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65Y1 - 혼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혼유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65Y1
KR200379665Y1 KR20-2005-0000429U KR20050000429U KR200379665Y1 KR 200379665 Y1 KR200379665 Y1 KR 200379665Y1 KR 20050000429 U KR20050000429 U KR 20050000429U KR 200379665 Y1 KR200379665 Y1 KR 200379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nozzle
cap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4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현
Original Assignee
박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현 filed Critical 박용현
Priority to KR20-2005-00004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유차량에 휘발유용 급유노즐을 통해 주입할 경우 연료주입관의 캡부가 개방되지 않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연료의 혼유공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혼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유방지장치{Oil Mixing Preventive Device}
본 고안은 혼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유차량에 휘발유용 급유노즐을 통해 주입할 경우 연료주입구의 캡부가 개방되지 않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연료의 혼유공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혼유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료비 절감을 위해서 경유차량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경유는 휘발유에 비해 연료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경유차량의 연비가 휘발유차량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경유차량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가문화의 발달로 인해 다목적 차량인 SUV(Sports Utility Vehlcle)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는데, SUV차량의 대부분이 경유차량으로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유소에서는 경유용 급유노즐과 휘발유용 급유노즐을 지름의 크기로 구별하고 있는데, 경유용 급유노즐은 지름이 약 31mm이고 휘발유용 급유노즐은 지름이 약 20mm~21mm정도이다. 그리고 휘발유 차량의 연료주입구는 그 지름이 대략 20mm~21mm로서 휘발유용 급유노즐의 지름과 동일하고 경유차량의 연료주입구의 지름은 대략 45mm~50mm이다. 따라서, 휘발유 차량에는 경유용 급유노즐이 삽입될 수 없고 휘발유용 급유노즐만 삽입되기 때문에 혼유의 문제가 발생하기 않는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유 차량의 연료주입관(7)에는 경유용 급유노즐 뿐만 아니라, 휘발유용 급유노즐(8')도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혼유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2005년부터는 국내에서 경유승용차가 시판될 예정이어서 기존 주유소의 주유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혼유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러한 혼유는 엔진의 출력저하 및 엔진 자체의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운전중 엔진의 작동이 정지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혼유는 분사펌프와 같은 연료계통 기기에 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유차량에 휘발유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혼유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혼유방지장치는, 연료주입관의 노즐가이드상에 장방향으로 연장되며 피봇가능하게 취부된 래치와 노즐가이드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캡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스토퍼와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캡을 걸림하여 상기 캡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돌부가 노즐가이드의 안내공상으로 소정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노즐가이드의 안내공의의 직경에 대응되는 급유노즐이 삽입되면 급유노즐의 선단부가 상기 돌부를 밀어 상기 래치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의 걸림상태가 해체되어 상기 캡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혼유방지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노즐가이드의 외면상에 위치되며 그 일단부에 스토퍼가 그리고 그 타단부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소정의 위치에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는 노즐가이드의 관통공을 통해 안내공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부의 노즐가이드의 관통공으로 돌출된 부분은 경유용 급유노즐의 진입방향에 대해서 하향경사져 있으며, 그 길이는 상기 노즐가이드와 경유용 급유노즐의 직경의 차이보다 크고 휘발유용 급유노즐과의 직경의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혼유방지장치는,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2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료주입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의 후면을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래치의 타단부에 취부된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연료주입구의 혼유방지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가이드(1), 래치(2), 래치브라켓(3), 캡(4), 캡브라켓(5), 캡스프링(9) 및 탄성부재(6)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가이드(1)는 연료주입관(7)의 내부에 형성되며 경유용 급유노즐(미도시)을 끼워 안내하는 안내공(11)과, 노즐가이드(1)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13) 및 노즐가이드의 내주면에 형성된 관통공(15)을 가진다.
상기 안내공(11)은 경유용 급유노즐(미도시)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서, 직경은 경유용 급유노즐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근사하게 형성하여, 상기 안내공(11)에 삽입된 경유용 급유노즐이 상기 관통공(15)으로 돌출된 래치(2)를 후퇴시켜 상기 캡(4)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13)은 상기 연료주입관(7)의 입구에서부터 일정한 각도로 테이퍼져 있어서, 급유노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관통공(15)은 상기 노즐가이드(1)의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을 통해 상기 래치(2)의 돌부(23)가 상기 노즐가이드(1)의 안내공(11)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래치(2)는 스토퍼(21)와 돌부(23)를 가지며, 상기 노즐가이드(1)의 외주면에 장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상기 래치(2)는 일단이 상기 래치브라켓(3)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탄성부재(6)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캡(4)의 개폐를 조절한다. 상기 래치(2)는 상기 래치브라켓(3)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지만, 상기 래치(2)의 일단부가 상기 노즐가이드(1)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래치(2)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회동할 수도 있다.
상기 돌부(23)는 상기 래치(2)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서 상기 노즐가이드(1)의 관통공(15)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부(23)가 경유용 급유노즐에 의해 가압되어 후퇴하면 상기 스토퍼(21)도 이에 연동하여 상기 캡부(4)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돌부(23)가 상기 관통공(15)을 통해 돌출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노즐가이드(5)와 경유용 급유노즐의 직경의 차이보다 크지만 휘발유용 급유노즐의 직경과의 차이보다는 작게 형성하고, 급유노즐의 삽입방향에 대해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여, 급유노즐이 삽입될 경우 반드시 상기 돌부(23)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21)는 상기 래치(21)의 일단에서 갈고리 형상을 가져, 상기 캡(3)의 하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가이드(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는 휘발유용 급유노즐(8')이 삽입된 경우, 휘발유용 급유노즐(8')이 상기 돌부(23)를 후퇴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21)가 상기 캡(3)을 계속하여 구속함으로서 혼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브라켓(3)은 상기 노즐가이드(1)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2)를 피봇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래치브라켓(3)에는 상기 탄성부재(6)가 취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는 상기 래치(2)를 상기 캡(4)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탄성부재(6)는 상기 연료주입관(7)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래치(2)의 일면을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 및/또는 상기 래치브라켓(3)에 형성된 토션스프링(미도시)일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6)에는 상기 래치(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치브라켓(3)에 코일스프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캡(4)은 상기 래치(2)에 의해 걸림되며 상기 노즐가이드(1)의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노즐가이드(1)를 밀폐한다. 상기 캡(4)은 상기 캡브라켓(5)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캡스프링(9)에 의해 경유용 급유노즐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캡(4)은 상기 래치(2)의 스토퍼(21)가 후퇴하고 경유용 급유노즐이 삽입되어 캡(4)의 상면을 가압하면 경유용 급유노즐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경유용 급유노즐이 후퇴하게 되면, 상기 캡(4)은 상기 캡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경유용 급유노즐의 후퇴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노즐가이드(1)의 선단부와 접하게 되고, 상기 캡(4)의 하면에는 상기 스토퍼(21)가 걸림된다.
상기 캡브라켓(5)은 상기 연료주입관(7)의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캡(4)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캡브라켓(5)에는 상기 캡스프링(9)이 취부되어 상기 캡(4)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가이드(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경유용 급유노즐(8)이 상기 노즐가이드(1)에 삽입되면서 상기 관통공(15)으로 돌출된 상기 래치(2)의 돌부(23)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상기 래치(2)가 회동하여 상기 스토퍼(21)가 후퇴되면서 상기 캡(4)에 대한 지지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상기 래치(2)에는 상기 탄성부재(6)에 의해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용 급유노즐(8)이 상기 캡(4)의 일면을 가압하여 상기 캡(4)을 경유용 급유노즐(8)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노즐가이드(1)를 개방하고 급유를 하게된다.
연료의 주입을 완료하고 상기 경유용 급유노즐(8)이 후퇴하게 되면, 상기 캡(4)이 상기 캡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노즐가이드(2)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용 급유노즐(8)이 상기 돌부(23)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6)에 의해 상기 래치(2)가 회동하여 상기 스토퍼(21)가 상기 캡(4)의 하면과 접촉함으로써 지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노즐가이드(1)에 휘발유용 급유노즐(8')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휘발유용 급유노즐(8')은 상기 경유차량의 연료주입관(7)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휘발유용 급유노즐(8')의 삽입된 경우 상기 휘발유용 급유노즐(8')이 상기 돌부(23)를 가압할 수 없어서 상기 래치(2)가 회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1)가 상기 캡(4)을 걸고 있기 때문에 상기 캡(4)의 회동이 불가능하여 혼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출원인은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경유차량에 휘발유용 급유노즐을 통해 주유할 경우 연료주입관의 캡부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연료의 혼유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주입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유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경유용 급유노즐의 삽입시 캡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휘발유용 급유노즐의 삽입시 캡이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Claims (3)

  1. 연료주입관의 노즐가이드상에 장방향으로 연장되며 피봇가능하게 취부된 래치와 노즐가이드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캡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스토퍼와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캡을 걸림하여 상기 캡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돌부가 노즐가이드의 안내공상으로 소정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노즐가이드의 안내공의 직경에 대응되는 급유노즐이 삽입되면 급유노즐의 선단부가 상기 돌부를 밀어 상기 래치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캡의 걸림상태가 해체되어 상기 캡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노즐가이드의 외면상에 위치되며 그 일단부에 스토퍼가 그리고 그 타단부에서 피봇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소정의 위치에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는 노즐가이드의 관통공을 통해 안내공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부의 노즐가이드의 관통공으로 돌출된 부분은 급유노즐의 진입방향에 대해서 하향경사져 있으며, 그 길이는 상기 노즐가이드와 경유용 급유노즐의 직경의 차이보다 크고 휘발유용 급유노즐과의 직경의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방지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연료주입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래치의 후면을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래치의 타단부에 취부된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유방지장치.
KR20-2005-0000429U 2005-01-06 2005-01-06 혼유방지장치 KR200379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29U KR200379665Y1 (ko) 2005-01-06 2005-01-06 혼유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429U KR200379665Y1 (ko) 2005-01-06 2005-01-06 혼유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309 Division 2005-0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65Y1 true KR200379665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429U KR200379665Y1 (ko) 2005-01-06 2005-01-06 혼유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65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51B1 (ko) 2005-12-10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캡구조
KR100785371B1 (ko) 2006-02-21 2007-12-18 박종혁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KR101320368B1 (ko) * 2012-01-31 2013-10-23 한국과학기술원 혼유방지장치
KR101391919B1 (ko) 2012-11-21 2014-05-07 김창명 차량의 혼유방지장치
KR20140062265A (ko) * 2012-11-14 2014-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종이 다른 연료의 주유를 방지하기 위한 주유파이프의 구조
KR101481343B1 (ko) * 2013-12-1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KR101481331B1 (ko) * 2013-11-19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KR101491287B1 (ko) 2013-07-26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유 방지용 주유구 장치
KR101500136B1 (ko) * 2013-09-06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9272617B2 (en) 2013-05-08 2016-03-01 Hyundai Motor Company Anti-misfueling filler neck device
US9393865B2 (en) 2014-04-16 2016-07-19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fuel filler neck to prevent misfueling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51B1 (ko) 2005-12-10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캡구조
KR100785371B1 (ko) 2006-02-21 2007-12-18 박종혁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KR101320368B1 (ko) * 2012-01-31 2013-10-23 한국과학기술원 혼유방지장치
KR20140062265A (ko) * 2012-11-14 2014-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종이 다른 연료의 주유를 방지하기 위한 주유파이프의 구조
KR101894842B1 (ko) * 2012-11-14 2018-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유종이 다른 연료의 주유를 방지하기 위한 주유파이프의 구조
KR101391919B1 (ko) 2012-11-21 2014-05-07 김창명 차량의 혼유방지장치
US9272617B2 (en) 2013-05-08 2016-03-01 Hyundai Motor Company Anti-misfueling filler neck device
KR101491287B1 (ko) 2013-07-26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유 방지용 주유구 장치
KR101500136B1 (ko) * 2013-09-06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9481239B2 (en) 2013-09-06 2016-11-01 Hyundai Motor Company Misfuelling prevention apparatus for vehicles
KR101481331B1 (ko) * 2013-11-19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US9522593B2 (en) 2013-12-10 2016-12-20 Hyundai Motor Company Misfuelling prevention system for vehicle
KR101481343B1 (ko) * 2013-12-10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US9393865B2 (en) 2014-04-16 2016-07-19 Hyundai Motor Company Structure of fuel filler neck to prevent misfueling
DE102014117865B4 (de) 2014-04-16 2022-09-01 Hyundai Motor Company Fehlbetankungsverhinderungssystem für Fahrzeu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9665Y1 (ko) 혼유방지장치
KR101363439B1 (ko) 연료 탱크의 급유구 구조
DE112012003803B4 (de) Reduktionsmittelzufuhreinheit für eine selektive katalytische Reduktions-(SCR)Nachbehandlung von Abgasen für Fahrzeuge mit einer Aufnahmestruktur für eine gefrorene Komponente
EP1690726B1 (de) Deckellos verschließbarer Stutzenabschluss für einen Einfüllstutzen eines Tanks eines Kraftfahrzeugs
CN102131669A (zh) 防止误加油装置
US8567458B2 (en) Fuel filler apparatus of vehicle
EP2733113A1 (de) Zapfventil mit einem Sicherheitsventil
KR20140148482A (ko) 연료 탱크의 급유부 구조
KR101755751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100513874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KR10078537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KR200376996Y1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100980950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KR101702787B1 (ko)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200415543Y1 (ko) 경유 승용차 연료주입구 안전장치
KR20090004113A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100580934B1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100716351B1 (ko) 차량의 연료캡구조
CN211000916U (zh) 一种燃油箱加油口结构
KR100980663B1 (ko) 차량의 사이드슬라이딩도어 개방제한장치
KR20060037948A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CN208069402U (zh) 一种自卸车油箱防盗油结构
KR100570041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연료토출방지장치
KR101320368B1 (ko) 혼유방지장치
KR200147214Y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