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374A - 전동식 안장형 차량 - Google Patents

전동식 안장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374A
KR20140096374A KR1020147016587A KR20147016587A KR20140096374A KR 20140096374 A KR20140096374 A KR 20140096374A KR 1020147016587 A KR1020147016587 A KR 1020147016587A KR 20147016587 A KR20147016587 A KR 20147016587A KR 20140096374 A KR20140096374 A KR 20140096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wheel
electric motor
moto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232B1 (ko
Inventor
미키오 가시와이
요시타카 고바야시
히로유키 기쿠치
신지 가와타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10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over or beside driven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0Drums for externally- 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38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92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coaxial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지지부 및 요동 지지부의 차폭 방향 일측에 연달아 마련되는 아암부를 갖는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과, 전동 모터 및 상기 전동 모터의 출력을 감속하여 후륜의 휠측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가지고 아암부에 지지되는 파워 유닛과, 휠에 마련되는 차륜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으로서, 파워 유닛(P)은, 전동 모터(38)에 관하여 후륜(WR)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감속기(39)를 배치하며 전동 모터(38)를 차폭 방향에서 감속기(39)보다 차체 중심선(CL)측으로 치우쳐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차륜 브레이크(80)는,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휠(41)에 마련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메인터넌스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타이어에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면서, 중량 밸런스를 양호한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안장형 차량{ELECTRIC SADDLE-RIDDEN VEHICLE}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지지부 및 후륜의 일측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의 차폭 방향 일측에 연달아 마련되는 아암부를 갖는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과, 상기 후륜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 및 상기 전동 모터의 출력을 감속하여 상기 후륜의 휠측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가지고 상기 아암부에 지지되는 파워 유닛과, 상기 휠에 마련되는 차륜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동식 안장형 차량은, 특허문헌 1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47815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것에서는, 후륜의 차축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 차폭 방향 일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전동 모터, 감속기 및 후륜의 휠이 배치되고, 차륜 브레이크인 드럼 브레이크가 상기 감속기측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휠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인터넌스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후륜의 타이어에의 액세스가 용이하지만, 중량물(重量物)인 전동 모터가 차폭 방향에서의 차체 중심으로부터 차폭 방향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중량 밸런스가 양호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메인터넌스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타이어에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면서, 중량 밸런스를 양호한 것으로 한 전동식 안장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지지부 및 후륜의 일측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의 차폭 방향 일측에 연달아 마련되는 아암부를 갖는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과, 상기 후륜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 및 상기 전동 모터의 출력을 감속하여 상기 후륜의 휠측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가지고 상기 아암부에 지지되는 파워 유닛과, 상기 휠에 마련되는 차륜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은, 상기 전동 모터에 관하여 상기 후륜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상기 감속기를 배치하며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차폭 방향에서 상기 감속기보다 차체 중심선측으로 치우쳐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륜 브레이크는, 상기 파워 유닛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휠에 마련되는 것을 제1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휠의 휠 허브는, 상기 후륜의 차축을 삽입 관통시키는 내통부와, 상기 내통부를 동축으로 위요(圍繞)하는 외통부와,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의 상기 파워 유닛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벽을 일체로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륜 브레이크가, 상기 외통부의 내주에 마련되는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내통부 및 상기 외통부 사이의 상기 파워 유닛과는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차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패널을 갖는 드럼 브레이크인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널 및 상기 차축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되고, 상기 요동 지지부 및 상기 브레이크 패널 사이에, 상기 브레이크 패널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3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차체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의 전후 양단부에 피체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피체결부를 체결하기 위한 부착부가 상기 피체결부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 및 상기 브레이크 패널에 각각 마련되며, 중첩된 상기 피체결부 및 상기 부착부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는, 상기 피체결부 및 상기 부착부의 한쪽에 접촉, 결합되는 확경(擴徑) 헤드부와, 중첩된 상기 피체결부 및 상기 부착부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확경 헤드부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삽입 관통 축부와, 상기 삽입 관통 축부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관통 축부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나사 축부를 일체로 가지고 단차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 혹은 상기 피체결부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도록 하여 상기 나사 축부에 너트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제4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휠의 림과, 차축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 타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상기 휠 허브 사이가, 상기 휠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차폭 방향 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스포크로 연결되는 것을 제5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5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전동 모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에 장착되는 타이어의 폭 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브레이크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이어의 폭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제6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모터축이, 상기 전동 모터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감속기에 연동,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상기 차축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모터축이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7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7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파워 유닛을 수용하는 파워 유닛 케이스는, 상기 스윙 아암의 아암부에 지지되는 케이스 주체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실을 상기 케이스 주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모터 커버와, 상기 감속기를 수용하는 감속기실을 상기 케이스 주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감속기 커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 커버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상기 차축이 상기 감속기 커버 및 상기 모터 커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모터축이, 상기 차축 및 상기 케이스 주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제8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특징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파워 유닛이, 상기 아암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제9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드럼 브레이크(80)가 본 발명의 차륜 브레이크에 대응하고, 실시형태의 제7 볼 베어링(84)이 본 발명의 베어링에 대응하며, 실시형태의 판 스프링(117) 및 고무재(118)가 본 발명의 탄성 부재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감속기를 전동 모터에 관하여 후륜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배치하며 전동 모터를 차폭 방향에서 감속기보다 차체 중심선측으로 치우쳐 배치하도록 하여 파워 유닛이 구성되고, 상기 차륜 브레이크가, 상기 파워 유닛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휠에 마련되기 때문에, 타이어 교환 시에는, 전동 모터 및 감속기뿐만 아니라 차륜 브레이크를 떼어 내는 것을 불필요로 하고, 차륜 브레이크의 메인터넌스 시에는 타이어를 떼어 내는 것을 불필요로 하면서, 메인터넌스의 우선 순위가 높은 타이어 및 차륜 브레이크에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고, 게다가 중량물인 전동 모터를 차폭 방향에서의 차체 중심선 쪽에 배치하여 양호한 중량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차륜 브레이크가, 휠 허브에 마련되는 드럼 브레이크이며, 컴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드럼 브레이크의 일부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패널과, 요동 지지부 사이에, 브레이크 패널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부재가 마련되기 때문에,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의 아암부만으로 파워 유닛을 지지하고, 브레이크 패널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요동 지지부만으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차체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방지 부재의 전후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피체결부와, 이들 피체결부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 및 브레이크 패널에 각각 마련되는 부착부가, 피체결부 및 부착부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와, 부착부 혹은 피체결부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켜 볼트의 나사 축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체결되고, 너트의 체결 상태에서도 볼트의 확경 헤드부 및 너트 사이에 피체결부 및 부착부가 단단히 체결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제거가 용이하며, 게다가 치수 교차를 엄밀하게 정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염가이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차축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림의 중심으로부터 차폭 방향 타측으로 휠 허브가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림 및 휠 허브 사이가, 휠 허브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스포크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동 모터를 차폭 방향에서 보다 차체 중심선 쪽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드럼 브레이크를 상기 차체 중심선으로부터 파워 유닛과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따르면, 전동 모터 중 적어도 일부를 타이어의 폭 내에 배치하고, 드럼 브레이크 중 적어도 일부를 타이어의 폭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오프셋하여 배치함으로써, 전동 모터를 차폭 방향에서 보다 현저하게 차체 중심선 쪽에 배치할 수 있으며, 드럼 브레이크를 상기 차체 중심선으로부터 보다 현저하게 차폭 방향 타측방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폭 방향에서 파워 유닛 및 후륜의 중량 밸런스를 균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에 따르면, 전동 모터의 모터축이 감속기에 연동, 연결되며, 감속기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차축을 관통하도록 하여 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동 모터를 차폭 방향에서의 차체 중심선 쪽에 배치하면서, 전동 모터로부터 차축에 이르기까지의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에 따르면, 파워 유닛 케이스가, 케이스 주체와, 모터실을 케이스 주체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케이스 주체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와, 감속기실을 상기 케이스 주체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케이스 주체에 결합되는 감속기 커버로 이루어지고, 차축이 감속기 커버 및 모터 커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모터축이, 차축 및 케이스 주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후륜을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만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특징에 따르면, 파워 유닛이 아암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메인터넌스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전동 스쿠터의 좌측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2는 전동 스쿠터의 우측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3은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4는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6은 스윙 아암 및 파워 유닛의 일부 절결 횡단 평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7은 도 3의 7-7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8은 도 7의 주요부 확대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10은 도 4의 10-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11은 도 9의 11-1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12는 도 9의 12-1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13은 도 6의 화살표(13)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 1~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상하 및 좌우의 각 방향은 전동 스쿠터에 탑승한 탑승자로부터 본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에 있어서, 이 전동식 안장형 차량은, 저상 플로어(32)를 갖는 전동 스쿠터이며,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15)의 후방부에 마련되는 파워 유닛(P)이 발휘하는 회전 동력으로, 상기 파워 유닛(P)에 피봇 지지되는 후륜(WR)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더불어 참조해 보면, 전동 스쿠터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6) 및 상기 프론트 포크(16)의 상부에 연결된 조향 핸들(17)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8)와, 상기 헤드 파이프(18)에 전단부가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19)과,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9)의 후단부에 마련되는 크로스 파이프(20)와,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양단부에 전단이 각각 연달아 마련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21, 21)과, 양 리어 프레임(21…)의 중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 멤버(22)와, 한 쌍의 상기 리어 프레임(21…)의 내측에서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에 연달아 마련되어 상기 크로스 파이프(2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23, 23)과, 이들 서브 프레임(23…)의 하부에 각각 연달아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피봇 프레임(24, 24)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9)은, 상기 헤드 파이프(18)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다운 프레임(19a)과, 상기 저상 플로어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어지도록 하여 상기 다운 프레임(19a)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프레임(19b)을 일체로 가지며, 단일의 파이프가 굴곡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를 더불어 참조해보면,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차폭 방향 중앙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19)에 있어서의 로어 프레임(19b)의 후단부에 고착되고, 한 쌍의 상기 리어 프레임(21…)의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양단부에 고착된다. 즉 상기 리어 프레임(21)은, 상기 크로스 파이프(20)를 개재하여 상기 로어 프레임(19b)의 후단부에 연달아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리어 프레임(21)은, 적어도 승차용 시트(30)의 하방에서는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고,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21)은,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차용 시트(3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전방부 경사 프레임(21a)과, 상기 전방부 경사 프레임(21a)의 후단으로부터 약간 후방 하향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방부 경사 프레임(21b)을 일체로 가지고, 단일의 파이프가 굴곡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양 리어 프레임(21…)의 상기 전방부 경사 프레임(21a…) 및 상기 후방부 경사 프레임(21b…)의 연결부 사이는 크로스 멤버(22)로 연결된다.
도 5를 더불어 참조하여 보면, 상기 서브 프레임(23…)은, 상기 리어 프레임(21…)에 내측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양단부 후면에 연달아 마련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피봇 프레임(24…)은, 이들 서브 프레임(2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서브 프레임(23…)의 하부에 연달아 마련된다.
좌우 한 쌍의 서브 프레임(23…) 사이에는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상방에 배치되는 배치판(26)이 마련되어 있고, 배터리(27)를 수납하여 좌우 한 쌍의 상기 리어 프레임(21…)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박스(28)가, 상기 배치판(26)에 실리도록 하여 양 서브 프레임(23…)으로 지지된다. 즉 배터리 박스(28)는 상기 크로스 파이프(20)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서브 프레임(23…)으로 지지된다.
또한 배터리 박스(28)의 상방에는, 좌우 한 쌍의 상기 리어 프레임(21…)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수납 박스(29)가 배치되고, 이 수납 박스(29)에는, 상기 수납 박스(29)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승차용 시트(30)가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배터리 박스(28)는 상기 승차용 시트(30)의 하방에서 좌우 한 쌍의 상기 리어 프레임(21…)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한 쌍의 상기 서브 프레임(23…)의 후단부에는, 상방이 개방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25)이 고착되고, 이 보강 프레임(25)의 양단부가 상기 리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전방부 경사 프레임(21a…)의 중간부에 고착된다.
상기 차체 프레임(F), 상기 배터리 박스(28)의 일부 및 상기 수납 박스(29)는, 상기 승차용 시트(30)에 앉은 탑승자가 발을 얹는 저상 플로어(32)를 갖는 차체 커버(31)로 덮어진다.
상기 차체 프레임(F)의 피봇 프레임(24…)에는,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15)의 전단부가 단일의 지지축(33)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스윙 아암(15)과 회동 축선을 동일로 한 메인 스탠드(34)가 상기 지지축(3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양 리어 프레임(17…) 중 좌측의 리어 프레임(17)의 후방부에 마련되는 브래킷(35)과, 상기 스윙 아암(15)의 후방부에 마련되는 파워 유닛(P) 사이에는 리어 쿠션 유닛(36)이 마련된다.
도 6 및 도 7을 더불어 참조하여 보면, 상기 스윙 아암(15)은, 상기 후륜(WR)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축(33)을 통하여 상기 피봇 프레임(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지지부(15a)와, 상기 후륜(WR)의 일측방(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15a)의 차폭 방향 일측(이 실시형태에서는 차폭 방향 좌측)으로 연달아 마련되는 아암부(15b)를 가지고 외팔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동 지지부(15a)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크로스 부분(15aa)과, 상기 크로스 부분(15aa)의 좌우 양측에 연달아 마련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 부분(15ab, 15ac)과, 좌우 한 쌍의 상기 피봇 프레임(24…)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지지축(33)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 아암 부분(15ab, 15ac)의 전단부에 마련되는 지지통 부분(15ad, 15ad)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도 6 및 도 7에서는 이점 쇄선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이 요동 지지부(15a)이다. 또한 아암부(15b)는 상기 요동 지지부(15a)의 좌우의 지지 아암 부분(15ad, 15ad) 중 좌측의 지지 아암 부분(15ab)에 일체로 연속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지지축(33)의 중심 축선(C1)은, 도 1~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WR)의 회전 중심(C2)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게다가 상기 배터리 박스(28)의 후면(28a)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3)을 삽입 관통시키는 한 쌍의 지지통 부분(15ad…)은 상기 스윙 아암(15)의 전단 상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3)은, 상기 서브 프레임(23…)에 지지되는 상기 배터리 박스(28)의 후단 하면과, 그 배터리 박스(28)의 후단 바로 아래에서의 상기 스윙 아암(15)의 상면 사이에, 스윙 아암(15) 및 배터리 박스(28)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간극(g)(도 3 참조)을 두도록 하여 상기 피봇 프레임(24…)의 후단 하부 사이에 마련된다.
도 8을 더불어 참조하여 보면, 상기 파워 유닛(P)은, 상기 배터리(2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후륜(WR)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38)와, 상기 전동 모터(38)의 출력을 감속하여 상기 후륜(WR)의 휠(41)측에 전달하는 감속기(39)와, 상기 전동 모터(38) 및 상기 감속기(39)를 수용하는 파워 유닛 케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는, 상기 스윙 아암(15)에 있어서의 아암부(15b)의 후방부에 지지되는 케이스 주체(42)와, 상기 전동 모터(38)를 수용하는 모터실(45)을 상기 케이스 주체(42)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주체(42)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43)와, 상기 감속기(39)를 수용하는 감속기실(46)을 상기 케이스 주체(42)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주체(42)에 결합되는 감속기 커버(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주체(42)는, 차폭 방향 양측이 개방된 통형의 외곽부(42a)와, 이 외곽부(42a) 내를 차폭 방향 양측으로 구획하여 상기 외곽부(42a)에 일체로 마련되는 격벽(42b)과, 상기 외곽부(42a)의 앞측 상부로부터 전방 상향으로 돌출하는 제1 부착부(42c)와, 상기 외곽부(42a)의 전방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2 부착부(42d)와, 상기 외곽부(42a)의 앞측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3 부착부(42e)를 일체로 갖는다. 이렇게 하여 상기 모터실(45) 및 상기 감속기실(46)은 상기 케이스 주체(42)의 상기 격벽(42b)을 상호간에 개재시켜 인접하도록 하여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 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암부(15b)의 후방부에는, 상기 케이스 주체(42)의 제1~제3 부착부(42c~42e)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는 지지판(47, 48)이 고착되어 있고, 제1~제3 부착부(42c~42e)는 이들 지지판(47, 48)에 볼트(49…) 및 너트(50…)로 체결된다. 따라서 케이스 주체(42), 즉 파워 유닛 케이스(40)는, 상기 스윙 아암(15)의 아암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게 된다.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가 스윙 아암(15)의 아암부(15b)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커버(43)의 차폭 방향 타측방(우측방)에 상기 후륜(WR)의 휠(41)이 배치되게 된다. 또한 파워 유닛(P)은, 상기 감속기(39)를 상기 전동 모터(38)에 관하여 상기 후륜(WR)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배치하며, 상기 전동 모터(38)를 상기 차폭 방향에서 상기 감속기(39)보다 차체 중심선(CL)측으로 치우쳐 배치하도록 하여 상기 아암부(15b)에 지지된다.
상기 전동 모터(38)는, 상기 모터 커버(43)에 고정되는 스테이터(51)와, 상기 스테이터(51)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로터(52)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모터 커버(43)에 복수의 볼트(56…)로 체결되는 스테이터 코어(53)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53)에 장착되는 보빈(54)과, 상기 보빈(54)에 장착되는 코일(55)을 가지고, 상기 로터(52)는, 상기 후륜(WR)의 차축(57)을 동축으로 관통하도록 하여 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격벽(42b)을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감속기실(46)에 돌입되는 모터축(58)의 타단부에 로터 코어(59)가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전동 모터(38)는, 상기 스테이터(51)의 일단측에서의 상기 코일(55) 및 상기 격벽(42b) 사이의 축방향 최대 거리(L1)를, 상기 스테이터(51)의 타단측에서의 상기 코일(55) 및 상기 모터 커버(43) 사이의 축방향 최대 거리(L2)보다 크게 하여, 상기 모터실(45)에 수용된다.
상기 모터축(58) 및 상기 격벽(42b) 사이에는, 제1 볼 베어링(61)과, 제1 볼 베어링(61)에 상기 모터실(45)측에서 인접하는 제1 오일 시일(62)이 개재된다.
도 9를 더불어 참조하여 보면, 상기 모터축(58)은, 상기 전동 모터(38)보다 외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감속기(39)에 연동,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감속기(39)는, 상기 모터축(58)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 기어(63)와, 상기 구동 기어(63)에 맞물리는 제1 아이들 기어(64)와, 제1 아이들 기어(64)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아이들 기어(65)와, 제2 아이들 기어(65)에 맞물리는 피동 기어(66)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63)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아이들 기어(64)는, 아이들축(67)에 고정되고, 제1 아이들 기어(64)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아이들 기어(65)는 아이들축(67)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들축(67)의 일단부는 상기 감속기 커버(44)에 제2 볼 베어링(68)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아이들축(67)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주체(42)의 격벽(42b)에 제3 볼 베어링(69)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 커버(43)의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상기 차축(57)에는, 상기 감속기(39)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며, 이 차축(57)의 일단부에 상기 감속기(39)의 피동 기어(66)가 고정되고, 상기 차축(57)의 타단부에 상기 후륜(WR)의 휠(41)이 고정된다. 이 차축(57)은, 상기 모터 커버(43) 및 상기 감속기 커버(44)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차축(57)의 일단부 및 상기 감속기 커버(44) 사이에는 제4 볼 베어링(70)이 개재되며, 상기 차축(57)의 중간부 및 상기 모터 커버(43) 사이에는 시일을 갖는 제5 볼 베어링(71)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모터축(58)은, 상기 차축(57)과, 상기 케이스 주체(4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며, 모터축(58)의 외주 및 상기 케이스 주체(42)의 격벽(42b)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볼 베어링(61) 및 제1 오일 시일(62)이 개재되고, 상기 모터축(58)의 타단부 내주 및 차축(57) 사이에는, 시일부의 제6 볼 베어링(72)과, 제6 볼 베어링(72)보다 상기 감속기실(46)측에 배치되는 제2 오일 시일(73)이 개재된다.
그런데 상기 휠(41)은, 상기 차축(57)에 고정되는 휠 허브(74)와, 타이어(77)가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휠 허브(74)를 동축으로 위요하는 림(75)과, 상기 림(75) 및 상기 휠 허브(74)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76…)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휠 허브(74)는, 상기 차축(57)을 삽입 관통시키는 내통부(74a)와, 상기 내통부(74a)를 동축으로 위요하는 외통부(74b)와, 상기 내통부(74a) 및 상기 외통부(74b)의 상기 파워 유닛(P)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벽(74c)을 일체로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통부(74a)가 상기 차축(57)에 고정된다.
또한 휠 허브(74)는, 차축(57)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림(7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 타측(우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상기 휠 허브(74)의 외통부(74b) 및 상기 림(75)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76…)는, 상기 휠 허브(74)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차폭 방향 타측(우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전동 모터(38) 중 적어도 일부,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38)의 대부분이, 상기 림(75)에 장착되는 타이어(77)의 폭(W) 내에 배치된다.
상기 후륜(WR)의 휠(41)에는, 차륜 브레이크인 드럼 브레이크(80)가, 상기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우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마련된다. 이 드럼 브레이크(80)는, 상기 휠 허브(74)에 있어서의 상기 외통부(74b)의 내주에 마련되는 브레이크 드럼(81)과, 상기 내통부(74a) 및 상기 외통부(74b) 사이의 상기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차축(5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패널(82)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81)에 미끄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슈(83)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 드럼 브레이크(8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이어(77)의 폭(W)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널(82) 및 상기 차축(57) 사이에는, 한 쌍의 시일을 갖는 제7 볼 베어링(84, 84)과, 이들 제7 볼 베어링(84…)의 외측방에 배치되는 환형의 시일 부재(85)가 개재된다.
도 2 및 도 4에 주목하여 보면,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에는, 회동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슈(83…)를 회동 구동하는 캠축(86)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브레이크 패널(82)의 외측방에서 상기 캠축(86)에 기단부가 고정되는 아암(87)의 선단부에는, 탑승자의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견인되는 브레이크 케이블(88)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윙 아암(15)의 요동 지지부(15a) 및 상기 브레이크 패널(82) 사이에는,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으로 형성되는 회전 방지 부재(90)가,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여 마련된다.
이 회전 방지 부재(90)의 전후 양단부에는 피체결부(90a, 90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피체결부(90a, 90b)를 체결하기 위한 부착부(91, 92)가 상기 피체결부(90a, 90b)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15a)의 우단부 및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에 각각 마련된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부재(90)는 파이프를 편평하게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편평하게 찌부러뜨리도록 가공함으로써 피체결부(90a, 90b)가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요동 지지부(15a)의 부착부(91)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90)의 전단부의 피체결부(90a)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의 부착부(92)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90)의 후단부의 피체결부(90b)에 차폭 방향 내방측으로부터 접촉되는 것이며, 중첩된 상기 피체결부(90a, 90b) 및 상기 부착부(91, 92)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93, 93)와, 이들 볼트(93…)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94, 94)로 피체결부(90a, 90b)가 상기 부착부(91, 92)에 부착된다.
상기 볼트(93)는, 상기 피체결부(90a, 90b) 및 상기 부착부(91, 92) 중의 한쪽, 이 실시형태에서는 부착부(91, 92)의 내측의 외면에 접촉, 결합하는 확경 헤드부(93a)와, 중첩된 상기 피체결부(90a, 90b) 및 상기 부착부(91, 92)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확경 헤드부(93a)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삽입 관통 축부(93b)와, 상기 삽입 관통 축부(93b)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관통 축부(93b)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나사 축부(93c)를 일체로 가지고 단차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91, 92) 혹은 상기 피체결부(90a, 90b)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도록 하여 너트(94…)가 볼트(93…)의 나사 축부(93c…)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볼트(93)의 상기 삽입 관통 축부(93b) 및 나사 축부(93c) 사이에는 환형 단차부(93d)가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체결부(90a) 및 상기 부착부(91)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93)의 나사 축부(93c)에는 그 환형 단차부(93d)에 결합되는 와셔(115)에 접촉하도록 너트(94)가 나사 결합되고, 와셔(115) 및 부착부(91) 사이에는 탄성 부재인 판 스프링(117)이 끼워지며, 상기 피체결부(90b) 및 상기 부착부(92)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93)의 나사 축부(93c)에는 그 환형 단차부(93d)에 결합되는 와셔(116)에 접촉하도록 너트(94)가 나사 결합되고, 와셔(116) 및 피체결부(90b) 사이에는 탄성 부재인 고무재(118)가 끼워진다. 즉 상기 볼트(93…)의 나사 축부(93c…)에는, 부착부(91) 및 피체결부(90b)와의 사이에 판 스프링(117) 및 고무재(118)를 개재시키도록 하여 너트(94…)가 나사 결합되게 된다.
도 11을 더불어 참조하여 보면,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에 있어서의 케이스 주체(42) 및 상기 모터 커버(43)의 하부에는, 상기 모터실(45)의 하부에 통하는 물빠짐 구멍(96)이, 상기 전동 모터(38)에 관하여 상기 후륜(WR)의 휠(41)과 반대측에서 외부에 개구하도록 하여 마련되고, 상기 격벽(42b)에는, 상기 감속기실(46) 및 상기 모터실(45) 사이를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97)이 마련된다.
도 12를 더불어 참조하여 보면, 상기 케이스 주체(42) 및 상기 감속기 커버(44) 사이, 혹은 상기 케이스 주체(42) 및 상기 감속기 커버(44) 중 어느 하나에는, 서로 연통하는 복수의 브리더실(100~104)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스켓(98)을 상호간에 개재시킨 상기 케이스 주체(42) 및 상기 감속기 커버(44) 사이에, 제1~제5 브리더실(100, 101, 102, 103, 104)이 형성된다. 게다가 제1~제5 브리더실(100~104) 중 유통 방향 최종단의 브리더실인 제5 브리더실(104)이 상기 연통 구멍(97)에 연통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케이스 주체(42)에는, 상기 가스켓(98) 및 상기 격벽(42b) 사이에, 제1~제5 브리더실(100~104) 중 제1, 제2 및 제5 브리더실(100, 101, 104)을 형성하기 위한 벽부(42f)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감속기 커버(44)에는, 상기 가스켓(98) 및 상기 감속 커버(44) 사이에, 제1~제5 브리더실(100~104) 중 제3 및 제5 브리더실(102, 103)을 형성하기 위한 벽부(44a)가 일체로 마련되며, 제1~제5 브리더실(100~104) 중 적어도 일부,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제4 브리더실(101~104)이 상기 가스켓(98)의 양측에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케이스 주체(42)의 벽부(42f)의 하부의 상기 가스켓(98)측의 단부에는, 감속기실(46)을 제1 리저버실(99)에 연통시키는 홈형의 입구(105)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브리더실(100, 101)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벽부(42f)의 상기 가스켓(98)측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브리더실(100, 101) 사이를 연통시키는 홈형의 통로(106)가 마련되며, 상기 감속기 커버(44)의 벽부(44a)의 상기 가스켓(98)측의 단부에는, 제3 및 제4 브리더실(102, 103) 사이를 연통시키는 홈형의 통로(107)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98)에는, 제2 및 제3 브리더실(101, 102)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 구멍(109)과, 제4 및 제5 브리더실(103, 104)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 구멍(110)이 마련된다.
제1~제5 브리더실(100~104)은, 상기 연통 구멍(97)측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방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최하방의 브리더실인 제1 브리더실(100)이 상기 입구(105)를 통해 상기 감속기실(46) 내에 연통하고, 상기 연통 구멍(97)이 최상방의 브리더실인 제5 브리더실(104)의 상부에 개구된다.
게다가 유통 방향 최종단의 브리더실인 제5 브리더실(104)측에 상기 격벽(42b)으로부터 돌출하는 통부(111)가, 상기 연통 구멍(97)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격벽(42b)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통부(111)와 동축인 통부(112)가 상기 모터실(45)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상기 격벽부(42b)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 구멍(97)은, 상기 양 통부(111, 112) 및 상기 격벽(42b)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통 구멍(97)으로부터 상기 모터실(45)측에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전동 모터(38)에 직접 닿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도 11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통 구멍(97)의 상기 모터실(45)측의 개구단 및 상기 전동 모터(38) 사이에 배치되는 방해판(113)을 상기 케이스 주체(42)의 외곽부(42a)의 내면에 일체로 돌출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27)로부터의 직류 전류를 3상의 교류 전류로 변환하며 그 교류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파워 유닛(P)에 있어서의 전동 모터(38)에 공급하는 파워 드라이브 유닛(119)이, 상기 배터리 박스(28)의 후방 경사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F)의 리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고, 이 파워 드라이브 유닛(119)으로부터 연장되는 3상의 전기 케이블(78)이, 상기 파워 유닛(P)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 모터(38)의 스테이터(51)에 접속된다.
도 13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15)에는, 상기 스윙 아암(15)의 요동 지지부(15a)의 좌측 상부와, 아암부(15b)의 상부, 하부 및 내측을 덮는 거싯(120)이 고착되어 있고, 이 거싯(120) 및 스윙 아암(15) 사이에는, 스윙 아암(15)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파워 드라이브 유닛(119)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전기 케이블(78)이 삽입 관통된다. 게다가 상기 요동 지지부(15a)의 상부에는, 상방의 상기 파워 드라이브 유닛(119)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전기 케이블(78)의 도중을 유지하는 홀더(12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홀더(121)로 유지된 상기 전기 케이블(78)은, 요동 지지부(15a)의 좌측 상부 및 상기 거싯(120) 사이에 형성되는 입구(122)(도 6 참조)로부터 상기 거싯(120) 및 상기 스윙 아암(15)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의 케이스 주체(42)의 전단에 대향하여 상기 아암부(15b) 및 상기 거싯(120) 사이에 형성되는 출구(123)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기 케이블(78)은, 상기 파워 유닛 케이스(40)의 케이스 주체(42) 내에 인입된다.
다음에 이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파워 유닛(P)의 전동 모터(38)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7)를 수납한 배터리 박스(28)가, 승차용 시트(30)의 하방에서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21…) 사이에 배치되고, 스윙 아암(15)의 전단부를 차체 프레임(F)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일의 지지축(33)이, 배터리 박스(28)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터리 박스(28)의 후방에 스윙 아암(15)의 지지부를 설정하는 일없이 단일의 지지축(33)으로 스윙 아암(15)을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스윙 아암(15)의 지지 강도를 확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조립 공정수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15)의 전후 방향 길이를 확보하고, 측면에서 보아 지지축(33)의 중심 축선(C1) 및 후륜(WR)의 타이어(77)의 접지점을 연결하는 직선(LL)과, 타이어(77)의 접지점보다 전방의 노면이 이루는 각도(α)(도 3 참조)를 작게 함으로써, 스윙 아암(15)에 마련된 파워 유닛(P)으로 후륜(WR)이 구동될 때에 노면으로부터 받는 반력의 상방을 항한 분력을 작게 하여, 가속 시의 안티 스쿼트율 및 감속 시의 안티 리프트율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후륜(WR)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적게 하여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은, 배터리 박스(28)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23…)과, 이들 서브 프레임(23…)의 하부에 각각 연달아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피봇 프레임(24…)을 구비하고, 양 피봇 프레임(24…) 사이에 지지축(33)이 마련되기 때문에, 스윙 아암(15)의 지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33)의 중심 축선(C1)이, 후륜(WR)의 회전 중심(C2)보다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축(33)의 중심 축선(C1) 및 후륜(WR)의 타이어(77)의 접지점을 연결하는 직선(LL)과, 타이어(77)의 접지점보다 전방의 노면이 이루는 각도(α)(도 3 참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후륜(WR)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영향을 보다 적게 하여, 주행 시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축(33)의 중심 축선(C1)이 배터리 박스(28)의 후면(28a)보다 전방에 있기 때문에, 스윙 아암(15)의 전후 방향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15)의 전단 상부에 지지축(33)을 삽입 관통시키는 한 쌍의 지지통 부분(15ad…)이 마련되고, 지지축(33)이, 서브 프레임(23…)에 지지되는 배터리 박스(28)의 후단 하면과, 그 배터리 박스(28)의 후단 바로 아래에서의 스윙 아암(15)의 상면 사이에, 스윙 아암(15) 및 배터리 박스(28)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간극(g)을 두도록 하여 한 쌍의 상기 피봇 프레임(24…)의 후단 하부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배터리 박스(28)를 서브 프레임(23…)으로 지지하고, 그 서브 프레임(23…)의 하부에 연달아 마련되는 피봇 프레임(24…)에 지지축(33)을 통하여 스윙 아암(15)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스윙 아암(15) 및 배터리 박스(28)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스윙 아암(15)을 요동시키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33)에 메인 스탠드(34)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스윙 아암(15) 및 메인 스탠드(34)를 컴팩트하게 모아 배치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중량물인 배터리 박스(28)의 하방에 메인 스탠드(34)를 배치함으로써 메인 스탠드(34)를 일으키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메인 프레임(19)에 있어서의 로어 프레임(19b)의 후단부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터리 박스(28)의 하방에 배치되는 크로스 파이프(20)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고착되고, 한 쌍의 리어 프레임(21…)의 전단부가 크로스 파이프(20)의 양단부에 고착되기 때문에, 로어 프레임(19b)의 후단부에, 배터리 박스(28)의 하방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파이프(20)를 개재하여 한 쌍의 리어 프레임(21…)이 연달아 마련되게 되어, 배터리 박스(28)의 지지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브 프레임(23)의 후단부에, 상방이 개방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25)이 고착되고, 이 보강 프레임(25)의 양단부가 리어 프레임(21…)에 고착되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23…)의 지지 강성을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P)이, 감속기(39)를 전동 모터(38)에 관하여 후륜(WR)과는 반대측의 일측방에 배치하며 전동 모터(38)를 차폭 방향에서 감속기(39)보다 차체 중심선(CL)측으로 치우쳐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방측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드럼 브레이크(80)가 후륜(WR)의 휠(41)에 마련되기 때문에, 타이어(77)의 교환 시에는 전동 모터(38) 및 감속기(39)뿐만 아니라 드럼 브레이크(80)를 떼어 내는 것을 불필요로 하며, 드럼 브레이크(80)의 메인터넌스 시에는 타이어(77)를 떼어 내는 것을 불필요로 하면서, 메인터넌스의 우선 순위가 높은 타이어(77) 및 드럼 브레이크(80)에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고, 게다가 중량물인 전동 모터(38)를 차폭 방향에서의 차체 중심선(CL) 쪽에 배치하여 양호한 중량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후륜(WR)의 휠(41)의 휠 허브(74)가, 후륜(WR)의 차축(57)을 삽입 관통시키는 내통부(74a)와, 상기 내통부(74a)를 동축으로 위요하는 외통부(74b)와, 내통부(74a) 및 외통부(74b)의 파워 유닛(P)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벽(74c)을 일체로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드럼 브레이크(80)가, 외통부(74b)의 내주에 마련되는 브레이크 드럼(81)과, 내통부(74a) 및 외통부(74b) 사이의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여 차축(5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패널(82)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패널(82) 및 차축(57) 사이에는 제7 볼 베어링(84)이 개재되고, 스윙 아암(15)의 요동 지지부(15a) 및 브레이크 패널(82) 사이에, 브레이크 패널(82)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부재(90)가 마련되기 때문에,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15)의 아암부(15b)만으로 파워 유닛(P)을 지지하고, 브레이크 패널(82)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요동 지지부(15a)만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방지 부재(90)는,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 회전 방지 부재(90)의 전후 양단부에 피체결부(90a, 90b)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피체결부(90a, 90b)를 체결하기 위한 부착부(91, 92)가 피체결부(90a, 90b)에 중첩되도록 하여 요동 지지부(15a) 및 브레이크 패널(82)에 각각 마련되며, 중첩된 피체결부(90a, 90b) 및 부착부(91, 92)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93…)가, 피체결부(90a, 90b) 및 부착부(91, 92) 중의 한쪽에 접촉, 결합되는 확경 헤드부(93a…)와, 중첩된 피체결부(90a, 90b) 및 부착부(91, 92)를 관통하도록 하여 확경 헤드부(93a)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삽입 관통 축부(93b…)와, 상기 삽입 관통 축부(93b…)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삽입 관통 축부(93b…)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나사 축부(93c…)를 일체로 가지고 단차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93…)의 나사 축부(93c…)에는, 부착부(91) 및 피체결부(90b)와의 사이에 판 스프링(117) 및 고무재(118)를 개재시키도록 하여 너트(94…)가 나사 결합되기 때문에, 너트(94…)가 체결 상태에서도 볼트(93…)의 확경 헤드부(93a…) 및 너트(94…) 사이에 피체결부(90a, 90b) 및 부착부(91, 92)가 단단하게 체결되는 일은 없어, 제거가 용이하고, 게다가 치수 교차를 엄밀하게 정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염가이다.
또한 휠(41)의 림(75)과, 차축(57)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림(75)의 중심으로부터 차폭 방향 타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휠 허브(74) 사이가, 휠 허브(74)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스포크(76…)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동 모터(38)를 차폭 방향에서 보다 차체 중심선(CL) 쪽에 배치할 수 있으며, 드럼 브레이크(780)를 상기 차체 중심선(CL)으로부터 파워 유닛(P)과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38) 중 적어도 일부가 림(75)에 장착되는 타이어(77)의 폭(W) 내에 배치되고, 드럼 브레이크(80) 중 적어도 일부가, 타이어(77)의 폭(W)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동 모터(38)를 차폭 방향에서 보다 현저하게 차체 중심선(CL) 쪽에 배치할 수 있으며, 드럼 브레이크(80)를 상기 차체 중심선(CL)에서 보다 현저하게 차폭 방향 타측방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차폭 방향에서 파워 유닛(P) 및 후륜(WR)의 중량 밸런스를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38)의 모터축(58)이, 상기 전동 모터(38)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배치되는 감속기(39)에 연동, 연결되고, 감속기(39)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차축(57)을 관통하도록 하여 모터축(58)이 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동 모터(38)를 차폭 방향에서의 차체 중심선(CL) 쪽에 배치하면서, 전동 모터(38)로부터 차축(57)에 이르기까지의 동력 전달계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P)을 수용하는 파워 유닛 케이스(40)가, 스윙 아암(15)의 아암부(15b)에 지지되는 케이스 주체(42)와, 전동 모터(38)를 수용하는 모터실(45)을 케이스 주체(42)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케이스 주체(42)에 결합되는 모터 커버(43)와, 감속기(39)를 수용하는 감속기실(46)을 케이스 주체(42)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케이스 주체(42)에 결합되는 감속기 커버(44)로 이루어지고, 모터 커버(43)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차축(57)이 감속기 커버(44) 및 모터 커버(4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모터축(58)이, 차축(57) 및 케이스 주체(4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후륜(WR)을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15)만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P)이, 스윙 아암(15)의 아암부(15b)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메인터넌스가 가능해져, 파워 유닛(P)을 스윙 아암(15)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파워 유닛(P)의 사이즈 및 타이어(77)의 사이즈 변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유닛 케이스(40)에는, 모터실(45) 및 감속기실(46)이 상호간에 격벽(42b)을 개재시켜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파워 유닛 케이스(40)의 하부에는, 모터실(45)의 하부에 통하는 물빠짐 구멍(96)이 마련되고, 격벽(42b)에, 감속기실(46) 및 모터실(45) 사이를 통하게 하는 연통 구멍(97)이 마련되기 때문에, 감속기실(46)의 압(壓)이 연통 구멍(97) 및 모터실(45)을 통해 물빠짐 구멍(96)으로부터 대기에 해방되게 되어, 감속기실(46) 및 모터실(45)을 연통 구멍(97)으로 연통함으로써 모터실(45)을 기액 분리를 위한 큰 볼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통하는 제1~제5 브리더실(100, 101, 102, 103, 104)이, 케이스 주체(42) 및 감속기 커버(44) 사이에 형성되고, 각 브리더실(100~104) 중 유통 방향 최종단인 제5 브리더실(104)이 연통 구멍(97)에 연통되기 때문에, 감속기실(46)의 압이 제1~제5 브리더실(100~104)을 지나 연통 구멍(97)으로부터 모터실(45)에 유도되게 되어, 기액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1~제5 브리더실(100~104)이, 연통 구멍(97)측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방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최하방에 있는 제1 브리더실(100)을 형성하는 벽부(42f)의 하부에 감속기실(46)에 통하는 입구(105)가 마련되고, 연통 구멍(97)이 최상방에 있는 제5 브리더실(104)의 상부에 개구되기 때문에, 각 브리더실(100~104)에서 분리된 오일을 감속기실(46)측으로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제5 브리더실(100~104) 중 적어도 일부의 브리더실인 제2~제5 브리더실(101~104)이, 케이스 주체(42) 및 감속기 커버(44) 사이의 가스켓(98)을 사이에 끼워 상기 가스켓(98)의 양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액 분리 성능의 추가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터실(45)에 수용되는 전동 모터(38)의 스테이터(51)에 코일(55)이 마련되고, 스테이터(51)의 일단측에서의 코일(55) 및 격벽(42b) 사이의 축방향 최대 거리(L1)를 스테이터(51)의 타단측에서의 코일(55) 및 모터 커버(43) 사이의 축방향 최대 거리(L2)보다 크게 함으로써, 격벽(42b) 및 전동 모터(38)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기액 분리를 위한 큰 볼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15)에, 모터 커버(43)의 측방에 후륜(WR)의 휠(41)이 배치되도록 하여 파워 유닛 케이스(40)가 지지되고, 물빠짐 구멍(96)이, 전동 모터(38)에 관하여 휠(41)과는 반대측에서 외부에 개구하도록 하여 파워 유닛 케이스(40)에 마련되기 때문에, 물빠짐 구멍(96)으로부터의 배출물이 후륜(WR)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유통 방향 최종단인 제6 브리더실(104)측에 격벽(42b)으로부터 돌출하는 통부(111)가, 연통 구멍(97)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격벽(42b)에 일체로 돌출 설치되기 때문에, 제6 브리더실(104)로부터 연통 구멍(97)에의 유입 시에 유통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추가적인 기액 분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워 유닛 케이스(40)에, 연통 구멍(97)의 모터실(45)에의 개구단에 대향하도록 하여 방해판(113)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연통 구멍(97)으로부터 모터실(45)측에 유입되는 블리딩 가스가 전동 모터(38)에 직접 닿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여, 격벽(42b) 및 전동 모터(38) 사이의 공간에 블리딩 가스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는 일없이 여러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5 : 스윙 아암 15a : 요동 지지부
15b : 아암부 38 : 전동 모터
39 : 감속기 40 : 파워 유닛 케이스
41 : 휠 42 : 케이스 주체
43 : 모터 커버 44 : 감속기 커버
45 : 모터실 46 : 감속기실
57 : 차축 58 : 모터축
74 : 휠 허브 74a : 내통부
74b : 외통부 74c : 연결벽
75 : 림 76 : 스포크
77 : 타이어 80 : 차륜 브레이크인 드럼 브레이크
81 : 브레이크 드럼 82 : 브레이크 패널
84 : 베어링인 제7 볼 베어링 90 : 회전 방지 부재
90a, 90b : 피체결부 91, 92 : 부착부
93 : 볼트 93a : 확경 헤드부
93b : 삽입 관통 축부 93c : 나사 축부
94 : 너트 117 : 탄성 부재인 판 스프링
118 : 탄성 부재인 고무재 CL : 차체 중심선
F : 차체 프레임 P : 파워 유닛
W : 타이어의 폭 WR : 후륜

Claims (9)

  1. 차체 프레임(F)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 지지부(15a) 및 후륜(WR)의 일측방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15a)의 차폭 방향 일측에 연달아 마련되는 아암부(15b)를 갖는 외팔보형의 스윙 아암(15)과, 상기 후륜(WR)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휘하는 전동 모터(38) 및 상기 전동 모터(38)의 출력을 감속하여 상기 후륜(WR)의 휠(41)측에 전달하는 감속기(39)를 가지고 상기 아암부(15b)에 지지되는 파워 유닛(P)과, 상기 휠(41)에 마련되는 차륜 브레이크(80)를 구비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으로서,
    상기 파워 유닛(P)은, 상기 전동 모터(38)에 관하여 상기 후륜(WR)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상기 감속기(39)를 배치하며 상기 전동 모터(38)를 상기 차폭 방향에서 상기 감속기(39)보다 차체 중심선(CL)측으로 치우쳐 배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륜 브레이크(80)는, 상기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차폭 방향 타측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휠(41)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41)의 휠 허브(74)는, 상기 후륜(WR)의 차축(57)을 삽입 관통시키는 내통부(74a)와, 상기 내통부(74a)를 동축으로 위요(圍繞)하는 외통부(74b)와, 상기 내통부(74a) 및 상기 외통부(74b)의 상기 파워 유닛(P)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벽(74c)을 일체로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륜 브레이크(80)가, 상기 외통부(74b)의 내주에 마련되는 브레이크 드럼(81)과, 상기 내통부(74a) 및 상기 외통부(74b) 사이의 상기 파워 유닛(P)과는 반대측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차축(57)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패널(82)을 갖는 드럼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널(82) 및 상기 차축(57) 사이에 베어링(84)이 개재되고, 상기 요동 지지부(15a) 및 상기 브레이크 패널(82) 사이에,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방지 부재(9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90)의 전후 양단부에 피체결부(90a, 90b)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피체결부(90a, 90b)를 체결하기 위한 부착부(91, 92)가 상기 피체결부(90a, 90b)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요동 지지부(15a) 및 상기 브레이크 패널(82)에 각각 마련되며, 중첩된 상기 피체결부(90a, 90b) 및 상기 부착부(91, 92)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93)는, 상기 피체결부(90a, 90b) 및 상기 부착부(91, 92)의 한쪽에 접촉, 결합되는 확경 헤드부(93a)와, 중첩된 상기 피체결부(90a, 90b) 및 상기 부착부(91, 92)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확경 헤드부(93a)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삽입 관통 축부(93b)와, 상기 삽입 관통 축부(93b)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관통 축부(93b)에 동축으로 연속하는 나사 축부(93c)를 일체로 가지고 단차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91, 92) 혹은 상기 피체결부(90a, 90b)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117, 118)를 개재시키도록 하여 상기 나사 축부(93c)에 너트(94)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41)의 림(75)과, 차축(57)의 축선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상기 림(75)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차폭 방향 타측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상기 휠 허브(74) 사이가, 상기 휠 허브(74)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차폭 방향 타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복수의 스포크(76)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38)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림(75)에 장착되는 타이어(77)의 폭(W) 내에 배치되고, 상기 드럼 브레이크(80)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타이어(77)의 폭(W)으로부터 외측방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터(38)의 모터축(58)이, 상기 전동 모터(38)의 차폭 방향 일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감속기(39)에 연동,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39)로부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상기 차축(57)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모터축(58)이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P)을 수용하는 파워 유닛 케이스(40)는, 상기 스윙 아암(15)의 아암부(15b)에 지지되는 케이스 주체(42)와, 상기 전동 모터(38)를 수용하는 모터실(45)을 상기 케이스 주체(42)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모터 커버(43)와, 상기 감속기(39)를 수용하는 감속기실(46)을 상기 케이스 주체(42)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감속기 커버(44)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 커버(43)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상기 차축(57)이 상기 감속기 커버(44) 및 상기 모터 커버(4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모터축(58)이, 상기 차축(57) 및 상기 케이스 주체(4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유닛(P)이, 상기 아암부(15b)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안장형 차량.
KR1020147016587A 2011-11-25 2012-11-12 전동식 안장형 차량 KR101626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58088 2011-11-25
JP2011258088 2011-11-25
PCT/JP2012/079275 WO2013077214A1 (ja) 2011-11-25 2012-11-12 電動式鞍乗り型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374A true KR20140096374A (ko) 2014-08-05
KR101626232B1 KR101626232B1 (ko) 2016-05-31

Family

ID=4846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587A KR101626232B1 (ko) 2011-11-25 2012-11-12 전동식 안장형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67615B2 (ko)
EP (1) EP2783973B1 (ko)
JP (1) JP5858587B2 (ko)
KR (1) KR101626232B1 (ko)
CN (1) CN104066645B (ko)
ES (1) ES2619052T3 (ko)
TW (1) TWI464091B (ko)
WO (1) WO20130772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7698A1 (de) 2014-07-29 2016-02-04 Hyundai Motor Company Einsetztyp-Ausdehnungsleitung-Integrierte-Luftfiltervorrichtung und Verbrennungsmotoreinlasssystem hierfür
US20170057586A1 (en) * 2015-09-01 2017-03-0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698A1 (ja) * 2013-12-02 2015-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JP6604711B2 (ja) * 2014-08-20 2019-11-13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のブリーザ構造、およびこのブリーザ構造を具備する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6418111B2 (ja) * 2015-09-07 2018-11-07 スズキ株式会社 車輪速センサ装置取付構造
WO2017168719A1 (ja) * 2016-03-31 2017-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駆動装置
JP6706952B2 (ja) * 2016-03-31 2020-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6671219B2 (ja) * 2016-03-31 2020-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電動車両
DE102016211498A1 (de) * 2016-06-27 2017-12-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xternen Überwachung einer Leistungselektronik
JP6698466B2 (ja) * 2016-08-05 2020-05-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電動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構造
US11572133B2 (en) 2017-11-02 2023-02-07 Piaggio & C. S.P.A. Electric drive motorcycle
CN111511634B (zh) * 2017-12-29 2021-12-03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骑乘式电动车辆
WO2019186953A1 (ja) * 2018-03-29 2019-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電動車両
JP7149161B2 (ja) * 2018-10-30 2022-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電動車両
WO2020202198A1 (en) * 2019-03-29 2020-10-08 Hero MotoCorp Limited Multi-purpose swing arm of vehicle
CN111267959B (zh) * 2020-03-11 2020-12-22 河南工学院 用于提高汽车nvh性能的减振车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3191A (en) * 1990-11-26 1994-05-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arn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EP0695662A1 (en) * 1994-08-04 1996-02-07 Chen-Chi Yang A driving assembly for motor whee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199652B1 (en) * 1997-12-11 2001-03-13 Vectrix Corporation Vehicle drive wheel assembly
DE10014131A1 (de) * 2000-03-22 2001-09-27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Radantrieb zum Antrieb eines Fahzeugrades
CA2441126A1 (en) * 2001-03-14 2002-09-19 New Venture Gear, Inc. Drive axle for hybrid vehicle
JP2003127941A (ja) * 2001-10-19 2003-05-08 Yamaha Motor Co Ltd 電動二輪車のバッテリ脱着構造
US7249644B2 (en) * 2003-05-30 2007-07-31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TWM287795U (en) * 2005-09-30 2006-02-21 Li Ming Machinery Co Ltd Motor-driven decelerating wheel structure
JP5225956B2 (ja) * 2009-03-27 2013-07-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式鞍乗型車両
JP5419513B2 (ja) * 2009-03-27 201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の動力伝達装置
CN102448806B (zh) * 2009-03-27 2013-09-25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动式鞍乘型车辆
JP5375557B2 (ja) 2009-03-27 2013-1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反力付与装置及びその方法
CN101525034B (zh) * 2009-03-31 2011-06-01 西南大学 双凸轮自适应自动变速轮毂
CN101525035B (zh) * 2009-03-31 2012-10-03 西南大学 组合式高速电机减速及双凸轮自动变速集成装置
JP5523770B2 (ja) 2009-08-31 2014-06-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5528168B2 (ja) * 2010-03-26 2014-06-25 Ntn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コントローラ装置
JP5695471B2 (ja) * 2011-03-31 2015-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17698A1 (de) 2014-07-29 2016-02-04 Hyundai Motor Company Einsetztyp-Ausdehnungsleitung-Integrierte-Luftfiltervorrichtung und Verbrennungsmotoreinlasssystem hierfür
US20170057586A1 (en) * 2015-09-01 2017-03-02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traddl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3973A1 (en) 2014-10-01
EP2783973A4 (en) 2016-01-06
CN104066645B (zh) 2016-09-28
JP5858587B2 (ja) 2016-02-10
ES2619052T3 (es) 2017-06-22
US20140339006A1 (en) 2014-11-20
TW201335019A (zh) 2013-09-01
KR101626232B1 (ko) 2016-05-31
EP2783973B1 (en) 2017-03-01
WO2013077214A1 (ja) 2013-05-30
TWI464091B (zh) 2014-12-11
US9067615B2 (en) 2015-06-30
CN104066645A (zh) 2014-09-24
JPWO2013077214A1 (ja)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32B1 (ko) 전동식 안장형 차량
KR101645832B1 (ko) 전동 스쿠터
JP5513628B2 (ja) 電動式鞍乗り型車両
CN101712355B (zh) 电动二轮车
JP5712110B2 (ja) 電動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
CN102822049B (zh) 混合动力式骑乘型车辆
JP2024050918A (ja) 二輪車
JP2008100609A (ja) 電動車両
US10800478B2 (en) Swing arm structure for saddle riding electric vehicle
JP7322173B2 (ja) 二輪車
JP5174578B2 (ja) 自動二輪車
KR20060050460A (ko) 자동 이륜차
WO2021220308A1 (en) Electric vehicle
JP3157690U (ja) 鞍乗型車両
JP2006069407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10083301A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懸架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