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172A - 스태빌라이저 바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172A
KR20140135172A KR1020147023915A KR20147023915A KR20140135172A KR 20140135172 A KR20140135172 A KR 20140135172A KR 1020147023915 A KR1020147023915 A KR 1020147023915A KR 20147023915 A KR20147023915 A KR 20147023915A KR 20140135172 A KR20140135172 A KR 2014013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stabilizer bar
bearings
vehicle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 자른스트롬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4013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1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60G99/002Suspension details of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body on the vehicl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62D33/067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62D33/1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comprising means for the suspension of the superstructure on th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0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for particular modes of stressing
    • F16F1/3814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for particular modes of stressing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to counter axial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28End stop features or bu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6Mounting of vehicle body on chassis
    • B60G2204/162Cabins, e.g. for trucks,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 F16C35/073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between shaft and inner race ring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 장치(9)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실 내의 피칭 운동에 주로 대항하도록 의도되고 부싱(15)을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에 관한 것이며, 부싱(14)의 각 측부에는 본질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측방 정지체(16a, 16b)가 배치되고, 그 외측에는 베어링(17a, 17b)이 배치된다. 베어링(17a, 17b)과 측방 정지체(16a, 16b) 사이에는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이 배치되고 측방 정지체의 직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측방 정지체(16a, 16b)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고 측방 정지체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힘을 흡수하고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a, 22b)과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 사이에 공기 간극(24a, 24b)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a, 22b)과 측방 정지체(16a, 16b)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이 달성된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SER BA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내의 피칭 운동(pitching movement)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싱 장치(bushing device)가 제공된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ser bar)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프레임 내의 운전실(driver's cab)을 현가하기 위한 장치에 장착하고 적용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며, 특히 트럭과 같은 상용 대형 차량용으로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스태빌라이저 바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대형 차량에는, 운전자 및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프레임으로부터 현가된 운전실이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차량의 엔진으로의 편리한 접근이 가능하고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운전실은 흔히 기울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관절 점(articulation point)에 의하여 차량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운전실은 통상적으로 이러한 관절 점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공지의 소정 유형의 코일 스프링, 공기 스프링 등의 현가 장치에 의하여, 차량 프레임 내에 탄력적으로 현가된다.
운전실의 두 개의 전방 관절 점들 사이에는, 피칭 운동을 가능한 한 감쇠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바가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영역에는, 운전실의 관절 점에 장착되는 링크 암(link arm)이 형성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는, 예를 들면 운전실의 한 부착 지점(attachment point)에서의 수직 운동, 즉 운전실의 일측에서의 수직 운동이 스태빌라이저 바의 횡단 선회 봉(transverse pivot rod)에 의하여 운전실의 제2 측의 제2 관절 점으로 감쇠된 형태로 전달되도록 작용한다. 차량의 일측에서의 수직 운동에 의해 개시되는 운전석 내의 모든 피칭 운동은 이와 같이 대응된다.
따라서, 운전실은 차량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링크 암을 통하여 스태빌라이저 바에 통상적인 방식으로 장착되고, 스프링 배치에 의하여 프레임에 대하여 현가된다. 스프링은 그 상측 단부에서 전형적으로 차량 운전실의 프레임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며, 그 하측 단부에서 차량의 차대 또는 프레임 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링크 암은 주로 한 단부에서 운전실 내에 지지되고, 제2 단부에서 프레임/차대 내에 지지된다.
차량의 프레임 또는 차대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관절 점에는, 볼 베어링, 미끄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또는 유사한 형태의 베어링일 수 있는 베어링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베어링은 강성 구조로 인하여 차량의 저부(base)로부터 운전실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을 전달할 수 있고 이는 운전자를 불쾌하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관절 점 내에는 탄성 재료의 부싱, 예를 들면 고무 부싱이 사용된다. 부싱의 측부에는, 탄성 재료로 또한 제조된 측방 지지체(lateral support) 또는 측방 정지체(lateral stop)가 배치된다. 부싱 및 측방 정지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유사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렇지 않을 경우에 운전실 내로 전달될 우려가 있는 진동을 감소시킨다. 관절 점 내의 측방 강성(lateral rigidity)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그에 따라 운전실 내의 측방 운동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더라도, 측방 정지체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링크 암 요소 및 부싱/차대 고정부(chassis fixing)의 지지 표면들 사이에서 압축된다. 운전실의 현가 장치가 작동하면, 측방 정지체와 상기 지지 표면들 사이에는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SE 530551호에는, 관절 점 내에 필요한 측방 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차대 고정부와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측방 정지체가 배치되어 쐐기형으로 압축되는 운전실 현가 장치(cab suspension)가 기재되어 있다. 차량/운전실 내의 현가 운동의 경우에 그리고 엔진으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하여 운전실(cap)이 기울어질 때에, 스태빌라이저 바는 회전 또는 선회하고, 측방 정지체는 회전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차대 고정부와 같이 정치되어 있으므로, 측방 정지체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인접 지지 표면들 사이에는 상대 운동이 발생하며, 이는 이들 표면들 내에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을 발생시킨다. 이는 차량의 현가를 저해하는 관절 점 내의 회전 강성(rotational rigidity) 및 마찰을 또한 야기한다. 공지된 방안에는 다른 단점들도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로에 대해 회전/선회하거나 연마되는 부분들 사이에는 마모가 발생하고, 이는 그 후에 구성 부품으로부터 표면을 또한 마모시키며, 이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운전실의 현가 운동 중에 구조체 내에 증가하는 래틀링(rattling)을 또한 야기한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에 있어서 간단하고, 그에 따라 설치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과 관련된 단점들을 해소할 수도 있는 방안으로서, 부싱 장치를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바를 포함하는 새로운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구조체는 가능한 한 차량 내에 작은 공간을 차지하고 신뢰적이고 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효율적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는 측방 정지체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들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는, 측방 정지체와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의 직접 접촉을 비용-효율적으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어떤 스태빌라이저 바도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싱 장치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들과 측방 정지체 사이에 공기 간극(air gap)이 제공되어 부품들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즉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지 않고 따라서 서로에 대해 마모되지 않도록 구성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실 내의 더욱 부드럽고 더욱 쾌적한 현가를 달성하며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와 측방 정지체 사이의 마찰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조체의 회전 강성을 작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체가 부싱 장치 내에서 측방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체가 현가 운동 중에 관절 점 내의 부식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체가 현가 운동 중에 관절 점 내의 래틀링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지의 구성 부품들을 현저히 변경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 부품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별도로 제조하고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한 적은 부품들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저렴하게 제조되고 설치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과 장점 및 다른 목적과 장점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구성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내의 피칭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부싱 장치가 제공된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럭과 같은 상용 대형 차량의 차량 프레임 내에 운전실을 현가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페이서 슬리브(spacer sleeve)와 베어링-보호 와셔(bearing-protection washer)의 기능을 조합하도록 구성된 와셔-형상의 유닛(washer-shaped unit)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셔-형상의 유닛은, 측방 정지체 전체를 본질적으로 덮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베어링-보호 와셔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제조된다. 와셔-형상의 유닛은 측방 정지체와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배치되며, 측방 정지체와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한다. 이는 현가 운동 중에 측방 정지체가 스태빌라이저 바와 맞물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부품들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제거하며, 배치 구조 내의 측방 강성을 계속 유지시켜 준다.
와셔와 스페이서 요소를 와셔-형상의 유닛으로 일체화하면, 구조 내에 필요한 특유 부품들의 수/부품 수들이 감소하며, 이는 보관 비용을 감소시키며 차량 내에 스태빌라이저 바를 설치하는 것을 더욱 간결화하고 설치 비용을 감소시킨다. 운전실의 네 개의 표준 부착 지점에 와셔-형상의 유닛을 사용하면, 이 기능을 위하여 차량 내에 설치되어야 하는 부품들의 수가 여덟 개에서 네 개로 감소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의 단점이 제거되며 더욱 신뢰적이고 보수-불요(maintenance-free)의 기능이 달성된다.
와셔-형상의 유닛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 및/또는 차대 고정부/차대 부싱의 각 측부로부터 대략 3mm의 재료를 연삭 또는 밀링하여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은 기존 스태빌라이저 바에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장점은 회전 강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며, 이는 수직 방향으로 거의 마찰이 없고 더욱 부드러운 현가를 제공하고 운전자/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해결안에 의하면, 구성 부품들 사이에 마모가 감소하며, 이는 부식의 위험 및 관련 래틀링을 감소시키고, 그와 동시에 차량의 운전실 내의 측방 운동에 대항하는 고도의 측방 강성을 베어링 지점(bearing point)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기타 청구항들에 나타나 있다.
이하에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형태로 본 발명이 더욱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공지된 유형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운전실을 위한 용도로 의도되고 스프링이 구비된 전방 현가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운전실과 차량의 차대가 개략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공지의 스태빌라이저 바의 한 단부 영역을 더욱 상세히 단면도로 나타내며, 차대 고정부/부싱의 지지 표면과 스태빌라이저 바 사이에 측방 정지체가 어떻게 압축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역과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한 단부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며, 측방 정지체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 사이에 공기 간극이 존재하도록 와셔-형상의 유닛이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형상의 유닛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력적으로 현가된 차량 운전실 내의 피칭 운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 바는, 운전실 내의 두 개의 관절 점들 사이에, 차량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단 방향으로 배치되어 선회 가능하며,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이 평탄하지 않은 표면 위를 이동할 때에 발생하는 수직 운동을 보상한다.
도 1은 두 개의 단부 영역(3a, 3b) 사이에 배치된 선회 축(pivotable axle)(2)을 구비하는 전형적인 스태빌라이저 바(1)의 전방에서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각 단부 영역은 링크 암(4a, 4b)을 구비한다. 선회 축(2)의 양 단부 영역(3a, 3b)은 차대 고정부(6a, 6b)(점선으로 개략적으로만 도시)에 의하여 차량의 차대(5) 내에 통상의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링크 암(4a, 4b)의 외측 후방부 또는 다리부(leg)(7a, 7b)는 관절부(articulation)(8a, 8b)(점선으로만 도시)에 의하여 관절식으로 차량 운전실의 프레임(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도 2는 차대 고정부(6b)에 의하여 차량의 프레임(5)에 관절식으로 장착되고 선회 축(2)을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를 포함하는 공지의 현가 장치(9)의 사시도를 더욱 도식적으로 나타내며, 하나의 링크 암(3b)이 운전실 고정부(11)에 의하여 차량 운전실의 프레임(10)에 관절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운전실 고정부(11)와 차대 고정부(6b) 사이에는 일체형 충격 흡수기(도시 생략)를 구비할 수 있는 공기 스프링(12)이 배치된다. 공기 스프링(12)은 운전실의 하중을 지지한다. 현가 장치(9)는 차량 운전실(10)이 수직 방향(13)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하지만, 다른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가능한 한 제한하여야 한다.
도 3은 공지의 스태빌라이저 바(1) 및 차대 고정부(6b)로의 연결부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다. 스태빌라이저 바의 선회 축(2)은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영역(3b)에 형성된 링크 암(4b)과 일체형으로 몰딩된다. 링크 암(4b)은 차량의 차대 고정부(6b)에 장착되도록 의도되고, 탄성 재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UR),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부싱(14)에 의하여 차량 고정부(6b)에 관절식으로 배치된다. 측방으로 작용하는 클램핑 힘을 흡수하기 위하여, 슬리브(15)가 부싱(14)을 통해 배치된다. 또한, 링크 암(4b)은 도면에서 아래로 향한 후방 다리부(7b)와 함께 형성되며, 운전실이 관절부(8b)에 의하여 다리부에 연결된다.
부싱(14) 및 탄성 재료,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UR), 고무 등으로 또한 이루어진 적절한 두께의 더 큰 와셔 형태의 차대 고정부(6b)의 각 측부에는 측방 정지체(16a, 16b)가 배치된다. 측방 정지체(16a, 16b)의 외측에는, 각 측부에 베어링(17a, 17b), 바람직하게는 볼 베어링이 배치된다. 베어링(17a, 17b)과 측방 정지체(16a, 16b) 사이에는 보호 와셔(18a, 18b)가 배치된다. 나사 연결부(screw joint)(19)가 부싱(14), 베어링(17a, 17b) 및 측방 정지체(16a, 16b)를 차대 고정부(6a) 내의 적소에 지지하며, 부싱(14)의 각 측부에 배치된 스페이서 슬리브(20a, 20b)가 보호 와셔(18a, 18b)에 대하여 작용함으로써 베어링(17a, 17b)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완화시킨다. 측방 정지체(16a, 16b)는 부싱(14)과 차대 고정부(6a)를 측방으로 지지하고, 그에 따라 현가 장치(9) 내에서 축방향의 측방 강성을 증가시킨다.
고무 부싱(14)과 측방 정지체(16a, 16b)의 주 목적은 차량의 차대(5)로부터 차량의 운전실(10)로의 진동의 전달(reproduction)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따라서 운전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진동-차단 수단(vibration-isolation means)으로서 작용한다. 고무 부싱(14)은 주로 차량의 수직 방향과 종방향으로의 진동을 차단하며, 측방 정지체(16a, 16b)는 주로 차량의 횡방향으로의 진동을 차단한다.
부싱(14)은 차대 고정부(6a) 내에 설치 중에 압축되며, 측방 정지체(16a, 16b)는 부싱과 차대 고정부의 지지 표면(21)과 부싱/차대 고정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 사이에 클램프 부품(clamp fitting)과 함께 장착된다. 차량의 작동 중에 현가 장치(9)에 현가 운동이 일어나면, 차대 고정부(16b)와 스태빌라이저 바(1) 사이에 상대 회전 운동이 발생함으로써 이들의 지지 표면(21a, 21b 및 22a, 22b)들 사이에 마찰과 마모를 일으킨다. 이러한 지지 표면(21a, 21b 및 22a, 22b)들 상의 외측 피막은 시간에 따라 마모되고, 수분이 지지 표면(21a, 21b 및 22a, 22b)에 침투하면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관절부 내에 더욱 증가된 마찰을 또한 일으키며, 결과적으로 마모와 래틀링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영역과 유사하게, 스태빌라이저 바(1)의 한 단부 영역(3b)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내지만, 이 경우에는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이 도 3에 도시된 공지의 현가 장치(9) 내의 보호 와셔(18a, 18b)와 스페이서 슬리브(20a, 20b)를 어떻게 대체하는지를 나타낸다.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예를 들면 금속으로 몰딩될 수 있는 단일 부재로서 제조된 일체형의 와셔와 스페이서 슬리브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의 외측 직경은 측방 정지체(16a, 16b)의 기존 직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측방 정지체(16a, 16b)를 축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지지한다.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과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a, 22b) 사이에 공기 간극(24a, 24b)이 존재하도록 현가 장치(9) 내에 배치된다.
와셔와 스페이서 슬리브를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으로 일체화함으로써,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측방 정지체(16a, 16b)에 필요한 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부싱/차대 고정부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a, 22b)에 의하여 측방 정지체(16a, 16b)가 직접 지지될 필요 없이, 충분한 강성 구조가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감소된 마찰 및 감소된 회전 강성이 이와 같이 관절부에서 달성되며, 이는 측방 강성을 계속 유지하면서 원활한 수직 현가를 제공한다. 구조 내에 래틀링의 위험성 및 구성 부품의 수가 감소하므로, 현가 장치 내의 부품들 사이의 마모가 현저히 감소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형태의 유닛(23a)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와셔-형상의 유닛(23a)은 표준형 보호 와셔(18a, 18b)보다 큰 직경을 갖는 치수로 구성되고, 중앙 영역에 일체화된 스페이서 요소(3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요소의 축방향 길이는 본질적으로 베어링(17a)의 두께에 대응한다. 와셔-형상의 유닛(23a)의 판-형상의 부분(25)은 중앙 구멍(26)에 인접한 상승부(27)를 구비하며, 와셔-형상의 유닛의 상승부에서는 재료의 두께가 약간 더 두껍다. 상승부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최대 1mm이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0.6mm이다. 상승부(27)는 장착 위치 내의 볼 베어링의 내측 링 부분(28)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내측 링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와셔-형상의 유닛(23a)이 볼 베어링의 외측 링 부분(29)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마찰을 방지한다.
전술한 설명은 주로 본 발명이 용이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와 이하에 기재된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 형태가 또한 가능하고 상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위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Claims (8)

  1. 현가 장치(9)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실(10) 내의 피칭 운동에 주로 대항하도록 의도된, 부싱(14)을 구비하는 스태빌라이저 바(1)로서,
    부싱(14)의 각 측부에는 본질적으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측방 정지체(16a, 16b)가 배치되고, 그 외측에는 베어링(17a, 17b)이 배치되어 있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이 베어링(17a, 17b)과 측방 정지체(16a, 16b) 사이에 배치되며, 측방 정지체의 직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 상기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측방 정지체(16a, 16b)를 축 방향으로 지지하고 측방 정지체에 의해 가해지는 축방향 힘을 흡수하도록 배치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a, 22b)과 측방 정지체(16a, 16b)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도록 스태빌라이저 바의 지지 표면(22a, 22b)과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 사이에 공기 간극(24a, 24b)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외측 링 부분(outer rotationally fixed ring section)(29)에 대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17a, 17b)의 내측 링 부분(28)과 맞물리는 상승부(27)를 중앙 구멍(26)에 인접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승부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최대 1mm이고, 바람직하게는 대략 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셔-형상의 유닛(23a, 23b)은 본질적으로 평탄한 원형 판-형상의 부분(25) 및 중앙에 위치하는 일체형 스페이서 요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6.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17a, 17b)은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7.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17a, 17b)은 미끄럼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47023915A 2012-02-28 2013-02-19 스태빌라이저 바 KR20140135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0177-1 2012-02-28
SE1250177A SE536386C2 (sv) 2012-02-28 2012-02-28 Krängningshämmare och fordon innefattande sådan krängningshämmare
PCT/SE2013/050138 WO2013129993A1 (en) 2012-02-28 2013-02-19 Stabiliser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172A true KR20140135172A (ko) 2014-11-25

Family

ID=4908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915A KR20140135172A (ko) 2012-02-28 2013-02-19 스태빌라이저 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048653A1 (ko)
EP (1) EP2820320B1 (ko)
JP (1) JP2015509878A (ko)
KR (1) KR20140135172A (ko)
CN (1) CN104067022B (ko)
BR (1) BR112014015778A8 (ko)
RU (1) RU2577814C1 (ko)
SE (1) SE536386C2 (ko)
WO (1) WO2013129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1575B (zh) * 2014-11-19 2018-04-27 山东理工大学 外偏置非同轴式驾驶室稳定杆的扭管外偏置量的设计方法
CN104318040B (zh) * 2014-11-19 2018-05-11 山东理工大学 外偏置非同轴式驾驶室稳定杆橡胶套外圆半径的设计方法
DE102015214456A1 (de) * 2015-07-30 2017-02-02 Deere & Company Kabinenlagerungsanordnung für ein Nutzfahrzeug
CN108202573A (zh) * 2016-12-19 2018-06-26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刚度矩阵的汽车底盘衬套匹配方法
KR102406516B1 (ko) * 2017-11-21 2022-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용 캡 마운팅장치
CN109733488A (zh) * 2019-02-26 2019-05-10 山东德泰机械制造集团有限公司 一种重型汽车驾驶室装配式翻转机构总成及其装配方法
CN112959866B (zh) * 2021-03-12 2024-04-23 山东雷帕得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稳定型空气悬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6187U (ja) * 1983-05-31 1984-12-11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キヤブサスペンシヨンリンク装置
DE3519868A1 (de) * 1985-06-03 1986-12-11 Jörn GmbH, 7012 Fellbach Elastisches lager fuer die lagerung des fahrerhauses eines lastkraftwagens
SE513464C2 (sv) * 1999-02-12 2000-09-18 Scania Cv Ab Anordning vid förarhytter för fordon
JP3983942B2 (ja) * 1999-08-02 2007-09-2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チルト式キャブの締結装置
DE10043048C2 (de) * 2000-09-01 2002-10-31 Zf Boge Gmbh Vordere Lageranordnung für ein kippbares Fahrerhaus eines Lastkraftwagens
JP4255006B2 (ja) * 2003-03-27 2009-04-15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アッパーブラケット取付構造
JP2004322937A (ja) * 2003-04-28 2004-11-1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フロントキャブマウント
JP4053039B2 (ja) * 2004-12-16 2008-02-2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
SE530551C2 (sv) * 2006-11-02 2008-07-08 Scania Cv Abp Bussningsarrangemang för en krängningshämmare
DE102007041647A1 (de) * 2007-09-03 2009-03-19 Thyssenkrupp Technologies Ag Lagerbefestigung
RU74604U1 (ru) * 2008-02-19 2008-07-10 Виктор Михайлович Захаров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ружинно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CN102320337A (zh) * 2011-06-30 2012-01-18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驾驶室前悬置装置及重型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5778A8 (pt) 2017-07-04
CN104067022B (zh) 2016-09-07
WO2013129993A1 (en) 2013-09-06
JP2015509878A (ja) 2015-04-02
US20150048653A1 (en) 2015-02-19
SE1250177A1 (sv) 2013-08-29
EP2820320B1 (en) 2017-11-15
EP2820320A1 (en) 2015-01-07
CN104067022A (zh) 2014-09-24
SE536386C2 (sv) 2013-10-01
BR112014015778A2 (pt) 2017-06-13
EP2820320A4 (en) 2016-03-23
RU2577814C1 (ru) 2016-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5172A (ko) 스태빌라이저 바
CA2503522C (en) Shackle assembly
JP5782617B2 (ja) 走行装置への車体の接続が側方に柔軟な車両
CA2784534C (en) Wheel carrier articulation for a rail vehicle
US20090309280A1 (en) Suspension means with scissor pantograph
KR20120036810A (ko) 통합된 스프링부 및 댐핑부를 포함하는 와트 링키지 서스펜션 장치
RU2384453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190329624A1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s
US20190023093A1 (en) Motor vehicle with an independent suspension
US9340082B2 (en) Vehicle wheel suspensions
JP2006347496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20120078871A (ko) 차량용 현가장치
JP3667659B2 (ja) 車輌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アッパーマウント機構
RU2726675C2 (ru) Ходовая часть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CN104972858B (zh) 用于汽车的横向板簧系统和横向板簧支承单元
CN203142937U (zh) 三轮摩托车前悬挂架
WO2016063382A1 (ja) 鉄道車両
EP3617030B1 (en) Railway vehicle
KR101283779B1 (ko) 쇽업소버
CN220301432U (zh) 一种工程机械用驾驶室防倾翻结构
GB2307889A (en) Single axle suspension for rail vehicle allows steering effect - improving ride, and reducing noise emission and wheel flange wear
CN112078688A (zh) 车辆底盘
KR101402790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KR960003493Y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