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895A -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895A
KR20140109895A KR1020147017023A KR20147017023A KR20140109895A KR 20140109895 A KR20140109895 A KR 20140109895A KR 1020147017023 A KR1020147017023 A KR 1020147017023A KR 20147017023 A KR20147017023 A KR 20147017023A KR 20140109895 A KR20140109895 A KR 20140109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eat
child
sheet portion
suppor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475B1 (ko
Inventor
발렌틴 세르듀크
Original Assignee
짐머 메디진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짐머 메디진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짐머 메디진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401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6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head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side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6Carriages supporting a rigi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8Auxiliary dismountable seats ; Additional platforms for children in standing-up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61G2200/52Under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척추를 정렬시키고(aligning) 상기 유아의 척추 만곡(척추 측만증)을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유아용 시트 장치(1)로서,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시트부(2)의 양측에 지지 요소(8)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요소(8)는, 유아가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에 앉아있을 때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시트부(2)에 대해 설계 및 배치되되, 상기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상기 유아의 상반신을 둘러싸(surround) 상기 유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는 유아용 카시트(child car seat) 또는 유모차(stroller)의 일부인, 유아용 시트 장치와 관련된다.

Description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CHILD SEAT DEVICE FOR A CHILD AND STROLLER}
본 발명은 유아의 척추를 정렬시키고(aligning) 유아의 척추 만곡(척추 측만증)을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유아용 시트 장치와 관련된다. 유아용 시트 장치는 유아의 이동을 위해 예를 들어, 차량 내의 카시트 등과 같은 부가적인 물건(item)들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모차(stroller) 또는 유아용 푸시 체어(children's pushchair)와 관련된다.
유모차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들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아도 이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모차는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아기 및 영아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유모차들에서는, 요람부(cradle part)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어떤 경우에서는 또한 유아용 카시트로 사용된다.
신체속박장치(restraining device)로도 불리는 유아용 시트는, 유아의 작은 신체 크기에 맞는 좌석 장치(seating arrangement)이다. 특히, 이는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유아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시트를 의미하며, 좌석 부착 시스템 및 유아 신체속박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유아의 앉아있는 위치를 높여 좌석에 마련되는 차량의 좌석 벨트가 목이 아닌 어깨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사람의 척추는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상호 대향 배치되어 서로 균형을 이루는 다수의 원호들(arcs)로 형성된다. 시상면(sagittal plane)에서, 척추는 4개의 생리적 곡선(physiological curves); 경추전만(cervical lordosis), 흉추후만(thoracic kyphosis), 요추전만(lumbar lordosis) 및 천골후만(sacral kyphosis)으로 형성된다. 전두면(frontal plane)에서 척추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굽은 것을 척추 측만증(scoliosis)이라 한다. 유아가 걷기 시작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척추 측만증은 생리학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척추 측만 자세라 한다. 그러나, 척추뼈의 회전, 및 척추체(vertebral body), 아치들(arches) 및 인대들(ligaments)의 연속적인 발달 장애가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이후 근육계는 척추 측만 변형을 더 이상 보상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결국 기형(abnormality)이 된다.
척추 측만증은 그들의 원인 및 발생 시간, 곡선들의 위치 및 관련된 만곡 형태, 그들의 각도(만곡의 각도들 및 회전 각도들) 및 곡선들의 방향(왼쪽, 오른쪽)에 따라 분류된다. 척추 측만증은 유아기, 및 체장(body length)의 급격한 성장기에 발생되어 악화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신체가 급격히 성장할수록, 곡선들은 더 빠르게 증가한다. 그 결과, 척추 측만증은 성장 기형(growth deformities)으로 분류된다.
현재 척추 측만증은 임플란트의 삽입 또는 정형외과 버팀대(orthopaedic brace)의 착용을 통해 치료된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삽입은 상당한 외과적 개입으로, 유아들에게 적합하지 않다. 정형외과 버팀대의 착용은 유아들의 척추 측만증 치료에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 점에 있어서, 현재 알려진 척추 측만증 치료 방법은 성인들 또는 성숙한 아이들에게 사용될 것으로 제한된다. 영아들의 경우 매우 빠른 성장으로 인해 척추 측만증이 발생될 위험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척추 측만증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방법이 없다.
이는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영아들의 척추 만곡(척추 측만증)을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청구항 12의 특징을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이 제공된다.
- 유아의 척추를 정렬시키고(aligning) 상기 유아의 척추 만곡(척추 측만증)을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유아용 시트 장치(1)로서,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시트부(2)의 양측에 지지 요소(8)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요소(8)는, 유아가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에 앉아있을 때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시트부(2)에 대해 설계 및 배치되되, 상기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상기 유아의 상반신을 둘러싸(surround) 상기 유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는 유아용 카시트(child car seat) 또는 유모차(stroller)의 일부인, 유아용 시트 장치.
-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를 갖는, 특히 사륜차(buggy)인, 유모차 또는 유아용 푸시 체어.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사상은 유아용 시트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level)에서 뒤로부터 앞으로 유아의 상반신을 둘러싸 이를 고정 및 정렬시키는 지지 요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는 특히, 유아의 체중을 지지 요소에 실리게 하는 장점이 있다. 유아의 신체는 똑바르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위로 약간 끌어 당겨진다. 동시에, 지지 요소에 의해 유아의 측방(lateral) 움직임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에 의해 척추 만곡이 방지되거나 또는 기존의 척추 만곡이 치료된다.
이로운 실시 형태들 및 개발들이 부가적인 종속 청구항들 및 도면의 부호들에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특히, 이로운 실시 형태로서, 지지 요소는 높이 조절(height-adjustable) 및 측방 조절(laterally adjustable) 중 하나 이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유아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높이 조절에 대응하여, 요구되고 정의된 끌어당김이 또한 유아, 특히 척추에 가해져, 유아는 측방으로 굽어지지 않고 시트에서 가능한 한 최대로 똑바른(upright) 위치로 앉아있을 수 있다. 특히, 적절한 높이 조절에 의해, 유아의 가슴 상측에서 요구되고 정의된 끌어당김이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똑바른(upright)'이란, 척추가 도입부에서 언급한 S 형상을 가짐으로써, 척추뼈가 회전함과 동시에 척추가 측방으로 굽어지는 일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부가적인 이로운 실시 형태로서 잠금 장치가 마련되고, 지지 요소가 잠금 장치를 통해 지지 요소의 전면, 즉 앉아있는 유아의 가슴 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클립 잠금 장치(clip fastener), 후크&루프 잠금 장치(hook-and-loop fastener), 버클(buckle)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아의 다리에 벨트를 통과시켜 유아용 시트 장치를 고정시킬 필요 또한 없게 된다. 게다가, 이에 따라 유아의 편안함 또한 증대된다.
이로운 실시 형태의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및 바람직하게는 2개의 지지 요소에는 패드가 대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아의 상반신에 있는 압점(pressure point)이 사라지거나 또는 적어도 약화된다.
유사하게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요소 및 바람직하게 2개의 지지 요소는, 유아용 시트 장치가 의도대로 사용되는 경우 유아의 팔이 내합하여 놓여지는 지지 요소의 상측에서 탄성(elastic), 둥근(rounded), 면평(flattened) 형태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또한 유아의 상측 팔에 있는 압점이 사라지거나 또는 적어도 악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운 실시 형태의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resilient element)가 마련되고, 지지 요소가 탄성 요소를 통해 탄성 방식으로 상부 시트부에 연결된다. 탄성 요소는, 지지 요소가 수직 및 수평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 지지 요소를 탄성적으로 움직(resilient yielding)이도록 한다. 이러한 플렉시블한 움직임 형태는, 척추 만곡의 방지 또는 치료에 대하여 시트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시트에 앉아있는 유아의 편안함을 증대시킨다.
이로운 실시 형태의 하나로서, 상부 시트부 및 하부 시트부 중 하나 이상은 회전 가능하다. 상부 시트부 및 하부 시트부 중 하나 이상은 특히, 하부 시트부 및 상부 시트부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기능은, 유아용 시트 장치가 유모차, 예를 들어 사륜차에 배치 또는 장착되는 경우 유모차의 등받이 위치에 매우 용이하게 맞춰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부가적인 이로운 실시 형태로서, 상부 시트부는 연장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상부 시트부에 부착되며, 패드가 대어진 머리 부분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유아에 매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유아용 시트 장치의 편안함이 더 증대될 수 있다.
이로운 실시 형태의 하나로서, 유아용 시트 장치, 특히 유아용 시트 장치의 상부 시트부, 하부 시트부 및 지지 요소는 특히, 1 내지 3세의 유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화되고 형성된다.
특히 이로운 실시 형태로서 유아용 시트 장치가 차량용 유아용 카시트로서 형성된다. 유아용 시트 장치는 유아용 카시트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서 마련 및/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그 대신 유아용 카시트의 내장 구성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체적이고,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이로운 실시 형태로서, 유아용 시트 장치가 유모차의 내장 구성에 고정되도록 제공된다. 그 대신, 유아용 시트 장치가 분리 가능한 구성 요소로서 유모차에 삽입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벨트, 클립 등과 같은 부착 장치를 통해 유모차의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부 시트부 및 하부 시트부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횡 베어러(traverse bearer)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종 베어러(longitudinal bearer)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가볍고 저렴한 유아용 시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시트부 및 하부 시트부는 공통 횡 베어러를 통해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횡 베어러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부 시트부 및 하부 시트부가 공통 횡 베어러에 고정 부착됨으로써 유아용 시트 장치가 특히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다. 상부 시트부의 종 베어러 각각은 제 1 종 베어러부, 및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제 1 종 베어러부에 연결되는 제 2 종 베어러부를 포함한다. 상부 시트부 및 하부 시트부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또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들 및 개발들은 원하는 임의의 합리적인 다른 방식들과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 개발들 및 실행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대한 본 발명의 특징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각각의 기본적 형태의 개량 또는 부가로서 개개의 개념들의 추가 또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는 특히, 유아의 체중이 지지 요소에 실리게 하는 장점이 있다. 유아의 신체는 똑바르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위로 약간 끌어 당겨진다. 동시에, 지지 요소에 의해 유아의 측방 움직임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에 의해 척추 만곡이 방지되거나 또는 기존의 척추 만곡이 치료된다.
특히, 지지 요소의 이로운 실시 형태로서, 높이 조절 및 측방 조절 중 하나 이상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요소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유아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높이 조절에 대응하여, 요구되고 정의된 끌어당김이 또한 유아, 특히 척추에 가해져, 유아는 측방으로 굽히지 않은 채 시트에서 가능한 한 최대로 똑바른(upright) 위치로 앉아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도면들의 개략도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또는 유아용 푸시 체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유모차 및 유아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영아가 유아용 시트 장치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은 실시 형태들의 예시로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칙들과 개념들을 분명히 한다. 다른 실시 형태들 및 상술한 많은 이점들이 도면들 내에 나타날 수 있다. 도면들의 요소들은 서로에 대해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의 부호들에 있어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동일하게 수행되는 요소들, 특성들 및 구성들은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일 실시 형태를 매우 간략히 예시한 개략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유아의 건강한 척추 발달을 위한 치료용 시트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는, 특히 예를 들어, 카시트(car seats), 사륜차(buggies) 및 다른 유아용 시트들 등과 같은 다른 시트 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예를 들어, 카시트 또는 사륜차의 시트에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시트에 장착물(insert)로서 배치되어 선택적이고 추가적으로 이들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상부 시트부(2)(또는 배면부) 및 하부 시트부(3)(또는 시트부)를 포함한다.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는 서로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기 설정된 각도 α를 이룰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는 또한, 상부 시트부(2)와 하부 시트부(3) 사이의 각도 α 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 형태의 예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는 각각 2개의 종 베어러(longitudinal bearers ; 4)를 포함한다.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의 종 베어러(4)는 횡 베어러(traverse bearers ; 5)에 공동으로 연결되며,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어, 힌지에 의해 횡 베어러(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 중 하나 이상은 횡 베어러(5)와 힌지(6) 결합되어 회전된다. 유아용 시트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를 다른 각도들 α로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들(locking means)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의 종 베어러(4) 각각은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 각각을 더 안정화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횡 베어러(5)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 베어러(5)는 상부 시트부(2)의 상부 측 단부 또는 머리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시트부(2)의 2개의 종 베어러(4)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종 베어러(4)는 하부 시트부(3)의 하부 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 시트부(3)의 2개의 종 베어러(4)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시트부(2)의 2개의 종 베어러(4) 및 하부 시트부(3)의 2개의 종 베어러(4)는 각각의 횡 베어러(5)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횡 베어러(5)와 함께 일체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또는 납땜 등에 의해 횡 베어러(5)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의 2개의 종 베어러(4)는 예를 들어, 나사 조임(screwing) 및 피닝(pinning)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관련 횡 베어러(5)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장치(7)는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상부 시트부(2)에 마련된다. 지지 장치(7)는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 요소(8)를 포함한다. 지지 요소(8)는 상부 시트부(2), 및 상부 시트부(2)의 종 베어러(4)에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는 종 베어러(4)와 함께 일체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종 베어러(4)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지지 요소(8)는 또한 종 베어러(4)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 요소(8)는 그 설정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종 베어러(4) 상에서의 각각의 위치에서 고정(locked or fixed)될 수 있다.
지지 요소(8)는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뒤로부터 앞으로 상반신을 둘러쌀 수 있을 만큼의 높이에서 상부 시트부(2)에 부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아의 체중 일부는 지지 요소(8)에 실릴 수 있다. 한편, 유아가 측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척추가 원치 않게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 요소(8)가 적정한 높이에서 고정(blocked)되어, 지지 요소(8)에 의해 유아의 상반신에서 가벼운 견인 또는 끌어당김이 유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요소(8)는 바람직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유아에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지지 요소(8)는 또한 선택적으로 연장(미도시) 가능하다. 나아가, 지지 요소(8)는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잠금형 벨트(미도시)가 마련되며, 이 벨트는 유아의 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다른 기존 벨트를 대신할 수 있다.
지지 요소(8)는 기능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매우 간략히 예시한 바와 같이, 지지 요소(8)는 예를 들어, 직선 형태 또는 예를 들어 곡선 또는 각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점선을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요소(8)는 유아의 신체 주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engage)될 수 있다.
도 1의 개략 예시도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패드가 대어지거나(padded), 또는 적어도 직물(fabric) 또는 오버레이(overlay)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에 형성되는 패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또한 측방 지지 요소(8)에 형성되는 패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부(2)의 패딩은 예를 들어, 연속적인 패딩부 또는 2개의 분리된 패딩부(9),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용(for the back) 패딩부(9) 및 머리용 패딩부(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종 베어러(4)는 각각 연장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종 베어러(4)는 예를 들어,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제 1 하부 측 종 베어러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예를 들어, 제 2 상부 측 종 베어러부를 수용(receive) 및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 2 종 베어러부 또한 중공(hollow) 또는 솔리드(solid) 형태일 수 있다. 제 2 종 베어러부는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제 1 종 베어러부 내에 배치되며, 머리용 패딩을 서로 다른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다른 위치에서 고정(blocked or fixed)될 수 있다. 패딩부(9)는 종 베어러(4)의 2개의 제 2 종 베어러부에 연결된다. 횡 베어러(5)는 2개의 제 2 종 베어러부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2개의 제 2 종 베어러부를 끌어 당기는 핸들로서 역할하며, 이로 인해 여행 가방의 연장 가능한 핸들과 비슷한 방식으로 종 베어러(4)를 늘릴 수 있다. 머리용 패딩부(9)는 또한 2개의 제 2 종 베어러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선택적이고 추가적으로 횡 베어러(5)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척추 또는 등뼈를 교정하고 정렬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척추 측만증 또는 척추 만곡을 조기에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교정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척추 교정의 첫 번째 방법은 성인 또는 어린이에게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척추 형태가 거의 완성된 16세 이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적의 외과적 개입은 골격이 여전히 활발한 성장기에 있는 어린 아이들에게는 수행될 수 없다. 척추 교정의 두 번째 방법은 정형외과 버팀대를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형외과 버팀대는 흉곽(ribcage)을 외부적으로 고정시키며, 그 결과, 주로, 기존의 척추 만곡이 더 이상 증가 또는 두드러지지 않게 보장하나, 이들이 만곡의 원인을 치료하지는 않는다. 정형외과 버팀대를 착용하는 것은 13세 내지 14세의 어린이들에게 추천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형외과 버팀대의 단점은, 근육계의 기능 저하 및 근육계의 위축 또는 악화를 초래함으로써, 척추의 근육계의 기능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비록 정형외과 버팀대의 사용이 임플란트 삽입에 비해 정신적 외상 개입이 적다 할지라도, 정형외과 버팀대는 임플란트보다 덜 효과적이다.
상술한 척추 교정 치료 방법들의 단점은, 골격이 여전히 활발한 성장기에 있는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장 단계에서 상술한 2개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개입하는 것은 척추 발달에 더욱 해로운 영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기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척추 만곡 치료용 유아용 시트 장치(1)가 제공된다. 어린 시절 척추의 변형 또는 만곡은 성인이 되어 많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 만곡 교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술이 불필요하며 이로 인해 정신적 외상 개입 없이 척추 만곡 형성을 방지하는 유아용 시트 장치(1)를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는 극초기 단계, 즉 예를 들어, 6-8 달 내지 2-3세 범위 내의 유아기에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진행(develop)하고 있는 척추 만곡 또는 척추 측만증을 교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는 환자의 신체를 약간 위쪽으로 끌어 당기고 똑바르게 하는 시트 또는 이른바 견인 시트(traction seat)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유아용 시트 장치(1)는 2개의 종 베어러(4)를 각각 포함하는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를 포함한다.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는 예를 들어, 공통 횡 베어러(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 중 하나 이상이 횡 베어러(5)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부 시트부(2)와 하부 시트부(3) 사이에서 서로 다른 각도 α가 설정될 수 있다.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 중 하나 이상은 각각의 설정 각도 α에서 고정된다.
게다가, 상부 시트부(2)의 2개의 종 베어러(4)는 예를 들어, 또한 연장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종 베어러(4)는 제 1 종 베어러부(10) 및 제 2 종 베어러(11)를 포함하며, 제 1 또는 하부 측 종 베어러부(10)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예를 들어, 제 2 또는 상부 측 종 베어러부(11)를 수용(receive) 및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제 2 종 베어러부(11)는 마찬가지로 중공(hollow) 또는 솔리드(solid) 형태일 수 있다. 제 2 종 베어러부(11)는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제 1 종 베어러부(10) 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머리용 패딩부(9)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시트 장치의 실시 형태는 종 베어러(4)에 측방으로 부착되는 2개의 지지 요소(8)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지 요소는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뒤로부터 앞으로 상반신을 둘러싸며 이에 따라 유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고 바람직하게는 유아의 가슴 상측에서, 유아를 기 설정 또는 정의된 만큼 끌어당긴다.
지지 요소(8)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수직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 요소(8)는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종 베어러(8)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위치 또는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지지 요소(8)는 추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측방 또는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수평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 요소(8)는 예를 들어, 연장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장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요소(8),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는 부드러운 커버 또는 패딩부(9)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요소(8)가 전면에서 벨트(12)에 연결됨으로써 유아 또는 아기의 다리 사이에서 지지 요소(8)를 고정시키는 수단들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유아용 시트 장치(1)의 하부 시트부(3)의 아래 부분은 플렉시블(flexible)하며 예를 들어, 지지 요소(8)를 제거할 필요 없이 가능한 한 유아 또는 아기를 수평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는 패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위치로 유아가 걷는 것은 사람의 뇌, 특히 이른바 소뇌(cerebellum)를 통해 제어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신체의 수직 또는 똑바른 위치, 또는 곧은 자세로의 반사 반응(reflex)은 척추 기립근(erector of the spinal column ; lat. musculus erector spinae 또는 musculus erector trunci)을 통해 제어된다. 뇌의 절반이 생리학적으로 서로 비대칭한 이유로 인해 근육 또한 비대칭적 방법으로 기능한다. 근경축(muscle cramp) 또는 근경련(muscle spasm)이 한쪽에 더욱 강하게 나타남으로써, 반대쪽 골반(pelvis)의 경사를 초래한다. 골반의 기울어짐은 짧아진 오른쪽 또는 왼쪽 다리와 그로 인한 척추의 측방 만곡 및 척추 만곡 발달의 원인이 된다.
유아가 걷기 시작할 때, 이른바 신체의 수직 위치의 잘못된 반사 반응으로서, 신체의 위치가 일생 동안 단계적으로 소뇌에 저장된다. 이러한 반사 반응은 생리학적으로 교정된 반사 반응으로 바뀔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아가 독자적으로 걸어다니기 시작할 때, 교정용 인서트 또는 깔창을 오른쪽 또는 왼쪽 뒷꿈치 아래에 놓아 오른쪽 또는 왼쪽 다리를 이에 따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한다. 교정용 인서트 또는 깔창의 지속적인 사용은 다수의 근육들로 구성되는 척추 기립근(erector of the spinal column ; lat. musculus erector spinae 또는 musculus erector trunci)의 대칭적 기능을 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골반의 기울어짐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신체를 똑바른 위치로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리학적으로 새롭고 올바른 반사 반응은, 유아의 부모가 사륜차 또는 유모차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일찍 생성될 수 있다.
신체를 똑바른 위치로 지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지지 요소(8)는 신체가 한쪽으로 만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신체는 또한 정상적이거나 올바른 생리학적 반사 반응으로서 이러한 올바른 위치를 저장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신호들을 소뇌에 전송한다. 그러므로, 유아가 걷기 시작할 때, 골반의 기울어짐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척추의 곡선 및 척추 만곡 형성의 원인이 생기지 않는다.
게다가, 상술한 유아의 척추 교정을 위한 유아용 시트 장치(1)는 또한 성인, 장애인 또는 걷는 데 제한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휠체어의 사용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교정 개념은 지지 요소에 의한, 약간의 신체 인입 효과(pulling effect), 신체의 측방 움직임의 최소화 및 한쪽으로의 신체 휘어짐 방지에 기초한 것이다.
도 3은 사륜차, 예를 들어 유모차 또는 유아용 푸시 체어에 삽입된 도 2의 유아용 시트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사륜차의 벨트(14)에 의해 추가적으로 사륜차(13)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 장치(1)가 구비된 사륜차(13)에 있어서, 아기가 유아용 시트 장치(1)에 앉아 있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지지 요소(8)가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뒤로부터 앞으로 유아의 상반신을 둘러쌈에 따라 유아의 체중 일부가 지지 요소(8)에 실리게 된다. 게다가, 지지 요소(8)는 상반신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요소(8)는 측방 및 높이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게다가, 지지 요소(8)는 바람직하게는 전면에서 잠금형 벨트(12)에 연결될 수 있다. 기존의 시트에 삽입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 경우 사륜차(13)의 시트, 하부 시트부(3) 및 /또는 상부 시트부(2)는 예를 들어,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며, 사륜차(13)의 시트 등받이(back rest)가 조절되는 경우 삽입된 시트(1)는 그에 따라 조절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의 목적에 따라 충분히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 유아용 시트 장치
2 : 상부 시트부
3 : 하부 시트부
4 : 종 베어러(longitudinal bearer)
5 : 횡 베어러(traverse bearer)
6 : 힌지
7 : 지지 장치
8 : 지지 요소
9 : 패드
10 : 제 1 종 베어러부
11 : 제 2 종 베어러부
12 : 벨트 (유아용 시트 장치)
13 : 유모차
14 : 벨트 (유모차)

Claims (14)

  1. 유아의 척추를 정렬시키고(aligning) 상기 유아의 척추 만곡(척추 측만증)을 방지 및 치료하기 위한 유아용 시트 장치(1)로서,
    상부 시트부(2) 및 하부 시트부(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시트부(2)의 양측에 지지 요소(8)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 요소(8)는, 유아가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에 앉아있을 때와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시트부(2)에 대해 설계 및 배치되되, 상기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상기 유아의 상반신을 둘러싸(surround) 상기 유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유아용 카시트(child car seat) 또는 유모차(stroller)의 일부인, 유아용 시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8)는 높이 조절 및 측방 조절 중 하나 이상이 가능한, 유아용 시트 장치.
  3.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장치(12, 14)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요소(8)가 상기 잠금 장치(12, 14)를 통해 상기 지지 요소(8)의 전면에서 고정(lockable)될 수 있는, 유아용 시트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8)에는 패드가 대어지는(padded), 유아용 시트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8)는,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가 의도대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유아의 팔이 내합하여 놓여지는 상기 지지 요소(8)의 상측에서 탄성(elastic), 둥근(rounded), 면평(flattened) 형태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형성되는, 유아용 시트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resilient element)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 요소(8)가 상기 탄성 요소를 통해 탄성 방식으로 상기 상부 시트부(2)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 요소(8)가 수직 및 수평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 경우 상기 탄성 요소가 상기 지지 요소(8)를 탄성적으로 움직(resilient yielding)이도록 하는, 유아용 시트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부(2) 및 상기 하부 시트부(3) 중 하나 이상은 회전 가능하며 특히, 상기 하부 시트부(3) 및 상기 상부 시트부(2)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각도(α)로 고정될 수 있는, 유아용 시트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부(2)는 연장 가능한, 유아용 시트 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 및 특히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의 상부 시트부(2), 하부 시트부(3) 및 지지 요소(8)는 영아(infant)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치수화되고 형성되는, 유아용 시트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차량용 상기 유아용 카시트의 내장 구성이거나 또는 상기 유아용 카시트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서 마련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유아용 시트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8)는 상기 유아의 겨드랑이 레벨에서 상기 유아의 상반신을 둘러싸, 상기 유아의 가슴 상측에서, 상기 유아의 측방 움직임을 제한하고 상기 유아를 끌어 당기는, 유아용 시트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아용 시트 장치(1)를 포함하는, 특히 사륜차(buggy)인, 유모차(13).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상기 유모차(13)의 고정된 내장 구성인, 유모차.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 장치(1)는 상기 유모차(13)에서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서 마련되며, 부착 장치(attachment device)에 의해 상기 유모차(13)의 프레임에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유모차.
KR1020147017023A 2011-12-20 2012-12-19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KR101684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9192A DE102011089192A1 (de) 2011-12-20 2011-12-20 Sitzvorrichtung für ein Kind und Kinderwagen
DE102011089192.7 2011-12-20
PCT/EP2012/076120 WO2013092690A1 (de) 2011-12-20 2012-12-19 Kindersitzvorrichtung für ein kind und kinderw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95A true KR20140109895A (ko) 2014-09-16
KR101684475B1 KR101684475B1 (ko) 2016-12-08

Family

ID=4752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023A KR101684475B1 (ko) 2011-12-20 2012-12-19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075539A1 (ko)
EP (1) EP2793792B1 (ko)
JP (1) JP5961280B2 (ko)
KR (1) KR101684475B1 (ko)
CN (1) CN104053423B (ko)
AU (1) AU2012357726B2 (ko)
CA (1) CA2859067A1 (ko)
DE (1) DE102011089192A1 (ko)
WO (1) WO20130926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8797B1 (en) * 2015-11-04 2020-02-25 ScoliWRx, Inc. Spinal cord and meninges stretching frame and method to prevent and treat the root cause of scoliosis
CN109895838A (zh) * 2017-12-11 2019-06-18 上海宝糖科技有限公司 座兜机构及儿童推车
DE102018100662B4 (de) * 2018-01-05 2021-06-10 Osann Gmbh Kindersitzunterlage für ein i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s Kinderrückhaltesystem
US11628113B2 (en) * 2019-10-15 2023-04-18 Smöltap, Inc. Infant stabilizer
USD1024336S1 (en) 2022-04-19 2024-04-23 Smöltap, Inc. Strap for medical proced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8926A (en) * 1995-02-14 1998-06-02 Gillette Children's Hospital Adjustable seating system
KR1998004718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 지지구
WO2001043685A1 (de) * 1999-12-15 2001-06-21 Rehatechnik Möller Gmbh Dynamische sitzschal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975C (de) * 1953-02-05 1955-08-22 Heinrich C Ulrich Apparat zur Stuetzung und Fixierung der Wirbelsaeule
US3004794A (en) * 1960-07-14 1961-10-17 Marko S Yerkovich Orthopedic cushion and arm rest unit
US3767259A (en) * 1971-10-07 1973-10-23 P Blake Child{3 s vehicle safety seat assembly
US4658807A (en) * 1982-10-25 1987-04-21 International Positioning Systems, Ltd. Method for supporting and positioning the human anatomy
US4753482A (en) * 1986-09-12 1988-06-28 Orthotic & Prosthetic Specialties, Inc. Customized modular seating system
US4732423A (en) * 1986-10-27 1988-03-22 Bio-Architectural Design, Inc. Invalid's chair construction
ATE117532T1 (de) * 1987-10-12 1995-02-15 Peter Halsig Bewegungssystem für liege-, sitz- und stehmöbel.
JPH0316450U (ko) * 1989-06-29 1991-02-19
JPH0387452U (ko) * 1989-12-26 1991-09-05
FR2689759B1 (fr) * 1992-04-08 1999-11-19 Reignier Jean Pierre Siege medical avec support mobile amovible.
US5366277A (en) * 1992-12-21 1994-11-22 Hopital Marie-Enfant Modular pediatric seating system
NO301744B1 (no) * 1994-01-14 1997-12-08 Peter Opsvik Anordning ved en stol, spesielt en barnestol
WO1996012465A1 (en) * 1994-10-25 1996-05-02 Tamarack Habilitation Technologies, Inc. Orthotic seat
JPH08229074A (ja) * 1995-02-27 1996-09-10 Hitoshi Totsugawa 座位姿勢を保たせるための腰部支持具
US6032975A (en) * 1996-11-12 2000-03-07 Sunrise Medical Hhg Inc. Ergonomic wheelchair seat
DE29721468U1 (de) * 1997-08-07 1998-02-12 Recaro GmbH & Co., 73230 Kirchheim Kinderfahrzeugsitz
US6460927B1 (en) * 1999-03-22 2002-10-08 Michael C. Groth Support assembly for use with wheelchair
US6378947B1 (en) * 1999-04-12 2002-04-30 Bloorview Macmillan Centre Seating system
AU2002358213B2 (en) * 2001-12-14 2007-07-12 The Helping Hand Company (Ledbury)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torso support structures
US6733018B2 (en) * 2002-01-24 2004-05-11 Eli Razon Adjustable leg support and seated to stand up walker
JP3092029U (ja) * 2002-08-09 2003-02-28 和子 中川 褥瘡や脊柱側弯症などの人のためのクッションシート
NZ540611A (en) * 2005-06-08 2006-06-30 Roger Thomas Mascull A seat
US8066653B2 (en) * 2007-11-16 2011-11-29 Seon Dong Yun Scoliosis brace having angle adjustment unit
DE102008002822B4 (de) * 2008-04-15 2013-03-21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Kindersicherheitssitz zum Aufstellen auf und Fixieren an einem Fahrzeugsitz in einem Kraftfahrzeug
JP2010137587A (ja) * 2008-12-09 2010-06-24 Mazda Motor Corp 車両のシート装置
DE202009008200U1 (de) * 2009-03-04 2010-07-22 "Zwei Plus Zwei" Marketing Gmbh Sicherheitsein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8926A (en) * 1995-02-14 1998-06-02 Gillette Children's Hospital Adjustable seating system
KR1998004718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 지지구
WO2001043685A1 (de) * 1999-12-15 2001-06-21 Rehatechnik Möller Gmbh Dynamische sitzsch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0772A (ja) 2015-01-08
AU2012357726A1 (en) 2014-07-24
EP2793792A1 (de) 2014-10-29
WO2013092690A1 (de) 2013-06-27
US20150075539A1 (en) 2015-03-19
JP5961280B2 (ja) 2016-08-02
DE102011089192A1 (de) 2013-06-20
CN104053423B (zh) 2017-01-11
CA2859067A1 (en) 2013-06-27
EP2793792B1 (de) 2016-04-06
CN104053423A (zh) 2014-09-17
KR101684475B1 (ko) 2016-12-08
AU2012357726B2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212B1 (ko) 억제, 재위치, 견인 및 운동 장치와 그 방법
KR101684475B1 (ko) 유아용 시트 장치 및 유모차
US7837639B2 (en) Adjustable brace for correcting a forward lean
KR100420965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849884B1 (ko) 척추 교정대
KR101403555B1 (ko) 장애인을 위한 자세유지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유지 보조기구 장치
KR101514685B1 (ko) 척추측만 교정용 방석
RU127621U1 (ru) Опора для сидения и лежания "машенька"
ES2310594T3 (es) Dispositivo de ejercicios y sujecion.
JPH11221257A (ja) 腰痛治療椅子
US200100403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ture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JP2018149039A (ja) 矯正補助具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KR20170068837A (ko) 척추부담을 줄인 자세교정기구
KR200270422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4341845B2 (ja) 腰痛障害者用自動車座席
RU2332965C2 (ru) Корсет-вертикализатор
KR200220097Y1 (ko) 의자
CN208770098U (zh) 脊柱侧凸姿势矫正床
CN213310694U (zh) 一种可调节的颈椎牵引椅
KR200216071Y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821634B1 (ko) 재활치료용 척추교정기구
KR100887312B1 (ko) 골반고정식착석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