로울러(25)에 의해 안내된 후 타단이 해당 커버부재(21a,21b)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 로울러(24)의 회전시 감겨지면서 주입구 통로(11)가 개방되도록 커버부재(21a,21b)를 삽입홈(13a,13b) 내로 당겨주는 와이어(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정상의 주유건이 연료주입구 통로(11) 내에 삽입될 때 상기 두 메인 로울러(24)가 원주상에 마찰 접촉하는 주유건에 의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대 략 180°방향의 대칭된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두 메인 로울러(24)는 주유건의 직경 사이즈에 일치하는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도면을 통해 일 실시예로 제시한 전술한 바의 커버부재(21a,21b)는 차량의 연료주입구 통로(11)를 개폐하는 일종의 밸브수단으로서, 올바른 연료의 주유건이 삽입될 때만 커버구동부(23)의 동작에 의해 연료주입구 통로(11)를 열게 되며, 이와 같이 커버구동부(23)의 와이어(26)에 연결될 수 있는 밸브수단은 와이어(26)의 당김작동에 의해 연료주입구 통로(11)를 개방하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변형 및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연료 주입장치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젤 차량에 적용된 연료주입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삽입되는 디젤 주유건에 의해 상기 메인 로울러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두 메인 로울러간 거리는 디젤 주유건의 직경 사이즈에 대략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통상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커버부재(21a,21b)가 탄성체(22a,22b)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연료주입구 통로(11) 내에 위치하는 바, 연료주입구 통로(11)가 상기 두 커버부재(21a,21b)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가솔린 주유건(1)이 연료주입구(10) 내로 넣어지게 되면, 가솔린 주유건(1)이 두 메인 로울러(24)의 원주와 떨어진 상태로 넣어지게 되므로 두 메인 로울러(24)가 회전하지 못하여, 두 커버부재(21a,21b)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가솔린 주유건(1)의 삽입이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되는 바, 결국 연료탱크 내로 연료를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솔린 주유건(1)이 한쪽 벽에 붙어 들어올 경우, 주유건(1)이 한쪽 메인 로울러(24, 도면상의 우측 메인 로울러)만을 회전시키므로, 결국 와이어(26)에 의해 한쪽 커버부재(21b)만이 당겨져 열리게 되고, 이 경우에도 가솔린 주유건(1)은 더 이상 삽입이 불가능하다.
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젤 주유건(2)이 들어오는 경우, 디젤 주유건(2)이 양쪽의 두 메인 로울러(24)와 동시에 마찰 접촉하게 되고, 결국 디젤 주유건(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동안 두 메인 로울러(24)는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양측의 와이어(26)가 해당 메인 로울러(24)에 동시에 감겨지면서 해당 커버부재(21a,21b)를 동시에 당겨주게 되고, 결국 두 커버부재(21a,21b)가 탄성체(22a,22b)의 지지력을 극복하면서 삽입홈(13a,13b) 내로 동시에 삽입되면서 연료주입구 통로(11)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에 디젤 주유건(2)의 경우 연료주입구 통로(11)로 삽입이 가능하고, 연료탱크 내로 연료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료 주유가 완료되어 디젤 주유건(2)이 제거되면, 커버부재(21a,21b)는 탄성체(22a,22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 즉 연료주입구 통로(11) 내 위치로 이동하여 연료주입구 통로(11)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에 의하면, 연료주입구 내에 올바른 크기의 연료 주유건이 삽입되는 경우에만 두 메인 로울러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양쪽 커버부재가 삽입홈 내로 이동하여 연료주입구 통로가 완전 개방되고, 반면 디젤 차량 연료주입구에 가솔린 주입건과 같이 작은 사이즈의 주입건이 넣어지는 경우 커버부재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주입건 삽입 및 연료 투입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다른 연료가 오주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연료주입구 내벽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각 삽입홈에 설치되어 삽입홈과 주입구 통로 사이를 이동하면서 주입구 통로를 개폐하는 두 커버부재와;
    상기 각 삽입홈 내에서 해당 커버부재를 주입구 통로상에 위치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체와;
    연료주입구 내벽 각 삽입홈 상측으로 마련된 장착공간 내에 설치되어, 차량 사용 연료를 주입하게 되는 정상의 주유건이 삽입될 때 주입구 통로가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두 커버부재를 동시에 삽입홈 내로 삽입 구동시키는 커버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구동부는,
    원주 일측이 주입구 통로상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정상 주유건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주유건 직경 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 메인 로울러와;
    상기 장착공간 내 각 메인 로울러 하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 로울러와;
    상기 각 메인 로울러에 일단부가 감겨져 방향전환 로울러에 의해 안내된 후 타단이 해당 커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 로울러의 회전시 감겨지면서 주입구 통로가 개방되도록 커버부재를 삽입홈 내로 당겨주는 와이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두 커버부재가,
    원형 조합상태에서 주입구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반원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주입구 통로로부터 횡배치상태로 상기 각 삽입홈 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KR1020040078504A 2004-10-02 2004-10-02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KR20060029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04A KR20060029521A (ko) 2004-10-02 2004-10-02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04A KR20060029521A (ko) 2004-10-02 2004-10-02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21A true KR20060029521A (ko) 2006-04-06

Family

ID=3713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504A KR20060029521A (ko) 2004-10-02 2004-10-02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95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1707A (zh) * 2012-04-28 2012-08-22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升温槽槽盖
CN102698671A (zh) * 2012-05-16 2012-10-03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滑动式升温槽槽盖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41707A (zh) * 2012-04-28 2012-08-22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升温槽槽盖
CN102641707B (zh) * 2012-04-28 2015-07-29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升温槽槽盖
CN102698671A (zh) * 2012-05-16 2012-10-03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滑动式升温槽槽盖
CN102698671B (zh) * 2012-05-16 2015-04-29 苏州市金翔钛设备有限公司 滑动式升温槽槽盖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9272617B2 (en) Anti-misfueling filler neck device
US20140284329A1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20090114949A (ko)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US20080041492A1 (en) Automotive fuel filling system
KR20120123422A (ko) 오주유 방지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KR20060029521A (ko) 연료 오주입 방지를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구장치
KR101481331B1 (ko)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KR20060023613A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KR200415543Y1 (ko)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KR101755751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101351563B1 (ko) 압축천연가스 차량용 가스충전시스템의 리셉터클
KR20060091473A (ko) 디젤엔진 차량의 가솔린 주입 방지장치
KR20210073123A (ko) 캡리스 필러 넥 구조
KR101702787B1 (ko)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101613398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KR20090004113A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20160053566A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KR20060037948A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KR100968753B1 (ko) 디젤차량의 연료 주유구
KR20060018349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