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568A -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568A
KR20140130568A KR20147030345A KR20147030345A KR20140130568A KR 20140130568 A KR20140130568 A KR 20140130568A KR 20147030345 A KR20147030345 A KR 20147030345A KR 20147030345 A KR20147030345 A KR 20147030345A KR 20140130568 A KR20140130568 A KR 20140130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weight
modified
parts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964B1 (ko
Inventor
신야 타케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16Compositions of the tr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CTREATMENT OR 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S
    • C08C19/00Chemical modification of rubber
    • C08C19/30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 C08C19/42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 C08C19/44Addition of a reagent which reacts with a hetero atom or a group containing hetero atoms of the macromolecule reacting with metals or metal-containing groups of polymers containing metal atoms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저구름 저항성, 웨트 성능 및 내마모성을 종래 레벨보다도 한층 더 향상하도록 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이상,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의 말단 변성 S-SBR을 5 ~ 50중량%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연화점이 100℃ 이상의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를 2 ~ 50중량부, 2종류의 실리카 X 및 실리카 Y를 합계로 60 ~ 130중량부 배합하고, 변성 S-SBR의 관능기가 실란올기와 반응성이 있고, X 및 실리카 Y 및 임의로 배합되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보강성 충전제 중의 실리카의 비율이 85중량% 이상, 실리카 X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 실리카 Y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을 넘고 140m2/g 미만, 또한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실리카 X, Y의 배합량을 x, y중량부로 할 때, x/7<y≤x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TIRE RUBBER COMPOSITE AND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저구름 저항성,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종래 레벨보다도 향상하도록 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근년(近年),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에는, JATMA(Japan Automobile Tyre Manufacturers Association)에 의한 라벨링(표시 방법) 제도가 개시되어, 저구름 저항성과 웨트 그립성을 보다 고차원으로 양립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웨트 그립성에 대한 요구 레벨은 극히 높고, 라벨링 제도에 기초하는 웨트 그립성의 등급 a를 만족하는 공기입 타이어는 아직도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동시에 타이어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을 개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저구름 저항성 및 웨트 그립성의 밸런스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에 실리카를 배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리카는 그 표면에 실란올기를 가져 응집하기 쉽고, 또한 디엔계 고무와의 친화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분산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일이 있으며, 그 경우 고무 조성물의 손실 정접(正接)(tanδ) 등의 동적 점탄성 특성을 개질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리카는 카본 블랙에 비하여 보강성이 작아 내마모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분산성이 나쁘면 내마모성이 한층 더 낮아지는 것이 문제였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은, 말단을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등으로 변성한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에 실리카를 배합한 고무 조성물에 의하여 실리카의 분산성을 개량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고무 조성물은 구름 저항,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개량하는 효과가 인정되지만, 수요자가 저구름 저항성,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의 향상에 기대하는 요구 레벨은 보다 높고, 이러한 성능의 밸런스를 한층 개선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914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저구름 저항성,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종래 레벨 이상으로 향상하도록 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및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이상,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의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변성 S-SBR)를 5 ~ 50중량%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화점이 100℃ 이상의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를 2 ~ 50중량부, 2종류의 실리카 X 및 실리카 Y를 합계로 60 ~ 130중량부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변성 S-SBR의 관능기가 실리카 표면의 실란올기와 반응성이 있고, 상기 X 및 실리카 Y 및 임의로 배합되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보강성 충전제의 총량에 대한 실리카의 비율이 85중량% 이상이고, 상기 실리카 X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 상기 실리카 Y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을 넘고 140m2/g 미만이고, 또한 상기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실리카 X의 배합량을 x중량부, 실리카 Y의 배합량을 y중량부로 할 때, x/7<y≤x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상기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이상,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로 실란올기와 반응성이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변성 S-SBR을 5 ~ 50중량%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에, 연화점 100℃ 이상의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를 2 ~ 50중량부, 상술한 특정의 입자 성상(性狀)을 가지는 2종류의 실리카 X 및 Y의 배합량을 한정하고, 또한 보강성 충전제의 총량에 대한 실리카 비율을 85중량% 이상이 되도록 배합하였기 때문에, 실리카의 분산성을 개량하여 저구름 저항성,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종래 레벨 이상으로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변성 S-SBR의 관능기로서는 히드록실기가 바람직하며, 실리카 표면의 실란올기와 반응성이 뛰어나고, 실리카의 분산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공기입 타이어는, 저구름 저항성,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종래 레벨 이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각 조성물의 배합,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의 각 조성물의 배합,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각 조성물의 배합, 평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의 각 조성물에 이용되는 공통 배합 성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고무 성분은 디엔계 고무로 이루어진다. 디엔계 고무 100중량% 중, 5 ~ 50중량%가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이하, 「변성 S-SBR」이라고 한다.)이다. 변성 S-SBR은, 유리 전이 온도(이하 「Tg」라고 한다.)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 -50℃이다. 변성 S-SBR의 Tg가 -50℃보다 높으면, 내마모성을 충분히 개량할 수 없다. 덧붙여 변성 S-SBR의 Tg는,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D3418-82에 기초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하여 측정한다. 또한, 변성 S-SBR이 유전품(油展品)일 때는, 유전 성분(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변성 S-SBR의 Tg로 한다.
변성 S-SBR은,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50중량%이다. 예를 들어, 25 ~ 30중량%, 30 ~ 43중량%, 43 ~ 50중량%이다. 변성 S-SBR의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미만이면 실리카와의 친화성이 부족한 결과, 실리카와의 반응성이 결핍하고, 또한 내마모성을 충분히 개량할 수 없다. 비닐 단위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변성 S-SBR의 Tg를 -50℃ 이하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로 하면 된다. 덧붙여 변성 S-SBR의 비닐 단위 함유량은 적외 분광 분석(Hampton법)에 의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변성 S-SBR은, 그 분자 말단의 양방(兩方) 또는 편방(片方)을 실리카 표면의 실란올기와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로 변성한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이다. 실란올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 함유 폴리오르가노실록산 구조, 알콕시 실릴기, 히드록실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티올기, 에테르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히드록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변성 S-SBR의 함유량은, 디엔계 고무 100중량% 중 5 ~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0중량%로 한다. 예를 들어, 디엔계 고무 100중량% 중, 5 ~ 10중량%, 10 ~ 17중량%, 17 ~ 30중량%, 30 ~ 50중량%로 한다. 변성 S-SBR의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이면 실리카의 분산성이 부족하여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충분히 개량할 수 없다. 또한 변성 S-SBR의 함유량이 50중량%를 넘으면 구름 저항이 오히려 악화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엔계 고무는 변성 S-SBR을 제외하는 다른 디엔계 고무를 50 ~ 95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90중량% 함유한다. 다른 디엔계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변성되어 있지 않는 용액 중합 또는 유화(乳化)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상술한 변성 S-SBR 이외의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 이소부틸렌/p-메틸스티렌 공중합체 고무의 브롬화물,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천연 고무, 부타디엔 고무, 유화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미변성의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상술한 변성 S-SBR 이외의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이소부틸렌/p-메틸스티렌 공중합체 고무의 브롬화물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변성 S-SBR 이외의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란,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이상,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 실란올기와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를 가지는 것 중, 적어도 1개를 만족하지 않는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말한다. 변성 S-SBR 이외의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는, 디엔계 고무 100중량% 중, 예를 들어 25 ~ 33중량%, 33 ~ 53중량%, 53 ~ 66중량%, 66 ~ 73중량%, 73 ~ 90중량%, 90 ~ 95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를 배합하는 것에 의하여, 저구름 저항성 및 웨트 그립성의 밸런스를 향상하는 것, 특히 웨트 그립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로서는, 연화점이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130℃인 것을 배합한다. 예를 들어, 100 ~ 125℃, 125 ~ 130℃인 것을 배합한다.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의 연화점이 100℃ 미만이면, 웨트 그립성을 개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덧붙여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의 연화점은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K6220-1에 기초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 배합하는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α-피넨, β 피넨, 디펜텐, 리모넨(limonene), 캄펜(camphene) 등의 테르펜류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페놀, 인덴(indene)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야스하라 케미카루샤 (YASUHARA CHEMICAL Co., Ltd.)제 YS 레진 TO-125, 동(同) TO-115, 동 TO-105, 동 TR-105 등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의 배합량은,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2 ~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 50중량부로 한다. 예를 들어, 2 ~ 7.5중량부, 5 ~ 10중량부, 10 ~ 15중량부, 15 ~ 50중량부로 한다.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의 배합량이 2중량부 미만에서는, 저구름 저항성 및 웨트 그립성의 밸런스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없다. 또한,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의 배합량이 50중량부를 넘으면, 경도가 너무 부드러워지는 등 소정의 성능을 얻지 못하고, 또한 내마모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인 실리카 X, 및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을 넘고 140m2/g 미만인 실리카 Y라고 하는 2종류의 실리카 X, Y를 배합한다. 실리카 X, Y를 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무 조성물의 발열성을 억제하고, 타이어로 하였을 때의 구름 저항을 저감하는 것과 함께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카 X는,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 230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2/g 이상 185m2/g 미만이다. 예를 들어, 140 ~ 150m2/g, 150 ~ 160m2/g, 160 ~ 180m2/g, 180 ~ 185m2/g, 185 ~ 220m2/g, 220 ~ 230m2/g이다. 실리카 X를 배합하는 것에 의하여,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을 높은 레벨로 확보할 수 있다. 실리카 X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미만이면,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이 부족하다.
또한 실리카 Y는,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을 넘고 140m2/g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m2/g을 넘고 130m2/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 130m2/g이다. 예를 들어, 100m2/g을 넘고 105m2/g 이하, 105 ~ 110m2/g, 110 ~ 125m2/g, 125 ~ 130m2/g, 130m2/g 이상 140m2/g 미만이다. 입자경이 비교적 큰 실리카 Y를 배합하는 것에 의하여, 특히, 발열성을 작게 하여 타이어로 하였을 때의 구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실리카 Y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 미만이면, 웨트 그립성을 개량할 수 없다. 또한 실리카 Y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이면, 구름 저항을 저감하는 작용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덧붙여, 실리카 X 및 Y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은 ASTM D3037-81의 BET법에 준거하여 구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실리카 X의 배합량을 x중량부, 실리카 Y의 배합량을 y중량부로 할 때, 실리카 X 및 Y의 합계량(x+y)을 60 ~ 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 130중량부로 한다. 예를 들어, 60 ~ 70중량부, 70 ~ 80중량부, 80 ~ 130중량부로 한다. 실리카의 X 및 Y의 합계량(x+y)이 60중량부 미만이면, 저구름 저항성 및 웨트 그립성의 밸런스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없다. 실리카의 X 및 Y의 합계량(x+y)이 130중량부를 넘으면 고무 점도가 증대하여 가공성이 악화한다. 또한 내마모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데다가, 구름 저항 성능이 크게 악화한다.
또한, 실리카 X의 배합량 x 및 실리카 Y의 배합량 y는, x/7<y≤x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x/7≤y≤x/6.3, x/6.3≤y≤x/6, x/6≤y≤x/5, x/5≤y≤x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리카 Y의 배합량 y(중량부)가 실리카 X의 배합량 x(중량부)의 7분의 1 이하(x/7 이하)이면 저구름 저항성 및 웨트 그립성의 밸런스를 개량할 수 없다. 또한 실리카 Y의 배합량 y(중량부)가 실리카 X의 배합량 x(중량부)를 넘으면,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이 악화한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이외의 다른 보강성 충전제를 배합할 수 있다. 다른 보강성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클레이, 탤크, 탄산 칼슘, 마이카, 수산화 알루미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본 블랙을 반드시 배합하는 것에 의하여, 고무를 보강하여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보강성 충전제의 배합량은,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 19.5중량부로 한다.
실리카 및 카본 블랙 등을 포함하는 보강성 충전제의 총량 100중량% 중의 실리카의 비율은 8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7 ~ 100중량%로 한다. 예를 들어, 85 ~ 87.5중량%, 87.5 ~ 88.9중량%, 88.9 ~ 90중량%, 90 ~ 100중량%로 한다. 실리카의 비율이 85중량% 미만이면, 저구름 저항성 및 웨트 그립성의 밸런스를 개량할 수 없다. 여기서 실리카 이외의 다른 보강성 충전제의 배합량은, 보강성 충전제의 총량 100중량% 중의 실리카 비율이 85중량% 이상인 것, 및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실리카 배합량이 60 ~ 130중량부인 것으로부터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카 X 및 Y는, 상술한 특성을 가지는 실리카이면 무방하고, 제품화된 것의 내에서 적의(適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으로 상술한 특성을 가지도록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실리카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습식법 실리카, 건식법 실리카 혹은 표면 처리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실리카 X, Y와 함께 실란 커플링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하여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에 대한 보강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실리카 배합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 ~ 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2중량% 배합하면 된다. 실란 커플링제가 실리카 중량의 3중량% 미만의 경우,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가 15중량%를 넘으면, 실란 커플링제끼리가 축합하여 버려, 소망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황 함유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비스(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설파이드,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벤조티아졸 테트라설파이드,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옥타노일티오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및 이러한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NXT-Z(모멘티브 퍼포먼스사(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제)를 들 수 있다.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는, 상술한 충전제 이외에도, 가류 또는 가교제, 가류 촉진제, 노화 방지제, 가소제, 가공조제 등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고, 이러한 첨가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혼련(混練)하여 고무 조성물로 하여, 가류 또는 가교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종래의 일반적인 배합량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무 조성물은, 공지의 고무용 혼련 기계, 예를 들어, 밴배리 믹서(Banbury mixer), 니더(kneader), 롤 등을 사용하여, 상기 각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공기입 타이어, 특히 타이어 트레드부에 호적(好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공기입 타이어는,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구름 저항이 작아 연비 성능이 뛰어난 것에 더하여, 웨트 그립성이 뛰어나며, JATMA의 라벨링 제도에 기초하는 웨트 그립성의 등급 a에 상당하는 성능을 가진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한층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도 4에 나타내는 배합제를 공통 배합으로 하고, 도 1 ~ 3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이루어지는 25종류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실시예 1 ~ 9, 비교예 1 ~ 16)을, 유황, 가류 촉진제를 제외하는 성분을 1.8L의 밀폐형 믹서로 5분간 혼련하여 방출한 마스터 배치(master batch)에, 유황, 가류 촉진제를 가하여 오픈 롤로 혼련하는 것에 의하여 조제하였다. 덧붙여, 도 1 ~ 3 중, 변성 S-SBR 1, 미변성 SBR은 37.5중량부의 유전 오일을 포함하기 때문에, 배합량의 란에 실제의 배합량과 함께, 괄호 내에 유전 오일을 제외한 각각의 SBR 정미(正味)의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로마 오일의 배합량은, 고무 조성물 중의 총 오일량 및/또는 고무 경도가 대비 가능한 레벨이 되도록 적의 조절하였다. 실리카와 카본 블랙의 총량에 대한 실리카의 비율을 「실리카 비율」의 란에 나타내었다. 덧붙여 도 4에 기재한 배합제의 양은, 도 1 ~ 3에 기재한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정미의 고무량)에 대한 중량부로 나타내었다.
얻어진 25종류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에 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tanδ(60℃)를 측정하여 구름 저항의 지표로 하였다.
tanδ(60℃)
얻어진 25종류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을, 소정 형상의 금형 중에서, 160℃, 25분간 프레스 가류하여 가류 고무 샘플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가류 고무 샘플의 tanδ(60℃)를, 토요 세이키 세이사쿠쇼샤(東洋精機製作所社)제 점탄성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초기 일그러짐 10%, 진폭 ±2%, 주파수 20Hz의 조건 하에서, 온도 60℃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비교예 1의 값의 역수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하여, 도 1 ~ 3의 「구름 저항」의 란에 나타내었다. 구름 저항의 지수가 클수록 tanδ(60℃)가 작고 저발열로, 타이어로 하였을 때의 구름 저항이 낮아, 연비 성능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타이어 사이즈가 205/55 R16인 공기입 타이어를, 상술한 25종류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을 트레드부에 사용하여 4개씩 제작하였다. 얻어진 25종류의 공기입 타이어의 웨트 그립성을 하기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웨트 그립성
얻어진 공기입 타이어를 림 사이즈 6.5J의 휠에 조립하고, 2.0리터 클래스의 시험 차량에 장착하여, EU 규칙 웨트 그립 그레이딩 시험법(TEST METHOD FOR TYRE WET GRIP GRADING (C1 TYPES))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비교예 1의 값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하여, 도 1 ~ 3의 「웨트 성능」의 란에 나타내었다. 웨트 성능의 지수가 클수록 웨트 그립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도 1 ~ 3에 있어서 사용한 원재료의 종류를 하기에 나타낸다.
·변성 S-SBR 1: 말단에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비닐 단위 함유량이 43중량%, Tg가 -27℃, 고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일분 37.5중량부를 포함하는 유전품, 아사히 카세이 케미카루즈샤(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제 Tufdene E581
·변성 S-SBR 2: 말단에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비닐 단위 함유량이 31중량%, Tg가 -63℃, 비유전품, 닛폰 제온샤(ZEON CORPORATION)제 Nipol NS612
·미변성 SBR: 미변성의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비닐 단위 함유량이 36중량%, Tg가 -55℃, 고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일분 37.5중량부를 포함하는 유전품, 아사히 카세이 케미카루즈샤제 Tufdene 1335
·BR: 부타디엔 고무, 닛폰 제온샤제 Nipol BR1220
·NR: 천연 고무, SIR-20
·실리카 X1: Rhodia사제 Zeosil 1165MP,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60m2/g
·실리카 X2: Rhodia사제 Zeosil 195GR,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80m2/g
·실리카 X3: Rhodia사제 Zeosil 200MP,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220m2/g
·실리카 Y1: Rhodia사제 Zeosil 115GR,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10m2/g
·실리카 Y2: 데구사사(Degussa)제 Ultrasil 5000GR,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25m2/g
·실리카 Z: 데구사사제 Ultrasil 360,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50m2/g
·카본 블랙: 캐봇 재팬사(Cabot Japan Co., Ltd.)제 쇼블랙 N234
·실란 커플링제: 유황 함유 실란 커플링제, 에보닉 데구사사(Evonik Degussa)제 Si69
·변성 테르펜 수지 1: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야스하라 케미카루샤제 YS 레진 TO-125, 연화점 125℃
·변성 테르펜 수지 2: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야스하라 케미카루샤제 YS 레진 TO-85, 연화점 85℃
·아로마 오일: 쇼와 쉘 세키유샤(SHOWA SHELL SEKIYU K. K.)제 Extract 4호S
도 4에 있어서 사용한 원재료의 종류를 하기에 나타낸다.
·산화 아연: 세이도 카가쿠 코교샤(正同化學工業社)제 산화 아연 3종
·스테아린산: 치바 시보우산샤(千葉脂肪酸社)제 공업용 스테아린산 N
·노화 방지제: 세이코 카가쿠샤(精工化學社)제 OZNONE 6C
·유황: 츠루미 카가쿠 코교샤(鶴見化學工業社)제 금화인유입(金華印油入) 미분(微粉) 유황("GOLDEN FLOWER" OIL TREATED SULFUR POEDER)
·가류 촉진제 1: 오우치 신코 카가쿠 코교샤(大內新興化學工業社)제 NOCCELER CZ-G
·가류 촉진제 2: 프레키시스샤(Flexsys Corporation Ltd.)제 PERKACIT DPG
도 1 ~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9의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은, 저구름 저항성(60℃의 tanδ), 및 웨트 그립성을 유지·향상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의 고무 조성물은, 실시예 3의 변성 S-SBR 2 대신에 미변성 S-SBR을 배합하였기 때문에 웨트 그립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3의 고무 조성물은, 실시예 3의 변성 S-SBR 2 대신에 부타디엔 고무를 배합하였기 때문에 웨트 그립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4의 고무 조성물은, 실시예 3의 변성 S-SBR 2를 배합하지 않고, 변성 S-SBR로서 변성 S-SBR 1만을 배합하였기 때문에, 구름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5의 고무 조성물은, 변성 S-SBR 2의 배합량이 5중량% 미만이기 때문에, 구름 저항성 및 내마모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6의 고무 조성물은, 변성 S-SBR 2의 배합량이 50중량%를 넘기 때문에 웨트 그립 성능이 악화한다.
비교예 7의 고무 조성물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2의 연화점이 100℃ 미만이기 때문에 웨트 그립 성능이 악화한다.
비교예 8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Y를 배합하지 않고, 또한 실리카 비율이 85중량% 미만이기 때문에, 구름 저항 및 웨트 그립성을 개량할 수 없다.
비교예 9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Y를 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름 저항이 악화한다.
비교예 10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Y의 배합량 y가 실리카 X의 배합량 x의 1/7 이하이기 때문에, 구름 저항을 개량할 수 없다.
비교예 11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Y의 배합량 y가 실리카 X의 배합량 x를 넘기 때문에 웨트 그립성 및 내마모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12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X 및 Y의 합계량(x+y)이 60중량부 미만이기 때문에, 웨트 성능을 개선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름 저항이 크게 악화한다.
비교예 13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X 및 Y의 합계량(x+y)이 130중량부를 넘기 때문에, 웨트 성능은 개선할 수 있지만, 구름 저항 및 내마모성이 악화한다.
도 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14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Y 대신에,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 이하의 실리카 Z를 배합하였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악화한다.
비교예 15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X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미만의 2종류의 실리카(실리카 Y2 및 실리카 Z)를 배합하였기 때문에, 웨트 그립 성능 및 내마모성이 악화한다.
비교예 16의 고무 조성물은, 실리카 Y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의 2종류의 실리카(실리카 X1 및 실리카 X3)를 배합하였기 때문에, 구름 저항성이 악화한다.

Claims (4)

  1. 비닐 단위 함유량이 25중량% 이상, 유리 전이 온도가 -50℃ 이하의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변성 S-SBR)를 5 ~ 50중량% 포함하는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연화점이 100℃ 이상의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를 2 ~ 50중량부,
    2종류의 실리카 X 및 실리카 Y를 합계로 60 ~ 130중량부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변성 S-SBR의 관능기가 실리카 표면의 실란올기와 반응성이 있고,
    상기 실리카 X 및 실리카 Y 및 임의로 배합되는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보강성 충전제의 총량에 대한 실리카의 비율이 85중량% 이상이고,
    상기 실리카 X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40m2/g 이상,
    상기 실리카 Y의 질소 흡착 비표면적이 100m2/g을 넘고 140m2/g 미만이고, 또한
    상기 디엔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한 실리카 X의 배합량을 x중량부, 실리카 Y의 배합량을 y중량부로 할 때, x/7<y≤x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S-SBR의 관능기가 히드록실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계 고무는, 나아가, 유리 전이 온도가 -50℃를 넘는 말단 변성 용액 중합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25 ~ 95중량% 포함하는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공기입 타이어.
KR1020147030345A 2012-04-24 2013-04-24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KR101508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8775A JP5376008B2 (ja) 2012-04-24 2012-04-24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JP-P-2012-098775 2012-04-24
PCT/JP2013/062066 WO2013161876A1 (ja) 2012-04-24 2013-04-24 タイヤ用ゴム組成物、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568A true KR20140130568A (ko) 2014-11-10
KR101508964B1 KR101508964B1 (ko) 2015-04-07

Family

ID=4948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345A KR101508964B1 (ko) 2012-04-24 2013-04-24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84439B2 (ko)
JP (1) JP5376008B2 (ko)
KR (1) KR101508964B1 (ko)
CN (1) CN104245817B (ko)
DE (1) DE112013002176B9 (ko)
WO (1) WO2013161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5609B1 (fr) * 2012-07-25 2014-11-28 Michelin & Cie Pneumatique ayant une adherence sur sol mouille amelioree
JP5904233B2 (ja) 2014-04-30 2016-04-1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6064952B2 (ja) * 2014-08-27 2017-01-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JP6064953B2 (ja) * 2014-08-27 2017-01-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WO2016106409A1 (en) * 2014-12-26 2016-06-30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Method for tire treads with functionalized rubber
JPWO2016167289A1 (ja) * 2015-04-14 2018-02-08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WO2017077712A1 (ja) * 2015-11-05 2017-05-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EP3383949A4 (en) * 2015-11-30 2019-10-30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SILICONE ACIDS AND RELATED METHODS FOR IMPROVING WEAR RESISTANCE
CN108473723B (zh) * 2016-01-19 2020-06-26 株式会社普利司通 橡胶组合物和轮胎
CN108699298B (zh) * 2016-02-25 2021-04-06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橡胶组合物和充气轮胎
JP6907465B2 (ja) * 2016-05-10 2021-07-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6593250B2 (ja) * 2016-05-12 2019-10-2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US20200181369A1 (en) * 2016-06-01 2020-06-11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and tire
WO2018056382A1 (ja) * 2016-09-26 2018-03-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JP6897080B2 (ja) * 2016-12-09 2021-06-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FR3060452A1 (fr) * 2016-12-20 2018-06-22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Pneumatique pour vehicule portant des lourdes charges comprenant une nouvelle bande de roulement
JP6384568B1 (ja) * 2017-05-16 2018-09-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1183179B (zh) * 2017-10-05 2022-08-12 横滨橡胶株式会社 轮胎用橡胶组合物及充气轮胎
US11499038B2 (en) 2017-12-26 2022-11-15 Bridgestone Corporation Tread composition and tire produced by using the same
JP6687069B2 (ja) * 2018-08-20 2020-04-2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10767034B2 (en) 2018-09-04 2020-09-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JP7371323B2 (ja) * 2018-10-05 2023-10-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CN112409662B (zh) * 2020-11-16 2023-12-22 四川轮胎橡胶(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混炼胶的组合物、混炼胶及其制备方法、轮胎
JP7168029B1 (ja) 2021-05-12 2022-11-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EP4349904A1 (en) * 2021-05-28 2024-04-10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rubber, and tire
JPWO2023281855A1 (ko) * 2021-07-07 2023-01-12
EP4368666A1 (en) * 2021-07-07 2024-05-15 The Yokohama Rubber Co., Ltd. Rubber composition for tire
WO2023176832A1 (ja) * 2022-03-16 2023-09-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7397362B2 (ja) 2022-03-16 2023-12-1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WO2023176831A1 (ja) * 2022-03-16 2023-09-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7473825B2 (ja) 2022-03-31 2024-04-2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7473829B2 (ja) * 2022-08-15 2024-04-2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208B1 (ko) * 1997-10-13 1999-11-01 홍건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CA2312880A1 (en) * 1999-08-25 2001-02-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two silicas
JP5006617B2 (ja) * 2006-10-19 2012-08-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トレッドを有するタイヤ
JP5245346B2 (ja) 2007-10-10 2013-07-2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共役ジエン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JP4294070B2 (ja) * 2007-12-10 2009-07-0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5756248B2 (ja) * 2008-04-28 2015-07-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5451125B2 (ja) * 2009-03-18 2014-03-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ウォール補強層用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JP5485650B2 (ja) * 2009-10-29 2014-05-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4883172B2 (ja) * 2009-12-10 2012-02-2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5457165B2 (ja) * 2009-12-22 2014-04-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4875757B2 (ja) 2010-01-13 2012-02-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234203B2 (ja) * 2011-07-14 2013-07-1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ゴム組成物
RU2014113228A (ru) * 2011-10-18 2015-11-27 Сумитомо Раббер Индастриз, Лтд. Резиновая смесь для нешипованных зимних шин и нешипованная зимняя шина
JP5316660B2 (ja) 2012-02-15 2013-10-16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84439B2 (en) 2016-03-15
JP5376008B2 (ja) 2013-12-25
US20150148447A1 (en) 2015-05-28
WO2013161876A1 (ja) 2013-10-31
CN104245817B (zh) 2015-11-25
KR101508964B1 (ko) 2015-04-07
JP2013227375A (ja) 2013-11-07
DE112013002176B9 (de) 2018-03-15
DE112013002176T5 (de) 2015-01-15
CN104245817A (zh) 2014-12-24
DE112013002176B4 (de)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964B1 (ko)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JP5234203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5737324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KR101516591B1 (ko)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JP4294070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KR101710569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4372171B2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5321751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用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3057993A1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011038057A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用ゴム組成物及び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013227400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EP4368667A1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US8567462B2 (en) Rubber composition for studless tire and studless tire
JP2016003274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7159566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EP3888939A1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JP2019026773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2009051975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7149686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6972919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