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468A - 롤 테이프 - Google Patents

롤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468A
KR20140117468A KR1020147021298A KR20147021298A KR20140117468A KR 20140117468 A KR20140117468 A KR 20140117468A KR 1020147021298 A KR1020147021298 A KR 1020147021298A KR 20147021298 A KR20147021298 A KR 20147021298A KR 20140117468 A KR20140117468 A KR 20140117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line
adjacent
cut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키코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마키코 오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키코 오가와 filed Critical 마키코 오가와
Publication of KR2014011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69Tapes for dressing 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6Bandag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61F2013/0081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perforate or breakable z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42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for tearing off dressing of desired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점착 테이프(1)의 중앙 영역(A)에,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연장되는 장척(長尺)의 절취선(21)을 형성하였다. 이 장척의 절취선(21)의 길이를, 인접 영역(B)에 형성된 제2 인접 절취선(22) 및 외측 영역(C)에 형성된 외측 절취선(23)의 길이보다 길게 했다. 상기 점착 테이프(1)의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이, 상기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롤 테이프{ROLLED TAPE}
본 발명은, 장척(長尺)의 점착(粘着) 테이프(adhesive tape)를 권취한 롤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료 현장에 있어서는, 서지컬(surgical) 테이프나 반창고 등, 점착 테이프 본체에 점착제(粘着劑)를 적층한 점착 테이프가 다용(多用)되고 있다. 이 점착 테이프는, 통상, 원통형의 롤 코어(roll core)에 권취한 롤 테이프로서 제공되고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는, 인체의 피부에 직접 접착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기성이나 유연성, 투습성(透濕性)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상기 점착 테이프 본체를, 레이온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얇은 부직포로 형성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 제2000―116695호
점착 테이프 본체가 얇은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점착 테이프는, 통기성이나 유연성, 투습성 등이 우수하고, 피부에 접착했을 때의 위화감이 적어, 상기 점착 테이프에 적절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특히 부직포는, 인장 강도가 강하므로, 예를 들면, 손가락 끝으로 점착 테이프를 인장(引張)시켜 절단하도록 해도, 쉽게 절단할 수 없다. 또한, 점착 테이프를 억지로 절단하면, 커팅 에지(cutting edge)가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지 않거나, 커팅 에지가 지그재그형으로 되거나 하는 등, 커팅 에지의 외관을 손상시킨다.
그러므로, 통상, 가위를 사용함으로써, 커팅 에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점착 테이프를 가위로 절단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절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위를 준비하거나, 가위를 홀딩하거나 위치시키는(holding and placing) 등의 여분의 작업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특히, 점착 테이프를 접착하는 개소(箇所)가 많으면 많을수록, 전술한 바와 같은 여분의 작업이 증가하여, 시간이나 노력에 큰 낭비가 생기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가위에 의한 절단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절단 작업을 모아서(collectively) 행하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길이의 점착 테이프의 절단편을 미리 복수 제작하여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실제로 인체에 접착할 때, 길이가 맞지 않기도 하고, 필요수를 초과하는 수량을 절단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 불필요하게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의료 현장에 있어서, 환자의 얼굴 등에 닿게 하여 거즈(gauze)를 점착 테이프로 고정하고, 그 점착 테이프를 가위로 절단하려고 하면, 환자의 얼굴에 가위를 접근하여 사용하게 되어, 상기 환자에게 큰 불쾌감을 줄 염려도 있다.
그래서, 손가락에 의해 커팅 에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점착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T)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미싱눈형으로 절취선(X)(cut line)을 형성하여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점착 테이프(T)를 절단하기 쉽게, 절취선(X)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절취선(X)과 절취선(X)과의 사이인 미절단부(Y)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하면, 상기 절취선(X)을 형성한 부분에서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가 약해지므로, 점착 테이프(T)를 롤로부터 당겨벗기면서 길이 방향으로 당기면, 도 1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T)가, 그 폭 방향의 일측 에지(T1)를 기점(起点)으로 하거나, 또는 폭 방향 전체가 일순간에 단열(斷裂)되어 쉽게 절단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롤 테이프로부터 점착 테이프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점착 테이프(T)의 선단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킬뿐이므로, 절단하려는 위치 이외의 본의가 아닌 위치의 절취선 부분에서 점착 테이프(T)가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가 본의가 아닌 위치에서 쉽게 절단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자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절취선(X)을 형성한 부분의 인장 강도를 높이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부직포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유연성이 손상되어, 점착 테이프를 피부에 접착했을 때의 위화감이 커진다.
또한, 도 15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취선(X)의 길이에 대하여, 미절단부(Y)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점착 테이프의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지만, 이 경우, 절취선(X)으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므로, 점착 테이프(T)를 인장시킨 상태에서, 이것을 그대로 절단하려고 하면, 매우 강한 힘으로 인장하지 않으면 절단할 수 없고, 또한 무리하게 인장시켜 절단했을 경우에는, 특히 미절단부(Y) 부분의 커팅 에지의 외관이 손상되어 버린다.
이상의 이유에서, 얇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를 절단할 때, 가위를 사용하지 않아도, 커팅 에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가락 끝으로 쉽게 절단할 수 있는 방책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커팅 에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가락 끝으로 원하는 위치에서 점착 테이프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롤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은, 장척의 테이프 본체의 한쪽 면에 점착제가 적층되어 있는 롤형의 점착 테이프를, 소정 길이 송출한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취선이,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절단선(virtual cutting line)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는 롤 테이프로서, 상기 절취선이, 가상 절단선 중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송출(feeding out)함으로써 개구되고,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영역 또는 그 근방을 손가락으로 압압(押壓)함으로써, 상기 중앙 영역의 양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중앙 영역의 폭 방향의 양측 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점착 테이프를 절단시킨다, 상기 양측 영역에 형성된 절취선보다 긴 장척의 절취선을 가지고, 상기 양측 영역이, 상기 점착 테이프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롤 테이프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에서의 가상 절단선 중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양측 영역에 형성된 절취선보다 긴 장척의 절취선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손으로 롤 테이프를 파지하고, 다른 쪽의 손으로 점착 테이프의 선단부를 인장시켜, 권취된 점착 테이프를 롤 부분으로부터 당겨벗기면서 송출하면, 상기 장척의 절취선이 양측 영역의 절취선보다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크게 개구된다.
이로써, 점착 테이프가 상기 장척의 절취선의 양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테이프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파단(破斷)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의 양측 영역이, 상기 점착 테이프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가 절단되는 것을 중앙 영역의 양측의 영역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다른 쪽의 손으로 점착 테이프를 인장시킨 채, 롤 테이프를 파지하고 있는 상기 한쪽의 손가락 끝(손톱 끝)을, 점착 테이프 중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의 장척의 절취선 부분 또는 그 근방에 가압하면, 점착 테이프의 중앙 영역에 응력 집중이 생기므로, 장척의 절취선의 양단이 찢어져 넓어진다. 이로써, 장척의 절취선의 양측의 영역을 가상 절단선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
(2) 상기 롤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이, 상기 양측 영역 중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에 형성된 제1 인접 절취선을 가지고, 이 제1 인접 절취선이, 상기 가상 절단선과 교차한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인접 절취선이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접 영역의 인장 강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께가 얇은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도, 인접 영역에 의해 양측 영역의 인장 강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인접 절취선이 상기 가상 절단선과 교차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접 영역을 쉽게 절단할 수 있다.
(3) 상기 롤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이, 상기 양측 영역 중 상기 인접 영역의 폭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점착 테이프의 사이드 에지에 이르는 외측 영역에 미싱눈형으로 복수 배열된, 외측 절취선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척의 절취선의 양단이 찢어져 넓어지고, 인접 영역이 절단되었을 때, 외측 영역에 복수 배열된 외측 절취선에 의해, 외측 영역에까지 걸쳐,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절단할 수 있다.
(4) 상기 인접 영역에는, 상기 가상 절단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인접 절취선이 상기 제1 인접 절취선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폭이 넓은 롤 테이프에 대해서도, 상기 제2 인접 절취선에 의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절단할 수 있다.
(5) 상기 테이프 본체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손으로 절단하기 어려운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본체에 대해서도,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롤 테이프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를 커팅 에지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손가락 끝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롤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점착 테이프의 절단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점착 테이프를 롤 부분으로부터 송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수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수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점착 테이프에 엄지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점착 테이프에 엄지를 가압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롤 테이프의 절단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수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절단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부분 확대도이며, 절단부를 확대하고 있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점착 테이프의 부분 확대도이며, 절단부를 확대하고 있다.
도 14는 미싱눈형으로 절취선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미싱눈형의 절취선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롤 테이프(R)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롤 테이프(R)는, 장척의 점착 테이프(1)를 원통형의 롤 코어(2)에 다중 권취한 것이며, 서지컬 테이프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서지컬 테이프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붕대나 가제 등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환자의 피부 등에 직접 접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테이프(1)의 테이프 본체(1c)는, 레이온 섬유 등을 사용한 아주 얇은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높은 통기성, 유연성, 및 투습성을 가지고 있다. 점착 테이프(1)의 이면(裏面)에는, 상기 점착 테이프(1)를 환자의 피부 등의 피접착부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제(1a)가 적층되어 있다.
점착 테이프(1)에는, 상기 점착 테이프(1)를 그 폭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1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부(11)는 점착 테이프(1)의 길이 방향(이하 단지 「길이 방향」이라고 함)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부(11)에는, 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가상 절단선(D)을 따라 복수 종류의 절취선(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부(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10㎜의 피치 P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도 참조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1)의 가상 절단선(d)은, 상기 절단부(11)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이하 단지 「폭 방향」이라고 함)의 중앙부에 설정된 중앙 영역(A)과, 이 중앙 영역(A)의 폭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여 설정된 인접 영역(B)과, 이 인접 영역(B)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점착 테이프(1)의 사이드 에지(1b)에 이르는 범위로 설정된 외측 영역(C)으로 구분되어 있다.
절단부(11)에 형성된 각 절취선(20)은, 점착 테이프(1)를 관통하고 있고, 서로 인접하는 절취선(20)끼리의 사이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지 있지 않은 미절단부(30)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폭 방향 한쪽의 절취선(20)과 폭 방향 다른 쪽의 절취선(20)은, 점착 테이프(1)의 중심선 CL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절취선(20)은, 점착 테이프(1)의 상기 중앙 영역(A)에 형성된 장척의 절취선(21)과, 상기 인접 영역(B)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인접 절취선(24, 25) 및 제2 인접 절취선(22)과, 상기 외측 영역(C)에 형성된 외측 절취선(23)을 가지고 있다.
상기 장척의 절취선(21)은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중앙 영역(A)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인접 절취선(24, 25)은, 각각 가상 절단선(D)을 기단(基端)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제1 인접 절취선(24)은, 장척의 절취선(21)의 단부에 대하여 미절단부(31)를 통하여 인접하고 있고, 다른 쪽의 제1 인접 절취선(25)은, 인접 영역(B)에 가장 가까운 외측 절취선(23)에 대하여 미절단부(34)를 통하여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인접 절취선(24, 25)은, 각각 가상 절단선(D)과 교차하고 있으면 되고, 반드시 상기 가상 절단선(D)을 기단으로 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제2 인접 절취선(22)은,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미절단부(32, 35)를 통하여 상기 제1 인접 절취선(24, 25)에 인접하고 있다.
중앙 영역(A)의 폭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양측 영역은, 롤 부분(R1)으로부터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가지고 있다. 이 인장 강도는, 인접 영역(B)의 미절단부(31, 32, 34, 35)를 소정값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확보하고 있다. 여기에, 상기 제1 인접 절취선(24, 25)이, 폭 방향이 아니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인접 영역(B)에서의 길이 방향의 인장 강도는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두께가 얇은 테이프 본체(1c)라도, 인접 영역(B)의 인장 강도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척의 절취선(21)의 전체 폭 L0(한쪽의 폭 방향 치수 L1×2), 제2 인접 절취선(22)의 폭 방향 치수 L2 및 외측 절취선(23)의 폭 방향 치수 L3는, 이하의 관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L0 > L2 > L3
따라서, 점착 테이프(1)를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켰을 때 점착 테이프(1)에 생기는 개구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절취선(23), 제2 인접 절취선(22), 장척의 절취선(21)의 순으로 커진다.
외측 절취선(23) < 제2 인접 절취선(22) < 장척의 절취선(21)
또한, 상기 장척의 절취선(21)의 전체 폭 L0은, 예를 들면, 제2 인접 절취선(22)의 폭 방향 치수 L2 및 외측 절취선(23)의 폭 방향 치수 L3의 1.5∼6배로 설정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인접 절취선(22)의 폭 방향 치수 L2의 3∼5배로, 및/또는, 외측 절취선(23)의 폭 방향 치수 L3의 6∼7배로 각각 설정된다. 이들 각 치수는, 점착 테이프(1)의 재질, 폭 방향 치수 및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척의 절취선(21)은,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함으로써 개구되고, 개구된 상기 장척의 절취선(21)에 의해,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절취선(20)을 특정한다.
따라서, 장척의 절취선(21)의 전체 폭 L0은, 점착 테이프(1)를 송출했을 때, 작업자가 육안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정도로 개구하려는 값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인 값으로서는, 점착 테이프(1)의 재질이나 두께에도 죄우되지만, 2㎜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점착 테이프(1)를 송출했을 때의 장척의 절취선(21)의 개구는 육안에 의해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를 손가락으로 압압함으로써, 장척의 절취선(21)의 양 단부가 점착 테이프(1)를 절단할 때의 기점으로 된다. 그러므로, 장척의 절취선(21)의 전체 폭 L0은, 점착 테이프(1)를 손가락으로 압압했을 때, 장척의 절취선(21)의 양 단부를 찢어 넓히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충분한 응력을 작용하게 할 수 있는 치수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전체 폭 L0이, 일반적인 성인의 손가락의 폭 치수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톱의 폭 치수 이하이면, 손가락 또는 손톱을 가압함으로써 생기는 응력을, 장척의 절취선(21)의 폭 방향 전체에 대하여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폭 L0이, 일반적인 성인의 손가락의 폭 치수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톱의 폭 치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척의 절취선(21)의 전체 폭 L0은, 점착 테이프(1)의 폭 치수 W의 1/3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1)의 재질이나 폭 치수 W에도 죄우되지만, 일반적으로 양측 영역이 폭 치수 W의 1/3 이하로 되면,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 인접 절취선(22) 및 외측 절취선(23)은, 점착 테이프(1)를 송출했을 때 개구될 필요성은 낮다. 그러므로, 장척의 절취선(21)의 개구를 더욱 눈에 띄게 하기 위해서, 제2 인접 절취선(22) 및 외측 절취선(23)의 폭 치수 L2, L3는, 점착 테이프(1)를 송출했을 때의 개구가 장척의 절취선(21)보다 작아지도록, 또는 거의 개구가 생기지 않도록, 장척의 절취선(21)의 전체 폭 L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제2 인접 절취선(22) 및 외측 절취선(23)의 폭 치수 L2, L3는, 상기에서 나타낸 조건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 치수 W, 각 절취선(20)의 폭 방향 치수 L1∼L3, 각 미절단부의 폭 방향 치수 M1∼M5, 및 제1 인접 절취선(24, 25)의 길이 방향 치수 N은,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W = 25㎜
L1 = 2㎜
L2 = 1㎜
L3 = 0.59㎜
M1 = 1㎜
M2 = 1㎜
M3 = 1㎜
M4 = 0.59㎜
M5 = 0.59㎜
N = 1㎜
다음에, 전술한 구성의 롤 테이프(R)를 작업자가 절단할 때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먼저, 롤 테이프(R)의 롤(R1) 부분을 한쪽의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쪽의 손으로 점착 테이프(1)의 자유단측을 잡는다. 이 때, 상기 롤 테이프(R)는, 집게 손가락 F(또는 중지, 또는 중지와 약지)을 롤 코어(2)에 삽입하고, 엄지(H)를 롤(R1)의 외주를 따르게 한 상태로 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점착 테이프(1)를 길이 방향으로 인장시켜, 롤(R1)로부터 당겨벗기면서 필요한 길이만큼 송출한다.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1)가 길이 방향으로 인장되는 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척의 절취선(21)이, 다른 절취선보다 길이 방향으로 크게 개구된다. 이 때, 점착 테이프(1)가 상기 장척의 절취선(21)의 양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폭 방향 외측을 향해 파단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이 일체로 전술한 양측 영역으로서,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1)가 절단되는 것을 상기 양측 영역[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에 의해 저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장척의 절취선(21)이 크게 개구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절취선(20)을 쉽게 특정할 수 있다. 그래서, 점착 테이프(1)를 인장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R1)을 파지하고 있는 한쪽의 손의 엄지(H)의 손가락 끝(손톱 끝)을, 상기 특정한 절취선(20)의 장척의 절취선(21) 부분에 가압한다[도 5의 (a) 참조]. 이 손가락 끝을 장척의 절취선(21) 부분에 가압하는 동작은, 롤(R1)을 도 4의 (a)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동(回動)시켜, 손가락 끝의 복부(H1)에 점착 테이프(1)를 서서히 권취함으로써,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손가락 끝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와, 장척의 절취선(21)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는 거의 일치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점착 테이프(1)를 엄지(H)로 가압하면, 점착 테이프(1)의 중앙 영역(A)의 인장 응력이 증가하여, 상기 중앙 영역(A)에 응력 집중이 생기므로, 장척의 절취선(21)의 양 단부를 파단시켜 길이 방향으로 가압하여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도 4의 (b) 참조].
엄지(H)의 손가락 끝으로 장척의 절취선(21)의 양 단부를 가압하여 넓히면, 상기 장척의 절취선(21)의 양측의 인접 영역(B)을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이 때, 인접 영역(B)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인접 절취선(24, 25)과 제2 인접 절취선(22)에 의해, 상기 인접 영역(B)을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절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접 영역(B)에는, 한 쌍의 제1 인접 절취선(24, 25)에 더하여 제2 인접 절취선(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1)의 폭 치수에 따라, 인접 영역(B)의 폭 치수를 넓게 한 경우라도, 상기 인접 영역(B)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접 영역(B)이 완전히 절단되면 외측 영역(C)의 절단이 복수의 외측 절취선(23)을 따라 진행하고[도 5의 (c) 참조], 최종적으로 점착 테이프(1)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도 5의 (d) 참조]. 이 외측 영역(C)에 대해서도, 미싱눈형으로 배열된 외측 절취선(23)에 의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를, 가상 절단선(D)을 따른 커팅 에지 전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거의 직선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여기에, 엄지(H)의 손가락 끝을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선단 에지의 형상(도 5 참조), 손가락 끝의 복부(腹部)(H1)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른 형상(도 4 참조), 및 손가락 끝의 복부(H1)의 손가락 폭 방향을 따른 형상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대략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손가락 끝을 점착 테이프(1)에 가압하면, 점착 테이프(1)에 대하여 손가락 끝을 가압하는 각도와 관계없이, 점착 테이프(1)가 폭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변형되게 된다(도 7 참조).
그러므로, 점착 테이프(1)의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에 있어서는, 각각 폭 방향의 중앙 주위와 점착 테이프(1)의 사이드 에지(1b) 집합으로 단차(段差)가 생기고, 이 단차에 의해, 상기 절단부(11)에 인장 응력에 더하여 전단(剪斷)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에 대해서도,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지장없이 절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할 때는,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으로 이루어지는 양측 영역에 의해, 길이 방향의 인장 강도가 확보되므로, 절단되어 버리는 일 없이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절단할 때는, 개구되어 있는 장척의 절취선(21)의 근방을 손가락으로 압압함으로써, 응력 집중이 생기게 하여 인접 영역(B)을 절단한다. 이 때, 인접 영역(B)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인접 절취선(24, 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 인장되어도 절단되지 않지만, 손가락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한 응력 집중에 따라서는 쉽게 절단된다. 이로써, 순차적으로, 외측 영역(C)에 대해서도 절단이 진행되어,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절단된다.
그리고, 이 외측 영역(C)의 외측 절취선(23)은, 비교적 쉽게 절단 가능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은, 작업자에 의한 전술한 절단 시에는, 가상 절단선(D)에서의 외측 영역(C)에는, 점착 테이프(1)의 사이드 에지(1b) 측보다도, 작업자의 손가락에 가깝고, 또한 응력 집중이 생기는 중앙 영역(A)의 장척의 절취선(21) 측에 의해 큰 응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점착 테이프(1)의 사이드 에지(1b) 측이 기점으로 되어 절단이 생길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한, 외측 영역(C)의 외측 절취선(23)은, 인접 영역(B)이 절단된 후에, 외측 영역(C)의 절단을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진행시키는 것이며, 점착 테이프(1)의 폭 치수 W가 작업자의 손가락의 폭 치수보다 넓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점착 테이프(1)를 압압했을 때 충분한 응력이 미치기 어려운 경우에, 그 응력이 미치기 어려운 영역을 외측 영역(C)으로 설정하고, 외측 절취선(2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서는, 점착 테이프(1)를 인출하고, 원하는 부분에서 점착 테이프(1)를 엄지(H)로 가압하면서, 롤 코어(2)을 회전시킨다는 원터치 동작으로 점착 테이프(1)를 쉽게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의 장척의 절취선(21) 부분을, 엄지(H)의 손가락 끝으로 압압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한 롤(R1)을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방법 외에, 점착 테이프(1)를 잡은 손으로, 송출한 점착 테이프(1)를 엄지(H)의 손가락 끝을 기점으로 하여 도 4에 있어서 우측 경사 위쪽으로 일정 각도 회동시켜, 손가락 끝의 복부(H1)에 점착 테이프(1)를 서서히 권취함으로써 행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절단부(11)를, 길이 방향을 따라 10㎜의 피치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절단부(11)의 위치를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점착 테이프(1)를 지장없이 절단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a)는, 엄지(H)의 손가락 끝을 점착 테이프(1)의 임의의 절단부(11)의 가장 최근에 가압한 경우, (b)는, 손가락 끝을 상기 절단부(11)에 직접 가압한 경우, (c)는, 손가락 끝을 상기 절단부(11)와, 이에 인접된 절단부(11)와의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가압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을 점착 테이프(1)의 어느 쪽의 위치에 가압했다고 해도, 그 근방(10㎜ 이내의 범위)에 반드시 절단부(11)가 존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을 가압한 점착 테이프(1)는 폭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므로, 장척의 절취선(21)의 폭 방향의 중심 부근이 가장 강하게 인장되게 된다. 이로써, 점착 테이프(1)에 가압한 손가락 끝이, 그 근방의 절단부(11)로부터 이격되어 있어도, 장척의 절취선(21)의 양 단부를 지장없이 파단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점착 테이프(1)가 폭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변형됨으로써, 점착 테이프(1)의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에 있어서는, 각각 폭 방향의 중앙 주위와 점착 테이프(1)의 사이드 에지(1b) 집합에 의해 단차가 생기고, 이 단차에 의한, 인장 응력 및 전단 응력이 상기 절단부(11)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접 영역(B) 및 외측 영역(C)에 대해서도,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지장없이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특별히 절취선(20)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아도, 절단하고자 하는 위치의 근방의 절단부(11)에 의해, 점착 테이프(1)를 지장없이 절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점착 테이프(1)를 절단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롤 테이프(R)에 의하면, 점착 테이프(1)를 송출함으로써 개구하고, 개구된 상태로 중앙 영역(A) 또는 그 근방을 손가락으로 압압함으로써 중앙 영역(A)의 양 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점착 테이프(1)를 절단시키는 장척의 절취선(21)을 중앙 영역(A)에 가지고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1)를, 가상 절단선(D)을 따른 커팅 에지 전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거의 직선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롤 테이프(R)의 절단부(11)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은,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 치수 W가, 12.5㎜로 설정되어 있는 점, 한 쌍의 제1 인접 절취선 중의 한쪽인 제1 인접 절취선(25)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및 미절단부(32, 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제2 실시형태의 절단부(11)를 구성하고 있는 절취선(20)은, 중앙 영역(A)에 형성된 장척의 절취선(21)과, 미절단부(31)를 통하여 인접 영역(B)에 형성된 제1 인접 절취선(24)과, 미절단부(35)를 통하여 외측 영역(C)에 형성된 복수의 외측 절취선(23)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절취선부의 폭 방향 치수 L1, L31, L32, 각 미절단부의 치수 폭 방향 법 M1, M2, M5, 및 제1 인접 절취선(24)의 길이 방향 치수 N은,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W = 12.5㎜
L1 = 1.5㎜
L31= 1㎜
L32= 0.65㎜
M1 = 1㎜
M2 = 0.8㎜
M5 = 0.65㎜
N = 1㎜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구된 중앙 절취선(21) 부분에 손가락 끝을 가압하게 된다(도 9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폭 방향 치수 W가, 성인의 엄지(H)의 폭 치수와 동등하거나 약간 작은 값인 12.5㎜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1)의 표면을 엄지(H)로 가압하면,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의 거의 전역을 압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미절단부(30)의 폭 방향 치수를 다소 크게 설정했다고 해도, 점착 테이프(1)를 쉽게 가압하여 절단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인접 절취선(24)을, 각각의 인접 영역(B)에 각각 1개만 형성했다고 해도, 쉽게 가압하여 절단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11)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인접 절취선(24)은, 점착 테이프(1)에 따라 그 제작수를 적절히 조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절취선(20)에서는, 제1 인접 절취선(24)을 1개만 형성하고 있으므로, 인접하는 외측 절취선(23)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절단부(33)의 치수를 제1 실시형태의 경우(0.59㎜)보다 크게 설정하여, 절취선(20)의 인장 강도가 적절하게 되도록 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미절단부(30)의 치수에 대해서도,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 치수 W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 테이프(1)의 절단부(11)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은, 제1 인접 절취선(24, 25)이 가상 절단선(D)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 및 외측 절취선(23)이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경사부(23b)를 가지고 있는 점이다.
제1 인접 절취선(24, 25)은, 점착 테이프(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상 절단선(D)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인접 절취선(24, 25)은, 가상 절단선(D)보다 점착 테이프(1)의 자유단측인 제1 부분(24a, 25a)과, 가상 절단선(D)보다 롤(R1)(도 1) 측인 제2 부분(24b, 2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부분(24b, 25b)은, 제1 부분(24a, 25a)보다 짧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각각의 외측 절취선(23)은, 가상 절단선(D)을 따라(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폭 방향부(23a)와, 폭 방향부(23a)의 중심선 CL 측의 단부를 기단으로 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사부(23b)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23b)는, 폭 방향부(23a)의 단부로부터 점착 테이프(1)의 길이 방향 롤(R1)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중심선 CL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23b)의 선단과 제1 인접 절취선(24, 25)의 제2 부분(24b, 25b)의 선단은, 점착 테이프(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대략 같은 위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 치수 W는, 25㎜이며, 각 절취선(20)의 폭 방향 치수 L1∼L3, 경사부(23b)의 치수 L4, 폭 방향부(23a)에 대한 경사부(23b)의 각도 L5, 각 미절단부(30)의 폭 방향 치수 M1∼M6, 및 제1 인접 절취선(24, 25)에서의 제1, 제2 부분(24a, 24b, 25a, 25b)의 길이 방향 치수 N1, N2는,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L1 = 2.5㎜
L2 = 1.6㎜
L3 = 0.59㎜
L4 = 0.59㎜
L5 = 240도
M1 = 0.5㎜
M2 = 0.7㎜
M3 = 0.7㎜
M4 = 0.59㎜
M5 = 0.59㎜
M6 = 0.6㎜
N1 = 1.0㎜
N2 = 0.5㎜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 의하면, 가상 절단선(D)보다 롤(R1) 측으로 연장되는 절취선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점착 테이프(1)를 절단했을 때의 커팅 에지가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가상 절단선(D)을 따라 절단되고, 커팅 에지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외측 절취선(23)은, 경사부(23b)를 가지고 있으므로, 외측 절취선(23)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도 2 중에 나타내는 외측 영역(C)에 상당하는 영역]에서의 인장 응력을 적당히 유지하면서, 상기 외측 영역(C)이 절단되었을 때의 커팅 에지의 외관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점착 테이프(1)의 부분 확대도이며, 절단부(11)를 확대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절단부(11)는, 각각의 외측 절취선(23)이나, 각각의 외측 절취선(23)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 미절단부(33)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의 절단부(11)보다도,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 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고 있는,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란, 손을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는 아니고,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1)의 이면에 적층된 점착제(1a)에 추(weight) 등을 접착하고, 점착 테이프(1)와 상기 추를 매다는 것으로 점착 테이프(1)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인장 응력을 작용시켰을 때, 점착 테이프(1)가 절단에 이르는 하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도 11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의 절단부(11)는, 예를 들면, 500g의 인장 하중에 견딜 수 있지만, 절단부(1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점착 테이프(1) 자체가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 500g보다 훨씬 클 경우, 절단부(11)를 형성함으로써, 점착 테이프(1)의 인장 강도를 크게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예를 나타낸 도 12에서는, 각 미절단부(30)의 치수와 각 절취선(20)의 치수와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750g의 인장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로 되어 있고, 도 10, 도 11에 나타낸 것보다, 보다 인장 강도가 높아져,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 높여져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 치수 W는, 25㎜이며, 각 절취선(20)의 폭 방향 치수 L1∼L3, L31, 경사부(23b)의 치수 L4, L41, 폭 방향부(23a)에 대한 경사부(23b)의 각도 L5, L51, 각 미절단부(30)의 폭 방향 치수 M1∼M6, 및 제1 인접 절취선(24, 25)에서의 제1, 제2 부분(24a, 24b, 25a, 25b)의 길이 방향 치수 N1, N2는,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L1 = 2.0㎜
L2 = 1.6㎜
L3 = 0.5㎜
L31 = 0.59㎜
L4 = 0.75㎜
L41 = 0.59㎜
L5 = 227도
L51 = 240도
M1 = 0.5㎜
M2 = 0.7㎜
M3 = 0.7㎜
M4 = 0.59㎜
M5 = 0.805㎜
M6 = 0.6㎜
N1 = 1.0㎜
N2 = 0.5㎜
본 예를 나타낸 도 12에 의하면, 각 절취선(20)의 치수에 대한 각 미절단부(30)의 치수의 비율이, 도 10, 도 11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보다 커지도록 조정함으로써,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 높여져 있다. 이 결과, 점착 테이프(1)의 인장 강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점착 테이프(1)의 부분 확대도이며, 절단부(11)를 확대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절단부(11)에 있어서도, 각각의 외측 절취선(23)이나, 각각의 외측 절취선(23)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각 미절단부(33)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3 실시형태나 제1 변형예의 절단부(11)보다도,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 치수 W는, 25㎜이며, 각 절취선(20)의 폭 방향 치수 L1∼L3, L31, 경사부(23b)의 치수 L4, L41, 폭 방향부(23a)에 대한 경사부(23b)의 각도 L5, 각 미절단부(30)의 폭 방향 치수 M1∼M6, 및 제1 인접 절취선(24, 25)에서의 제1, 제2 부분(24a, 24b, 25a, 25 b)의 길이 방향 치수 N1, N2는,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L1 = 2.0㎜
L2 = 1.6㎜
L3 = 0.4㎜
L31 = 0.59㎜
L4 = 0.9㎜
L41 = 0.59㎜
L5 = 240도
M1 = 0.5㎜
M2 = 0.7㎜
M3 = 0.7㎜
M4 = 0.59㎜
M5 = 0.905㎜
M6 = 0.6㎜
N1 = 1.0㎜
N2 = 0.5㎜
본 예를 나타낸 도 13에 있어서도, 각 절취선(20)의 치수에 대한 각 미절단부(30)의 치수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1000g의 인장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로 되어 있고, 상기 제3 실시형태나 제1 변형예의 절단부(11)보다도,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이 더욱 높여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절단부(11)에서의 절단에 이르는 인장 하중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점착 테이프(1) 자체가 가지는 인장 하중에 따라 적절한 인장 하중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11)에, 제1 인접 절취선(24, 25)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인접 영역(B)의 폭 방향 치수가, 소정의 인장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비교적 좁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단부(11)에 대하여, 제1 인접 절취선(24, 25)을 형성하지 않고 제2 인접 절취선(22)만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은, 인접 영역(B)이 비교적 좁게 설정되어 있으면, 제1 인접 절취선(24, 25)을 형성하지 않아도, 제2 인접 절취선(22)만으로, 인접 영역(B)을 비교적 쉽게 절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 테이프(1)의 폭 치수 W가, 예를 들면, 성인의 손가락의 폭보다 극단적으로 좁고, 외측 영역(C)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외측 절취선(23)을 형성하지 않고 행하는 경우도 있다.
각각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로서, 서지컬 테이프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비닐 점착 테이프 등, 적절한 강도나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1 점착 테이프
1a 점착제
1b 사이드 에지
1c 테이프 본체
2 롤 코어
11 절단부
20 절취선
21 장척의 절취선
22 제2 인접 절취선
23 외측 절취선
24 제1 인접 절취선
25 제1 인접 절취선
30 미절단부
A 중앙 영역
B 인접 영역
C 외측 영역
D 가상 절단선

Claims (5)

  1. 장척(長尺)의 테이프 본체의 한쪽 면에 점착제(粘着劑)가 적층되어 있는 롤형의 점착 테이프를, 소정 길이 송출(feeding out)한 상태에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취선(cut line)이, 상기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절단선(virtual cutting line)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는 롤 테이프로서,
    상기 절취선이,
    상기 가상 절단선 중 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점착 테이프를 송출함으로써 개구되고,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영역 또는 그 근방을 손가락으로 압압(押壓)함으로써, 상기 중앙 영역의 양 단부를 기점(起点)으로 하여, 상기 중앙 영역의 폭 방향의 양측 영역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점착 테이프를 절단시키고, 상기 양측 영역에 형성된 절취선보다 긴 장척의 절취선을 가지고,
    상기 양측 영역이, 상기 점착 테이프를 송출할 때 생기는 인장 응력에 견딜 수 있는 인장 강도를 가지고 있는,
    롤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이, 상기 양측 영역 중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에 인접하는 인접 영역에 형성된 제1 인접 절취선을 가지고, 상기 제1 인접 절취선이, 상기 가상 절단선과 교차한 상태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롤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이, 상기 양측 영역 중 상기 인접 영역의 폭 방향 단부(端部)로부터 점착 테이프의 사이드 에지에 이르는 외측 영역에 미싱눈형으로 복수 배열된, 외측 절취선을 가지고 있는, 롤 테이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영역에, 상기 가상 절단선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인접 절취선이 상기 제1 인접 절취선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롤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본체가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롤 테이프.
KR1020147021298A 2012-01-27 2013-01-22 롤 테이프 KR20140117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5709A JP4940385B1 (ja) 2012-01-27 2012-01-27 ロールテープ
JPJP-P-2012-015709 2012-01-27
PCT/JP2013/051197 WO2013111750A1 (ja) 2012-01-27 2013-01-22 ロールテー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468A true KR20140117468A (ko) 2014-10-07

Family

ID=4639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298A KR20140117468A (ko) 2012-01-27 2013-01-22 롤 테이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39417B2 (ko)
EP (1) EP2808370B1 (ko)
JP (1) JP4940385B1 (ko)
KR (1) KR20140117468A (ko)
CN (1) CN104080873B (ko)
WO (1) WO2013111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556U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위워너 절취선을 가진 벨크로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2443A1 (en) 2004-02-18 2005-08-18 Closure Medical Corporation Adhesive-containing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US20060009099A1 (en) 2004-07-12 2006-01-12 Closure Medical Corporation Adhesive-containing wound closure device and method
JP6016296B2 (ja) * 2012-10-08 2016-10-26 福岡丸本株式会社 片面粘着テープ及び片面粘着テープ引き出し装置
JP5952369B2 (ja) * 2013-10-23 2016-07-13 福岡丸本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巻回体並びに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
DE102014001607A1 (de) * 2014-02-10 2015-08-13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JP2017040695A (ja) * 2015-08-17 2017-02-23 株式会社ライト クリーニングタグ
US10792024B2 (en) 2016-09-28 2020-10-06 Ethicon, Inc. Scaffolds with channels for joining layers of tissue at discrete points
US10470934B2 (en) 2016-09-29 2019-11-12 Ethicon,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kin closure
USD848624S1 (en) 2016-09-29 2019-05-14 Ethicon, Inc. Release paper for wound treatment devices
US10687986B2 (en) 2016-09-29 2020-06-23 Ethicon,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kin closure
US11291588B2 (en) * 2017-01-23 2022-04-05 Medela Holding Ag Porous wound dressing for use in negative-pressure therapy
US20180271505A1 (en) 2017-03-23 2018-09-27 Ethicon, Inc. Scaffolds for Joining Layers of Tissue at Discrete Points
US10470935B2 (en) 2017-03-23 2019-11-12 Ethicon, Inc. Skin closure systems and devices of improved flexibility and stretchability for bendable joints
US11504446B2 (en) 2017-04-25 2022-11-22 Ethicon, Inc. Skin closure devices with self-forming exudate drainage channels
US10993708B2 (en) 2018-07-31 2021-05-04 Ethicon, Inc. Skin closure devices with interrupted closure
JP7270353B2 (ja) * 2018-09-25 2023-05-1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ロール製品
US11319464B2 (en) * 2019-11-20 2022-05-03 Gourgen AMBARTSOUMIAN Polymeric tape with tear cu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2889U (ko) 1988-12-09 1990-07-24
JPH0546854Y2 (ko) * 1989-07-27 1993-12-08
JP2501711Y2 (ja) * 1989-11-02 1996-06-19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付ケ―ブル内蔵管状柱及び管状柱受部
JPH0647071A (ja) * 1992-07-31 1994-02-22 Igaku Kenkyusha:Kk 医療用のばんそうこう
WO1995006450A1 (en) * 1993-08-31 1995-03-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erforated roll of nonwoven surgical tape
JP3284283B2 (ja) * 1993-10-12 2002-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巻取紙の紙継ぎ準備方法およびその連結用テープ
JPH08239634A (ja) * 1995-02-28 1996-09-17 Toppan Moore Co Ltd ロール状粘着テープ
JPH09241594A (ja) * 1996-03-09 1997-09-16 Nitto Denko Corp ロール状粘着テープ
JP2000116695A (ja) 1998-10-14 2000-04-25 Oji Paper Co Ltd 医療用粘着シート
JP3086908U (ja) 2001-12-25 2002-07-05 柴田工業株式会社 清掃用具用粘着テープ
JP2003285968A (ja) * 2002-03-29 2003-10-07 Sato Corp 台紙なしラベルおよびその切取り装置
JP4219710B2 (ja) * 2003-03-14 2009-02-04 株式会社槌屋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貼着加工方法
JP2006006514A (ja) * 2004-06-24 2006-01-12 Shibata Kogyo Kk 粘着ロール
JP4636937B2 (ja) * 2005-05-18 2011-02-23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ミシン目刃
KR20090002386A (ko) * 2007-06-28 2009-01-09 이정주 손으로 자르는 플라스틱점착테이프.
JPWO2011121659A1 (ja) 2010-03-31 2013-07-04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同粘着テープロール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556U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위워너 절취선을 가진 벨크로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0385B1 (ja) 2012-05-30
EP2808370A4 (en) 2015-09-30
CN104080873A (zh) 2014-10-01
EP2808370B1 (en) 2019-09-25
US9339417B2 (en) 2016-05-17
EP2808370A1 (en) 2014-12-03
JP2013155251A (ja) 2013-08-15
WO2013111750A1 (ja) 2013-08-01
CN104080873B (zh) 2016-06-29
US20140363605A1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7468A (ko) 롤 테이프
RU2303428C2 (ru) Повязка для закрытия раны или разреза
JP2009523520A (ja) 窓つき手術用ドレープの改良
KR200472060Y1 (ko)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JP6990711B2 (ja) 調整可能耳掛けを含む顔用マスク
JP2012228347A (ja) 伸縮性粘着包帯
JPH09241594A (ja) ロール状粘着テープ
US20110302845A1 (en) Door safety shield
JP2013106719A (ja) 伸縮性粘着包帯
EP3784299A1 (en) Elastic laminate sheet, tab member, and hygienic material
CN101983075B (zh) 外用贴剂
US2308693A (en) Adhesive tape
JP4118911B2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JP2015093194A (ja) 容易に取り外せる識別用バンド
EP2517680A2 (en) Stretch adhesive bandage
JPH0819568A (ja) 粘着包帯
KR101950404B1 (ko) 포장용 비닐랩
JP5973179B2 (ja) 粘着テープロール
KR20180133699A (ko) 절취선을 따라 찢어 붙이는 밴드형 반창고
JP2018149053A (ja) スリット入り救急絆創膏
JP3228510U (ja) 耳引掛け部材用の皮膚トラブル防止用具
US20190262184A1 (en) Therapy Tape
KR20170058338A (ko) 절취부가 형성된 접착테이프
WO2017215717A1 (en) A protective device, a method for removing a protective device and use of a protective device
US20030031863A1 (en) Easily severed adhesive tape and cutt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