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733A -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733A
KR20140107733A KR1020130020665A KR20130020665A KR20140107733A KR 20140107733 A KR20140107733 A KR 20140107733A KR 1020130020665 A KR1020130020665 A KR 1020130020665A KR 20130020665 A KR20130020665 A KR 20130020665A KR 20140107733 A KR20140107733 A KR 2014010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lid
head
cartridge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921B1 (ko
Inventor
이영원
신동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좋은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좋은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좋은기술
Priority to KR102013002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921B1/ko
Priority to US14/770,720 priority patent/US9915092B2/en
Priority to JP2015559195A priority patent/JP6077142B2/ja
Priority to PCT/KR2014/001540 priority patent/WO2014133305A1/ko
Priority to CN201480010351.9A priority patent/CN105008303B/zh
Publication of KR2014010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03B23/24Making hollow glass sheets or bri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진공 환경이 형성되는 진공실;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덮개들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진공실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를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카트리지 엘리베이터;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덮개를 낱개씩 이송하는 덮개 이송 장치; 상기 덮개 이송 장치로부터 덮개를 인계받는 덮개 안착 헤드; 및 상기 덮개 안착 헤드를 상기 유리판의 진공홀까지 승강시키는 헤드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기 때문에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어 밀봉시켜서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Sealing apparatus of manufacturing equipment for vacuum window}
본 발명은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창이란,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진공부를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단열성을 증대시키는 유리창의 일종이다.
이러한 진공창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 쌍의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유리판의 가장자리에 프릿실(frit seal)을 도포하여 열처리한 후,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상판과 하판 사이에 진공부를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 하판에는 배기홀이 형성되고, 배기홀 주변으로 짧은 파이프 형상의 팁(tip)을 설치한 후, 상기 팁에 진공 호스를 연결함으로써 상판과 하판 사이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진공 호스가 제거된 팁을 융접하여 진공부를 밀폐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종래의 진공창은 팁의 일부가 융착되어 하판 표면에 남아 돌출되는 것으로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진공 호스로 형성할 수 있는 진공도가 낮아서 진공창의 기능이 떨어지고, 돌출된 팁이 외력에 취약하여 제품이 파손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진공창 제조방법은, 고온과, 고진공의 환경에서도 거대한 유리판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파레트(pallet)가 개발되지 못해서, 일련의 과정들이 수작업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공정을 자동화 및 라인화할 수 없어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자동화 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어 밀봉시켜서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진공 환경이 형성되는 진공실;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덮개들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진공실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를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카트리지 엘리베이터;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덮개를 낱개씩 이송하는 덮개 이송 장치; 상기 덮개 이송 장치로부터 덮개를 인계받는 덮개 안착 헤드; 및 상기 덮개 안착 헤드를 상기 유리판의 진공홀까지 승강시키는 헤드 엘리베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진공실은, 일측에 개폐문이 설치되고, 내부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는, 상기 진공실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나사봉에 나사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에서 상기 카트리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장막대; 및 상기 연장막대를 둘러싸고, 가동대와 상기 진공실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에 설치된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리미트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덮개 이송 장치는, 제 1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제 1 쐐기부재 및 제 2 쐐기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힘 또는 열림되는 탄성 핑거; 및 상기 탄성 핑거가 설치되고, 제 2 실린더에 의해 상기 진공실에 설치된 핑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이동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덮개 안착 헤드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과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덮개 하방으로 탄성 후진될 수 있고, 상기 덮개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설치되는 탄성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는, 상기 진공실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나사봉에 나사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에서 상기 덮개 안착 헤드까지 연장되는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장막대; 및 상기 연장막대를 둘러싸고, 가동대와 상기 진공실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는, 상기 연장막대와 상기 덮개 안착 헤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 안착 헤드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Y축 레일을 따라 Y축 이송 모터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Y축 가동대; 및 상기 Y축 가동대에 설치되는 X축 레일을 따라 X축 이송 모터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장막대와 연결되는 X축 가동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Y축 가동대에 설치된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리미트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는,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어 밀봉시켜서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치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사상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덮개 안착 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 등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 사상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공실(10)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C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100)는,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진공창용 유리판(1)에 형성된 진공홀(1a)을 덮개(2)로 덮는 장치로서, 크게 진공실(10)과,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 엘리베이터(30)와, 덮개 이송 장치(40)와, 덮개 안착 헤드(50) 및 헤드 엘리베이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실(10)은, 내부 공간(A)이 형성되고, 진공 환경이 형성되는 챔버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진공실(1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폐문(11)이 설치되어 부품의 보충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내부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12)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내부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20)는, 상기 진공실(10)의 상기 내부 공간(A)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덮개(2)들을 적층된 상태로 수용하고,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30)에 의해 순차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구조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30)는, 상기 진공실(10)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트리지(20)를 순차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실(1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과, 상기 고정 프레임(31)에 설치되는 나사봉(32)과, 상기 나사봉(32)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33)와, 상기 고정 프레임(3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4)와, 상기 나사봉(32)에 나사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승하강되는 가동대(35)와, 상기 가동대(35)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35)에서 상기 카트리지(20)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장막대(36) 및 상기 연장막대(36)를 둘러싸고, 가동대(35)와 상기 진공실(10)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관(3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3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회전 모터(33)가 일정한 각도씩 회전되면 상기 나사봉(32)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동대(35)가 상기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순차적으로 상승되면서 상기 카트리지(20)에 적층된 복수개의 덮개(2)들이 후술될 상기 덮개 이송 장치(4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공백 공간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카트리지(20)가 최상층의 덮개(2)를 항상 일정한 높이에 순차적으로 대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30)는, 상기 고정 프레임(31)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35)에 설치된 감지돌기(35a)를 감지하는 리미트 광센서(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 광센서(38)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20)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거나 최상 위치나 최하 위치 등을 감지하여 작업자가 정상적인 작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거나 상기 덮개(2)들을 보충해야 할 시기를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이송 장치(40)는, 상기 내부 공간(A)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20)로부터 덮개(2)를 낱개씩 이송하는 장치로서, 제 1 실린더(41)에 의해 승하강하는 제 1 쐐기부재(42) 및 제 2 쐐기부재(43)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힘 또는 열림되는 탄성 핑거(44) 및 상기 탄성 핑거(44)가 설치되고, 제 2 실린더(45)에 의해 상기 진공실(10)에 설치된 핑거 이송 레일(46)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이동대(4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 이송 장치(40)는,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30)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이송된 덮개(2)를 제 1 쐐기부재(42)에 의해 그 사이가 벌려진 상기 탄성 핑거(44)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실린더(4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쐐기부재(42)를 상승시켜서 상기 탄성 핑거(44)를 오므리고, 이어서, 상기 덮개(2)를 잡은 상기 탄성 핑거(44)를 상기 제 2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핑거 이동대(47)와 함께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제 1 실린더(41)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쐐기부재(43)를 하강시켜서 상기 탄성 핑거(44)를 벌림으로써 상기 덮개(2)를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 위에 개별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진공실(10) 내부에는 실린더나 모터 등의 구동 기구가 설치되지 않고, 실린더나 모터는 상기 진공실(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 이물질로부터 상기 덮개(2)를 청정하게 보호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진공실(10)의 고진공압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덮개 안착 헤드(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는, 상기 덮개 이송 장치(40)로부터 덮개(2)를 인계받는 것으로서, 헤드 몸체(51)와, 상기 헤드 몸체(51)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2)를 가열하는 히터(52) 및 상기 헤드 몸체(51)에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53)과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덮개(2) 하방으로 탄성 후진될 수 있고, 상기 덮개(2)를 안내하는 안내홈(54a)이 설치되는 탄성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2)는 상기 탄성 가이드(54)의 안내홈(54a)에 의해 안내되어 정렬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히터(52)에 의해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에 안착된 덮개(2)는 고온으로 미리 예열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가 상기 덮개(2)를 안착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60)에 의해 상기 유리판(1) 방향으로 상승하면, 먼저 상기 탄성 가이드(54)가 상기 유리판(1)과 충돌하면서 탄성 후진되면서 상기 덮개(2)가 정렬된 상태에서 정확한 진공홀(H)의 위치에 정밀하게 봉구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60)는,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를 상기 유리판(1)의 진공홀(H)까지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진공실(1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61)과, 상기 고정 프레임(61)에 설치되는 나사봉(62)과, 상기 나사봉(62)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63)와, 상기 고정 프레임(6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64)와, 상기 나사봉(62)에 나사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64)를 따라 승하강되는 가동대(65)와, 상기 가동대(65)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65)에서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까지 연장되는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장막대(66) 및 상기 연장막대(66)를 둘러싸고, 가동대(65)와 상기 진공실(10)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관(6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6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회전 모터(63)가 회전되면 상기 나사봉(62)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동대(65)가 상기 가이드부재(64)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덮개(2)가 안착된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를 상기 유리판(1)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덮개(2)가 상기 유리판(1)에 봉구되면 다시 상기 회전 모터(63)를 역회전시켜서 상기 가동대(65)를 하강시킴으로써 다음 덮개(2)를 위해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막대(66)와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장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조절 장치(70)는, 상기 고정 프레임(61)에 설치되는 Y축 레일(71)을 따라 캠(C)을 회전시키는 Y축 이송 모터(72)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Y축 가동대(73) 및 상기 Y축 가동대(73)에 설치되는 X축 레일(74)을 따라 X축 이송 모터(75)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장막대(66)와 연결되는 X축 가동대(7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X축 이송 모터(75) 및 상기 Y축 이송 모터(72)를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상기 연장막대(66)와 연결된 덮개 안착 헤드(5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정밀하게 이동시켜서 상기 유리판(1)의 진공홀(H)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조절 장치(70)는, 상기 고정 프레임(61)에 설치되고, 상기 Y축 가동대(73)에 설치된 감지돌기(77)를 감지하는 리미트 광센서(7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 광센서(78)을 이용하여 상기 연장막대(66)와 연결된 덮개 안착 헤드(50)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덮개 안착 헤드(50)의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유리판 1a: 진공홀
2: 덮개 100: 봉구 장치
A: 내부 공간 10: 진공실
20: 카트리지 30: 엘리베이터
40: 덮개 이송 장치 50: 덮개 안착 헤드
60: 헤드 엘리베이터 11: 개폐문
12: 확인창 31: 고정 프레임
32: 나사봉 33: 회전 모터
34: 가이드부재 35: 가동대
36: 연장막대 37: 벨로우즈관
35a: 감지돌기 38: 리미트 광센서
41: 제 1 실린더 42: 제 1 쐐기부재
43: 제 2 쐐기부재 44: 탄성 핑거
45: 제 2 실린더 46: 핑거 이송 레일
47: 핑거 이동대 51: 헤드 몸체
52: 히터 53: 탄성 스프링
54: 탄성 가이드 54a: 안내홈
61: 고정 프레임 62: 나사봉
63: 회전 모터 64: 가이드부재
65: 가동대 66: 연장막대
67: 벨로우즈관 70: 위치 조절 장치
71: Y축 레일 C: 캠
72: Y축 이송 모터 73: Y축 가동대
74: X축 레일 75: X축 이송 모터
76: X축 가동대 77: 감지돌기
78: 리미트 광센서

Claims (10)

  1.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진공창용 유리판에 형성된 진공홀을 덮개로 덮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진공 환경이 형성되는 진공실;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덮개들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진공실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를 순차적으로 승강시키는 카트리지 엘리베이터;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덮개를 낱개씩 이송하는 덮개 이송 장치;
    상기 덮개 이송 장치로부터 덮개를 인계받는 덮개 안착 헤드; 및
    상기 덮개 안착 헤드를 상기 유리판의 진공홀까지 승강시키는 헤드 엘리베이터;
    를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실은, 일측에 개폐문이 설치되고, 내부 확인이 가능한 확인창이 설치되는 것인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는,
    상기 진공실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나사봉에 나사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에서 상기 카트리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장막대; 및
    상기 연장막대를 둘러싸고, 가동대와 상기 진공실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관;
    을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엘리베이터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에 설치된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리미트 광센서;
    를 더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이송 장치는,
    제 1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는 제 1 쐐기부재 및 제 2 쐐기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닫힘 또는 열림되는 탄성 핑거; 및
    상기 탄성 핑거가 설치되고, 제 2 실린더에 의해 상기 진공실에 설치된 핑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이동대;
    를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안착 헤드는,
    헤드 몸체;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과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덮개 하방으로 탄성 후진될 수 있고, 상기 덮개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설치되는 탄성 가이드;
    를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는,
    상기 진공실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나사봉에 나사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승하강되는 가동대;
    상기 가동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대에서 상기 덮개 안착 헤드까지 연장되는 연장되어 설치되는 연장막대; 및
    상기 연장막대를 둘러싸고, 가동대와 상기 진공실 사이에 설치되는 벨로우즈관;
    을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엘리베이터는,
    상기 연장막대와 상기 덮개 안착 헤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덮개 안착 헤드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Y축 레일을 따라 Y축 이송 모터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Y축 가동대; 및
    상기 Y축 가동대에 설치되는 X축 레일을 따라 X축 이송 모터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장막대와 연결되는 X축 가동대;
    를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Y축 가동대에 설치된 감지돌기를 감지하는 리미트 광센서;
    를 더 포함하는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KR1020130020665A 2013-02-26 2013-02-26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KR10147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65A KR101474921B1 (ko) 2013-02-26 2013-02-26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US14/770,720 US9915092B2 (en) 2013-02-26 2014-02-26 Sealing apparatus for vacuum window manufacturing equipment
JP2015559195A JP6077142B2 (ja) 2013-02-26 2014-02-26 人工窓製造設備の封口装置
PCT/KR2014/001540 WO2014133305A1 (ko) 2013-02-26 2014-02-26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CN201480010351.9A CN105008303B (zh) 2013-02-26 2014-02-26 用于真空窗制造设备的密封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65A KR101474921B1 (ko) 2013-02-26 2013-02-26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733A true KR20140107733A (ko) 2014-09-05
KR101474921B1 KR101474921B1 (ko) 2014-12-22

Family

ID=5142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665A KR101474921B1 (ko) 2013-02-26 2013-02-26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15092B2 (ko)
JP (1) JP6077142B2 (ko)
KR (1) KR101474921B1 (ko)
CN (1) CN105008303B (ko)
WO (1) WO2014133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672A (ko) * 2019-08-30 2021-03-10 캐논 톡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29699T2 (de) * 1993-09-27 2002-08-14 Saint Gobain Isolierverglasung und Vakuumerzeugungsverfahren dafür
JP2000184547A (ja) * 1998-12-14 2000-06-30 Yazaki Corp ゴム栓挿入装置
JP2002012455A (ja) * 2000-04-27 2002-01-15 Central Glass Co Ltd 低圧複層ガラス
EP2176488B1 (en) * 2007-08-07 2018-11-21 Hunter Dougla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lucent insulated glass panel
FR2926070B1 (fr) * 2008-01-07 2009-12-18 Eris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distribution de petites pieces telles des rivets.
ITTV20080032A1 (it) * 2008-02-20 2009-08-21 For El Base Di Vianello Fortunato & C Snc Dispositivo automatico e procedimento automatico per la sigillatura perimetrale del vetro isolante composto da almeno due lastre di vetro ed almeno un telaio distanziatore avente profilo complesso differente dal tradizionale.
US20120107834A1 (en) * 2009-01-16 2012-05-03 Angros Lee H Encapsulated reagents and methods of use
EP2226152B1 (en) * 2009-03-02 2012-09-05 Willcox Investments S.A. A device for precisely manipulating objects, such as a pick and place device
KR101042725B1 (ko) * 2009-12-17 2011-06-20 (주)알가 진공유리패널의 진공 봉지장치 및 그 봉지방법
KR101157580B1 (ko) * 2010-02-04 2012-06-19 (주)엘티엘 진공유리 제조장치
KR101198343B1 (ko) * 2010-07-21 2012-11-08 정일종 진공창과 진공창 제조방법 및 진공창 제조 시스템
CN102557410A (zh) * 2010-12-10 2012-07-11 上海镭立激光科技有限公司 制造并密封真空玻璃中排气口的方法及系统
KR101058170B1 (ko) * 2011-01-31 2011-08-22 (주)알가 진공유리패널 및 그 봉지 방법
CN102690046B (zh) * 2011-03-22 2016-01-13 黄家军 一种真空玻璃封边方法
JP5839170B2 (ja) * 2011-09-03 2016-01-06 Tdk株式会社 ワーク搬送装置、並びにワーク処理装置及びワーク処理方法
CN103570229B (zh) * 2012-08-10 2015-11-25 北京新立基真空玻璃技术有限公司 真空抽取装置、真空玻璃制作系统以及相关方法
US9193212B2 (en) * 2013-02-12 2015-11-24 Crayola, Llc Marker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3305A1 (ko) 2014-09-04
US9915092B2 (en) 2018-03-13
KR101474921B1 (ko) 2014-12-22
CN105008303A (zh) 2015-10-28
CN105008303B (zh) 2017-05-31
US20160002972A1 (en) 2016-01-07
JP2016515086A (ja) 2016-05-26
JP6077142B2 (ja)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1302B2 (ja) ポートドア位置決め装置及び関連の方法
KR101611487B1 (ko) 용기 개폐 장치
US20110215028A1 (en) Substrate storage pod and lid opening/closing system for the same
JP6745047B2 (ja) 蓋閉めシステム及び蓋閉め方法
CN114975207B (zh) 一种带升降真空爪的转台及交接方法
KR20180001193A (ko) 진공포장장치
KR20210056332A (ko) 핀 리프팅 디바이스
KR101474921B1 (ko)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US8979463B2 (en) Load port apparatus
KR101541124B1 (ko) 진공창 제조 설비의 봉구 장치
TWI789436B (zh) 收納盒開啟器
US9324595B2 (en) Load port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object to be processed
CN213766555U (zh) 一种用于片式电子元件的切割机
TWI814990B (zh) 蓋開閉裝置
TW202039333A (zh) 蓋開閉裝置
CN206665691U (zh) 一种用于玻璃基板的传送装置
CN213766577U (zh) 一种用于片式电子元件供料且具有校正机构的运输台
CN213766581U (zh) 一种用于片式电子元件的上料供料装置
CN213622011U (zh) 一种用于片式电子元件供料的校正装置
CN213603056U (zh) 一种用于片式电子元件的供料系统
KR101324074B1 (ko) 로드락 얼라이너 챔버
CN117038547B (zh) 密封转移机构及芯片封装设备
TWI672261B (zh) 封蓋裝置及封蓋方法
CN111137680B (zh) 一种搬运装置
JP2019121773A (ja) Efem及びefemのガス置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