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981A -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 Google Patents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981A
KR20140138981A KR20147029114A KR20147029114A KR20140138981A KR 20140138981 A KR20140138981 A KR 20140138981A KR 20147029114 A KR20147029114 A KR 20147029114A KR 20147029114 A KR20147029114 A KR 20147029114A KR 20140138981 A KR20140138981 A KR 20140138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ar body
columnar
opening
length
rotatio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943B1 (ko
Inventor
신고 다나카
시게호 다나카
도모키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9Perforated sheet-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07B1/524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the brushes bein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4Cleaning with b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03Separation of articles by differences in their geometrical form or by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compressibility, hardnes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atalysts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Abstract

길이 및 굵기가 서로 다른 2종의 원기둥체끼리, 특히 길이 및 직경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원기둥체끼리를 충분히 분별할 수 있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1)는, 특정 형상의 개구 구멍(H)이 형성된 체(10)에 의해서,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한다.

Description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METHOD FOR DISTINGUISHING COLUMNAR BODIES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COLUMNAR BODIES}
본 발명은 길이 및 굵기가 서로 다른 2종의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3월 1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2-062114 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고체 촉매를 이용한 반응에 있어서는, 통상 반응기의 내부에, 고체 촉매의 기둥형상체와, 반응을 조정하기 위한 희석용의 기둥형상체가 충전되는 경우가 있다. 반응 활성이 저하한 고체 촉매는 교환을 위해서 반응기로부터 취출되며, 근래에는 폐기 처분되지 않고 재생되어 리사이클된다. 그러나, 사용완료의 고체 촉매를 리사이클하기 위해서는, 희석용의 기둥형상체와 분별할 필요가 있다.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를 분별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체(sieve)와, 그 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체의 내주면측에 2종의 기둥형상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체로서는, 그 개구 구멍이 둥근 구멍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허문헌 2에는 육각 구멍, 삼각 구멍, 사각 구멍 등의 개구 구멍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123165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084805 호 공보
그런데, 상기 고체 촉매의 기둥형상체와 희석용의 기둥형상체는, 길이 및 굵기의 차이가 근소하며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분별 장치에서는,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를 분별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길이 및 굵기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의 분별에 특허문헌 2에 기재의 체를 이용하여도, 충분히 분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길이 및 굵기가 서로 다른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 특히 길이 및 직경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원기둥체끼리를 충분히 분별할 수 있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태양을 갖는다.
[1]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한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하기 (Ⅰ) 및 (Ⅱ)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이용하여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Ⅰ)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에 평행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며,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Ⅱ)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한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2]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이 아닌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하기 (Ⅲ) 및 (Ⅳ)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이용하여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Ⅲ)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측면에 있어서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거리가 가장 긴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Ⅳ)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3] 개구 구멍이 육각형인 [1]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4] 개구 구멍이 육각형인 [2]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5] 개구 구멍이 긴 구멍형인 [1]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6] 개구 구멍이 긴 구멍형인 [2]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7] 개구 구멍이 하기 조건 (a) 내지 (d)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3] 또는 [4]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a) 개구 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평행이며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음.
(b) 개구 구멍 중 어느 하나의 변(S1)과 상기 변(S1)에 평행한 변(S2)의 거리(W)는 제 1 기둥형상체의 직경 및 길이보다 크며, 또한 제 2 기둥형상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음.
(c) 상기 W의 방향을 X 방향, 상기 변(S1)과 평행인 방향을 Y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변(S1)의 길이(LA), 및 육각형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B)는, 제 1 기둥형상체가, 그 축 방향이 Z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개구 구멍에 삽입되며, 축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이 마련되었을 때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축이 Y-Z 평면을 따르도록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음.
(d) 상기 LA 및 상기 LB는, 제 2 기둥형상체를, 그 축 방향이 X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상에 배치했을 때에, 개구 구멍을 통과할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음.
[8] 제 1 기둥형상체 및 제 2 기둥형상체가 각각 원기둥체인 [7]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9] 상기 체가 원통형상의 체이며, 상기 원통형상의 체의 내주면측에 상기 2종의 기둥형상체를 공급하여, 상기 원통형상의 체를 회전시키는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0] 상기 제 1 기둥형상체 및 상기 제 2 기둥형상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겨서 상기 원통형상의 체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9]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1] 상기 원통형상의 체의 내주면에 브러시를 접촉시켜서 스케일을 제거하는 [10]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2] 상기 원통형상의 체를 해머로 두드려 스케일을 제거하는 [10]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3] 하기 (Ⅰ) 및 (Ⅱ)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구비하고,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인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Ⅰ)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에 평행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명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으며,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Ⅱ)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14] 하기 (Ⅲ) 및 (Ⅳ)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구비하고,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이 아닌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Ⅲ)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측면에 있어서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거리가 가장 긴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Ⅳ)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15] 개구 구멍이 육각형상이며, 하기 조건 (a) 내지 (d)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13] 또는 [14]에 기재된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a) 개구 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평행이며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음.
(b) 개구 구멍 중 어느 하나의 변(S1)과 상기 변(S1)에 평행인 변(S2)의 거리(W)는 제 1 기둥형상체의 직경 및 길이보다 크고, 또한 제 2 기둥형상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음.
(c) 상기 W의 방향을 X 방향, 상기 변(S1)과 평행 방향을 Y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변(S1)의 길이(LA), 및 육각형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B)는, 제 1 기둥형상체가, 그 축 방향이 Z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개구 구멍에 삽입되며, 축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었을 때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축이 Y-Z 평면을 따르도록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음.
(d) 상기 LA 및 상기 LB는, 제 2 기둥형상체를, 그 축 방향이 X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상에 배치했을 때에, 개구 구멍을 통과할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음.
본 발명의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에 의하면, 길이 및 굵기가 서로 다른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 특히 길이 및 직경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원기둥체끼리를 충분히 분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를 구성하는 원통 체의 개구 구멍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Ⅳ-Ⅳ'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에 대하여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개구 구멍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1의 개구 구멍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3의 개구 구멍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비교예 1의 개구 구멍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본 발명의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형태의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1)는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통 체(10)와, 구동 수단(20)과,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30)과, 막힘 제거 수단(40)과, 스케일 제거 수단(50)을 구비한다.
원통 체(10)는 주면(周面)(11)에 육각형상의 개구 구멍(H1)(도 3 참조)이 형성된 원통 체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개구 구멍(H1)을 확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원통 체(10)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이라도 좋으며, 수지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원통 체(10)에는, 구동 수단(20)의 구동력을 받는 치차(12)가 주면(11)에 마련되어 있다.
제 1 기둥형상체가,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인 기둥형상체인 경우에는 하기 (Ⅰ) 및 (Ⅱ)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H1)이 형성된 원통 체(10)를 이용하여, 제 1 기둥형상체와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면 좋다.
(Ⅰ)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에 평행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Ⅱ)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C1)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G)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G)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H1)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또한, 제 1 기둥형상체의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하다라는 것은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각도가 180°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180°±5 이내인 것을 포함한다.
제 1 기둥형상체가,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이 아닌 기둥형상체인 경우에는, 하기 (Ⅲ) 및 (Ⅳ)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H1)이 형성된 원통 체(10)를 이용하여, 제 1 기둥형상체와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면 좋다.
(Ⅲ)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측면의 가장 긴 부분에 수직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Ⅳ)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개구 구멍(H1)은 하기 (a) 내지 (d)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육각형상의 구멍이 바람직하다.
(a) 개구 구멍(H1)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변(S1)과 변(S2), 변(S3)과 변(S4), 변(S5)과 변(S6))이 평행이며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음.
(b) 개구 구멍(H1) 중 어느 하나의 변(S1)과 상기 변(S1)에 평행인 변(S2)의 거리(W)는 제 1 기둥형상체(C1)의 굵기(DC1) 및 길이(LC1)보다 크게 되어 있다(도 6 및 7 참조). 또한, 거리(W)는 제 2 기둥형상체(C2)의 굵기(DC2)보다 작게 되어 있다(도 8 참조).
(c) 상기 W의 방향을 X 방향, 상기 변(S1)과 평행인 방향을 Y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변(S1)의 길이(LA), 및 육각형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B)는, 제 1 기둥형상체(C1)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축(Q)의 방향이 Z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개구 구멍(H1)에 삽입되며, 축(Q)의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P)이 마련되었을 때에,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둥형상체(C1)의 축(Q)이 Y-Z 평면을 따르도록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음.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도 9 및 도 10의 제 1 기둥형상체(C1)를 경사지도록 회전시킨 상태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9 및 도 10의 제 1 기둥형상체(C1)를 90° 회전시킨 상태이다.
(d) 상기 LA 및 상기 LB는, 제 2 기둥형상체(C2)를, 그 축(Q)의 방향이 X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H1) 상에 배치했을 때에, 개구 구멍(H1)을 통과할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둥형상체(C2)의 굵기(DC2)가 상기(LA)보다 짧고 또한 제 2 기둥형상체(C2)의 길이(LC2)가 상기 W보다 길면, 제 2 기둥형상체(C2)는 개구 구멍(H1)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둥형상체(C2)의 굵기(DC2)가 상기(LA)와 동등 이상이며 또한 제 2 기둥형상체(C2)의 길이(LC2)가 상기 W보다 짧은 경우에서도, LA 및 LB에 따라서는 제 2 기둥형상체(C2)의 양 단부측이 개구 구멍(H1)의 가장자리에 걸리기 때문에, 제 2 기둥형상체(C2)를 통과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a) 내지 (d)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기둥형상체(C1)와 제 2 기둥형상체(C2)의 분별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변(S1)이 원통 체(10)의 원주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H1)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수단(20)은 원통 체(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며, 통상은 모터를 구동원으로 한 것이 사용된다. 구동 수단(20)의 구동력은 치차(21)를 거쳐서 원통 체(10)에 전달된다.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30)은 원통 체(10)의 내주면측에 2종의 기둥형상체를 탱크(31)로부터 공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30)은 탱크(31)로부터 2종의 기둥형상체를 정량 피더(32)로 원통 체(10)에 공급하는 것이다.
막힘 제거 수단(40)은, 회전 가능한 복수의 원반(41)이 각각 원통 체(10)의 회전 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되며, 주면이 원통 체(10)에 접촉하도록 축(42)에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힘 제거 수단(40)은 원통 체(10)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원반(41)을 확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원반(41)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며, 금속이라도 좋고, 수지 및 고무제라도 좋다.
스케일 제거 수단(50)은 원통 체(10)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브러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케일 제거 수단(50)이, 원통 체(10)의 내주면의, 회전시에 상승하도록 이동하는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상기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1)를 이용하여,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에서는, 우선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30)을 이용하여, 원통 체(10)의 내주면측에 2종의 기둥형상체를 공급하고, 구동 수단(20)을 구동시켜, 치차(21, 12)를 거쳐서 원통 체(10)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 체(10)의 내주면측의 하부에서 2종의 기둥형상체를 체로 걸러서, 제 1 기둥형상체를 선택적으로 개구 구멍(H1)에 통과시킨다. 개구 구멍(H1)을 통과한 제 1 기둥형상체는 예를 들면 용기로 받아 회수하고, 개구 구멍(H1)을 통과하지 않은 제 2 기둥형상체는 원통 체(10)의 회전을 정지시킨 후, 취출하여 회수한다. 또는, 원통 체(10)의 회전을 정지시키지 않고, 원통 체(10)의 기둥형상체 공급측의 반대측의 개구로부터 연속적으로, 제 2 기둥형상체를 배출시켜서 회수하여도 좋다. 그 때, 제 2 기둥형상체의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서, 장치 전체를 0.1° 내지 20° 정도 기둥형상체 공급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져도 좋다.
원통 체(10)를 회전시켜서 2종의 기둥형상체를 체로 거르고 있을 때에는, 개구 구멍(H1)에 기둥형상체가 막히는 일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힘 제거 수단(40)의 회전하는 원반(41)에 의해서, 막힌 기둥형상체를 원통 체(10)의 내주면측으로 압입하여 되돌림으로써, 막힘을 해소한다.
또한, 원통 체(10)를 회전시켜서 2종의 기둥형상체를 체로 거를 때에는, 상기 제 1 기둥형상체 및 상기 제 2 기둥형상체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생긴 스케일이 원통 체(1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로 이루어지는 스케일 제거 수단(50)이 원통 체(10)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스크레이핑하여 제거한다. 또한, 적절히 해머를 이용하여 원통 체(10)를 두드려 스케일을 제거하여도 좋다.
상기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가 적용되는 2종의 기둥형상체로서는, 원기둥체, 사각기둥체, 삼각기둥체, 오각기둥체, 육각기둥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것은 원기둥체이다.
2종의 원기둥체로서는, 예를 들면 고체 촉매의 원기둥체와 희석용의 원기둥체(예를 들면, 세라믹스 원기둥체, 금속 원기둥체 등)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원기둥체란 스프링 등의 원통 체도 포함한다.
제 1 원기둥체는 길이/직경의 비율이 0.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원기둥체의 직경과 제 1 원기둥체의 직경의 비율(제 2 원기둥체의 직경/제 1 원기둥체의 직경)은 1.05 내지 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원기둥체의 길이와 제 1 원기둥체의 직경의 비율(제 2 원기둥체의 길이/제 1 원기둥체의 직경)은 1.05 내지 6.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둥형상체가 원기둥체인 경우, 기둥형상체의 굵기란 원기둥체의 직경이다. 기둥형상체가 각기둥체인 경우, 기둥형상체의 굵기란 각기둥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이며 가장 면적이 큰 면에 있어서의 외접원의 직경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체의 개구 구멍(H1)의 형상이 상기 (a) 내지 (d)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육각형이기 때문에, 길이 및 굵기가 다른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 특히 길이 및 직경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원기둥체끼리를 충분히 분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체가, 회전하는 원통 체(10)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연속 분별할 수 있으며, 게다가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1)를 콤팩트화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은, 탱크의 하부에 설치한 밸브를 개방했을 때에 2종의 기둥형상체의 자중으로 탱크로부터 낙하하여 원통 체에 공급하는 것이어도 좋다. 막힘 제거 수단은 복수의 찌름봉이 개구 구멍에 대응하도록 빗 형상으로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는,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 막힘 제거 수단, 스케일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원통 체에 2종의 기둥형상체를 공급하면 좋고, 막힘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장치를 정지하고 작업자가 막힘을 제거하면 좋으며, 스케일 제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장치를 정지하고 작업자가 스케일을 제거하면 좋다.
또한, 상기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는 1개일 필요는 없으며, 2개 이상을 직렬로 접속하여도 상관 없다.
또한, 체는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평판형상이어도 좋다. 평판형상인 체의 경우에는, 상기 체가 경사지며 또한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에 형성되는 개구 구멍은 상기 육각형의 구멍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7에 도시하는 개구 구멍(H2 내지 H13)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 구멍이 육각형이 아닌 경우는, Y 방향이 개구 구멍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방향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S1 내지 S4는 개구 구멍이 육각형일 때의 S1 내지 S4와는 무관계하다.
개구 구멍(H2)은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모두 직선형상이며, 제 3 변(S3)에 근접함에 따라서 서로의 간격이 좁아져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3)은 직사각형상이며, 각이 90°로 굴곡하여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4)은 팔각형상 구멍이다.
개구 구멍(H5)은 오각형상이며,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서로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6)은 긴 구멍형상의 구멍이며,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서로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7)은 직사각형상이지만, 각이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 구멍(H8)은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서로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 3 변(S3)이 곡선형상, 제 4 변(S4)이 직선형상인 구멍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개구 구멍이 육각형이 아닌 경우, 제 1 변(S1)과 제 3 변(S3) 또는 제 4 변(S4)의 경계, 제 2 변(S2)과 제 3 변(S3) 또는 제 4 변(S4)의 경계는, X-Y 평면에 있어서 변의 방향이 변화하는 부분이다.
개구 구멍(H9)은 제 1 변(S1) 및 제 2 변(S2)이 파형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변(S1)과 제 2 변(S2)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10)은 제 1 변(S1) 및 제 2 변(S2)이 지그재그 형상이며, 제 1 변(S1)과 제 2 변(S2)의 간격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11)은 제 1 변(S1) 및 제 2 변(S2)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변(S1)과 제 2 변(S2)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12)은 오각형상이며,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제 3 변(S3)에 근접함에 따라서 서로의 간격이 좁아져 있는 구멍이다.
개구 구멍(H13)은 육각형상이지만,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약간 외측으로 부풀어 오른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멍이다.
상기 개구 구멍(H1 내지 H13)은 Y 방향이 X 방향보다 긴 구멍이다. 개구 구멍(H1 내지 H13)의 Y 방향이 X 방향보다 길면, 길이 및 굵기가 약간 다른 2종의 기둥형상체끼리를 보다 분별하기 쉬워진다.
또한, 긴 구멍형상의 개구 구멍은, 육각형상의 개구 구멍과 마찬가지로, 분별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단, 긴 구멍형상이란, 개구 구멍(H6)과 같은, 제 1 변(S1)과 제 2 변(S2)이 서로 평행인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타원형상도 긴 구멍형상에 포함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1)에 있어서, 도 3에 있어서의 개구 구멍(H1)의 W가 5.5㎜, LA가 4.5㎜, LB가 13.5㎜인 육각형의 원통 체(10)를 이용하여, 촉매 원기둥체(직경 5mm, 길이 5mm)와, 원기둥체인 스테인리스제 스프링(직경(외경) 6㎜, 길이 6mm)을 분별했다.
또한, 사용한 원통 체(10)의 상기 치수의 개구 구멍(H1)은 (a) 내지 (d)를 만족하는 것이다. 즉,
(a) 개구 구멍(H1)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변(S1)과 변(S2), 변(S3)과 변(S4), 변(S5)과 변(S6))이 평행이며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음.
(b) 개구 구멍(H1)의 변(S1)과 변(S2)의 거리(W)는 촉매 원기둥체의 직경 및 길이보다 크며, 또한 스프링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음.
(c) 변(S1)의 길이(LA), 및 육각형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B)는 촉매 원기둥체가, 그 축 방향이 Z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개구 구멍(H1)에 삽입되며, 축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P)이 마련되었을 때에, 촉매 원기둥체의 축(Q)이 Y-Z 평면을 따르도록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음.
(d) LA 및 LB는, 스프링을, 그 축 방향이 X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H1) 상에 배치했을 때에, 개구 구멍(H1)을 통과할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음.
본 예에 있어서의 개구 구멍(H1)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방향의 배열 및 Y 방향의 배열이 모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원기둥체의 분별은, 구체적으로는, 구동 수단(20)을 이용하여 원통 체(10)를 회전시키면서,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30)을 이용하여 원통 체(10)의 내주면측에 2종의 원기둥체를 공급하고, 스프링이 원통 체(10) 내에 남고, 촉매 원기둥체가 개구 구멍(H1)을 통과하도록 분별했다.
그리고, 원통 체에 공급한 촉매 원기둥체 중 원통 체를 통과한 촉매 원기둥체의 질량을 a, 원통 체 내에 잔류한 촉매 원기둥체의 질량을 b로 하여,
(원통 체를 통과한 촉매 원기둥체의 비율 A)=a/(a+b)×100[질량%],
(원통 체 내에 잔류한 촉매 원기둥체의 비율 B)=b/(a+b)×100[질량%]
로 나타내고,
원통 체에 공급한 스프링 중 원통 체를 통과한 스프링의 질량을 c, 원통 체내에 잔류한 스프링의 질량을 d로 하여,
(원통 체를 통과한 스프링의 비율 C)=c/(c+d)×100[질량%],
(원통 체 내에 잔류한 스프링의 비율 D)=d/(c+d)×100[질량%]
로 나타내고, 이하의 분별성 지수(E)로 분별성을 평가했다.
(분별성 지수 E)=(원통 체를 통과한 촉매 원기둥체의 비율 A)/100×(원통 체 내에 잔류한 스프링의 비율 D)/100
여기서, 분별성 지수(E)는, 통과시키고 싶은 것(촉매 원기둥체)이 통과한 양(100%에 가까울수록 좋음)×남기고 싶은 것(스프링)이 남은 양(100%에 가까울수록 좋음)이기 때문에, 1에 가까울수록 좋은 것이 된다. 0.90 이상이라면 분별성 양호라고 판단했다. 분별성 지수(E)는 0.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 체의 전체 개구 구멍 수에 대하여 막힌 개구 구멍수의 비율 %도 측정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개구 구멍이 형성되며, 경사 각도 4°로 경사진 평판형상의 체를 이용하여, 촉매 원기둥체(직경 5mm, 길이 5mm)와 스테인리스제 스프링(직경(외경) 6㎜, 길이 6mm)을 분별했다. 분별이 한창일 때에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체를 진동시켰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분별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본 예에서는, 평판형상의 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분별성 지수(E)는 "원통 체 내에 잔류했음"을 "체 상에 잔류했음"으로 치환하여 구했다.
(실시예 3)
원통 체의 개구 구멍을, 도 17에 도시하는 대략 긴 구멍형이며 긴 구멍의 개구 구멍(H6)(LA : 5㎜, LB : 28㎜)으로 하고,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방향의 배열이 지그재그가 되도록, Y 방향의 배열이 직렬이 되도록 배치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종의 원기둥체끼리를 분별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분별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원통 체의 개구 구멍을 진원형상의 둥근 구멍(H20)(개구 직경 5㎜)으로 하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 방향의 배열 및 Y 방향의 배열이 모두 직렬이 되도록 배치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종의 원기둥체끼리를 분별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분별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단위 촉매 원기둥체 스프링 촉매 원기둥체 스프링 촉매 원기둥체 스프링 촉매 원기둥체 스프링
체를 통과한 비율 질량% 99.9 0.2 98.8 0.2 90.8 0.0 8.4 0.0
체 내 또는 체 상에 잔류한 비율 질량% 0.1 99.8 1.2 99.8 9.2 100.0 91.6 100.0
분별성 지수(E) - 0.997 0.986 0.908 0.084
막힌 개구 구멍의 비율 % 0.4 2.9 6.9 1.6
실시예 1, 2, 3에서는, 분별성 지수(E)가 0.997, 0.986, 0.908이며, 1에 가까웠다. 즉, 길이 및 직경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원기둥체(촉매 원기둥체, 스프링)의 분별성이 뛰어났다.
개구 구멍이 둥근 구멍인 체를 이용하여 2종의 원기둥체를 체로 거른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분별성 지수(E)가 0.084로 작아서, 길이 및 직경의 차이가 근소한 2종의 원기둥체의 분별성이 불충분했다.
1 :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10 : 원통 체
11 : 주면(周面) 12 : 치차
20 : 구동 수단 21 : 치차
30 : 기둥형상체 공급 수단 31 : 탱크
32 : 정량 피더 40 : 막힘 제거 수단
41 : 원반 42 : 축
50 : 스케일 제거 수단 H1 내지 H13 : 개구 구멍

Claims (15)

  1.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인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하기 (Ⅰ) 및 (Ⅱ)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sieve)를 이용하여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Ⅰ)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에 평행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Ⅱ)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2.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이 아닌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하기 (Ⅲ) 및 (Ⅳ)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이용하여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Ⅲ)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측면에 있어서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거리가 가장 긴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Ⅳ)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3.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 구멍이 육각형인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개구 구멍이 육각형인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 구멍이 긴 구멍형인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개구 구멍이 긴 구멍형인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개구 구멍이 하기 조건 (a) 내지 (d)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a) 개구 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평행이며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음.
    (b) 개구 구멍 중 어느 하나의 변(S1)과 상기 변(S1)에 평행인 변(S2)의 거리(W)는 제 1 기둥형상체의 직경 및 길이보다 크고, 또한 제 2 기둥형상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음.
    (c) 상기 W의 방향을 X 방향, 상기 변(S1)과 평행인 방향을 Y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변(S1)의 길이(LA), 및 육각형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B)는, 제 1 기둥형상체가, 그 축 방향이 Z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개구 구멍에 삽입되며, 축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이 마련되었을 때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축이 Y-Z 평면을 따르도록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음.
    (d) 상기 LA 및 상기 LB는, 제 2 기둥형상체를, 그 축 방향이 X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상에 배치했을 때에, 개구 구멍을 통과할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음.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및 제 2 기둥형상체가 각각 원기둥체인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가 원통형상의 체이며, 상기 원통형상의 체의 내주면측에 상기 2종의 기둥형상체를 공급하여, 상기 원통형상의 체를 회전시키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둥형상체 및 상기 제 2 기둥형상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겨서 상기 원통형상의 체의 내주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체의 내주면에 브러시를 접촉시켜서 스케일을 제거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체를 해머로 두드려 스케일을 제거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13. 하기 (Ⅰ) 및 (Ⅱ)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구비하고,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인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Ⅰ)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에 평행한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Ⅱ)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14. 하기 (Ⅲ) 및 (Ⅳ)를 만족하는 개구 구멍이 형성된 체를 구비하고,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이 서로 평행이 아닌 제 1 기둥형상체와, 길이 및 굵기가 제 1 기둥형상체보다 큰 제 2 기둥형상체를 분별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Ⅲ)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일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체의 개구면을 따르는 동시에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X 방향 및 Y 방향의 양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하고,
    제 1 기둥형상체의 중심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측면에 있어서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거리가 가장 긴 직선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회전축(A)을, X-Y 평면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제 1 기둥형상체를 회전시켰을 때에, X-Y 평면 내에서의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의하지 않으며, 제 1 기둥형상체가 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360° 회전할 수 있는 형상의 개구 구멍임.
    (Ⅳ) 가상 회전축(A)을 중심으로 360° 회전시켰을 때의 제 1 기둥형상체를, 가상 회전축(A)을 포함하는 X-Y 평면에 투영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으로 하고, 가상 회전축(A)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둥형상체 통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끼리의 간격을 D로 했을 때에, D의 최소값이 제 2 기둥형상체의 길이 및 굵기보다 작은 개구 구멍임.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개구 구멍이 육각형상이며, 하기 조건 (a) 내지 (d)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a) 개구 구멍의,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평행이며 또한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음.
    (b) 개구 구멍 중 어느 하나의 변(S1)과 상기 변(S1)에 평행인 변(S2)의 거리(W)는 제 1 기둥형상체의 직경 및 길이보다 크고, 또한 제 2 기둥형상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음.
    (c) 상기 W의 방향을 X 방향, 상기 변(S1)과 평행인 방향을 Y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Z 방향으로 했을 때에, 상기 변(S1)의 길이(LA), 및 육각형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LB)는, 제 1 기둥형상체가, 그 축 방향이 Z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개구 구멍에 삽입되며, 축 방향의 중앙에 회전축이 마련되었을 때에, 제 1 기둥형상체의 축이 Y-Z 평면을 따르도록 회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음.
    (d) 상기 LA 및 상기 LB는, 제 2 기둥형상체를, 그 축 방향이 X 방향을 따르도록 개구 구멍 상에 배치했을 때에, 개구 구멍을 통과할 수 없는 길이로 되어 있음.
KR1020147029114A 2012-03-19 2013-03-13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KR101604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2114 2012-03-19
JPJP-P-2012-062114 2012-03-19
PCT/JP2013/057092 WO2013141121A1 (ja) 2012-03-19 2013-03-13 柱状体分別方法および柱状体分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981A true KR20140138981A (ko) 2014-12-04
KR101604943B1 KR101604943B1 (ko) 2016-03-18

Family

ID=4922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114A KR101604943B1 (ko) 2012-03-19 2013-03-13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086063B2 (ko)
KR (1) KR101604943B1 (ko)
CN (1) CN104203434B (ko)
SA (1) SA113340386B1 (ko)
SG (1) SG11201403632XA (ko)
WO (1) WO2013141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9665B (zh) * 2014-12-03 2016-09-21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振动筛板网眼自清理结构
CN110238028B (zh) * 2019-06-18 2020-07-31 安徽德鑫源食品有限公司 一种气体压缩法防堵塞面粉杂质筛选装置
CN114308671B (zh) * 2021-12-30 2023-06-06 广西贵港和乐门业有限公司 一种铰链自动分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661A (en) * 1975-11-06 1977-04-05 Iony Kk Rotary grain separating cylinder
JPH0344313Y2 (ko) * 1985-12-12 1991-09-18
JPS62142043A (ja) * 1985-12-16 1987-06-25 Sumitomo Heavy Ind Ltd 形状記憶合金使用の金属網
JP2592877B2 (ja) * 1986-03-10 1997-03-19 シ−ア−ルアイ インタ−ナショナル インコ−ポレ−テッド 長さのグレード評価を用いた改良触媒型粒子の製造
JPH09123165A (ja) * 1995-11-02 1997-05-13 Mitsubishi Chem Corp 異形粒子分別方法及び分別装置
JPH1084805A (ja) * 1996-09-12 1998-04-07 Amiigo:Kk ペット用便器
JP2004290851A (ja) * 2003-03-27 2004-10-21 Sumitomo Chem Co Ltd 柱状触媒または柱状触媒担体の選別方法
JP2005205320A (ja) * 2004-01-22 2005-08-04 Mitsubishi Chemicals Corp 固体触媒の充填方法
KR200351047Y1 (ko) 2004-02-19 2004-05-17 탄용환경개발(주) 순환골재 제조장치
DE102007028332A1 (de) * 2007-06-15 2008-12-18 Basf Se Verfahren zum Beschicken eines Reaktors mit einem Katalysatorfestbett, das wenigstens ringförmige Katalysatorformkörper K umfasst
JP5287073B2 (ja) * 2007-09-28 2013-09-11 東レ株式会社 樹脂ペレットの選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403632XA (en) 2014-09-26
JPWO2013141121A1 (ja) 2015-08-03
WO2013141121A1 (ja) 2013-09-26
CN104203434B (zh) 2016-04-13
SA113340386B1 (ar) 2017-06-01
JP6086063B2 (ja) 2017-03-01
KR101604943B1 (ko) 2016-03-18
CN104203434A (zh)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943B1 (ko) 기둥형상체 분별 방법 및 기둥형상체 분별 장치
KR101065178B1 (ko) 정제 피더
EP1358020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separate elements or materials of different sizes
US9156062B2 (en) Vibratory screener cleaning system
US6234322B1 (en) Roller device to separate chips and particles of wood or material similar to wood of different gradings, and the relative forming machine employing the device
JP4921521B2 (ja) 分離板型遠心分離機用分離板の製造方法
KR20060110750A (ko) 절삭공구용 절삭팁 및 절삭공구
DE102011084566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enntellers für einenzentrifugalseparator mit separationsplatte
CA2436818C (en) Roller screen and method for sorting materials by size
SE526772C2 (sv) Skärverktyg med serrationskopplingsytor samt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dessa
DE602004002878T2 (de) Block zur filtration von in abgasen von einem verbrennungsmotor enthaltenen teilchen
FI89774C (fi) Disksikt eller motsvarande roterande axelenhet
EP1287933A2 (en) Method of making extrusion die with varying pin size
JP3653280B2 (ja) 塞ぎ板型配向機
WO2007134629A1 (de)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plattenförmigen materialien für zumindest einen trennvorgang
DE3626002C2 (ko)
EP1867420B1 (de) Sägeblatt mit Seitenschlag
DE102011012045A1 (de) Abgaswäscher
WO2001096021A1 (en) Granulator
DE102010049773A1 (de) Schneid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Tabakfasern von einem zugeführten Tabakkuchen und Schneidmesser für eine derartige Schneidvorrichtung
DE60110250T2 (de) Autogen-rotor
EP1807223B1 (de) Sichter mit sichterrad zur trennung staubförmiger fasriger oder körniger güter
WO2008034517A1 (de) Lamellenschleifscheibe
DE102009019394A1 (de) Wälzfräser
AT391635B (de) Schwerkraftsic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