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4688A -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4688A
KR20140134688A KR1020147026872A KR20147026872A KR20140134688A KR 20140134688 A KR20140134688 A KR 20140134688A KR 1020147026872 A KR1020147026872 A KR 1020147026872A KR 20147026872 A KR20147026872 A KR 20147026872A KR 20140134688 A KR20140134688 A KR 20140134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unit
receiving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400B1 (ko
Inventor
아끼요시 우찌다
세이이찌 가몬
기요따까 다나까
마스나리 다메수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4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temperature coefficient
    • H03H2003/0414Resonance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송전 장치는, 무선 송전을 행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S501)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S502)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S504) 또는 상기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S505)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한다(S508).

Description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POWER DELIVERY DEVICE AND POWER DELIVERY/POWER RECEIVING SYSTEM}
본 발명은,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유도로 대표되는 비접촉 급전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비접촉 급전 기술은, 전기 면도기나 전동 칫솔 브러시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자계 공명 기술의 발표를 하나의 계기로 해서, 다시 비접촉 급전에 대해서 활발히 연구되도록 되고 있다.
또한, 무선 방식에 의해 송전 안테나로부터 수전 안테나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수전 안테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송전 안테나의 복수의 송전 코일을 개별로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부와, 적어도 수전 안테나의 배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부를 통해서 송전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선 급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N(N은 2 이상의 정수)개의 송전 회로와, 이 N개의 송전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송전 회로는, 직렬로 접속된 캐패시터와 송전 코일로 이루어지는 송전측 LC 탱크 회로와, 이 송전측 LC 탱크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진 회로를 갖고, N개의 송전 회로의 송전 코일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어 수단은, N개의 송전 회로의 송전 코일 중 적어도 2개의 송전 코일로부터 도달하는 자장의 변화의 위상이 수전 회로의 수전 코일에 있어서 맞도록, N개의 송전 회로의 각 발진 회로가 발생하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비접촉 송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37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99975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수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송전 장치는, 무선 송전을 행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한다.
송전 가능 범위 내의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그 수에 따라서 적절한 전력으로 무선 송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송수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송전 장치 및 수전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2개의 송전 장치 및 2개의 수전 장치를 갖는 송수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제2 송전 장치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제2 송전 장치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c는 제2 송전 장치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2 송전 장치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송수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송수전 시스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플로우도.
도 8은 도 6의 송수전 시스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플로우도.
도 9는 도 6의 송수전 시스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플로우도.
도 10은 도 6의 송수전 시스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플로우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의 송전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 및 제2 송전 장치의 송전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13a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 및 제2 송전 장치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 및 제2 송전 장치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a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 및 제2 송전 장치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 및 제2 송전 장치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송수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송수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1개의 송전 장치(101)와, 복수개의 수전 장치(102)를 갖는다. 송전 장치(101)는 복수의 수전 장치(102)로 무선 송전할 수 있다. 복수의 수전 장치(102)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전화 등이며, 송전 장치(101)로부터 무선 수전하고, 내장된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송전 장치(101)는 복수의 수전 장치(102)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송전 장치(101)는 수전하는 수전 장치(102)의 수가 적을 때는 비교적 작은 전력으로 무선 송전하고, 충전하는 수전 장치(102)의 수가 많을 때는 비교적 큰 전력으로 무선 송전할 필요가 있다. 수전 장치(102)의 수가 적은데, 송전 장치(101)가 필요 이상으로 큰 전력으로 무선 송전하면, 수전 장치(102)가 과잉으로 수전하여, 허용값을 초과하는 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송전 장치(101)는,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송전 장치(101) 및 수전 장치(10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송전 장치(101)는, 고주파 전원 회로(201), 송전용 코일(202), 송전용 LC 공진기(203), 송전 제어 회로(204) 및 통신부(205)를 갖는다. 수전 장치(102)는, 수전용 LC 공진기(211), 수전용 코일(212), 수전 회로(213), 배터리(214), 통신부(215) 및 수전 제어 회로(216)를 갖는다. LC 공진기(203 및 211)는, 코일(인덕터) 및 용량의 직렬 접속 회로이며, 그 공진 주파수는 1/{2×π×√(L×C)}이다. 여기서, L은 인덕턴스이고, C는 용량값이다.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02)에 대하여 무선 송전을 행할 수 있다. 고주파 전원 회로(201)는 발진기, 증폭기 및 정합 회로를 갖고, 고주파수의 전압을 송전용 코일(202)에 인가한다. 그러면, 송전용 코일(202)에는 자계가 발생하고, 전자기 유도(221)에 의해, 송전용 LC 공진기(203)로 전류가 흐른다. 고주파 전원 회로(201)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1/{2×π×√(L×C)}의 공진 주파수이므로, 송전용 LC 공진기(203)는 공진 상태가 된다. 송전용 LC 공진기(203)에는 자계가 발생하고, 1/{2×π×√(L×C)}의 공진 주파수의 자계 공명(222)에 의해, 수전용 LC 공진기(211)로 전류가 흐르고, 수전용 LC 공진기(211)는 공진 상태가 된다. 그러면, 수전용 LC 공진기(211)에는 자계가 발생하고, 전자기 유도(223)에 의해, 수전용 코일(212)로 전류가 흐른다. 수전 회로(213)는, 정류 회로를 가지며, 수전용 코일(212)에 발생하는 전압을 정류하고, 그 정류한 전압을 배터리(214)에 공급한다. 배터리(214)는 그 공급된 전압에 의해 충전된다. 송전 장치(101)는, 자계 공명(222)에 의해, 수전 장치(102)에 대하여 무선 송전하여, 수전 장치(102)의 배터리(214)를 충전할 수 있다.
송전 장치(101)의 통신부(205) 및 수전 장치(102)의 통신부(215)는 코일(202, 212) 및 LC 공진기(203, 211)에 의한 송수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부이며, 서로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송전 제어 회로(204)는, 통신부(205)에 접속되어, 고주파 전원 회로(201)의 제어를 행한다. 수전 제어 회로(216)는 통신부(215)에 접속되어, 수전 회로(213)의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송전용 코일(202)은, 전자기 유도(221)에 의해, 송전용 LC 공진기(203)로 무선 송전한다. 이어서, 송전용 LC 공진기(203)는 자계 공명(222)에 의해, 수전용 LC 공진기(211)로 무선 송전한다. 이어서, 수전용 LC 공진기(211)는 전자기 유도(223)에 의해, 수전용 코일(212)로 무선 송전한다. 이에 의해,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02)에 대하여, 자계 공명(222)에 의해 무선 송전할 수 있다.
또한, 송전 장치(101)는 수전 장치(102)에 대하여, 자계 공명(222)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선 송전을 행할 수 있다. 무선 송전은, 상기 자계 공명(222) 외에, 전자기 유도, 전계 유도, 전계 공명, 마이크로파 송전 또는 레이저 송전을 포함한다. 전자기 유도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LC 공진기(203 및 211)를 삭제하면 된다. 그 경우, 송전 장치(101)의 송전용 코일(202)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전 장치(102)의 수전용 코일(212)로 무선 송전할 수 있다. 또한, 전계 유도 또는 전계 공명의 경우에는, 안테나 등을 사용하여, 송전 장치(101)로부터 수전 장치(102)로 무선 송신하면 된다. 이하, 송전 장치(101)가 자계 공명(222)에 의해 수전 장치(102)로 무선 송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2개의 송전 장치(101a, 101b) 및 2개의 수전 장치(102a, 102b)를 갖는 송수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송전 장치(101a 및 101b)는, 도 2의 송전 장치(10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수전 장치(102a 및 102b)는, 도 2의 수전 장치(10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부(송전용 코일(202) 및 송전용 LC 공진기(203)를 포함)가 무선 송전 가능한 범위이다.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가 무선 송신 가능한 범위이며,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보다 넓다.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송전용 코일(202) 및 송전용 LC 공진기(203)를 포함)가 무선 송전 가능한 범위이다.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가 무선 송신 가능한 범위이며,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보다 넓다.
예를 들어, 송전 장치(101a 및 101b)의 송전부가 자계 공명 방식의 송전부인 경우에는, 송전 가능 범위(301a 및 301b)는 약 수십㎝이다. 또한, 송전 장치(101a 및 101b)의 통신부(205)가 Bluetooth(등록상표)의 통신 방식인 경우에는, 송신 가능 범위(302a 및 302b)는 약 수m이다.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의 제1 수전 장치(102a)로 송전할 수 있고,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외의 제2 수전 장치(102b)로는 송전할 수 없다.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의 제2 수전 장치(102b)로 송전할 수 있고,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외의 제1 수전 장치(102a)로는 송전할 수 없다.
또한,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의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로 송신할 수 있고,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외의 수전 장치로는 송신할 수 없다.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의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로 송신할 수 있고,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외의 수전 장치로는 송신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이,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대상은 제1 수전 장치(102a)뿐이며,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대상은 제2 수전 장치(102b)뿐이다.
이에 반해,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신 대상은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이며,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신 대상은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이다.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는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보다 넓고,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는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보다 넓다. 그로 인해, 송전 장치(101)의 송전 대상인 수전 장치(102)의 수와, 송전 장치(101)의 송신 대상인 수전 장치(102)의 수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송전 장치(101a 및 101b)는, 통신부(205)의 무선 통신에 의해서만, 송전 가능 범위(301a 및 301b) 내의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하, 송전 장치(101a 및 101b)가, 송전 가능 범위(301a 및 301b) 내의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수전 장치(102)의 수에 따라서 적절한 전력의 송전을 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있어서, 제1 송전 장치(101a)가 제1 수전 장치(102a)로 송전하고 있을 때, 제2 송전 장치(101b)가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존재한다.
먼저, 스텝 S501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송전용 코일(202) 및 송전용 LC 공진기(203)를 포함)는, 송전 제어 회로(204)의 제어에 의해, 정식 송전을 행하기 전에 제1 전력으로 테스트 송전을 개시한다.
이어서, 스텝 S502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는, 상기 테스트 송전 중에,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한다. 제2 수전 장치(102b)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존재하므로,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전하고 있다. 제2 수전 장치(102b)의 통신부(215)는, 임계값 이상의 전력을 수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 송신한다.
이에 반해, 제1 수전 장치(102a)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는 수전하지 않지만,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제1 수전 장치(102a)의 통신부(215)도, 임계값 이상의 전력을 수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 송신한다.
따라서,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수신하고, 수전 중인 수전 장치가 2개의 수전 장치(102a 및 102b)인 것을 검출한다.
이어서, 스텝 S503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1개 이상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504로 진행하고,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1개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스텝 S511로 진행한다.
이어서, 스텝 S504에서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송전용 코일(202) 및 송전용 LC 공진기(203)를 포함)는, 송전 제어 회로(204)의 제어에 의해, 상기 테스트 송전을 정지하고, 송전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 한다.
이어서, 스텝 S505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는, 상기 테스트 송전 정지 후에,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한다. 제2 수전 장치(102b)는, 수전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임계값 이상의 전력을 수전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제1 수전 장치(102a)는,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전하여, 임계값 이상의 전력을 수전하고 있으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수신하면,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 송신한다.
따라서,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1 수전 장치(102a)로부터만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수신하고, 수전 중인 수전 장치가 1개의 수전 장치(102a)인 것을 검출한다.
이어서, 스텝 S506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는, 스텝 S502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의 수와 스텝 S505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의 수가 같은지 여부를 체크한다. 같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507로 진행하고, 동일한 경우에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수전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511로 진행한다.
이어서, 스텝 S507에서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송전 장치(101b)는, 스텝 S502에서 응답이 있었던 수전 장치의 수에서, 스텝 S505에서 응답이 있었던 수전 장치의 수를 감산함으로써, 무응답으로 변화한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한다. 즉,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2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102a 및 102b)의 수인 2개에서, 스텝 S505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102a)의 수인 1개를 감산함으로써, 자신의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가 제2 수전 장치(102b) 1개인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스텝 S508 및 S509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송전용 코일(202) 및 송전용 LC 공진기(203)를 포함)는, 송전 제어 회로(204)가 고주파 전원 회로(201) 내의 증폭기의 게인을 제어함으로써, 스텝 S507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102b)의 수인 1개에 적합한 전력으로 송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제2 수전 장치(102b)로 적절한 전력이 송전되어, 제2 수전 장치(102b)의 과잉 수전을 방지하고, 이상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스텝 S510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의 통신부(215)는, 충전을 완료하면, 수전 완료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 송신한다.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제2 수전 장치(102b)로부터 수전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스텝 S511로 진행한다.
스텝 S511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송전용 코일(202) 및 송전용 LC 공진기(203)를 포함)는, 송전 제어 회로(204)의 제어에 의해, 송전을 정지한다.
상기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처리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그 외의 송전 장치(101a)를 포함하는 모든 송전 장치(101)의 처리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먼저, 스텝 S502에서,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102)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5에서,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102)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7에서는,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2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102)의 수와 스텝 S505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8에서는,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7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102)의 수에 따라서,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스텝 S501 및 S502의 처리와, 스텝 S504 및 S505의 처리의 순서를 반대로 해도 된다. 즉, 먼저 스텝 S504의 처리를 행하고, 다음에 스텝 S505의 처리를 행하고, 다음에 스텝 S501의 처리를 행하고, 다음에 스텝 S502의 처리를 행하고, 그 후, 스텝 S507 이후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즉, 먼저, 스텝 S505와 같이,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102)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2와 같이,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102)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7에서는,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2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102)의 수와 스텝 S505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8에서는,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7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102)의 수에 따라서,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스텝 S504에서는, 송전을 정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스텝 S501의 테스트 송전의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극소 전력을 포함)으로 송전하도록 해도 된다.
즉, 스텝 S502에서는,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102)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한다. 또한, 스텝 S504 및 S505와 마찬가지로,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송전부가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102)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한다. 그 후, 스텝 S508에서는,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7에서 검출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한다. 이 경우도,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텝 S502와 S505의 처리의 순서는, 반대여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수전 장치(102)가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기 등인 경우에는, 수전 장치(102)가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전 장치(101)의 송전 가능 범위 내의 수전 장치(102)의 수가 바뀌는 경우에도, 자신의 송전 가능 범위 내의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하고, 그 수에 따라서 적절한 전력으로 무선 송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송수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송수전 시스템은, 2개의 송전 장치(101a, 101b) 및 4개의 수전 장치(102a, 102b, 102c, 102d)를 갖는다.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부가 송전 가능한 범위이며,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가 존재한다.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가 송전 가능한 범위이며,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가 존재한다.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가 송신 가능한 범위이며,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보다 넓고, 제1 수전 장치(102a), 제2 수전 장치(102b),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가 존재한다.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가 송신 가능한 범위이며,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보다 넓고, 제1 수전 장치(102a), 제2 수전 장치(102b),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가 존재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송수전 시스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플로우도이다. 먼저, 도 7에 있어서, 스텝 701에서는, 제1 송전 장치(101a)는, 충전 처리의 개시를 지시한다.
이어서, 스텝 702에서는, 도 5의 스텝 S501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부는, 제1 전력으로 테스트 송전을 개시한다.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 위치하므로, 스텝 703 및 704에서,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의 수전을 개시하고, 그 수전에 의해 전원이 투입된다.
이에 반해,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외에 위치하므로, 수전을 하지 않으며, 전원이 투입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705에서는, 도 5의 스텝 S502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스텝 706에서는, 제1 수전 장치(102a)는,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1 송전 장치(101a)에 응답 송신한다. 스텝 707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도,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1 송전 장치(101a)에 응답 송신한다.
이에 반해, 스텝 708에서는, 제3 수전 장치(102c)는,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스텝 709에서는, 제4 수전 장치(102d)도,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710에서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706 및 707에서 응답이 있었던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의 정보를 기억부(711)에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712에서는, 도 5의 스텝 S504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부는, 테스트 송전을 정지한다. 그러면, 스텝 713에서는, 제1 수전 장치(102a)는, 수전을 정지하고, 전원이 절단된다. 스텝 714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도, 수전을 정지하고, 전원이 절단된다.
이어서, 스텝 715에서는, 도 5의 스텝 S505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801에서는, 제1 수전 장치(102a)는,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스텝 802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도,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스텝 803에서는, 제3 수전 장치(102c)도,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스텝 804에서는, 제4 수전 장치(102d)도,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805에서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응답이 있었던 수전 장치의 정보를 기억부(711)로부터 삭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스텝 805에서는, 응답이 있었던 수전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기억부(711)의 정보의 삭제를 행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806에서는, 도 5의 스텝 S507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기억부(711)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의 2개의 수전 장치가 자신의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이어서, 스텝 807에서는, 도 5의 스텝 S508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806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의 수에 적합한 전력이 되도록, 고주파 전원 회로(201) 내의 증폭기의 게인을 설정한다.
이어서, 스텝 808에서는, 도 5의 스텝 S509에 대응하여,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부는, 상기 설정된 적절한 전력으로의 송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스텝 809에서는, 제1 수전 장치(102a)는, 적절한 전력으로 수전하고, 전원이 투입된다. 스텝 810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도, 적절한 전력으로 수전하고, 전원이 투입된다.
이에 반해,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외에 위치하므로, 수전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901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는, 충전 처리의 개시를 지시한다.
이어서, 스텝 902에서는, 도 5의 스텝 S501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는, 제1 전력으로 테스트 송전을 개시한다.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위치하므로, 스텝 903 및 904에서,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의 수전을 개시하고, 그 수전에 의해 전원이 투입된다.
이어서, 스텝 905에서는, 도 5의 스텝 S502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스텝 906에서는, 제1 수전 장치(102a)는,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에 응답 송신한다. 스텝 907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도,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에 응답 송신한다.
이에 반해, 스텝 908에서는, 제3 수전 장치(102c)는,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에 응답 송신한다. 스텝 909에서는, 제4 수전 장치(102d)도,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에 응답 송신한다.
이어서, 스텝 910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906 내지 909에서 응답이 있었던 제1 수전 장치(102a) 내지 제4 수전 장치(102d)의 정보를 기억부(911)에 기억한다.
이어서, 스텝 912에서는, 도 5의 스텝 S504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는, 테스트 송전을 정지한다. 그러면, 스텝 913에서는, 제3 수전 장치(102c)는, 수전을 정지하고, 전원이 절단된다. 스텝 914에서는, 제4 수전 장치(102d)도, 수전을 정지하고, 전원이 절단된다.
이어서, 스텝 915에서는, 도 5의 스텝 S505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수전 중인 수전 장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1001에서는, 제1 수전 장치(102a)는,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에 응답 송신한다. 스텝 1002에서는, 제2 수전 장치(102b)도,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수전 중이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를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수신하면, 수전 중이라는 취지를 제2 송전 장치(101b)에 응답 송신한다.
이에 반해, 스텝 1003에서는, 제3 수전 장치(102c)는,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스텝 1004에서는, 제4 수전 장치(102d)도, 수전 중이 아니므로, 상기 수전 장치 검출 통지가 송신되더라도, 응답하지 않는다.
이어서, 스텝 1005에서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1001 및 1002에서 응답이 있었던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의 정보를 기억부(911)로부터 삭제한다. 이에 의해, 기억부(911)에는,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의 정보가 남는다.
이어서, 스텝 1006에서는, 도 5의 스텝 S507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기억부(911)에 기억되어 있는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의 2개의 수전 장치가 자신의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이어서, 스텝 1007에서는, 도 5의 스텝 S508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1006에서 검출된 수전 장치의 수에 적합한 전력이 되도록, 고주파 전원 회로(201) 내의 증폭기의 게인을 설정한다.
이어서, 스텝 1008에서는, 도 5의 스텝 S509에 대응하여,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부는, 상기 설정된 적절한 전력으로의 송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스텝 1009에서는, 제3 수전 장치(102c)는, 적절한 전력으로 수전하고, 전원이 투입된다. 스텝 1010에서는, 제4 수전 장치(102d)도, 적절한 전력으로 수전하고, 전원이 투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의 2개의 수전 장치(102a 및 102b)에 적합한 전력으로 송전할 수 있다.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의 2개의 수전 장치(102c 및 102d)에 적합한 전력으로 송전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제1 송전 장치(101a)는, 도 5의 스텝 S501 내지 S509의 처리를 일정한 주기로 정기적으로 행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송전 장치(101a)는, 스텝 S504의 송전 정지가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즉,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1에서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스텝 S502에서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와, 스텝 S504에서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스텝 S505에서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에 따라서, 스텝 S508에서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한다.
수전 장치(102)는, 충전 중에 이동시킬 수 있거나,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 상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102)의 수를 정기적으로 검출해서 송전 전력을 제어하므로,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의 수전 장치(102)의 수가 변화하더라도, 적절한 전력으로 송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우발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가 동시에 충전 처리를 개시해 버린 경우,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가 같은 주기로 정기적으로 상기 전력 제어 처리를 행하면,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 제1 수전 장치(102a) 내지 제4 수전 장치(102d)가 존재한다고 잘못 검출하고, 제2 송전 장치(101b)도,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제1 수전 장치(102a) 내지 제4 수전 장치(102d)가 존재한다고 잘못 검출해 버린다. 따라서, 그와 같은 우발적인 경우에도 대응 가능한 실시 형태를 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가 제3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송전 장치(101a)와 마찬가지로, 도 5의 스텝 S501 내지 S509의 처리를 일정한 주기로 정기적으로 행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송전 장치(101b)는, 스텝 S504의 송전 정지가 일정한 주기로 정기적으로 행해진다.
이에 반해, 제1 송전 장치(101a)는, 도 5의 스텝 S501 내지 S509의 처리를 랜덤의 주기로 복수회 행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송전 장치(101a)는 스텝 S504의 송전 정지가 랜덤의 주기로 복수회 행해진다.
즉,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스텝 S501에서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 스텝 S502에서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와, 스텝 S504에서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스텝 S505에서 통신부(205)가 수신한 수전 장치(102)의 수에 따라서, 스텝 S508에서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처리를 랜덤의 주기로 복수회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우발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가 동시에 충전 처리를 개시해 버린 경우에도,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는, 2회째 이후의 전력 제어 처리를 다른 타이밍으로 행하므로, 올바른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즉,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 제1 수전 장치(102a) 및 제2 수전 장치(102b)가 존재하면 올바른 검출을 행하고, 제2 송전 장치(101b)도,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 제3 수전 장치(102c) 및 제4 수전 장치(102d)가 존재하면 올바른 검출을 행하여, 적절한 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에서는,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외에 위치하고,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외에 위치한다.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가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하면,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제2 송전 장치(101b)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그 응답을 행하지 않는다.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통신부(205)가 상기 응답을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제2 송전 장치(101b)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가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하면,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제1 송전 장치(101a)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는,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수신할 수 없으며, 그 응답을 행하지 않는다.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통신부(205)가 상기 응답을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제1 송전 장치(101a)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3b는, 도 13a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3a의 경우,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연히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연히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전력 제어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송전(1301)이 행해진다.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는, 서로 위치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타이밍으로 전력 제어 처리를 행해도, 올바른 전력 제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4a에서는,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2 송전 장치(101b)의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위치하고,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1 송전 장치(101a)의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위치한다.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가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하면,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제2 송전 장치(101b)가 존재하므로,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는, 제1 송전 장치(101a)로부터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수신하고, 그 응답을 송신한다. 제1 송전 장치(101a)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통신부(205)가 상기 응답을 수신하므로,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제2 송전 장치(101b)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송전 장치(101b)의 통신부(205)가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송신하면,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제1 송전 장치(101a)가 존재하므로, 제1 송전 장치(101a)의 통신부(205)는, 제2 송전 장치(101b)로부터 송전 장치 검출 통지를 수신하고, 그 응답을 송신한다.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통신부(205)가 상기 응답을 수신하므로,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제1 송전 장치(101a)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의 송전예를 나타내는 타임차트이다. 도 14a의 경우, 제1 송전 장치(101a)는, 제2 송신 가능 범위(302b) 내에 존재하므로, 제2 송전 가능 범위(301b) 내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송전 장치(101b)는, 제1 송신 가능 범위(302a) 내에 존재하므로, 제1 송전 가능 범위(301a) 내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제1 송전 장치(101a)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제1 주기로 전력 제어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제1 주기가 정기적인 송전(1301)이 행해진다. 제2 송전 장치(101b)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주기와는 다른 제2 주기로 전력 제어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제2 주기가 정기적인 송전(1302)이 행해진다.
즉, 송전 장치(101)의 송전 제어 회로(204)는, 통신부(205)의 송신 가능 범위 내에 다른 송전 장치(101)가 존재한다는 취지를 통신부(205)가 수신했을 때는 정기적으로 행하는 전력 제어 처리의 주기를, 상기 다른 송전 장치(101)가 정기적으로 행하는 전력 제어 처리의 주기와 다르게 한다.
제1 송전 장치(101a) 및 제2 송전 장치(101b)는, 서로 위치가 가까우므로, 정기적 행하는 주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적어도 2회째 이후의 전력 제어 처리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해서, 올바른 전력 제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전 장치(101)는,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102)의 수를 검출하고, 그 수에 따라서 적절한 전력으로 무선 송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송전 장치(101)가 과도한 전력을 송전하고, 수전 장치(102)에 이상 과열이 발생해 버리는 것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쓸데없는 송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화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송전 가능 범위 내의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그 수에 따라서 적절한 전력으로 무선 송전할 수 있다.

Claims (10)

  1. 무선 송전을 행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상기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는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상기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상기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상기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먼저, 상기 송전부가 상기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그 후,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먼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그 후, 상기 송전부가 상기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처리를 정기적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처리를 랜덤의 주기로 복수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부의 송신 가능 범위 내에 다른 송전 장치가 존재한다는 취지를 상기 통신부가 수신했을 때에는 상기 정기적으로 행하는 처리의 주기를, 상기 다른 송전 장치가 정기적으로 행하는 처리의 주기와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장치.
  10. 송전 장치와,
    수전 장치를 갖고,
    상기 송전 장치는,
    무선 송전을 행하는 송전부와,
    상기 송전부의 송전 가능 범위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는 송전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송전 제어 회로는, 상기 송전부가 제1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와, 상기 송전부가 송전하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제1 전력보다 작은 제2 전력으로 송전했을 때에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는 수전 장치로부터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의 응답을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수전 장치의 수에 따라서, 상기 송전부의 무선 송전의 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수전 장치는,
    상기 임계값 이상의 전력의 수전을 하고 있을 때에는 수전하고 있다는 취지를 상기 송전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전 시스템.
KR1020147026872A 2012-03-30 2012-03-30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 KR101720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8649 WO2013145279A1 (ja) 2012-03-30 2012-03-30 送電装置及び送受電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688A true KR20140134688A (ko) 2014-11-24
KR101720400B1 KR101720400B1 (ko) 2017-03-27

Family

ID=4925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872A KR101720400B1 (ko) 2012-03-30 2012-03-30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29206B2 (ko)
EP (1) EP2833507B1 (ko)
JP (1) JP5892234B2 (ko)
KR (1) KR101720400B1 (ko)
CN (1) CN104247205B (ko)
AU (1) AU2012374867B2 (ko)
CA (1) CA2868591C (ko)
MX (1) MX336205B (ko)
SG (1) SG11201406082RA (ko)
WO (1) WO2013145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8829B2 (ja) * 2013-04-17 2017-07-26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6598B2 (ja) 2013-06-26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受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12632A (ja) * 2013-06-26 2015-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80177A (ja) * 2014-02-25 2015-10-08 船井電機株式会社 給電装置および給電方法
JP6366334B2 (ja) * 2014-04-18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4701955B (zh) * 2015-03-03 2017-03-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
WO2016164790A1 (en) * 2015-04-10 2016-10-13 Ossia Inc. Wireless power transceivers for supplementing wireless power delivery and extending range
FR3038171B1 (fr) * 2015-06-26 2018-06-01 Ingenico Group Module radio, dispositif et programme correspondant
JP2017022861A (ja) * 2015-07-09 2017-01-26 船井電機株式会社 給電装置
JP6566039B2 (ja) * 2015-10-09 2019-08-28 富士通株式会社 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送電器
JP6788364B2 (ja) * 2016-03-17 2020-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送電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38890B2 (ja) * 2016-10-18 2021-09-22 船井電機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CN110268596A (zh) * 2017-02-10 2019-09-20 富士通株式会社 送电装置、电力传输系统以及送电装置的控制方法
EP3677099A4 (en) * 2017-08-28 2021-05-12 Indoorsights Limited LUMINAIRE COMMUNICATION, DETECTION AND / OR LOCATION DEVICE AND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3789A (ja) 2007-05-10 2008-11-20 Olympus Corp 無線給電システム
US20090284082A1 (en) * 2008-05-13 2009-1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with negative resistance in wireless power transfers
US20110080051A1 (en) * 2009-10-07 2011-04-07 Kwang Du Le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1199975A (ja) 2010-03-18 2011-10-06 Nec Corp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送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送電方法
JP2012055144A (ja) * 2010-09-03 2012-03-15 Advantest Corp 給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レス送電装置
JP5567354B2 (ja) * 2010-01-25 2014-08-0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ホストおよび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1900B2 (ja) 2008-04-17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力供給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557045B2 (ja) 2008-05-12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送電装置、送電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US20100201201A1 (en) * 2009-02-10 2010-08-1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in public places
JP5456380B2 (ja) * 2009-06-09 2014-03-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端末給電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給電方法
KR101648751B1 (ko) * 2010-04-02 2016-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03370B2 (en) * 2010-06-17 2014-08-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and wireless power feeding method
US8853890B2 (en) * 2010-07-09 2014-10-07 Sony Corporation Power supply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358280B1 (ko) * 2010-08-26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한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532497B1 (ko) * 2011-01-20 2015-06-2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장치, 전력 송신 장치, 전력 수신 장치, 충전 시스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101951358B1 (ko) * 2011-12-15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3789A (ja) 2007-05-10 2008-11-20 Olympus Corp 無線給電システム
US20090284082A1 (en) * 2008-05-13 2009-1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with negative resistance in wireless power transfers
US20110080051A1 (en) * 2009-10-07 2011-04-07 Kwang Du Lee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JP5567354B2 (ja) * 2010-01-25 2014-08-0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ホストおよびデバイス
JP2011199975A (ja) 2010-03-18 2011-10-06 Nec Corp 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送電システムおよび非接触送電方法
JP2012055144A (ja) * 2010-09-03 2012-03-15 Advantest Corp 給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レス送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8591C (en) 2017-10-10
WO2013145279A1 (ja) 2013-10-03
CA2868591A1 (en) 2013-10-03
JP5892234B2 (ja) 2016-03-23
AU2012374867B2 (en) 2015-08-13
SG11201406082RA (en) 2014-10-30
CN104247205B (zh) 2017-03-22
EP2833507A4 (en) 2015-04-22
CN104247205A (zh) 2014-12-24
EP2833507A1 (en) 2015-02-04
MX336205B (es) 2016-01-11
MX2014011564A (es) 2014-11-25
KR101720400B1 (ko) 2017-03-27
EP2833507B1 (en) 2018-05-09
US9729206B2 (en) 2017-08-08
AU2012374867A1 (en) 2014-10-16
JPWO2013145279A1 (ja) 2015-08-03
US20150028673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400B1 (ko) 송전 장치 및 송수전 시스템
US10181756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20170244286A1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US1020535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EP333701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690251B2 (ja) 共鳴型ワイヤレス充電装置
CN110692177B (zh) 无线充电装置、接收机装置及其操作方法
EP2587613A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adjusting magnitude of wireless power
US994174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JP6001355B2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70002903A (ko) 다중 모드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05264744A (zh) 无线电力接收单元及无线充电中生成用于检测其的负载变化的方法
KR20130084619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각의 제어 방법
CN110999030B (zh) 无线充电装置、接收器装置及其相关方法
KR20170089542A (ko) 무선 전력 공급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20180301935A1 (en) Power recep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KR10180929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각의 제어 방법
KR20170077587A (ko) 유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2085426A (ja) 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JP2011182012A (ja) 非接触設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217116A (ja) 電子機器、電子機器送電システム及び受電制御方法
KR101773092B1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135789A (ja) 磁気共鳴式給電システム
JP2016082782A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
KR20140129916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