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707A -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 Google Patents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707A
KR20140132707A KR1020147020977A KR20147020977A KR20140132707A KR 20140132707 A KR20140132707 A KR 20140132707A KR 1020147020977 A KR1020147020977 A KR 1020147020977A KR 20147020977 A KR20147020977 A KR 20147020977A KR 20140132707 A KR20140132707 A KR 2014013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display
film
antireflection film
exhi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이마무라
다카요시 사이토
고지 이케가미
도시유키 가지오카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5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glass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41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 C03C17/341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with at least two coatings of inorganic materials all coatings being oxide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47F11/08Non-reflecting shop-window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3Anti-reflective coating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 C03C2217/734Anti-reflective coating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comprising an alternation of high and low refractive inde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전시물 또는 표시물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고, 나아가 전시물이나 표시물을 보호할 수 있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를 제공한다.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3) 는, 투명 기재 (31a) 와,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 (31b) 을 구비한다.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3) 의 시감 반사율은 0.5 % 이하이다.

Description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COVER MEMBER FOR EXHIBIT ITEM OR DISPLAY}
본 발명은,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전시 케이스, 액자, 표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분야에 대해서 가치가 있는 사물, 학술 자료, 미술품 등의 전시물을 미술관, 박물관 등에서 전시하는 경우, 전시물이 더러워지거나, 열화되거나, 혹은 고의 또는 사고에 의해 외적인 힘이 가해져 흠집이 생기거나,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000043호
이들을 방지하기 위해 전시물을 투명한 커버 부재로 보호하는 경우가 있는데, 커버 부재를 구성하는 유리나 수지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비치는 일이 있어, 전시물을 시인하기 힘들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 모바일 PC, 휴대게임기 등의 모바일 기기에 있어서는, 표시물이 투명한 유리판 등으로 보호되어 있지만, 태양광이나 형광등 등이 반사되어 비치는 것에 의해, 액정 등의 표시물에 의한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분야에 대해서 가치가 있는 사물, 학술 자료, 미술품 등의 전시물, 스마트폰, 모바일 PC, 휴대게임기 등의 모바일 기기, 카 내비게이션, 거치형 게임기 등의 표시물을 보호하면서, 전시물 또는 표시물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전시 케이스, 액자, 표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는,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구비하고, 시감 반사율이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의 자외광의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의 자외광의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한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최외층은 SiO2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iO2 막은, 화학적 내구성 향상을 위해 Al2O3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O2 막에 있어서의 Al2O3 의 함유량은, 1 ∼ 2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Al2O3 의 함유량이 적으면 화학적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기 어렵고, 또한, Al2O3 의 함유량이 많으면 막의 굴절률이 상승하여 반사 방지 효과를 손상시키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전시 케이스는, 기대 (基臺) 와, 그 기대 위에 재치 (載置) 된 전시물을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고정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커버 부재가,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구비하고, 시감 반사율이 0.5 % 이하인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시 케이스에서는, 커버 부재가 곡면 (曲面) 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는, 프레임재와, 수납하는 전시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프레임재에 고정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커버 부재가,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구비하고, 시감 반사율이 0.5 % 이하인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디바이스는, 표시물과 커버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체를 갖고, 그 커버 부재가, 투명 기재와, 그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구비하고, 시감 반사율이 0.5 % 이하인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디바이스는, 표시물과 커버 부재가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 표시물이 표시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커버 부재가 표시물을 덮도록, 표시 디바이스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수조는, 측벽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제 1 항에 기재된 커버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 또는 표시물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고, 나아가 전시물이나 표시물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버 부재를 사용한 전시 케이스의 사시도, (b) 는 커버 부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a)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버 부재를 사용한 전시 케이스의 종방향 단면도, (b) 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버 부재를 사용한 회화용 액자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a)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버 부재를 사용한 표시 디바이스의 종방향 단면도, (b) 는 커버 부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디바이스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VI-VI 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조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선 VIII-VIII 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1 의 커버 부재를 염수 자비 시험한 시험 전 및 시험 후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실시예 2 의 커버 부재를 염수 자비 시험한 시험 전 및 시험 후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형태 등에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에 의해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은 모식적으로 기재된 것으로, 도면에 묘화된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도면 상호간에서도,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는, 전시물이나 표시물을 오염, 열화,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투명 기재를 구비하고 있다.
투명 기재는,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은 유리,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내후성, 내광성, 반사 방지막과의 밀착성, 가스 배리어성 등의 관점에서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재질로는, 소다석회계 유리, 붕규산염계 유리, 알루미노규산염계 유리, 무알칼리 유리, 풍랭 강화 유리, 이온 강화 유리, 저팽창 결정화 유리 등이 이용 가능하다. 투명 기재의 형상으로는, 판상체, 상자체, 곡판 (曲板) 체, 원통체 등이 이용 가능하다.
투명 기재는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강도가 향상되지만, 투명 기재를 유리로 제작하는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면 중량이 커지기 쉽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함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투명 기재 (유리판) 의 두께가 10 ㎛ ∼ 0.3 ㎜ 이면, 가요성을 갖고,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단면 (端面) 으로부터의 입사광 및 단면에서의 반사광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바람직한 두께는 20 ㎛ ∼ 0.2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 0.1 ㎜ 이다. 또한 유리가 판상인 경우, 그 강도를 보충할 목적으로 유리판의 표면에 투명 수지판을 첩합 (貼合)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리판의 표면 조도가, Ra 로 50 ㎚ 이하이면, 광의 산란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를 구성하는 유리판의 성형 방법으로는, 주지의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플로트법, 롤 성형법 등이 이용 가능하지만, 특히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휨이 적고, 평활하며 (표면 조도가 작음), 두께가 얇은 유리판을 얻는 데 적합하다.
반사 방지막은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되고, 이 반사 방지막의 작용에 의해 커버 부재의 시감 반사율은 0.5 % 이하가 된다. 그 때문에, 이 커버 부재로 전시물이나 표시물을 보호하여도, 전시물이나 표시물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다.
반사 방지막을 투명 기재의 편면에 형성하는 경우, 전시물이나 표시물과 반대측의 면 (감상자측의 면) 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면, 투명 기재에 의한 반사의 영향이 작아, 원하는 시감 반사율을 얻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을 투명 기재의 양면에 형성하면, 시감 투과율을 보다 저감하기 쉽다. 단, 그 경우, 전시물이나 표시물측의 면에도 반사 방지막이 존재하게 된다. 전시물이나 표시물이 반사 방지막과 밀착 (접촉) 된 상태에 있으면, 손상되거나,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양자간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등의 표시물용 커버 부재에 있어서, 표시물과 커버 부재를 수지 필름 등으로 접착 고정시킨 경우에는, 반사 방지막은 투명 기재의 전시물이나 표시물과 반대측의 면 (감상자측의 면) 에 형성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표시물과 커버 부재를 접착하지 않고 간격을 둔 경우에는, 반사 방지막은 투명 기재의 양면에 형성하는 편이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표시물의 감상자측의 면에도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감 반사율은 JIS Z 8701 (1999년) 에 규정된 3 자극값의 색도 (Y) 이고, 색도 (Y) 는, U-4100 히타치 제조의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감상자측 면으로부터의 반사율을 측정하고, 상기 JIS 에 따라서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 때, 시야각은 10°로 하였다.
반사 방지막은 무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교호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교호막으로는, 양면 합한 층수가 8 ∼ 40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층수가 8 층보다 적으면, 원하는 시감 반사율이 얻어지지 않고, 40 층보다 많으면, 박리되기 쉬우며 또한 경제적이지 않다. 특히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교호막이, 양면 합한 층수가 10 층 이상이 되면, 시감 반사율이 0.2 % 이하인 커버 부재를 얻기 쉬워지며, 또한 14 층 이상이 되면, 시감 반사율이 0.16 % 이하인 커버 부재를 얻기가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휨 억제의 관점에서는, 각각의 면의 층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이나 각 층의 막두께도 완전히 동일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교호막을 편면에 형성하는 경우, 층수는 4 ∼ 20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으로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및 불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면에서의 저굴절막의 총 물리막두께는 100 ㎚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굴절률막으로는,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니오브, 산화탄탈, 산화하프늄, 산화티탄, 산화주석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면에서의 고굴절률막의 총 물리막두께는 50 ㎚ ∼ 2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스퍼터법, 진공 증착법, 딥핑법, 스핀 코트법, 이온 플레이팅법, CVD 법 등의 방법이 이용 가능하지만, 특히 스퍼터법을 채용하면, 막두께가 균일하고, 투명 기재와의 접착이 강고하며, 나아가 막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 부재는, 전시 케이스, 액자, 표시 디바이스의 커버 부재로서 바람직하다. 전시 케이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 장의 커버 부재를 사용하거나, 곡면상 커버 부재와 평면상 커버 부재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수 장의 커버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재로 접착 고정시켜도 되고, 프레임으로 접합시켜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 부재에는, 표리면 등을 식별하기 위한 마킹을 실시해도 된다. 또, 감상자가 미처 알아차리지 못하고 커버 부재에 부딪치는 일이 없도록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반사 방지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형성하거나, 마킹 (표시) 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커버 부재는, 자외광의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광의 투과율이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버 부재에 의해 전시물 등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시물 등의 자외선으로 인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자외광」이란, 280 ㎚ ∼ 380 ㎚ 의 파장역의 광을 말한다.
커버 부재의 자외광의 투과율을 낮게 하기 위해서, 투명 기재 및 반사 방지막의 적어도 일방이 자외광을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 기재 및 반사 방지막의 양방이 자외광을 차폐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의 자외광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막의 자외광의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
도 1(a) 에, 미술품 등의 전시물 (1) 을 수납·전시하기 위한 전시 케이스 (10) 를 나타내고 있다. 전시 케이스 (10) 는, 재치면을 갖는 기대 (2) 와, 기대 (2) 위에 재치된 전시물 (1) 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커버 부재 (3) 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 (3) 는, 4 장의 측판 (31) 과 1 장의 천판 (天板) (32) 이 접착 고정된 상자 형상을 갖고 있다. 4 장의 측판 (31) 은,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가 5 ㎜ 의 소다석회 유리로 이루어지는 유리판 (31a) 과, 유리판 (31a) 의 양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 (31b) 으로 이루어진다. 또, 천판 (32) 은 측판 (31) 과 동일한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고, 반사 방지막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Figure pct00001
반사 방지막 (31b) 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iO2 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막과 Nb2O5 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막의 16 층의 교호막 (양면 32 층) 이고, 유리판 (31a) 에는, Nb2O5 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막이, 최외층에는 SiO2 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막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 (31) 의 시감 반사율은 0.12 % 였다. 그 때문에, 커버 부재 (3) 의 측판 (31) 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비치는 것이 없고, 전시물 (1) 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저굴절률막 및 고굴절률막은 모두 반응성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2 에, 회화 등의 전시물 (11) 을 수납·전시하기 위한 전시 케이스 (20) 를 나타내고 있다. 전시 케이스 (20) 는, 벽 (12) 에 고정된 전시물 (11) 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커버 부재 (13) 로 이루어진다. 커버 부재 (13) 는, 1 장의 곡면상 측판 (131) 과, 1 장의 천판 (132) 과, 1 장의 저판 (底板) (133) 이 접착 고정된 가마보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측판 (131) 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유리판 (31a) 과, 유리판 (31a) 의 양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 (31b) 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측면 (131) 의 곡률반경 (R) 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반사가 커지기 쉽기 때문에, 곡률반경 (R) 이 400 ㎜ 이상이 되도록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리판 (31a) 은 두께가 0.3 ㎜ 로 이루어지는 붕규산염계 유리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 천판 (132) 및 저판 (133) 은 측판 (131) 과 동일한 유리판으로 이루어지고, 반사 방지막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반사 방지막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커버 부재 (13) 의 측판 (131) 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비치는 것이 없고, 전시물 (11) 의 정면에 있는 감상자뿐만 아니라, 전시물 (11) 의 비스듬한 방향에서 감상하는 감상자도 전시물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었다.
(제 3 실시형태)
도 3 에, 회화 등의 전시물 (21) 을 수납·전시하기 위한 액자 (30) 를 나타내고 있다. 액자 (30) 는, 프레임재 (24) 와, 수납하는 전시물 (21) 과 접촉하지 않도록 전시물 (21) 과 간격을 두고 프레임재 (24) 에 끼워 넣은 커버 부재 (23) 로 이루어진다. 커버 부재 (23)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유리판 (31a) 과, 유리판 (31a) 의 양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 (31b)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리판 (31a) 은 두께가 0.5 ㎜ 로 이루어지는 무알칼리 붕규산염계 유리 (닛폰 덴키 가라스사 제조 OA-10G) 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반사 방지막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커버 부재 (13) 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비치는 것이 없고, 전시물 (21) 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시물 (21) 과 커버 부재 (23) 가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전시물 (21) 을 손상이나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4(a) 에, 액정 등의 표시물 (41) 을 조립한 표시 디바이스 (50) 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 디바이스 (50) 는, 표시물 (41) 과, 수지 필름 (44) 을 개재하여 표시물 (41) 과 접착 고정된 커버 부재 (43) 와, 표시물 (41) 과 커버 부재 (43) 를 수납하는 수납체 (42) 로 이루어진다. 커버 부재 (43) 는,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장의 유리판 (43a) 과, 유리판 (43a) 의 수지 필름 (44) 의 비접촉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 (43b) 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리판 (31a) 은, 두께가 70 ㎛ 로 이루어지는 무알칼리 붕규산염계 유리 (닛폰 덴키 가라스사 제조 OA-10G) 로 이루어진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 방지막은, SiO2 으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막과 Nb2O5 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막의 합계 6 층의 교호막이고, 유리판 (31a) 에는, Nb2O5 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막이, 최외층에는 SiO2 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막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 (43) 의 시감 반사율은 0.16 % 였다. 표시 디바이스 (50) 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커버 부재 (43) 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비치는 것이 없고, 표시물 (41) 과 감상자 사이에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시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태양광 등이 반사되어 비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옥외에서도 표시물에 의한 화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었다.
한편, 시감 반사율을 산출하는 데 있어서, 수지 필름 (44) 을 개재하여 표시물 (41) 과 접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버 부재 (43) 의 감상자측에서부터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저굴절률막 및 고굴절률막은 모두 반응성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5 에,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표시 디바이스의 모식적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도 5 의 선 VI-VI 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디바이스 (51) 는, 예를 들어 파칭코대, 슬롯 머신 등의 오락 기구 등을 구성하고 있다. 표시 디바이스 (51) 는 디바이스 본체 (52) 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본체 (52) 의 일부분에 표시물 (5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물 (52a) 은, 액정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디바이스 본체 (52) 의 전방에는, 유리판 등에 의해 구성된 보호판 (5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호판 (53) 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 위에 커버 부재 (54) 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 (54) 는 측판 (31) 등과 동일하게,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 위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갖는다. 반사 방지막은, 커버 부재 (54) 의 편측 면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방의 면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 디바이스 (51) 에서는, 커버 부재 (54) 는 표시물 (52a) 을 덮도록, 표시 디바이스 (51) 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경 등이 반사되어 비치는 것 등에서 기인하는 표시물 (52a) 에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물 (52a) 이 블랙아웃했을 때에는, 투과광의 광량이 저하되어, 배경 등이 반사되어 비치는 것이 눈에 띄기 쉬워지므로, 커버 부재 (54) 를 형성해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커버 부재 (54) 를 형성해 둠으로써, 오락 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의 집중력이 반사 비침 등에 의해서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7 에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조의 모식적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8 에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조의 측벽의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8 은, 도 7 의 선 VIII-VIII 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 의 지면 안쪽, 도 8 의 x1 측에 수생 생물이 존재한다. 도 7 의 지면 앞쪽, 도 8 의 x2 측에 수생 생물의 관찰자가 위치한다.
도 8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조 (60) 는 측벽 (61) 을 갖는다. 측벽 (61) 은 평판상이어도 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찰자측 (x2 측) 이 볼록상의 곡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 (61) 은 유리나 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벽 (61) 의 외벽면 (61a) 위에는, 커버 부재 (63) 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 (63) 는 제 1 실시형태의 측판 (31), 제 4 실시형태의 커버 부재 (43) 등과 동일하게,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 위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갖는다. 반사 방지막은, 커버 부재 (63) 의 편측 면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쪽 면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커버 부재 (63) 를 채용함으로써 표면 반사를 억제할 수 있고, 배경 등이 반사되어 비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60) 내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조 (60) 내부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측벽 (61) 의 표면 위에 반사 방지막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조 (60) 의 측벽 (61) 은 거대하다는 점도 있어, 측벽 (61) 의 표면 위에 반사 방지막을 직접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측벽 (61) 에는 관찰자가 접촉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관찰자와의 접촉에 의해 반사 방지막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측벽 (61) 위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한 경우에는, 설치된 측벽 (61) 상의 반사 방지막을 수복하기가 곤란하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커버 부재 (63) 를 외벽면 (61a) 의 일부의 위에 형성하는 것이면, 반사 방지막의 형성도 용이하며, 또한 반사 방지막이 손상되었을 때의 메인터넌스성도 우수하다. 보다 우수한 메인터넌스성을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커버 부재 (63) 가 측벽 (61) 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커버 부재 (63) 가 측벽 (61) 에 점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커버 부재 (63) 는 측벽 (61) 에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수조 (60) 내부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커버 부재 (63) 의 투명 기재는 측벽 (3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의 굴절률과 측벽 (31) 의 굴절률의 차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부재 (63) 와 측벽 (61) 사이에 점접착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점접착층과 투명 기재 사이의 굴절률차, 점접착층와 측벽 (61) 사이의 굴절률차는, 각각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 (61) 의 외벽면 (61a) 이 곡면상인 경우에는, 투명 기재가 가요성을 갖는 수지 시트나, 두께가 300 ㎛ 이하의 유리 시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사 방지막이,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한 막이고, 최외층이 Al2O3 을 함유한 SiO2 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께가 500 ㎛ 인 무알칼리 붕규산염계 유리 (닛폰 덴키 가라스사 제조 OA-10G) 를 유리판으로서 사용하고, 이 위에 이하의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l-SiO2 로 이루어지는 저굴절률층과 Nb2O5 로 이루어지는 고굴절률층을 합계 5 층 교대로 적층하여, 제 7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 1 의 커버 부재를 얻었다.
비교로서, 이하의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o.5 의 최외층의 SiO2 막을 Al2O3 을 함유하지 않은 SiO2 막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리판 위에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고, 실시예 2 의 커버 부재를 얻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3 및 표 4 에 있어서, 「Al-SiO2」는 Al2O3 을 함유한 SiO2 막을 나타내고 있다. 또, Al2O3 의 함유량은 5.3 질량% 였다.
또한, 실시예 1 의 커버 부재의 시감 반사율은 0.23 % 이고, 실시예 2 의 커버 부재의 시감 반사율은 0.29 % 였다.
얻어진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의 커버 부재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하여 염수 자비 시험을 실시하였다.
NaCl 농도 4.8 질량%, 온도 90 ℃ 의 염수에, 상기 커버 부재를 30 분간 침지시킨 후, 꺼내 올려 표면을 순수로 세정하고, 건조시켰다.
염수 자비 시험 전과 시험 후의 커버 부재에 대해서, 입사각 12°로 파장 380 ∼ 780 ㎚ 의 파장역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도 9 는 실시예 1 의 커버 부재의 시험 전 및 시험 후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고, 도 10 은 실시예 2 의 커버 부재의 시험 전 및 시험 후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의 커버 부재에서는 시험 후의 반사율이 시험 전의 반사율과 비교하여 현저히 변화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의 커버 부재에서는 시험 전과 시험 후의 반사율은 거의 동일하여, 거의 변화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최외층의 SiO2 막에 Al2O3 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SiO2 막의 화학적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상기 실시예 1 의 커버 부재의 반사 방지막에 있어서는, 최외층 이외의 SiO2 막도 Al2O3 을 함유하고 있지만, 최외층 이외의 SiO2 막은 반드시 Al2O3 을 함유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최외층의 SiO2 막이 Al2O3 을 함유하고 있으면, 화학적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Al-SiO2 막」및 Nb2O5 막은 모두 반응성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되고, 「Al-SiO2 막」의 성막에 있어서는, 금속 Al 을 6.0 질량% 함유하는 Si 타깃을 사용하였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커버 부재는, 특정한 분야에 대해서 가치가 있는 사물, 학술 자료, 미술품, 수생 생물 등의 전시물, 스마트폰, 모바일 PC, 휴대게임기 등의 모바일 기기, 카 내비게이션, 거치형 게임기, 파칭코대, 슬롯 머신 등의 표시물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11, 21 … 전시물
2 … 기대
3, 13, 23, 43, 54, 63 … 커버 부재
10, 20 … 전시 케이스
12 … 벽
24 … 프레임재
30 … 액자
31, 131 … 측판
31a … 유리판
32b … 반사 방지막
32, 132 … 천판
41, 52a … 표시물
42 … 수납체
44 … 수지 필름
50, 51 … 표시 디바이스
52 … 디바이스 본체
53 … 보호판
60 … 수조
61 … 측벽
61a … 외벽면
133 … 저판

Claims (13)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반사 방지막을 구비하고, 시감 반사율이 0.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광의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의 자외광의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을 교대로 적층한 막으로, 최외층이 Al2O3 을 함유한 SiO2 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SiO2 막에 있어서의 Al2O3 의 함유량이 1 ∼ 20 질량% 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6. 기대와, 상기 기대 위에 재치된 전시물을 수납하여 보호하도록 고정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부재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가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케이스.
  8. 프레임재와, 수납하는 전시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프레임재에 고정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 부재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9. 표시물과 커버 부재를 수납하는 수납체를 갖고, 상기 커버 부재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물과 상기 커버 부재가, 수지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디바이스.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물이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표시물을 덮도록, 상기 표시 디바이스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디바이스.
  12. 측벽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KR1020147020977A 2012-03-09 2013-02-12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KR201401327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53800 2012-03-09
JPJP-P-2012-053800 2012-03-09
JPJP-P-2012-249096 2012-11-13
JP2012249096 2012-11-13
PCT/JP2013/053189 WO2013132963A1 (ja) 2012-03-09 2013-02-12 展示物又は表示物用カバー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707A true KR20140132707A (ko) 2014-11-18

Family

ID=4911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977A KR20140132707A (ko) 2012-03-09 2013-02-12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5852B2 (ko)
JP (1) JPWO2013132963A1 (ko)
KR (1) KR20140132707A (ko)
CN (2) CN103308961A (ko)
TW (1) TWI576604B (ko)
WO (1) WO2013132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727A (zh) * 2013-11-29 2014-03-12 上海天奇有机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亚克力或有机玻璃用于立体展示功能的生产工艺
EP2950353B1 (de) * 2014-05-30 2018-10-10 AZUR SPACE Solar Power GmbH Solarzelleneinheit
WO2016199106A1 (en) * 2015-06-12 2016-12-15 Stan S.R.L. Transparent or translucent substrate comprising a superficial film having optical selectivity
US10816703B2 (en) 2015-09-28 2020-10-27 Tru Vue, Inc. Near infrared reflective coatings
ES2882707T3 (es) 2016-04-19 2021-12-02 Apogee Entpr Inc Superficies de vidrio revestidas y procedimiento de revestimiento de un sustrato de vidrio
EP3619176A1 (en) 2017-05-04 2020-03-11 Apogee Enterprises, Inc. Low emissivity coatings, glass surfa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IT201800000730A1 (it) * 2018-01-11 2019-07-11 Coerent Srl Strato di rivestimento per lenti
CN111669969B (zh) * 2018-02-01 2022-02-25 Agc株式会社 基材及共聚物
US10830930B1 (en) 2019-09-09 2020-11-10 Apple Inc. Antireflective infrared cut filter coatings for electronic devices
JP2022109729A (ja) * 2021-01-15 2022-07-28 株式会社電通 標本箱および標本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0990B1 (fr) * 1995-02-23 1997-04-04 Saint Gobain Vitrage Substrat transparent a revetement anti-reflets
JPH09403A (ja) 1995-06-16 1997-01-07 Okamura Corp 展示ケース
US5933273A (en) * 1997-06-11 1999-08-03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Ultraviolet blocking coating and associated coated optical element
JP4147743B2 (ja) 1998-02-24 2008-09-10 旭硝子株式会社 光吸収性反射防止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0229161A (ja) 1999-02-10 2000-08-22 Nof Corp 遊技機用の前面開閉扉
FR2793889B1 (fr) 1999-05-20 2002-06-28 Saint Gobain Vitrage Substrat transparent a revetement anti-reflets
EP1248959B1 (de) * 1999-12-22 2006-06-21 Schott Ag Uv-reflektierendes interferenzschichtsystem
DE19962144A1 (de) * 1999-12-22 2001-06-28 Schott Desag Ag UV-reflektierendes Interferenzschichtsystem
JP2002014203A (ja) 2000-06-30 2002-01-18 Canon Inc 反射防止膜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
AU756842B2 (en) * 2000-08-29 2003-01-23 Hoya Corporation Optical element having antireflection film
JP2002114029A (ja) 2000-10-06 2002-04-16 Kato Works Co Ltd 車窓用赤外線遮蔽器具
CN1389346A (zh) 2001-06-04 2003-01-08 冠华科技股份有限公司 抗反射光学多层薄膜
JP2003139909A (ja) 2001-11-08 2003-05-14 Asahi Glass Co Ltd 導電性反射防止膜および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EP1324078A3 (en) * 2001-12-28 2004-01-14 Hoya Corporation Hybrid film, antireflection film comprising it, optical product, and method for restoring the defogging property of hybrid film
JP4399143B2 (ja) 2002-03-28 2010-01-13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盤の保護カバー体、遊技機
JP2003319733A (ja) * 2002-05-07 2003-11-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観賞用水槽
JP3093957U (ja) * 2002-11-11 2003-05-23 東レ株式会社 表示パネル
JP2005031297A (ja) * 2003-07-10 2005-02-03 Asahi Techno Glass Corp 液晶表示装置の反射防止膜付き透明基板
JP4355177B2 (ja) 2003-07-11 2009-10-28 株式会社ソフィア 遊技機
FR2864251B1 (fr) * 2003-12-17 2006-04-28 Essilor Int Article d'optique revetu d'un revetement anti-reflets multicouches absorbant dans le visibl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2005292462A (ja) * 2004-03-31 2005-10-20 Konica Minolta Opto Inc 誘電体多層膜を有する光学素子
US7744951B2 (en) * 2006-04-13 2010-06-29 Guardian Industries Corp. Coated glass substrate with infrared and ultraviolet blocking characteristics
US7692855B2 (en) * 2006-06-28 2010-04-0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Optical article having a temperature-resistant anti-reflection coating with optimized thickness ratio of low index and high index layers
FR2903197B1 (fr) 2006-06-28 2009-01-16 Essilor Int Article d'optique revetu d'une sous-couche et d'un revetement anti-reflets multicouches resistant a la temperature, et procede de fabrication
ITMO20060231A1 (it) * 2006-07-14 2008-01-15 Tecres Spa Dispositivo per l'introduzione di fluidi cementiferi in cavita' ossee, particolarmente per interventi di vertebroplastica o simili
JP2008122603A (ja) 2006-11-10 2008-05-29 Bridgestone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JP5271575B2 (ja) 2007-03-20 2013-08-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1269917B (zh) * 2007-03-21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低辐射玻璃
US8409663B2 (en) * 2007-04-27 2013-04-02 Guardian Industries Corp. Method of making a coated glass substrate with heat treatable ultraviolet blocking characteristics
EP2199835B1 (en) * 2007-09-28 2018-09-19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component
JP2010048902A (ja) 2008-08-19 2010-03-04 The Inctec Inc 低反射透明板及びそれを用いた展示用ケース
CN101938899B (zh) 2008-12-25 2013-04-10 夏普株式会社 贮液槽、液中观察器具及光学膜
PL2403817T3 (pl) * 2009-03-06 2015-10-30 Dsm Ip Assets Bv Sposób powlekania głowicą szczelinową
US8835011B2 (en) * 2010-01-07 2014-09-16 Corning Incorporated Cover assembly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s
JP2011149710A (ja) 2010-01-19 2011-08-04 Seiko Epson Corp 時計用カバーガラス、及び時計
TW201216481A (en) 2010-06-11 2012-04-16 Asahi Glass Co Ltd Translucent laminat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311022U (zh) 2013-11-27
JPWO2013132963A1 (ja) 2015-07-30
TW201341836A (zh) 2013-10-16
US20150020745A1 (en) 2015-01-22
CN103308961A (zh) 2013-09-18
TWI576604B (zh) 2017-04-01
WO2013132963A1 (ja) 2013-09-12
US9995852B2 (en)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2707A (ko) 전시물 또는 표시물용 커버 부재
US8481148B2 (en) Optical device and antireflection film
US9703012B2 (en) Anti-glare/antireflection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137521B2 (en) Antireflective film-attached transparent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TWI690723B (zh) 具有減少刮傷及指紋能見度的低對比防反射製品
KR20200040305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이를 위한 코팅
JP2015534096A (ja) 散乱性埋込防眩層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素子
WO2013065715A1 (ja) 眼鏡レンズ
US20240036236A1 (en) Cover glass articles for camera lens and sensor protection and apparatus with the same
KR20130031689A (ko) 적층체
JP2013097159A (ja) 眼鏡レンズ
JP6939974B2 (ja) 表示装置
JP2014065169A (ja) 展示物カバー用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JP2017206392A (ja) ガラス物品
JP2007041438A (ja) 導電性反射防止積層体
US20230301002A1 (en) Cover articles with high hardness and anti-reflective properties for infrared sensors
JP7140134B2 (ja) カバー部材
US20090092825A1 (en) Extreme low resistivity light attenuation anti-reflection c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179548A (ja) 窓用ガラス樹脂透明積層体
TW201601929A (zh) 抗反射積層體及其製造方法
KR20230043212A (ko) 광학 적층체 및 물품
JP6806193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ガラス積層体
TW201728548A (zh) 抗紫外光物件及其製造方法
JP2005266665A (ja) 反射防止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316097A (ja) ディスプレー用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