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962A -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962A
KR20140115962A KR1020140023907A KR20140023907A KR20140115962A KR 20140115962 A KR20140115962 A KR 20140115962A KR 1020140023907 A KR1020140023907 A KR 1020140023907A KR 20140023907 A KR20140023907 A KR 20140023907A KR 20140115962 A KR20140115962 A KR 2014011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imaging
section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967B1 (ko
Inventor
요시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촬상부(22)는 피사체를 촬상한다. 표시부(21)는 촬상부(22)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하며, 그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사출광 제어부(75)는 표시부(21)로부터의 사출광(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표시부(21)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IMAGE-CAPTURE APPARATUS CONTROLLING DISPLAY AT PHOTOGRAPHING TIME}
본 발명은 촬영 시의 표시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표시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상 장치는 기록용의 촬상 지시가 행해지기 전부터, 라이브 뷰(live view)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촬영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을 보면서 구도를 결정하는 등을 하여, 셔터 버튼의 누름 조작 등에 의해 기록용의 촬상 지시를 행한다.
이와 같은 촬영자에 대한 라이브 뷰 화상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해, 표시부의 휘도를 촬상 시의 주위의 환경에 따라 변화시키는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평9-6518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1-305637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부로서 채용되는 종래의 액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환경광 등에 따라, LED(Light Emitting Diode)의 백라이트의 휘도 제어나 색 온도 제어를 실행하는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327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7168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이른바 뷰티 기능(beauty function) 등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더욱 아름답게 촬영하고 싶다는 요망이 언급되고 있다. 가두(街頭)나 철도역 구내 등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촬영기 등의 특수한 촬상 장치를 사용하여 통상보다 강한 광을 얼굴에 조사하면서 촬영함으로써, 얼굴의 그림자를 없애거나, 얼굴의 기미이나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이러한 요구에 따르는 것은 종래부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경광의 변화가 큰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구도나 얼굴 상태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 상기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라이브 뷰 화상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은 유효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일반적인 카메라를 사용하여 이른바 자기 촬영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을 적용해도, 피사체를 더욱 적정한 구도로 더욱 아름답게 촬영하고 싶다는 요구에 충분히 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촬영자 자신이 피사체가 되는 자기 촬영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피사체를 더욱 적정한 구도로 더욱 아름답게 촬영하는 기능을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촬상 장치로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射出光)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한, 상기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사출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aspect)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한, 상기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사출광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로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한, 상기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컴퓨터를,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사출광 제어부
를 실현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이하, 도 1이라고도 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책상 위 등에 세워 설치된 도 1의 촬상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촬상 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가 가지는 기능 중,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실행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1)의 동작의 개략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제1 예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의 촬상 장치에 표시되는 소정의 도안의 화상으로서, 그 화상의 밝은 부분의 도안의 형상이,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 시선을 끄는 효과(eye-catching effect)를 고려한 소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도 7의 화상이 도 1의 촬상 장치에 표시된 경우에 얻어지는 촬상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1의 촬상 장치에 표시되는 소정의 도안의 화상으로서, 그 화상의 밝은 부분의 도안의 위치가, 피사체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가 실행하는,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제2 예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a는 촬상면과 표시면을 대향하는 면에 각각 배치시킨 경우의 촬상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는 촬상면과 표시면을 동일면에 배치시킨 경우의 촬상 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한 셔터 타이밍을 지시하는 소정의 조작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를 피사체로서 촬상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화상(이하, "촬상 화상"이라고 함)의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화상의 데이터의 기록은, 사용자의 소정의 조작이 트리거가 되어 행해진다. 그래서, 이하, 이와 같은 기록의 트리거가 되는 조작을, "촬상 기록 지시"라고 한다. 그리고, 촬상 기록 지시에 기초한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이하,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라고 한다.
촬상 장치(1)는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카메라 본체(11)와 표시부 본체(12)와 프레임 본체(13)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11)는, 평면 형상 5각형의 짧은 기둥형으로 형성되고,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의 이면(裏面)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11)의 표면은 촬상부(22)의 촬상면(촬상 렌즈 측의 면)이 배치되어 있다. 즉, 카메라 본체(11)는 촬상부(22)를 내장하는 하우징이다.
카메라 본체(11)는, 관통하여 배치된 회전축(rotation axis)(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표시부 본체(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pivotally supported).
또한, 카메라 본체(11)는, 회전축(A)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고 관통하여 배치된 회전축(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 본체(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본체(11)는, 카메라 본체(11)의 5각형의 외형 중 한 변을 표시부 본체(12)에 접하면서,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 촬상 장치(1) 중, 카메라 본체(11)가 설치되어 있는 측(도 1의 좌측)을 "카메라 측"이라고 하고, 표시부 본체(12)가 설치되어 있는 측(도 1의 우측, 즉 특히 카메라 본체(11)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 측)을 "표시부 측"이라고 한다.
표시부 본체(12)는,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의 중앙에는 직사각형의 표시부(21)의 표시면이 배치되어 있다. 즉, 표시부 본체(12)는 표시부(21)를 내장하는 하우징이다.
프레임 본체(13)는, 밑변과 그 밑변부의 양단에 있어서 그 밑변부에 대해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평행한 2개의 팔(arm)에 의해 평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3)의 밑변은, 프레임 본체(13)를 구성하는 2개의 팔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역방향(표시부 측)으로 V자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3)는 카메라 본체(11)와, 회전축(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카메라 본체(11)는 프레임 본체(13)의 2개의 팔의 선단(先端) 사이에 배치된 회전축(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11)는, 그 5각형의 외형 중 대향하는 2변을 프레임 본체(13)의 2개의 팔과 맞닿은 상태로 프레임 본체(13)와 축 지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 본체(11)는, 그 대향하는 2변을 프레임 본체(13)의 2개의 팔에 각각 접하게 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본체(11)는 프레임 본체(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으므로, 촬상부(22)의 촬상면이 배치되어 있는 표면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 본체(11)를 회동시킴으로써,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부(22)의 촬상면을 지면(紙面)에 대하여 안쪽에 배치시키거나,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부(22)의 촬상면을 지면에 대하여 바로 앞쪽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사체가 안쪽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회전축(B)을 중심으로 하여 카메라 본체(11)를 회전시셔 도 1a의 상태로 함으로써, 안쪽의 피사체를 촬상부(22)에 촬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자신을 피사체로서 촬상하는(이하, 적절히 "자기 촬영(selfie)"이l라고 함) 경우 등, 피사체가 바로 앞쪽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회전축(B)을 중심으로 하여 카메라 본체(11)를 회전하여 도 1b의 상태로 함으로써, 바로 앞쪽의 피사체를 촬상부(22)에 촬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책상 위 등에 세워 설치된 촬상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사용자(U)는, 자기 촬영을 하는 경우 등에는,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1)에 의한 표시 방향과 촬상부(22)에 의한 촬상 방향을 거의 일치시킨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1)와 프레임 본체(13)가 소정 각도 펴지도록 변형한 상태의 촬상 장치(1)를 책상 위 등에 세워 설치시킨다.
여기서, 표시부(21)에 의한 표시 방향은, 표시부(21)의 표시면의 법선의 방향으로서, 그 표시면으로부터 광(각 화소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사출되는 방향을 말한다. 촬상부(22)에 의한 촬상 방향은, 촬상부(22)의 촬상면의 법선의 방향(즉 광축의 방향)으로서, 그 촬상면으로부터 피사체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본체(13)를 구성하는 돌출된 V자형의 밑변의 선단과, 표시부 본체(12)의 단부(端部)가,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에서의 베이스(base)로서 기능한다. 이 베이스가 책상 위의 면과 맞닿고, 프레임 본체(13)와 표시부 본체(12)가 회전축(B)을 통하여 서로 축 지지됨으로써, 촬상 장치(1)는 책상 위에 세워 설치된다.
사용자(U)는, 이와 같이 촬상 장치(1)를 책상 위에 세워 설치하면, 다음에, 촬상부(22)의 촬상면과 대향하고, 표시부(21) 전체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정도까지 이격된 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U)가 촬상부(22)에 의해 순차적으로 촬상되어, 그 라이브 뷰 화상(GU)이 표시부(21)에 표시된다.
여기서, 라이브 뷰 화상(GU)에 대하여 설명한다.
촬상 장치(1)는, 먼저, 촬상부(22)에 의한 피사체(도 2의 예에서는 사용자(U))의 촬상 동작을 계속하게 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1)는, 촬상부(22)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 동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그 촬상부(22)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촬상 화상(프레임)의 데이터를, 메모리(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 3의 기억부(48))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제어 처리를, 이하 "라이브 뷰 촬상 처리"라고 한다.
또한, 촬상 장치(1)는 라이브 뷰 촬상 처리 시에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기록된 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촬상 화상(프레임)을 표시부(21)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제어 처리를, 이하 "라이브 뷰 표시 처리"라고 한다.
이와 같은 라이브 뷰 촬상 처리 및 라이브 뷰 표시 처리의 결과로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촬상 화상이, 라이브 뷰 화상(GU)이다.
사용자(U)는, 이와 같은 라이브 뷰 화상(GU)를 보면서, 타이밍을 잰다. 그리고, 사용자는 원하는 셔터 타이밍에서 촬상 기록 지시를 내린다.
촬상 장치(1)는 촬상 기록 지시 직후에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용의 메모리(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 3의 탈착 가능한(removable) 매체(61))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진 후의 촬상 장치(1)의 촬영의 동작, 즉 저장용의 촬영 동작을, 라이브 뷰 화상의 촬영 시와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이하, "본 촬영"이라고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1)로서 액정형 표시 장치가 채용되어 있고, 그 배면(표시면과의 대향면)에는 백라이트(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도 3의 백라이트부(5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백라이트의 휘도(밝기)의 설정은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장치(1)는 본 촬영 전(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기 전)에는, 백라이트의 휘도를, 종래대로, 파인더(finder)로서 적합한 휘도로 설정하여,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하게 한다.
한편, 촬상 장치(1)는,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진 후의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에서는,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게 설정한다.
여기서,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게 하는 목적은, 본 촬영 시에 있어서는,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을 밝게 하여, 그 얼굴에서 그림자를 없애거나 얼굴의 기미나 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촬상 장치(1)는, 크세논(xenon) 플래시와 같은 대광량이 발광되는 정도의 매우 높은 휘도를 설정할 필요는 없고, 통상의 모니터용의 휘도와 비교하여 밝아지는 정도의 휘도를 설정하면 된다.
또한, 높은 휘도가 설정되는 기간은, 너무 긴 기간이면 피사체에 눈부시다는 느낌을 주게 되므로, 밝아진 얼굴(그림자를 없앤 얼굴)이 저장용의 촬상 화상에 찍히는 기간이면 충분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에만, 휘도가 높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가 촬상 장치(1)에 의해 실행된다.
도 3은 이와 같은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를 실행 가능한 촬상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는, 전술한 표시부(21) 및 촬상부(22)에 더하여 또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41), ROM(Read Only Memory)(42), RAM(Random Access Memory)(43), 화상 처리부(44), 버스(45), 입출력 인터페이스(46), 조작부(47), 기억부(48), 통신부(49), 드라이브(50), 및 백라이트부(51)를 구비하고 있다.
CPU(41)은 ROM(4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48)로부터 RAM(4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43)에는, CPU(4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 도 적절히 기억된다.
화상 처리부(44)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나,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41)와 협동하여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44)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noise reduction),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white balance adjustment), 손떨림 보정(camera shake correction)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한다.
CPU(41), ROM(42), RAM(43), 및 화상 처리부(44)는 버스(4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45)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6)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6)에는, 표시부(21), 촬상부(22), 조작부(47), 기억부(48), 통신부(49), 드라이브(50), 및 백라이트부(51)가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21)는,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화상을 비롯한 각종 화상을 표시가능한 액정형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촬상부(22)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설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22)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촬상부(22)의 출력 신호가 촬상 화상의 데이터이며, CPU(41)나 화상 처리부(44) 등에 적절히 공급된다.
조작부(47)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릴리스 버튼(release button) 등의 각종 버튼에 의해 구성되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을 받아들인다.
기억부(48)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며, 라이브 뷰 화상 등의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49)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드라이브(50)에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탈착 가능한 매체(6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50)에 의해 탈착 가능한 매체(6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48)에 설치(install)된다. 또한, 탈착 가능한 매체(61)는 기억부(48)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48)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촬영 시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는 기억부(48)에 당연히 기억될 수 있지만, 라이브 뷰 화상의 데이터의 1차적인 기억과 명확하게 구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기억되는 것으로 한다.
백라이트부(51)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하여, 도광판(導光板)을 통하여 표시부(21)의 액정을 배면으로부터 조명한다.
백라이트부(51)로부터의 광의 휘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롭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백라이트부(51)는, 광의 휘도가 가변 설정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광원도 LED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 냉음극관(cold cathode tube)이 채용되어도 되고, 또한, 방식도 에지 라이트 방식(edge light type)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에 직하형 방식(direct type)이 채용되어도 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부(51)의 광원으로서 RGB의 각 LED가 채용되어 있고, 백라이트부(51)로부터의 광의 휘도에 더하여 또한, 색조도 자유롭게 가변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의 촬상 장치(1)가 가지는 기능 중,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실행 기능을 발휘하게 하는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CPU(41)에 있어서는, 주 제어부(71), 촬상 제어부(72), 표시 제어부(73), 기록 제어부(74), 및 사출광 제어부(75)가 기능한다.
주 제어부(71)는 촬상 장치(1) 전체의 동작, 특히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실행 시의 동작을 제어한다.
촬상 제어부(72)는 촬상부(22)에 의한 촬상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촬상부(22)는, 촬상 제어부(72)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상(노광)하여, 그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73)는 라이브 뷰 화상을 포함하는 각종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기록 제어부(74)는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면 기능하고, 그 촬상 기록 지시 후에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된 촬상 화상의 데이터, 즉 본 촬영 시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용의 데이터로서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기록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사출광 제어부(75)는 표시부(21)의 표시 방향과 촬상부(22)의 촬상 방향이 거의 일치한 상태(예를 들면, 도 2 상태)로 촬상부(22)에 의한 촬상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 표시부(21)로부터의 사출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제어한다.
즉, 표시부(21)는, 백라이트부(51)로부터의 광에 기초하여, 화소 단위로 광을 사출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즉, 각 화소마다의 사출광은 사용자의 눈에 입사되어 뇌 내에서 화상으로서 인식되는 동시에, 그 사용자(자기 촬영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얼굴 등을 조사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부(21)는 화상의 표시 기능에 더하여, 피사체의 조명 기능(보조광의 조사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표시부(21)로부터의 사출광을, 피사체의 조명 기능의 관점에서 볼 때는, "조사광(照射光)"이라고 적절히 부른다.
또한, 피사체의 촬영 상태란, 촬영 시의 피사체의 주위의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각종 각양의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면,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는, 그 인물의 주위의 환경에 따라 생기는 얼굴의 음영, 농담, 색조 상태 등이 해당한다.
즉,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으로서는, 예를 들면, 조사광의 밝기(휘도)에 따라,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에 그늘이 생기거나, 그 그늘이 사라지는 등의 영향이나, 얼굴의 기미나 주름이 눈에 띄기 쉬움에 대한 영향이 존재한다.
또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상태란, 그 화상의 휘도나 색조 상태를 말한다. 즉,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에 있어서,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의 그늘을 없애기 위해, 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은,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것의 일례에 해당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출광 제어부(7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라이트 제어부(81)와 표시 내용 제어부(82)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도록 백라이트부(51)의 설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백라이트부(51)의 설정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로 휘도의 설정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부(51)의 광원으로서, RGB의 각 LED가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색조의 설정도 백라이트부(51)의 설정에 포함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 제어부(81)는, 백라이트부(51)의 설정으로서, 휘도와 색조의 가변 설정을 서로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 제어부(81)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조를 피사체의 종류별에 따른 색조로 하기 위해, 백라이트부(51)의 색조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색조를 더욱 붉은 기가 있는 색조로 하기 위해, 백라이트부(51)의 색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촬영 시에는, 인물의 얼굴은 더욱 붉은 기가 있는 색조로 조명되므로, 혈색이 양호한 건강한 얼굴이 찍힌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저장용의 데이터로서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기 된다.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의 전에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 하고,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소정의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소정의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든 화소가 백색이 되는 화상(이하, "전부 백색 화상"이라고 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의 휘도가 높아지도록 백라이트부(51)의 휘도가 설정되지만, 백라이트부(51)로부터의 광의 휘도가 일정하면,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이 전부 백색 화상인 경우 쪽이, 다른 경우(라이브 뷰 화상의 경우 등)와 비교하여,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의 휘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이 전부 백색 화상인 경우 쪽이,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로부터 그늘을 더욱 쉽게 지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이러한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촬상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5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촬상 장치(1)의 동작의 개략을 설명한 후,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상 장치(1)의 동작의 세부내용으로서,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1)의 동작의 개략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5에서 위에서부터 차례로, 화상 프레임, REC 상태, 액정 표시, 백라이트 휘도 각각에 대한 타이밍도가 나타나 있다.
화상 프레임의 타이밍도는, 1장의 프레임이 촬상되는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시각 t1 내지 t7 각각의 타이밍에서, 1장의 프레임의 촬상(노광)이 개시되고, 다음 프레임의 촬상의 개시까지의 동안에,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출력되어, 필요에 따라, 그 촬상 화상이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부(21)에 표시된다.
REC 상태의 타이밍도는 저장용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의 기록 유무 등의 상태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촬상 화상의 데이터는 저장용으로서는 기록되지 않고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표시만 되는 상태(이하, "라이브 뷰 상태"라고 함), 본 촬영을 행해져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출력되기까지의 상태(노광 기간을 포함하는 상태), 및 본 촬영 시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상태(이하, "본 촬영 시의 화상 처리 상태"라고 함)가 REC 상태로서 채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의 타이밍도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의 설정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백라이트 휘도의 타이밍도는 백라이트부(51)의 휘도의 설정의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시각 t1 내지 시각 t3 동안은,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기 전, 즉 본 촬영 전의 단계이므로, 백라이트부(51)에 대해서는 중(中) 휘도(파인더 기능용의 휘도, 즉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휘도)가 설정되고,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라이브 뷰 화상이 설정된다.
도 5의 예에서는, 시각(t3)(더욱 정확하게는 시각(t3)의 직전)에 촬상 기록 지시가 되어 있다. 이로써, 백라이트부(51)에 대해서는 고휘도가 설정되고,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전부 백색 화상이 설정된다. 그리고, 이 기간의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부 백색 화상이 설정되지만, 제2 실시예 등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부 백색 화상이 설정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각종 각양의 도안 화상이 설정될 수 있다.
백라이트부(51)에 대한 고휘도의 설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촬영 기간의 노광 기간만으로 된다. 그 노광 기간이 종료하면, 본 촬영 시의 화상 처리의 상태로 천이해 가기 위해, 백라이트부(51)에 대한 휘도의 설정은 고휘도로부터 저 휘도(소등(消燈)을 포함함)로 전환된다.
그리고, 시각(t4)은 본래 다음 프레임의 촬상이 개시되는 타이밍이지만, 본 촬영 시의 화상 처리의 상태로 천이하고 있으므로, 표시부(21)로의 표시는 불필요해지므로,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정지가 설정된다.
본 촬영 시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저장용으로서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기록 된 후의, 다음 프레임의 촬상이 개시되는 시각(t5)이 되면, 라이브 뷰 화상의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시각(t1) 내지 시각(t3) 동안과 마찬가지로, 백라이트부(51)에 대해서는 중 휘도가 설정되고,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으로서는 라이브 뷰 화상이 설정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도 5의 촬상 장치(1)의 동작의 세부내용으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의 예에서는, 촬상 장치(1)의 동작 모드로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모드와, 각종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는 조작부(4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어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개시되고,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에서, 도 4의 주 제어부(71)는,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동작 모드가 재생 모드인 경우, 단계 S1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재생 대상이 되는 화상으로 한다.
단계 S3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휘도(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휘도(중 휘도)로 설정한다.
단계 S4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색(백라이트부(51)의 색조)을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색조(흰색)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백라이트 제어부(81)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표시 대상의 화상의 데이터에 대한 화상 보정의 색조를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색조(흰색)로 설정해도 된다.
단계 S5에서, 표시 제어부(73)는 재생 대상으로서 지정된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하게 한다.
이로써,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려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 동작 모드가 재생 모드인 경우에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에, 동작 모드가 촬영 모드인 경우에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모드가 재생 모드인 경우, 단계 S1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 한다.
단계 S7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휘도(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휘도(중 휘도)로 설정한다.
단계 S8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색(백라이트부(51)의 색조)을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색조(흰색)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백라이트 제어부(81)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라이브 뷰 화상의 데이터에 대한 화상 보정의 색조를 화상 재생 표시에 적합한 색조(흰색)로 설정해도 된다.
표시 제어부(73)가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부(21)에 표시하게 하면 처리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주 제어부(71)는, 촬상 기록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9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다시 단계 S9로 되돌려진다. 즉,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기까지의 동안, 단계 S9의 판정 처리가 반복 실행되어,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면, 단계 S9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주 제어부(71)는 표시부(21)의 표시 방향과 촬상부(22)의 촬상 방향이 일치하는지의 여부, 즉 자기 촬영이 행해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방향과 촬상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자기 촬영을 하지 않고, 사용자(촬영자) 이외가 피사체가 된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어느 쪽의 제어도 불필요하므로, 단계 S10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하고, 통상의 촬상 동작(노광)이 행해진다. 그리고, 단계 S15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표시 방향과 촬상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즉 자기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의 제어가 필요해지므로, 단계 S10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1로 진행하고,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1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휘도(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휘도(고 휘도)로 설정한다.
단계 S12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색(백라이트부(51)의 색조)을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색조(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백라이트 제어부(81)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한 화상 보정의 색조를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색조(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설정해도 된다.
단계 S13에서, 주 제어부(71)는 라이브 뷰 표시를 우선 시킬 것인지의 여부, 즉 밝기 우선이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라이브 뷰 표시를 우선시키는 경우, 즉 피사체로의 조사광의 밝기를 특히 우선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 단계 S13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하고,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부(21)에 표시된 상태(단, 고 휘도이고 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표시된 상태)로, 촬상 동작(노광)이 행해진다. 그리고, 단계 S15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라이브 뷰 표시를 우선시키지 않는 경우, 즉 피사체로의 조사광의 밝기를 특히 우선시키는 경우, 단계 S13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전부 백색 화상으로 한다.
이 경우, 단계 S15에서, 촬상 제어부(72)는, 전부 백색 화상이 표시부(21)에 표시된 상태(더욱 고휘도이고 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표시된 상태)로, 촬상부(22)에 촬상 동작(노광)을 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계 S14의 처리 후 외에, 단계 S10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후 또는 단계 S13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후에, 단계 S15의 처리에 의해 본 촬영이 행해지게 된다.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이 종료하면, 처리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휘도(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촬영 완료를 나타내는 휘도(저 휘도로서, 소등을 포함함)으로 설정한다.
단계 S17에서, 기록 제어부(74)는 본 촬영 시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용으로서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기록하게 한다.
단계 S18에서, 주 제어부(71)는,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처리의 종료가 아직 지시되지 않은 경우, 단계 S18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로 되돌려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이에 대하여, 처리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 단계 S18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제1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기도 하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도 3과 도 4의 설명 및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점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자기 촬영 등이 실행되는 경우,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의 제어로서, 라이브 뷰 화상 대신에 전부 백색 화상이 표시되는 제어가 실행되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예에서는, 자기 촬영 등이 실행되는 경우, 표시부(21)로부터의 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의 제어로서, 라이브 뷰 화상 대신에, 소정의 도안의 화상이 표시되는 제어가 실행된다.
소정의 도안 자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각양의 같은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2개의 도안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소정의 도안의 화상으로서, 그 화상의 밝은 부분의 도안의 형상이,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서의 시선을 끄는 효과를 고려한 소정 형상으로 되어 있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예의 소정의 도안의 화상(M1)은, 화상의 밝은 부분(백색의 도안 부분)을 형성시키기 위해, 그 이외는 차광 마스크가 씌워져 있고, 그 밝은 부분의 형상이 이른바 하트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도 7의 화상(M1)이 표시부(21)에 표시된 경우에 얻어지는 촬상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도 7의 화상(M1)이 표시부(21)에 표시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의 화상(M1)의 밝은 부분의 형상(소정의 도안), 즉 하트형의 형상이 피사체(인물)의 눈동자에 비친 촬상 화상(G1)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가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소정의 도안의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그 소정의 도안이 피사체에 조사된다.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는, 그 인물 눈동자에 소정의 도안이 비치게 되어, 이른바 시선을 끄는(캐치 라이트, catch-light) 효과가 실현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뷰티 기능의 효과를 한층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표시부(21)에 표시되는 소정의 도안의 화상으로서, 그 화상의 밝은 부분의 도안의 위치가, 피사체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도안의 화상으로서, 시간 경과순으로 화상 Fa, Fb, Fc, Fd 각각이 그 순서대로 표시부(21)에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화상 Fa, Fb, Fc, Fd 각각은, 화상의 밝은 부분(백색의 도안 부분)을 형성시키기 위해, 그 이외에는 반투과 마스크가 씌워져 있고, 그 밝은 부분의 도안(조사 도안)이 이른바 다이아몬드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이아몬드형의 도안(조사 도안)의 위치가 화상 Fa, Fb, Fc, Fd 각각에 있어서 상이하게 되어 있다(도안 자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도 포함함).
도시하지 않지만, 연사 또는 동화상에 대한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도 9의 화상 Fa, Fb, Fc, Fd 각각이 그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표시되면 피사체(인물)의 눈동자에 비치는 조사 도안이 시간과 함께 변화하므로, 특징이 있는 자기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1)의 동작의 세부내용으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화상 처리 장치(1)가 실행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는,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의 전원이 투입되어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개시되고,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계 S1) 내지 S8의 처리(도 6 참조)가 실행된 후,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41에서, 주 제어부(71)는 촬상 기록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41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다시 단계 S41로 되돌려진다. 즉,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기까지의 동안, 단계 S41의 판정 처리가 반복 실행되어,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
촬상 기록 지시가 행해지면, 단계 S41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2로 진행한다.
단계 S42에서, 주 제어부(71)는 표시부(21)의 표시 방향과 촬상부(22)의 촬상 방향이 일치하는지의 여부, 즉 자기 촬영이 행해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방향과 촬상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자기 촬영을 하지 않고, 사용자(촬영자) 이외가 피사체가 된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어느 쪽의 제어도 불필요하므로, 단계 S42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8로 진행하고, 통상의 촬상 동작(노광)이 행해진다. 그리고, 단계 S48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표시 방향과 촬상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즉 자기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의 제어가 필요해지므로, 단계 S42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3으로 진행하고,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43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휘도(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휘도(고휘도)에 설정한다.
단계 S44에서, 주 제어부(71)는 시선을 끄는 효과를 우선하는지의 여부, 즉 밝기 우선은 아닌가 여부를 판정한다.
시선을 끄는 효과를 우선하지 않는 경우, 즉 밝기 우선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단계 S44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5로 진행한다.
단계 S45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색(백라이트부(51)의 색조)을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색조(
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백라이트 제어부(81)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한 화상 보정의 색조를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색조(붉은 기가 있는 색)로 설정해도 된다.
단계 S46에서, 주 제어부(71)는 라이브 뷰 표시를 우선 시킬 것인지의 여부, 즉 밝기 우선은 아닌가 여부를 판정한다.
라이브 뷰 표시를 우선시키는 경우, 즉 피사체로의 조사광의 밝기를 특히 우선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 단계 S46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8)로 진행하고,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부(21)에 표시된 상태(단, 고 휘도이고 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표시된 상태)로, 촬상 동작(노광)이 행해진다. 그리고, 단계 S48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라이브 뷰 표시를 우선시키는 경우, 즉 피사체로의 조사광의 밝기를 특히 우선시키는 경우, 단계 S46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7에서,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전부 백색 화상으로 한다.
이 경우, 단계 S48에서, 촬상 제어부(72)는, 전부 백색 화상이 표시부(21)에 표시된 상태(더욱 고 휘도이고 붉은 기가 있는 색으로 표시된 상태)로, 촬상부(22)에 촬상 동작(노광)을 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계 S47의 처리 후 외에, 단계 S42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후 또는 단계 S46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된 후에, 단계 S48의 처리에 의해 본 촬영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본 촬영에 대해서는, 연사 또는 동화상이면 복수 회 행해지게 된다.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이 종료하면, 처리는 단계 S54로 진행한다.
단계 S54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휘도(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촬영 완료를 나타낸 휘도(저 휘도로서, 소등을 포함함)로 설정한다.
단계 S55에서, 기록 제어부(74)는 본 촬영 시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를 저장용으로서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기록시킨다.
단계 S56에서, 주 제어부(71)는 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처리의 종료가 아직도 지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계 S56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1(도 6)로 되돌려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이에 대하여, 처리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 단계 S56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록 지시에 의한 촬상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시선을 끄는 효과를 우선시키지 않기 때문에, 단계 S44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된 후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에, 시선을 끄는 효과를 우선시키는 경우, 즉 밝기 우선은 아닌 경우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계 S44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49로 진행하고, 다음과 같은 일련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49에서, 백라이트 제어부(81)는 표시부(21)의 백라이트 색(백라이트부(51)의 색조)을 광원의 색 온도에 가까운 색조로 설정한다. 이 설정은 자동 화이트 밸런스의 광원 판단에 의해 행해지므로, 위화감이 없는 보조광이 된다. 그리고,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백라이트 제어부(81)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촬상 화상의 데이터에 대한 화상 보정의 색조를 광원의 색 온도에 가까운 색조로 설정해도 된다.
단계 S50에서,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소정 위치에 소정 형상의 밝은 부분(조사 도안)이 있는 화상으로 한다.
단계 S48에서, 촬상 제어부(72)는 소정의 도안의 화상이 표시부(21)에 표시된 상태(또한 고휘도 또한 광원의 색 온도에 가까운 색조로 표시된 상태)에서, 촬상부(22)에 촬상 동작(노광)을 시킨다. 즉, 본 처리에 의해 본 촬영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본 촬영에 대해서는, 연사 또는 동화상이라도 1회만 행해지게 된다.
단계 S53에서, 촬상 제어부(72)는, 연사(동화상)에 의한 계속 촬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연사(동화상)에 의한 계속 촬영이 없는 경우, 단계 S52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본 촬영 후의 후처리로서 단계 S54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54 이후의 처리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대하여, 연사(동화상)에 의한 계속 촬영이 있는 경우, 단계 S52에서 YES인 것으로 판정되어, 처리는 단계 S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3에서, 표시 내용 제어부(82)는 소정 형상의 밝은 부분(조사 도안)의 위치를 소정량 이동시킨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51로 되돌려지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연사(동화상)에 의한 계속 촬영이 있는 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에서의 소정 형상의 밝은 부분(조사 도안)이 소정량만큼 이동하면서, 본 촬영이 1회씩 순차 행해진다. 그리고, 연사(동화상)에 의한 계속 촬영이 종료되면(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2에서 NO인 것으로 판정되어, 본 촬영 후의 후처리로서 단계 S54 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 S54 이후의 처리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1)는 표시부(21)와 촬상부(22)와 사출광 제어부(75)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부(22)는 피사체를 촬상한다. 표시부(21)는 촬상부(22)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하며, 그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사출광 제어부(75)는, 표시부(21)로부터의 사출광(조사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서의 표시부(21)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과 그 이외에서 상이하게 되도록 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촬영자 자신이 피사체가 되는 자기 촬영을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피사체를 더욱 적정한 구도로 더욱 아름답게 촬영하는 기능이 사출광 제어부(75)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사출광 제어부(75)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간단한 구성이고 또한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적어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라이브 뷰 화상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촬영 시 전에는 라이브 뷰 화상을 보면서 적절한 구도를 결정하거나 자기 촬영의 경우에는 적절한 포즈를 결정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표시부(21)의 표시 상태를,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라이브 뷰 화상의 육안 관찰에 적합한 표시 상태로 하고,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사출광을 부여하는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촬영 전에는, 사용자는 라이브 뷰 화상이 육안 관찰하기 쉬워지고, 본 촬영 시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사출광이 피사체에 조사되므로, 피사체가 더욱 아름답게 촬영된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라이브 뷰 화상의 밝기와 색조 중 적어도 한쪽을 설정함으로써,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본 촬영 전의 라이브 뷰 화상을 봄으로써,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이 조사된 피사체, 즉 촬영되는 상태의 피사체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보다 표시부(21)의 백라이트부(51)의 휘도를 높이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촬영 시의 노광 시에는, 휘도가 높아진 백라이트부(51)로부터의 광이 사출광으로서 피사체에 조사되므로,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는, 그 인물의 얼굴이 밝아져 그림자가 없어지기 때문에, 더욱 아름다운 인물의 얼굴이 비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촬상 화상에 찍히는 기간에만 고 휘도이면 되므로,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에만 고 휘도로 되어 있다. 이로써,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 그 인물에게 있어서는, 눈부심을 느끼는 것은 순간적이므로, 그 인물에게 있어 우수한 사양이 된다.
여기서, 백라이트부(51)의 고 휘도화의 방법으로서, LED 등의 등(燈)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LED의 색온도를 자동 화이트 밸런스 판단에 연동시킴으로써, 뷰티 효과 등이 더욱 현저하게 된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표시부(21)의 색조를 피사체의 종별(種別)에 따른 색조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피사체의 종별에 따른 색조의 사출광이,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해당 피사체에 조사되므로, 더욱 아름다운 피사체가 찍히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표시부의 색조를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이외와 비교하여, 더욱 붉은 기가 있는 색조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피사체인 인물에 대하여 붉은 기가 있는 색조의 사출광이 조사되므로, 혈색이 양호한 안색(건강한 안색)이 된 인물이 찍히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표시부(21)의 표시 내용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하고,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화상이 표시된 표시부(21)로부터의 사출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소정의 영향을 주는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표시 상태뿐 아니라 표시 내용에 대해도, 화상이 표시된 표시부(21)로부터의 사출광이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소정의 영향을 미치는 제어가 실행되므로, 더한층 아름다운 피사체가 찍힌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 내의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의 형상을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서의 시선을 끄는 효과를 고려한 소정의 형상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피사체인 인물의 눈에 시선을 끄는 도안이 미적으로 연출되게 되므로, 생기있는 피사체가 찍힌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즉, 뷰티 기능으로서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 내의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의 위치를, 피사체의 종류와 상태 중 적어도 한쪽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눈동자의 도안이 변화하는 인물이 피사체로서 찍히는 동화상이나 연사의 화상군(畵像群)을 얻을 수 있다. 즉, 동화상이나 연사에 대한 뷰티 기능으로서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사출광 제어부(75)는, 피사체가 촬영자 자신이 되는 동작 모드(자기 촬영 모드)가 설정된 경우, 표시부(21)의 표시 상태를 인물의 촬영에 적합한 사출광을 부여하는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기 촬영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촬영에 적합한 사출광이 사용자(피사체)에 조사되므로, 아름다운 얼굴의 사용자가 찍힌는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21)는 그 표시면을 촬상 방향과 그 반대 방향 간에 회전 가능하며, 촬상 장치는 그 표시면이 촬상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피사체가 촬영자 자신이 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주 제어부(71)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시부(21)의 표시면을 촬상 방향으로 향하는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자기 촬영 모드로 설정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자기 촬영 모드일 때는, 확실하게 표시면이 피사체인 자신의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이 표시면의 표시 화상을 이용하여 자기 촬영 시의 구도를 확인하는 동시에, 이 표시면으로부터의 사출광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를 더욱 아름다운 상태로 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촬영 동작을 더욱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1)는 액정형의 표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21)로서,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 자체 발광 소자형의 표시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1)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이나 표시 상태의 제어는 자체 발광 소자를 제어 대상으로 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기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촬상 방향과 표시 방향이 일치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즉, 표시부(21)는 촬상부(22)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표시부(21)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이나 표시 상태의 제어의 타이밍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라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뷰티 기능이 선택되어 있을 때만, 얼굴이 검출되어 있을 때만, 피사체가 여성일 때만, 피사체의 얼굴의 크기가 있는 일정 이상일 때만 등, 각종 각양의 조건이 성립했을 때만, 전술한 제어가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촬상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 일반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의 기능적 구성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전체로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촬상 장치(1)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기능 블록을 사용하는 것인지는 특히 도 2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1개의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 단체(單體)로 구성해도 되고, 소프트웨어 단체로 구성해도 되고, 이들 조합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설치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된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3의 탈착 가능한 매체(61)에 의해 구성될 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탈착 가능한 매체(6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floppy disk를 포함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3의 ROM(42)이나, 도 3의 기억부(4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실시예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외의 다양한 실시예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상기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사출광을 사용하여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사출광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과 그 이외에서 상이하게 되도록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적어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의 육안 관찰에 적절한 표시 상태로 하고,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사출광을 부여하는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적어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의 밝기와 색조 중 적어도 한쪽을 설정함으로써, 피사체의 촬영에 적합한 조사광을 부여하는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백라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출광을 사출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상기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보다 상기 표시부의 상기 백라이트의 휘도를 높이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상기 표시부의 색조를 상기 피사체의 종별(種別)에 따른 색조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 상기 표시부의 색조를 상기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이외와 비교하여, 더욱 붉은 기가 있는 색조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전에는 라이브 뷰 화상으로 하고,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화상이 표시된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소정의 영향을 미치는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상기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 내의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의 형상을, 피사체가 인물인 경우에서의 시선을 끄는 효과(eye-catching effect)를 고려한 소정의 형상으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본 촬영 시의 노광 기간 중에는, 상기 소정의 표시 내용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 내의 상대적으로 밝은 부분의 위치를 피사체의 종류와 상태 중 적어도 한쪽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광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가 촬영자 자신이 되는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인물 촬영에 적합한 사출광을 부여하는 표시 상태로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그 표시면을 촬상 방향과 그 반대 방향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표시면이 촬상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상기 피사체가 촬영자 자신이 되는 상기 동작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15.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한, 상기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사출광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방법.
  16.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사출광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설치 가능한, 상기 사출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 대한 제어를 실행하는 컴퓨터를,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사출광이 상기 피사체의 촬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촬영 시에 상기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의 표시 내용과 표시 상태 중 적어도 한쪽을 촬영 시에 변화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사출광 제어부
    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KR1020140023907A 2013-03-21 2014-02-28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94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58759 2013-03-21
JP2013058759A JP5751270B2 (ja) 2013-03-21 2013-03-21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62A true KR20140115962A (ko) 2014-10-01
KR101594967B1 KR101594967B1 (ko) 2016-02-17

Family

ID=5155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07A KR101594967B1 (ko) 2013-03-21 2014-02-28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1560B2 (ko)
JP (1) JP5751270B2 (ko)
KR (1) KR101594967B1 (ko)
CN (1) CN104065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5811B2 (en) * 2013-07-01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an illumination source
JP6270854B2 (ja) * 2013-08-30 2018-01-31 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62169B2 (en) * 2013-12-31 2016-10-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ooting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US9883099B2 (en) * 2015-04-16 2018-01-30 Dxo Labs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t least one self-portrait image
CN105394954A (zh) * 2015-12-28 2016-03-16 天津易美汇信息技术有限公司 具备多视角美容效果观测功能的美容椅
US10679677B2 (en) * 2016-03-31 2020-06-0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304411B2 (en) 2016-08-31 2019-05-28 Apple Inc. Brightness control architecture
CN108140361B (zh) 2016-09-23 2022-03-11 苹果公司 观影模式
US20180114493A1 (en) * 2016-10-21 2018-04-26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Based Image Compensation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9883141B1 (en) 2016-12-12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video image management
CN106604010A (zh) * 2016-12-15 2017-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屏幕发光的方法及装置
DK179555B1 (en) 2017-05-16 2019-02-1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 FLASHLIGHT MODE ON AN ELECTRONIC DEVICE
US10878782B1 (en) 2019-09-09 2020-12-29 Apple Inc. Techniques for managing display usage
US11159737B2 (en) * 2019-10-14 2021-10-26 Google Llc Exposure change control in low light environments
US20230035765A1 (en) * 2020-01-30 2023-02-02 Sony Group Corporation Control device, imaging system, and 3d model data gener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245A (ja) * 2002-11-29 2004-06-24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機器、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86440A (ja)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付情報端末
JP2007183512A (ja) * 2006-01-10 2007-07-19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206B2 (ja) 1995-08-29 2006-12-27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1305637A (ja) 2000-04-26 2001-11-02 Kyocera Corp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を備えたカメラ
JP2002335432A (ja) * 2001-05-08 2002-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付液晶表示装置
JP3761169B2 (ja) * 2002-09-30 2006-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098305B2 (ja) * 2002-12-12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当該電子機器を用いた撮影方法
TW581925B (en) * 2002-12-23 2004-04-0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Backlight control type short-distance photograph-taking system
JP2004304517A (ja) * 2003-03-31 2004-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2004312249A (ja) * 2003-04-04 2004-11-04 Olympus Corp カメラ
JP4511208B2 (ja) * 2004-01-29 2010-07-28 京セラ株式会社 圧力センサモジュール
US7391445B2 (en) * 2004-03-31 2008-06-24 Magix Ag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multilayered digital images in real time
FI20050106A (fi) * 2005-01-31 2006-08-01 Elcoteq Se Matkaviestinlaite
US7663691B2 (en) * 2005-10-11 2010-02-16 Apple Inc. Image capture using display device as light source
TWI267061B (en) * 2005-06-21 2006-11-21 Asustek Comp Inc Method for processing multi-layered images
US7705874B2 (en) * 2005-12-21 2010-04-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Lighting for video systems
US7965859B2 (en) * 2006-05-04 2011-06-2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Lighting control of a user environment via a display device
US8692930B2 (en) * 2007-08-20 2014-04-08 Matthew Rolston Photographer, Inc. Mobile device with operation for modifying visual perception
US8582919B2 (en) * 2007-09-24 2013-11-12 Microsoft Corporation Altering the appearance of a digital image using a shape
JP2010032732A (ja) 2008-07-28 2010-02-12 Panasonic Corp 液晶表示装置
US8797441B2 (en) * 2009-01-30 2014-08-05 Apple Inc. Continuous illumination of backlit display and of subject for image capture
JP2011071680A (ja) 2009-09-25 2011-04-07 Sharp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5669474B2 (ja) * 2010-08-05 2015-02-1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画像再生装置
WO2012103554A2 (en) * 2011-01-28 2012-08-02 Windy Place, Inc. Lighting and power devices and modules
US9513724B2 (en) * 2011-08-30 2016-12-06 Blackberry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object illumination
TWI465825B (zh) * 2012-06-27 2014-12-21 Acer Inc 影像擷取裝置與其光源輔助拍攝方法
US9525811B2 (en) * 2013-07-01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an illumination sour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245A (ja) * 2002-11-29 2004-06-24 Casio Comput Co Ltd 携帯端末機器、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86440A (ja) * 2004-03-29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付情報端末
JP2007183512A (ja) * 2006-01-10 2007-07-19 Fujifilm Corp 撮影装置及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65870B (zh) 2017-08-25
US9881560B2 (en) 2018-01-30
JP2014183558A (ja) 2014-09-29
JP5751270B2 (ja) 2015-07-22
US20140285699A1 (en) 2014-09-25
CN104065870A (zh) 2014-09-24
KR101594967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967B1 (ko)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JP5610762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TWI444041B (zh) 影像處理裝置、影像處理方法及記錄媒體
US792020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flash device having an LED array
JP5281878B2 (ja) 撮像装置、ライティング処理装置、ライティング処理方法およびライティング処理用プログラム
US8224036B2 (en) Image edi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edit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editing program
JP2003179810A (ja) 写真撮影においてフィル・フラッシュをシミュレー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035480A (ja) カメラ、カメラ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9088722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713097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17867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201213881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41609A (ja) 撮像装置
JP2008136073A (ja) カメラ
JP2008054031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表示制御方法
JP4760496B2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6090003B2 (ja) 撮像装置、バックライト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066519A (ja) 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装置における発光制御方法
JP2014155208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78666A (ja) 撮像装置
JP2016080740A (ja) 光学機器のファインダ装置
JP2017055158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JP2003348603A (ja) 電子カメラ
JP2011125051A (ja)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4701122B2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