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619A -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619A
KR20140117619A KR1020147023662A KR20147023662A KR20140117619A KR 20140117619 A KR20140117619 A KR 20140117619A KR 1020147023662 A KR1020147023662 A KR 1020147023662A KR 20147023662 A KR20147023662 A KR 20147023662A KR 20140117619 A KR20140117619 A KR 2014011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resin
tension
deteriora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나이토
치나츠 산다
마사히코 히다
미치오 무라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4Resins; rubber; leather
    • G01N33/442Resins, plastic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4Measuring adhesive force between materials, e.g. of sealing tape, of coating
    • G01N33/009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66Cylindrical specim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2Two dimensional, e.g. tapes, webs, sheets, strips, disks or membranes

Abstract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외주부가 수지막(20b)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20)의 수지막(20b)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이다.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와이어(30)를 권회하는 공정과, 와이어(30)에 장력을 인가하여 수지 피복 로프(20)의 직경 방향으로 수지막(20b)을 압축하는 공정과, 수지막(20b)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와이어(30)의 장력과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1 관계와,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의 장력과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2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METHOD FOR DETECTING DEGRADATION OF RESIN FIL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GRADATION OF RESIN FILM}
본 발명은,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외주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열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 카를 승강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로프에 있어서는, 피로나 마모에 의해 로프를 구성하는 강선이 순차적으로 파단(破斷)한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설치 후의 정기적인 검사에 있어서, 강선의 파단 개소나 파단 수를 육안이나 계측기로 확인함으로써 로프의 안전성이 평가된다.
최근에는, 권상기의 소형화나 시브(sheeves)의 소경화에 따라, 예를 들어,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일래스토머(elastomer) 등의 유연성이 우수한 수지에 의해 외주부가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채용이 진행되고 있다. 수지 피복 로프를 채용한 엘리베이터에서는, 권상기로부터의 동력이 로프의 피복 수지를 거쳐서 승강 카에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피복 수지에는, 높은 기계적 강도와, 권상기의 시브에 대한 양호한 마찰 특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수지 피복 로프를 채용하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정기 검사에 있어서 강선의 파단의 확인 뿐만 아니라, 피복 수지의 열화에 대해서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지 피복 로프의 피복 수지의 열화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로프를 구성하는 강선과 시브의 전기적인 도통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피복 수지의 손상을 검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 제2009-143678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외주부를 폴리우레탄 수지로 피복한 우레탄 롤(roll)의 열화를 비파괴로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우레탄 롤의 압흔 경도(indentation hardness)를 측정하고, 신품시의 상기 압흔 경도로부터의 변화 비율로부터 우레탄 롤의 열화를 검출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개 2002-62232호 공보(특허 문헌 2)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제2009-14367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제2002-62232호 공보
특허 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 피복 로프의 피복 수지의 손상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피복 수지가 마모 등에 의해 현저하게 줄어들거나, 혹은 파괴가 발생했을 경우에 손상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피복 로프를 채용하는 엘리베이터에서는, 피복 수지와 권상기의 시브의 마찰 계수에 의해 승강 카를 구동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강선과 시브가 도통하는 정도로까지 피복 수지가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복 수지와 시브의 충분한 마찰력이 확보되지 않고, 그 결과 엘리베이터의 결함이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의 확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피복 수지의 열화 상태를 보다 고정밀도로 검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특허 문헌 2에서 제안되어 있는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 피복 로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피복 수지의 열화를 비파괴로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유효하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검사 대상이 되는 피복 수지에 있어서 충분한 두께와 두께 분포의 균일성이 요구된다. 이에 대해서, 수지 피복 로프의 피복 수지는 두께가 작고, 또한 내측에 존재하는 꼬여진 동선속(鋼線束)에 기인하여 두께 분포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방법에 의해 고정밀도로 피복 수지의 열화를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열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외주부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수지막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이다. 상기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선형상물(linear object)을 권회하는 공정과, 선형상물에 장력을 인가하여 수지 피복 로프의 직경 방향으로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과,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선형상물의 장력과 수지막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1 관계와,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선형상물의 장력과 수지막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2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수지막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서는,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된 선형상물에 인가되는 장력과, 수지막의 압축량과의 관계로부터 수지막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작고, 두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 가능한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는, 외주부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수지막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이다. 상기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는 수지 피복 로프와,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된 선형상물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부와, 선형상물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부여부와, 선형상물에 인가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부와, 선형상물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에 의하면, 두께가 작고, 두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 가능한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에 의하면,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열화 검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3은 열화 검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4의 열화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4의 열화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상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4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의 열화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상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1)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실시 형태 1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1)는, 외주부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수지막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열화 검출 장치(1)는, 가대(3)와, 훅 지지대(4)와, 유지부로서의 훅(4a, 9a)과, 로프 고정부(5)와, 리니어 가이드(6)와, 장력 부여부로서의 이송 나사(7)와, 변위 검출부로서의 변위계(8)와, 장력 검출부로서의 장력계(9)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가대(3)상에는, 훅(4a)을 지지하는 훅 지지대(4)와, 복수의 로프 고정부(5)와, 리니어 가이드(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리니어 가이드(6)상에는 장력계(9)가 배치되어 있다. 장력계(9)에는 훅(9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장력계(9)에는 변위계(8)가 설치되어 있고, 변위계(8)에 의해 장력계(9)의 변위량을 측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력계(9)에는 이송 나사(7)가 부착되어 있고, 이송 나사(7)를 돌림으로써 장력계(9)가 리니어 가이드(6)상을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 고정부(5)는, 훅 지지대(4)와 리니어 가이드(6)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니어 가이드(6)는, 그 축방향이 훅(4a)과 훅(9a)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L-L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도록 가대(3)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2개)의 로프 고정부(5)는 가상의 직선 L-L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되어 가대(3)상에 배치되어 있다.
로프 고정부(5)는, 검사 대상이 되는 수지 피복 로프와 열화 검출 장치(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설치 후의 엘리베이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있어서, 수지 피복 로프를 분리하지 않고 열화 검출 장치(1)를 이동시켜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5)에서 유지함으로써,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 열화 검출 장치(1)를 고정한다.
훅(4a, 9a)은, 로프 고정부(5)에 고정되어야 할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된 선형상물인 와이어 등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훅(4a, 9a)은,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된 와이어의 양단측의 각각을 유지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4a) 및 훅(9a)은, 상기 가상의 직선 L-L이, 로프 고정부(5)에 고정되어야 할 수지 피복 로프의 원형 단면에 대해서 접선이 되도록 하는 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그 높이는 수지 피복 로프의 외경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장력계(9)는 이송 나사(7)를 돌림으로써, 리니어 가이드(6)상을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즉, 이송 나사(7)는,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된 와이어에 대해서, 훅(9a)에 의해 유지되는 일단측에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막을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열화 검출 장치(1)는, 이송 나사(7) 대신에 소형 서보 모터 등의 전기적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기구에 의해 장력계(9)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장력계(9)는, 훅(4a, 9a)에 유지된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검출한다. 변위계(8)는, 훅(4a, 9a)에 유지된 와이어의 변위량을 검출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방법은, 외주부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수지막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장치(1)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공정(S10)으로서, 로프 고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10)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건물 등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도시하지 않음)의 수지 피복 로프(20)가, 열화 검출 장치(1)의 로프 고정부(5)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지 피복 로프(20)의 고정이 완료한 후, 장력계(9)의 장력값을 제로로 보정한다.
이 공정(S10)에서는, 예를 들어 외경이 12.5mm이며, 복수의 강선(20a)과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막(20b)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피복 로프(20)가, 검사 대상으로서 로프 고정부(5)에 고정된다. 수지막(20b)은, 예를 들어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일래스토머 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수지 피복 로프(20)의 고정 시에, 엘리베이터의 시브에 걸린 수지 피복 로프(20)를 떼어내거나,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것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열화 검출 장치(1)를 이동시켜, 수지 피복 로프(20)를 로프 고정부(5)에 고정한다.
다음에, 공정(S20)으로서, 와이어 권회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20)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선형상물로서의 와이어(30)가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권회된다. 또한, 권회된 와이어(30)의 양단측은, 훅(4a, 9a)에 각각 걸려서 유지된다. 또한, 선형상물로서는, 와이어(30)와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갖고,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권회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좋고, 와이어(30) 이외에, 예를 들어, 테이프 형상, 리본 형상인 것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공정(S20)에서는, 와이어(30)의 외경은, 0.1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mm 이상 0.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30)의 길이는,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권회함과 아울러 그 양단측을 훅(4a, 9a)에 걸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이면 좋다. 한편, 와이어(30)가 너무 긴 경우에는, 수지막(20b)의 열화 검출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없지만, 열화 검출 장치(1)의 사이즈가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와이어(30)의 길이는 100mm 이상 5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mm 이상 30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바람직하게는, 와이어(30)는, 와이어(30)를 끌어당기는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도록 수지막(20b)에 접촉시켜,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권회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30)는, 와이어(30)와 수지막(20b)의 접촉 길이가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 길이에 근사하도록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권회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회에 걸쳐 수지막(20b)의 열화를 검출하는 경우에, 와이어(30)와 수지막(20b)의 접촉 길이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30)와 수지막(20b)의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기인한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보다 고감도인 열화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30)를, 와이어(30)를 끌어당기는 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권회하는 것은, 와이어(30)와 수지막(20b)의 접촉 길이를 일정하게 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30)와 수지막(20b)의 접촉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노이즈의 원인이 되므로, 와이어(30)는,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있어서 일주(一周) 권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열화 검출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30)를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있어서 복수주(周) 권회하는 것은,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공정(S30)으로서, 장력 조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30)에서는, 이송 나사(7)를 조정하여, 와이어(30)에 미약한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30)를 변위시킨다. 그리고, 상기의 장력 조정이 완료한 후, 장력계(9)의 장력값 및 변위계(8)의 변위값을 제로로 보정한다. 이 때, 와이어(30)는, 0.1N 이상 1N 이하의 장력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N 이상 0.6N 이하의 장력이 인가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30)를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있어서 바람직한 상태로 권회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공정(S40)으로서, 수지막 압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40)에서는, 이송 나사(7)를 돌려, 훅(4a, 9a)을 리니어 가이드(6)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와이어(30)에 소정의 변위를 부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송 나사(7)를 돌림으로써, 와이어(30)의 훅(9a)에 의해 유지되는 일단측에 소정의 변위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30)에 장력이 인가됨과 아울러, 수지막(20b)이 수지 피복 로프(20)의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와이어(30)의 변위량, 즉 수지막(20b)의 압축량은 변위계(8)에 의해 검출되고,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장력은 장력계(9)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이 공정(S40)에서는, 와이어(30)에 부여하는 소정의 변위, 즉 수지막(20b)의 압축량은, 0.2mm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 1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와이어(30)의 변위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와이어(30)가 수지막(20b)에 잠식되지 않고, 와이어(30)에 충분한 장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와이어(30)의 변위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와이어(30)의 파단 하중 이상의 장력이 와이어(30)가 인가되고, 와이어(30)가 파단하거나, 수지막(20b)에 와이어(30)의 잠식 흔적이 남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공정(S50)으로서, 열화 판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50)에서는, 상기 공정(S40)에 있어서의 와이어(30)의 장력과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1 관계와,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의 장력과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2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정(S40)에 있어서 검출된, 수지막(20b)에 소정의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와이어(30)의 장력값(F)과,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수지막(20b)에 소정의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와이어(30)의 장력값(F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F 및 F0의 값으로부터, 장력 변화율(%) = |F0-F|/F0×100을 산출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된 장력 변화율이 소정값을 넘었을 경우에, 로프의 수복 혹은 교환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준값이 되는 장력값(F0)으로서는, 사용 전(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수지막(20b)에 소정의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와이어(30)의 장력값을 채용해도 좋다. 이에 의해, 기준값의 설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수지 피복 로프(20)의 수지막(20b)의 열화가 검출된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와이어(30)가 권회되고, 상기 와이어(30)에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수지막(20b)이 압축된다. 그리고, 수지막(20b)을 압축했을 때의 와이어(30)의 장력과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와,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의 장력과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서는, 수지 피복 로프(20)의 외주부에 권회된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장력과, 와이어(30)에 장력을 인가할 때의 와이어(30)의 변위량, 즉 수지막(20b)의 압축량의 관계로부터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의하면, 두께가 작고, 두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수지막(20b)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을 엘리베이터의 정기적인 검사에 채용함으로써, 공정(S50)에서 산출된 장력 변화율의 값에 근거하여, 수지 피복 로프(20)의 교환 시기를 판단하는 등의 점검 및 보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수지 피복 로프(20)의 교환 시기의 판단 기준이 되는 장력 변화율의 값은, 수지 피복 로프(20)의 사양이나 수지막(20b)의 재질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별도 상세한 평가를 행한 후에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엘리베이터의 정기 검사 뿐만 아니라, 제조된 수지 피복 로프(20)의 출하시의 품질 검사에 채용되어도 좋고, 이에 의해 출하 전에 초기 불량품을 용이하게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방법은, 상기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장치(1)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1)에 의하면, 두께가 작고, 두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수지막(20b)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실시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는,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며, 또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과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 실시되고, 또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막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과는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열화 검출 장치(1)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도 3∼도 8을 참조하여, 우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공정(S10)∼(S30)이 실시된다.
다음에, 공정(S40)으로서, 수지막 압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40)에서는, 이송 나사(7)를 돌려, 훅(4a, 9a)을 리니어 가이드(6)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30)의 훅(9a)에 유지되는 일단측에 변위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수지막(20b)이 수지 피복 로프(20)의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와이어(30)의 변위량, 즉 수지막(20b)의 압축량은 변위계(8)에 의해 검출되고,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장력은 장력계(9)에 의해 검출된다.
이 공정(S40)에 있어서,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소정의 장력은, 와이어(30)를 파단시키지 않는 범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외경 0.25mm의 와이어(30)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3N 이상 1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N 이상 10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와이어(30)가 수지막(20b)에 대해서 충분히 잠식되지 않고, 열화 검출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장력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수지막(20b)에 잠식 흔적이 남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공정(S50)으로서, 열화 판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50)에서는,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압축량(필요 변위: L)과,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압축량(필요 변위: L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L 및 L0의 값으로부터, 필요 변위 변화율(%) = |L0-L|/L0×100을 산출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된 필요 변위 변화율이 소정값을 넘었을 경우에, 로프의 수복 혹은 교환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준값이 되는 압축량(필요 변위: L0)으로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사용 전(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압축량을 채용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압축량(필요 변위: L)과,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압축량(필요 변위: L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의하면, 와이어(30)에 인가하는 소정의 장력을 와이어(30)의 파단 하중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와이어(30)의 파단을 확실히 회피하면서,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수지막(20b)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실시 형태 3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는,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며, 또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과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 실시되고, 또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막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과는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열화 검출 장치(1)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도 3∼도 8을 참조하여, 우선,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공정(S10)∼(S30)이 실시된다.
다음에, 공정(S40)으로서, 수지막 압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40)에서는, 이송 나사(7)를 돌려, 훅(4a, 9a)을 리니어 가이드(6)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에 의해,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30)의 훅(9a)에 유지되는 일단측에 변위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수지막(20b)이 수지 피복 로프(20)의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와이어(30)의 변위량, 즉 수지막(20b)의 압축량은 변위계(8)에 의해 검출되고,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장력은 장력계(9)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이후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였을 때의 와이어(30)의 변위량을 소정의 시간 유지하고, 그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와이어(30)에 걸려 있는 장력을 장력계(9)로 판독하여, 기록한다.
이 공정(S40)에 있어서,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소정의 장력은, 와이어(30)를 파단시키지 않는 범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외경 0.25mm의 와이어(30)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3N 이상 15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N 이상 10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와이어(30)가 수지막(20b)에 대해서 충분히 잠식되지 않고, 열화 검출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장력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수지막(20b)에 잠식 흔적이 남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공정(S50)으로서, 열화 판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50)에서는,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 F를 인가한 후,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였을 때의 와이어(30)의 변위량을 소정의 시간 유지하고, 그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와이어(30)에 걸려 있는 장력 FC를 장력계(9)로 판독하여, FR = F-FC(장력 완화: FR)를 계산한다. 또한,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FR0 = F0-FC0(장력 완화: FR0)를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FR 및 FR0의 값으로부터, 장력 완화 변화율(%) = |FR0-FR|/FR0×100을 산출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된 장력 완화 변화율이 소정값을 넘었을 경우에, 로프의 수복 혹은 교환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기준값이 되는 장력 완화: FR0로서는, 사용 전(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장력 완화를 채용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장력 완화: FR과,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장력 완화: FR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의하면, 와이어(30)에 인가하는 소정의 장력을 와이어(30)의 파단 하중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와이어(30)의 파단을 확실히 회피하면서, 수지 피복 로프(20)에 있어서의 수지막(20b)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인 실시 형태 4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2)는,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며, 또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2)는, 와이어(30)의 양단측에 변위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1)와는 상이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열화 검출 장치(2)는 가대(3)과 훅 지지대(4)와, 훅(4a, 9a)과, 복수의 로프 고정부(5)와, 리니어 가이드(6)와, 이송 나사(7)와, 변위계(8)와, 장력계(9)와, 장력계 탑재대(9b)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가대(3)상에는 로프 고정부(5)와, 리니어 가이드(6)와, 이송 나사(7)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리니어 가이드(6)상에는 훅(4a)을 지지하는 훅 지지대(4)와, 장력계 탑재대(9b)가 배치되어 있다. 장력계 탑재대(9b)상에는, 변위계(8)와, 훅(9a)을 갖는 장력계(9)가 배치되어 있다. 장력계(9)에는 변위계(8)가 설치되어 있고, 변위계(8)에 의해 장력계(9)의 변위량을 측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장력계(9)에는, 훅(9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니어 가이드(6)는, 그 축방향이 훅(4a)과 훅(9a)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L'-L'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도록 가대(3)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2개)의 로프 고정부(5)는, 가상의 직선 L'-L'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인 방향으로 나열되어 가대(3)상에 배치되어 있다.
로프 고정부(5)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검사 대상이 되는 수지 피복 로프와 열화 검출 장치(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한다. 또한, 훅(4a, 9a)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로프 고정부(5)에 고정되어야 할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된 와이어 등을 유지한다.
이송 나사(7)는, 훅 지지대(4) 및 장력계 탑재대(9b)를 통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송 나사(7)는, 훅 지지대(4)를 통과하는 개소와, 장력계 탑재대(9b)를 통과하는 개소에 있어서 나사눈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송 나사(7)를 돌림으로써, 훅 지지대(4)와, 장력계 탑재대(9b)를 리니어 가이드(6)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역방향(180°역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즉, 훅(4a, 9a)에 의해 유지되는 와이어의 양단측에 변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인가되고,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를 피복하는 수지막을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열화 검출 장치(2)는 이송 나사(7) 대신에 소형 서보 모터 등의 전기적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전기적 기구에 의해 훅 지지대(4) 및 장력계 탑재대(9b)가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장력계(9)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훅(4a, 9a)에 유지된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검출한다. 변위계(8)는, 훅 지지대(4)와 장력계 탑재대(9b)의 상대적인 변위량, 즉 와이어의 변위량을 검출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실시 형태 1 및 2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과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 실시되고, 또한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의 양단측에 변위를 부여한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실시 형태 1 및 2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본 실시 형태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2)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도 3,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우선, 실시 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공정(S10)∼(S30)이 실시된다.
다음에, 공정(S40)으로서, 수지막 압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40)에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이송 나사(7)를 돌려, 훅 지지대(4)와 장력계 탑재대(9b)를 리니어 가이드(6)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역방향(180°역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와이어(30)에 소정의 변위를 부여한다. 즉, 이송 나사(7)를 돌림으로써, 와이어(30)의 훅(4a, 9a)에 의해 유지되는 양단측에 소정의 변위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와이어(30)에 장력이 인가됨과 아울러, 수지막(20b)이 수지 피복 로프(20)의 직경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와이어(30)의 변위량, 즉 수지막(20b)의 압축량은 변위계(8)에 의해 검출되고, 와이어(30)에 인가되는 장력은 장력계(9)에 의해 검출된다.
다음에, 공정(S50)으로서, 열화 판정 공정이 실시된다. 이 공정(S50)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공정(S40)에 있어서의, 수지막(20b)에 소정의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와이어(30)의 장력값(F)과,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수지막(20b)에 소정의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와이어(30)의 장력값(F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된다.
또한, 이 공정(S50)에서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공정(S40)에 있어서의,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에 압축량(필요 변위: L)과,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와이어(30)에 소정의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지막(20b)의 압축량(필요 변위: L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되어도 좋다.
또한, 이 공정(S50)에서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공정(S40)에 있어서의, 와이어(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한 후, 소정의 장력을 인가하였을 때의 와이어(30)의 변위량을 소정의 시간 유지하고, 그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와이어(30)에 걸려 있는 장력 FC를 장력계(9)로 판독하고, FR = F-FC(장력 완화: FR)를 계산하고,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FR0 = F0-FC0(장력 완화: FR0)을 비교함으로써 수지막(20b)의 열화 상태가 판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방법에 있어서, 공정(S40)에서는, 와이어(30)의 양단측에 변위를 부여하여 와이어(30)에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수지 피복 로프(20)의 직경 방향으로 수지막(20b)이 압축된다. 그 때문에, 와이어(30)의 일단측에 변위를 부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와이어(30)와 수지막(20b)의 마찰력이 저감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열화 검출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마찰력에 기인한 노이즈가 억제되고, 보다 고정밀도로 수지막(20b)의 열화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열화 검출 장치로는, 실시 형태 1, 2 및 3의 열화 검출 장치(1)를 이용했다. 와이어로는, 외경이 0.25mm, 길이가 300mm인 것을 이용했다. 또한, 검사 대상인 수지 피복 로프로는, 신품, 5년 사용 상당품 및 10년 사용 상당품을 각각 이용했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에 고정하여,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와이어를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하여, 그 양단측을 훅에 각각 걸어서 유지했다. 다음에,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에 0.5N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의 일단측을 변위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권회하였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 및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이 0.5mm로 될 때까지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를 변위시켜, 그 때의 장력값(F)을 장력계에 의해 측정했다. 그리고, 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장력값(F0)을 측정하여, 장력 변화율(%) = |F0-F|/F0×100을 산출했다. 표 1은,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장력값(F) 및 장력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2)
열화 검출 장치, 와이어 및 수지 피복 로프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했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에 고정하여,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와이어를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하여, 그 양단측을 훅에 각각 걸어서 유지했다. 다음에,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에 0.5N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를 변위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권회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 및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장력계의 값이 8N으로 될 때까지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의 일단측을 변위시켜, 그 때의 수지막의 압축량(필요 변위: L)을 측정했다. 그리고, 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지막의 압축량(필요 변위: L0)을 측정하여, 필요 변위 변화율(%) = |L0-L|/L0×100을 산출했다. 표 2는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수지막의 필요 변위(L) 및 필요 변위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열화 검출 장치, 와이어 및 수지 피복 로프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것을 이용했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에 고정하여,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와이어를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하여, 그 양단측을 훅에 각각 걸어서 유지했다. 다음에,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에 0.5N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를 변위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권회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 및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장력계의 값이 8N으로 될 때까지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의 일단측을 변위시킨 후, 8N의 장력을 인가하였을 때의 와이어의 변위량을 60초간 유지하고, 60초 경과 후에 와이어에 걸려 있는 장력 FC를 장력계로 판독하여, FR = 8-FC(장력 완화: FR)를 계산했다. 그리고, 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장력 완화: FR0을 측정하여, 장력 완화 변화율(%) = |FR0-FR|/FR0×100을 산출했다. 표 3은,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수지막의 장력 완화(FR) 및 장력 완화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4)
열화 검출 장치로는, 실시 형태 4의 열화 검출 장치(2)를 이용했다. 와이어 및 수지 피복 로프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했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에 고정하여,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와이어를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하여, 그 양단측을 훅에 각각 걸어서 유지했다. 다음에,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에 0.5N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의 양단측을 변위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권회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 및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이 0.5mm로 될 때까지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를 변위시켜, 그 때의 장력값(F)을 장력계에 의해 측정했다. 그리고, 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장력값(F0)를 측정하여, 장력 변화율(%) = |F0-F|/F0×100을 산출했다. 표 4는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장력값(F) 및 장력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5)
열화 검출 장치, 와이어 및 수지 피복 로프로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했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에 고정하여,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와이어를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하여, 그 양단측을 훅에 각각 걸어서 유지했다. 다음에,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에 0.5N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를 변위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권회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 및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장력계의 값이 8N으로 될 때까지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의 양단측을 변위시켜, 그 때의 수지막의 압축량(필요 변위: L)를 측정했다. 그리고, 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지막의 압축량(필요 변위: L0)을 측정하여, 필요 변위 변화율(%) = |L0-L|/L0×100을 산출했다. 표 5는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수지막의 필요 변위(L) 및 필요 변위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6)
열화 검출 장치, 와이어 및 수지 피복 로프로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했다. 우선, 수지 피복 로프를 로프 고정부에 고정하여,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와이어를 수지 피복 로프의 외주부에 권회하여, 그 양단측을 훅에 각각 걸어서 유지했다. 다음에,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에 0.5N의 장력이 인가될 때까지 와이어를 변위시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와이어를 권회했다. 다음에, 변위계의 값 및 장력계의 값을 제로로 보정했다. 다음에, 장력계의 값이 8N으로 될 때까지 이송 나사를 돌려서 와이어의 양단측을 변위시킨 후, 8N의 장력을 인가하였을 때의 와이어의 변위량을 60초간 유지하고, 60초 경과 후에 와이어에 걸려 있는 장력 FC를 장력계로 판독하여, FR = 8-FC(장력 완화: FR)를 계산했다. 그리고, 신품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장력 완화: FR0을 측정하여, 장력 완화 변화율(%) = |FR0-FR|/FR0×100을 산출했다. 표 6은,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수지막의 장력 완화(FR) 및 장력 완화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6
(비교예)
또한, 실시예 1∼6의 비교예로서,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의 수지막의 압흔 경도를, A 타입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또한, 각각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신품시로부터의 압흔 경도의 변화율(%)도 산출했다. 표 7은,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측정한 수지막의 압흔 경도 및 압흔 경도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7
표 1∼표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의 각각에 대해 산출된 압흔 경도의 변화율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던 것에 대해, 실시예 1∼6에 있어서는, 신품, 5년 사용 상당 및 10년 사용 상당의 수지 피복 로프에 대해 산출된 장력 변화율 및 압축량 변화율에 큰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에 의하면,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열화를 고정밀도로 검출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금번 개시된 실시 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은,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수지막의 열화를 고정밀도이고 또한 비파괴로 검출하는 것이 요구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열화 검출 장치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2 : 열화 검출 장치 3 : 가대
4 : 훅 지지대 4a, 9a : 훅
5 : 로프 고정부 6 : 리니어 가이드
7 : 이송 나사 8 : 변위계
9 : 장력계 9b : 장력계 탑재대
20 : 수지 피복 로프 20a : 강선
20b : 수지막 30 : 와이어

Claims (10)

  1. 외주부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상기 수지막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피복 로프의 상기 외주부에 선형상물(linear object)을 권회하는 공정과,
    상기 선형상물에 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수지 피복 로프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선형상물의 상기 장력과 상기 수지막의 압축량의 관계인 제 1 관계와,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상기 선형상물의 상기 장력과 상기 수지막의 상기 압축량의 관계인 제 2 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지막의 열화 상태를 판정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선형상물의 일단측에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수지막이 압축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선형상물의 양단측에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수지막이 압축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계는, 사용 전의 상기 수지 피복 로프에 있어서의 상기 선형상물의 상기 장력과 상기 수지막의 상기 압축량의 관계인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계는,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막에 소정의 상기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선형상물의 상기 장력의 값이고,
    상기 제 2 관계는,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상기 수지막에 소정의 상기 압축량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선형상물의 상기 장력의 값인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계는,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선형상물에 소정의 상기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수지막의 상기 압축량이고,
    상기 제 2 관계는,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상기 선형상물에 소정의 상기 장력을 인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기 수지막의 상기 압축량인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계는, 상기 수지막을 압축하는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선형상물에 소정의 상기 장력을 인가하고, 그 때 인가된 상기 수지막의 상기 압축량을 일정 시간 유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상기 선형상물의 일정 시간 경과 전으로부터의 상기 장력 변화량이고,
    상기 제 2 관계는, 미리 기준으로서 결정된, 상기 선형상물에 소정의 상기 장력을 인가하고, 그 때 인가된 상기 수지막의 상기 압축량을 일정 시간 유지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상기 선형상물의 일정 시간 경과 전으로부터의 상기 장력 변화량인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8. 외주부가 수지막으로 피복된 수지 피복 로프의 상기 수지막의 열화를 검출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로서,
    상기 수지 피복 로프와 상기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수지 피복 로프의 상기 외주부에 권회된 선형상물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지부와,
    상기 선형상물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부여부와,
    상기 선형상물에 인가되는 상기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부와,
    상기 선형상물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변위 검출부
    를 구비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부는, 상기 선형상물의 일단측에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선형상물에 상기 장력을 인가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부는, 상기 선형상물의 양단측에 변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선형상물에 상기 장력을 인가하는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KR1020147023662A 2012-02-27 2013-01-11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KR20140117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9696 2012-02-27
JPJP-P-2012-039696 2012-02-27
PCT/JP2013/050401 WO2013128956A1 (ja) 2012-02-27 2013-01-11 樹脂膜の劣化検出方法および樹脂膜の劣化検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969A Division KR101941759B1 (ko) 2012-02-27 2013-01-11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619A true KR20140117619A (ko) 2014-10-07

Family

ID=49082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969A KR101941759B1 (ko) 2012-02-27 2013-01-11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KR1020147023662A KR20140117619A (ko) 2012-02-27 2013-01-11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969A KR101941759B1 (ko) 2012-02-27 2013-01-11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32014B2 (ko)
JP (1) JP5868486B2 (ko)
KR (2) KR101941759B1 (ko)
CN (1) CN104160262B (ko)
DE (1) DE112013001170B4 (ko)
WO (1) WO20131289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2011A (zh) * 2018-04-11 2018-11-02 山东科技大学 膜材料双向拉伸强度拉力试验机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6004B2 (en) * 2016-05-02 2019-09-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sin impregnation detection device, coil for rotating machine, and method for impregnating and molding resin of coil for rotating machine
US11295433B2 (en) 2018-03-13 2022-04-05 Jiddu, Inc. IoT based apparatus for assessing quality of food produce
JP2020176015A (ja) * 2019-04-22 2020-10-29 住友化学株式会社 検査方法、樹脂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樹脂フィルムロール
CN112591579B (zh) * 2020-11-30 2022-05-06 施密特电梯有限公司 一种钢丝绳断股跳槽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22722A1 (ko) 1975-12-17 1976-10-20
JPS62132145A (ja) * 1985-12-04 1987-06-15 Mitsubishi Cable Ind Ltd 電線被覆の劣化判定方法
JPH0752150B2 (ja) 1989-09-19 1995-06-05 日本原子力研究所 電線・ケーブル絶縁劣化診断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測定装置
JPH07134095A (ja) * 1993-11-11 1995-05-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高分子材料の劣化診断方法及び装置
JP2001099776A (ja) * 1999-09-28 2001-04-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被覆電線劣化診断装置および被覆電線劣化診断方法
US7137483B2 (en) * 2000-03-15 2006-11-21 Hitachi, Ltd. Rope and elevator using the same
DE50114535D1 (de) 2000-03-31 2009-01-15 Inventio Ag Mechanische Spannvorrichtung für Unterseil eines Aufzugs
JP2002062232A (ja) 2000-08-16 2002-02-28 Kawasaki Steel Corp ウレタンロールの劣化検出方法
EP1516845B1 (en) * 2002-06-27 2010-01-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ope for elev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pe
JP2007111589A (ja) 2005-10-18 2007-05-10 Panahome Corp 部分補修塗装方法
US8023789B2 (en) * 2006-09-28 2011-09-20 Mitsubishi Rayon Co., Ltd. Plastic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same
JP2008096315A (ja) * 2006-10-12 2008-04-24 Hiroshima Univ 外周変形に基づき、滑らかな外周を持った物体の弾性を評価する方法及び装置
EP1942224A1 (en) 2007-01-08 2008-07-09 NV Bekaert SA Cable with low structural elongation
US7565791B2 (en) * 2007-06-19 2009-07-28 Pioneer Cable Corporation Wire rope for heavy duty hoist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558034B2 (ja) 2007-12-14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検査装置
KR101273854B1 (ko) * 2008-12-17 2013-06-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로프
JP2011220886A (ja) * 2010-04-12 2011-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樹脂材料の劣化診断膜及びその劣化診断方法
JP5409905B2 (ja) * 2010-05-26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
WO2013111260A1 (ja) * 2012-01-23 2013-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ロープ
CN103698199B (zh) 2013-09-26 2015-11-1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细观力学退化模型的复合材料结构失效分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2011A (zh) * 2018-04-11 2018-11-02 山东科技大学 膜材料双向拉伸强度拉力试验机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68486B2 (ja) 2016-02-24
CN104160262B (zh) 2016-09-28
US9632014B2 (en) 2017-04-25
JPWO2013128956A1 (ja) 2015-07-30
DE112013001170B4 (de) 2017-10-12
WO2013128956A1 (ja) 2013-09-06
US20140366639A1 (en) 2014-12-18
KR101941759B1 (ko) 2019-01-23
CN104160262A (zh) 2014-11-19
DE112013001170T5 (de) 2014-11-13
KR20160083124A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759B1 (ko) 수지막의 열화 검출 방법 및 수지막의 열화 검출 장치
JP6879389B2 (ja) 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方法
US10836606B2 (en) Method, arrangement for monitoring condition of elevator rope and elevator including such arrangement
JP5448374B2 (ja) ロープ端末固定装置
JP2008214037A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及びロープ外径測定方法
JP4869385B2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
CN109748171B (zh) 电梯的绳索检查系统
US1150543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 rope of a hoisting apparatus
JP6491365B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KR20120138237A (ko) 금속 코일 적재 방법 및 적재 장치
WO2015126358A1 (en) Connector for inspection system of elevator tension member
JP5886724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張力検査装置及びロープ張力検査方法
US20190202667A1 (en) Method and testing device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suspension trac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system
WO2020246130A1 (ja) 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方法
JP2009155020A (ja) ロープ走行点検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ロープ破断検出装置
JP5368491B2 (ja)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の出力確認方法及び出力確認装置
JP2016050917A (ja) 部分負荷伸び測定装置、撚線機及び巻き取り機
JP2014210656A (ja) 昇降機
JP2008304399A (ja) 撚線の残留トーション測定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撚線機および撚線の巻取り機
CN211179243U (zh) 一种弹性织带极限拉力值测量与承重能力测试设备
Cutler et al. Cable bend testing over a variable diameter sheave
WO2022161555A1 (en) Method of performing rotating bending fatigue test
JP2022124955A (ja) ワイヤロープ検査方法、ワイヤ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
JP2011191201A (ja) スチール素線のすべり性評価方法およびすべり性評価装置
JP2006001023A (ja) 撚りスチールコードの撚り欠陥部検出装置および撚りスチールコードへのゴム引き圧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