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860B1 -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860B1
KR101791860B1 KR1020150090219A KR20150090219A KR101791860B1 KR 101791860 B1 KR101791860 B1 KR 101791860B1 KR 1020150090219 A KR1020150090219 A KR 1020150090219A KR 20150090219 A KR20150090219 A KR 20150090219A KR 101791860 B1 KR101791860 B1 KR 10179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parameter
communication unit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375A (ko
Inventor
켄이치로우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4/008

Abstract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부와, 상기 제1의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를 갖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종류의 무선통신기능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통신장치간의 통신에 관하여, 제1의 무선통신기능을 사용해서 제2의 무선통신기능을 위한 파라미터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그 제2의 무선통신기능에 의한 무선접속의 확립을 쉽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24409호에는, 촬상장치가 비접촉 통신을 사용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LAN설정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무선LAN설정 정보를 기억부에 설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2개의 통신장치가 소정의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무선통신을 행할 때에, 다른 통신장치가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이 무선통신에 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24409호의 경우, 복수의 촬상장치가 액세스 포인트와 비접촉 통신을 행하여서 동일한 무선LAN설정 정보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에 대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통신장치가 무선통신을 위한 동일한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경우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통신장치는,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부; 상기 제1의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 및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장치는,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부; 및 상기 제1의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의 실시예 및 제2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a는 제1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A100)이 스마트폰(B100)과 근접 무선통신을 행하고 나서, 무선LAN통신을 확립할 때까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2b는 도 2a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3a는 디지털 카메라(A100)과 스마트 폰(B100)간의 1 대 1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디지털 카메라(A100)과 스마트 폰(B100)간의 1대 다 접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A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B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a 및 6b는 도 4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청구항으로 규정되고, 후술된 각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아울러, 그 실시예들에 기재된 특징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현하는 수단의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과 각종 조건에 따라 적당하게 수정 또는 변경되어도 좋다. 또한, 개개의 실시예를 적당하게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1의 실시예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통신장치의 예들로서, 촬상장치로서도 각각 기능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스마트 폰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렇지만, 통신장치는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형 미디어 플레이어, 타블렛 디바이스,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이어도 된다.
우선, 디지털 카메라(A1OO)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제어부(A1O1)는, 입력된 신호와, 후술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A1OO)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1제어부(A1O1)가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대신에,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공유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제어해도 좋다.
촬상부(A1O2)는, 예를 들면 광학 렌즈 유닛과, 조리개, 줌, 포커스 등을 제어하는 광학계와, 광학 렌즈 유닛을 거쳐서 도입된 광(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소자등을 구비한다. 촬상소자의 예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상보적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나, 전하결합소자(CCD)가 이용된다. 촬상부(A1O2)는, 제1제어부(A1O1)의 제어하에, 촬상부(A1O2)에 포함되는 렌즈로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소자를 사용하여서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나서, 노이즈 저감 처리등을 행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A1OO)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카메라 파일 시스템의 설계 규칙(DCF)의 규격에 준하여 기록 매체(A11O)에 기록한다.
불휘발성 메모리(A1O3)에는, 전기적으로 소거/기록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제1제어부(A1O1)에서 실행되는 후술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작업용 메모리(A1O4)는, 촬상부(A1O2)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 메모리나, 표시부(A1O6)의 화상표시용 메모리, 제1제어부(A1O1)의 작업 영역등으로서 사용된다.
제1조작부(A1O5)는, 후술하는 표시부(A1O6)에 형성되는 터치패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표시부(A1O6)에 표시된 피사체를 표시부(A1O6)상에서 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조작부(A1O5)는, 터치 위치에 대응한 오토 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및 사전 플래쉬(pre-flash) 발광(EF)처리 등의, 정지 화상의 촬상 준비를 행하는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제1조작부(A1O5)는, 표시부(A1O6)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거쳐 터치 조작으로 문자등을 입력하는데도 사용된다.
표시부(A1O6)는,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의 촬상 준비동안의 라이브 뷰의 표시, 촬상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표시, 및 대화적인 조작을 위해 사용된 문자표시를 행한다. 또한, 표시부(A1O6)는 반드시 디지털 카메라(A1OO)에 포함되지 않는다. 디지털 카메라(A1OO)는, 카메라의 배면 등에 설치한 표시부(A1O6)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외부의 표시부(A1O6)와 접속할 수도 있고, 표시부(A1O6)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기능을 적어도 가지고 있으면 좋다.
기록 매체(A11O)는, 촬상부(A1O2)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 매체(A11O)는, 디지털 카메라(A1OO)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되거나, 디지털 카메라(A1OO)에 내장되어도 된다. 다시 말해, 디지털 카메라(A1OO)는, 적어도 기록 매체(A11O)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접속부(A111)는, 외부장치와 접속하는데 사용된 인터페이스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A1OO)는, 접속부(A111)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A111)의 예들은, 외부장치와 IEEE 802.11의 규격에 따라 소위 무선LAN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제1제어부(A1O1)는, 접속부(A111)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실현한다.
디지털 카메라(A1OO)는, 접속부(A111)를 거쳐서 후술하는 스마트폰(B1OO)과 통신할 경우, 리모트 촬영 모드 또는 리모트 재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리모트 촬영 모드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A1OO)는, 접속부(A111)를 거쳐서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 수신한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 동작을 행한다. 리모트 재생 모드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A100)는, 접속부(A111)를 거쳐서 스마트폰(B100)으로부터 수신한 재생 명령에 따라, 기록 매체(A110)내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스마트 폰(B1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스마트폰(B100)은, 디지털 카메라(A100)가 유지하는 화상을 표시부(B1O6)에 표시할 수 있다.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A1OO)의 측부에 위치되고,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무선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변/복조회로, 통신 콘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변조한 무선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출력하고, 그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복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ISO/IEC 18092의 규격(Near Field Communication(NFC))에 따라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을 행한다. 그렇지만, 근접 무선통신부(A112)가 실현하는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은 NFC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무선통신 규격이 채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근접 무선통신부(A112)가 실현하는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으로서, ISO/IEC 14443의 규격에 따라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을 채용해도 좋다.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구비되어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다.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후술하는 스마트 폰(B1OO)에 송신되고 이 폰으로부터 수신된다. 후술하는 스마트 폰(B1OO)의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근접시키면, 디지털 카메라(A1OO)와 스마트 폰(B1OO)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시작한다. 또한, 반드시 근접 무선통신부(A112)와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물리적으로 접촉시킬 필요는 없다. 근접 무선통신부(A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일정한 거리만 벗어나 있어도 통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근접 무선통신부(A112)와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무선접속하기 위해서는, 이들 통신부를 근접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내에 있도록 가까이 하면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 통신부들을 근접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내에 있도록 가까이 하는 것을, "근접시킨다"라고도 말한다. 또한, 근접 무선통신부(A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B112)가 근접 무선통신 불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면, 통신은 시작되지 않는다. 또한, 근접 무선통신부(A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B112)가 근접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내에 있어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통신부가 근접 무선통신 불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면, 통신이 절단된다.
제1제어부(A1O1) 및 제2제어부(A120)에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로부터 연장된 인터럽트 신호 선(A124)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제어부(A1O1)와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선(A125)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1제어부(A1O1)는, 제어신호선(A125)을 통한 제어에 의해, 근접 무선통신부(A112)가 인터럽트 신호 선(A124)을 거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에 관해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A1O1)는, 제어신호선(A125)을 사용하여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구비되어 있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에,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행할 수 있다.
제2제어부(A120)는, 제2조작부(A122)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 전원부(A121)를 제어하여서, 디지털 카메라(A1OO) 전체의 전원 시스템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제2제어부(A120)는, 제1제어부(A1O1)에 대한 급전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2제어부(A120)는, 전술한 근접 무선통신부(A112)와 근접 무선통신부(B112)간의 통신을 검출하기 위해서, 인터럽트 신호 선(A124)을 통해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다.
제2조작부(A122)는, 디지털 카메라(A1OO)에 대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제2조작부(A122)는, 예를 들면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A1OO)의 전원의 ON/OFF를 지시하기 위한 전원 버튼, 촬상을 지시하기 위한 릴리즈 스위치, 및 화상 데이터의 재생을 지시하기 위한 재생 버튼을 구비한다. 또한, 제2조작부(A122)는, 접속부(A111)를 거쳐서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전용의 접속 버튼등의 조작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릴리즈 스위치는, SW1 및 SW2를 가진다. 릴리즈 스위치가, 소위 반가압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SW1이 ON이 된다. 이 결과, 제2조작부(A122)는, 오토 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사전 플래쉬 발광(EF)처리 등의, 정지 화상의 촬상준비를 행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또한, 릴리즈 스위치가, 소위 완전가압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SW2가 ON이 된다. 이에 따라, 제2조작부(A122)는, 정지 화상의 촬상을 행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전술한 제1조작부(A1O5)가 터치패널 조작을 위한 조작부인 반면에, 제2조작부(A122)는 메카니컬 기구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버튼 조작을 위한 조작부다.
전원부(A121)는, 디지털 카메라(A1OO)의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전지에 접속되어 있다. 전지가 삽입되면, 우선, 전원부(A121)는, 제2제어부(A120)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이 조건하에서, 제2제어부(A120)는, 제2조작부(A122)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A121)를 제어하여서, 제1제어부(A1O1)와, 제1제어부(A1O1)가 제어하는 주변회로에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스마트 폰(B1OO)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B1O1)는, 입력된 신호와, 후술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스마트 폰(B1OO)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B1O1)가 장치전체를 제어하는 대신에,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공유하여서 장치전체를 제어해도 좋다.
촬상부(B1O2)는, 예를 들면 광학 렌즈 유닛과, 조리개, 줌, 포커스 등을 제어하는 광학계와, 광학 렌즈 유닛을 거쳐서 도입된 광(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소자등을 포함한다. 촬상소자의 예로서는, 일반적으로는, CMOS나 CCD가 이용된다. 촬상부(B1O2)는, 제어부(B1O1)의 제어하에서, 촬상부(B1O2)에 포함된 렌즈로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소자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나서, 노이즈 저감 처리등을 행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B1OO)은, 화상 데이터를, DCF의 규격에 따라 기록 매체(B11O)에 기록한다.
불휘발성 메모리(B1O3)는, 전기적으로 소거/기록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제어부(B1O1)에서 실행되는 후술한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작업용 메모리(B1O4)는, 촬상부(B1O2)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 메모리와, 표시부(B1O6)의 화상표시용 메모리, 제어부(B1O1)의 작업 영역 등으로서 사용된다.
조작부(B1O5)는, 스마트 폰(B1OO)에 대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접수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B1O5)는, 예를 들면 유저가 스마트 폰(B1OO)의 전원의 ON/OFF를 지시하기 위한 전원 버튼이나, 화면천이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표시부(B1O6)에 형성되는 터치패널도, 조작부(B1O5)에 포함된다.
표시부(B1O6)는, 촬상한 정지 화상 데이터의 표시, 대화적인 조작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표시등을 행한다. 또한, 표시부(B1O6)는 반드시 스마트 폰(B1OO)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스마트 폰(B1OO)은,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기능을 적어도 가지고 있으면 좋다.
기록 매체(B11O)는, 촬상부(B1O2)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기록 매체(B11O)는, 스마트 폰(B1OO)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되거나, 스마트 폰(B1OO)에 내장되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스마트 폰(B1OO)은, 적어도 기록 매체(B11O)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접속부(B111)는, 외부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B1OO)은, 접속부(B111)를 거쳐서,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B111)의 예들은, 외부장치와 IEEE 802.11의 규격에 따라, 소위 무선LAN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어부(B1O1)는, 접속부(B111)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실현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A1OO)는, 접속부(A111)를 통해 스마트 폰(B1OO)과 통신할 경우, 리모트 촬영 모드 또는 리모트 재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스마트 폰(B1OO)은, 디지털 카메라(A1OO)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A1OO)가 리모트 재생 모드에서 동작할 경우, 스마트 폰(B1OO)은, 표시부(B1O6) 위에 표시된 화상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화상을 스마트 폰(B1OO)내의 기록 매체(B11O)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B1OO)의 측부에 위치되고,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무선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변/복조회로, 통신 콘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변조한 무선신호를 안테나로부터 출력하고,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복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 무선통신부(B112)은, ISO/IEC 18092의 규격(Near Field Communication(NFC))을 따른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그렇지만, 근접 무선통신부(B112)가 실현하는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은, NFC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무선통신 규격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근접 무선통신부(B112)가 실현하는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으로서, ISO/IEC 14443의 규격에 따른 비접촉 근접 무선통신을 채용해도 좋다.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전술한 디지털 카메라(A1OO)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근접시키면, 디지털 카메라(A1OO)와 스마트 폰(B1OO)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시작한다. 또한, 반드시 근접 무선통신부(B112)와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물리적으로 접촉시킬 필요는 없다. 근접 무선통신부(B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일정한 거리만 벗어나고 있어도 통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근접 무선통신부(B112)와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무선접속 확립하기 위해서는, 양쪽 통신부를 근접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내까지 가까이 하면 좋다. 근접 무선통신부(B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A112)가 근접 무선통신 불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면, 통신은 시작되지 않는다. 또한, 근접 무선통신부(B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A112)가 근접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내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통신부가 근접 무선통신 불가능한 거리만큼 떨어져버린 경우에는, 통신이 절단된다.
공중 무선통신부(B113)는, 기지국(C100)을 거쳐서 공중망(D1OO)을 이용하여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공중 무선통신부(B113)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 무선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변/복조회로, 통신 콘트롤러 등을 구비한다. 공중 무선통신부(B113)는, W-CDMA(UMTS)이나 LTE(Long Term Evolution)등의 규격에 따라서 공중 무선통신을 실현한다.
도 1에서는, 디지털 카메라(A1OO)와 스마트 폰(B1OO)이 1대1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1 대 다의 통신도 가능하다. 1 대 다의 통신에 대해서는, 제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 2a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2a는, 디지털 카메라(A100)가 스마트 폰(B1OO)과 근접 무선통신을 행하고 나서, 무선LAN통신을 확립할 때까지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이하에서는,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도 1에서와 같은 참조부호를 이용한다. 또한, 도 2a에서 사용된 점선의 화살표는, NFC에 의한 통신을 나타내고, 도 2a에서 사용된 굵은 화살표는, 무선LAN에 의한 통신을 나타낸다.
도 2a의 시퀀스가 시작하는 타이밍에서는, 디지털 카메라(A1OO)의 제1제어부(A1O1)의 기동 처리는 완료하고 있다. 그러나, 접속부(A111)의 전원은 오프이며, 접속부(A111)를 통한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접속은 확립되지 않고 있다. 상술한 기동 처리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초기화나, 주변기기의 초기화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A100)의 촬영 기능의 초기화 등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폰(B100)은, 유저 조작에 따라, NFC 기능 및 무선LAN 기능 각각의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2a의 시퀀스의 시작 전에, NFC의 기능은 "유효" 상태에 있고, 무선LAN의 기능은 "무효" 상태에 있다. 또한, 스마트 폰(B100)은, 제어부(B101)상에서, 디지털 카메라(A100)와의 무선LAN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는 중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도 2a의 시퀀스는, 디지털 카메라(A100) 및 스마트 폰(B100)이, 상술한 조건하에 있을 때에 시작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중인 스마트 폰(B100)이, 유저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에 근접되면, 근접 무선통신부(A112)와 근접 무선통신부(B112)가 서로 통신가능해지고, 도 2a의 시퀀스가 시작한다.
우선, 단계S211에서, 스마트 폰(B100)의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부(B112)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에 있는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요구(파라미터 요구)를 제공한다.
단계S212에서,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대하여, NFC통신에 의해, 판독요구(Read코맨드)를 제공한다. 단계S213에서,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단계S212의 판독요구에 응답하여,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의 정보를, 스마트 폰(B100)의 근접 무선통신부(B112)에 송신한다.
단계S214에서, 스마트 폰(B100)의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단계S213에 있어서 수신한 정보를 제어부(B101)에 제공한다. 단계S215에서, 제어부(B101)는, 단계S214에 있어서 제공된 정보를, 작업용 메모리(B1O4)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여기까지 행해진 처리에 의해, 스마트 폰(B100)은,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사용해서, 디지털 카메라(A100)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취득된 정보가, 무선 파라미터다. 따라서, 단계S212의 판독요구는,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요구다. 무선 파라미터는, 무선LAN접속 확립에 필요한 SSID, 및, 무선LAN접속에서 사용하는 암호 키 등의 정보(설정정보)다. 무선LAN접속으로 접속하는 기기를 한정하기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A100)의 MAC어드레스 등의 개개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무선 파라미터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후술한 디지털 카메라(A100)와 무선LAN접속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접속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무선LAN 채널을 사용하는 정보가 무선 파라미터에 포함되어도 된다.
다음에, 단계S216에서,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부(B112)에 대하여,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를 제공한다.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는, 무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완료한 것을 나타낸다.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는, 예를 들면 무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요구(Write 코맨드)를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대하여 제공하여서 제공된다.
단계S217에서,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대하여, NFC통신에 의해,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를 제공한다.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에 응답하여, 단계S218에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인터럽트 신호 선(A124)을 거쳐서, 제1제어부(A1O1)에 대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제공한다.
단계S218에 있어서의 인터럽트 신호의 제공(인터럽트 통지)과 병행되어, 단계S219에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스마트 폰(B100)의 근접 무선통신부(B112)에,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에 대한 응답(파라미터 취득 완료 응답)을 회신한다. 단계S220에서, 스마트 폰(B1OO)의 근접 무선통신부(B112)는, 제어부(B101)에 대하여, 파라미터 취득 완료 응답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행해진 처리에 의해, 스마트 폰(B100)은,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사용하여서, 디지털 카메라(A100)에 구비된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였다. 또한, 스마트 폰(B100)은, 디지털 카메라(A100)에 대하여, 무선 파라미터의 정상적인 완료를 통지하였다.
다음에, 단계S221에서, 스마트 폰(B100)의 제어부(B101)는, 단계S215에서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를 사용하여서 접속부(B111)를 유효로 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B101)는, 무선LAN통신을 시작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단계S222에서, 접속부(B111)는, 무선LAN통신의 상대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B111)는, 디지털 카메라(A1OO)의 접속부(A111)가 기동하고, 단계S215에서 취득한 SSID가 무선LAN통신으로 검출될 때까지 검색을 계속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제1제어부(A1O1)는, 단계S218에서 제공된 인터럽트 통지에 응답하여, 단계S226에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대하여,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 (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요구를 제공한다. 단계S227에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소정의 어드레스로부터 소정의 사이즈분의 정보를 판독하여, 제1제어부(A1O1)에 회신한다. 단계S226 및 단계S227에서 제1제어부(A1O1)와 근접 무선통신부(A112)간의 통신은, 제어신호선(A125)을 사용해서 실행된다.
단계S228에서, 제1제어부(A1O1)는, 단계S227에서 취득한 정보(무선 파라미터)를 작업용 메모리(A1O4)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단계S229에서, 제1제어부(A1O1)는, 일시적으로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 즉, 스마트 폰(B100)이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와 같은 것을 사용해서, 접속부(A111)를 기동시킨다. 이에 따라, 접속부(A111)는, 스마트 폰(B100)이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와 같은 무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비콘의 발신을 시작한다.
접속부(A111)가 기동된 후, 무선LAN기기를 검색하고 있는 중인 스마트 폰(B100)(단계S222참조)은, 무선LAN통신을 통해 디지털 카메라(A100)를 검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스마트 폰(B100)은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접속부(A111)가 발신한 비콘을 수신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A100)를 검출한다. 그 결과, 단계S230에서, 디지털 카메라(A100) 및 스마트 폰(B100)은, 무선LAN통신의 접속을 확립한다. 단계S231에서, 디지털 카메라(A100) 및 스마트 폰(B100)은, 무선LAN접속이 확립된 것을 확인하고, 무선LAN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를 교환한다.
무선LAN접속의 확립 후, 단계S240에서,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대하여,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의 재기록(갱신)을 요구한다. 단계S241에서, 제1제어부(A1O1)는, 단계S240의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무선 파라미터의 재기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S240 및 단계S241은,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OO)간의 무선LAN접속이 확립한 후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폰(B100)(제1의 통신장치)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B100)과는 다른 다른 스마트 폰(제2의 통신장치)도,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통해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근접 무선통신부(A112)의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에는,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폰(B100)간의 무선LAN접속의 확립에 필요한 SSID나, 암호 키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선 파라미터가 재기록되지 않은 경우, 디지털 카메라(A1OO)와 스마트 폰(B100)이 무선LAN통신을 행하고 있는 중일 때, 스마트 폰(B100)과는 다른 다른 스마트 폰이 근접 무선통신에 의하여 같은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다른 스마트 폰이 통신을 가로막을 수 있다. 무선 파라미터를 재기록하여서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디지털 카메라(A100)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의 무선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중의 무선 파라미터가 유추될 수 없는 값으로 재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카메라(A100)는, 난수 발생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결정한 무선 파라미터로 재기록하여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 알고리즘은 어떠한 특별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OO)이 무선 파라미터를 공유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스마트 폰이 같은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00)간의 무선LAN통신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2a의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A100)는,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접속이 확립된 것을 단계S231에서 확인한 후에,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무선 파라미터를 재기록한다. 그렇지만, 디지털 카메라(A100)는, 단계S226 및 S227에 있어서의 무선 파라미터의 취득 후이면, 다른 타이밍에서 무선 파라미터를 재기록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A100)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타이밍에서, 무선 파라미터를 재기록하여도 된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무선LAN접속이 확립될 것인가 아닌가에 관계없이 무선 파라미터가 기록되어, 무선LAN통신의 시큐리티가 더욱 향상한다.
다음에, 이 경우의 디지털 카메라(A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b에 있어서, 도 2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한다. 도 2b는, 단계S228의 다음에 단계S240 및 단계S241이 행해진다는 점에서 도 2a와 다르다. 또한, 단계S240 및 단계S241의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제1제어부(A1O1)는, 단계S229의 처리의 실행을 보류한다. 무선LAN접속의 확립에는 비교적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도 2a의 경우, 예를 들면 단계S230에서 행해진 접속 처리중에 다른 스마트 폰이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2b의 경우에는, 단계S230에서 행해진 접속 처리전에 이미 무선 파라미터의 재기록이 완료되었고, 다른 스마트 폰은 동일한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없다. 추가로, 가령 단계S230에 있어서 무선LAN접속의 확립이 실패하고, 디지털 카메라(A100)가 도 2b의 처리 시퀀스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도, 이미 무선 파라미터의 재기록이 완료하였기 때문에, 다른 스마트 폰은 그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없다. 따라서, 도 2b에서는, 도 2a보다도 더욱 무선LAN통신의 시큐리티가 향상한다.
또는, 제1제어부(A1O1)는, 도 2a 또는 도 2b에 나타낸 타이밍에 더하여, 이하에서 설명한 타이밍에서 무선 파라미터를 재기록(갱신)해도 된다. 즉, 제1제어부(A1O1)는, 유저에 의해 조작부(A1O5)가 조작된 것에 응답해서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전원이 ON으로 되었을 때(즉, 제1제어부(A1O1)의 기동 처리를 행할 때)에도 무선 파라미터의 재기록(갱신)을 행해도 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전원이 OFF일 때에 스마트 폰(B100)에 의해 판독된 무선 파라미터가 실질적으로 무효이므로, 시큐리티가 더욱 향상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A1OO)는, 스마트 폰(B100)이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한 후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이 동작에 의해 복수의 스마트 폰이 동일한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상황을 억제하고, 무선LAN통신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킨다.
제2의 실시예
상기 제1의 실시예는,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OO)이 1대1로 접속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유저는 반드시 1대1 접속을 요구하지 않고, 1 대 다 접속을 요구하여도 된다. 제1의 실시예의 경우, 복수의 스마트 폰이 동일한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없음에 따라서, 복수의 스마트 폰을 동일한 무선LAN네트워크에 참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1 대 다 접속을 실현할 수 없다. 이 사실을 고려하여, 제2의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1 대 다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1대1 접속이 바람직한 상황과, 1 대 다 접속이 바람직한 상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3b에 있어서, 네트워크(3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에 따라 구축된 네트워크다.
도 3a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A100)는, 상술한 리모트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폰(B100)은, 무선LAN 통신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의 촬영 파라미터(예를 들면, ISO감도나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스마트 폰이 디지털 카메라(A100)의 촬영 파라미터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으면, 어떤 유저가 설정한 촬영 파라미터가 다른 유저에 의해 변경되어, 의도한 촬영을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리모트 촬영 모드에서는 1대1 접속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도 3b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A100)는, 전술한 리모트 재생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폰(B100)은, 디지털 카메라(A100)의 기록 매체(A110)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표시부(B1O6)에 재생시키고, 선택한 화상을 스마트 폰(B100)의 기록 매체(B11O)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스마트 폰이 스마트 폰(B100)에 액세스해서 화상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면, 효과적이다. 이 때문에, 리모트 재생 모드에서는, 1 대 다 접속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도 3b에 도시된 경우의 예에서는, 네트워크(301)에는, 3대의 스마트 폰, 즉 스마트 폰B100-1, B1OO-2, B1OO-3이 참가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무선LAN통신시의 디지털 카메라(A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1대1 접속이 바람직한 상황과, 1 대 다 접속이 바람직한 상황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제2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A100)는, 무선LAN통신시의 동작 모드에 따라,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재기록)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한 설명은 리모트 촬영 모드의 경우에 1대1 접속이 바람직하고, 리모트 재생 모드의 경우에 1 대 다 접속이 바람직하다는 가정에 기초하지만, 이것은 예에 지나지 않고, 동작 모드들과 바람직한 접속 구성간의 관계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A100)가 선택가능한 동작 모드는, 리모트 촬영 모드와 리모트 재생 모드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A100)는, 다른 동작 모드에서 동작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통신장치의 종류에 따라, 동작 모드는 변화된다. 예를 들면, 촬상 기능이 없는 통신장치는, 리모트 촬영 모드를 갖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통신장치에 대해서는, 리모트 촬영 모드 이외의 동작 모드는 1대1 접속이 바람직한 동작 모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A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제2조작부(A122)의 조작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OO)의 전원을 ON으로 하면, 본 흐름도에 따른 처리가 시작한다. 이때, 본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제1제어부(A1O1)가 입력 신호와 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A100)의 각 부를 제어함에 의해 실현된다.
먼저, 단계S401에서, 제1제어부(A1O1)는,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어부(A1O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초기화, 제1제어부(A1O1)에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의 초기화 등을 행한다. 또한, 제1제어부(A1O1)는, 기동 처리의 일부로서, 근접 무선통신부(A112)의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디지털 카메라(A100) 본체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도, 스마트 폰(B100)의 근접 무선통신부(B112)가 발생한 자계로부터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A100)가 전원 OFF인 상태에서 다른 스마트 폰에 의해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가 판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단계S401에 있어서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하여서, 전원 OFF일 때 판독된 무선 파라미터가 무효가 되므로, 더욱 시큐리티를 향상시킨다.
기동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402에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과의 NFC통신이 완료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 기다린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로부터 인터럽트 신호 선(A124)을 거쳐서 출력되는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이 NFC통신을 완료하고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S403에서,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여, 작업용 메모리(A1O4)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단계S404에서, 제1제어부(A1O1)는, 접속부(A111)를 기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어부(A1O1)는, 제2제어부(A120)를 통해, 접속부(A111)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원부(A121)를 제어하여서 접속부(A111)를 기동한다.
단계S405에서, 제1제어부(A1O1)는, 작업용 메모리(A104)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를, 접속부(A111)에 설정한다. 여기에서 언급된 무선 파라미터는, 단계S402에 있어서 스마트 폰(B100)이 NFC 통신에 의해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와 같은 것이다. 무선 파라미터가 설정되면, 디지털 카메라(A100)는, 접속부(A111)를 사용해서, 단계S405에서 설정한 SSID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계S406에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접속이 확립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스마트 폰(B100)은, NFC 통신으로 디지털 카메라(A100)와 같은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므로, 무선LAN접속이 정상적으로 확립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스마트 폰(B100)의 전지잔량이 적기 때문에, NFC 통신이 성공했을지라도 무선LAN접속이 확립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무선LAN접속이 확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407에서, 제1제어부(A1O1)는, 소정시간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제어부(A1O1)가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408에 되돌아간다. 소정시간 경과할 때 무선LAN접속이 확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이 무선LAN을 일시적으로 기동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단계S420에서 무선LAN의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S406에서 무선LAN접속이 확립하면, 단계S430에서, 제1제어부(A1O1)는, 단계S403에 있어서 작업용 메모리(A104)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A1O3)에 기록한다. 단계S430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A100)는,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접속에 사용된 무선 파라미터를, 전원이 OFF로 된 후에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접속의 재확립이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후술의 단계S410에서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무선 파라미터가 갱신되면,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같은 무선 파라미터를 다시 취득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단계S430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전원 OFF 후에 무선LAN접속을 재확립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A1OO)와 스마트 폰(B100)을 서로 근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단계S430의 처리가 행해진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A100)는, 다시 전원이 ON되었을 때에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A1O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고, 스마트 폰(B100)은 이 무선 파라미터를 이미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LAN접속을 재확립하기 위해서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00)을 서로 근접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A1O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와 달리, 근접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없다.
디지털 카메라(A100)는, 불휘발성 메모리(A103)에 기억된 무선LAN파라미터를, 통신 상대인 스마트 폰(B100)과 관련시키는 구조를 가져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제1조작부(A1O5)를 사용하여, 스마트 폰(B100)을 식별하는 이름등을 입력하고, 제1제어부(A1O1)는, 입력된 이름을 무선LAN파라미터에 관련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는, 불휘발성 메모리(A103)에 기억되어 있는 무선LAN파라미터를, 유저가 식별하기 쉬운 형식으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A1O1)는, 한번 무선LAN으로 접속한 스마트 폰의 무선 파라미터를, 유저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A1O6)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저는, 다음번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전원을 ON으로 하고 과거에 한번 접속한 스마트 폰과 접속하는 경우, 표시부(A1O6)에 있어서 대응한 무선 파라미터를 선택하여서 그 접속을 쉽게 재확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지털 카메라(A100)는, 디지털 카메라(A100)가 스마트 폰과 한번 접속한 경우, 무선LAN접속을 재확립하기 위해서 근접 무선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단계S408에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통신을 시작하고,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동작 모드의 통지는, 무선LAN통신의 개시시에,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 제공된다. 제1제어부(A1O1)는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라고 판단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409에 진행되고, 제1제어부(A1O1)가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가 아니다(그 동작 모드가 리모트 재생 모드다)라고 판단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413에 진행된다.
단계S409에서,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의 무선 파라미터를 소거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A1OO)와 스마트 폰(B100)간의 무선LAN통신에 현재 사용중인 무선 파라미터를 다른 스마트 폰이 취득할 수 없게 된다. 단계S410에서,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의 무선 파라미터를, 현재 사용중의 무선 파라미터가 유추될 수 없는 값으로 갱신한다. 새로운 무선 파라미터의 결정 알고리즘은, 제1의 실시예와 같이 어떤 특정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가 리모트 촬영 모드로 동작할 경우, 무선 파라미터는,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00)과의 사이에서만 공유된다.
단계S410에 계속되어서 단계S440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렇지만, 단계S440의 처리의 상세내용은, 단계S421의 설명 후에 설명한다. 먼저, 단계S411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S411에서, 제1제어부(A1O1)는, 촬영 동작을 행하는 권리를 스마트 폰(B100)에 맡기고,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의 리모트 촬영 지시를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어부(A1O1)는, 촬상부(A1O2)를 제어하여, 렌즈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소자를 사용하여서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노이즈 저감 처리등을 행한다. 그리고, 제1제어부(A1O1)는, 노이즈 저감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서 스마트 폰(B100)에 무선LAN을 거쳐 전송한다. 스마트 폰(B100)은, 이렇게 무선LAN을 거쳐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B106)에 표시시킨다. 그 결과, 유저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라이브 뷰(view) 화상을 원격지로부터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서 행해진 디지털 카메라(A100)의 촬영 파라미터(ISO감도나 화이트 밸런스등)와, Av나 Tv촬영은,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 설정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 디지털 카메라(A100)에 촬영 지시가 제공되면,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제1제어부(A1O1)는, 셔터 조작을 행하고,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A110)에 기록한다. 이때, 제1제어부(A1O1)는, 기록 매체(A110)에 기록된 데이터를 리사이즈하여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마트 폰(B100)에 전송하여도 된다.
단계S412에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의 리모트 촬영 모드 종료 통지를 검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언급된 리모트 촬영 모드 종료 통지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B100)이 디지털 카메라(A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는 경우에 발생한다. 또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LAN통신을 종료하는 통지를, 리모트 촬영 모드 종료 통지로서 검출한다. 제1제어부(A1O1)가 리모트 촬영 모드 종료 통지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처리는 단계S440에 되돌아가고, 제1제어부(A1O1)는, 리모트 촬영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한다. 제1제어부(A1O1)가 리모트 촬영 모드 종료 통지를 검출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420에 진행된다.
단계S420에서, 제1제어부(A1O1)는, 제2제어부(A120)를 통해서, 접속부(A111)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부(A121)를 제어함으로써 접속부(A111)에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무선LAN통신이 절단된다. 단계S421에서, 제1제어부(A1O1)는, 종료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 단계S440의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S440의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A100)가 리모트 촬영 모드로 동작중에, 스마트 폰(B1OO) 이외의 스마트 폰이 근접했을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디지털 카메라(A100)가 스마트 폰(B100)과 무선LAN통신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도, 근접한 다른 스마트 폰에 대하여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디지털 카메라(A100)가 리모트 촬영 모드로 동작중에 다른 스마트 폰이 근접했을 경우, 다른 스마트 폰은, NFC통신에 의해, 단계S410에서 갱신된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가능성이 있다. 다른 스마트 폰이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가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그대로 유지된 경우, 또 다른 스마트 폰이 동일한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가능성이 있다. 이 무선 파라미터가 장래의 무선LAN통신에 사용되면, 1대1 접속이 보증되지 않는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단계S440에서,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로부터의 인터럽트 통지에 근거하여, NFC 통신을 검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제어부(A1O1)가 NFC통신을 검출한 경우, 처리는 단계S409에 되돌아가고, 제1제어부(A1O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무선 파라미터의 소거 및 갱신을 행한다. 이에 따라, 다른 스마트 폰이 취득한 무선 파라미터가 장래의 무선LAN통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없고, 이 무선 파라미터는 실질적으로 무효화된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A100)가 리모트 재생 모드로 동작중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S408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리모트 재생 모드라고 제1제어부(A1O1)가 판단했을 경우, 단계S413에서, 제1제어부(A1O1)는, 기록 매체(A110)에 기억된 섬네일 화상들을 스마트 폰(B100)에 대하여 무선LAN을 거쳐서 전송한다. 스마트 폰(B1OO)은, 취득한 섬네일 화상을 표시부(B106)에 표시하여, 유저가 스마트 폰(B100)에 다운로드하고 싶은 화상을 유저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제1제어부(A1O1)는, 무선LAN을 거쳐서, 스마트 폰(B1OO)상에서 선택된 화상을 식별하고, 취득한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A11O)로부터 작업용 메모리(A1O4)에 전개하고, 이 화상 데이터를 스마트 폰(B100)에 전송한다. 또한, 제1제어부(A1O1)는, 리모트 재생 모드로 동작중에 스마트 폰(B100)과의 NFC통신이 행해진 것에 응답하여, 무선LAN통신을 거쳐 스마트 폰(B100)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의 송신 대상의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표시부(A1O6)에 표시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다. 제1제어부(A1O1)는, 예를 들면 인터럽트 신호 선(A124)을 통하여 인터럽트 통지를 수신하여서 스마트 폰(B100)과의 NFC통신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S414에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의 리모트 재생 모드 종료 통지를 검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위에서 서술한 리모트 재생 모드 종료 통지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B100)이 디지털 카메라(A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때 발생한다. 또한,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LAN통신의 종료 통지를 리모트 재생 모드 종료 통지로서 검출한다. 제1제어부(A1O1)가 리모트 재생 모드 종료 통지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처리는 단계S413에 되돌아가고, 제1제어부(A1O1)는, 리모트 재생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한다. 제1제어부(A1O1)가 리모트 재생 모드 종료 통지를 검출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415에 진행된다.
단계S415 및 단계S416에서, 제1제어부(A1O1)는, 단계S409 및 단계S410과 같이 무선 파라미터의 소거 및 갱신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디지털 카메라(A100)는, 리모트 재생 모드로 동작중에,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의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지털 카메라(A100)가 현재 사용중인 무선 파라미터를, 스마트 폰(B100)이외의 스마트 폰이 근접 무선통신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00)으로 구축한 네트워크에, 다른 스마트 폰이 참가할 수 있다(도 3b 참조).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폰(B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흐름도로 나타낸 처리는, 스마트 폰(B100)의 제어부(B101)가 입력 신호와 프로그램에 따라 스마트 폰(B1OO)의 각 부를 제어하여서 실현된다.
최초에, 스마트 폰(B100)은, 제어부(B101)상에서, 디지털 카메라(A100)와 무선LAN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다. 추가로, NFC의 기능은, "유효"상태에 있고, 무선LAN의 기능은 "무효"상태에 있다.
단계S501에서, 스마트 폰(B100)의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검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가 스마트 폰(B1OO)을 디지털 카메라(A100)에 근접시키면,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부(B112)로부터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의 검출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단계S501에 있어서의 판정은, 제어부(B101)가 검출 신호를 검출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 하여서 이루어진다. 제어부(B101)가 검출 신호를 검출하면, 처리는 단계S502에 진행된다.
단계S502에서,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통해서,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판독된 정보는, 무선LAN접속에 필요한 SSID나, 암호 키 등의 무선 파라미터다.
단계S503에서,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무선 파라미터의 판독을 완료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로부터의 응답에 근거해서 이루어진다. 제어부(B101)는, 그 판독이 완료할 때까지, 단계S502의 판독 동작을 계속한다. 그 판독이 완료하면,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작업용 메모리(B1O4)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그 후, 처리는 단계S520에 진행된다.
단계S520에서,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판독한 정보가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NFC통신을 거쳐 판독된 정보(데이터)에 CRC코드가 부가되고, 제어부(B101)는, CRC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판독한 정보에 비트 에러가 포함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수 있다.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판독한 정보가 정상이 아니라고 제어부(B101)가 판단했을 경우, 본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는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S504에 진행된다.
단계S504에서, 제어부(B101)는,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사용해서,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에 대하여,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를 제공한다.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는, 무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완료한 것을 나타낸다. 디지털 카메라(A100)의 근접 무선통신부(A112)는, 근접 무선통신부(B112)로부터의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에 응답하여, 제1제어부(A1O1)에 대하여 인터럽트 통지를 제공한다(도 4의 단계S402 참조).
단계S505에서, 제어부(B101)는,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 기다린다. 응답을 수신하면, 단계S506에서, 제어부(B1O1)는, 무선LAN을 기동시킨다. 여기에서 사용된 무선 파라미터는, 단계S502에 있어서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로부터 판독되어 작업용 메모리(B1O4)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무선 파라미터다.
단계S507에서,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와의 무선LAN 접속이 확립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스마트 폰(B100)은 NFC통신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와 같은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있으므로, 무선LAN접속이 정상적으로 확립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단계S504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의 제공시에 데이터가 통신 불량으로 인해 변경되어 있고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 등의 원인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가 무선LAN을 기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무선LAN접속이 확립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512에서, 제어부(B101)는, 소정시간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부(B101)가 소정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처리는 단계S507에 되돌아간다. 소정시간 경과하였을 때 무선LAN접속이 확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가 무선LAN을 일시적으로 기동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단계S511에서 무선LAN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단계S507에 있어서 무선LAN접속이 확립하면, 단계S508에서,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와의 무선LAN통신을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S508에서 행해진 무선LAN통신의 초기에, 스마트 폰(B1OO)의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에 대하여 동작 모드를 통지한다.
단계S509에서, 제어부(B101)는, 무선LAN통신을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어부(B101)는, 무선LAN통신을 종료한다고 판단할 때까지, 단계S508에 있어서의 무선LAN통신을 계속한다. 무선LAN통신을 종료할 때, 단계S510에서, 제어부(B101)는, 디지털 카메라(A100)에 대하여, 무선LAN통신 종료 통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조작부(B1O5)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동작이 선택된 경우에, 제어부(B1O1)는, 무선LAN통신을 종료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에서 송신된 무선LAN 통신 종료 통지는, 디지털 카메라(A100)의 제1제어부(A1O1)에 의하여, 리모트 촬영(재생)모드 종료 통지로서 검출된다(도 4의 단계S412 및 단계S414 참조).
단계S511에서, 제어부(B101)는, 무선LAN을 절단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00) 양쪽은, 무선LAN통신을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어부(B101)는, 단계S508의 무선LAN통신의 최초에, 디지털 카메라(A100)에 대하여 동작 모드를 통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렇지만, 제어부(B101)는, 단계S504에서, NFC통신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A100)에 대하여 파라미터 취득 완료 통지와 함께 동작 모드의 정보를 제공해도 좋다. 이 경우의 디지털 카메라(A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a 및 6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a 및 6b에 있어서, 도 4와 동일 또는 유사한 처리를 행하는 단계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한다.
단계S601에서, 제1제어부(A1O1)는, 도 4의 단계S402와 같이, 스마트 폰(B100)과의 NFC통신이 완료한 것을 검출할 때까지 기다린다. NFC 통신이 행해졌을 경우, 제1제어부(A1O1)는, 스마트 폰(B10O)으로부터, 근접 무선통신부(A112)를 거쳐서, 동작 모드의 통지를 수신한다. 단계S602에서, 제1제어부(A1O1)는, 단계S601에서 통지된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동작 모드 정보)를, 작업용 메모리(A104)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단계S603에서, 제1제어부(A1O1)는, 단계S602에서 일시적으로 기억된 동작 모드 정보가 리모트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작 모드 정보가 리모트 촬영 모드를 나타낸다고 제1제어부(A1O1)가 판단했을 경우, 처리는 단계S409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404에 진행된다.
도 6a의 단계S409의 처리 및 다음의 단계S410의 처리는, 도 4의 단계S409 및 단계S410의 처리와 같다. 그렇지만, 도 4와 도 6a, 6b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그 처리가 행해지는 타이밍이 다르다.
단계S604에서, 제1제어부(A1O1)는, 도 4의 단계S408과 같이,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통신을 시작하고,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렇지만, 도 4의 단계S408과 달리, 여기에서는 그 동작 모드의 통지는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에, 제1제어부(A1O1)는, 단계S602에서 일시적으로 기억된 동작 모드 정보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인지에 관해 판정한다.
도 6a의 동작에 의하면,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일 경우, 디지털 카메라(A100)는, 도 4의 동작의 경우와 비교해서 빠른 타이밍에서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OO)과의 사이의 무선LAN통신이 시작하기 전에 다른 스마트 폰이 동일한 무선 파라미터를 취득할 가능성이 저하하여서, 시큐리티가 향상한다. 또한, 도 6a의 동작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A100)는, 도 4의 동작의 경우와 비교해서 빠른 타이밍에서 동작 모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무선LAN통신이 시작하기 전에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통지된 동작 모드가 리모트 촬영 모드의 경우, 디지털 카메라(A100)는, 무선LAN통신이 시작할 때 이미 리모트 촬영 모드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무선LAN통신의 시작 직후 촬영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는, 접속부(A111) 및 접속부(B111)가 무선LAN통신을 행한다. 그렇지만, 무선LAN 통신을 IEEE 802.15규격(소위, 블루투스(등록상표))로 대체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는 구현될 수 있다. 그 경우, 근접 무선통신부(A112) 및 근접 무선통신부(B112)를 통하여 근접 무선통신으로 교환된 파라미터를, 블루투스(등록상표)용의 파라미터로 대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A1OO)는, 무선LAN통신시의 동작 모드에 따라,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내의 무선 파라미터를 갱신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동작에 의하여, 1대1 접속일 경우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1대다 접속을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예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도 4의 단계S409에서의 처리를 행한 후 단계S410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를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기록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여기서는 단계S409의 통신 파라미터의 소거만을 행하는 것이 허용되고, 단계S410은 다른 타이밍에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단계S412에서 리모트 촬영 모드 종료 통지를 받은 타이밍, 즉, 스마트 폰(B1OO)과의 통신 서비스를 종료하는 타이밍(서비스 종료의 직전 또는 직후)에서 단계S410의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의 기록을 행해도 된다. 또는, 단계S420에서 무선LAN이 절단된 타이밍(무선LAN절단의 직전 또는 직후)에서 단계S410의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의 기록을 행해도 좋다. 도 4의 단계S415와 단계S416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마찬가지로, 도 2b의 단계S240에서는, 그 요구는 재기록 요구가 아니고 삭제 요구이어도 되고,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의 기록은 다른 타이밍에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단계S231의 통신 처리를 종료하는 타이밍이나, 무선LAN이 절단된 타이밍에서,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의 기록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삭제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더미 데이터로 갱신해두고, 나중에 새로운 통신 파라미터의 기록을 행하는 것도 허용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도 6a의 단계S409의 처리를, 접속부(A111)의 기동(단계S404) 전에 행하는 예에 대해서 서술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단계S406에서 스마트 폰(B100)과의 무선LAN의 접속이 완료하기 전에 단계S409의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또는, 단계S411에서 리모트 촬영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단계S409의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도, 적어도 디지털 카메라(A100)와 스마트 폰(B100)이 데이터를 교환하는 타이밍(즉, 단계S411을 실행하는 타이밍)에서는, 시큐리티가 보장된다. 도 2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상기의 제2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A100)에 복수의 스마트 폰을 접속할 수 있다고 서술했다. 이 점에 관해서는, 현실적으로는 디지털 카메라(A100)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수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현재 무선LAN을 거쳐서 디지털 카메라(A100)에 접속하고 있는 스마트 폰의 수를 카운트하고, 한계에 도달할 때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통신 파라미터를 삭제 혹은 갱신해도 된다. 또한, 일단 한계에 도달해서 통신 파라미터를 삭제 혹은 갱신한 후에, 어떠한 스마트 폰과도 접속이 종료하면, 다시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에 현재 사용중의 통신 파라미터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달리 말하면, 현재 접속된 스마트 폰의 수에 따라 근접 무선통신 불휘발성 메모리(A123)의 통신 파라미터는 유효상태와 무효상태로 전환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부;
    상기 제1의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 및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고,
    상기 제2의 통신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메모리에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로부터 삭제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로부터 삭제한 후,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와는 값이 다른 제2 통신 파라미터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통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메모리에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1의 통신부가 유지하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와는 값이 다른 제2 통신 파라미터로 갱신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접속을 하기 전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를 기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를 기동하기 전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접속을 확립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를 기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를 기동할 때,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사용한 서비스를 하기 전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판독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따라, 상기 판독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는, 통신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기록요구를 수신하는 것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장치의 전원이 온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제1의 통신부에 기록된 통신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통신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발생된 전력을 사용하여서 동작하는, 통신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2의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참가 요구를 기다리는, 통신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촬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통신부가 상기 촬상부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2의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외부장치와의 통신으로 실행되는 서비스에 따라, 상기 제1의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통신장치.
  19.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장치는,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상기 유지된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제1의 통신부; 및
    상기 제1의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하는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제2의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의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의 공유에 따라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행할 때에, 상기 외부장치와 공유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하고, 상기 제2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제1의 통신부를 거쳐 공유할 수 없는 상태로 된 상기 제1 통신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20. 컴퓨터에 청구항 19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50090219A 2014-06-30 2015-06-25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KR101791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5168A JP6366386B2 (ja) 2014-06-30 2014-06-30 通信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135168 201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75A KR20160002375A (ko) 2016-01-07
KR101791860B1 true KR101791860B1 (ko) 2017-10-31

Family

ID=5493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219A KR101791860B1 (ko) 2014-06-30 2015-06-25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36298B2 (ko)
JP (1) JP6366386B2 (ko)
KR (1) KR101791860B1 (ko)
CN (1) CN105227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2693B1 (en) * 2014-08-12 2022-11-30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63050B2 (ja) * 2014-09-08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6590605B2 (ja) * 2015-09-09 2019-10-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携帯表示機器、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携帯表示機器の制御方法、及びウエアラブル表示機器
JP6570575B2 (ja) * 2017-05-02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91613B2 (ja) 2017-07-05 2022-06-2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カメラ装着ドローン、およびモード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0955441B (zh) * 2018-09-27 2021-11-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算法的更新方法及装置
TWI696920B (zh) * 2018-10-22 2020-06-21 大陸商明緯(廣州)電子有限公司 無線式參數設定系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249A (ja) * 2009-10-19 2011-04-28 Ricoh Co Ltd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1229164A (ja) * 2011-06-07 2011-11-10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084156A (ja) 2010-10-14 2012-04-26 Sony Corp 近距離無線通信装置及び近距離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7198B1 (en) * 2000-02-15 2002-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etermining system configuration
EP1301036A3 (en) 2001-10-03 2004-01-14 Konica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EP1355457B1 (en) * 2002-04-19 2006-06-14 Yamaha Corporatio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JP4895346B2 (ja) * 2004-11-19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6287767A (ja) * 2005-04-04 2006-10-1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90052401A1 (en) * 2006-02-06 2009-02-26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ntroller, mobile device, handover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4781139B2 (ja) * 2006-03-20 2011-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24409A (ja) 2007-11-14 2009-06-04 Sony Corp 撮像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92370A (ko) * 2008-02-27 2009-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서들 간의 데이터 이동 이벤트를 감소시키는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를 채용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과 멀티포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구동방법
US8549093B2 (en) * 2008-09-23 2013-10-01 Strategic Technology Partners, LLC Updating a user session in a mach-derived system environment
JP2010136216A (ja) 2008-12-05 2010-06-17 Olympus Imaging Corp 携帯機器
US8976795B2 (en) * 2009-02-25 2015-03-10 Microsoft Corporation Gateway advertisement in a wireless mesh
JP5603647B2 (ja) * 2009-05-13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給電装置の制御方法及び給電通信システム
US8514798B2 (en) * 2010-02-25 2013-08-20 Mediatek Inc. Methods for scheduling channel activities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in a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utilizing the same
US8442577B2 (en) * 2010-03-30 2013-05-14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ntenna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circuits
JP5143191B2 (ja) * 2010-06-30 2013-02-13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周辺装置を利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方法
JP2012109944A (ja) * 2010-10-29 2012-06-07 Buffalo Inc 無線lanシステム、通信装置、設定情報の共有方法
US9031013B2 (en) * 2011-05-05 2015-05-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dentifier-shar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using the same
JP5843634B2 (ja) 2012-01-30 2016-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545486B1 (ko) * 2014-06-09 2015-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7249A (ja) * 2009-10-19 2011-04-28 Ricoh Co Ltd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2084156A (ja) 2010-10-14 2012-04-26 Sony Corp 近距離無線通信装置及び近距離無線通信方法
JP2011229164A (ja) * 2011-06-07 2011-11-10 Canon Inc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7812A (zh) 2016-01-06
JP2016015537A (ja) 2016-01-28
US10536298B2 (en) 2020-01-14
CN105227812B (zh) 2019-07-12
US20150378331A1 (en) 2015-12-31
JP6366386B2 (ja) 2018-08-01
KR20160002375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860B1 (ko)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JPWO2013118487A1 (ja) 通信装置
KR20160069482A (ko) 촬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JP6097507B2 (ja) 通信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907415B1 (ko)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JP2015073231A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46231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433265B2 (ja)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821360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85078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869746B2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5604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8136702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19018287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99977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システム
JP2018006997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6570575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00821B2 (ja) 通信装置、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5211353A (ja) 通信端末並びに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接続制御方法
JP646882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8006962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62059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14884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9154001A (ja) 通信制御装置、撮像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