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709Y1 -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709Y1
KR200218709Y1 KR2019950054993U KR19950054993U KR200218709Y1 KR 200218709 Y1 KR200218709 Y1 KR 200218709Y1 KR 2019950054993 U KR2019950054993 U KR 2019950054993U KR 19950054993 U KR19950054993 U KR 19950054993U KR 200218709 Y1 KR200218709 Y1 KR 200218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ssembly
shell
bogie frame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566U (ko
Inventor
오형식
Original Assignee
정훈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훈보
Priority to KR2019950054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709Y1/ko
Publication of KR970036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5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709Y1/ko

Links

Landscapes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에서 사용되는 2차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프레임(1)과 대차프레임(2)사이에 스프링어셈블리(3)가 설치되어 있되, 이 스프링어셈블리(3)는 상기 대차프레임(2)상면과 차체프레임(1)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 하부 스프링시이트(4a, 4b)를 매개로 결합된 코일스프링(5)과 상기 상부 스프링시이트(4a)상면에 장착된 쉘형스프링(6)으로 이루어져, 대차프레임(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코일스프링(5)과 쉘형스프링(6)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제1(a)도는 본 고안에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에서 코일어셈블리만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1(c)도는 제1(b)도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2(a)도는 종래의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의 설치상태를 제1(a)도와 같이 나타낸 정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서 코일어셈블리만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프레임 2 : 스프링어셈블리
3 : 스프링어셈블리 4a, 4b : 스프링시이트
5 : 코일스프링 6 : 쉘형스프링
7 : 셀형부재 8 : 탄성부재
본 고안은 철도차량에서 사용되는 2차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일스프링과 고무스프링을 조합하여 차량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서 사용되는 현가장치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각부에 과대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크게 1차 현가장치와 2차 현가장치로 구분되는 바, 1차 현가장치는 철도차륜과 대차 프레임에 설치되어 철도차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고, 2차 현가장치는 대차 프레임과 차체사이에 설치되어 대차 프레임으로 전달된 진동을 2차적으로 감쇠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의 2차 현가장치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차프레임(101)에 수직하방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가이드포스트(guide post, 102)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볼스터 어셈블리(bolster assembly, 103)중앙에 장착된 댐퍼어셈블리(damper assembly, 104)와 이 댐퍼어셈블리(104)양쪽에 장착된 스프링어셈블리(10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어셈블리(105)는 상기 볼스터 어셈블리(103)상면과 차체프레임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 하부 스프링시이트(106a, 106b)를 매개로 결합된 코일스프링(107)과 상기 상부 스프링시이트(106a)상면과 차체프레임사이에 장착된 플랫스프링(flat spring, 108)으로 이루어져, 대차프레임(10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코일스프링(107) 및 플랫스프링(108)에 의해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스프링(108)은 코일스프링(107)의 특성상 고주파 진동을 흡수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사용하여 고주파 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플랫스프링(108)은 그 형상이 평평하게 되어 있어, 수직방향에 대한 진동은 감쇠시킬 수가 있으나 코일스프링(107)에 의해서 그 감쇠효과가 적은 수평방향에 대한 진동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스프링상수가 동일하여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코일스프링위에 쉘(shell)형스프링을 조합하여 지면에 수평인 방향에 대하여 스프링 상수값들을 각각 차량의 특성에 맞는 값들로 설정 할 수 있도록 하여, 코일스프링에서 흡수하지 못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체 프레임과 대차프레임사이에 스프링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되, 이 스프링어셈블리는 상기 대차프레임상면과 차체프레임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 하부 스프링시이트를 매개로 결합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상부 스프링시이트상면에 장착된 쉘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셀형스프링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므로서 코일스프링을 통과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고안에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1(b)도는 제1(a)도에서 코일어셈블리만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제1(c)도는 제1(b)도에서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차량의 차체 프레임(1)과 대차프레임(2)사이에 스프링어셈블리(3)가 설치되어 있되, 이 스프링어셈블리(3)는 상기 대차프레임(2)상면과 차체프레임(1)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 하부 스프링시이트(4a, 4b)를 매개로 결합된 코일스프링(5)과 상기 상부 스프링시이트(4a)상면에 장착된 쉘형스프링(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쉘형스프링(6)은 원통을 절반으로 자른 것과 같은 스틸재의 셀형부재(7)사이에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8)가 삽입된 구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차프레임(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은 1차적으로 코일스프링(5)에 의해서 감소시키게 되고, 이 코일스프링(5)에서 제진되지 않은 고주파 진동과 코일스프링(5)의 특성상 감쇠효과가 적은 수평방향에 대한 진동은 상기 쉘형스프링(6)에서 감쇠시킬 수 있게 되고, 종래의 현가장치에 비해 같은 설치높이에서 코일스프링(5)의 유효권수를 적게 할 수 있어 현가장치의 설계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쉘형스프링(6)의 구조를 수평방향에 대하여 스프링 상수값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차량의 진동특성에 맞게 할 수 있으므로써, 차량의 곡선과 직선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차체프레임(1)과 대차프레임(2)사이에 스프링어셈블리(3)가 설치되어 있되, 이 스프링어셈블리(3)는 상기 대차프레임(2)상면과 차체프레임(1)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 하부 스프링시이트(4a, 4b)를 매개로 결합된 코일스프링(5)과 상기 상부 스프링시이트(4a)상면에 장착된 쉘형스프링(6)으로 이루어진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형스프링(6)은 원통을 절반으로 자른것과 같은 스틸재의 셀형부재(7)사이에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8)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KR2019950054993U 1995-12-30 1995-12-30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KR200218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993U KR200218709Y1 (ko) 1995-12-30 1995-12-30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993U KR200218709Y1 (ko) 1995-12-30 1995-12-30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566U KR970036566U (ko) 1997-07-26
KR200218709Y1 true KR200218709Y1 (ko) 2001-04-02

Family

ID=6083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993U KR200218709Y1 (ko) 1995-12-30 1995-12-30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7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6B1 (ko) 2013-05-28 2014-11-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2차 코일스프링용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526B1 (ko) 2013-05-28 2014-11-2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2차 코일스프링용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566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5883C (en) Frame beaming reduction assembly
CN110143107B (zh) 一种车辆混合式二级悬架系统
KR101417982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현가장치
KR200218709Y1 (ko) 철도차량용 2차 현가장치
CN219568686U (zh) 一种具有缓冲功能且便于安装的公路隔离装置
KR101417981B1 (ko) 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0604380B1 (ko) 3차 현수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KR0140529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JPS6112301Y2 (ko)
CN112477906A (zh) 一种钢簧结构、转向架及具有该转向架的轨道车辆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CN216768204U (zh) 一种新型橡胶减震器
KR100614610B1 (ko) 전후방향의 완충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대차
CN215409948U (zh) 一种防止窜动的新型减震器
US2137074A (en) Railway car truck
KR0140530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의 판스프링지지구조
KR101402770B1 (ko) 대륙철도차량용 차체의 충격흡수 구조
KR101402790B1 (ko) 대륙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0380467B1 (ko) 차량용 캐브 마운팅
JPH09301163A (ja) 車両用ボルスタレス台車
KR200153096Y1 (ko) 고정지지 및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리어 스프링 어퍼 댐핑링
KR0120777Y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생크가이드빔 조립체구조
US1916150A (en) Truck
KR200144311Y1 (ko) 자동차의 시트고정구조
KR200316705Y1 (ko) 용접구조용 철도화차의 스프링 소음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