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548A -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548A
KR20140124548A KR1020130042205A KR20130042205A KR20140124548A KR 20140124548 A KR20140124548 A KR 20140124548A KR 1020130042205 A KR1020130042205 A KR 1020130042205A KR 20130042205 A KR20130042205 A KR 20130042205A KR 20140124548 A KR20140124548 A KR 2014012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signal
boot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548A/ko
Priority to US13/969,157 priority patent/US20140313840A1/en
Priority to CN201310521163.XA priority patent/CN104112478A/zh
Publication of KR2014012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0Memory cell initialisation circuits, e.g. when powering up or down, memory clear, latent image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785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029/4402Internal storage of test result, quality data, chip identification, repai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집적회로는, 다수의 전원을 사용해 동작하며, 부트업 신호에 응답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레지스터; 상기 다수의 레지스터 중 자신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동작하는 다수의 내부회로; 상기 다수의 전원의 레벨이 안정화되면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원 감지부; 및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부트업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DEVICE}
본 발명은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레지스터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트업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메모리장치에서의 리페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장치는 다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셀어레이(110)와, 로우 어드레스(R_ADD)에 의해 선택된 워드라인(word line)을 활성화하기 위한 로우 회로(120), 컬럼 어드레스(C_ADD)에 의해 선택된 비트라인(bit line)의 데이터를 억세스(리드 또는 라이트)하기 위한 컬럼 회로(130)를 포함한다.
로우 퓨즈 회로(140)는 셀어레이(110) 내에서 결함이 있는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로우 어드레스를 리페어 로우 어드레스(REPAIR_R_ADD)로 저장한다. 로우 비교부(150)는 로우 퓨즈 회로(140)에 저장된 리페어 로우 어드레스(REPAIR_R_ADD)와 메모리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로우 어드레스(R_ADD)를 비교한다. 만약, 리페어 로우 어드레스(REPAIR_R_ADD)와 로우 어드레스(R_ADD)가 일치하면, 로우 비교부(150)는 로우 회로(120)가 로우 어드레스(R_ADD)에 의해 지정되는 워드라인을 대신해 리던던시(redundancy) 워드라인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컬럼 퓨즈 회로(160)는 셀어레이 내(110)에서 결함이 있는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컬럼 어드레스를 리페어 컬럼 어드레스(REPAIR_C_ADD)로 저장한다. 컬럼 비교부(170)는 컬럼 퓨즈 회로(160)에 저장된 리페어 컬럼 어드레스(REPAIR_C_ADD)와 메모리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컬럼 어드레스(C_ADD)를 비교한다. 만약, 리페어 컬럼 어드레스(REPAIR_C_ADD)와 컬럼 어드레스(C_ADD)가 일치하면, 컬럼 비교부(170)는 컬럼 회로(130)가 컬럼 어드레스(C_ADD)에 의해 지정되는 비트라인을 대신해 리던던시 비트라인에 억세스하도록 제어한다.
종래의 퓨즈 회로들(140, 160)에는 주로 레이저 퓨즈(laser fuse)가 사용된다. 레이저 퓨즈는 퓨즈의 컷팅 여부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레이저 퓨즈의 프로그래밍은 웨이퍼 상태에서는 가능하지만, 웨이퍼가 패키지 내부에 실장된 이후에는 퓨즈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레이저 퓨즈는 피치(pitch)의 한계로 인해 작은 면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 등록특허 US 6904751, 6777757, 6667902, 7173851, 7269047에 개시된 것과 같은 이-퓨즈 어레이 회로, NAND 플래쉬 메모리, NOR 플래쉬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RAM(Ferroelectric RAM), MRAM(Magnetoresistive RAM)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Non Volatile Memory) 중 하나를 메모리 장치 내부에 포함시키고,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에 리페어 정보를 저장시켜 사용하고 있다.
도 2는 메모리 장치에서 리페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는 다수의 메모리 뱅크(BK0~BK3), 각각의 메모리 뱅크(BK0~BK3)마다 구비되어 리페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레지스터들(210_0~210_3), 및 비휘발성 메모리(201)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201)는 퓨즈 회로들(140, 160)을 대체한 것이다. 여기에는 모든 뱅크(BK0~BK3)에 대응하는 리페어 정보, 즉 리페어 어드레스, 가 저장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이-퓨즈 어레이 회로, NAND 플래쉬 메모리, NOR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FRAM, MRA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각각의 뱅크(BK0~BK3)마다 구비되는 레지스터들(210_0~210_3)은 자신에 대응하는 메모리 뱅크의 리페어 정보를 저장한다. 레지스터들(210_0)은 메모리 뱅크(BK0)의 리페어 정보를 저장하고, 레지스터들(210_2)은 메모리 뱅크(BK2)의 리페어 정보를 저장한다. 레지스터들(210_0~210_3)은 래치 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동안에만 리페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지스터들(210_0~210_3)에 저장될 리페어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201)로부터 전달받는다. 비휘발성 메모리(201)는 부트업 신호(BOOTEN)의 활성화 시점부터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레지스터들(210_0~210_3)로 전송한다.
비휘발성 메모리(201)는 어레이 형태로 구성되므로,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즉각적인 데이터의 호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휘발성 메모리(201)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로 이용하여 리페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201)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는 레지스터들(210_0~210_3)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레지스터들(210_0~210_3)에 저장된 데이터가 메모리 뱅크들(BK0~BK3)의 리페어 동작에 이용된다. 비휘발성 메모리(201)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가 레지스터들(210_0~210_3)로 전송되는 과정을 부트업(bootup)이라 하는데, 부트업 동작이 완료되어야지만 메모리 장치는 불량 셀을 리페어하고 정상적인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201)를 이용하여 리페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에서, 부트업 동작은 메모리 장치의 노멀 동작(예, 리드 라이트 동작) 이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메모리 장치로 인가되는 초기화 신호(예, 리셋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해 부트업 동작이 시작되도록 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었는데, 메모리 장치가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초기화 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초기화 신호의 활성화 시점 이전에도 부트업 동작이 가능한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한 최대한 이른(early) 시간에 부트업 동작이 시작되도록 하는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집적회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의 최적의 시점에 부트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전원을 사용해 동작하며, 부트업 신호에 응답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레지스터; 상기 다수의 레지스터 중 자신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동작하는 다수의 내부회로; 상기 다수의 전원의 레벨이 안정화되면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원 감지부; 및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부트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전원을 사용해 동작하며, 부트업 신호에 응답해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출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레지트서; 상기 다수의 레지스터 중 자신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이용해 노멀 셀을 리던던시 셀로 대체하는 다수의 메모리 뱅크; 및 상기 다수의 전원의 레벨이 안정화되면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원 감지부; 및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부트업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최적의 시점에 부트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모리장치에서의 리페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메모리 장치에서 리페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부트업 제어부(330)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도 3의 전원 감지부(320)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전압 감지부(511)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7은 도 5의 전압 감지부(512)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전압 감지부(513)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9는 도 3의 전원 감지부(320)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장치는, 비휘발성 메모리(301), 다수의 레지스터(310_0~310_3), 다수의 메모리 뱅크(BK0~BK3), 전원 감지부(320), 부트업 제어부(330), 및 전압생성 회로들(341~343)을 포함한다.
메모리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압들에는 대략 1.2V ~ 2.0V 정도의 레벨을 가지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이 있다. 그런데, 비휘발성 메모리(301)의 동작을 위해서는 이보다 다양한 레벨의 전압들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301)가 이-퓨즈 어레이 회로인 경우에는 이-퓨즈를 프로그램하기 위해서는 가장 높은 전압과 가장 낮은 전압의 레벨 차이가 6V 정도는 확보되어야 하며, 비휘발성 메모리(301)가 플래쉬 메모리인 경우에는 프로그램 및 리드 동작을 위해서는 가장 높은 전압과 가장 낮은 전압의 레벨 차이가 15~20V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메모리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압들(VDD, VSS) 이외에 메모리 장치 내부의 전압생성 회로들(341~343)에서 생성된 전압들(VPP, VBB, VDIV)도 사용한다.
전압생성 회로들(341~343)은 메모리 장치 외부에서 입력된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을 이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301)에서 사용될 전압들(VPP, VBB, VDIV)을 생성한다. 전압생성 회로(341)는 전원전압(VDD)을 펌핑하여 전원전압(VDD)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 고전압(VPP)을 생성한다. 전압생성 회로(342)는 접지전압(VSS)을 펌핑하여 접지전압(VSS)보다 낮은 레벨을 갖는 음(negative)전압(VBB)을 생성한다. 또한, 전압생성 회로(343)는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을 이용한 전압분배를 통해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 사이의 레벨을 갖는 분배전압(VDIV)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301)가 메모리 장치 외부에서 입력된 전압들(VDD, VSS) 이외에 내부에서 생성된 3개의 전압들(VPP, VBB, VDIV)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비휘발성 메모리(301)의 종류 및 설계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301)가 사용하는 전압들의 개수 및 종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비휘발성 메모리(301)에는 뱅크들(BK0~BK3)에 대응하는 리페어 정보, 즉 리페어 어드레스, 가 저장된다.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이-퓨즈 어레이 회로, NAND 플래쉬 메모리, NOR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FRAM, MRA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전원들(VDD, VSS, VPP, VBB, VDIV)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부트업 신호(BOOTEN)의 활성화에 응답해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레지스터들(310_0~310_3)로 전송하기 시작한다. 즉,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부트업 신호(BOOTEN)의 활성화에 응답해 부트업 동작을 시작한다.
다수의 레지스터들(310_0~310_3)은 자신에 대응하는 메모리 뱅크(BK0~BK3)의 리페어 정보를 저장한다. 리페어 정보는 부트업 동작시에 비휘발성 메모리(301)로부터 레지스터들(310_0~310_3)로 전달되어 레지스터들에 저장된다. 레지스터들(310_0~310_3)은 래치 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저장된 정보를 유지한다.
메모리 뱅크들(BK0~BK3)은 레지스터들(310_0~310_3)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 셀을 리던던시 셀로 대체하는 리페어 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 뱅크(BK0)는 레지스터들(310_0)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이용하며, 메모리 뱅크(BK2)는 레지스터들(310_2)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이용한다.
전원 감지부(320)는 비휘발성 메모리(301)에서 사용되는 전원들(VDD, VPP, VBB, VDIV)의 레벨이 안정화되면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활성화한다.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메모리 장치가 턴온된 이후에 최대한 빨리 부트업 동작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부트업 동작이 완료되어야지만 메모리 장치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비휘발성 메모리(30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비휘발성 메모리(301)에서 사용되는 전원들(VDD, VPP, VBB, VDIV)의 레벨이 안정화되어야 한다. 아직 전원들(VDD, VPP, VBB, VDIV)이 안정화되지도 않았다면 비휘발성 메모리(301)의 안정적인 부트업 동작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전원 감지부(320)에서 생성되는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의 활성화는 적어도 비휘발성 메모리(301)에서 사용되는 전원들(VDD, VPP, VBB, VDIV)이 안정화 되었음을 나타낸다.
부트업 제어부(330)는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부트업 신호(BOOTEN)를 활성화한다. 즉, 부트업 제어부(330)는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의 활성화 이후에 마진(margin) 확보를 위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부트업 동작이 시작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전원 감지부(320)와 부트업 제어부(330)는 비휘발성 메모리(301)에서 사용되는 전원들(VDD, VPP, VBB, VDIV)이 안정화되고 마진을 위한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부트업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가장 이른 시간에 부트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모리 장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내부적으로 부트업 신호(BOOTEN)를 생성하므로, 메모리 장치가 부트업 동작을 위한 별도의 신호를 입력받을 필요가 없다.
도 4는 도 3의 부트업 제어부(33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트업 제어부(330)는, 오실레이터부(410), 카운터부(420), 및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오실레이터부(410)는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의 활성화에 응답해 주기파(OSC)를 생성한다. 즉,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의 활성화 이후에 주기파(OSC)는 토글(toggle)하기 시작한다. 부트업 신호(BOOTEN)는 오실레이터부(410)의 리셋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부트업 신호(BOOTEN)가 활성화되면 오실레이터부(410)는 주기파(OSC)를 비활성될 수 있다. 즉, 부트업 신호(BOOTEN)가 활성화되면 주기파(OSC)의 토글이 멈출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장치 내부에는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동작을 위한 오실레이터가 구비되는데, 셀프 리프레쉬 동작을 위한 오실레이터가 부트업 제어부(330)의 오실레이터부(410)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카운터부(420)는 주기파(OSC)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해 코드(CODE<0:N>)를 생성한다. 코드(CODE<0:N>)는 N+1 비트의 바이너리(binary) 코드일 수 있다. 카운터부(420)는 주기파(OSC)가 활성화될 때마다 코드값(CODE<0:N>)을 1씩 증가시킨다. 부트업 신호(BOOTEN)의 활성화에 응답해 리셋될 수 있다. 즉, 부트업 신호(BOOTEN)가 활성화되면 코드값(CODE<0:N>)이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제어부(430)는 코드(CODE<0:N>)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부트업 신호(BOOTEN)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값이 200이라면 코드값(CODE<0:N>)이 200(10진수 환산 기준)에 도달하면 부트업 신호(BOOTEN)를 활성화한다.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의 활성화 이후에 얼마만큼의 시간을 마진으로 확보하고 부트업 동작을 시작할 것인지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은 달라질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값이 클수록 마진은 늘어나며 미리 설정된 값이 작을수록 마진은 줄어든다.
도 5는 도 3의 전원 감지부(320)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감지부(320)는 전압 감지부들(511~514), 및 신호 생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감지부들(511~514)은 전원들(VDD, VPP, VBB, VDIV)의 레벨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활성화되는 감지신호들(DET_VDD, DET_VPP, DET_VBB, DET_VDIV)을 생성한다. 목표 전압은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의 전원들(VDD, VPP, VBB, VDIV)의 레벨보다 약간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전압(VPP)의 정상상태 전압 레벨이 4V인 경우에 전압 감지부(512)는 고전압(VPP)의 레벨이 3.5V에 도달하면 감지신호(DET_VPP)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음전압(VBB)의 정상상태 전압 레벨이 -2V인 경우에 전압 감지부(513)는 음전압(VBB)의 레벨이 -1.8V에 도달하면 감지신호(DET_VBB)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전압 감지부들(511~514)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과 함께 더욱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신호 생성부(520)는 감지신호들(DET_VDD, DET_VPP, DET_VBB, DET_VDIV)이 모두 활성화되는 경우에,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활성화한다. 신호 생성부(520)는 도면과 같이 앤드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전압 감지부(511)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압 감지부(511)는 NMOS 트랜지스터들(603, 605), PMOS 트랜지스터(604), 저항들(601, 602) 및 인버터들(606, 607)을 포함한다. 전압 감지부(511)는 전원전압(VDD)을 이용해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감지하는 회로로, 이러한 회로는 파워업(power up) 회로라고도 잘 알려져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전압(VDD)의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NMOS 트랜지스터(603)가 오프되므로, A노드의 전압 레벨이 높아져 NMOS 트랜지스터(605)가 턴온되고, 그 결과 B노드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고, 감지신호(DET_VDD)가 '로우'로 비활성화된다. 그러나, 전원전압(VDD)의 레벨이 일정 레벨이상 높아지면 NMOS 트랜지스터(603)가 턴온되고, A노드의 전압 레벨이 낮아져 NMOS 트랜지스터(605)가 오프되고, 그 결과 B노드의 전압 레벨이 높아지고, 감지신호(DET_VDD)가 '하이'로 활성화된다.
도 7은 도 5의 전압 감지부(512)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압 감지부(512)는 저항들(701, 702, 705, 711), NMOS 트랜지스터들(703, 704, 709, 710), PMOS 트랜지스터들(706, 707, 708), 및 인버터들(712, 713)을 포함한다.
고전압(VPP)의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NMOS 트랜지스터들(703, 704)이 오프되고, C노드의 전압 레벨이 높아져 NMOS 트랜지스터들(709, 710)이 턴온되고, 그 결과 D노드의 전압 레벨이 낮아지고, 감지신호(DET_VPP)가 '로우'로 비활성화된다. 고전압(VPP)의 레벨이 충분히 높아진 경우에는 NMOS 트랜지스터들(703, 704)이 턴온되고, C노드의 전압 레벨이 낮아져 NMOS 트랜지스터들(709, 710)이 오프되고, 그 결과 D노드의 전압 레벨이 높아지고, 감지신호(DET_VPP)가 '하이'로 활성화된다.
전압 감지부(514)는 도 6의 전압 감지부(511) 또는 도 7의 전압 감지부(51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지, 전압 감지부(514)가 감지하는 분배전압(VDIV)의 레벨에 맞게 트랜지스터들 및 저항들의 파라매터를 변경해 설계하면 된다.
도 8은 도 5의 전압 감지부(513)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압 감지부(513)는 PMOS 트랜지스터들(801, 802), 및 인버터(803)를 포함한다.
음전압(VBB)의 절대값이 작은 경우(즉, 음전압의 레벨이 높은 경우)에는 PMOS 트랜지스터(802)의 저항값이 커지므로, E노드의 전압이 높아지고, 결국 감지신호(DET_VBB)가 로우로 출력된다. 음전압(VBB)의 절대값이 큰 경우(즉, 음전압의 레벨이 낮은 경우)에는 PMOS 트랜지스터(802)의 저항값이 작아지므로, E노드의 전압이 낮아지고, 결국 감지신호(DET_VBB)가 '하이'로 출력된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전압 감지부들(511~514)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회로 이외에도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는 다양한 형태의 회로들이 전압 감지부들(511~514)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9는 도 3의 전원 감지부(320)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9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301)에서 사용되는 전원들(VDD, VPP, VBB, VDIV) 중 하나의 전원(VPP)의 레벨만을 감지하여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전원들(VDD, VPP, VBB, VDIV) 중 가장 늦게 안정화될 확률이 높은 전원(VPP)이 안정화되었다면, 다른 전원들도 모두 안정화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도 9와 같은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원 감지부(320)는 하나의 전압 감지부(512)를 포함하며, 전압 감지부(512)에서 생성된 감지신호(DET_VPP) 자체가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가 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전원들(VDD, VPP, VBB, VDIV) 중 고전압(VPP)의 레벨을 감지하여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원들(VDD, VPP, VBB, VDIV) 중 음전압(VBB)의 레벨을 감지하여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생성하는 실시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음전압(VBB) 역시 전원들(VDD, VPP, VBB, VDIV) 중에 늦게 안정화되는 전압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전압(VDD, VPP, VBB, VDIV)의 레벨을 감지해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였고, 도 9의 실시예에서는 1개의 전압(VPP)의 레벨을 감지해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2개 또는 3개의 전압의 레벨을 감지해 전원 안정화 신호(POWER_SAFE)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뿐만이 아니라 모든 종류의 집적회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집적회로는 비휘발성 메모리(301), 다수의 레지스터, 다수의 내부회로(1010_0~1010_3), 전원 감지부(320), 부트업 제어부(330), 및 전압생성 회로들(341~343)을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다수의 전원(VDD, VSS, VPP, VBB, VDIV)을 사용해 동작하며, 부트업 신호(BOOTEN)에 응답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비휘발성 메모리(301)는 다수의 내부회로(1010_0~1010_3)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예, 각종 설정 또는 튜닝 정보)를 저장하며, 부트업 동작시에 저장된 정보를 레지스터들(310_0~310_3)로 전달한다.
내부회로들(1010_0~1010_3)은 집적회로 내부에 있는 회로들 중 비휘발성 메모리(301)로부터 레지스터들(310_0~310_3)로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회로들이다. 내부회로(1010_0)가 전압 생성 회로인 경우에 내부회로(1010_0)는 레지스터들(310_0)에 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생성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부회로(1010_1)가 지연회로라면 내부회로(1010_1)는 레지스터들(310_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자신의 지연값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내부회로(1010_2)가 집적회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회로라면 내부회로(1010_2)는 레지스터들(310_2)에 저장된 모드 정보를 이용해 집적회로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회로들(1010_0~1010_3)은 집적회로 내부에서 비휘발성 메모리(30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동작하는 그 어떤 회로도 될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메모리 장치가 아닌 일반적인 집적회로에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을 뿐, 부트업 시점을 정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301: 비휘발성 메모리 310_0~310_3: 레지스터들
BK0~BK3: 메모리 뱅크들 320: 전원 감지부
330: 부트업 제어부 341~343: 전압생성 회로들

Claims (14)

  1. 다수의 전원을 사용해 동작하며, 부트업 신호에 응답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레지스터;
    상기 다수의 레지스터 중 자신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해 동작하는 다수의 내부회로;
    상기 다수의 전원의 레벨이 안정화되면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원 감지부; 및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부트업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다수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다수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각각의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활성화되는 다수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전압 감지부; 및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다수의 전원 중 미리 정해진 전원의 레벨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전원은 상기 다수의 전원 중 가장 늦게 안정화되는 전원인
    집적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업 제어부는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해 주기파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부;
    상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해 코드를 생성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코드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집적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은
    상기 메모리 장치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전압, 상기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생성한 분배전압, 상기 전원전압을 펌핑하여 생성한 고전압 및 접지전압을 펌핑하여 생성한 음전압 중 적어도 2이상의 전압을 포함하는
    집적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이-퓨즈 어레이 회로, NAND 플래쉬 메모리, NOR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FRAM, MRAM 중 어느 하나인
    집적회로.
  8. 다수의 전원을 사용해 동작하며, 부트업 신호에 응답해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출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레지트서;
    상기 다수의 레지스터 중 자신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리페어 정보를 이용해 노멀 셀을 리던던시 셀로 대체하는 다수의 메모리 뱅크; 및
    상기 다수의 전원의 레벨이 안정화되면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원 감지부; 및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가 미리 설정된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부트업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다수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감지하고, 상기 다수의 전원의 전압 레벨이 각각의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활성화되는 다수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전압 감지부; 및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감지부는
    상기 다수의 전원 중 미리 정해진 전원의 레벨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를 활성화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전원은 상기 다수의 전원 중 가장 늦게 활성화되는 전원인
    메모리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업 제어부는
    상기 전원 안정화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해 주기파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부;
    상기 주기파의 활성화 회수를 카운팅해 코드를 생성하는 카운터부; 및
    상기 코드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상기 부트업 신호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은
    상기 메모리 장치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전압, 상기 전원전압을 분배하여 생성한 분배전압, 상기 전원전압을 펌핑하여 생성한 고전압 및 접지전압을 펌핑하여 생성한 음전압 중 적어도 2이상의 전압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이-퓨즈 어레이 회로, NAND 플래쉬 메모리, NOR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FRAM, MRAM 중 어느 하나인
    메모리 장치.
KR1020130042205A 2013-04-17 2013-04-17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KR20140124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05A KR20140124548A (ko) 2013-04-17 2013-04-17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US13/969,157 US20140313840A1 (en) 2013-04-17 2013-08-16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device
CN201310521163.XA CN104112478A (zh) 2013-04-17 2013-10-29 集成电路和存储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205A KR20140124548A (ko) 2013-04-17 2013-04-17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48A true KR20140124548A (ko) 2014-10-27

Family

ID=5170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205A KR20140124548A (ko) 2013-04-17 2013-04-17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13840A1 (ko)
KR (1) KR20140124548A (ko)
CN (1) CN1041124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86A (ko) * 2014-12-05 2016-06-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리페어 정보 저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9742392B2 (en) 2015-09-23 2017-08-22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performing boot-up operation
US9934875B2 (en) 2015-12-23 2018-04-03 SK Hynix Inc.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device performing boot-up operation
KR20190122970A (ko) * 2018-04-23 2019-10-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22972A (ko) * 2018-04-23 2019-10-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725A (ko) * 2012-12-14 2014-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음전압 조절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압 생성 회로
TWI521534B (zh) * 2013-10-09 2016-02-1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積體電路及其運作方法
AT517154B1 (de) * 2015-03-05 2018-07-15 Siemens Ag Oesterreich Überwachung des Startvorgangs einer integrierten Schaltung
KR20160119586A (ko) * 2015-04-06 2016-10-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6990284B (zh) * 2017-05-09 2019-04-30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自旋泵浦效应的微波功率探测器及其制备方法
TWI719633B (zh) * 2019-09-12 2021-02-2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積體電路、匯流排系統及排程方法
JP7392181B2 (ja) 2021-03-24 2023-12-05 長江存儲科技有限責任公司 冗長バンクを使用した故障メインバンクの修理を伴うメモリデバイス
KR20230011405A (ko) 2021-03-24 2023-01-20 양쯔 메모리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리던던트 뱅크를 이용하여 결함 메인 뱅크를 리페어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0186B2 (ja) * 1995-11-28 2005-05-18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および比較回路
US5880622A (en) * 1996-12-17 1999-03-09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harge pump for rapid initialization
JPH10228768A (ja) * 1997-02-14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3223783A (ja) * 2002-01-28 2003-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
US20050146385A1 (en) * 2003-12-29 2005-07-07 Johnson Luke A. Power-on reset circuit
KR100719150B1 (ko) * 2006-05-31 2007-05-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파워업신호 생성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086A (ko) * 2014-12-05 2016-06-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리페어 정보 저장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9742392B2 (en) 2015-09-23 2017-08-22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performing boot-up operation
US9887696B2 (en) 2015-09-23 2018-02-06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performing boot-up operation
US9934875B2 (en) 2015-12-23 2018-04-03 SK Hynix Inc.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device performing boot-up operation
KR20190122970A (ko) * 2018-04-23 2019-10-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22972A (ko) * 2018-04-23 2019-10-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2478A (zh) 2014-10-22
US20140313840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4548A (ko) 집적회로 및 메모리 장치
KR20140029952A (ko) 메모리 장치 및 집적회로
CN100495575C (zh) 电源启动时读取非易失性存储器的熔丝元件的方法及电路
US9235487B2 (en) Integrated circuit and memory device
KR2018000125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420125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그것의 파워-업 독출 방법
US7684246B2 (en) Flash memory device having pump with multiple output voltages
US9362004B2 (en)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CN112507398B (zh) 物理不可复制函数代码生成装置及其方法
KR20140026223A (ko) 집적회로 칩, 메모리 장치 및 이-퓨즈 어레이 회로
CN106057232B (zh) 半导体存储器件
JP5820888B2 (ja) 半導体装置
US20200227103A1 (en) Random code generator
JP2008047247A (ja) 電気ヒューズ回路、メモリ装置及び電子部品
US9019003B2 (en) Voltage generation circuit
US7940117B2 (en) Voltage generation circuit and flash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7004887A (ja) 半導体記憶装置
US11545228B2 (en) OTP memory and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378841B2 (en) Semiconductor fus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20150072043A (ko) 반도체 장치
KR20090049288A (ko) 파워 공급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
US9991786B2 (en)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5280237B (zh) 半导体器件及其操作方法
KR20170075861A (ko) 집적 회로 및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