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790B1 -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790B1
KR101402790B1 KR1020120127924A KR20120127924A KR101402790B1 KR 101402790 B1 KR101402790 B1 KR 101402790B1 KR 1020120127924 A KR1020120127924 A KR 1020120127924A KR 20120127924 A KR20120127924 A KR 20120127924A KR 101402790 B1 KR101402790 B1 KR 10140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rame
frames
pai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940A (ko
Inventor
서승일
문형석
나희승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7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7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4Side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16Centre bearings or other swivel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lsters or bog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2Springs leaf-like, e.g. of thin, planar-like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현가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서 대차에 전해지는 충격을 대차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완충시킴으로써, 일부분으로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륜 및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댐핑 프레임을 구비하여, 차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shock absorption strutcure for bogie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현가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서 대차에 전해지는 충격을 대차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완충시킴으로써, 일부분으로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대차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각 차륜에 차체의 중량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상기 차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방향을 전환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철도차량용 대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12)과 차축(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윤축과 상기 차축 양단의 저어널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내장된 액슬박스(11)와 상기 액슬박스(11)의 상단에 안착 고정되는 사이드 프레임(14)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4)과 액슬박스(11) 사이에 설치되어 차륜(1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1차적으로 감쇄하는 1차 현수장치(13)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14)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상단에 차체가 연결 고정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2차적으로 감쇄하는 2차 현수장치(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1차 현수장치(13)로는 코일 스프링, 쉐브론 스프링, 고무 스프링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2차 현수장치(15)로는 에어 스프링,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철도차량용 대차(10)에 있어, 철도차량(C)의 주행에 따른 진동이 대차(10)에 작용하게 되면, 사이드 프레임(14)과 차축의 양단 사이 즉, 각 차륜(12)의 양 단부와 액슬박스(11) 양측에 설치된 1차 현수장치(13)인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차륜(1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1차적으로 감쇄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1차 현수장치(13)인 코일스프링을 통해 1차적으로 감쇄된 진동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4)을 거쳐 2차 현수장치(15)인 에어 스프링 상단에 고정된 차체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사이드 프레임(14) 및 2차 현수장치(15)를 거쳐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의 경우, 상기 사이드 프레임(14)과 차체 사이에 설치된 2차 현수장치(15)인 에어 스프링의 에어쿠션작용에 의해 2차적으로 감쇄되게 되는 등, 철도차량(C)의 주행시 차륜(12)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14)을 거쳐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승객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철도차량(C)의 주행에 따른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현수기능이 각 차륜(12)측에 설치된 1차 현수장치(13)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14)과 차체 사이에 설치된 2차 현수장치(15) 등 2차의 현수기능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C)의 주행시 차륜(12)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전히 감쇄시키지 못하고 잔량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면서 이로 인한 차체의 흔들림을 통해 승객의 승차감이 크게 저하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차체의 경우 에어 스프링을 2차적 진동 감쇄장치로 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14) 양측에 설치된 2차 현수장치(15) 상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C)의 주행시 차륜(12)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14)을 거쳐 2차 현수장치(15)인 에어 스프링으로 진동이 전달됨과 아울러, 상하 유동에 따른 차체의 하중이 상기 에어 스프링에 전달될 경우, 상기 에어스프링에 차륜(1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과 차체의 하중이 집중되면서 에어 스프링이 손상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손상된 에어 스프링으로 인해 대형사고로까지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614610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철도차량용 대차(100)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114)의 중앙부를 분할시켜 상기 분할된 전부 프레임(114a)과 후부 프레임(114b)의 슬라이딩 작용을 통해 대차 전후방향의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부 프레임(114a)과 후부 프레임(114b)의 일측에는 프레임 삽입홀(115a) 내에서 프레임 삽입돌기(115b)의 슬라이딩 작용이 원활하도록 가이드 역할과 함께, 상기 프레임 삽입홀(115a)로부터 프레임 삽입돌기(115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수단(1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전부 프레임(114a)과 후부 프레임(114b)의 슬라이딩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전부 프레임(114a)의 일단엔 프레임 삽입홀(115a)이 형성되고, 후부 프레임(114b)의 일단엔 프레임 삽입돌기(11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614610호에 기재된 기술은 철도차량용 대차에 1,2,3차 현수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시 차륜으로부터 사이드 프레임을 거쳐 차체에까지 전달되는 진동을 3차의 현수기능을 통해 해소하도록 하여 진동을 줄여주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다수의 현수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며, 이렇게 다수의 현수장치를 구비하더라도 차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대차의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현수장치가 구비되는 일정부분에 집중되게 되므로, 충격이 집중되는 부분의 차륜의 마모 및 손상이 더욱 심해지게 되어 대륙철도와 같이 장거리를 운행하는 철도차량의 경우, 차륜에 전달되는 이러한 충격이 누적되게 되면, 전체 차륜의 밸런스가 깨어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를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댐핑 프레임을 형성하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연결부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차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의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감쇠시킴으로써, 충격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를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측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타측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을 X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중심부를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차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의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감쇠시킴으로써 충격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차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2댐핑 프레임에 각각 제1,2보조 댐핑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대차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장시간 운행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륜 및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댐핑 프레임을 구비하여, 차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댐핑 프레임은 각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중심부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댐핑 프레임과,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을 X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1보조 댐핑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는 처체를 연결하기 위한 센터 피봇에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댐핑 프레임은 일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타측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보조 댐핑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차체를 연결하기 위한 센터 피봇이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를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댐핑 프레임을 형성하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하고,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연결부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차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의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감쇠시킴으로써, 충격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대차를 형성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일측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타측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을 X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차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의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감쇠시킴으로써, 충격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차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2댐핑 프레임에 각각 제1,2보조 댐핑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대차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장시간 운행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개선된 철도차량용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철도차량용 대차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서 연결부에 보조 댐핑 프레임을 형성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에서 제2댐핑 프레임의 하부에 제2보조 댐핑 프레임을 형성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서 연결부에 보조 댐핑 프레임을 형성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에서 제2댐핑 프레임의 하부에 제2보조 댐핑 프레임을 형성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대차(200)의 전체로 골고루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차륜(210)과 차륜(210)을 연결하는 차축(220)과 상기 차축(220)이 설치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차(200)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댐핑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댐핑 프레임(300)은 각 사이드 프레임(23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댐핑 프레임(310)과 상기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댐핑 프레임(310)은 탄성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3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양측 단부에는 설치부(312)가 형성되어, 각 사이드 프레임(230)의 단부에 결합되며, 중심부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댐핑 프레임(3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부(312)는 사이드 프레임(230)의 단부에 용접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클램프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310)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0)의 중심부에는 설치공(3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공(322)에는 차체(미도시)의 하부에 구비되는 센터 피봇(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설치공(322)을 중심으로 대차(20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200)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게 되어, 충격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주행 중에 레일에 이물질이 있거나 높낮이의 급격한 변화 등에 의해 차륜(210)에서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충격은 대차(200)의 사이드 프레임(230) 상부에 구비되는 제1댐핑 프레임(310)에서 감쇄되게 되는데, 상기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310)은 중심부가 연결부(320)에 의해 연결되고, 각 단부는 제1댐핑 프레임(310)의 양측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23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일측에서 발생한 충격을 전체적으로 분산시켜 줌으로써, 충격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200)의 일부분이 아니라 대차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키게 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대폭 감소될 뿐만 아니라, 각 차륜(210)도 고르게 마모되기 때문에, 장시간 주행을 하더라도 대차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도면상에는 차륜과 대차 사이에 1차 현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충격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핑 프레임(310)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0)의 하부에는 제1보조 댐핑 프레임(315)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1보조 댐핑 프레임(315)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양측 단부는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310)과 각각 연결되되, 서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부(320)로 전달되는 차체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제1댐핑 프레임(310)에 의해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륜(210)과 차륜(210)을 연결하는 차축(220)과 상기 차축(220)이 설치되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차(200)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댐핑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댐핑 프레임(300)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230) 중, 일측의 사이드 프레임(230)의 일측 단부와, 타측 사이드 프레임(230)의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X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연결되는 한쌍 제2댐핑 프레임(3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33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설치부(332)가 형성되어, 각 사이드 프레임(230)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332)는 용접 방법이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사이드 프레임(230)의 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33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설치공(335)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공(335)에는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센터 피봇(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설치공(322)을 중심으로 대차(20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대차(200)의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키게 되어, 충격이 일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주행 중에 레일에 이물질이 있거나 높낮이의 급격한 변화 등에 의해 차륜(210)에서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충격은 대차(200)의 사이드 프레임(230) 상부에 구비되는 제2댐핑 프레임(330)에 의해 감쇠되게 되는데,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330)은 중심부가 서로 연결되며, 각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23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게 되므로, 일측에서 발생한 충격을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줌으로써, 충격이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330)의 하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조 댐핑 프레임(337)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2보조 댐핑 프레임(337)이 양측 단부는 각 사이드 프레임(230)의 중심부와 연결되고, 중심부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2댐핑 프레임(330)의 중심부 하부와 연결되게 된다.
그래서, 센터 피봇으로 전달되는 차체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사이드 프레임(230)의 각 부분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현가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단순한 구조로서 대차에 전해지는 충격을 대차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켜 완충시킴으로써, 일부분으로 충격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200 : 대차 210 : 차륜
220 : 차축 230 : 사이드 프레임
300 : 댐핑 프레임 310 : 제1댐핑 프레임
312,332 : 설치부 315 : 제1보조 댐핑 프레임
320 : 연결부 322,335 : 설치공
330 : 제2댐핑 프레임 337 : 제2보도 댐핑 프레임

Claims (7)

  1. 차륜 및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댐핑 프레임을 구비하여, 차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켜주되,
    상기 댐핑 프레임은 각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중심부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양측 단부는 사이드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댐핑 프레임과,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한쌍의 제1댐핑 프레임을 X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제1보조 댐핑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심에는 차체를 연결하기 위한 센터 피봇이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프레임은 일측의 사이드 프레임의 일측 단부와 타측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중심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X자 형상으로 중심부가 연결되는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의 하부에는 한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보조 댐핑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2댐핑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차체를 연결하기 위한 센터 피봇이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20120127924A 2012-11-13 2012-11-13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140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924A KR101402790B1 (ko) 2012-11-13 2012-11-13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924A KR101402790B1 (ko) 2012-11-13 2012-11-13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940A KR20140060940A (ko) 2014-05-21
KR101402790B1 true KR101402790B1 (ko) 2014-06-03

Family

ID=5089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924A KR101402790B1 (ko) 2012-11-13 2012-11-13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7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272Y1 (ko) * 1982-05-04 1986-03-13 암스테드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완충 철도차량대차
JP2001071895A (ja) 1999-09-06 2001-03-21 Kawasaki Heavy Ind Ltd 舵取り装置付の台車を用いた搬送設備
KR20060018788A (ko) * 2004-08-25 2006-03-02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철도차량 및 철도차량용 대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272Y1 (ko) * 1982-05-04 1986-03-13 암스테드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완충 철도차량대차
JP2001071895A (ja) 1999-09-06 2001-03-21 Kawasaki Heavy Ind Ltd 舵取り装置付の台車を用いた搬送設備
KR20060018788A (ko) * 2004-08-25 2006-03-02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철도차량 및 철도차량용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940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8373A (ko) 축박스 서스펜션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기대차
CN201573665U (zh) 轴箱悬挂摆式铁路货车转向架
KR101731105B1 (ko) 트램트레인용 저상대차
KR101417981B1 (ko) 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JP6022420B2 (ja)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KR101417982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현가장치
KR101402790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0604380B1 (ko) 3차 현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KR101236534B1 (ko) 코일스프링의 복합 현가시스템이 구비된 모노레일 대차
CN212738090U (zh) 具有柔性轴箱和悬挂减振装置的轨道车辆
KR100614610B1 (ko) 전후방향의 완충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KR101402770B1 (ko) 대륙철도차량용 차체의 충격흡수 구조
KR100604379B1 (ko) 3차 현수기능의 철도차량용 대차
KR101402780B1 (ko) 대륙철도차량용 충격 흡수 장치
KR101252547B1 (ko) 철도차량용 현가장치
JP6991661B2 (ja) 鉄道車両の車体支持装置
CN219838554U (zh) 转向架及轨道车辆
KR0140530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의 판스프링지지구조
KR20130046538A (ko) 엠알 댐퍼를 사용한 철도 차량용 현가장치
CN112776845B (zh) 转向架总成及轨道车辆
KR200218709Y1 (ko)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RU2475391C1 (ru) Система наклона кузо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KR0140529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JPH09301163A (ja) 車両用ボルスタレス台車
RU2476338C1 (ru) Система наклона кузо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