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071Y1 -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071Y1
KR200216071Y1 KR2020000022117U KR20000022117U KR200216071Y1 KR 200216071 Y1 KR200216071 Y1 KR 200216071Y1 KR 2020000022117 U KR2020000022117 U KR 2020000022117U KR 20000022117 U KR20000022117 U KR 20000022117U KR 200216071 Y1 KR200216071 Y1 KR 200216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liosis
lower plate
guide groove
backrest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모
정상문
Original Assignee
유승모
정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모, 정상문 filed Critical 유승모
Priority to KR2020000022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071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지지용의 하판 및 상기 하판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상기 하판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좌대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입설되고 그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이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와 일측이 연접하여 상기 좌대의 양측에 고정되고 그 외측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와, 상기 등받이 및 아암레스트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버클과, 상기 다수의 버클에 양단이 착탈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의하면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압박에 의해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Chair for keeping good posture without spinal deformity such as scoliosis}
본 고안은 척추 측만증(側彎症)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척추의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여러 방향에서 벨트로 압박해 줌으로써 자세를 교정할 수 있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 척추는 위쪽으로 머리를 받치고 아래쪽은 골반과 연결되어 체중을 하지로 전달하며, 33개의 척추골과 그 사이의 섬유연골성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두개골로부터 골반골까지 강한 인대와 근육으로 강화되어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며, 척주관내의 척수를 보호하고 각 척추 신경근이 분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인체의 자세를 유지시켜주고 그 속에 있는 중요한 신경을 보호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성인의 경우, 척주(脊柱 ; Vertebral column)는 그 길이가 70∼75cm인데 경추부터 천골 직전까지의 길이가 약 60cm이며, 이중 1/4이 추간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측면에서 볼 때 경추와 요추 부위에서는 각각 전만을, 흉추 및 천골 부위에서는 각각 후만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근육, 인대, 신경 및 혈관 등은 척추골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즉, 척추골은 33개가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5개 및 미추 4개로 구성되며, 성인의 경우에는 천추와 미추가 융합되어 천골과 미골을 형성한다. 환추, 축추와 천골을 제외한 전형적인 척추골은 부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나 공통적인 구조를 갖는다. 앞쪽에는 추체가 있고 뒤쪽에는 척추경과 추궁판으로 구성된 척추궁(Vertebral arch) 및 근육 부착과 관절 연결을 위한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추체는 하중을 지탱하는 부분으로 상, 하 변연부의 치밀골은 다른 부위보다 두껍고 둥근 모양이며 인접한 추체와는 추간판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척추궁은 추공(椎孔 ; Vertebral foramen)의 벽면을 형성하여 척수를 감싸 보호하며, 좌, 우의 척추경, 추궁판과 각각 2개의 상, 하 관절 돌기, 양측의 횡돌기, 극돌기 등 7개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다. 각 척추골의 추공이 모여 척주관(脊柱管 ; Spinal canal)이 되며 척주관의 전후 직경은 환추에서 약 3cm이고 그 이하 부위에서는 15∼18mm이며, 횡직경은 경추부와 요추부에서는 20∼25mm 정도이나 흉추부에서는 15∼18mm로 가장 작다. 척추경은 전주(前柱 ; Anterior column)와 후주(後柱 ; Posterior column)를 연결하는 관상의 골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위치와 각도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척추 구조를 갖는 인체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면 우선적으로 경추 및 요추의 전만곡도와 흉추의 후만곡도에 변화가 온다. 이는 신체의 각 부분이 받는 무게중심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신체의 자세까지 변화를 야기해 결국에는 척추 근육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앞에서 말한 외부의 자극이란 청소년들의 바르지 못한 공부자세, 만성피로, 각종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부상, 자동차 사고 및 영양의 불균형 등이 있다.
특히, 각종 스포츠 활동으로 인한 부상은 운동 시작 전후에 충분한 준비운동을 실시하지 않고 급하게 본 운동으로 들어가 무리한 동작이 연속됨으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장기간 동안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합병증이나 욕창 등이 발생하여 건강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심한 척추 변형의 예로서는 측만증과 전만증 및 후만증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양쪽 어깨 높이와 견갑골이 비대칭을 이뤄 좌우로 만곡된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 경우를 측만증이라 한다.
측만증에 대한 척추의 형상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추(1)의 좌우방향 만곡도를 측만각(a)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는 만곡이 시작되는 상부 끝 척추 부위의 상단과 하부 끝 척추 부위의 하단의 각 연장선상에 내향되는 법선을 작도하여 교차된 각도로서 척추 변형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현재까지도 의학계에서는 척추 측만증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레이스(5) 등의 교정보조기구의 사용과 함께 운동 요법, 견인 요업, 전기자극 등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일반적인 교정보조기구는 목과 골반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링 및 골반지지대(7)가 구비되고, 이들을 강체의 브레이스(1)로 연결하여 인체의 중심선상에서 상호 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스(5)에 대략 직교하도록 고정되어 만곡된 몸통 부위를 중심쪽으로 압박하는 패드(6)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척추의 길이방향으로도 견인하여 신장될 수 있게 척추(1)를 당겨주는 머리고정 벨트(8)를 착용하기도 한다.
또한, 척추의 종방향 견인 후에 석고로 캐스팅하여 고정시키기도 하는데 이에 대한 횡 작용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개량된 석고 고정틀(Cast frame)이나 죔쇠 석고(Turnbuckle cast), 정위 석고(Localizer cast)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교정보조기구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측만증 환자가 일상의 활동을 하는데 너무나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척추의 이상 만곡 정도를 압박에 의해 바른 자세로 교정할 수 있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측만증 환자 등이 일상의 생활을 하는데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지지용의 하판 및 상기 하판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상기 하판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좌대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입설되고 그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이 형성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와 일측이 연접하여 상기 좌대의 양측에 고정되고 그 외측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와, 상기 등받이 및 아암레스트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버클과, 상기 다수의 버클에 양단이 착탈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대는 그 상판의 저면 중심 부위가 윤활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윤활 지지점으로부터 상판의 가장자리부가 탄력적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사이에 요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동부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의 마주보는 대향면 중심 부위에 형성된 볼시트 내에 안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베어링볼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의 마주보는 대향면 네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스프링시트 내에 각각 안착되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은 그 일측에 연결밴드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밴드의 단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 내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멤버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멤버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버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나비나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긴장벨트는, 상기 등받이의 양측 안내홈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를 등받이 쪽으로 가압 밀착시켜주는 후방 긴장벨트와, 상기 양쪽 아암레스트의 전면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버클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둔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전방 긴장벨트 및 상기 아암레스트의 양측 안내홈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간에 대향되도록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 또는 요부를 각각 측방 외측으로 당겨주는 다수의 측방 긴장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암레스트는 아치형을 이루고, 그 외측면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일단부에는 상기 버클의 걸림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확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측방 긴장벨트의 착용상태 및 좌대의 내부구조를 단면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전, 후방 긴장벨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버클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척추 측만증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측만각 1 ; 척추
2 ; 지주 3 ; 지지각
4 ; 캐스터 5 ; 브레이스
6 ; 패드 7 ; 골반지지대
8 ; 머리고정 벨트 10 ; 좌대
11 ; 하판 12, 16 ; 스프링시트
13, 17 ; 볼시트 14 ; 고정판
15 ; 상판 18 ; 쿠션재
19 ; 커버 20 ; 등받이
21, 41 ; 안내홈 22, 42 ; 확장홈
30 ; 요동부 31 ; 베어링볼
32 ; 완충스프링 40 ; 아암레스트
50 ; 후방 긴장벨트 51 ; 걸쇠
52 ; 길이조절 클립 53 ; 버클
54 ; 연결밴드 55 ; 슬라이딩멤버
56 ; 나비나사 60 ; 전방 긴장벨트
70 ; 측방 긴장벨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된 측방 긴장벨트(70)의 착용상태 및 좌대(10)의 내부구조를 단면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전, 후방 긴장벨트(60)(50)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벨트 고정용 버클(53)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통상적인 회전 의자의 구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대(10)와 등받이(20)가 구비되고, 상기 좌대(10)의 저면부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주(2)와, 다수의 지지각(3) 및 캐스터(4)가 결합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즉, 본 고안의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지지용의 하판(11) 및 상기 하판(11)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상기 하판(11)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판(15)으로 이루어진 좌대(10)와, 상기 좌대(10)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입설되고 그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21)이 형성된 등받이(20)와, 상기 등받이(20)와 일측이 연접하여 상기 좌대(10)의 양측에 고정되고 그 외측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41)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40)와, 상기 등받이(20) 및 아암레스트(40)의 안내홈(21)(41)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버클(53)과, 상기 다수의 버클(53)에 양단이 착탈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가 구비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하에서 각부의 상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좌대(10)는 그 상판(15)의 저면 중심 부위가 윤활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윤활 지지점으로부터 상판(15)의 가장자리부가 탄력적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5) 및 하판(11)의 사이에 요동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요동부(30)는 상기 상판(15) 및 하판(11)의 마주보는 대향면 중심 부위에 내측으로 만곡 형성된 볼시트(17)(13) 내에 안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베어링볼(31)과, 상기 상판(15) 및 하판(11)의 마주보는 대향면 네 모서리 부위에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 스프링시트(16)(12) 내에 각각 안착되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스프링(32)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5)의 중심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베어링볼(31)이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판(11)의 볼시트(13) 둘레를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안정적이고, 상기 베어링볼(31)의 직경은 하판(11)으로부터 상기 상판(15)이 충분히 요동할 수 있는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15)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쿠션재(18)를 설치하고, 그 외부를 커버(19)로 감싼 형태를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버클(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연결밴드(54)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밴드(54)의 단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21)(41) 내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21)(4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형(球形)의 슬라이딩멤버(55)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멤버(55)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안내홈(21)(41)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버클(53)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나비나사(5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아암레스트(40)는 아치형을 이루고, 그 외측면을 따라 더브테일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안내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41)의 일단부에는 상기 버클(53)의 걸림단부, 즉, 슬라이딩멤버(55)를 삽입하기 위한 확장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받이(20)의 안내홈(21)도 상기 아암레스트(40)의 안내홈(41)과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그 단부에도 상기 슬라이딩멤버(55)를 삽입하기 위한 확장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긴장벨트는 상기 등받이(20)의 양측 안내홈(21)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53)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를 등받이(20) 쪽으로 가압 밀착시켜주는 후방 긴장벨트(50)와, 상기 양쪽 아암레스트(40)의 전면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버클(53)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둔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전방 긴장벨트(60) 및 상기 아암레스트(40)의 양측 안내홈(41)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53)간에 대향되도록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 또는 요부를 각각 측방 외측으로 당겨주는 다수의 측방 긴장벨트(70)로 구성되며, 상기 각 긴장벨트(50)(60)(70)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 클립(5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긴장벨트(50)(60)(70)의 양단부에는 걸쇠(51)가 형성되고, 상기 버클(53)에는 상기 걸쇠(51)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버튼에 의해 분리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버클 구조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표현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쪽의 안내홈(21) 내에는 통상적으로 2개 이상의 버클(53)을 설치하고 상기 아암레스트(40)쪽의 안내홈(41) 내에는 각각 4개 이상의 버클(5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대응하여 상기 후방 긴장벨트(50)는 1개 이상, 상기 측방 긴장벨트(70)는 양측에서 각각 2개 이상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의한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를 좌대(10)의 등받이(20) 인접부까지 최대한 밀착시켜 앉은 상태에서 등 부위를 상기 등받이(20)에 기대어 정 자세를 취한다. 그 다음에는 전, 후방 및 측방 긴장벨트(50)(60)(70)를 적절한 긴장 상태로 조여서 체결하면 된다.
이때, 상기 후방 긴장벨트(50)는 착용자의 전면 흉부를 후방으로 압박하고, 상기 전방 긴장벨트(60)는 착용자의 배면 둔부를 전방으로 압박하여 척추(1)의 전, 후 만곡도를 이상적으로 유지하게 하도록 긴장시켜주며, 상기 측방 긴장벨트(70)는 양쪽의 아암레스트(40)로부터 착용자의 측만된 부위에 각각 체결하여 그 부위를 인체의 중심쪽을 향해 지속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척추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교정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는 착석 자세에서 장시간 업무를 수행할 때 지속적으로 착용한다면 상당한 척추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에 의하면, 척추가 좌우로 만곡되는 측만증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변형에 의해 요통 등을 수반하는 경우에 위치 및 길이 조절이 간편한 다수의 긴장벨트를 사용하여 압박이 필요한 인체의 각 부위에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전후 좌우 방향에서 각각 견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른 자세로 착석할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동상의 불편함이 거의 없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 또는 제거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지용의 하판 및 상기 하판상에 이격 배치되어 착석시 상기 하판상에서 요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좌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소정 각도로 입설되고 그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이 형성된 등받이;
    상기 등받이와 일측이 연접하여 상기 좌대의 양측에 고정되고 그 외측면상에 슬라이딩 가능한 안내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
    상기 등받이 및 아암레스트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다수의 버클; 및
    상기 다수의 버클에 양단이 착탈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수의 긴장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그 상판의 저면 중심 부위가 윤활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상기 윤활 지지점으로부터 상판의 가장자리부가 탄력적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 및 하판의 사이에 요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부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의 마주보는 대향면 중심 부위에 형성된 볼시트 내에 안착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베어링볼과,
    상기 상판 및 하판의 마주보는 대향면 네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스프링시트 내에 각각 안착되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지지하는 다수의 완충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그 일측에 연결밴드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밴드의 단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홈 내에 걸림 고정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멤버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멤버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안내홈의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버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나비나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벨트는,
    상기 등받이의 양측 안내홈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를 등받이 쪽으로 가압 밀착시켜주는 후방 긴장벨트와,
    상기 양쪽 아암레스트의 전면 하단부에 각각 고정된 버클간에 체결되어 착용자의 둔부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전방 긴장벨트 및
    상기 아암레스트의 양측 안내홈 내에 각각 설치된 버클간에 대향되도록 체결되어 착용자의 흉부 또는 요부를 각각 측방 외측으로 당겨주는 다수의 측방 긴장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레스트는 아치형을 이루고, 그 외측면을 따라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일단부에는 상기 버클의 걸림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확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20000022117U 2000-08-03 2000-08-03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200216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17U KR200216071Y1 (ko) 2000-08-03 2000-08-03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17U KR200216071Y1 (ko) 2000-08-03 2000-08-03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018A Division KR100367074B1 (ko) 2000-08-03 2000-08-03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071Y1 true KR200216071Y1 (ko) 2001-03-15

Family

ID=7308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17U KR200216071Y1 (ko) 2000-08-03 2000-08-03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77Y1 (ko) * 2014-04-18 2016-02-24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의자형 온열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677Y1 (ko) * 2014-04-18 2016-02-24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의자형 온열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799B2 (en) Belt-like corset
US5007633A (en) Spinal column support attachments for a weight lifter&#39;s bench
US8931837B2 (en) Thoracic back support
US8382692B1 (en) Neck and spine support device for a neck in flexion
US4837878A (en) Reclining or seating member
US20120180219A1 (en) Anatomically-correct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lining person
RU2329014C2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деформаций позвоночника и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896662B2 (en) Method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US20150342774A1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4502170A (en) Physiologic support system and method
JP2011167325A (ja) 頚椎矯正用枕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KR200477364Y1 (ko) 등쿠션
US20210236367A1 (en) Cervical traction orthotic chiropractic neck alignment device for spi-nal curve tension stretching forward head posture pain relief and phys-ical therapy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KR20180000455A (ko) 다기능 허리베개
KR200216071Y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KR200268150Y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US20210069001A1 (en) Zenith Adjustable-Height Cervical Orthotic
KR101102894B1 (ko) 척추 및 골격 고정의자
JP4341845B2 (ja) 腰痛障害者用自動車座席
US20040167449A1 (en) Appliance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