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375A - 회전 증발기 - Google Patents

회전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375A
KR20140085375A KR1020137019371A KR20137019371A KR20140085375A KR 20140085375 A KR20140085375 A KR 20140085375A KR 1020137019371 A KR1020137019371 A KR 1020137019371A KR 20137019371 A KR20137019371 A KR 20137019371A KR 20140085375 A KR20140085375 A KR 2014008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guide
guide tower
tower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748B1 (ko
Inventor
어윈 하우저
에리히 벡커
Original Assignee
케엔에프 뉴버거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엔에프 뉴버거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케엔에프 뉴버거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4008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8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rotating vessels; Atomisation on rotating discs
    • B01D3/085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rotating vessels; Atomisation on rotating discs using a rotary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8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rotating vessels; Atomisation on rotat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4Retort stands; Retort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타워(3)가 돌출된 장치 스탠드(2), 증발 용기(5)를 구비하며 특히 가이드 타워(3)에서 증발 용기(5)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해 주행할 수 있는 유리 구조물(4), 및 유리 구조물(4)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을 포함하는 회전증발기(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타워(3)는 타워(3)의 종 연장방향으로 배향된 채널(17)을 포함하고, 채널 내에는 유리 구조물(4)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도관부가 제공되며, 도관부는 튜브 연결부 내로 이어지거나 종결되며, 튜브 연결부는 가이드 타워(3)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하는 회전증발기의 바닥측 영역에 배치되고, 그리고 유리 구조물(4)은 가이드 타워(3)에서 측면으로 주행 가능한 캐리지(21) 내에 보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지(21)는 상승 위치로부터 복원력에 반하여 하강 위치로 주행 가능하고, 캐리지(21)의 주행을 위해 가이드 타워(3)에 대향하여 위치 고정적인 윈치(35)가 제공되고, 윈치는 권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프(37)를 포함하며, 로프는 캐리지(21)에서 보유되거나 안내된다.

Description

회전 증발기{ROTARY EVAPORATOR}
본 발명은 가이드 타워(guide tower)가 돌출된 장치 스탠드, 증발 용기를 구비하며 특히 증발 용기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해 가이드 타워 측면에서 주행 가능한 캐리지(carriage)에 보유되는(holded) 유리 구조물, 및 유리 구조물과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을 포함하는 회전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증발기는 이미 다양한 실시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증발기는 성분들의 상이한 끓는점을 활용하여 유체 혼합물 및 용액을 세밀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회전 증발기는 건조, 용제 재회수 및 유사한 공정을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증발기 부재로서 일반적으로 가열조(heating bath)가 그 역할을 하고, 가열조 내에는 가온된 물- 또는 오일 체적이 위치한다. 가열조의 가온된 물 또는 오일량 내에서 증발기 플라스크가 회전하고, 증발기 플라스크는 플라스크 내부에 증발시킬 용액을 포함하고 있다. 이 용액은 회전하는 증발기 플라스크의 가온된 플라스크 내벽상에서 얇은 유체막으로서 분포하고, 상기 얇은 유체막은 이 곳에서 쉽게 기화될 수 있다. 증발기 플라스크가 회전함으로써 끓음이 지연되는 것이 방지되고, 가열조와 연관하여서는 증발해야 할 매질 내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가 달성된다. 가열조에서 부가적으로 야기되는 혼합으로 효과적인 가열 온도의 제어가 현저히 용이해진다. 매질 내에서 예기치 않은 화학 반응을 일으키고 사용자에게 유해할 수 있는 높은 온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증발 공정은 공정 공간의 진공화에 의해 지원된다. 증발 성능은 가열조 온도, 플라스크 크기 및 증발기 플라스크의 회전 속도뿐만 아니라 설정된 진공압에 따라 달라진다. 매질과 공정의 일반적인 열관성으로 인하여, 증발은 일정한 온도에서 1차적으로 압력에 의해 제어된다. 공정 공간을 진공화하고, 요구되는 냉각기에 필수적인 냉각제 공급부 및 배출부를 연결할 수 있으려면, 증발기 플라스크상에서 에워싸는 방식의 회전증발기의 유리 구조물에 적어도 하나의 튜브 연결부가 제공되고,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튜브 연결부가 제공되며, 이러한 튜브 연결부는 각각 하나의 가요적인 튜브 도관에 의해 진공 펌프와 연결되거나 냉각제 공급부 또는 냉각제 배출부와 연결된다.
지난 수십년간 선행 공지된 회전증발기의 조작 가능성, 안전성 및 자동화는 현저히 개선되었다. 그러나 일부의 단점을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선행 공지된 회전증발기는 장치 스탠드를 포함하고, 장치 스탠드 상에 가이드 타워(guide tower)가 솟아있다. 가이드 타워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내부의 타워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의 타워부를 상기 내부의 타워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외부의 타워부가 감싸고 있다. 가이드 타워의 외부 타워부에는 증발기 플라스크를 에워싸는 유리 구조물이 보유되고(holded), 유리 구조물은 수직 방향에서 외부 타워부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유리 구조물은 대부분 복수 개의 가요적인 튜브 도관에 의해 진공 펌프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냉각제 공급부 및 냉각제 배출부와도 연결된다.
US 5 152 375 A로부터 이미 장치 스탠드를 포함하고, 장치 스탠드상에 가이드 타워가 돌출된 회전증발기가 선행 공지되어 있다. 선행 공지된 회전증발기는 증발 용기를 구비한 유리 구조물을 포함하고, 유리 구조물은 특히 증발 용기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해 캐리지에 보유되며, 캐리지는 가이드 타워에서 측면으로 주행 가능하다. 이러한 선행 공지된 회전증발기에서도, 유리 구조물은 복수 개의 가요적인 유체 도관에 의해 진공 펌프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냉각제 공급부 및 냉각제 배출부와도 연결된다.
선행 공지된 회전증발기에서, 튜브 도관은 유리 구조물의 각 높이에 대해 충분한 길이를 제공하도록 상기 튜브 도관의 길이가 대규모로 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회전 증발기 및 그 가이드 타워에 보유된 유리 구조물을 빙 둘러 이어지는 튜브 도관들은 회전 증발기와 함께 취급될 때 정체현상을 일으켜, 회전 증발기의 사용자가 이러한 튜브 도관들에서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작업을 지연하게 될 위험이 있다. 내부 및 외부의 타워부의 상대적 위치도 추정할 수만 있는 경우가 많아서, 공정 및 그에 속한 회전 증발기의 파라미터는 경우에 따라 반복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독일 실용 신안 DE 93 16 757 U1으로부터 이미 지지부로서 역할하는 베이스판을 구비한 펌프 스탠드가 주지되었고, 펌프 스탠드상에는 펌프, 제어 유닛 및 경우에 따라서 그 외 부가 장치들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판에는 홀더 암이 제공되고, 홀더 암에는 진공 콘트롤러 및/또는 분리기가 보유되어 있다. 베이스판 및 홀더 암은 중공 및 관통부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판 및 홀더 암을 통하여 전기적 도관뿐만 아니라 공압식(pneumatic) 연결부, 예컨대 튜브가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튜브는 베이스판상에 고정된 펌프로부터 베이스판 및 홀더 암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 암의 상부 자유 말단까지 이어질 수 있어서, 튜브는 이 위치에서 노출된 상태로 진공 콘트롤러에 연결될 수 있다.
DE 93 16 757 U1으로부터 선행 공지된 펌프 스탠드는 이미 거의 20년전부터 종래 기술에 속하긴 하나, 이러한 선행 공지된 종래 기술은 회전증발기의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없었다. 이러한 회전증발기에서는 튜브 도관과 연결된 유리 구조물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해 필수적인 유체 도관이 오늘날까지 여전히 노출된 채로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면서 위험 없이 조작할 수 있는 회전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과제의 해결 방법은,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회전 증발기에 있어서, 가이드 타워는 타워의 종측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내에는 유리 구조물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도관부가 제공되며, 상기 도관부는 튜브 연결부 안으로 이어지거나 종결되고, 튜브 연결부는 가이드 타워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한 회전 증발 응축기의 바닥측 영역에 배치됨, 가이드 타워는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 부분은 가이드 타워의 종측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분리층 내에서 서로 연결됨, 가이드 타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부분은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됨,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내부 공간은 가이드 타워의 채널을 형성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증발기에서, 서로 감싸며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 및 하강 가능한 타워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그 대신, 본 발명에 따른 회전증발기에서, 유리 구조물은 캐리지(carriage)에 보유되고, 캐리지는 가이드 타워에서 측면으로 주행 가능하다. 가이드 타워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는 타워 높이를 가지므로, 가이드 타워의 타워 내부는 그 내부에서 유리 구조물과 연결된 튜브 도관의 적어도 하나의 도관부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타워는 타워의 종측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내에는 유리 구조물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도관부가 제공된다. 유리 구조물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은 튜브 연결부 내에서 이어지거나 종결되며, 튜브 연결부는 가이드 타워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하는 회전 증발기의 바닥측 영역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유체 도관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예컨대 진공 펌프와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비교적 긴 도관부는 보호된 상태로 가이드 타워의 내부 내에서 안내되고, 이로써 유리 구조물의 영역 내에 잔류하는 도관부는 비교적 짧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들은 작업에 방해를 주는 정체현상이 덜하고, 이러한 도관부들에서 실수로 지연될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 무엇보다도,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증발기는 간단하고 위험 없이 조작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증발기의 제조 및 조립을 훨씬 간단히 하기 위해, 가이드 타워는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부분으로 구성되고, 프로파일 부분은 가이드 타워의 종측 연장방향으로 배향된 분리층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풀림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것이 고려된다. 가이드 타워는 중공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부분을 포함하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내부 공간은 가이드 타워의 채널을 형성한다.
유리 구조물에 일 튜브 말단이 연결된 가요적인 튜브 도관은 가이드 타워 내에 제공된 채널을 통과하여, 상기 튜브 도관의 타 튜브 말단은 바닥측의 튜브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타워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도관부는 바닥측의 제1 튜브 연결부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하는 도관부 말단에서 제2 튜브 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 튜브 연결부는 가이드 타워의 자유 말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리 구조물과 제2 튜브 연결부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적인 튜브 부재가 제공된다. 이 위치로부터 유체 도관은 가이드 타워의 채널 내에 배치된 도관부를 지나 바닥측의 튜브 연결부까지 이어진다.
흡입될 공기 또는 냉각기 내에서 요구되는 냉각제는 직접적으로, 예컨대 중공 프로파일-내부 공간으로서 형성된 가이드 타워의 채널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도관이 단일의 채널을 통해 보호된 채로 안내될 수 있으려면,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에 있어서 가이드 타워의 채널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도관부는 채널 내에 안내된 튜브 도관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도관부는 그의 튜브 도관 말단에서 제1 튜브 연결부 및 경우에 따라서 제2 튜브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발전예에서, 가이드 타워의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부는 하나의 중공 공간을 빙 둘러 경계짓고, 상기 중공 공간은 가이드 틈새에서 개방된 채로 형성되며, 중공 공간 내에는 캐리지 가이드가 제공되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에서 캐리지가 주행 가능하게 안내되며, 그리고 상기 캐리지는 가이드 틈새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암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 암은 유리 구조물과 연결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발전적인 실시예에서, 캐리지 가이드는 보호된 채로 중공 공간 내에 부속하고,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부분은 상기 중공 공간을 빙 둘러 경계짓는다. 중공 공간 내에 위치한 캐리지 가이드에서 캐리지가 안내되고, 캐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암을 지지하며, 연결 암은 유리 구조물과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암은 가이드 틈새를 관통하고, 가이드 틈새는 가이드 타워의 측면에 제공된다.
구성적으로 매우 간단하면서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가이드 틈새가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부분 사이의 분리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파일부분의 인접한 좁은 가장자리에 의해 빙 둘러 경계지어지는 것을 고려한다.
장치 구조물의 재생산 가능성을 용이하게 하고,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증발기의 취급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캐리지는 눈금 조절부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고, 눈금 조절부는 가이드 타워의 외부 둘레에 제공된 눈금(scale)을 포함하며, 눈금은 캐리지에 위치한 표시부와 연동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발전예는, 캐리지가 상승 위치로부터 복원력에 반하여 하강 위치로 주행 가능하고, 캐리지의 주행을 위해 가이드 타워를 대향하여 위치 고정적인 윈치가 제공되며, 윈치는 권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프를 포함하고, 로프는 캐리지에 보유되거나 안내되는 것을 고려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타워에서 캐리지의 주행을 위해 캐리지에 대향하여 위치 고정적인 윈치가 제공되고, 윈치는 권취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로프를 포함하며, 로프는 캐리지에 보유되거나 안내된다. 상승 구동부로서 사용되는 윈치는 비교적 조용하여, 이는 연구소 운용 시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윈치의 경우에 동력 전달은 로프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경우에 따라서 진동이 심한 모터는 회전 증발기의 나머지 구조물로부터 거의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윈치는 적합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로프는 적어도 일 방향 전환에 의해 캐리지쪽으로 안내될 수 있다. 로프는 캐리지에 보유되거나 안내되되, 로프의 권취 또는 권출 및 윈치위로 돌출한 로프부의 축소 또는 연장에 의해 캐리지가 복원력에 의해 들어 올려지거나 복원력에 반하여 하강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한다. 정전 시, 윈치는 그 위에 권취된 로프를 풀되, 복원력이 캐리지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푼다; 정전 시 캐리지는 자동으로 그의 상승 위치로 움직이고, 상승 위치에서 증발 용기는 가열조 위에 간격을 두어 위치하므로, 증발 용기 내에서 진행되는 공정은 예비적으로 중단되고, 증발해야 할 유체가 제어 없이 과열되는 일은 확실히 방지된다.
캐리지가 가이드 타워에서 주행할 때의 속도를 윈치를 위해 사용된 구동 모터의 회전수에 정합할 수 있기 위해 그리고/또는 비교적 무거운 유리 구조물을 작은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가이드 타워에서 양호하게 주행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윈치의 적어도 하나의 로프는 호이스트(hoist)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유리하다.
구동 모터의 진동이 회전 증발기의 구조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윈치가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구동 모터는 탄성적이거나 진동을 감쇠시키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고려한다.
구동 모터가 전력 중단 시 복원력에 의해 야기되는 캐리지의 복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윈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구동 모터는 전류가 없는 상태에서 토크 프리(torque-free) 전기 구동 모터로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캐리지의 주행 동작 및 소정의 상승 높이에 상기 캐리지의 위치 결정은, 윈치가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가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하고 유리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이 복원력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고려한다.
가스 압축 스프링에 의해 인가된 복원력은 전력이 중단된 경우에도 캐리지를 소정의 상승 위치로 주행 및 상승시킬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이 캐리지를 상승 위치에서 슬라이드 스토퍼에 대고 가압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청구항 및 도면과 연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도출된다. 개별적인 특징은 그 자체로 또는 복수 개가 모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회전 증발기의 전체 모습을 사시도로 도시하며, 회전 증발 응축기는 장치 스탠드를 포함하고, 장치 스탠드에서 가이드 타워가 솟아 있으며, 이때 가이드 타워에서는 홀더로서 역할하는 캐리지가 측면으로 주행 가능하고, 캐리지는 온도조절 용기에 침지될 수 있는 증발 용기를 구비한 유리 구조물을 지지하고, 증발 요기에는 회전 구동부가 부속하며, 회전 구동부는 온도 조절 용기내에서 의 증발 용기를 상기 온도 조절 용기의 종축만큼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증발기의 가이드 타워를 사시 횡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개략화된 개별 부분 모습으로서 가이드 타워 내에 배치된 상승 구동부를 도시하고, 상승 구동부는 홀더로서 역할하는 캐리지가 가이드 타워에서 주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가이드 타워에서 주행 가능한 캐리지를 종단면도로 도시하며, 캐리지는 유리 구조물을 지지하고, 캐리지에는 수평의 선회 축만큼 선회 가능한 회전 구동부가 제공되며, 회전 구동부에 의해 유리 구조물의 증발 용기는 회전 증발기의 온도조절 용기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도 5는 캐리지의 영역 내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가이드 타워를 사시 상세도로 도시하며, 가이드 타워에서 상승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 조절부 및 회전 구동부를 위해 선택된 선회 각을 표시하기 위해 캐리지에서의 눈금 조절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회전 구동부를 종단면도로 도시하며, 회전 구동부는 회전 구동 가능한 허브(hub)를 포함하고, 허브는 유리 중공 샤프트로서 형성된 증기 관류를 관통하고, 유리 중공 샤프트(glass hollow shaft)는 일 샤프트 말단에서 증발 용기를 지지하고, 타 샤프트 말단에서 냉각기쪽으로 이어진 연결관으로 이어지며, 회전 구동부의 회전 구동 가능한 허브의 회전 동작은 슬리브 형상의 클램프 인서트(clamp insert)를 이용하여 유리 중공 샤프트로 전달되며, 클램프 인서트는 유리 중공 샤프트상으로 밀려 있다.
도 7은 유리 중공 샤프트상으로 밀려진 클램프 인서트의 영역내에서 도 4 및 도 6의 회전 구동부를 상세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클램프 인서트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9는 기계 밀봉(mechanical seal)으로서 역할하는 밀봉 링의 영역 내에서 회전 구동부의 허브를 관통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를 도시하고, 밀봉 링은 외부의 고정 가장자리를 이용하여 냉각기측의 연결관과 회전 구동부의 구동부 하우징 사이에 고정되고, 내부 링 영역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에 밀접하여 이웃한다.
도 10은 도 9의 밀봉 링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1은 원거리 조작부로서 형성되는 조작 부재의 영역에서 도 1의 회전증발기를 상세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1에는 회전 증발기(1)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회전 증발기(1)는 장치 스탠드(2)를 포함하고, 장치 스탠드는 회전 증발기의 구조물을 지지한다. 장치 스탠드(2)상에 가이드 타워(3)가 솟아 있고, 가이드 타워는 수직으로 배향된 종축을 가진다. 회전 증발기(1)는 유리 구조물(4)을 포함하고, 유리 구조물은 여기서 증발 플라스크로서 형성된 증발 용기(5), 냉각기(6) 및 냉각기(6)와 풀림 가능하게 결합된 수집 용기(7)를 포함한다. 증발 용기(5)는 증기 관류부로서 역할하며 도 6, 도 7 및 도 9에 더 상세히 도시된 유리 중공 샤프트(8)에 보유되고, 유리 중공 샤프트는 증발 용기(5)의 반대쪽의 상기 샤프트 말단에서 냉각기(6)의 연결관(9) 내에 맞물린다.
회전 증발기(1)는 여기서 가열조로서 형성된 온도 조절 용기(10)를 포함하고, 온도 조절 용기 내에는 증발 용기(5)가 국부적으로 침지된다. 증발 용기(5)의 일부 영역이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필요 시 증발 용기(5)를 온도 조절 용기(10)로부터 취출하여 증발 공정을 중단시킬 수 있기 위해, 유리 구조물(4) 및 상기 유리구조물과 함께 증발 용기(5)도 가이드 타워(3)에서 주행 가능하게 보유된다.
여기서 가열조로서 형성된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는 예컨대 가온된 물 용적 또는 오일 용적이 위치한다. 온도 조절 용기(10)의 가온된 수량 또는 오일량에서 증발 용기(5)가 회전하고, 증발 용기는 그의 플라스크형 내부 공간 내에서 증발해야 할 용액을 포함한다. 용액은 회전하는 증발 용기(5)의 가온된 용기-내벽상에서 얇은 유체막으로서 분포하고, 유체막은 이 곳에서 쉽게 기화될 수 있다. 증발 용기(5)가 회전함으로써, 끓음 지연이 방지되고,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위치한 가열조(10)와 연관하여서는 가열해야할 매질 내의 균일한 온도 분포가 달성된다. 부가적으로 야기되는 가열조의 혼합은 효과적인 가열 온도 제어를 훨씬 더욱 용이하게 만든다. 사용자의 위험과 연관되고 매질 내에서 예기치 않은 화학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높은 온도를 방지하기 위해, 증발 공정은 공정 공간의 진공화에 의해 지원된다. 증발 성능은 가열조 온도, 증발 용기(5)의 크기 및 그 회전 속도 그리고 설정된 진공압에 따라 달라진다. 매질과 공정의 일반적인 열 관성으로 인하여, 증발은 일정한 온도에서 1차적으로 압력에 의해 제어된다. 공정 공간을 진공화하고, 냉각제 공급부와 배출부(6)를 작동시키기 위해, 증발 용기(5)를 에워싸는 회전 증발기의 유리 구조물에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 연결부 및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튜브 연결부들(11, 12, 13)이 제공되며, 튜브 연결부는 각각의 가요적인 튜브 도관(14, 15, 16)에 의해 진공 펌프와, 또는 냉각제 공급부 및 냉각제 배출부와 연결된다.
도 2의 사시 횡단면도로부터, 가이드 타워(3)가 그의 종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채널(17)을 포함하고, 채널 내에는 유리 구조물(4)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도관부가 제공된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은 상기 유체 도관을 향해있는 미도시된 튜브 연결부에서 종결되며, 튜브 연결부는 가이드 타워(3)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한 회전 증발기의 바닥측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 타워(3)의 채널(17)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비교적 긴 도관부가 안내되므로, 가이드 타워(3)의 외부에 노출된 채로 설치되며 여기서 튜브 도관(14, 15 또는 16)으로서 형성되는 상기 유체 도관의 도관부는 비교적 짧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노출 설치된 튜브 도관들(14, 15, 16) 내에서 잘못 지연될 위험은 최소화된다. 가이드 타워(3)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은 아래쪽으로 안내되므로, 구조물의 이동되지 않는 부분들에서 상기 유체 도관의 연결부들은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한 회전 증발기(1)의 바닥측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회전 증발기에서, 유체 도관의 연결부는 장치 스탠드(2)의 바닥판 내에 배치된다.
가이드 타워(3)의 채널(17) 내에서 예컨대 진공 펌프쪽으로 안내된 유체 도관 및 냉각제 공급부와 냉각제 배출부로서 제공된 유체 도관, 그리고 이로 인하여 복수 개의 유체 도관들을 안내할 수 있으려면, 채널 내에 안내된 도관부는 튜브 도관(18, 19, 20)으로서 형성된다. 이때 채널(17) 내에 안내되며 도관부로서 역할하는 튜브 도관(18, 19, 20)은 바닥측의 제1 튜브 연결부로부터 등돌린 방향의 도관부 말단에서 제2의 미도시된 튜브 연결부와 연결되고, 제2의 튜브 연결부는 가이드 타워(3)의 자유 말단 영역에 배치된다.
유리 구조물(4)을 수직 방향에서 주행시키고, 상기 유리 구조물의 증발 용기(5)를 온도 조절 용기(10)쪽으로 하강시키며 온도 조절 용기(10)로부터 다시 끌어올릴 수 있기 위해, 유리 구조물은 캐리지로서 형성되거나 캐리지(21)를 포함하는 홀더에 보유된다. 캐리지(21)는 가이드 타워(3)에서 측면으로 주행 가능하다. 가이드 타워(3)는 움직이지 않은 채로 유지되므로, 증발 용기(5)의 상승 및 하강 시 움직여지는 부분들은 최소화될 수 있다.
가이드 타워(3)는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부분들(22, 23)로 구성되고, 프로파일 부분들은 가이드 타워(3)의 종측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분리층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서로 간에 풀림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 타워(3)는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프로파일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내부 공간은 가이드 타워(3)의 채널(17)을 형성한다. 가이드 타워(3)의 프로파일부(22, 23)는 중공 공간(24)을 빙 둘러 경계짓고, 중공 공간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가이드 틈새(25)에서 개방된 채로 형성된다. 가이드 틈새(25)는 프로파일 부분들(22, 23) 사이의 분리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파일 부분들(22, 23)의 인접한 좁은 가장자리들(26, 27)에 의해 경계지어진다. 중공 공간(24) 내에는 캐리지(21)에 부속한 캐리지 가이드(28)가 제공된다. 캐리지 가이드(28)는 가이드 방향에 대해 횡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면서 횡단면이 원형인 2개의 가이드 로드(29, 30)를 포함하고, 가이드 로드는 캐리지(21) 내의 가이드 구멍(31, 32)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캐리지(21)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암(33)을 포함하고, 연결 암은 가이드틈새(25)를 관통하며 유리 구조물(4)과 연결된다. 캐리지(21)는 상승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34)의 복원력에 반하여 하강 위치로 주행 가능하다. 캐리지(21)의 주행을 위해 상승 구동부로서 역할하는 윈치(winch)(35)가 제공되고, 윈치는 위치 고정적으로 가이드 암(3)에 대향하여 회전 증발기(1)의 구조물에 보유된다. 윈치(35)는 로프 드럼(36)상에 권취될 수 있는 로프(37)를 포함하고, 로프는 캐리지(21)에서 안내되되, 로프(37)의 권취 및 권출, 그리고 윈치(35) 위로 돌출한 로프부의 축소 및 연장에 의해 캐리지(21)가 복원력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복원력에 반하여 하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안내된다. 정전 시, 윈치(35)는 그 위에 권취된 로프(37)를 풀되, 복원력이 캐리지(21)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푼다; 캐리지(21)는 정전 시 자동으로 그의 상승 위치로 움직이고, 상기 상승 위치에서 증발 용기(5)는 간격을 두어 온도 조절 용기(10) 위에 위치하므로, 증발 용기(5) 내에서 진행하는 공정은 예비적으로 중단되고, 증발해야 할 유체가 제어없이 과열되는 경우는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3에서는, 윈치(35)의 로프(37)가 호이스트(38)에 의해 안내되고, 호이스트(38)는 서로 이격된 방향전환 풀리(pulley)(39, 40)를 포함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호이스트(38)는 여기서 변속기를 포함한다. 윈치(35)는 전기적 구동부(41)로서 스테퍼 모터를 포함한다. 스테퍼 모터는 비교적 높은 회전 토크를 가지므로, 부가적인 기어는 불필요하다. 전기적 구동부(41)의 구동 샤프트는 전원 차단된 모터에서 거의 토크 프리이므로, 전력 중단 시 더 확실한 비상 차단이 보장될 수 있는데, 복원력의 기능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34)이 캐리지(21)를 상부의 상승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러하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34)은 캐리지(21)를 상기 상부의 상승 위치에서 상위의 말단 스토퍼에 대고 가압한다. 조절 가능한 하부 스토퍼를 이용하여, 온도 조절 용기(10)의 가열조 내에서 증발 용기(5)의 침지 깊이는 선택된 증발 용기(5)의 크기 및 충진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전기적 구동부(41)의 단계식 제어를 이용하여 캐리지(21)는 원하는 각 상승 위치로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 구동부(41)의 단계식 제어에는 기준으로서 상부의 말단 스토퍼가 역할한다.
윈치(35), 전기적 구동부(41) 및 호이스트(38)로 형성되는 상승 기계는 공정의 시작과 종료 시 증발 용기(5)의 하강 및 상승 그리고 가열조 내에서 침지 깊이의 미세 조절을 위해 역할하고, 비교적 긴 상승 길이를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상승 길이는 크기가 큰 증발 용기(5)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증발 용기가 온도 조절 용기(10)로부터 완전히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한다. 윈치(35)에 부속한 전기적 구동부(41)의 회전수는 가변적이며, 적어도 2개의 회전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회전수가 높으면 증발 용기(5)의 신속한 하강 또는 상승을 위한 캐리지(21)의 높은 주행 속도를 보장하는 반면, 이에 비해 낮은 회전수는 캐리지(21)의 속도를 더 낮추고, 이러한 더 낮은 속도는 증발 용기(5)의 침지 깊이의 미세 조절을 위한 것이다.
도 4로부터, 캐리지(21)가 여기서 홀더의 구성 요소이고, 홀더는 유리 구조물(4)을 캐리지(21)에 고정하기 위해 역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 및 도 6에 더 상세히 도시된 유리 구조물(4) 및 특히 그의 증발 용기(5)는 홀더에서 수평의 선회 축(4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보유된다. 이를 위해 홀더는 여기서 캐리지(21)로서 형성된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에는 증발 용기(5)와 연결된 지지부(43)가 수평의 선회 축(4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선택된 선회 위치를 조절 및 확정하기 위해 스핀들 구동부(44)가 제공되고, 스핀들 구동부는 자가 잠김(self-locking) 스핀들 나사산(46)을 가진 조절 스핀들(45)을 포함한다. 조절 스핀들(45)에서의 회전에 의해, 캐리지(21)로서 형성된 홀더부와 홀더의 지지부(43) 사이의 선회각이 변경될 수 있고, 지지부(43)에 고정된 증발 용기(5)의 선회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조절 스핀들(45)은 자가 잠김식 스핀들 나사산(46)을 포함하므로, 부가적으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실수로 풀리는 안전장치는 불필요하다. 스핀들 구동부(44)는, 회전 증발기(1)를 다양한 증발 용기의 상이한 규격에 맞출 수 있도록 한다. 홀더의 지지부(43)는 전체의 유리 구조물(4)을 지지하고, 유리 구조물의 중심은 편심으로(eccentrically) 위치한다. 스핀들 나사산(46)의 자가 잠김 없이는, 대안적인 고정 장치의 풀림 시 유리 구조물이 제동 없이 하부의 스토퍼에 떨어져 파손될 위험이 있고, 이때 진공 상태인 유리 구조물은 부가적으로 파열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조절 스핀들(45)이 캐리지(21)로서 형성된 홀더부 및 지지부(43)에서 바람직하게는 수평의 선회축(47, 4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캐리지(21)로서 형성된 홀더부에서 선회 가능하나 축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게 지지되는 조절 스핀들(45)은 스핀들 너트(49)와 연동하고, 스핀들 너트는 지지부(43)에서 선회 축(48)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조절 스핀들(45)은 스핀들 말단에서 조절 휠(50)을 포함하고, 조절 휠은 손잡이로서 역할한다. 조절 나사산(46)의 나사산 유형 및 기울기 선택에 따라 조절 속도 및 동력 소모가 최적화될 수 있다. 조절 나사산(46)은 자가 잠김식으로 형성되므로, 그 외의 경우에 고정의 풀림 시 유리 구조물이 실수로 스토퍼에 떨어져 파손되는 위험을 가진 부가적인 고정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증발 용기(5)의 기울임 각도를 단계 없이 변경할 수 있게 해주는 스핀들 구동부(44)는 조절 휠(50)에서 한 손으로도 작동 가능하다.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서 증발 용기(5)의 가변적인 침지 깊이 및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할 온도 조절 용기(10)의 이동성과 연관하여, 도 4에 도시된 선회 장치는, 충진량이 변경될 때 상이한 크기의 증발 용기(5)가 폭 넓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5의 비교를 통하여, 가이드 타워(3)에서 수직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캐리지(21)는 눈금 조절부(51)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눈금 조절부는 가이드 타워(3)의 외부 둘레에 제공된 눈금(52)을 포함하며, 눈금은 캐리지(21)에 위치한 표시부와 연동한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눈금(52)은 가이드 타워(3)의, 가이드 틈새(25)쪽으로 인접한 외측의 벽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반면, 캐리지(21)의 인접한 모서리(53)는 각각의 상승 높이의 표시부로서 역할한다.
지지부(43)의 위치 결정을 위해 또 다른 눈금 조절부(54)가 제공되는데, 눈금 조절부는 홀더부로서 역할하는 캐리지(21)와 지지부(43)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눈금 조절부(54)도 눈금(55)을 포함하고, 상기 눈금은 여기서 캐리지(21)에 제공된다. 이러한 눈금(55)에 표시부가 부속하고, 표시부는 지지부(43)에 배치된다. 표시부는 여기서 지지부(43)의 인접한 모서리(56)에 의해 형성된다. 눈금 조절부(54)를 이용하여, 홀더에 의해 가이드 타워(3)에 보유된 유리 구조물(4)의 각각의 선회각이 측정될 수 있다. 눈금 조절부(51, 54)는 실험 구조물의 재생산성을 현저히 용이하게 하고, 여기에 도시된 회전 증발기(1)의 간단한 취급에 도움이 된다.
도 6에는 홀더의 지지부(43)에 제공된 회전 구동부(57)의 영역에서 회전 증발기(1)를 상세 종단면도로 도시한다. 회전 구동부(57)는 허브(58)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전기적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7)의 미도시된 구동 모터는 여기서 치형 벨트(toothed belt)-변속기를 구비한 브러시없는 직류 모터(brushless DC motor)로서 형성된다. 증발 용기(5)를 지지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상에 상기 허브(58)의 회전 동작을 전달할 수 있기 위해, 상기 유리 중공 샤프트(8)상에는 도 7 및 도 8에 더 상세히 도시된 클램프 인서트(59)가 밀려있다. 허브(58) 내에서 유리 중공 샤프트(8)가 클램핑(clamping)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의 클램프 인서트(59)는 일종의 슬리브와 같은 기본 형상을 가진다. 클램프 인서트(59)는 이를 위해 종 방향으로 배향된 지지 로드(60)를 포함하고, 지지 로드는 클램프 인서트(59)의 둘레 방향으로 배향된 연결 브리지(61, 6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 브리지(61, 62)는 인접한 지지 브리지들(60)의, 클램프 인서트(59)의 일 측에 배치된 브리지 말단 또는 상기 클램프 인서트(59)의 타 측에 배치된 브리지 말단들을 교번적으로 연결하되, 이는, 각각의 지지 브리지(60)가 클램프 인서트(59)의 일 측에 배치되며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연결 브리지(61)에 의해 인접한 일 지지 브리지와 연결되는 반면, 상기 지지 브리지는 클램프 인서트(59)의 타 측에 위치하며 반대된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연결 브리지(62)에 의해 인접한 타 지지 브리지와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프 인서트(59)의 대향된 말단들에 제공된 연결 브리지(61, 62)는 클램프 인서트(59)의 서로 이격된 클램프 부분(K1, K2)을 형성한다. 클램프 부분(K1, K2)을 형성하는 연결 브리지(61, 62)는 클램프 인서트(59)의 자유 말단들로 가면서 뾰족해지는데, 클램프 부분(K1, K2)이 각각, 클램프 인서트(59)의 종축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경사부(63, 64)를 지지하고, 상기 클램프 경사부는 그에 부속하는 회전 구동부(1)의 대응 경사부(65 또는 66)와 연동하도록 하며, 상기 연동의 방식은 클램프 부분(K1, K2)이 클램프 인서트(59)의 축방향 압력 인가에 의해 유리 중공 샤프트(8)쪽으로 가압되는 방식이다. 클램프 인서트(59)는 지지 브리지(60) 및, 지지 브리지(60)의 대향된 말단 영역들에 교번적으로 제공되는 연결 브리지(61, 62)에 의해 고리 형상 또는 구불거리는 형상의(meander-shaped) 외부 윤곽을 가지고, 이러한 클램프 인서트(59)의 외부 윤곽은 필요 시 간단한 방식으로 둘레에서 확대될 수 있으므로, 클램프 인서트(59)는 유리 중공 샤프트(8)에 원활하게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도 6, 그리고 도 6에서 VII로 표시된 영역을 도시하는 도 7로부터 분명해지는 것은, 클램프 인서트(59)는 증발 용기(5)를 향해 있는 허브(58)의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허브(58)의 내부 둘레에서 대응 경사부(65)로서 형성된 환형 숄더(ring shoulder)까지 상기 허브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클램프 인서트(59)가 허브(58)에 축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하기 위해 환형의 클램핑 볼트(clamping bolt)(67)가 풀림 가능하게 나사 조립될 수 있고, 클램핑 볼트는 상기 환형의 클램핑 볼트(67)의 내부 둘레에 제공된 대응 경사부(66)를 이용하여 허브(58) 위로 돌출한 클램프 인서트(59)의 클램프 부분(K2)에 작용한다.
클램프 인서트(59)는 지지 브리지(60) 및 교번적으로 상기 클램프 인서트(59)의 대향된 말단 영역들에 제공되는 연결 브리지(61, 62)에 의해 고리 형상 또는 구불구불한 형상의 외부 윤곽을 가지고, 이러한 클램프 인서트(59)의 외부 윤곽은 필요 시 간단한 방식으로 둘레에서 확대될 수 있으므로, 클램프 인서트(59)는 원활하게 유리 중공 샤프트(8)상에 위치될 수 있다. 클램프 인서트(59)의 가요성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좁은 지지 브리지들(6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브리지들(61, 62)에 의해 달성된다. 반면 동력 전달의 영역에서, 즉 클램프 부분(K1, K2) 내에서, 클램프 부분(59)은 대면적으로 형성되어, 증기 관류부로서 역할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의 평면적인 클램핑이 달성된다. 이에 상응하는 마찰 결합으로, 유리 중공 샤프트(8)는 회전 구동부(57)의 허브(58) 내에서 유격 없이 고정된다. 클램프 인서트(59)의 외부 윤곽에서, 여기서 (불연속한) 링 플랜지로서 형성되는 원주형 노즈(nose)(92)가 제공되고, 상기 노즈는 허브(58)의 내부 윤곽에 위치한 링 홈(93) 안으로 맞물려 들어가며 클램프 인서트(59)를 축 방향에서 상기 허브(58) 내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유리 중공 샤프트(8)의 분해 시, 클램프 인서트(59)는 허브(58) 내에 잔류하며, 환형의 클램핑 볼트(67)만 풀리나, 유리 중공 샤프트(8)를 회전 구동부(57)의 허브(58)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기 볼트가 제거될 필요는 없다.
도 6 및 도 7을 통해, 유리 중공 샤프트(8)가 그 외부 윤곽에서 링 홈으로서 형성된 함입부(68)를 지지하고, 함입부에는 클램프 인서트(59)의 내부 윤곽에 위치한 링 융기부로서 형성된 돌출부(69)가 부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램프 인서트(59)에 제공된 돌출부(69)는 허브(58) 위로 돌출한 클램프 인서트(59)의 부분 영역 내에서, 그리고 특히 허브(58) 위로 돌출한 클램프 부분(K2)의 내부 윤곽에 배치되므로, 유리 중공 샤프트(8)는 차후에, 예컨대 증발 용기(5)의 교체가 유리 중공 사프트(8)의 교환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허브(58) 내에 위치한 클램프 인서트(59) 안으로 더 밀려 들어가거나 이 곳에서 취출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증기 관류부로서 역할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가 회전 구동부(57)의 허브(58)를 관통하여 꽂히고, 상기 허브(58)와 유리 중공 샤프트(8) 사이에 위치한 클램프 인서트(59)에 의해 상기 허브(58) 내에 끼임으로써, 허브(58)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부(57)의 허브(58)가 회전하면 이에 상응하여 클램프 인서트(59), 유리 중공 샤프트(8) 및 상기 유리 중공 샤프트(8)와 회전 안정적으로 연결된 증발 용기(5)가 회전하게 된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허브(58), 클램프 인서트(59) 및 유리 중공 샤프트(8)는 서로 동심으로 배치된다. 유리 중공 샤프트(8)와 증발 용기(5) 사이의 회전 안정적 연결은 갈아맞춤 연결기(ground joint)에 의해 보장되고, 갈아맞춤 연결기는 바람직하게는 원추형 갈아맞춤 연결기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기의 경우에 유리 중공 샤프트(8)는 증발 용기(5)를 향해있는 측, 즉 연결기 코어(94)가 배치된 측에서, 증발 용기(5)의 목 부분(neck)에 형성된 연결기 슬리브 안으로 맞물려 들어간다. 유리 중공 샤프트(8)와 증발 용기(5) 사이의 갈아맞춤 연결을 고정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결기 죔쇠(70)(도 1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환형의 클램핑 볼트(67)가 나사산(71)을 지지하고, 상기 나사산은 환형의 가압 볼트(forcing bolt)(73)에 위치한 대응 나사산(72)과 연동한다. 환형의 가압 볼트(73)가 환형의 클램핑 볼트(67)로부터 풀릴 때, 환형의 가압 볼트(73)는 증발 용기(5) 및 그 용기 목 부분을 눌러, 증발 용기(5)와 상기 증발 용기(5)를 지지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 사이의 죔쇠 연결 또는 갈아맞춤 연결이 풀리도록 한다.
증기 관류부로서 형성된 유리 중공 샤프트(8)는 증발 용기(5)로부터 등돌린 방향의 샤프트 말단에서 냉각기(6)쪽으로 이어진 연결관(9)의 연결 개구부(74) 내에 도달하고, 상기 연결관(9)에 대해 도 6, 도 9 및 도 10에 더 상세히 설명된 기계 밀봉으로 밀봉된다. 이러한 기계 밀봉은 밀봉링(76)으로 구현되고, 밀봉링은 연결관(9)과 회전 구동부(57)의 구동부 하우징(77) 사이에서 끼워져 있으며, 회전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에 밀접하여 위치한다. 밀봉링(76)은 링 디스크로서 형성되고, 상기 링 디스크의 외부 링 영역(78)은 고정 가장자리로서 역할한다. 링 디스크는 유리 중공 샤프트(8)의 종측 연장 방향으로 휘어진 링 영역(79)을 포함함으로써, 밀봉링(76)은 유리 중공 샤프트의 종 방향으로 배향된 링 디스크의 부분 영역(T)을 이용하여 밀접하여 위치한다. 이때, 유리 중공 샤프트(8)의 종 방향으로 배향된 상기 링 디스크의 부분 영역(T)은 스프링 탄성적으로 유리 중공 샤프트(8)에 인접하여, 항상 균일하게 양호하며 지속적인 밀봉이 상기 영역에서 보장된다. 밀봉링(76)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낮은 비용을 들여 물질 컴파운드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테플론컴파운드(Teflon compound)가 바람직한데, 이는 낮은 마찰 계수 및 감소된 마모를 특징으로 한다.
종단면이 j형 또는 u형으로 형성되는 밀봉링(76)은, 링 개구부를 한정하는 상기 밀봉링의 내부 가장자리(95)가 유리 중공 샤프트(8)로부터 등돌리는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밀봉링은 상기 밀봉링의 고정 가장자리에서 적어도 하나의 링 홈(80)을 포함하고, 상기 링 홈에는 구동부 하우징(77)의 인접한 정면 가장자리에 위치한 보완적인 링 융기부(81)가 부속할 수 있다.
도 9에서 한편으로 직선으로 도시되고 다른 한편으로 파선으로 도시된 내부 링 영역(79)의 비교를 통해, 이러한 링 영역(79)이 사전 응력을 받는 상태에서 유리 중공 샤프트(8)로 가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유리 중공 샤프트(8)에 인접한 밀봉링(76)은 소모되면 자동으로 재조정되는 것을 암시한다.
클램프 인서트(59)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부품으로, 그리고 특히 플라스틱 사출성형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밀봉링(76)의 내부 링 영역(79)의 영역 내에서 유리 중공 샤프트(9)의 유리,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클램프 인서트(59) 및 바람직하게는 금속성인 회전 구동부(57)의 허브(58)는 압력에 의해 서로 인접하므로, 이러한 개별 부품들(9, 59, 58)의 물질 선택은 서로 함께 회전하는 개별 부품들의 연성, 경성 및 마찰 결합력의 이상적인 조합을 나타낸다.
회전 구동부(57)에는 미도시된 모터 제어부가 부속하고, 바람직하게는 모터 제어부는 특히 회전 방향 전환 능력을 가진 무단계 회전수 조절을 포함한다. 무엇보다도 건조 공정 중에 용기 내벽에 고형의 잔여물이 점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회전 방향 전환을 제공하는 구동 모드가 중요할 수 있다. 회전 동작의 차단 시 회전 증발기(1)의 안전 차단을 야기하기 위해, 모터 전류의 모니터링이 제공된다. 회전 동작의 시작을 위해, 회전 구동부(57)의 원활 시동(smooth start)이 제공되며, 이를 위해 모터 제어부에는 이에 상응하는 시동 지표가 저장되고, 상기 시동 지표는 예컨대 모터 전류의 한계를 예상할 수 있다.
온도조절 용기(10)는 온도조절 용기(10) 내에 위치한 유체조의 온도 조절 및 특히 증발 용기(5)안으로의 제어식 열 공급을 위해 역할한다. 온도 조절 용기(10)는 이를 위해 전기적인 온도조절 장치 및 특히 전기적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온도조절 유체로서 사용된 오일 또는 물은 증발 용기(5)의 회전에 의해 순환하는데, 균일한 온도 분포가 보장되도록 순환한다. 수조의 열 관성은 증발 용기(5) 내에서 끓음이 시작될 때 가열 온도를 안정화한다(증발 냉각).
온도조절 용기(10)를 간단히 채우고 비울 수 있기 위해, 온도조절 용기(10)는 회전 증발기의 장치 스탠드(2)상에 풀림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치 스탠드(2)는 회전 증발기(1)가 온도 조절 용기(10)의 제거 시에도 기울어지지 않을만큼 충분히 안정적이어야 한다. 장치 스탠드(2) 또는 온도 조절 용기(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돌출부가 제공되고, 위치결정 돌출부는 온도 조절 용기(10) 또는 장치 스탠드(2)에 위치한 부속한 위치결정 함입부와 함께 연동한다. 회전 증발기(1)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위치 결정 함입부와 연동하며 예컨대 돌기형태로 돌출하는 2개의 위치 결정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돌출부 중에 일 위치결정 돌출부는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제공된 온도 조절 장치를 장치 스탠드의 전기적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지정되고, 타 위치결정 돌출부는 회전 증발기(1)와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내장된 온도 센서 사이의 신호 연결 접촉을 위해 지정된다.
회전 구동부(57)의 회전축에 대해 대략적으로 축 평행으로 주행할 수 있는 위치결정 돌출부 및 위치결정 합입부의 영역에는 전기적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전기적 결합부는 온도조절 용기내에 제공된 온도 조절 장치를 장치 스탠드에 위치한 전기적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지정된다. 장치 스탠드(2)에 대해 상대적인 증발 용기(5)의 위치를 변경하고 회전 증발기(1) 내에 다양한 크기의 증발 용기(5)를 적용할 수 있으려면, 장치 스탠드(2)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위치결정 함입부는 여기에 미도시된 슬라이드 가이드를 이용하여 주행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가이드는 망원경 형태로 서로 맞물린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 부분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부분들 중 일 슬라이드 부는 장치 스탠드(2)에 부동으로 보유되고, 상기 부분들 중 타 슬라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 함입부를 지지한다.
도 1로부터, 온도조절 용기(10)는 적어도 내측의 내부 횡단면 및 바람직하게는 외부 횡단면에서도 대략적으로 삼각형인 기본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 분명해진다.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위치한 온도조절 유체가 상기 온도조절 용기(10)의 구동중이나 이송 시에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조절 용기(10)는 예외적으로 유출 주둥이(87)의 영역에서 수직으로 배향된, 즉 거의 완전히 수직인 용기 내벽(88)을 포함한다. 유출 주둥이(87)는 삼각형 기본 형상의 꼭지점 선분(75)의 연장부 내에 제공되고, 이때 꼭지점 선분(75)은 증발 용기(5)를 향해있는 방향으로 배향되어있다. 온도 조절 용기(10)의 외부 윤곽에는 인체공학적으로 오목형 손잡이(recessed grip)가 제공되고, 온도 조절 용기는 이 손잡이를 통해 원할하게 잡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 내벽(88)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에 제공된 눈금은 온도조절 유체의 충진 높이를 표시한다. 온도조절용기(10)는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다양한 증발 용기도 사용될 수 있다. 크기가 더 큰 증발 용기(5)도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침지될 수 있는데, 온도 조절 용기가 이에 상응하여 더 깊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온도 조절 용기(10)상에는 투명한 덮개캡(89)이 안착할 수 있다. 덮개캡(89)은 온도조절 용기(10)의 상부의 좁은 가장자리상에 내려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캡 부분(9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캡 부분(91)이 선회 가능하거나 열어 젖힐 수 있게 보유되어 있다. 구동 중에 대부분 진공 상태에 있는 증발 용기(5)는 유체조 내에서 열 전달 개선을 목적으로 미코팅된 유리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유리 구조물(4)의 나머지 구성요소만 파손에 안정적이거나 스플린터 가드(splinter guard)로서 코팅되는 유리로 구성되므로, 덮개캡(89)은 스플린터 가드로서 역할한다.
온도 조절 용기(10)는 충진 레벨 센서를 포함하고, 충진 레벨 센서는 정량주입 펌프와 제어 연결되고, 정량주입 펌프는 온도조절 유체 저장부와 연결된다. 충진 레벨 센서는 충진 레벨 모니터링부의 구성요소로, 충진 레벨 모니터링부는 온도조절 유체-최소값의 미달 시 비상 차단을 야기한다. 충진 레벨 센서는 부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기화 손실의 보상을 위해 지정된 충진 레벨 제어부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1과 도 11을 비교함으로써, 회전 증발기(1)의 조작이 중앙의 조작 유닛(82)에 의해 이루어지고, 중앙의 조작 유닛은 모든 기술적인 기능부 및 따라서 무엇보다도 회전 구동부(57), 상승 구동부 및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배치된 온도조절 장치에 직접 접근할 수 있음이 분명해진다.
회전 증발기가 보호된 상태로 예컨대 후드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회전 증발기(1)를 조작할 수 있으려면, 조작 유닛(82)은 회전 증발기(1)로부터 풀림 가능하면서 바람직하게는 무선의 원거리 조작 유닛으로서 형성된다. 예컨대 USB 인터페이스로 형성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는 외부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특히 PC에서 공정 제어 및/또는 공정 파라미터의 문서화를 허용한다. 무선 원거리 조작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원거리 조작 유닛(82)은 디스플레이(83)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모드에 맞춰진 직관적 조작 요소들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으로서 형성된다. 조작 유닛(82)에는 본 명세서에서 누름- 및 회전 단추로서 형성된 조작 단추(84)를 부가적인 조작 요소가 제공되고, 이는 예컨대 수치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회전 증발기(1)에는 조작 유닛(82)을 위한 트레이 또는 콘솔(85)이 제공되고, 이는 조작 유닛(82)이 수용된 상태에서 조작 유닛 및 디스플레이(83)의 최적 조작 높이를 보장하고, 이를 위해 장치 스탠드(4) 위로 돌출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증발기는 선택적으로, 콘솔(85)상에 위치한 원거리 조작 유닛(82)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작되거나, 원거리 조작 유닛(82)에 의해 간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비상-차단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원 스위치(86)는 회전 증발기(1)의 전방측에 양호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으로서 형성된 디스플레이(83)는 예컨대 유체조 내에서 현재 온도,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내장된 온도 조절 장치의 기준 온도, 회전 구동부의 회전수를 표시하거나, 비교 가능한 공정 파라미터를 표시하기 위해 역할한다. 디스플레이(83)상에서 볼 수 있는 제어 기능을 선택하거나/선택하고 공정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려면, 부가적으로 또는 그 대신에 조작 단추(84)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증발기(1) 내에 위치한 제어 장치의 조작을 가급적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제어 장치의 개별 기능은 디스플레이(83)상에 표시 가능한 메뉴 구성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회전 구동부(57)를 위한 모터 제어부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단추(84) 및/또는 경우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83)를 이용하여 개별 메뉴들을 살펴볼 수 있다.
회전 증발기(1)에서 장치 스탠드(4) 위로 돌출한 트레이 또는 콘솔(85)은 원거리 조작 유닛(82)을 받치거나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트레이 또는 콘솔(85)은 조작 유닛(82)과 풀림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시스템은 조작 유닛(82) 내에 위치한 축압기(accumulator)를 위한 충전 시스템으로 전류를 공급하고, 바람직하게는 무선 제어 연결부의 차단 중에 조작 유닛(82)의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83, 84)와 제어 장치 사이의 전도체-기반 제어 연결부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포함한다. 조작 유닛(82)이 콘솔 또는 트레이(85)상에 놓이면, 무선 제어 연결부는 조작 유닛(82)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 부재(83, 84)와 제어 장치 사이의 전도체-기반 제어 연결부를 위해 임시적으로 조절된다.
회전 증발기(1)의 제어 장치는 비상 차단 기능을 가지고, 이 기능이 개시되면 온도 조절 용기(10) 내의 온도 조절 장치로의 전류 공급이 중단되고 가이드 타워(3)에서 주행 가능하게 보유된 유리 구조물이 비활성 위치(idle position)로 가는 상향 주행 동작을 촉발시킨다. 이때 제어 장치 내에 저장된 비상 차단 기능은, 조작 유닛(82)이 더 이상 전류를 공급받지 못하거나 원거리 조작 유닛(82)과 회전 증발기(1) 사이의 무선 제어 연결이 중단된 경우에, 예컨대 수동으로 조작 유닛(82)에 위치한 특정한 비상 차단 스위치 또는 회전 증발기(1)의 전원 스위치(86)에서 개시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온도 조절 용기(10) 내의 온도 조절 장치로 전류 공급이 중단되므로, 실험 구조물이 제어 없이 계속 가열되는 경우를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증발 용기(5)는 유체조 내에 위치한 구동 위치로부터 온도 조절 용기(10)의 외부에 제공된 비활성 위치로 주행하므로, 증발 용기(10) 내에 위치한 유체는 유체조 내에 존재하는 잔여 열로 인하여 예기치 않게 가열되는 일은 없을 수 있다.
조작 유닛(82)의 디스플레이(83)에서 예컨대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위치한 온도 조절 유체의 현재 온도를 읽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서 형성된 디스플레이(83) 및/또는 조작 단추(84)에 의해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 위치한 온도 조절 유체의 요구되는 기준 온도가 정해질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장치 내에는 바람직하게는 사전 선택 가능한 시간 간격으로 회전 구동부(57)의 회전 방향 변경이 정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작 유닛(82)에 의해, 유리 구조물(4)의 증발 용기(5)가 가이드 타워(3)에서 얼마나 멀리 아래쪽으로 주행되어야 하는가를 정할 수 있으며, 이때 조작 단추(84)를 돌려서 온도 조절 용기(10) 내에서 증발 용기(5)의 침지 높이의 미세 조정도 가능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용기(10)의 유체초 내에서 증발 용기(5)의 가열을 위해, 증발 용기(5) 내에 위치한 용액은 증발되고, 증기는 증기 관류부로서 역할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를 통하여 냉각기(6)로 이어지는 연결관(9) 안으로 흐른다. 냉각기(9) 내에서 증기는 응축되고, 수집 용기(7) 안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재료 성분들의 분리는, 상기 재료 성분들의 끓는 점이 상이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특정한 재료가 증발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재료는 우선 아직 증발 용기 내에 잔류함으로써 수행된다. 유리 구조물(4)에 진공을 인가함으로써, 끓음 온도가 내려갈 수 있어서, 끓는 점이 높은 용제는, 정상 압력이 있는 경우에 비해 더 낮은 온도에서 증발될 수 있다. 진공 상태에서의 유리 구조물(4) 내에서 온도에 민감한 물질도 증류될 수 있다. 더 낮은 끓음 온도에서 작업함으로써 상기의 온도에 민감한 물질의 분해가 방지될 수 있다. 기계 밀봉으로서 역할하는 밀봉링(76)은 회전하는 유리 중공 샤프트(8)를 대기압에 반하여 밀봉하고, 유리 구조물(4) 내부에서 진공이 유지되도록 한다. 밀봉링(76)의 내부 직경은 상기 영역에서의 유리 중공 샤프트(8)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으므로, 발생하는 상기 밀봉링(76)의 사전 응력은 밀봉링에 인가된 압력차에 따라 증대된다. 마모에 의해 밀봉링(76)이 소모되면, 기계 밀봉은 밀봉링(76) 자체의 사전 응력으로 인하여 재조절된다. 구동부 하우징(77)에 제공된 링 융기부들(81)은 연결관(9)에 대고 상기 밀봉링을 링 형으로 누르며, 더욱이, 이러한 두 개의 닫힌 선분을 따르는 접촉 압력이 커지면 부가적으로 최적의 밀봉을 위해 기능한다.
증발 공정의 종료는, 전류 공급과 무관하게 증발 용기(5)가 온도 조절 용기(10)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회전 구동부(57)가 회전을 멈출 때, 유리 구조물(4) 내에 생성된 진공이 갑자기 상승할 때 또는 냉각기(6)의 냉각이 차단될 때 수행되는 제어식 차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기(6)에는 스위칭 밸브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부속한다. 회전 증발기(1)의 차단 및 이로 인한 증발 공정의 종료는 사용자에 따라, 소정의 공정 파라미터의 도달에 의해(공정 종료), 공정 결함에 따라 또는 정전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1 회전 증발기(1)
2 장치 스탠드
3 가이드 타워
4 유리 구조물
5 증발 용기
6 냉각기
7 수집 용기
8 유리 중공 샤프트
9 (냉각기의) 연결관
10 온도조절 용기
11 튜브 연결부(유리 구조물측)
12 튜브 연결부(유리 구조물측)
13 튜브 연결부(유리 구조물측)
14 튜브 도관(노출 시공)
15 튜브 도관(노출 시공)
16 튜브 도관(노출 시공)
17 채널
18 튜브 도관(가이드 타워 내)
19 튜브 도관(가이드 타워 내)
20 튜브 도관(가이드 타워 내)
21 캐리지
22 프로파일부(중공 프로파일)
23 프로파일부
24 중공 공간(프로파일 부분들 사이)
25 가이드 틈새
26 (프로파일부(22)의) 좁은 가장자리
27 (프로파일부(23)의) 좁은 가장자리
28 캐리지 가이드
29 (캐리지 가이드(28)의) 가이드 로드
30 (캐리지 가이드(28)의) 가이드 로드
31 가이드 구멍(캐리지(21) 내)
32 가이드 구멍(캐리지(21) 내)
33 연결 암
34 가스 압축 스프링
35 윈치(winch)
36 로프 드럼
37 로프
38 호이스트(hoist)
39 (호이스트의) 방향전환 풀리
40 (호이스트의) 방향전환 풀리
41 (윈치의) 전기적 구동부
42 (홀더의) 선회 축
43 (홀더의) 지지부
44 스핀들 구동부(spindle drive)
45 조절 스핀들
46 스핀들 나사산
47 (홀더부에서 조절 스핀들의) 선회 축
48 (스핀들 너트)의 선회 축
49 스핀들 너트
50 조절 휠
51 (상승 높이용) 눈금 조절부
52 (눈금 조절부(51)의) 눈금
53 (상승 높이의 표시부로서 캐리지(21)의) 모서리
54 (선회각용) 눈금 조절부
55 (눈금 조절부(54)의) 눈금
56 (눈금부(54)의 표시를 위해 지지부(43)측의) 모서리
57 회전 구동부
58 허브(hub)
59 클램프 인서트(clamp insert)
60 지지 브리지
61 연결 브리지(좌측)
62 연결 브리지(우측)
63 클램프 경사부(좌측)
64 클램프 경사부(우측)
65 (허브 내) 대응 경사부
66 (환형의 클램프 볼트 내) 대응 경사부
67 환형의 클램프 볼트
68 함입부
69 돌출부
70 갈아맞춤 연결기 죔쇠
71 (환형의 클램프 볼트(67)측의) 나사산
72 (환형의 가압 볼트측의) 대응 나사산
73 환형의 가압 볼트
74 (연결관의) 연결 개구부
75 꼭지점 선분
76 밀봉 링
77 구동부 하우징
78 (밀봉링의) 외부 링 영역
79 (밀봉링의) 휘어진 링 영역
80 (밀봉링측의) 링 홈
81 (구동부 하우징의 정면 가장자리측의) 링 융기부
82 (원거리-) 조작 유닛
83 디스플레이
84 조작 단추
85 (조작 유닛용) 트레이 또는 콘솔
86 전원 스위치
87 유출 주둥이
88 온도 조절 용기의 용기-내벽
89 덮개캡
90 고정식 캡 부분
91 열어 젖힐 수 있는 캡 부분
92 노즈(nose)
93 링 홈
94 갈아맞춤 연결기 코어
95 내부 가장자리
K1 클램프부(좌측)
K2 클램프부(우측)
T (밀봉링의) 부분 영역

Claims (13)

  1. 가이드 타워(3)가 돌출된 장치 스탠드(2), 증발 용기(5)를 구비하며 특히 상기 증발 용기(5)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해 상기 가이드 타워(3)에서 측면으로 주행 가능한 캐리지(21)에 보유되는(holded) 유리 구조물(4) 및 상기 유리 구조물(4)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을 포함하는 회전 증발기(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타워(3)는 상기 타워(3)의 종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채널(17)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내에는 상기 유리 구조물(4)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도관부가 제공되고, 상기 도관부는 튜브 연결부 내로 이어지거나 종결되며, 상기 튜브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자유 말단에서 대향하는 상기 회전 증발기(1)의 바닥측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타워(3)는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부(22, 23)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종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 분리층 내에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타워(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부(22)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부는 중공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부(22)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내벽은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채널(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타워(3)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도관부는 상기 바닥측의 제1 튜브 연결부로부터 등돌린 방향에 위치한 도관부 말단에서 제2 튜브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튜브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자유 말단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체 도관의,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채널(17)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도관부는 상기 채널(17) 내에 안내된 튜브 도관(18, 19, 20)으로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도관부는 튜브 도관 말단에서 상기 제1 튜브 연결부 및 경우에 따라서 제2 튜브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부(22, 23)는 중공 공간(24)을 경계짓고, 상기 중공 공간은 가이드 틈새(25)에서 개방된 채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 공간(24) 내에는 캐리지 가이드(28)가 제공되고, 상기 캐리지 가이드에서 상기 캐리지(21)가 주행 가능하게 안내되며; 그리고 상기 캐리지(21)는 상기 가이드 틈새(25)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암(33)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 암은 상기 유리 구조물(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틈새(25)는 적어도 2개의 프로파일 부분들(22, 23) 사이의 분리층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파일 부분들(22, 23)의 인접한 좁은 가장자리(26, 27)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1)는 눈금 조절부(51)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눈금 조절부는 상기 가이드 타워(3)의 외부 윤곽에 제공된 눈금(52)을 포함하며, 상기 눈금은 상기 캐리지(21)에 위치한 표시부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21)는 상승 위치로부터 복원력에 반하여 하강 위치로 주행 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캐리지(21)의 주행을 위해 상기 가이드 타워(3)에 대향하여 위치 고정적인 윈치(35)가 제공되며, 상기 윈치는 상기 캐리지(21)에 보유되거나 안내된 적어도 하나의 권취 가능한 로프(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윈치(35)의 적어도 하나의 로프(37)는 호이스트(38)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윈치(35)는 탄성적으로 또는 진동을 감쇠하는 방식으로 위치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35)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전류가 없는 상태에서 토크 프리(torque-free) 전기적 구동 모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35)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스테퍼 모터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34)은 복원력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스 압축 스프링(34)은 상기 캐리지(21)를 상승 위치에서 슬라이드 스토퍼에 대고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증발기.
KR1020137019371A 2011-10-08 2012-07-25 회전 증발기 KR101923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106534U DE202011106534U1 (de) 2011-10-08 2011-10-08 Rotationsverdampfer
DE202011106534.4 2011-10-08
PCT/EP2012/003146 WO2013050092A1 (de) 2011-10-08 2012-07-25 Rotationsverdamp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375A true KR20140085375A (ko) 2014-07-07
KR101923748B1 KR101923748B1 (ko) 2018-11-29

Family

ID=4659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371A KR101923748B1 (ko) 2011-10-08 2012-07-25 회전 증발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27631A1 (ko)
EP (1) EP2618902B1 (ko)
JP (1) JP6005166B2 (ko)
KR (1) KR101923748B1 (ko)
CN (1) CN103391800B (ko)
DE (1) DE202011106534U1 (ko)
WO (1) WO2013050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8232S1 (en) * 2013-06-17 2016-01-26 Büchi Labortechnik AG Rotary evaporator
DE102014106406A1 (de) * 2014-05-07 2015-11-12 Hans Heidolph Gmbh & Co. Kg Rotationsverdampfer
DE102014107187A1 (de) * 2014-05-21 2015-11-26 Hans Heidolph Gmbh & Co. Kg Rotationsverdampfer
CN105597848A (zh) * 2014-11-18 2016-05-25 潍坊医学院 一种真空旋转蒸发装置
EP3223926B1 (en) * 2014-11-25 2021-09-08 Ecodyst, Inc. Distillation and rotary evaporation apparatuses, devices and systems
JP6633657B2 (ja) 2015-06-11 2020-01-22 エコディ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チラー、及び、チラーシステム
DE102018111816B4 (de) * 2018-05-16 2021-01-21 Anton Paar Provetec Gmbh Vorbereitung einer Destillationsmessung
DE102018113118B4 (de) * 2018-06-01 2022-01-05 Ika-Werke Gmbh & Co. Kg Rotationsverdampf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Rotationsverdampfers
CN113368919B (zh) * 2021-05-24 2022-06-24 湛江市霞山区正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样品处理用旋转蒸发仪及其使用方法
CN114470818B (zh) * 2021-10-26 2023-07-07 成都科建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脂质体的旋转蒸发装置
CN114853101A (zh) * 2022-05-18 2022-08-05 菏泽万清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废液的低温蒸发处理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0764C2 (de) * 1982-10-15 1994-10-27 Yamato Scient Co Ltd Rotationsverdampfer
JPS5961802U (ja) * 1982-10-15 1984-04-23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ロ−タリ−エバポレ−タ
CH657715A5 (en) * 1983-08-26 1986-09-15 Yamato Scient Co Ltd Rotary evaporator
US5152375A (en) 1987-02-23 1992-10-06 Adolf Zellweger Lifting means for laboratory apparatus with stand profile and base pedestal as well as laboratory heating bath, in particular for rotary evaporators
JPH0465128U (ko) * 1990-10-12 1992-06-05
DE9316757U1 (de) 1993-11-03 1994-01-13 Knf Neuberger Gmbh Pumpenstand mit einer Pumpe
JP3058583B2 (ja) * 1995-12-20 2000-07-04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ロータリエバポレータ
US6286629B1 (en) * 1999-02-03 2001-09-11 David N. Saunders Lift-positioning system
DE59914491D1 (de) 1999-07-10 2007-10-18 Buechi Lab Tech Höhenverstellbares Stativ und Verfahren zum Auspkuppeln der Haltervorrichtung in einem Stativ
DE10226478B4 (de) * 2001-07-05 2006-10-05 Hans Georg Genser Rotationsverdampfung mit variabler Dosierung
US6908533B2 (en) 2002-01-17 2005-06-21 Ovation Products Corporation Rotating heat exchanger
CN200995073Y (zh) * 2006-11-20 2007-12-26 马荣华 一种新型旋转蒸发器
WO2009018874A2 (de) * 2007-06-23 2009-02-12 Adolph Zellweger Destillationsvorrichtung
DE102008051364B4 (de) * 2008-10-15 2012-03-15 Ika-Werke Gmbh & Co. Kg Rotationsverdampfer
US8172988B2 (en) * 2008-10-17 2012-05-08 Distillation Technologies, Llc Distillation system with vertically oriented rotating plates
DE102009006746A1 (de) * 2009-01-30 2010-08-05 Hans Heidolph Gmbh & Co. Kg Rotationsverdampfer
JP5033830B2 (ja) * 2009-03-23 2012-09-26 ヤマト科学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エバポレータ
JP5322226B2 (ja) * 2009-06-12 2013-10-23 東京理化器械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エバポレーター
US9005403B2 (en) 2009-09-25 2015-04-14 Ecodyst, Inc. Rotary evapo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91800B (zh) 2015-08-19
WO2013050092A1 (de) 2013-04-11
JP2014530751A (ja) 2014-11-20
DE202011106534U1 (de) 2013-01-09
JP6005166B2 (ja) 2016-10-12
KR101923748B1 (ko) 2018-11-29
EP2618902A1 (de) 2013-07-31
CN103391800A (zh) 2013-11-13
US20130327631A1 (en) 2013-12-12
EP2618902B1 (de)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748B1 (ko) 회전 증발기
JP5951023B2 (ja) ロータリーエバポレータ
JP5959650B2 (ja) ロータリーエバポレータ
JPH0783802B2 (ja) 回転式蒸発装置
EP2376216B1 (en) Stir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chemical reaction
US4770746A (en) Spinning band fractionating column
WO2008038693A1 (fr) procédé d'injection de gaz dopant
CN205757909U (zh) 涂蜡器
CN216296037U (zh) 一种用于海洋溶液的固相微萃取检测装置
CN109984584A (zh) 锅盖和烹饪器具
CN211097594U (zh) 一种可调节稳定的旋转蒸发仪
KR20200134720A (ko) 수액튜브 길이조절장치
CN215277036U (zh) 一种自动磁力搅拌器
CN215506424U (zh) 一种实验室用搅拌器
CN217220246U (zh) 一种大麻二酚结晶釜
CN218834445U (zh) 一种尼龙板生产用催化剂融化装置
JPH0683B2 (ja) 電気湯沸し器
CN216702283U (zh) 一种壳体组件及煮茶设备
CN210186463U (zh) 旋转蒸发器
CN218766958U (zh) 样本处理装置及样本分析仪
JP2005505367A (ja) 熱安全弁のある抜き出し装置を備える容器のある調理機器
JP2009300286A (ja) 自動分析装置
JP2012225579A (ja) 加湿装置
JPH0423481Y2 (ko)
JPH11223366A (ja) 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