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828A - 촬상 제어 장치, 방사선 촬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에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촬상 제어 장치, 방사선 촬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에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828A
KR20140109828A KR1020140025887A KR20140025887A KR20140109828A KR 20140109828 A KR20140109828 A KR 20140109828A KR 1020140025887 A KR1020140025887 A KR 1020140025887A KR 20140025887 A KR20140025887 A KR 20140025887A KR 20140109828 A KR20140109828 A KR 20140109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imaging mode
radiation
image data
radi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코 하라구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2Transforming X-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촬상 제어 장치는 판정 유닛 및 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판정 유닛은, 동기 촬상 모드와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에서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지를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동기 촬상 모드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이다. 비동기 촬상 모드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지 않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이다. 설정 유닛은,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를 방사선 촬영 장치에 설정하기 위한 지시를 출력하여,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촬상 제어 장치, 방사선 촬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에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IMAGING CONTROL APPARATUS,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RADIOGRAPHIC IMAGE CAPTUR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CAUSING COMPUTER TO EXECUT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방사선 화상 데이터의 촬상 모드를 설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질병의 진단 등에 X선 화상들이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며, 방출된 X선을 검출함으로써 디지털 X선 화상 데이터를 얻는 X선 촬영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무선 통신 등에 기초한 X선 촬영 장치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콘솔과, X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X선 발생기와, 신호 등을 X선 발생기와 교환하도록 구성된 X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X선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들에 의해 채용되는 촬상 모드들 중 하나는, X선 발생기와의 동기화가 X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달성되는 상태에서 X선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는 동기 촬상 모드이다. 동기 촬상 모드는 X선 인터페이스와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들 간의 통신을 통하여 구현된다. 그러나,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들과 X선 발생기의 인터페이스들 간의 차이로 인하여 신호들이 교환되어 동기화를 이루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들이 X선을 검출할 시에, X선 발생기와의 동기화를 달성함 없이, X선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는 비동기 촬상 모드가 이용가능하다.
종전에, 동기 촬상 모드와 비동기 촬상 모드의 모두를 지원하는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이동 가능한 X선 촬영 장치들은 2 가지의 콘솔, 즉, 동기 촬상 모드를 위한 콘솔과 비동기 촬상 모드를 위한 콘솔을 이용한다. 그러나, 최근, 하나의 콘솔로 동기 촬상 모드 및 비동기 촬상 콘솔의 모두를 다룰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동기 촬상 모드와 비동기 촬상 모드의 모두를 지원하는 촬상 처리가 하나의 콘솔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경우, 촬상 모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환된다. 비동기 촬상 모드에 관하여, 촬상의 시작과 끝을 검출하기 위한 몇몇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X선 화상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기 촬상 모드에서 촬상 처리가 허용되는 환경에서는, 동기 촬상 모드에서 가능할 때마다 촬상 처리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촬상 제어 장치는,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동기 촬상 모드와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지 않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에서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지를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를 방사선 촬영 장치에 설정하기 위한 지시를 출력하여,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에서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이하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형태들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4 실시형태들에 따른 X선 화상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될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응용예들일 뿐,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X선 화상 촬상 장치인 FPD(Flat Panel Detector)(101), 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콘솔(102),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 장치(103), 콘솔(102)과 X선 발생 장치(103) 사이의 신호 등의 교환을 제어하는 X선 인터페이스(104)를 포함한다. 콘솔(102) 또는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은, 촬상 제어 장치의 예가 되는 구성요소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X선 발생 장치(103)는 방사선 발생 장치의 예가 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X선 화상 데이터를 촬상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X선 뿐만 아니라, α선 및 γ선과 같은 다른 방사선을 이용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얻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촬상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의 관계에서는, 도 1의 콘솔(102)이 도 2의 콘솔 PC(110)에 대응하고, 도 1의 X선 인터페이스(104)가 도 2의 X선 인터페이스(130)에 대응하고, 도 1의 X선 발생 장치(103)가 도 2의 X선 발생 장치(140)에 대응하고, 도 1의 FPD(101)가 도 2의 FPD들(120)의 각각에 대응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도 2를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콘솔 PC(110)은, FPD(120)와 X선 발생 장치(140)와의 통신 설정을 행하고, FPD(120)와 X선 발생 장치(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콘솔 PC(110)는,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 촬상 제어 유닛(113), 통신 유닛(114), FPD 정보 등록 유닛(115)을 포함한다.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에서는, 유저가 입력 유닛(160)을 통하여 FPD(120) 및 X선 인터페이스(130)와의 통신에 이용되는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그 설정 정보를 메모리에 보존한다.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은, 이하에 설명되는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에 의해 선택된 촬상 모드에 따라 전환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은 이하의 수순에 의해 X선 발생 장치(140)와의 동기 촬영을 행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메모리상의 프로그램 모듈이다.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은, 모듈의 출력으로서 선택된 촬상 모드를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에 통지한다. 그 출력에 따라,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은 플래그를 전환한다. 촬상 모드의 선택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촬상 제어 유닛(113)은 FPD(120) 및 X선 인터페이스(130)와의 신호 송신 및 수신을 행하여, X선 조사의 개시 및 종료와, X선 화상 판독의 개시 및 종료와, X선 화상의 수신 등의 제어를 행한다. 유저가 모니터(150)상에서 프로그램을 조작하고, 그에 따라 촬상 제어 유닛(113)은 적절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한다. 동기 촬영의 경우, 촬상 제어 유닛(113)은, FPD(120)에 X선 화상 촬상의 준비 개시를 유발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FPD(120)로부터 X선 화상 촬상의 준비 완료의 신호를 수신하고, X선 인터페이스(130)에 조사 허가 신호를 송신한다. 비동기 촬영의 경우에는, 콘솔 PC(110)와 X선 인터페이스(130) 간의 통신이 실행되지 않는다. 그래서, X선 발생 장치(140)는 항상 X선이 조사 가능한 상태로 된다. FPD(120)는, X선 자동 검출 유닛(122)이 방출된 X선을 검지함으로써 화상 취득을 개시한다.
통신 유닛(114)은,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에 의해 설정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실제로 FPD(120) 및 X선 인터페이스(130)와 통신 및 신호 교환을 행하는 안테나 유닛 및 통신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유선 접속의 경우에는, 촬상 정보 등의 설정에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을 사용하고, 신호 송수신 및 화상 전송 등에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을 사용한다.
FPD 정보 등록 유닛(115)은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에 의해 선택되는 촬상 모드에 적절히 사용되는 FPD(120)의 등록을 관리한다. FPD 정보는 이하의 방식으로 등록된다. FPD(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을 한다. 그 접속된 FPD(120)로부터 일련 번호, 모델 번호 등을 수신한다. 이후, 콘솔 PC(110)로부터 적절한 IP 어드레스를 FPD(120)에 송신한다. 등록된 FPD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미 등록된 FPD(120)는, 통신 중단 후 재접속을 행하면, 메모리상의 FPD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을 재개한다.
FPD(120)는 방사선으로 조사되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얻는 방사선 촬영 장치이다. FPD(120)는 X선 발생 장치(140)로부터 조사된 X선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X선 화상을 구축하고, 콘솔 PC(110)에 화상 전송을 행한다. FPD(120)는, X선 판독 유닛(121), X선 자동 검출 유닛(122),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 및 통신 유닛(124)을 포함한다.
X선 판독 유닛(121)은, X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와, 가시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 어레이를 포함한다. X선 판독 유닛(121)은, 수신된 X선 에너지를 전하량으로 변환하고, 그 전하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의 콘덴서에 축적된다. 축적된 전하는 TFT(thin film transistor) 스위치 및 차지 증폭기를 통하여, 아날로그 대 디지털(A/D) 변환되어 디지털값으로서 판독된다. TFT는 박막 트랜지스터상에서 스위칭 동작시키는 반도체 소자이다. 행마다 TFT 스위치의 ON과 OFF를 전환함으로써, X선 판독 유닛(121)은, 주사하여 화면 전체의 화소를 판독하고, X선 화상을 얻는다.
X선 자동 검출 유닛(122)은, X선에 감도를 갖고 X선 센서 어레이의 이면 측에 배치되며 X선 판독 유닛(121)과 접속되는 복수의 포토 멀티 플라이어를 포함한다. X선 자동 검출 유닛(122)은, 포토 멀티 플라이어들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기초하여 조사 개시 또는 조사의 종료를 검지한다. 이 검지에 응하여, X선 판독 유닛(121)은 X선 판독의 개시와 종료를 행한다. FPD 1은 X선 자동 검출 유닛(122)을 포함하므로 X선 비동기 촬영이 가능하다. 이에 비하여, FPD 2는 X선 동기 촬영만 가능하다. 그 외, X선 자동 검출 유닛(122)은, 상술한 센서 어레이의 전력 공급선이나 ON/OFF 제어 신호를 구동 회로로부터 TFT에 전달하는 주사선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흐름을 검지해서 X선의 조사 개시를 검출하여도 된다.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은, FPD(120)가 콘솔 PC(110) 및 X선 인터페이스(130)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 기입 및 보유한다. 또한,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은,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에 의해 선택된 촬상 모드를 콘솔 PC(110)로부터 수신하고, 그 촬상 모드에 따라, FPGA의 비동기 제어용 플래그를 기동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비동기 제어용 플래그를 기동하지 않는 경우, X선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조사 개시 신호에 응하여 X선 판독 유닛(121)이 동작한다. 한편, 비동기 제어용 플래그를 기동하는 경우, X선 자동 검출 유닛(122)이 X선 검지를 할 때 X선 판독 유닛(121)이 동작한다.
통신 유닛(124)은, 안테나 및 통신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회로이며,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등을 실제로 교환한다. 통신 유닛(124)은,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에 의해 설정된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실제로 콘솔 PC(110) 및 X선 인터페이스(130)와 신호를 통신 및 교환한다. 유선 접속의 경우에는, 촬상 정보 등의 설정에 TCP 통신을 사용하고, 신호 송수신이나 화상 전송 등에 UDP 통신을 사용한다.
X선 인터페이스(130)는, 콘솔 PC(110) 및 FPD(120)과 독립한 장치이며 X선 발생 장치(140)의 고전압 발생 유닛(143)과 접속되고, X선 조사 타이밍을 제어한다. X선 인터페이스(130)는 동기 제어 유닛(131)과 통신 유닛(132)을 포함한다.
동기 제어 유닛(131)은 유선 접속된 콘솔 PC(110)로부터 X선 조사 허가 신호가 수신된 타이밍에서 유선 접속된 고전압 발생 유닛(143)을 제어한다. X선 발생 장치(140)로부터 조사 정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기 제어 유닛(131)은, 고전압 발생 유닛(143)을 제어하고 콘솔 PC(110)에 조사 정지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유닛(132)은 통신 회로이다. 통신 유닛(132)은 이 통신 유닛(132)과 통신하는 콘솔 PC(110)와 FPD(120)의 IP 어드레스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정보를 사용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FPD(120)와 X선 발생 장치(140) 간에 동기를 이룬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X선 발생 장치(140)는, X선 발생 조건 지정 유닛(142)에 의해 설정된 X선 관(tube) 전압, X선 관 전류, X선 지속시간 등의 조사 조건에 기초하여, 고압 발생 유닛(143)에 의해 발생되는 고전압을 X선원(141)에 부여함으로써 X선을 조사한다.
또한, 콘솔 PC(110)에는, 모니터(150)와 키보드 등의 입력 유닛(160)이 접속된다. 상술한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 촬상 제어 유닛(113), 및 FPD 정보 등록 유닛(115)은, 콘솔 PC(110)의 CPU,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억 유닛,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이 전개되는 RAM에 의해 실현된다.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명령이 CPU에 의해 실행되어, 통신 유닛(114), 입력 유닛(160), 모니터(150)로부터 공급된 입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콘솔 PC(110)가 제어됨으로써 상술한 구성 및 후술할 프로세스가 실현된다. 마찬가지로, FPD(120)의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은 FPD(120)의 CPU 등에 의해 실현된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스텝 S101 내지 S109의 처리는, 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콘솔(102)의 CPU의 결과로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스텝 S101에 있어서, 콘솔(102)은 X선 인터페이스(104)에 대하여 통신에 필요한 설정 정보(이하, 통신 설정 정보라 칭함)를 설정한다. 통신 설정 정보에는, IP 어드레스,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디폴트 게이트웨이 및 포트 번호 등이 포함된다.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때에는, 콘솔(102)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통신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통신 설정 정보가 적절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설정 정보가 적절할 경우, 콘솔(102)은 통신 설정 정보를 X선 인터페이스(104)에 송신한다. X선 인터페이스(104)는, 콘솔(102)로부터 통신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구체적인 설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유저는 콘솔(102)에 대하여 입력 유닛(160)을 이용하여 각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은 입력 정보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 정보가 적절하다면,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은 통신 유닛(114)을 통해 정보를 X선 인터페이스(104)에 송신한다. 이때, 고정의 IP 어드레스 등을 미리 FPD(101) 및 X선 인터페이스(104)에 설정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102에서, 콘솔(102)의 통신 유닛(114)은 스텝 S101과 마찬가지로, FPD(101)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또한, X선 인터페이스(104) 및 FPD(101)에 설정되는 통신 설정 정보의 설정 순서는 상기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FPD(101)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 후, X선 인터페이스(104)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해도 좋고, 또는 X선 인터페이스(104) 및 FPD(101)에 동시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해도 좋다. 또한, IP 어드레스는, FPD(101) 및 X선 인터페이스(104)에 미리 설정해 두어도 좋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S103에서, 콘솔(102)의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은 X선 인터페이스(104)의 IP 어드레스에 ping을 송신한다. 스텝 S104에서, 콘솔(102)은 pong을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Pong이 수신되면,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은, X선 인터페이스(104)가 콘솔(102)에 접속되어 있고 동기 촬상 모드의 촬상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S105로 이행한다. 한편, 미리 일정한 타임 아웃 시간을 설치해 두고, 그 타임 아웃 시간 내에 pong을 수신되지 않은 경우,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은, X선 인터페이스(104)가 콘솔(102)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동기 촬상 모드가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S107로 이행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ping 송신 및 pong 수신을 통해 X선 인터페이스(104)의 접속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X선 인터페이스(104)의 접속 검지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리 X선 인터페이스(104)의 IP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콘솔(102)의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이 판단한 경우, 콘솔(102)의 통신 유닛(114)은 브로드캐스트에 의해 통신 가능한 X선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를 문의한다. 통신 가능한 X선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면, X선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의에 응하여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콘솔(102)에 회신한다. 이에 의해, 콘솔(102)의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은 동기 촬상 모드의 촬상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스텝 S105에서, 콘솔(102)의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은, 스스로에 대하여 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이 설정을 행함으로써, 콘솔(102)이 유저로부터 X선 조사 지시를 수신한 경우, 촬상 제어 유닛(113)은 FPD(101)에 대하여 X선 조사대기 상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한다. FPD(101)는, 콘솔(102)로부터의 지시에 응하여 X선 조사 대기 상태로 이행하면, X선 발생 장치(103)에 조사 허가 신호를 송신하고, X선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 후, 유저로부터 X선 조사 종료의 지시를 받은 경우, 또는 조사 기간이 최대 조사 시간에 도달한 경우, FPD(101)는, X선 발생 장치(103)의 X선 조사를 종료시켜, 콘솔(102)에 대하여 X선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텝 S106에서, 콘솔(102)은 FPD(101)의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에 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FPD(101)에 동기 촬상 모드가 설정되고, FPD(101)는 콘솔(102)로부터 수신된 X선 조사 대기 상태로의 이행 지시에 응하여 X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스텝 S107에서, 콘솔(102)의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은 스스로에 대하여 비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108에서, 콘솔(102)은 FPD(101)에게 비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FPD(101)에 비동기 촬상 모드가 설정된다. 이상과 같은 수순을, 콘솔(102)을 이용한 시스템 기동시에 행함으로써, 촬상 정보 설정 유닛(111)의 촬상 모드 플래그를 설정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이상의 수순을 반복함으로써, 시스템 구성을 감시하고, 시스템 구성이 변경된 경우에 촬상 모드 플래그를 자동으로 변경한다.
이상과 같이, 동기 촬상 모드 또는 비동기 촬상 모드로의 전환이 완료한 후, 스텝 S109에서 콘솔(102)은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설정된 촬상 모드에 사용되는 FPD(101)를 등록한다. 이때,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FPD(101)를 유저가 등록 하고자 한 경우, 콘솔(102)은 등록하려고 하는 FPD(101)가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촬상이 불가능하다고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와는 달리, 콘솔(102)에 의해 전환된 촬상 모드를,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해도 좋다.
콘솔(102)이 ping을 송신하기 전에, 동기 촬상 모드 및 비동기 촬상 모드를 지원하는 FPD(101)가 콘솔(102)의 FPD 정보 등록 유닛(115)에 의해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콘솔(102)은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촬상 모드를 지원하는 FPD(101)를 등록한다. 그리고, 콘솔(102)은 도 3의 스텝 S103 내지 S108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ping 송신 결과에 따른 촬상 모드의 전환을 행한다. 이때, 등록된 FPD(101)가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콘솔(102)은 FPD(101)가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도, 콘솔(102)에 의해 전환된 촬상 모드를, 유저의 조작에 따라 변경해도 좋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콘솔(102)은 X선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촬상 모드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의 어떠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적절한 촬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서 X선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FPD(101)가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유저에게 이러한 상태가 통지된다. 따라서, 이는,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FPD(101)를 이용하여 X선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콘솔(102)은 X선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촬상 모드를 전환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 FPD(101)는 X선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촬상 모드를 전환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도, 도 1에 사용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제1 형태에서 콘솔 PC(110)는 촬상 모드 판단 유닛(112)을 포함한다. 이에 비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 FPD(120)는 X선 인터페이스(130)의 접속을 검지하고 촬상 모드를 선택하는 촬상 모드 판단 유닛(125)을 포함한다.
촬상 모드 판단 유닛(125)은 이하의 수순에 의해 X선 발생 장치(140)와 동기화한 상태에서 촬영을 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FPGA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촬상 모드 판단 유닛(125)은 모듈의 출력으로서 선택된 촬상 모드를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에 통지한다. 그 출력에 따라, 촬상 정보 설정 유닛(123)은 촬상 모드 플래그를 전환한다. 촬상 모드의 선택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의 스텝 S201, S202 및 S209의 처리는, 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콘솔(102)의 CPU의 결과로서 실현되는 처리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 5의 스텝 S203 내지 S208의 처리는, 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해서 판독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PD(101)의 CPU의 결과로서 실현하는 처리이다.
스텝 S201에서 콘솔(102)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3의 스텝 S101과 마찬가지로, X선 인터페이스(104)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스텝 S202에서 콘솔(102)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3의 스텝 S102와 마찬가지로, FPD(101)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콘솔(102)은 FPD(101)에 X선 인터페이스(104)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X선 인터페이스(104) 및 FPD(101)에 대한 통신 설정 정보의 설정 순서는, 상기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S203에서 FPD(101)는 X선 인터페이스(104)에 ping을 송신한다. 스텝 S204에서 FPD(101)는 pong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FPD(101)는, pong을 수신하면, X선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되어 있고, 동기 촬상 모드가 이용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S205로 이행한다. 한편, 미리 소정의 타임 아웃 시간을 설치해 두고, 그 타임 아웃 시간 내에 pong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FPD(101)는, X선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동기 촬상 모드가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S207로 이행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 형태에서도, ping 송신 및 pong 수신을 통하여 X선 인터페이스(104)의 접속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X선 인터페이스(104)의 접속 검지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PD(101)에 X선 인터페이스(104)의 IP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FPD(101)는, 브로드캐스트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X선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를 문의한다. 통신 가능한 X선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면, X선 인터페이스는 문의에 응하여 통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FPD(101)에 회신한다. 이에 의해, FPD(101)는, 동기 촬상 모드의 촬상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스텝 S205에서 FPD(101)는 스스로에 대하여 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이 설정을 행함으로써, FPD(101)는, 콘솔(102)로부터의 X선 조사 대기 상태에의 이행 지시에 응하여 X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스텝 S206에서 FPD(101)는 콘솔(102)에게 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콘솔(102)은 유저로부터 X선 조사 지시를 받은 경우, FPD(101)에게 X선 조사 대기 상태로 이행할 것을 지시한다. FPD(101)는, 콘솔(102)로부터 접수된 지시에 응하여 X선 조사 대기 상태로 이행하면, X선 발생 장치(103)에 조사 허가 신호를 송신하고 X선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 후, FPD(101)는, 유저로부터 X선 조사 종료의 지시를 수신한 경우, 또는 조사 기간이 최대 조사 시간에 도달한 경우, X선 발생 장치(103)로 하여금 X선 조사를 종료시켜, 콘솔(102)에 X선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스텝 S207에서 FPD(101)는 스스로에 대하여 비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208에서 FPD(101)는 콘솔(102)에게 비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콘솔(102)에서 비동기 촬상 모드가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동기 촬상 모드 또는 비동기 촬상 모드의 전환이 완료한 후, 스텝 S209에서 콘솔(102)은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설정된 촬상 모드에 사용되는 FPD(101)을 등록한다. 이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FPD(101)를 유저가 등록하고자 한 경우, 콘솔(102)은 등록하려는 FPD(101)가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촬상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에서 FPD(101)는 X선 인터페이스(104)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촬상 모드를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의 어떠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적절한 촬상 모드로 X선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텝 S209에서, FPD(101)가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이는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FPD(101)를 이용하여 X선 화상 데이터가 얻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콘솔과 FPD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은, 무선 통신 가능하고 이동 가능한 X선 화상 촬상 장치인 FPD(401)와, 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콘솔(402)과, X선을 조사하는 X선 발생 장치(403)와, 콘솔(402)과 X선 발생 장치(403) 간에 신호 등의 교환을 제어하는 X선 인터페이스(404)와, FPD(401)와 콘솔(402) 간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액세스 포인트(405)를 포함한다.
도 7은, 상술한 구성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FPD(401)는 도 7에 도시된 FPD들(120)의 각각에 대응한다. 도 6에 도시된 콘솔(402)은 도 7에 도시된 콘솔 PC(110)에 대응한다. 도 6에 도시된 X선 발생 장치(403)는 도 7에 도시된 X선 발생 장치(140)에 대응한다. 도 6에 도시된 X선 인터페이스(404)는 도 7에 도시된 X선 인터페이스(130)에 대응한다. 도 6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405)는 도 7에 도시된 무선 통신 유닛(170)에 대응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콘솔 PC(110)과 FPD(120) 간의 통신을 행할 때 중계기가 되는 무선 통신 유닛(170)이 존재한다.
무선 통신 유닛(170)은 통신 정보 설정 유닛(171)과 통신 유닛(172)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유닛(170)은, 일반적인 거치형의 무선 통신 유닛이며, 무선 LAN을 사용해서 단말기들을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파 중계기를 가리킨다. 무선 통신 유닛(170)은 일반적으로 유선 LAN과의 접속 기능을 가지며, 콘솔 PC(110)과 접속하고, FPD(120)에 대한 무선 통신의 중계기로서 사용된다.
통신 정보 설정 유닛(171)은 무선 통신 유닛(170)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FPD(12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기본적으로 입력 유닛(160)을 이용하여 유저에 의해 콘솔 PC(110)에 설정된 정보는 유선 접속을 통해서 통신 정보 설정 유닛(171)에 통지된다.
통신 유닛(172)은 내부의 안테나 유닛과 콘솔 PC(110)에 접속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서, 통신 정보 설정 유닛(171)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사용해서 신호의 교환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스텝 S301 내지 S309의 처리는, 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콘솔(402)의 CPU의 결과로서 실현되는 처리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 8의 스텝 S310 내지 S313의 처리는, 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FPD(401)의 CPU의 결과로서 실현되는 처리이다.
스텝 S301에서 콘솔(402)은 액세스 포인트(405)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통신 설정 정보에는, 액세스 포인트(405)의 IP 어드레스, 액세스 포인트(405)를 식별하기 위한 ID 정보, 암호화 정보 및 이용하는 통신 대역 등이 포함된다. 액세스 포인트(405)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할 때, 콘솔(402)은 유저의 조작에 응하여 통신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TCP/IP 통신 등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405)에 통신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405)에 통신 설정 정보가 설정된다. 또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405)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솔(402)은 액세스 포인트들(405)의 각각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S302에서 콘솔(402)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3의 스텝 S101과 마찬가지로, X선 인터페이스(404)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스텝 S303에서 콘솔(402)은 제1 실시 형태의 도 3의 스텝 S102와 마찬가지로, FPD(401)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이때, 콘솔(402)은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405)에 관한 정보를 FPD(401)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FPD(401)는, 액세스 포인트(405)를 통하여 콘솔(402)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X선 인터페이스(404) 및 FPD(401)에 설정되는 통신 설정 정보의 설정 순서는, 상기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FPD(401)에 통지되는 액세스 포인트(405)에 관한 정보에는, 각각의 액세스 포인트(405)의 식별 ID 및 그 식별 ID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405)의 IP 어드레스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405)가 접속되는 경우, 모든 액세스 포인트(405)에 관한 정보는 FPD(101)에 통지된다. 또한, 도 8의 스텝 S304 내지 S309의 처리는, 도 3의 스텝 S103 내지 S108과 마찬가지인 처리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S310에서 FPD(401)는, 콘솔(402)에 의해 FPD(401)에 통지된 X선 인터페이스(404)의 IP 어드레스에 액세스 포인트(405)를 통하여 ping을 송신한다. 스텝 S311에서 FPD(401)는 타임 아웃 시간 내에 pong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FPD(401)가 X선 인터페이스(404)로부터 pong을 수신한 경우(스텝 S306 및 S307에서 동기 촬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12로 이행한다. 한편, FPD(401)가 X선 인터페이스(404)로부터 pong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스텝 S308 및 S309에서 비동기 촬상 모드가 설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3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12에서 FPD(401)는 액세스 포인트(405)를 X선 인터페이스(404)를 통하여 X선 발생 장치(403)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중계기(중계 장치)로서 선택한다. 스텝 S313에서 FPD(401)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405)를 X선 인터페이스(404)를 통하여 X선 발생 장치(403)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중계기로서 선택한다.
이에 의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의 어떠한 조작을 요하지 않고, X선 인터페이스(404)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액세스 포인트(405)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S306 및 S307의 처리 또는 스텝 S308 및 S309의 처리의 후에, 도 3의 스텝 S109에서의 FPD(401)의 등록 처리를 추가해도 좋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 콘솔(402)은 X선 인터페이스(404)와의 통신 접속을 판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촬상 모드를 설정한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그 기능을 FPD(401)에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X선 인터페이스(404)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촬상 모드를 전환한다. 이에 비하여, 제4 실시 형태는, 무선 통신을 행할 때의 중계기가 되는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촬상 모드를 전환한다. 이하,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예와 달리, 전용의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인 무선 통신 유닛(170)과, 통신회로 및 CPU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된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인 소프트웨어 무선 통신 유닛(11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란, 거치형의 액세스 포인트이며, 무선 LAN을 통하여 단말기들을 서로 접속하는데 이용되는 중계기를 가르킨다.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LAN과의 접속 기능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며, 콘솔(402)과 접속하고, FPD(401)에 대한 무선 통신의 중계기로서 사용된다. 한편,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한 것이며, 컴퓨터 등에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담당시킬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버츄얼 Wi-Fi 및 테터링과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컴퓨터 및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의 모두가 필요한 시스템 구성을, 컴퓨터만의 시스템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의 스텝 S401 내지 S409의 처리는, ROM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콘솔(402)의 CPU의 결과로서 실현되는 처리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S401에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8의 스텝 S301과 마찬가지로, 콘솔(402)은 액세스 포인트(405)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는,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와 마찬가지로, IP 어드레스 및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IP 어드레스 및 식별 ID와 같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 및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 가능한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콘솔(402) 및 FPD(401)에 의해 사용되는 액세스 포인트(405)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인지 또는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인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식별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의 EEID에 식별 가능한 키워드를 첨가해 두는 방법이 있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콘솔(402)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도 8의 스텝 S302와 마찬가지로, X선 인터페이스(404)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스텝 S403에서, 콘솔(402)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도 8의 스텝 S303과 마찬가지로, FPD(401)에 통신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
스텝 S404에서 콘솔(402)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 및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에 ping을 송신한다. 스텝 S405에서 콘솔(402)은 타임 아웃시간 내에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 및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pong을 수신했는지를 판정한다. 콘솔(402)이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pong을 수신한 경우, 콘솔(402)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 한편, 콘솔(402)이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pong을 수신하지 않고,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pong을 수신한 경우, 콘솔(402)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만과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처리는 스텝 S408로 이행한다.
스텝 S406에서 콘솔(402)은 스스로에 대하여 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407에서 콘솔(402)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FPD(401)에게 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해당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X선 인터페이스(404)와 통신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스텝 S408에서 콘솔(402)은 스스로에 대하여 비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스텝 S409에서 콘솔(402)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FPD(401)에게 비동기 촬상 모드의 설정을 행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해당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유저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 중 주어진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 가능한 것으로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스텝 S406 및 S407의 처리, 또는 스텝 S408 및 S409의 처리의 후에, 도 3의 스텝 S109에서의 FPD(401)의 등록 처리를 추가해도 좋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을 검지함으로써 동기 촬상 모드로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이 검지됨으로써 동기 촬상 모드로 촬상 모드가 전환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와는 달리,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 접속이 검지된 경우에 촬상 모드가 동기 촬상 모드로 전환되도록 유저로 하여금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의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고, 안정된 촬상 처리 및 통신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서 동기 촬상 모드를 선택한다. 한편,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만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필요한 장치를 최대한 적게 하여 X선 화상 촬상 시스템의 이동성을 중요시하는 것을 고려하여, 비동기 촬상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보다 유저 만족도가 높은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들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는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 매체를 통하여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된다.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 등)는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절한 촬상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저장 매체(예를들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의 컴퓨터 또는 장치, 및 상술된 실시형태(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예컨대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컴퓨터 또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또는 다른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하드 디스크, RAM, ROM, 분산 컴퓨텅 시스템의 저장, 광 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메모리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들을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 실시형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 및 등가 구조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동기 촬상 모드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지 않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에서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할지를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를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에 설정하기 위한 지시를 출력하여,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에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동기 촬상 모드과 상기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촬상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촬상 모드에 사용되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등록하도록 구성된 등록 유닛을 더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유닛에 의해 등록되는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설정 유닛에 의해 설정된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촬상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 장치는,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촬상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중계 장치를 통하여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를,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중계 장치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 유닛을 더 포함하는, 촬상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중계 장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동기 촬상 모드와 상기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촬상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은, 상기 중계 장치가 하드웨어 액세스 포인트일 경우, 상기 동기 촬상 모드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된다고 판정하고, 상기 중계 장치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일 경우, 상기 비동기 촬상 모드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된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된, 촬상 제어 장치.
  9.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화 통신을 행하여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제1 촬상 모드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화 통신을 행하지 않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제2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가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될지를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에서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0. 방사선 촬영 장치와,
    방사선 발생 장치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동기 촬상 모드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지 않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가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될지를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 유닛과,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판정된 촬상 모드에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설정하는 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시스템.
  11. 방사선 촬영 장치가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어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동기 촬상 모드와,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 동기를 이루지 않고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모드인 비동기 촬상 모드 중 어느 촬상 모드가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될지를 상기 방사선 발생 장치와의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판정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 판정된 촬상 모드에서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상기 방사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상기 방사선 촬영 장치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기재된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
KR1020140025887A 2013-03-06 2014-03-05 촬상 제어 장치, 방사선 촬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에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 KR20140109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4676 2013-03-06
JP2013044676A JP2014171542A (ja) 2013-03-06 2013-03-06 撮像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828A true KR20140109828A (ko) 2014-09-16

Family

ID=51458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87A KR20140109828A (ko) 2013-03-06 2014-03-05 촬상 제어 장치, 방사선 촬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에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54759A1 (ko)
JP (1) JP2014171542A (ko)
KR (1) KR20140109828A (ko)
CN (1) CN1040271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3131B2 (ja) * 2014-11-27 2020-04-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630060B2 (ja) * 2015-05-15 2020-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49328B2 (ja) 2016-07-05 2021-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27730B2 (en) * 2016-10-13 2019-06-25 Varex Imaging Corporation Authentication for X-ray imaging components
JP6815819B2 (ja) * 2016-10-17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27018B2 (ja) * 2017-12-20 2021-08-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7292952B2 (ja) 2019-04-25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照射制御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567A (en) * 1994-12-08 1996-11-05 Continental X-Ray Corp. Universal radiographic room
US5682413A (en) * 1996-06-21 1997-10-28 Picker International, Inc. Rotational angiography dye and mask image acquisition and synchronization
US6292919B1 (en) * 1998-08-25 2001-09-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data in an imaging system
JP2003047607A (ja) * 2001-08-07 2003-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X線撮影装置
JP4164644B2 (ja) * 2002-07-22 2008-10-15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X線画像診断装置
US7280864B2 (en) * 2002-11-27 2007-10-09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election of correct image for quantitative analysis
JP5335313B2 (ja) * 2008-08-05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画像撮影装置、x線画像撮影システム、x線撮影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314101B1 (en) * 2008-08-11 2016-07-27 Koninklijke Philips N.V. Techniques for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operation modes in body area networks
JP5345076B2 (ja) * 2010-01-08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WO2012008229A1 (ja) * 2010-07-16 2012-0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放射線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9709B2 (ja) * 2010-11-09 2015-01-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034786B2 (ja) * 2011-07-26 2016-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放射線画像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4759A1 (en) 2014-09-11
JP2014171542A (ja) 2014-09-22
CN104027123A (zh)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9828A (ko) 촬상 제어 장치, 방사선 촬상 장치, 방사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에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록 매체
JP6164876B2 (ja) X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218410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9638814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70031035A1 (en) Radiation imaging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radiation imaging system, and control apparatus
JP6706136B2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放射線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91860B1 (ko)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JP2013214959A (ja) 通信装置
JP2016034354A (ja) 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8733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oth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305085B2 (ja) X線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405970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WO2018198509A1 (ja) 放射線撮影装置、制御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78384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153496A1 (en) Control apparatus for radiographic system
JP2018038547A (ja) 放射線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放射線撮像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225592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13187713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840519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90664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90665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23913A1 (en) Control apparatus,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JP2023000005A (ja) 制御端末、プログラム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22085288A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放射線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8187030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