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006A - 실드부재 및 보호모 - Google Patents

실드부재 및 보호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006A
KR20140101006A KR1020147020818A KR20147020818A KR20140101006A KR 20140101006 A KR20140101006 A KR 20140101006A KR 1020147020818 A KR1020147020818 A KR 1020147020818A KR 20147020818 A KR20147020818 A KR 20147020818A KR 20140101006 A KR20140101006 A KR 2014010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plate
matrix
wearer
guide member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070B1 (ko
Inventor
와타루 오쿠마
후미하루 나카야마
노리타카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7Visors with sun visors, e.g. peaks above face opening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와 이 실드부재가 설치되는 보호모에 있어서, 착용자가 실드부재의 주변부를 통해 사물을 볼 때에도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인다.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3)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판(5)에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는 실드판(5)이다.

Description

실드부재 및 보호모{Shield member and protective headwear}
본 발명은 실드부재 및 보호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자의 안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택의 건축 작업중에 정타기에서 못이 튀어올라 작업자의 눈에 박히는 등에 대한 사고 대책으로서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는 실드(투명 또는 반투명한 실드판)가 부착된 보호모(헬멧)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3-04931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3-25351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2003-08251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보호모에 설치되어 있는 실드판은, 예를 들면 투명한 수지 등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소재를 가열하고 변형하여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실드판의 부위와 상관없이 실드판의 두께가 대략 일정하여 착용자가 실드판을 통해 사물을 볼 때 실드판의 중앙부를 통해 보는 상이 왜곡되는 경우는 대략 없지만, 실드판의 주변부를 통해 보는 상이 왜곡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보호모를 착용자가 쓰고 실드판으로 착용자의 안면을 덮은 상태에서 착용자가 정면(진전(眞前))을 볼 경우에는 착용자가 보는 화상은 거의 왜곡되지 않지만 착용자가 안구를 좌우나 상하로 움직여 시선을 좌우 상하 방향으로 벗어나게 하면 착용자가 보는 화상이 왜곡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와 이 실드부재가 설치되는 보호모에 있어서, 착용자가 실드부재의 주변부를 통해 사물을 볼 때에도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드부재 및 보호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帽體)에 설치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에 있어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상기 제1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안면쪽인 안쪽 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이 상하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이 상하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상기 제1 태양 또는 상기 제2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에 있어서, 본체부와 차양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본체부의 아래쪽에서 본체부와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져 돌출되어 있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상기 제3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안쪽에 소정의 폭으로 패여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에 장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로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본체부와, 비래물(飛來物)이 상기 착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차양부를 가지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상기 제5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착용자쪽으로 패여 하단쪽으로 개방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는, 상기 제5 태양 또는 상기 제6 태양에 기초한 실드부재에 있어서,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와, 상기 실드부재가 상기 모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실드부재가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피복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드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고, 상기 실드부재를 상기 수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드부재의 차양부와 상기 모체의 차양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실드부재이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기초한 보호모는, 상기 제1 태양∼상기 제7 태양에 관한 실드부재와,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와, 상기 모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는 피복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실드부재가 이동하도록 상기 실드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는 보호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와 이 실드부재가 설치되는 보호모에 있어서, 착용자가 실드부재의 주변부를 통해 사물을 볼 때에도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보호모(1)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보호모(1)를 안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가이드부재(11)와 실드판(5)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O은, 가이드부재(11)와 실드판(5)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드판(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드판(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드판(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XV-XV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의 XVI-XV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가이드부재(1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XIX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0은, 실드판(5)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6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보호모(20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보호모(201)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보호모(201)를 안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는, 보호모(201)를 안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3의 XXVI-XXVI단면이다.
도 27은, 보유지지수단(261)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0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보호모(301)의 모체(303)와 범용 보호모의 모체(300)와의 외형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보호모(301)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착용자가 보호모(301)를 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안쪽 부재(32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8의 XXXIII-XXXIII단면도이다.
도 34는, 보호모(30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5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보호모(35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의 X부의 확대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보호모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은, 보호모의 정면도로서, 도 39의 XL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41은, 보호모의 저면도로서, 도 39의 XLI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42는, 모체와 가이드부재와의 걸어맞춤 상태, 모체와 턱끈이나 해먹과의 걸어맞춤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가이드부재와 실드판과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가이드부재와 실드판과의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가이드부재에서의 가이드부 등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모체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모체에 설치되어 있는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모체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는, 실드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실드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5는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3, 도 6은 보호모(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측면도이다.
아울러 도 1, 도 2, 도 3은 실드판(5)을 수납 위치(P1)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도 5, 도 6은 실드판(5)을 피복 위치(P3)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보호모(1)의 중심을 통해 보호모(1)의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평면에 의한 보호모(1)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보호모(1)를 안쪽에서 본 도면이다. 아울러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9, 도 10은 가이드부재(11)와 실드판(5)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도 9는 실드판(5)을 수납 위치(P1)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실드판(5)을 피복 위치(P3)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실드판(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실드판(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실드판(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XIV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XV-XV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2의 XVI-XVI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가이드부재(1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XVIII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7의 XIX쪽에서 본 도면이다.
아울러 이하에서 보호모(모체, 실드판, 가이드부재 등)에서의 각 방향을 폭방향(좌우 방향), 전후 방향, 상하 방향으로 하고 「우」, 「좌」, 「상」, 「하」, 「전」, 「후」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각 방향은 보호모를 기립(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쓴 경우의 방향이며, 상기 3개의 각 방향은 서로 대략 직교되어 있다.
보호모(실드면이 부착된 헬멧)(1)는, 예를 들면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체(3)와 실드판(5)과 실드판(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체(3)는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주발(椀)형(예를 들면,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반구각(半球殼; hemispherical shell)이란, 소정 반경의 제1 구(球)로부터, 이 제1 구의 반경보다 약간 작은 반경으로 상기 제1 구와 중심이 일치하는 제2 구를 없앤 형상의 입체를 상기 각 구의 중심 또는 이 근방을 지나는 평면으로 2분할했을 때 형성되는 한쪽의 입체이다.
모체(3)는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완전한 「반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는 않다. 즉, 모체(3)는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모체(3)의 개구부(연; 하측 단)(9)도 완전한 원형이 아닌,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되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체(3)가 반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보호모(1)를 쓴 경우, 모체(3)의 개구부(9)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개구부(9)는 착용자의 귀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 착용자의 귀가 노출되어 있다(도 1∼도 6 참조). 아울러 모체(3)의 개구부(9)의 앞쪽에는 차양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실드판(면체; 실드부재)(5)은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지 등 투명(유색 투명을 포함)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수단(7)은 실드판(5)이 모체(3)에 대해 이동할 때 실드판(5)을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수단(7)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과 피복 위치(P3) 사이에서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위치(P1)은 실드판(5)이 모체(3)의 앞쪽 내부에 수납되는 위치이고, 피복 위치(P3)는 실드판(5)이 착용자의 안면(머리부의 전면)의 대략 전부를 덮는 위치이다. 아울러 보호모(1)를 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쓰고 피복 위치(P3)에 실드판(5)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착용자의 전방에서 보면 착용자의 귀가 실드판(5)으로 가려져 있는 것으로 한다.
가이드수단(7)에 의해 가이드되는 실드판(5)은 모체(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보호모(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보호모(1)(모체(3))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축(C1)(도 3, 도 6, 도 7 참조)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이동(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의 축(C1)은 착용자의 귀의 후방 부위를 지나 모체(3)의 좌우 방향(도 3, 도 6, 도 7의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수단(7)은, 예를 들면 가이드부재(11)에 설치된 가이드부(13)와, 실드판(5)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3)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를 모체(3)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소정의 축(C1)을 중심으로 하여 모체(3)의 앞쪽 내부에서, 가이드부(13)가 모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13)는 가이드부재(11)의 예를 들면 폭방향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실드판(5)은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드판(5)의 폭방향의 예를 들면 양단측 부위와 중앙부에는, 가이드부(13)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15)가 가이드부(13)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수납 위치(P1)과 피복 위치(P3) 사이에서 실드판(5)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위치(P1)에 실드판(5)이 위치한 상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상태에서 실드판(5)이 모체(3)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실드판(5)의 하단부(차양(17)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부)와 이 근방의 부위가 모체(3)의 하단부(모체(3) 앞쪽의 개구부)(9)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차양(차양부)(17)은 실드판(5)의 하단부에서 반전되어 있다. 즉, 차양(17)은 반대 방향(착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로써 비래물이 실드판(피복 위치(P3)에 있는 실드판)(5)에 부딛쳐도 비래물이 실드판(5)의 표면을 미끄러져 착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수납 위치(P1)에 실드판(5)이 위치한 상태에서 실드판(5)의 하단부나 그 근방의 부위가 모체(3)의 하단부(9)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착용자를 방해하지는 않으며 착용자는 실드판(5)의 존재를 그 시계에서 의식하지 않고 보호모(1)를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실드판(5)의 상단부는 모체(3)의 정상부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아울러 실드판(5)의 차양(17)을 삭제하고 수납 위치(P1)에 실드판(5)이 위치한 상태에서 실드판(5)이 모체(3)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피복 위치(P3)에 실드판(5)이 위치한 상태에서는 실드판(5)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턱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실드판(5)이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고 있다. 즉 정면에서 본 경우 실드판(5)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 전부가 덮혀 있다. 실드판(5)의 상단부는 모체(3)의 하단부(모체(3)의 앞쪽의 개구부(9)) 근방에서 모체(3)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은,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19)와 제1 측방 부위(21)와 제2 측방 부위(23)를 구비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부위(19)는 구면형의 곡면을 구비하여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1)는 중앙 부위(19)의 폭방향 일단부측에서 중앙 부위(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23)는 중앙 부위(19)의 폭방향 타단부측에서 중앙 부위(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1)는 기단부(基端部)측 부위(중앙 부위(19)측 부위)(25)와 끝단부측 부위(27)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측방 부위(23)도 마찬가지로 기단부측 부위(중앙 부위(19)측 부위)(29)와 끝단부측 부위(3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위(25),(29)에 가이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측방 부위(21)의 끝단부측 부위(27)과 제2 측방 부위(23)의 끝단부측 부위(31)가 모체(3)에 걸어맞춤되어(예를 들면 모체(3)의 측방의 아래쪽 내면에 면접촉되어) 가이드부재(11)가 모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드판(5)은 모체(3)와 중앙 부위(19) 및 각 측방 부위(21),(23)의 기단부측 부위(25),(29) 사이에 형성된 공간안에 들어가 모체(3)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1)의 끝단부측 부위(27)는 모체(3)의 한쪽 측방의 아래쪽 내면과 면접촉하는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측방 부위(23)의 끝단부측 부위(31)도 마찬가지로 모체(3)의 다른쪽 측방의 아래쪽 내면과 면접촉하는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1)의 기단부측 부위(25)는 기립 부위(33)와 연결 부위(3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립 부위(33)는 좁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이 기립 방향이 되도록 하여 제1측방 부위(21)의 끝단부측 부위(27)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립되어 있다. 연결 부위(35)는 좁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의 일단부가 중앙 부위(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폭방향의 타단부가 기립 부위(3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기립 부위(33)와 중앙 부위(19)를 연결하고 있다.
가이드부재(11)가 모체(3)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립 부위(33)가 모체(3)의 내면으로부터 경사 전방의 방향(모체(3)의 안쪽 방향)으로 상승되어 있으며 연결 부위(35)(연결 부위(35)의 두께 방향의 각 면)가 보호모(1)의 대략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측방 부위(23)의 기단부측 부위(29)는 기립 부위(41)와 연결 부위(43)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의 가이드부(13)는, 연결 부위(35)에 형성된 원호형의 장공(39)과, 연결 부위(43)에 형성된 원호형의 장공(47)과, 가이드부재(11)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가이드부재(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피걸어맞춤부(63)(홈(65); 중앙 부위(19)의 중앙부)로 구성되어 있다.
실드판(5)의 걸어맞춤부(15)는 실드판(5)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 걸어맞춤편(51),(59)과, 실드판(5)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37)로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편(51)은, 도 8, 도 9, 도 10, 도 26에 도시한 것처럼 실드판(5)의 폭방향의 일단쪽 상단부측에서 실드판(5)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실드판(5)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51)은 원기둥형의 기단부(53)와, 기단부(53)보다 외경이 큰 원판형으로 형성된 우산부(55)를 구비한 우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편(51)은 가이드부재(11)의 기단부측 부위(25)에 설치되어 있는 장공(39)에, 장공(39)의 폭보다 외경이 약간 작은 기단부(53)가 들어가 슬라이딩쌍을 이루어 걸어맞춤되어 있다. 아울러 우산부(55)의 외경은 장공(39)의 폭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실드판(5)의 폭방향의 타방측에는 걸어맞춤편(59)이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편(59)이 장공(47)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돌기(37)는, 도 12∼도 14에 도시한 것처럼 실드판(5)의 폭방향에서는 중앙부에서, 실드판(5)의 상하 방향에서는 상단부측에서, 실드판(5)의 안쪽(오목면측)으로 돌출되어 실드판(5)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홈(65)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재(11)를 관통하고 있는 부위(67),(69)가 형성되어 있다. 홈(65)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가이드부재(11)의 안쪽으로 패여있는 좁고 긴 판형의 가이드 오목부(7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51)이 장공(39)에 걸어맞춤되고, 걸어맞춤편(59)이 장공(47)에 걸어맞춤되고, 돌기(37)의 끝단부가 가이드 오목부(70)에 슬라이딩쌍을 이루어 걸어맞춤됨으로써 실드판(5)이 가이드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를 모체(3)의 내부에 설치했을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보호모(1)의 앞쪽에서는 바깥쪽에 모체(3), 안쪽에 가이드부재(11)가 위치한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모체(3)와 가이드부재(11) 사이에 실드판(5)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를 모체(203)에 설치했을 때에는 연결 부위(35)(43)의 원호형의 장공(39)(47)의 중심은 소정의 축(C1)(도 3, 도 6, 도 7 참조)과 일치한다. 따라서 실드판(5)은 소정의 축(C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재(11)의 중앙 부위(19)의 단면(도 7에 도시한 단면)은 중심이 소정의 축(C1)인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드판(5)의 단면(도 7에 도시한 단면)은 소정의 축(C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정의 축(C3)은 소정의 축(C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소정의 축(C1)보다 약간 상방에서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1)의 중앙 부위(19)의 곡률 반경이 장공(39)(47)의 곡률 반경보다 크고, 가이드부재(11)의 중앙 부위(19)의 곡률 반경과 실드판(5)의 곡률 반경은 서로 대략 동일하다.
또 도 7에 도시한 단면에서는,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에 위치한 경우 가이드부재(11)의 중앙 부위(19)의 상단부와 실드판(5)의 상단부가 모체(3)의 상하 방향에서는 모체(3)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고, 모체(3)의 전후 방향에서는 모체(3)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재(11)의 중앙 부위(19)의 하단부와 실드판(5)의 하단부가 모체(3) 전방의 하단부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또 보호모(1)에는 실드판(5)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수단(61)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수단(61)은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이나 피복 위치(P3)에 위치되어 있을 때 실드판(5)이 모체(3)에 대해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실드판(5)을 보유지지하는 수단이다.
보유지지수단(61)은, 예를 들면 실드판(5)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37)와, 가이드부재(11)에 설치되어 있는 피걸어맞춤부(63)로 구성되어 있다. 피걸어맞춤부(63)는 가이드부재(11)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가이드부재(1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홈(6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홈(65)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상단부)측의 부위(67)는 중앙부보다 좁은 폭(B1)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65)에서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하단부)측의 부위(69)도 마찬가지로 좁은 폭(B1)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드판(5)에 설치되어 있는 원기둥형 돌기(37)의 외경(D1)이 폭(B1)보다 아주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돌기(37)가 상단부측 부위(67)에 들어가 실드판(5)이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실드판(5)이 피복 위치(P3)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돌기(37)가 하단부측 부위(69)에 들어가 실드판(5)이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보호모(1)에는 미도시된 내장체(예를 들면 해먹)가 설치되어 있고, 모체(3)나 가이드부재(11)에는 해먹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멈춤부(71)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어멈춤부(71) 중 뒤쪽에 위치한 각 걸어멈춤부(71A)는 모체(3)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걸어멈춤부(71) 중 앞쪽에 위치한 각 걸어멈춤부(71B)는 가이드부재(11)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드판(5)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드판(5)은 전술한 것처럼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3)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의 예를 들면 대략 전부를 덮는 것으로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드판(5)은 두께 방향의 일방 측이 오목형이고 두께 방향의 티방 측이 볼록형인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다(도 15, 도 16 참조). 아울러 실드판(5)은, 예를 들면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실드판(5)은 ANSI규격에 따라 1.6㎜∼2.0㎜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속 충격 시험을 해도 깨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실드판(5)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쪽인 실드판(5)의 안쪽 면(두께 방향의 한쪽 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의 다른쪽 면인 바깥쪽 면이 볼록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드판(5)은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이 상하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이 상하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도 15, 도 16 참조). 아울러 실드판의 상하 방향에서의 원호의 중심은 축(C3)과 일치되어 있다. 한편 실드판(5)의 좌우 방향에서의 원호의 중심은, 예를 들면 모체(3)의 개구부(9)의 중심을 지나는 축과 대략 일치되어 있다.
또한 실드판(5)은 본체부(73)와 차양부(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부(73)가 전술한 것처럼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드판(5)의 본체부(73)의 볼록면(오목면)은 소정의 3차 곡면에 근사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3차 곡면은, 축방향의 중앙부가 팽창된 원기둥형의 형상인 통형의 입체의 측면을, 상기 축을 포함한 제1 평면과, 상기 축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평면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는 제2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얻어지는 4개의 3차 곡면 중 하나의 곡면이다.
아울러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실드판(5)의 본체부(73)의 상단이나 좌우 방향의 양단은 정면에서 본 경우에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드판(5)의 본체부(73)의 하단은 아래로 볼록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17)는 상술한 것처럼 본체부(73)의 하방에서 본체부(73)와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져 돌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양부(17)는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정면에서 본 경우에 초승달 형상으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초승달 형상의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위가 실드판(5)의 본체부(273)의 하단에 연결되어 본체부(7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본체부(73)와 일체로 되어 있다. 또 도 13(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모체(3)를 쓰고 실드판(5)으로 착용자의 안면을 덮었을 때 차양부(17)는 이 상단(본체부(73)측의 단)에서 하단으로 향함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차양부(17)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본체부(73)의 안쪽(뒤쪽; 착용자의 안면쪽)으로 소정의 폭으로 패여있는 오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호모(1)를 착용하여 실드판(5)을 출입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에 위치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보호모(1)를 쓴다. 실드판(5)을 피복 위치(P3)에 위치시켜 작업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실드판(5)의 하단부(예를 들면 차양부(17))를 하방으로 끌어당겨 실드판(5)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돌기(37)가 가이드홈(65)의 하단부측 부위(69)에 들어가 실드판(5)이 피복 위치(P3)에 위치하여 실드판(5)이 피복 위치(P3)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피복 위치(P3)에 위치한 실드판(5)을 수납 위치(P1)에 위치시킬 경우에는 실드판(5)을 밀어올려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돌기(37)가 가이드홈(65)의 상단부측 부위(67)에 들어가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에 위치하여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로부터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보호모(1)에 의하면, 실드판(5)이 이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착용자가 실드판(5)을 통해 정면을 본 경우의 광경로 길이(실드판 내의 광경로 길이)와, 착용자가 실드판(5)을 통해 주변을 본 경우의 광경로 길이(실드판 내의 광경로 길이)와의 차를 줄일 수 있어 착용자가 실드판(5)의 주변부를 통해 보았을 때에도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즉, 도 20(실드판(5)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6에 대응한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실드판(5)에서의 광경로 길이(L11)과 광경로 길이(L21)과의 차가 줄어들고, 광경로 길이(L11)과 광경로 길이(L31)과의 차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0에 도시한 참조 부호 FO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의 바깥쪽 면(볼록면)을 나타내고 있고, 참조 부호 F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205)의 안쪽 면(오목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의 두께가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다. 한편 참조 부호 FO는, 종래의 실드판의 바깥쪽 면을 나타내고 있고, 참조 부호 F2는, 종래의 실드판의 안쪽 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로써 종래의 실드판의 두께는 일정하게 되어 있다.
참조 부호 R1은, 정면에서 착용자의 눈(EY)으로 들어가는 광의 광경로를 나타내고 있고, 참조 부호 R2,R2a는, 측면쪽(실드판의 주변부)에서 착용자의 눈(EY)으로 들어가는 광의 광경로를 나타내고 있고, 참조 부호 R3,R3a는, 또다른 측면쪽에서 착용자의 눈(EY)으로 들어가는 광의 광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정면에서 착용자의 눈(EY)으로 들어가는 광(광경로(R1)의 광)의 실드판(5)에서의 광경로 길이(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에서의 광경로 길이)(L11)과 광경로 길이(종래의 실드판에서의 광경로 길이)(L12)는 상호 길이가 같다.
한편 공기의 굴절율에 비해 실드판의 굴절율이 크기 때문에 스넬의 법칙에 의해 측면쪽에서 착용자의 눈(EY)으로 들어가는 광(광경로(R2,R2a)의 광)의 실드판에서의 광경로 길이(종래의 실드판에서의 광경로 길이)(L22)에 비해 광경로 길이(본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에서의 광경로 길이)(L21)이 짧게 되어 있어 광경로 길이(L21)의 길이는 광경로 길이(L11)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광경로 길이(L32)에 비해 광경로 길이(L31)이 짧게 되어 있어 광경로 길이(L31)의 길이는 광경로 길이(L11)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보호모(1)에 의하면 실드판(5)의 좌우 방향에서의 곡률 반경이 상하 방향에서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이 상하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안면 형태에 맞춰 착용자가 실드판(5)의 주변부를 통해 사물을 볼 때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즉, 실드판(5)의 상하 방향의 곡률 반경이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적합하게 착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다. 또 실드판(5)의 상하 방향의 곡률 반경이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5)의 상하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을 좌우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보다 작게 하여 상의 왜곡을 최대한 줄인다.
또 보호모(1)에 의하면, 실드판(5)의 차양부(17)가 본체부(73)의 아래쪽에서 본체부(73)와는 반대쪽(반대 방향; 착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비래물이 실드판(5)에 부딛쳐도 비래물이 실드판(5)의 표면을 미끄러져 착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즉, 도 6에 화살표(A6)로 도시한 것처럼 경사 상방에서 날아온 비래물이 실드판(5)의 하방에 얕은 각도로 충돌하면, 충돌하여 튕겨나간 비래물이 착용자의 가슴이나 배까지 도달할 우려가 있다. 아울러 도 6에서는, 착용자가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우려는 적지만, 착용자가 상방을 향해 작업을 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충돌하여 튕겨나간 비래물이 중력의 영향으로 착용자의 가슴이나 배까지 도달할 우려가 높아진다. 그러나 차양부(1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충돌하여 튕겨나간 비래물이 차양부(17)에 재충돌하여 착용자로부터 떨어진 곳에 낙하하게 되어 착용자의 몸까지 도달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 보호모(1)에 의하면, 오목부(75)가 설치됨에 따라 보호모(1)의 착용자가 실드판(5)을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실드판(5)이 수납 위치(P1)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실드판(5)의 차양부(17)에 오목부(7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5)의 차양부(17)와 모체(3)의 차양부(10) 사이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위치(P1)에 존재하는 실드판(5)을 피복 위치(P203)에 위치시킬 경우 상기 간극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넣어 실드판(5)을 용이하게 하방으로 이동시켜 피복 위치(P3)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모(1)에 의하면 실드판(5)이 항상 모체(3)에 설치되어 있고, 또 가이드수단(7)에 의해 실드판(5)이 소정의 축(C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5)을 잊지 않고 부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모체(3)를 크게 하지 않아 종래의 형상을 대략 유지한 채로 실드판(5)의 이동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드판(5)의 길이(높이)가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을 수 있는 길이라 해도 착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실드판(5)을 모체(3)의 내부에 거의 수납할 수 있다.
또 모체(3)가 착용자의 귀부를 덮는 부위가 제거된 형상인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모(1)가 소형화되어 질량이 줄어듬과 동시에 착용자에게 개방감을 줄 수 있다.
또 보호모(1)에 의하면 실드판(5)이 원호형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실드판(5)의 이동 스트로크를 더욱 길게 할 수 있고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을 수 있는 길이의 실드판(5)을 채용하더라도 착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실드판(5)을 모체(3)의 내부에 거의 수납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또 보호모(1)에 의하면 원호형 가이드부(13)가 소정의 축(C1)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모체(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귀를 덮지 않는 반구각형의 모체(3)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실드판(5)을 소정의 축(C1) 부분에서 모체에 지지시키는 구성이라면, 실드판(5)을 지지하는 회동축(실드판(5)의 축(C1) 부분에 위치한 회동축)을 모체(3)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이로써 모체(3)에 귀부(착용자의 귀부를 덮는 부위) 등을 설치할 필요가 생겨 모체(3)를 반구각형으로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보호모(1)는 모체(3)에 귀부를 설치하지 않고 모체(3)의 형상을 반구각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보호모(1)에 의하면 가이드부재(11)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체(3)의 좌우 방향의 2군데에서 모체(3)에 접촉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재(11) 자체의 강성과, 가이드부재(11)를 모체(3)에 장착했을 때의 장착 강성이 높아진다.
또 내장체를 구성하는 해먹을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71B)를, 가이드부(13)나 실드판(5)과의 간섭을 피해 가이드부재(11)의 중앙 부위(19)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실드판으로서, 착용자의 얼굴 상반만 덮는 하프 타입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21,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를 착용자가 썼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보호모(201)의 단면도이고, 도 24, 도 25는 보호모(201)를 안쪽에서 본 도면이다.
아울러 도 21, 도 24는 실드판(205)을 수납 위치(P201)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2, 도 25는 실드판(205)을 피복 위치(P203)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3은, 보호모(201)의 중심을 통해 보호모(201)의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보호모(실드면이 부착된 헬멧)(201)는, 예를 들면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체(203)와 실드판(205)과, 실드판(20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20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체(203)는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되고, 주발형(예를 들면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체(203)는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완전한 「반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모체(203)는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모체(203)의 개구부(연; 하단)(209)도 완전한 원형은 아니며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되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체(203)가 반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체(203)의 외면 및 내면은 급격한 휨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매끄러운 구면형으로 되어 있다. 또 모체(203)가 반구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보호모(201)를 쓴 경우, 모체(203)의 개구부(209)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으며 개구부(209)는 착용자의 귀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되어 있어 착용자의 귀가 노출되어 있다(도 21, 도 22 참조).
실드판(면체; 실드부재)(205)은,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고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지 등의 투명(유색 투명을 포함)한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수단(207)은 가이드수단(7)과 마찬가지로 실드판(205)이 모체(203)에 대해 이동할 때에 실드판(205)을 가이드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수단(207)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실드판(205)이 수납 위치(P201)과 피복 위치(P203) 사이에서 모체(203)의 내부 곡면(오목한 구면형으로 형성된 모체(203)의 앞쪽 내부 곡면)을 따라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측에 위치한 수납 위치(P201)은, 실드판(205)이 모체(203)의 앞쪽 내부에 수납되는 위치이고, 하측에 위치한 피복 위치(P203)은, 실드판(205)이 착용자의 안면(머리부의 전면)의 대략 전부를 덮는 위치이다.
가이드수단(207)에 의해 가이드되는 실드판(205)은 모체(203)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보호모(20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보호모(201)(모체(203))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축(C201)(도 23참조)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이동(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의 축(C201)은 착용자의 좌우 귀 부분을 지나 모체(203)의 좌우 방향(도 23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수단(207)은, 예를 들면 가이드부재(211)에 설치된 가이드부(213)와, 실드판(205)에 설치된 걸어맞춤부(21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13)는 원호형(완전한 원호가 아닌 원호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213)가 모체(203)의 앞쪽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예를 들면, 대략 평행하도록 하여), 가이드부재(211)가 모체(203)의 앞쪽 내부에서 모체(20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213)는, 가이드부재(211)의 예를 들면 폭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실드판(205)은 모체(203)의 앞쪽 내면을 따르는 구면형의 곡면(예를 들면, 모체(203)의 앞쪽 면보다 곡률 반경이 약간 작은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양단측 부위에는 가이드부(213)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215)가 가이드부(213)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수납 위치(P201)과 피복 위치(P203) 사이에서 실드판(205)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위치(P201)에 실드판(205)이 위치한 상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이 상태에서 실드판(205)이 모체(203)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지는 않으며, 실드판(205)의 하단부(차양(217)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부)와 이 근방의 부위가 모체(203)의 하단부(모체(203) 앞쪽의 개구부)(209)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아울러 차양(차양부)(217)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드판(205)의 하단부에서 반전되어 있다. 즉, 차양(217)은 반대 방향(착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로써 비래물이 실드판(피복 위치(P203)에 있는 실드판)(205)에 부딛쳐도 비래물이 실드판(205)의 표면을 미끄러져 착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오목부(75)를 설치해도 좋다.
수납 위치(P201)에 실드판(205)이 위치한 상태에서 실드판(205)의 하단부나 이 근방의 부위가 모체(203)의 하단부(209)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착용자를 방해하지는 않으며, 착용자는 실드판(205)의 존재를 그 시계에서 의식하지 않고 보호모(201)를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실드판(205)의 상단부는 모체(203)의 정상부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아울러 실드판(205)의 차양(217)을 삭제하고 수납 위치(P201)에 실드판(205)이 위치한 상태에서 실드판(205)이 모체(203)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피복 위치(P203)에 실드판(205)이 위치한 상태에서는 실드판(205)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턱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실드판(205)이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고 있다. 즉, 정면에서 본 경우, 실드판(205)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 전부가 덮혀 있다. 실드판(205)의 상단부는 모체(203)의 하단부(모체(203)의 앞쪽의 개구부(209))의 근방에서 모체(203)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11)는,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219)와 제1 측방 부위(221)와 제2 측방 부위(223)를 구비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부위(219)는 모체(203)의 앞쪽 내면(오목한 구면형으로 형성된 모체(203)의 안쪽 곡면)을 따르는 구면형의 곡면(예를 들면 실드판(205)보다 곡률 반경이 약간 작은 곡면)을 구비하여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21)는 중앙 부위(219)의 폭방향 일단부측에서 중앙 부위(2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223)은, 중앙 부위(219)의 폭방향 타단부측에서 중앙 부위(2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21)는 기단부측 부위(중앙 부위(219)측 부위)(225)와 끝단부측 부위(227)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측방 부위(223)도 마찬가지로 기단부측 부위(중앙 부위(219)측 부위)(229)와 끝단부측 부위(23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위(225),(229)에 가이드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측방 부위(221)의 끝단부측 부위(227)와 제2 측방 부위(223)의 끝단부측 부위(231)가 모체(203)에 걸어맞춤되어(예를 들면 모체(203) 측방의 아래쪽 내면에 면접촉되어), 가이드부재(211)가 모체(20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드판(205)은 모체(203)와 중앙 부위(219) 및 각 측방 부위(221),(223)의 기단부측 부위(225),(229) 사이에 형성된 공간안에 들어가 모체(203)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21)의 끝단부측 부위(227)는 모체(203)의 한쪽 측방의 아래쪽 내면과 면접촉하는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측방 부위(223)의 끝단부측 부위(231)도 마찬가지로 모체(203)의 다른쪽 측방의 아래쪽 내면과 면접촉하는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221)의 기단부측 부위(225)는 기립 부위(233)와 연결 부위(23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립 부위(233)는 좁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이 기립 방향이 되도록 하여 제1 측방 부위(221)의 끝단부측 부위(227)에서부터, 예를 들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되어 있다. 연결 부위(235)는 좁고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폭방향의 일단부가 중앙 부위(21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폭방향의 타단부가 기립 부위(23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기립 부위(233)와 중앙 부위(219)를 연결하고 있다.
가이드부재(211)가 모체(203)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립 부위(233)가 모체(203)의 내면에서부터 직교되는 방향(모체(203)의 안쪽 방향)으로 상승되어 있으며 연결 부위(235)(연결 부위(235)의 두께 방향의 각 면)가 보호모(201)의 대략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측방 부위(223)의 기단부측 부위(229)는 기립 부위(241)와 연결 부위(2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213)는, 기립 부위(233)의 두께 방향의 한쪽 곡면(가이드부재(211)를 모체(203)에 설치했을 때 앞쪽에 위치한 원호형 곡면)(237)과, 연결 부위(235)에 형성된 원호형의 장공(239)과, 기립 부위(241)의 두께 방향의 한쪽 곡면(가이드부재(211)을 모체(203)에 설치했을 때 앞쪽에 위치한 볼록한 원호형 곡면)(245)과, 연결 부위(243)에 형성된 원호형의 장공(2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드판(205)의 걸어맞춤부(215)는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각 단면(端面)(249),(257)과 각 걸어맞춤편(251),(259)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면(249)은 실드판(205)의 폭방향에서의 한쪽 단면으로서, 기립 부위(233)의 곡면(237)과 곡률 반경이 대략 같은 오목한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곡면(237)과 선접촉(보다 정확하게는 면접촉)되어 슬라이딩쌍을 이루어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단면(257)은 실드판(205)의 폭방향에서의 다른 쪽 단면으로서, 단면(249)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기립 부위(241)의 곡면(245)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편(251)은 도 26(도 23의 XXVI-XXVI단면)에 도시한 것처럼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일단쪽 상단부측에서 실드판(205)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실드판(205)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251)은 원기둥형의 기단부(253)와, 기단부(253)보다 외경이 큰 원판형으로 형성된 우산부(255)를 구비한 우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편(251)은, 가이드부재(211)의 기단부측 부위(225)에 설치되어 있는 장공(239)에, 장공(239)의 폭보다 외경이 약간 작은 기단부(253)가 들어가 슬라이딩쌍을 이루어 걸어맞춤되어 있다. 아울러 우산부(255)의 외경은 장공(239)의 폭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타방측에는 걸어맞춤편(259)이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편(259)이 장공(247)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11)를 모체(203)의 내부에 설치했을 때에는,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보호모(201)의 앞쪽에서는 바깥쪽에 모체(203), 안쪽에 가이드부재(211)가 위치한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모체(203)와 가이드부재(211) 사이에 실드판(205)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11)를 모체(203)에 설치했을 때에는 기립 부위(233)(241)의 원호형 곡면(237)(245)의 중심과 연결 부위(235)(243)의 원호형의 장공(239)(247)의 중심은 서로 대략 일치되어 있으며 이들 중심은 착용자의 귀부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드판(205)은 착용자의 귀부를 지나 보호모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C201)(도23 참조)을 대략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단, 완전한 원호의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하는 것이 아니라 원호에 가까운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기립 부위(233)(241)의 곡면(237)(245)이 연결 부위(235)(243)의 장공(239)(247)보다 회동 중심축(C201)쪽(안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연결 부위(235)(243)의 장공(239)(247)의 곡률 반경이 기립 부위(233)(241)의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또한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의 단면(도 23에 도시한 단면), 실드판(205)의 단면(도 23에 도시한 단면), 모체(203)의 앞쪽 부위의 단면(도 23에 도시한 단면)은 회동 중심축(C201)을 대략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가 연결 부위(235)(243)의 장공(239)(247) 바깥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실드판(205)이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보다 바깥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모체(203)의 앞쪽 부위가 실드판(205)보다 바깥쪽에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의 곡률 반경이 장공(239)(247)의 곡률 반경보다 크고, 실드판(205)의 곡률 반경이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의 곡률 반경보다 크고, 모체(203)의 앞쪽 부위의 곡률 반경이 실드판(205)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또 도 23에 도시한 단면에서는 실드판(205)이 수납위치(P201)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기립 부위(233)(241)의 곡면의 상단부와, 장공(239)(247)의 상단부와,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의 상단부와, 실드판(205)의 상단부가 모체(203)의 상하 방향에서는 모체(203)의 상측에 위치되어 있고, 모체(203)의 전후 방향에서는 모체(203)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 기립 부위(233)(241)의 곡면(237)(245)의 하단부와, 장공(239)(247)의 하단부와,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의 하단부와, 실드판(205)의 하단부가 모체(203) 전방의 하단부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또 보호모(201)에는, 실드판(205)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수단(261)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수단(261)은 실드판(205)이 수납 위치(P201)이나 피복 위치(P203)에 위치되어 있을 때 실드판(205)이 모체(203)에 대해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실드판(205)을 보유지지하는 수단이다.
보유지지수단(261)은,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각 노치(263),(26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노치(263)는 장공(239)(247)의 상단부에서 장공(239)(247)에 연결되어 장공(239)(247) 상방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노치(265)는 장공(239)(247)의 하단부에서 장공(239)(247)에 연결되어 장공(239)(247) 전방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드판(205)이 수납 위치(P201)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걸어맞춤편(251)(259)의 기단부(253)가 노치(263)에 들어가 실드판(205)이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실드판(205)이 피복 위치(P203)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걸어맞춤편(251)(259)의 기단부(253)가 노치(265)에 들어가 실드판(205)이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보호모(201)에는 실드판(205)이 피복 위치(P203)에 위치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할 때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중앙부가 필요 이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는 실드판(205)에 형성된 돌기(267)와,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에 설치된 돌기(269)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보호모(201)에는 미도시된 내장체(예를 들면 해먹)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체(203)나 가이드부재(211)에는 해먹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멈춤부(271)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어멈춤부(271) 중 뒤쪽에 위치한 각 걸어멈춤부(271A)는 모체(203)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 걸어멈춤부(271) 중 앞쪽에 위치한 각 걸어멈춤부(271B)는 가이드부재(211)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제2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과 마찬가지로 실드판(205)이 이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져도 좋다.
여기에서 보호모(201)를 착용하여 실드판(205)을 출입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실드판(205)이 수납 위치(P201)에 위치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보호모(201)를 쓴다. 실드판(205)을 피복 위치(P203)에 위치시켜 작업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실드판(205)의 하단부(예를 들면 차양(217))를 전방으로 약간 누르면 걸어맞춤편(251)(259)이 노치(263)에서 빠져나와 실드판(205)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실드판(205)을 장공(239)(247) 등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걸어맞춤편(251)(259)이 노치(265)에 들어가 실드판(205)이 피복 위치(P203)에 위치하여 실드판(205)이 피복 위치(P203)로부터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피복 위치(P203)에 위치한 실드판(205)을 수납위치(P201)에 위치시킬 경우에는 실드판(205)의 하단부(예를 들면 차양(217))를 약간 전방으로 누르면 걸어맞춤편(251)(259)이 노치(265)에서 빠져나와 실드판(205)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실드판(205)을 장공(239)(247) 등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걸어맞춤편(251)(259)이 노치(265)에 들어가 실드판(205)이 피복 위치(P203)에 위치한다.
보호모(201)에 의하면, 실드판(205)이 항상 모체(203)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가이드수단(207)에 의해 실드판(205)이 모체(203)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205)의 부착을 잊지 않음과 동시에 모체(203)를 크게 하지 않고 종래의 형상을 대략 유지한 채로 실드판(205)의 이동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드판(205)의 길이(높이)가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을 수 있는 길이라 해도 착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실드부재(205)를 모체(203)의 내부에 거의 수납할 수 있다.
또 모체(203)가 착용자의 귀부를 덮는 부위가 제거된 형상인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모(201)가 소형화되어 질량이 줄어듬과 동시에 착용자에게 개방감을 줄 수 있고, 또한 모체(203)의 바깥쪽(볼록측) 면이나 안쪽 면(오목측 면)이 매끄럽게 휘어져 있어 모체(203)의 강성이 높다.
또 보호모(201)에 의하면, 모체(203)의 앞쪽 내면을 따르는 곡면을 구비하며 판형으로 형성된 실드판(205)이 원호형 가이드부(2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실드판(205)의 이동 스트로크를 더 길게 할 수 있고,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을 수 있는 길이의 실드판(205)을 채용하더라도 착용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실드부재(205)를 모체(203)의 내부에 거의 수납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또 보호모(201)에 의하면, 원호형 가이드부(213)가 모체(203)의 앞쪽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 모체(20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귀를 덮지 않는 반구각형의 모체(203)를 채용할 수 있다. 즉, 실드판(205)을 이 회동 중심(C201) 부분에서 모체에 지지시키는 구성이면, 실드판(205)을 지지하는 회동축(실드판(205)의 회동 중심(C201) 부분에 위치한 회동축)을 모체(203)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이로 인해 모체(203)에 귀부(착용자의 귀부를 덮는 부위)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모체(203)를 반구각형으로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보호모(201)는 모체(203)에 귀부를 설치하지 않고 모체(203)의 형상을 반구각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보호모(201)에 의하면, 가이드부재(211)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체(203)의 좌우 방향의 2군데에서 모체(203)에 접촉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재(211) 자체의 강성과, 가이드부재(211)를 모체(203)에 장착했을 때의 장착 강성이 높아진다.
또 내장체를 구성하는 해먹을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271B)를, 가이드부(213)나 실드판(205)과의 간섭을 피해 가이드부재(211)의 중앙 부위(219)의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보호모(201)에 의하면, 실드판(205)이 가이드부재(211)의 4군데(각 면(237),(245)과 각 장공(239),(247)에 걸어맞춤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205)이 모체(203)에 대해 매끄럽게 안정적인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보호모(201)에서는 실드판(205)이 이 폭방향의 양단부에서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지지 형태에 추가하여 실드판(205)이 이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실드판(205)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걸어맞춤편(251)과 마찬가지의 걸어맞춤편을 설치하고, 이 걸어맞춤편에 걸어맞춤되는 장공(장공(239)과 마찬가지의 장공)을 중앙 부위(219)에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실드판으로서 착용자의 얼굴 상반만 덮는 하프 타입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0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는 보호모(301)의 모체(303)와 범용 보호모의 모체(300)와의 외형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보호모(301)의 단면도(보호모(301)의 중심을 통해 보호모(301)의 전후 상하 방향으로 전개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착용자가 보호모(301)를 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의 의 (a), (b)는, 실드판(305)을 수납 위치(P301)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1의 (c), (d)는, 실드판(305)을 피복 위치(P303)에 위치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호모(301)는 모체(303)와 실드판(실드부재; 면체)(30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체(303), 실드판(305)은 좌우 대칭 형성되어 있다. 모체(303)에는 착용자의 귀를 덮는 귀부(30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모체(303)는 범용 모체(300)에 대해 모체(303)의 앞쪽만 바깥쪽으로 커지도록 형성한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범용 모체(300)란, 실드판을 구비하지 않고 모체와 내장체로 구성된 모체로서, 일본 후생노동성의 규격(보호모의 규격)에 적합하도록, 예를 들면 필요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된 보호모의 모체이다. 범용 모체로서, 전후 방향의 길이가 260㎜∼280㎜정도인 MP헬멧 등의 모체(300)(도 29 참조)를 언급할 수 있다.
모체(303)는 반구각형의 형상의 것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귀부(307)를 부가한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귀부(307)의 두께와 모체(303)의 귀부 이외 부분의 두께는 서로 대략 일치된다. 또 귀부(307)의 두께 방향은 모체(303)의 좌우 방향(도 28에서는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모체(303)는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완전한 반구각으로 형성되어 있지는 않다. 즉, 모체(303)는 모체(3)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모체(303)의 개구부(연; 하단)(309)도 완전한 원형이 아니고,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또는 귀부(307)를 설치함으로써 곡률 반경 등이 적절히 변화되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모체(303)가 주발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모체(303)의 외면 및 내면은 급격한 휨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매끄러운 구면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체(303)가 반구각형의 것에 귀부(307)를 설치한 주발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보호모(301)를 쓴 경우, 모체(303)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서 모체(303)의 귀부(307)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귀부(307)로 착용자의 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덮히도록 되어 있다.
실드판(305)은, 예를 들면 실드판(5)과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고 수지 등 투명(유색 투명을 포함)한 또는 반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안면 전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실드판(305)은 모체(303)의 앞쪽 내면(오목한 구면형의 곡면)을 따르는 구면형의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 1/4정도의 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걸어맞춤부(311)가 설치되어 있다. 모체(303)의 귀부(307)에는 가이드부(313)가 형성되어 있고, 실드판(305)의 걸어맞춤부(311)가 가이드부(313)에 걸어맞춤됨에 따라 수납 위치(P301)과 피복 위치(P303) 사이에서 걸어맞춤부(311)의 중심축(C301)을 중심으로 하여 실드판(305)이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축(C301)은 귀부(307)의 중앙을 지나 보호모(301)의 좌우 방향(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이다.
여기에서 수납 위치(P301)은 실드판(305)이 모체(303)의 앞쪽 내부에 수납되었을 때의 위치이고, 피복 위치(P303)은 실드판(305)이 모체(303)의 착용자 안면(머리부의 전면)의 대략 전부를 덮는 위치이다.
가이드부(313)는, 예를 들면 모체(303)의 귀부(307)를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315)으로 구성되어 있고, 걸어맞춤부(311)는 실드판(305)의 측방(폭방향의 양측)의 하부에서 실드판(305)의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원기둥형 돌기(외경이 관통공보다 약간 작은 돌기)(31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돌기(317)가 각 관통공(315)에 끼워맞춤됨으로써(도 28의 XXXIII-XXXIII단면을 도시한 도면인 도 33 참조), 실드판(305)이 상기 회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수납 위치(P301)에 실드판(305)이 위치한 상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상태에서 실드판(305)이 모체(303)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지는 않고 실드판(305)의 하단부(차양(319)이 설치되어 있는 하단부)와 그 근방의 부위가 모체(303)의 앞쪽에서 모체(303)의 하단부(모체(303) 앞쪽의 개구부)(309)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 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위가 착용자를 방해하지는 않으며, 착용자는 실드판(305)의 존재를 그 시계에서 의식하지 않고 보호모(301)를 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양(차양부)(319)은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실드판(305)의 하단부에서 반전되어 있다. 즉, 차양(319)은 반대 방향(착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로써 비래물이 실드판(피복 위치(P303)에 있는 실드판)(305)에 부딛쳐도 비래물이 실드판(305)의 표면을 미끄러져 착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 실드판(305)의 상단부는 모체(303)의 정상부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아울러 실드판(305)의 차양(319)을 삭제하고 수납 위치(P301)에 실드판(305)이 위치한 상태에서 실드판(305)이 모체(303)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피복 위치(P303)에 실드판(305)이 위치한 상태에서는 실드판(305)의 하단부가 착용자의 턱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실드판(305)이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고 있다(도 31의 (c), (d) 참조). 즉, 정면에서 본 경우 실드판(305)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 전부가 덮혀 있다. 아울러 실드판(305)의 상단부는 모체(303)의 하단부(모체(303)의 앞쪽 못)의 근방에서 모체(303)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 보호모(301)에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쪽 부재(321)가 설치되어 있다. 안쪽 부재(321)는 모체(303)의 앞쪽 내부에서 모체(30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안쪽 부재(321)는 도 30이나 도 32(안쪽 부재(32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 부위(323)와 기립 부위(325)와 돌출 부위(32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앙 부위(323)는 모체(303)의 앞쪽 내면(오목한 구면형으로 형성된 모체(303) 안쪽의 곡면)을 따르는 구면형의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 1/4정도 사이즈의 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립 부위(325)는 판형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 부위(323)의 후단부로부터, 중앙 부위(323)의 바깥 방향으로(볼록 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기립되어 있다. 돌출 부위(327)는 판형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립 부위(325)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폭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 부위(327)의 두께 방향의 일방 면(바깥쪽의 돌출된 면)이 모체(303)의 내면(오목한 면)에 걸어맞춤(면접촉)됨으로써 안쪽 부재(321)가 모체(303)의 앞쪽 내부에서 모체(30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돌출 부위(327)가 면접촉되어 있는 모체(303) 내부의 면은, 이 폭이 모체(303)의 전후 방향이 되도록 하여 모체(303)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서 모체(303)의 좌측에서 시작하여 모체(303)의 정상부를 지나 모체의 우측까지 「U」자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쪽 부재(321)를 모체(303)에 설치했을 때에는 보호모(301)의 앞쪽에서는 바깥쪽에 모체(303), 안쪽에 안쪽 부재(321)가 위치한 2중 구조로 되어 있으며 실드판(305)은 모체(303)와 안쪽 부재(321)로 형성된 공간내(모체(303)와 중앙 부위(323) 및 기립 부위(325)로 형성된 공간내)에 들어가 수납 위치(P301)에 위치하고 모체(303)안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안쪽 부재(321)를 모체(303)에 설치했을 때 도 30에 도시한 것처럼 안쪽 부재(321)에서의 원호형 중앙 부위(323)의 중심과, 원호형 실드판(305)의 중심과, 원호형 모체(303)의 중심과, 실드판(305)의 회동 중심(C301)은 서로 대략 일치되어 있다. 또 모체(303)의 곡률 반경이 실드판(305)의 곡률 반경보다 크고, 실드판(305)의 곡률 반경이 안쪽 부재(321)의 중앙 부위(323)의 곡률 반경보다 크다.
또 보호모(301)에는 실드판(305)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수단(329)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지지수단(329)은 실드판(305)이 수납 위치(P301)이나 피복 위치(P303)에 위치되어 있을 때 실드판(305)이 모체(303)에 대해 용이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실드판(305)을 보유지지하는 수단이다.
보유지지수단(329)은,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한 각 돌기(331),(333),(335),(33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돌기(33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실드판(305)의 전후 방향에서는 후단부에서, 실드판(305)의 폭방향에서는 중앙부에서, 실드판(305)의 내면(오목한 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333)는 반구형에 형성되어 있고, 안쪽 부재(321)의 전후 방향에서는 중앙 부위(323)의 후단부 근방에서, 안쪽 부재(321)의 폭방향에서는 중앙부에서, 안쪽 부재(321)의 외면(볼록한 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335)는 1/4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평면(335A)이 안쪽 부재(321)의 후방(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안쪽 부재(321)의 전후 방향에서는 중앙 부위(323)의 전단부에서, 안쪽 부재(321)의 폭방향에서는 중앙부에서, 안쪽 부재(321)의 외면(볼록한 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335)의 높이는 다른 돌기(331),(333),(337)의 높이보다 높다. 돌기(337)는 반구형에 형성되어 있고, 안쪽 부재(321)의 전후 방향에서는 돌기(335)보다 약간 후방(상방)에서, 안쪽 부재(321)의 폭방향에서는 중앙부에서, 안쪽 부재(321)의 외면(볼록한 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0에 도시한 것처럼 실드판(305)이 수납 위치(P301)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실드판(305)의 돌기(331)가 안쪽 부재(321)의 돌기(333)와 안쪽 부재(321)의 기립 부위(325) 사이에 끼워져 실드판(305)이 용이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수납 위치(P301)에 위치한 실드판(305)을 피복 위치(P303)에 위치시키기 위해 실드판(305)을 도 30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돌기(331)가 돌기(333)를 타고 넘어 실드판(305)이 회동하여 돌기(337)를 타고 넘었을 때 실드판(305)이 피복 위치(P303)에 위치함과 동시에 돌기(331)가 돌기(337)와 돌기(335) 사이에 끼워져 실드판(305)이 용이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돌기(335)가 평면(335A)을 구비하고 있고, 또 돌기(335) 높이가 높게 되어 있음으로써 피복 위치(P303)에 위치한 실드판(305)(돌기(337)와 돌기(335) 사이에 끼워진 돌기(331))은 도 30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보호모(301)에는, 미도시된 내장체(예를 들면 해먹)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체(303)나 안쪽 부재(321)에는 해먹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복수의 걸어멈춤부(339)가 설치되어 있다. 각 걸어멈춤부(339) 중 뒤쪽에 위치한 각 걸어멈춤부(339A)는 모체(303)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걸어멈춤부(339) 중 앞쪽에 위치한 각 걸어멈춤부(339B)는 안쪽 부재(321)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제3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과 마찬가지로 실드판(305)이 이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져도 좋다.
여기에서 보호모(301)를 착용하여 실드판(305)을 출입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실드판(305)이 수납 위치(P301)에 위치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보호모(301)를 쓴다. 실드판(305)을 피복 위치(P303)에 위치시켜 작업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실드판(305)의 하단부(예를 들면 차양(319))를 하방향으로 끌어당기면 실드판(305)이 회동하여 실드판(305)이 피복 위치(P303)에 위치한다.
한편, 피복 위치(P303)에 위치한 실드판(305)을 수납 위치(P301)에 위치시킬 경우에는 실드판(305)을 상방으로 누르면 실드판(305)이 회동하여 실드판(305)이 수납 위치(P301)에 위치한다.
그런데 보호모(301)에서 실드판(305)의 회동 중심(C301)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즉, 도 33에 도시한 것처럼 관통공(315)과 복수의 관통공(315a)∼(315i)를 귀부(307)에 설치하고 이들 각 관통공(315a)∼(315i) 중 하나의 관통공(실제로는 좌우 방향에서 2개의 관통공)을 선택하고, 이 선택한 관통공(예를 들면 관통공(315b))에 실드판(305)의 돌기(317)를 끼워맞추도록 해도 좋다. 아울러 각 관통공(315a)∼(315i)는 서로 약간 떨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관통공(315a)을 중심으로 한 원주를 대략 등분배하는 위치에 각 관통공(315b)∼(315i)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모(301)에 의하면, 모체(303)의 앞쪽만을 크게 함과 동시에 실드판(305)이 축(C301)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 안면의 대략 전부를 덮도록 실드판을 크케 하더라도 실드판(305)을 모체(303)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모체(303)나 보호모(301) 전체가 대형화되어 질량이 증가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 모체(303)가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체(303)의 바깥쪽(볼록측)이나 안쪽 면이 매끄럽게 휘어져 모체(303)의 강성이 높아진다.
또 보호모(301)에서, 실드판(305)의 회동 중심(C301)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면, 모체(303)에 대한 실드판(305)의 위치(특히 피복 위치(P303)에서의 실드판(305)의 위치)를 착용자의 머리나 얼굴의 형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가 성가심을 느끼지 않게 되어 보호모의 사용 편이성이 향상된다.
또 보호모(301)에 의하면, 실드판(305)이 모체(303)와 중앙 부위(323) 및 기립 부위(325)로 형성되는 공간안에 들어가 모체(303)안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장체(해먹)를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부(339B)를, 실드판(305)와의 간섭을 피해 설치하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35, 도 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5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7은 도 36의 X부의 확대도이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51)는 실드판을 2개로 나누어 모체(353)의 바깥쪽에 설치한 점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01)와 다르고, 나머지 점은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301)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보호모(351)는 모체(353)와, 제1 실드판(355)과 제2 실드판(357)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모체(353)는 귀를 덮는 귀부(359)가 설치되어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주발형의 모체(353)는, 귀부(359)를 제외하면 실드판을 구비하지 않은 범용 모체(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범용 모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드판(355)은 모체(353)의 앞쪽 외면(볼록한 구면형으로 형성된 모체(353)의 바깥쪽 곡면)을 따르는 곡면(곡률 반경이 모체(353)의 앞쪽 곡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구면형의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 1/8정도의 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드판(355)의 폭방향의 양측에는, 예를 들면 원형상의 관통공(361)으로 구성된 걸어맞춤부(36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363)가, 예를 들면 모체(353)의 폭방향의 양단에 모체(35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원기둥형의 돌기(365)로 구성된 가이드부(367)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드판(355)이 걸어맞춤부(363)를 중심으로 하여 밀어올림 위치(P305)와 피복 위치((P307)) 사이에서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밀어올림 위치(P305)는, 제1 실드판(355)이 모체(353)의 앞쪽 외부로 밀어올려졌을 때의 위치이고, 피복 위치((P307))은, 제1 실드판(355)이 모체(353)의 착용자 안면(머리부의 전면)의 대략 상반 정도를 덮는 위치이다.
제2 실드판(357)은, 모체(353)의 앞쪽 외면(볼록한 구면형으로 형성된 모체(353)의 바깥쪽 곡면)을 따르는 곡면(곡률 반경이 제1 실드판(355)의 곡률 반경보다 큰 구면형의 곡면)을 구비한 판형(만곡된 판형; 1/8정도의 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드판(357)의 폭방향 양측에도 제1 실드판(355)과 마찬가지로 관통공(361)(걸어맞춤부(36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361)이 돌기(365)(가이드부(367))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실드판(357)이 제1 실드판(355)의 바깥쪽에 위치하여(특히 피복 위치(P311)에 위치되어 있을 때 밀어올림 위치(P305)에 위치한 제1 실드판(355)의 바깥쪽에서 제1 실드판(355)을 덮어), 걸어맞춤부(363)를 중심으로 하여 밀어올림 위치(P309)와 피복 위치(P311) 사이에서 원호형 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밀어올림 위치(P309)는, 제2 실드판(357)이 모체(353)(제1 실드판(355))의 앞쪽 외부로 밀어올려졌을 때의 위치이며, 피복 위치(P311)은, 제2 실드판(357)이 모체(353)의 착용자 안면(머리부의 전면)의 대략 하반 정도를 덮는 위치이다.
또 피복 위치(P305)에 위치한 제1 실드판(355)은, 이 상단부의 부위가 모체(353)의 차양(360)에 맞닿아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피복 위치(P311)에 위치한 제2 실드판(357)은 이 제2 실드판(357)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369)가 제1 실드판(355)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371)에 맞닿아 더 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스토퍼(369)는 제2 실드판(357)의 상단부에 제2 실드판(357)의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71)는 제1 실드판(355)의 하단부에 제1 실드판(355)의 바깥쪽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제4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5)과 마찬가지로 실드판(355)이 이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져도 좋다.
보호모(351)에 의하면, 각 실드판(355),(357)이 밀어올림 위치(P305),(P309)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눈 부분을 주로 덮는 제1 실드판(355)의 바깥쪽에 제2 실드판(357)이 위치하여 제1 실드판(355)을 덮고 있기 때문에 제1 실드판(355)에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보호모(351)의 착용자가 각 실드판(355),(357)을 사용하지 않을 때 부주의로 제2 실드판(357)을 장애물에 부딛쳐도 제1 실드판(355)에 상처가 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보호모(351)의 착용자가 각 실드판(355),(357)을 사용할 때 착용자의 주로 눈 부분을 덮는 제1 실드판(355)에 상처가 나지 않아 양호한 시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3 실시형태와 제4 실시형태에서 실드판의 위치를 안팎을 반대로 해도 좋다. 즉, 제3 실시형태에서 제4 실시형태와 같이 모체를 범용의 것과 대략 동일하게 하여 실드판이 모체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해도 좋고, 또 제4 실시형태에서 제3 실시형태와 같이 모체의 앞쪽을 범용의 것보다 크게 하여 실드판이 모체의 바깥쪽에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제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501)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1)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와 다른 주된 부분은 실드판(503)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505)의 구성(형태)이며, 나머지 점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1)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략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가이드수단(505)에 의해 가이드되는 실드판(503)은 상기 각 실시형태(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것과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1)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와 마찬가지로 오목부(275)를 구비한 차양(2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축(C501)을 대략 회동 중심으로 하여 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50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5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501)는 모체(507)와 가이드수단(505)을 구성하는 가이드부재(509)와 실드판(503)과 충격 흡수 부재(충격 흡수 라이너)(513)와 턱끈(515)과 내장체(해먹)(5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충격 흡수 부재(513)는, 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에 의해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체(507)의 안쪽에 가이드부재(509)와 실드판(503)과의 조립체(511)를 설치한 후 모체(507)와 조립체(511)와의 안쪽에 충격 흡수 부재(513)를 설치하고 그 후 턱끈(515)과 해먹(517)을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에 설치함으로써 보호모(501)가 조립되어 생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에서는 충격 흡수 부재나 턱끈은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에 있어서, 충격 흡수 부재나 턱끈을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모체(507)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1)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의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체(507)는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도 46(모체(507)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에 도시한 것처럼 주발형(예를 들면 반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46의 (a)는 모체(507)의 측면도이고, 도 46의 (b)는 모체(507)의 정면도로서 도 46의 (a)의 XLIB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6의 (c)는 모체(507)의 저면도로서 도 36의 (a)의 XLVIC쪽에서 본 도면이다.
보호모(501)의 모체(507)는 모체 본체부(519)와 모체 차양부(521)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2색 성형되어 있다. 모체 본체부(519)는 불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모체 차양부(521)는, 투명(유색 투명을 포함)한 수지 또는 반투명한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에 있어서, 모체를 모체 본체부와 모체 차양부로 구성해도 좋다.
실드판(503)도,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모(201)와, 가이드수단(505)에 관한 부위(가이드부재(509)에 걸어맞춤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수단(50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9는 보호모(50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0은 보호모(501)의 정면도로서 도 39의 XL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1은 보호모(501)의 저면도로서 도 39의 XLI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43, 도 44는 가이드부재(509)와 실드판(503)과의 조립체(511)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3의 (a)는 조립체(511)의 측면도이고, 도 43의 (b)는 조립체(511)의 저면도로서 도 33의 (a)의 XLIIIB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4의 (a)는 조립체(511)의 저면도로서 도 43의 (a)의 XLIVA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4의 (b)는 도 43의 (b)의 XLIVB-XLIV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가이드부재(509)에서의 가이드부(523)등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의 (a)는 도 44의 (b)의 XLVA부의 확대도이다. 도 45의 (b)는 도 45의 (a)의 XLVB쪽에서 본 도면, 또는 도 49의 (b)의 XLVB부의 확대도이다. 아울러 도 45의 (a)에서는 실드판(503) 등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5의 (b)에서는 실드판(503) 등의 표시는 생략되어 있으며 가이드부재(509)만 도시되어 있다.
도 49, 도 50은 가이드부재(509)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9의 (a)는 가이드부재(509)의 측면도이고, 도 49의 (b)는 가이드부재(509)의 평면도로서 도 49의 (a)의 XLIXB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0의 (a)는 가이드부재(509)의 정면도로서 도 49의 (a)의 LA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0의 (b)는 도 50의 (a)의 LB-L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0의 (c)는 도 50의 (a)의 LC-LC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 도 53은 실드판(50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2의 (a)는 실드판(503)의 정면도이고, 도 52의 (b)는 실드판(503)의 평면도로서 도 52의 (a)의 LIIB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2의 (c)는 실드판(503)의 부분쪽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52의 (b)의 LIIC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2의 (d)는 실드판(503)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52의 (b)의 LIID-LIID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3의 (a)는 실드판(503)의 측면도로서 도 52의 (a)의 LIIIA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3의 (b)는 도 52의 (a)의 LIIIB-LIII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52의 (a)나 도 53의 (a)에서 망이 쳐져 있는 부위(510)는 ANSI규격에서의 광학 특성 범위(보호모(501)의 착용자가 실드판(503)을 통해 사물을 보기 위해 광학 특성이 양호한 범위)이다.
가이드수단(505)은, 예를 들면 수지로 구성된 가이드부재(509)에 설치된 가이드부(523)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로 구성된 실드판(503)에 설치된 걸어맞춤부(5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09)는 구면형의 곡면을 구비하며 판형으로 형성된 중앙 부위(527)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이드부(523)는 중앙 부위(527)에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523)는 실드판(503)이 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를 이동할 때 실드판(503)을 가이드하기 위해 좁고 길게 형성되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523)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폭방향(좌우 방향)에서 중앙 부위(527)의 중앙 근처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 부위(527)는 1/4의 구각(球殼;spherical shell)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1/4의 구각(1/4구각)이란 다음과 같이 형성되는 입체이다. 우선 소정 반경의 제1 구로부터, 이 제1 구의 반경보다 약간 작은 반경으로 상기 제1 구와 중심이 일치되어 있는 제2 구를 제거한 형상의 입체(구각)를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구각을 상기 각 구의 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는 제1 평면으로 2분할하고, 분할된 2개의 입체 중 한쪽의 입체인 반구각을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반구각을 상기 각 구의 중심 또는 그 근방을 지나 상기 제1 평면과 대략 직교하는 제2 평면으로 2분할하고, 분할된 2개의 입체 중 한쪽 입체인 1/4구각을 얻는다. 아울러 가이드부재(509)는 모체(507)의 내부(안쪽)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의 곡률 반경(상기 제1 구의 곡률 반경)은 모체(507)의 곡률 반경보다 약간 작다.
중앙 부위(527)는 「1/4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완전한 「1/4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지는 않는다. 즉, 중앙 부위(527)는 모체(507)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부위(527)의 단부도 완전한 원호가 아닌, 착용자의 머리부 형상에 맞추기 위해 곡률 반경이 적절히 변화되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앙 부위(527)의 단부란, 상기 제1 평면에 의한 분할에 의해 형성된 원호형(반원호형) 부위(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와, 상기 제2 평면에 의한 분할에 의해 형성된 원호형(반원호형) 부위(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를 말한다.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은, 예를 들면 상기 제1 평면상에 대략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요철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다. 아울러 중앙 부위(527)가 두께(상기 제1 구의 반경과 상기 제2 구의 반경과의 차)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은,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반원형 단부 곡면이라고 볼 수 있다.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은, 예를 들면 상기 제2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평면으로부터 약간 돌출 함몰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약간의 요철이 존재한다. 아울러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도, 보다 정확하게는 제2 반원형 단부 곡면이라고 볼 수 있다.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는 모체(507)의 전방 안쪽에서 모체(507)로부터 약간 떨어져 모체(507)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모체(507)와 중앙 부위(527) 사이에는 모체(507)의 두께나 중앙 부위(527)의 두께보다도 깊은 소정 두께의 1/4구각형의 공간(5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1/4구각형의 공간(533)에 실드판(수납 위치(P501)에 위치한 실드판)(503)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은 모체(507)의 내벽으로부터 약간 떨어져 모체(507)의 내벽을 따라 모체(507)의 하단에 위치한 원형상 테두리의 좌단 근방에서 모체(507)의 바로 위 근방을 지나 모체(507)의 하단에 위치한 원형상 테두리의 우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은 착용자의 왼쪽 귀 상방에서 착용자의 정수리부 근방을 지나 착용자의 오른쪽 귀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은 모체(507)의 하단에서 앞쪽에 위치한 앞쪽 반원형의 테두리에서 약간 떨어져 모체(507)의 앞쪽 반원형의 테두리를 따라 모체(507)의 하단에 위치한 원형상 테두리의 좌단 근방에서 모체(507)의 테두리의 앞쪽 근방을 지나 모체(507)의 하단에 위치한 원형상 테두리의 우단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은 착용자의 왼쪽 귀 상방에서 착용자의 이마 근방을 지나 착용자의 오른쪽 귀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523)는, 예를 들면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부(523)는, 예를 들면 각각이 장원(長圓)형 관통공(두께 방향에서 중앙 부위(527)를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535),(537),(539)으로 구성되어 있고, 폭방향으로는 중앙 부위(527)의 중앙과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중앙 부위(527)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523)(관통공(535))는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중앙 근방에서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중앙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공(535)은 횡방향(폭방향; 좌우 방향)에서는 중앙의 위치를 유지한 채로 착용자의 이마 중앙 근방에서 착용자의 앞머리부 중앙을 지나 착용자의 정수리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좌측의 가이드부(523)(관통공(537))는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공(535)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좌측의 경사 전방 부위 근방에서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좌측의 경사 상방 부위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공(537)은 착용자 이마의 경사 좌전방 부위 근방에서 착용자의 앞머리부의 경사 좌전방 부위를 지나 착용자의 정수리부의 경사 좌상방 부위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우측의 가이드부(523)(관통공(539))는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공(535)을 사이에 두고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공(537)과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우측의 관통공(539)은 가이드부재(509)의 중심을 지나 상하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평면에 대해 좌측의 관통공(537)과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3개의 가이드부(523)(관통공(535),(537),(539))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부재(509)의 각 측방 부위(541),(543)(도 49 등 참조)의 존재를 무시한다(가이드부재(509)의 각 측방 부위(541),(543)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3개의 관통공(535),(537),(539)의 각 연장선(장원형 관통공(535),(537),(539)의 폭방향의 중심선으로서 관통공(535),(537),(539)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중심선)과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과의 교점을 각각 하부 좌측 교점(545), 하부 중앙 교점(547), 하부 우측 교점(549)으로 한다(도 49의 (a),(b), 도 50의 (a) 참조).
이렇게 하면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좌단(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좌단과 일치하는 좌단; 도 49의 (a) 참조)(551)과 하부 좌측 교점(545)간의 거리(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상의 거리)가 하부 좌측 교점(545)과 하부 중앙 교점(547)간의 거리(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상의 거리)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또 마찬가지로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우단(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우단과 일치하는 우단;; 도 49의 (a) 참조)(553)과 하부 우측 교점(549)간의 거리(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상의 거리)가, 하부 우측 교점(549)와 하부 중앙 교점(547)간의 거리(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상의 거리)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또 3개의 관통공(535),(537),(539)의 각 연장선과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과의 교점을, 도 49의 (b)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상부 좌측 교점(555), 상부 중앙 교점(557), 상부 우측 교점(559)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좌단(551)과 상부 좌측 교점(555)간의 거리(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상의 거리)가, 상부 좌측 교점(555)과 상부 중앙 교점(557)간의 거리(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상의 거리)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또 마찬가지로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우단(553)과 상부 우측 교점(559)간의 거리(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상의 거리)가, 상부 우측 교점(559)와 상부 중앙 교점(557)간의 거리(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상의 거리)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523)가 설치됨으로써 가이드부(523)(관통공(535),(537),(539))는 중앙 부위(527)의 중앙부쪽(폭방향으로 중앙부 근처)에서 상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게 된다.
아울러 중앙의 가이드부(523)(관통공(535))를 삭제하여 가이드부(523)를 2개로 한 구성이어도 좋고, 중앙의 가이드부(523)(관통공(535))를 2개로 하여 한쪽 가이드부를 중앙보다 약간 좌측으로 옮기고 다른 쪽 가이드부를 중앙보다 약간 우측으로 옮김으로써 가이드부(장원형 관통공)를 4개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나아가 상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부를 중앙 부위(527)의 중앙쪽(폭방향에서 중앙으로)에 5개 이상 복수개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가이드부재(509)는 전술한 중앙 부위(527)과 판형의 제1 측방 부위(좌측의 측방 부위)(541)와, 판형의 제2 측방 부위(우측의 측방 부위)(5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541)는 중앙 부위(527)의 폭방향의 일단부측(좌측)으로서 중앙 부위(527)의 아래쪽에서 중앙 부위(527)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543)는 중앙 부위(527)의 폭방향의 타단부측(우측)으로서 중앙 부위(527)의 아래쪽에서 중앙 부위(527)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도 49의 (b) 등 참조)가 한쌍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도 46의 (c) 참조)에 걸어맞춤되고, 좌측의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도 49의 (a) 참조)가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도 46의 (c) 참조)에 걸어맞춤되고, 우측의 제2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9)(도 49의 (a) 참조)가 제2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71)(도 46의 (c) 참조)에 걸어맞춤되고,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는 각 측방 부위(541),(543) 근방에서 중앙 부위(527)에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는 모체(507)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는 제1 측방 부위(541)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가 모체(507)의 좌측 경사방향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9)는 제2 측방 부위(543)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71)가 모체(507)의 우측 경사방향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측방 부위(541)는 중앙 부위(527)와 대략 같은 두께로 짧은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측방 부위(54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제1 반원형 단부 곡선(529)의 하단부측(좌하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 측방 부위(543)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심을 통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평면에 대해 제1 측방 부위(541)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중앙 부위(527)의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좌측의 대략 연장선상에, 제1 측방 부위(541)의 폭방향의 일단부(하단부)가 위치되어 있고, 중앙 부위(527)의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우측의 대략 연장선상에, 제2 측방 부위(543)의 폭방향의 일단부(하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509)는 모체(507)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가 모체(507)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걸어맞춤됨으로써 모체(507)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는 강체로 간주되는 제1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중앙 부위(527)에서 그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돌기)(573)(도 49의 (a) 참조)와, 탄성을 갖춘 제2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75)(도 49의 (a)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는 강체로 간주되는 부위(모체(507)의 내벽에서 모체(507)의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돌기; 도 46의 (c), 도 48 참조)(577)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48의 (a)는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의 측면도이고, 도 48의 (b)는 도 48의 (a)의 XLVIIIB쪽에서 본 도면이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09)를 모체(507)에 설치할 때(제1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73)를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걸어맞춤시킬 때)에는 제2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75)가 모체(507)(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나 그 주변)에 접촉하여 탄성 변형되고, 가이드부재(509)를 모체(507)에 설치 완료했을 때(제1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73)를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걸어맞춤 완료했을 때)에는 제2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75)가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이 복원한 제2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75)에 의해 모체(507)에 일단 설치된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실드판(503)을 이동할 때 등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나 실드판(503)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라 해도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는 실드판(503)과는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도 42의 (a)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가 모체(507)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걸어맞춤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1에 도시한 XLIIA-XLIIA의 부분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띠형의 제1 측방 부위(541)나 띠형의 제2 측방 부위(543)의 길이의 값은,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길이의 반 정도의 값보다 약간 작다.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는 두께 방향에서 제1 측방 부위(541)를 관통하는 2개의 관통공(579),(58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를 구성하고 있는 2개의 관통공(579),(581) 중 한쪽의 관통공(후방 관통공)(581)은, 제1 측방 부위(541)의 끝단부(제1 측방 부위(541)의 길이 방향에서 중앙 부위(527)와는 반대쪽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를 구성하고 있는 2개의 관통공(579),(581) 중 다른 쪽의 관통공(전방 관통공)(579)은 제1 측방 부위(541)의 길이 방향에서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와 후방 관통공(581) 사이(예를 들면,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9)도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방 관통공(581)과 전방 관통공(57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9)의 각 관통공(579),(581)은 가이드부재(509)의 중심을 지나 상하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평면에 대해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의 각 관통공(579),(581)과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는, 도 46의 (c)나 도 47에 도시한 것처럼 모체(507)의 개구부(하단부의 테두리)의 근방에서 모체(507)의 내벽으로부터 모체(507)의 안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2개의 돌기(앞쪽 돌기와 뒤쪽 돌기)(583)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71)는 모체(507)의 중심을 지나 상하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평면에 대해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571)는 2개의 앞쪽 돌기(583)와 2개의 뒤쪽 돌기(583)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도 47의 (a)는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571)나 후술하는 모체 걸어멈춤부(585)의 측면도이고, 도 47의 (c)는 도 47의 (a)의 XLVIIC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7의 (b)는 도 47의 (c)의 XLVIIB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47의 (d)는 도 47의 (b)의 XLVIID-XLVIID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에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는 제1 측방 부위(541)가 모체(507)의 내벽에 맞닿아 있다. 또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에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가 걸어맞춤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509)(제1 측방 부위(541))는 모체(507)에 대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며, 모체(507)에 대해 모체(507)의 전후 방향(모체(507)의 내주 방향)으로는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모체(507)의 두께 방향에서는 모체(507)의 안쪽으로는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모체(507)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동은, 해먹(517)을 모체(507)에 설치함으로써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71)에 제2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9)가 걸어맞춤된 상태도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에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가 걸어맞춤된 상태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모체(507)에 가이드부재(509)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는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에 제1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가 걸어맞춤되고, 제2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71)에 제2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9)가 걸어맞춤되고,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모체(507)에 가이드부재(509)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는 가이드부재(509)의 아래쪽 테두리(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과 각 측방 부위(541),(543)의 하단부)는, 모체(507)의 테두리(개구부) 안쪽 근방에서 모체(507)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모체(507)에 가이드부재(509)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를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보면, 모체(507)의 테두리는 대략 원환형(전후 방향의 직경이 폭방향의 직경보다 큰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가이드부재(509)는 후방의 약간의 부위에서 연결되지 않은(각 측방 부위(541),(543)의 끝단부끼리 약간 떨어져 있는)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의 테두리와 마찬가지로 원환형이 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제1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의 부분이나 제2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71)의 부분에는 이들 피걸어맞춤부(567),(571)를 구성하고 있는 돌기(583)보다 돌출량(모체(507)의 안쪽으로의 돌출량)이 큰 돌기로 구성된 걸어멈춤부(4개의 돌기로 구성된 모체 걸어멈춤부)(585)가 형성되어 있다(도 46의 (c), 도 47 참조). 모체 걸어멈춤부(585)는 해먹(517)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부위이다.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의 안쪽으로서,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 근처에는 모체 걸어멈춤부(585)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걸어멈춤부(4개의 돌기로 구성된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가 형성되어 있다(도 49의 (b), 도 51 참조).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도 해먹(517)을 걸어멈춤하기 위한 부위이다.
아울러 도 51의 (a)는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 중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의 측면도이고, 도 51의 (c)는 도 51의 (a)의 XLIC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1의 (b)는 도 51의 (c)의 LIB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1의 (d)는 도 51의 (b)의 LID-LID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51의 (e)는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 중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의 측면도이고, 도 51의 (g)는 도 51의 (e)의 LIG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1의 (f)는 도 51의 (g)의 LIF쪽에서 본 도면이고, 도 51의 (h)는 도 51의 (f)의 LIH-LIH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이드부재(509)의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심을 통해 상하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평면에 대해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모체(507)에 가이드부재(509)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는 걸어멈춤부(585),(587)가 모두 8군데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모체(507)에 가이드부재(509)를 설치 완료한 상태에서 모체 걸어멈춤부(585)와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에 해먹(517)의 피걸어멈춤부(589)를 걸어멈춤하여 해먹(517)을 모체(507)에 설치 완료했을 때 가이드부재(509)의 각 측방 부위(541),(543)가 모체(507)와 해먹(517)의 피걸어멈춤부(589)에 끼워져 가이드부재(509)의 각 측방 부위(541),(543)가 모체(507)의 내벽에 접하여, 전술한 것처럼 가이드부재(509)의 각 측방 부위(541),(543)가 모체(507)에 대해 대략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도 42의 (b), 도 42의 (c) 참조). 아울러 도 42의 (b)는 도 41의 XLIIB-XLII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2의 (c)는 도 41의 XLIIC-XLIIC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 측방 부위(541),(543)의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측방 부위(541)나 제2 측방 부위(543)의 길이 방향의 끝단부(중앙 부위(527)와는 반대쪽 단부)의 2군데 모서리부(상하 방향에서는 양단부에 위치한 모서리부)의 외형선이 측방 부위(541),(543)의 두께 방향에서 본 경우 1/4의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9의 (a)의 참조 부호 591을 참조). 또한 측방 부위(541),(543)의 다른 부위(길이 방향의 중간부로서 상하 방향에서는 하단부)에서도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도 49의 (a)의 참조 부호 593을 참조).
각 측방 부위(541),(543)의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응력 집중에 의한 가이드부재(50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가이드부재(509)에 의한 모체(507)나 실드판(503)이나 보호모(501)가 착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가이드부재(509)의 가이드부(523)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면 3개의 장원형 관통공(535),(537),(53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드판(503)의 걸어맞춤부(525)는 3개의 원기둥형 부위(595)로 구성되어 있다(도 45를 참조).
그리고 걸어맞춤부(525)를 구성하고 있는 원기둥형 부위(595) 각각이 가이드부재(509)의 가이드부(523)를 구성하고 있는 3개의 관통공(535),(537),(539) 각각에 걸어맞춤됨으로써(원기둥형 부위(595)가 관통공(535),(537),(539)에 들어감으로써), 실드판(503)이 가이드되어 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을 하면 장원형 관통공(535),(537),(539)의 폭(B501)은 원기둥형 부위(595)의 외경(D501)보다 아주 약간 크다(도 45의 (b) 참조). 또 원기둥형 부위(595)의 양단부에는 외경이 원기둥형 부위(595)의 외경보다 큰 원판형의 플랜지부(599),(601)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걸어맞춤부재(597)이 형성되어 있다(도 45의 (a) 참조).
실드판(503)의 상단부에는, 도 52의 (a)에 도시한 것처럼 걸어맞춤부재(597)를 설치하기 위한 반원판형 설치부(60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반원판형 설치부(603)의 중앙부에는 반원판형 설치부(603)를 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관통공(안쪽 치수가 걸어맞춤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의 외경(D501)보다 약간 큰 관통공)(60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설치부(603)나 관통공(605)은 가이드부재(509)의 3개의 관통공(535),(537),(539)에 대응하여 3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기둥형 부위(595)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 플랜지부(599),(601) 사이에, 실드판(503)의 설치부(603)와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가 들어가 각 플랜지부(599),(601)에서 실드판(503)의 설치부(603)와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가 끼워넣어지고, 원기둥형 부위(595)가 가이드부(523)의 장원형 관통공(535),(537),(539)과 설치부(603)의 원형 관통공(605)를 관통하고 있다. 이로써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에 대해 실드판(503)이 이동할 때 실드판(503)은 가이드부(523)를 구성하고 있는 관통공(535),(537),(539)의 대략 길이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원기둥형 부위(595)와 각 플랜지부(599),(601)로 구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재(플랜지붙이 부재)(597)는 한쪽 단부에 플랜지부(599)를 구비한 제1 통형 부재(607)와 다른 쪽 단부에 플랜지부(601)를 구비한 제2 통형 부재(609)와, 각 통형 부재(607),(609)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여 코킹에 의해 각 통형 부재(607),(609)를 일체화하는 리벳(6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드판(503)이 수납 위치(P501)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가 각 장원형 관통공(535),(537),(539)의 상단부에 맞닿아 있다. 한편 실드판(503)이 피복 위치(P503)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가 각 장원형 관통공(535),(537),(539)의 하단부에 맞닿아 있다.
또 보호모(501)에는 보호모(1),(201)과 마찬가지로 실드판(503)이 수납 위치(P501)이나 피복 위치(P503)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보유지지수단(61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유지지수단(613)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523)를 형성하고 있는 3개의 장원형 관통공(535),(537),(539) 중 좌우측에 존재하고 있는 2개의 장원형 관통공(537),(539)의 폭은 일정하다. 한편 가이드부(523)를 형성하고 있는 3개의 장원형 관통공(535),(537),(539) 중 중앙에 존재하고 있는 장원형 관통공(535)은 이 길이 방향의 단부 근방에서 폭이 아주 약간 작다(도 45의 (b) 참조). 이로써 실드판(503)이 수납 위치(P501)이나 피복 위치(P503)에서 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5의 (b)에 도시한 것처럼 가이드부재(509)의 중앙에 존재하고 있는 장원형 관통공(중앙 관통공)(535)의 상단 부위(615)는 원호의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호형의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 부위(615)의 원호의 직경(D503)은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의 외경(D501)과 같거나 아주 약간 크다.
상단 부위(615)의 양단부(617)끼리의 거리(원호형의 말굽 형상의 상단 부위(615)의 출구에서의 폭방향의 거리)(L501)은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의 외경(D501)보다 약간 작다. 그리고 장원형의 중앙 관통공(535)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한 플랜지붙이 부재(597)가 장원형의 중앙 관통공(535)의 상단 부위(615)까지 이동할 때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가 상단 부위(615)의 양단부(617)에 접촉하여 가이드부재(509)의 일부가 탄성 변형되고, 양단부(617)간의 거리(L501)이 원기둥형 부위(595)의 외경(D501)의 값까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붙이 부재(597)를 이동하여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가 상단 부위(615)에 위치하면 각 양단부(617)가 복원되어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양단부(617)와, 양단부(617)로부터 장원형 관통공(535)의 하단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이간 부위(619) 사이에는 이 이간 부위(619)에서 양단부(617)로 향함에 따라 장원형 관통공(535)의 폭이 조금씩 점차 좁아진다. 즉, 이간 부위(619)와 양단부(617) 사이에는 테이퍼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실드판(503)을 피복 위치(P503)에서 수납 위치(P501)로 이동할 때 플랜지붙이 부재(597)의 원기둥형 부위(595)가 말굽 형상의 상단 부위(615)의 양단부(617)에 갑자기 맞닿는 일이 없어져 상단 부위(615)의 양단부(617)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장원형 관통공(535)의 하단부측도 상단부측과 동일한 테이퍼부 등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말굽 형상의 양단부(617)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말굽 형상의 양단부(617)의 바깥쪽 근방에는 한쌍의 관통공(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를 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원형상의 2개의 관통공)(623)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623)을 장원형 관통공(535)의 상단부측에 설치하는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장원형 관통공(535)의 하단부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보유지지수단(613) 등을 중앙의 장원형 관통공(535)에 설치하는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좌우의 장원형 관통공(537),(539)에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그런데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에 설치되어 있는 장원형 관통공(535),(537),(539)의 주변에는 중앙 부위(527)의 안쪽으로 약간 패인 오목부(6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625)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각 장원형 관통공(535),(537),(539)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실드판(50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부(603)도 실드판(503)의 안쪽으로 약간 패여 설치되어 있다(도 52의 (b), 도 53 참조). 이들 3개의 오목부(625) 근방으로서,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의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 부분에는 3개의 돌기(6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돌기(627)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의 두께 방향에서 중앙 부위(527)의 앞쪽(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3개의 관통공(535),(537),(539)에 대응하여 설치된 3개의 플랜지붙이 부재(597)을 사용하여 가이드부재(509)에 실드판(503)을 설치한 상태에서는 실드판(503)의 상단부 3군데가 플랜지붙이 부재(597)를 통해 가이드부재(509)에 지지되어 있고, 실드판(50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부(603)가 중앙 부위(527)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부(625)에 들어감과 동시에 실드판(503)의 안쪽 면이 중앙 부위(527)의 각 돌기(627)에, 예를 들면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패킹(631)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맞닿아 있다.
또한 실드판(503)이 설치된 가이드부재(509)를 모체(507)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실드판(503)의 바깥쪽 면과 모체(507)의 앞쪽 반원호형 테두리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629)이 형성되어 있다(도 39 참조).
이로써 정상 상태(직립해 있는 착용자가 보호모(501)를 단순히 쓰고 있는 상태)에서는 실드판(503)의 상단부 3군데가 플랜지붙이 부재(597)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재(509)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실드판(503)의 안쪽 면이 중앙 부위(527)의 돌기(627)에, 예를 들면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패킹(631)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맞닿아 실드판(503)이 가이드부재(509)에 지지되어 있으며 실드판(503)이 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에서 원호형 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실드판(503)이 설치된 가이드부재(509)를 모체(507)에 설치한 상태에서 실드판(503)의 하단을 들어올리는 방향 또는 실드판(503)을 착용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외력이 실드판(503)에 가해진 경우 실드판(503)의 바깥쪽 면과 모체(507)의 앞쪽 원호형 테두리 사이에 있는 약간의 간격(629)이 없어져 실드판(503)의 바깥쪽 면이 모체(507)의 앞쪽 원호형 테두리에, 예를 들면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패킹(631)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맞닿아 상기 외력에 의한 실드판(503)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즉, 실드판(503)은 이 상단부의 설치부(603)에서 가이드부재(509)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실드판(503)은 이 하측 부위(모체(507)의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부위)에서 돌기(627)와 모체(507)의 앞쪽 반원호형 테두리 사이에 끼워져 돌기(627)와 모체(507)의 앞쪽 반원호형 테두리 중 어느 하나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실드판(503)이 크게 덜거덕거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아울러 상술한 걸어맞춤되는 부위 이외의 실드판(503) 부위는 가이드부재(509)나 모체(507)와는 약간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에 설치되어 있는 3개의 돌기(627) 및 이 주변과, 간격(629)을 형성하고 있는 모체(507)의 테두리와 이 근방에는, 예를 들면 판형의 패킹(저마찰 부재; 흠집 방지재)(631)이 부착되어 있다(도 44의 (a), 도 46의 (c) 참조). 이로써 실드판(503)(설치부(603)이나 차양(217)을 제외한)이 가이드부재(509)나 모체(507)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실드판(503)이 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를 작은 마찰 저항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모체(507)의 착용자의 시계에 들어가는 실드판(503)의 부위(도 42의 (a) 등에 도시한 ANSI규격의 광학 특성 범위(510))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부재(509)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패킹(631A)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장원형 관통공(535)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가이드부재(509)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다른 패킹(631)보다 길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실드판(503)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527)에 설치되어 있는 장원형의 각 관통공(535),(537),(539)과, 이들 관통공(535),(537),(539)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625)와,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는, 전술한 것처럼 또 도 43의 (b)에 도시한 것처럼 4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가장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A)는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연신 방향에서 좌측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A)와 좌측의 관통공(537)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있고, 다음으로 좌측에 위치한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B)는 제2 반원형 단부 곡선(531)의 연신 방향에서 좌측의 관통공(537)의 오목부(625)에 인접하여 좌측의 관통공(537)과 중앙의 관통공(535)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또 우측에 위치한 2개의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C),(587D)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심을 지나 상하 전후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는 평면에 대해 우측의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A),(587B)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와 가이드부재(509)의 가이드부(523)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해먹(517)을 가이드부재(509)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모체(507)에 가해진 외력을 해먹(517)과 적절하게 받을 수 있다.
또 모체 걸어멈춤부(585) 중 가장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멈춤부(585A) 또는 다음으로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멈춤부(585B)와(도 46의 (c) 참조),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 중 가장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멈춤부(587A)와(도 43의 (b) 참조)에 귀끈(턱끈)(515)의 피걸어멈춤부(633)을 걸어맞춤시키고, 또한 모체 걸어멈춤부(585) 중 가장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멈춤부(585D) 또는 다음으로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멈춤부(585C)와(도 46의 (c) 참조),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 중 가장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걸어멈춤부(587D)와(도 43의 (b) 참조)에 다른 귀끈(턱끈)(515)의 피걸어멈춤부(633)를 걸어맞춤시켜 각 턱끈(515)을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보호모(501)의 착용자가 위화감 없이 보호모(501)를 착용하고 착용자의 머리부에 각 턱끈(515)을 사용하여 보호모(501)를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미 이해한 것처럼 모체 걸어멈춤부(585)가 모체(507)의 뒤쪽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509)가 모체(507)의 앞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모체 걸어멈춤부(585)는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턱끈(515)의 피걸어멈춤부(633)를 모체 걸어멈춤부(585)나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에 걸어맞춤시킨 후 해먹(517)의 피걸어멈춤부(589)를 모체 걸어멈춤부(585)나 가이드부재 걸어멈춤부(587)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턱끈(515)(피걸어멈춤부(633))이나 해먹(517)(피걸어멈춤부(589))이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해먹(517)은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일단 설치된 해먹(517)은 모체(507)나 가이드부재(50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호모(501)에서는 가이드부재(509)의 각 측방 부위(541),(543)와 턱끈(515)의 피걸어멈춤부(633)가 모체(507)와 해먹(517)의 피걸어멈춤부(589)에 끼워져 모체(507)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42의 (b) 참조).
보호모(501)에 의하면, 가이드부재(509)가 구면형의 곡면을 갖추어 판형으로 형성된 중앙 부위(527)를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부(523)가 중앙 부위(예를 들면, 폭방향에서 중앙 부위(527)의 중앙 근처)(527)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른바 내로우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게 되어 가이드부(523)를 중앙 부위(527)의 측방쪽(폭방향에서의 각 단부측)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 실드판(503)의 출입(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보호모(501)에 의하면, 가이드부재(509)가 중앙 부위(527)와 각 측방 부위(541),(5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측방 부위(541),(543)의 근방에서 중앙 부위(527)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561A),561B)가 모체(507)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걸어맞춤되고, 각 측방 부위(541),(543)에 형성되어 있는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569)가 모체(507)에 형성되어 있는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571)에 걸어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판(503)을 출입시킬 경우에 모체(507)에 대한 가이드부재(509)의 덜거덕거림을 줄일 수 있다.
즉, 실드판(503)을 출입시킬 경우 가이드부재(509)로 실드판(503)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모체(507)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축(C501)을 중심으로 한 회전 모멘트가 가이드부재(509)에 걸려 이 회전 모멘트가 가이드부재(509)에서 모체(507)로 전해지는데, 모체(507)의 중앙 부위 피걸어맞춤부(563)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가이드부재(509)의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가 지지점이 되어 모체(507)의 측방 부위 피걸어맞춤부(567),(571)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가이드부재(509)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569)가 회전 모멘트를 받기 때문에 상기 덜거덕거림을 줄일 수 있다.
또 가이드부재(509)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569)를 좌측에 2군데, 우측에 2군데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덜거덕거림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좌측의 2개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 중 뒤쪽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관통공(581))와, 우측의 2개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 중 뒤쪽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관통공(581))가 모체(507)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점이 되는 중앙 부위 걸어맞춤부(561)와 뒤쪽의 측방 부위 걸어맞춤부(565) 사이의 거리가 커져 덜거덕거림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보호모(501)에 의하면, 가이드부재(509)의 가이드부(523)가 3개의 장원형 관통공(535),(537),(539)로 구성되어 있고, 실드판(503)의 걸어맞춤부(525)가 3개의 원기둥형 부위(595)로 구성되어 있고, 원기둥형 부위(595)의 각각이 3개의 관통공(535),(537),(539) 각각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실드판(503)이 가이드되어 수납 위치(P501)과 피복 위치(P503)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가이드부재(509)에 대한 실드판(503)의 덜거덕거림을 줄이면서 실드판(503)이 가이드부재(509)에 대해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실드판(503)으로서 착용자의 얼굴 상반만 덮는 하프 타입의 것을 채용해도 좋다. 또 실드판(503)을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드판과 마찬가지로 형성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도 15나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3...모체 5...실드판(실드부재)
17...차양부 73...본체부

Claims (10)

  1.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帽體)에 장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에 있어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안면쪽인 안쪽 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곡률 반경이 상하 방향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이 상하 방향에서의 두께의 변화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와 차양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본체부의 아래쪽에서 본체부와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져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4. 제2항에 있어서,
    본체부와 차양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양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방에서 본체부와는 반대쪽으로 구부러져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안쪽에 소정의 폭으로 패여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안쪽에 소정의 폭으로 패여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7.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에 장착되어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실드부재로서,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에 의해 만곡된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본체부와,
    비래물(飛來物)이 상기 착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차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착용자쪽으로 패여 하단쪽으로 개방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부재.
  9. 제7항에 기재된 실드부재와,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와,
    상기 실드부재가 상기 모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실드부재가 상기 착용자의 안면을 덮는 피복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드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며,
    상기 실드부재를 상기 수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드부재의 차양부와 상기 모체의 차양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10. 제8항에 기재된 실드부재와,
    착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와,
    상기 실드부재가 상기 모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와 상기 실드부재가 상기 착용자 안면을 덮는 피복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드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며,
    상기 실드부재를 상기 수납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실드부재의 차양부와 상기 모체의 차양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모.
KR1020147020818A 2009-01-19 2010-01-19 실드부재 및 보호모 KR101571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08953 2009-01-19
JPJP-P-2009-008953 2009-01-19
PCT/JP2010/050559 WO2010082664A1 (ja) 2009-01-19 2010-01-19 シールド部材および保護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82A Division KR20110110309A (ko) 2009-01-19 2010-01-19 실드부재 및 보호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006A true KR20140101006A (ko) 2014-08-18
KR101571070B1 KR101571070B1 (ko) 2015-11-23

Family

ID=423399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818A KR101571070B1 (ko) 2009-01-19 2010-01-19 실드부재 및 보호모
KR1020117018782A KR20110110309A (ko) 2009-01-19 2010-01-19 실드부재 및 보호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782A KR20110110309A (ko) 2009-01-19 2010-01-19 실드부재 및 보호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10277224A1 (ko)
EP (2) EP2387898A4 (ko)
JP (2) JP4996748B2 (ko)
KR (2) KR101571070B1 (ko)
CN (1) CN102281783B (ko)
TW (1) TW201028107A (ko)
WO (1) WO20100826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397A (ko) * 2020-01-17 2021-07-28 프로식스 주식회사 안면보호구가 구비되는 작업용 안전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044B2 (en) * 2012-02-28 2018-06-12 Adolfo Nava Garcia Helmet with eye protection
JP5840807B1 (ja) * 2015-03-20 2016-01-06 加賀産業株式会社 頭部保護用ヘルメット
CN105769439B (zh) * 2016-03-01 2018-05-08 宁波吉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护面屏
GB2552547A (en) * 2016-07-29 2018-01-31 Smallwood Ioan A helmet
WO2018190892A1 (en) * 2017-04-12 2018-10-18 Visor Nation Inc. Baseball helmet with visor
US11134741B2 (en) * 2017-05-25 2021-10-05 E.D. Bullard Company Protective helmet with a retractable and removable visor
CN107247334A (zh) * 2017-07-25 2017-10-13 苏州亮宇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ar光学面罩镜片
AU201814523S (en) * 2018-02-05 2018-08-29 Jsp Ltd Visored helmet
GB2576752A (en) 2018-08-30 2020-03-04 Jsp Ltd Safety helmet
KR102226934B1 (ko) * 2019-03-06 2021-03-11 주식회사 오토스윙 보안 구조체
KR102289469B1 (ko) * 2019-12-17 2021-08-12 주식회사 다테크니끄 헬멧용 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US20210227914A1 (en) * 2020-01-23 2021-07-29 Richard J. Brown Low fitting hairline cap
US11617403B2 (en) 2020-05-26 2023-04-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ce shield manufacturing method and assembly
US11647799B2 (en) 2020-08-03 2023-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ace shield assembly
TWI763586B (zh) * 2021-09-09 2022-05-01 蔡鴻祥 防護帽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5508A (en) * 1954-11-15 1957-12-10 Leonard P Frieder Helmet with retractable eye shield
US3514787A (en) * 1968-06-24 1970-06-02 Kennedy Alvin B Jun Collapsible protective hat
US3991422A (en) * 1975-04-21 1976-11-16 Hikogi Saotome Defensive covering for the head
US4028739A (en) * 1976-07-02 1977-06-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Ventilated helmet with selected weight distribution
CA1101755A (en) * 1978-02-10 1981-05-26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Safety helmet for miners
US4432100A (en) * 1982-04-16 1984-02-21 Bates Ronald E Protective helmet visor
US4859048A (en) * 1985-01-11 1989-08-22 Oakley, Inc. Cylindrical lens for sunglasses
US5448780A (en) * 1987-03-05 1995-09-12 Gath; Ricky J. Safety helmet
US5056156A (en) * 1989-11-30 1991-10-15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Helmet of a laminate construction of polycarbonate and polysulfone polymeric material
US5283914A (en) * 1990-12-20 1994-02-08 Coal Industry (Patents) Limited Protective helmets
JPH0617303A (ja) * 1992-06-30 1994-01-25 Coal Ind Ltd 保護ヘルメット
FR2698767B1 (fr) * 1992-12-08 1995-01-06 Sextant Avionique Système de maintien d'au moins une visière sur casque.
US5815848A (en) * 1995-07-14 1998-10-06 Oakley, Inc. Impact resistant face shield for sporting helmets
GB9517046D0 (en) * 1995-08-19 1995-10-25 Howat Jonathan M P Protective headwear
WO1997019606A1 (en) * 1995-11-30 1997-06-05 David Winstone Aitken Bennett A safety helme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839240B2 (ja) * 1996-12-11 1998-12-16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消防用ヘルメットにおけるメガネの取り付け構造
JPH10298818A (ja) * 1997-04-18 1998-11-10 Shuichi Koseki ヘルメット用保護メガネ装置
FR2773051B1 (fr) * 1997-12-29 2000-03-17 Gallet Sa Perfectionnement pour casque de protection
ATE296549T1 (de) * 1999-04-08 2005-06-15 Pab Plastika Akrapovic Buzet Helm mit kugelförmigem visier
CN2469735Y (zh) * 2001-01-17 2002-01-09 厦门宇诠复材科技有限公司 安全帽护罩组合结构
JP4531305B2 (ja) 2001-08-03 2010-08-2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JP2003082518A (ja) 2001-09-07 2003-03-19 Tanizawa Seisakusho Ltd 顔面シールド付きヘルメット
JP3583407B2 (ja) 2002-02-28 2004-11-04 ミドリ安全株式会社 ヘルメット及びシールド板アセンブリ
JP2005273107A (ja) 2004-03-26 2005-10-06 Tanizawa Seisakusho Ltd ヘルメット
US7389543B2 (en) * 2004-06-30 2008-06-24 Nike, Inc. Optically decentered face shield
US20070016997A1 (en) * 2005-07-21 2007-01-25 William Reddingto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DE202006000930U1 (de) * 2006-01-21 2006-04-20 Voss-Helme Gmbh & Co. Kg Schutzhelm
JP2008261075A (ja) 2007-04-12 2008-10-30 Tanizawa Seisakusho Ltd 着脱自在なシールド面を有するヘルメット
JP5067119B2 (ja) 2007-10-26 2012-11-07 Dic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ヘルメット
KR101343574B1 (ko) * 2009-01-19 2013-12-27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보호모
JP3154753U (ja) * 2009-08-11 2009-10-22 スターライト販売株式会社 ソフトバイザー付きヘルメット
EP2844098B1 (fr) * 2012-04-30 2016-06-22 Société Anonyme des Ets. CATU Casque de protection mécanique, électrique et contre les agressions thermiques, pour électrici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397A (ko) * 2020-01-17 2021-07-28 프로식스 주식회사 안면보호구가 구비되는 작업용 안전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6821A (ja) 2012-07-19
EP3025604A3 (en) 2016-08-31
KR101571070B1 (ko) 2015-11-23
JP5531043B2 (ja) 2014-06-25
US20110277224A1 (en) 2011-11-17
EP3025604B1 (en) 2017-12-27
JPWO2010082664A1 (ja) 2012-07-05
EP2387898A4 (en) 2014-03-26
CN102281783B (zh) 2015-05-06
JP4996748B2 (ja) 2012-08-08
TW201028107A (en) 2010-08-01
EP2387898A1 (en) 2011-11-23
US20150223548A1 (en) 2015-08-13
KR20110110309A (ko) 2011-10-06
CN102281783A (zh) 2011-12-14
WO2010082664A1 (ja) 2010-07-22
EP3025604A2 (en)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70B1 (ko) 실드부재 및 보호모
KR101343574B1 (ko) 보호모
US6438763B2 (en) Protective helmet
EP1853129B1 (en) Safety eyewear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US8291513B2 (en) Counter balanced, hands free, self positioning, protective shield
EP2825070B1 (en) Protective helmet and screen
JP4630937B2 (ja) シールド部材
TWI542289B (zh) 遮蔽構件及保護帽
JP3132080U (ja) ヘルメットのつば
JP3190197U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構造
JP3230180U (ja) フェイスシールド
JP2010163726A (ja) 保護帽
EP3704983B1 (en) Protective helmet for motorcyclist with sun protection visor
US20220155597A1 (en) Device for head-up projection, and helmet for the arrangement of a head-up projection device
TWM468165U (zh) 安全帽鏡片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