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327A -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327A
KR20140085327A KR1020130161117A KR20130161117A KR20140085327A KR 20140085327 A KR20140085327 A KR 20140085327A KR 1020130161117 A KR1020130161117 A KR 1020130161117A KR 20130161117 A KR20130161117 A KR 20130161117A KR 20140085327 A KR20140085327 A KR 20140085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connector
contact member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867B1 (ko
Inventor
히로아키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5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소형화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등.
[해결 수단] 하우징과,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끼워맞춤면의 면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에 고정되고, 케이블과 접속되는 컨택트 부재를 구비한다. 컨택트 부재는, 기부와, 기부에 대해 일방의 측에 형성되고,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기부에 대해 일방의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기부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와,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기부와 접속부 사이에 형성되고, 기부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피걸림부를 갖는다. 컨택트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하우징에 설치되었을 때,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측과는 반대측의 피걸림부의 일부가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의해 걸린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CAB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케이블 커넥터, 특히,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면을 갖는, 이른바 수직 끼워맞춤형의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직 끼워맞춤형의 케이블 커넥터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 에 예시한 전기 커넥터가 있다. 이 전기 커넥터 (110) 는, 도 12 의 외관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절연 하우징 (111) 과, 그 외부를 덮는 도전성 쉘 (113), 또한, 절연 하우징 (111) 에 형성한 끼워맞춤 접속부 (111a) 를 통하여 전기 커넥터 (110) 와 접속되는 복수의 플러그 모듈 (112) 로 이루어진다. 각 플러그 모듈 (112) 은, 그 자체로 단독의 동축 커넥터로서의 기능을 갖고, 도 13 의 상면 후방 사시도나 도 14 의 바닥면 후방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SC) 의 일단에 접속된 도전 컨택트 (112c) 와, 이것을 덮는 절연성의 모듈 하우징 (112b) 과, 또한 그 외부를 덮는 도전성 쉘 (112g) 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2 는, 컨택트를 수용공에 수용하여 걸림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에, 이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걸림 구조를 종단면도로 나타낸다. 여기서는, 하우징 (101) 의 컨택트 수용공 (103) 에 컨택트 (102) 를 삽입했을 때에, 컨택트 (102) 의 일부를 삽입 방향을 따라 잘라냄으로써 형성된 걸림편 (102f), 바꾸어 말하면, 삽입시의 진행 방향의 측과는 반대측에만 면을 갖도록 형성된 걸림편 (102f) 이, 하우징 (101) 의 랜스 고정부 (106) 에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걸림 구조에 의해, 컨택트 (102) 는 컨택트 수용공 (103) 에 걸리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9281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2773호
특허문헌 1 의 종래 구조에서는, 전기 커넥터 (110) 의 절연체인 절연 하우징 (111) 과, 플러그 모듈 (112) 을 위한 절연체인 모듈 하우징 (112b) 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결과, 파츠가 증가되어 조립 공수 (工數) 도 많아짐과 함께,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각 파츠를 하우징에 고정시킬 때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시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진행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 (102f) 에 의해 고정시키고자 하면, 플러그 모듈 (112) 의 높이가 높아지고, 또, 소정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이 결과,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케이블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공간 절약을 도모한 탄성 걸림편을 사용한 경우에도,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충분한 걸림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파츠를 줄임과 함께 조립 공수를 줄인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와 같은 케이블 커넥터를 사용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하여 사용되고,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면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면의 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속되는 컨택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른 일방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일방의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와,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피걸림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피걸림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의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와 탄성 변형부가 모두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의 연장 방향을 탄성 변형부의 스프링 길이로서 이용할 수 있고, 이로써,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형성된 1 쌍의 탄성 걸림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의 폭은, 상기 기부측보다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에 있어서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공간 절약적인 탄성 걸림편에 의해서도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충분한 걸림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은, 대략 역 八 자상의 단면 (斷面) 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탄성 걸림편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이 각각 걸리는 1 쌍의 대향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의 최대폭보다 작다.
이와 같은 설정으로 함으로써, 1 쌍의 대항하는 탄성 걸림편은, 하우징에 의해 걸린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은 판상의 금속을 잘라냄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과 판면에서 충돌하는 것이어도 된다. 판상의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탄성 걸림편의 제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가 얻어진다.
또,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이어도 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면의 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외부 쉘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컨택트 부재와 상기 외부 쉘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컨택트 부재와 외부 쉘을 동일한 하우징에 삽입함으로써, 파츠를 줄임과 함께 조립 공수를 줄이고, 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부재와 외부 쉘을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는, 상기 컨택트 부재가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할 때의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된 폭광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기 폭광부가 삽입되는 간극을 갖고, 상기 간극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폭광부는, 상기 슬라이드면과, 상기 폭광부에 대해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 사이에 지지되어도 된다. 이로써,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제조를 간이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택트 부재나 외부 쉘이, 케이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접속되는 땜납부를 제외하고,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면 중, 상기 끼워맞춤측의 면을 제외한 면을, 상기 외부 쉘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이로써, 납땜 가능한 상태로 컨택트 부재를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땜납부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된 상기 외부 쉘의 측벽 부분에 의해 그 양측이 덮여 있고, 이들의 측벽 부분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양측 측면을 덮는 상기 외부 쉘의 측벽 부분에 비하여, 상기 땜납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동축 케이블의 심선과 외부 쉘 사이의 절연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와 상기 외부 쉘 사이에 상기 하우징이 개재되어도 된다. 이로써, 여분의 부품을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 자체를 이용하여, 컨택트 부재와 외부 쉘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에, 상기 동축 케이블을 지지하는, 대략 역팔자상의 단면을 가진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편을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을 납땜할 때의 편차를 감소시켜, 동축 케이블의 심선 (24) 등을 안정적인 상태에서 납땜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 대해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외부 쉘에 의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편에 의해 동축 케이블을 완전히 지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지지대에 의해 동축 케이블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땜납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공간을 이용하여 납땜시에 발생하는 열을 빠져나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등에 주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이 상기 끼워맞춤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을 복수 형성한 경우라도,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케이블의 끼워맞춤 방향이나 축 방향으로 공간 절약적인 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 공간 절약을 도모한 탄성 걸림편에 의해서도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충분한 걸림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츠를 줄임과 함께 조립 공수를 줄인 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 이와 같은 케이블 커넥터를 사용한 커넥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와 커넥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케이블 커넥터의 끼워맞춤면측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 은 슬라이드 뚜껑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 는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그것들의 평면도 및 그 선 단면도이다.
도 5 는 컨택트 부재와 외부 쉘의 하우징에 대한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컨택트 부재와 외부 쉘의 하우징에 대한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컨택트 부재와 외부 쉘의 하우징에 대한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컨택트 부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동축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외부 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 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 는 종래의 플러그 모듈의 상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플러그 모듈의 바닥면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 는 종래의 컨택트 걸림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에,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3) 와, 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상대 커넥터) (8) 의 세트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장치 (1) 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는 서로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끼워맞출 수 있고, 도 1 은 이들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시에는, 케이블 커넥터 (3) 에 동축 케이블 (2) 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 도 1 에는, 동축 케이블 (2) 을 1 개 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케이블 커넥터 (3) 에 형성한 케이블 홈 (72) 의 각각에 1 개씩, 따라서 복수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한편, 기판 커넥터 (8) 는, 하우징 (81) 에 설치한 단자 고정 금구 (84) 에 의해 기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납땜된 상태로 사용된다.
케이블 커넥터 (3) 는, 동축 케이블 (2) 의 축 방향을 따라, 기판 커넥터 (8) 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면 (36) 을 갖는다. 기판 커넥터 (8) 측의 끼워맞춤면 (86) 은 개방되어 있고, 케이블 커넥터 (3) 는 이 개방된 빈 곳에, 끼워맞춤 방향 (A) 을 따라,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면 (86) 과 케이블 커넥터 (3) 의 끼워맞춤면 (36) 을 맞댄 상태로 끼워넣어진다. 케이블 커넥터 (3) 가 기판 커넥터 (8) 에 끼워넣어졌을 때, 기판 커넥터 (8) 의 빈 곳은 케이블 커넥터 (3) 의 상면 (36') 에 의해 뚜껑이 덮인 상태가 된다.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는, 케이블 커넥터 (3) 의 좌우 각 측면에 형성한 볼록부 (75) 와, 기판 커넥터 (8) 의 하우징 (81) 의 좌우 각 측면에 형성한 절결 (85) 을 대응시킴으로써, 또, 기판 커넥터 (8) 의 하우징 (81) 에 형성한 유도용 테이퍼 (82) 를 이용하여,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를 용이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를 끼워맞춘 후라도, 동축 케이블 (2) 은, 기판 커넥터 (8) 의 하우징 (81) 에 형성한 케이블 취출구 (83) 로부터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도 2 에 케이블 커넥터 (3) 의 끼워맞춤면 (36) 측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내고, 또한, 도 3 에 케이블 커넥터 (3) 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뚜껑 (70) 의 개품도 (個品圖) 를 후방 사시도로 나타낸다.
케이블 커넥터 (3) 의 끼워맞춤면 (36) 은, 그 대략 절반이 슬라이드 뚜껑 (70) 에 의해 덮여 있다. 슬라이드 뚜껑 (70) 은, 좌우의 양 측면에 형성한 안내판 (71) 을, 하우징 (30) 에 형성한 안내홈 (31) 에 끼워맞춤면 (36) 의 면 방향을 따라 삽입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 (3) 로 안내되고, 그곳에 장착된다. 또,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는, 슬라이드 뚜껑 (70) 의 좌우 각 측면에 형성한 걸림 돌기 (74) 를, 하우징 (30) 측에 형성한 대응하는 걸림 오목부 (74') 에 걸리게 함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케이블 홈 (72) 은 이 슬라이드 뚜껑 (70) 에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 (3) 의 끼워맞춤면 (36) 에는, 동축 케이블 (2) 에 대응하여 복수의 수용 공간 (33) 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 (33) 의 내부에는, 컨택트 부재 (40) 의 일부 (도 9 의 땜납부 (47)) 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이 수용되어 있고,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는, 기판 커넥터 (8) 의 컨택트 부재 (90) (도 1 참조) 가, 수용 공간 (33) 의 끼워맞춤면 (36) 측에 형성된 관통공 (34) 을 통하여, 수용 공간 (33) 의 내부에 침입하고, 수용 공간 (33) 의 내부에 수용된 컨택트 부재 (40) 의 소정 부분 (도 9 의 협입부 (46)) 과 대응하여 접속된다. 한편, 각 수용 공간 (33) 의 외부는, 그 소정의 면을 도전성의 외부 쉘 (50) 에 의해 덮여져 있다.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 외부 쉘 (50) 은, 기판 커넥터 (8) 의 도전성의 외부 쉘 (92) (도 1 참조) 의 내부에, 외부 쉘 (92) 에 형성한 유도부 (92') 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 쉘 (92) 과 접속된다.
도 4 의 (a) 에, 케이블 커넥터 (3) 의 끼워맞춤면 (36) 과는 반대측의 상면 (36') 에서 본,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그것들의 평면도를, 또한, 도 4 의 (b) 에, 도 4 (a) 에 있어서의 1-1 선 단면도, 다시 말하면, 슬라이드 뚜껑 (70) 의 중심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 의 (a) 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 (3) 의 상면 (36') 에는, 각 외부 쉘 (50) 에 대응하여 관통공 (3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관통공 (32) 에는 외부 쉘 (50) 의 일부 (걸림편 (58)) 가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 도 4 의 (b) 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는, 케이블 커넥터 (3) 측에 형성한 걸림 돌출부 (73) 와 기판 커넥터 (8) 측에 형성한 걸림 돌출부 (87) 가 대응지어진다. 이 결과,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는, 도 2 등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슬라이드 뚜껑 (70) 의 걸림 돌기 (74) 와 하우징 (30) 측의 걸림 오목부 (74') 의 고정에 더하여 케이블 커넥터 (3) 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또한, 도 4 의 (b) 에 있어서, 기판 고정부 (91) 는 상기 서술한 컨택트 부재 (90) 의 다리에, 또, 기판 고정부 (93) 는 상기 서술한 외부 쉘 (92) 의 다리에 각각 대응한다.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케이블 커넥터 (3) 의 내부 구조 및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케이블 커넥터 (3) 에는, 하우징 (30) 과 이 하우징 (30) 에 대해 고정되는 컨택트 부재 (40) 및 외부 쉘 (50) 이 포함된다. 또한, 동축 케이블은 컨택트 부재 (40) 와 외부 쉘 (50) 에 대해 고정된다.
도 5 는, 컨택트 부재 (40) 의 하우징 (30) 에 대한 장착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단, 이 도 5 는, 1 개의 컨택트 부재 (40) 를 제외한 다른 (7 개의) 컨택트 부재 (40') 에 대해서는 이미 하우징 (30) 의 각 대응하는 수용 공간 (33) 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나머지 1 개의 컨택트 부재 (40) 를 하우징 (30) 의 대응하는 수용 공간 (33) 에 확실히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도 5 의 단계로부터 더욱 진행되어, 외부 쉘 (50) 의 하우징 (30) 에 대한 장착 작업을 나타내는 사시도, 더욱 상세하게는, 컨택트 부재 (40) 를 모두 고정시킨 후에, 1 번째의 외부 쉘 (50) 을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3) 주변의 소정 위치에 확실히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도 6 의 단계로부터 더욱 진행되어, 1 번째의 외부 쉘 (50) 을 하우징 (30) 의 소정 위치에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 은, 수용 공간 (33) 의 내부가 분명해지도록, 편의상, 도 5, 도 6 에 있어서의 보강 바 (76) 로부터 상측의 부재는 없앤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은, 도 7 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 5 내지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부재 (40) 와 외부 쉘 (50) 은 모두, 끼워맞춤면 (36) 의 면 방향에 있어서, 여기서는 특히 동축 케이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의 축 방향을 따라, 그것들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 (30) 에 고정된다. 컨택트 부재 (40) 는, 슬라이드면 (77) 을 따라, 외부 쉘 (50) 은, 각 수용 공간 (33) 의 소정의 면을 둘러싸도록 슬라이드된다. 본 구성에서는, 이와 같이, 컨택트 부재 (40) 와 외부 쉘 (50) 을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간이화된다. 또, 컨택트 부재 (40) 와 외부 쉘 (50) 을 동일한 하우징 (30) 에 삽입하기 때문에, 파츠를 줄임과 함께 조립 공수를 줄이고, 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9 는, 컨택트 부재 (40) 의 개품도를 후방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면으로부터는 분명하지 않지만, 컨택트 부재 (40) 는, 예를 들어, 베릴륨구리 등의 비자성 금속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비자성 금속 재료는, 자기 검사에 최적인 것 중 하나로 생각된다. 컨택트 부재 (40) 는, 좌우 대칭 형상을 갖고,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 (41) 와, 기부 (41) 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기부 (41) 와 함께 슬라이드면 (77) 상에 적어도 일부가 설치되는 땜납부 (47) 와, 기부 (41) 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에 기부 (41) 측으로부터 기판 커넥터 (8) 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형성되고, 기부 (41) 등과 함께 슬라이드면 (77) 상에 설치되는 협입부 (46) 와, 기부 (41) 와 땜납부 (47) 사이에 기부 (41) 측으로부터 기판 커넥터 (8) 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형성되고, 기부 (41) 등과 함께 슬라이드면 (77) 상에 설치되는 탄성 걸림편 (피걸림부) (44A, 44B) 과, 또한, 기부 (41) 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 (도시 화살표「B」방향) 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되고, 기부 (41) 와 함께 슬라이드면 (77) 상에 설치되는 폭광부 (45A, 45B) (도시되어 있지 않음) 가 포함된다. 이들 땜납부 (47), 협입부 (46), 탄성 걸림편 (44), 폭광부 (45) 는 모두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기부 (41) 가 설치되는 슬라이드면 (77) 은, 수용 공간 (33) 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설판부 (舌板部) (35) 에 형성된다. 컨택트 부재 (40) 는, 이 슬라이드면 (77) 상을 슬라이드한다.
도 10 에 동축 케이블 (2)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2) 은, 중심에 심선 (24) 을, 그 외측에 심선 (24) 을 덮는 절연체 (23) 를, 또한 그 외측에 절연체 (23) 를 덮는 외부 도체 (22) 를, 가장 외측에 외피 (21) 를 갖는다. 컨택트 부재 (40) 의 땜납부 (47) 에는, 동축 케이블 (2) 의 심선 (24) 이 납땜된다. 심선 (24) 을 안정적으로 납땜할 수 있도록, 땜납부 (47) 의 대략 중심 위치에는, 동축 케이블 (2) 의 케이블 방향을 따라 패임부 (47') 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부재 (40) 는, 이 땜납부 (47) 를 제외하고, 그 거의 모든 부분이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3) (도 5 내지 도 7 등) 에 수용된다. 이 결과, 납땜 가능한 상태로, 컨택트 부재를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다. 땜납부 (47) 의 단부 부근은, 설판부 (35) (도 5 내지 도 7 등) 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이로써,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공간 (80) 을 형성하고 있다. 공간 (80) 을 형성함으로써, 납땜시에 발생하는 열을 빠져나가게 할 수 있어, 하우징 등에 주는 열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협입부 (46) 는, 컨택트 부재 (40) 가 하우징 (30) 의 수용 공간 (33) 에 배치되었을 때에, 수용 공간 (33) 에 형성한 관통공 (34) 의 대략 바로 밑에 배치된다. 협입부 (46) 는 탄성을 갖고,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 기판 커넥터 (8) 의 판상의 컨택트 부재 (90) 에 의해 벌려지고, 그곳에 컨택트 부재 (90) 를 끼워 넣는다. 이로써, 케이블 커넥터 (3) 의 컨택트 부재 (40) 와 기판 커넥터 (8) 의 컨택트 부재 (90) 는 서로 접촉하고, 또, 그 접촉은 유지된다.
탄성 걸림편 (44) 은, 케이블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도 9 의「C」) 에 있어서 대향하여 형성된 1 쌍의 탄성 걸림편 (44A, 44B) 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탄성 걸림편 (44A, 44B) 은, 예를 들어, 판상의 금속을 잘라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판상의 금속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탄성 걸림편 (44) 을 제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도가 얻어진다. 이들 탄성 걸림편 (44A, 44B) 은, 대략 역팔자상의 단면을 형성하고, 각 탄성 걸림편 (44A, 44B) 은, 추가로,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에 형성한 자유단 부분 (48A, 48B) 과,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에 형성한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 스탠드부 (43A, 43B) 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중간부 (42A, 42B) 를 포함한다. 특히, 자유단 부분 (48A, 48B) 을, 기부 (41) 측으로부터 기판 커넥터 (8) 와의 끼워맞춤측에, 협입부 (46) 와 동일 방향으로 동일한 정도의 높이까지 세움으로써, 탄성 걸림편 (44A, 44B) 의 스프링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또, 자유단 부분 (48A, 48B) 에는,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에 면 (49A 및 49B) 이, 또,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에 면 (48A" 및 48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의 쌍방에 면을 형성함으로써, 작은 컨택트 부재 (40) 에 의해서도 케이블의 축 방향으로 충분한 걸림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케이블의 축 방향에 있어서도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30) 에는, 이들 1 쌍의 탄성 걸림편 (44A, 44B) 에 대응하여, 탄성 걸림편 (44A, 44B) 이 각각 걸리는 1 쌍의 대향하는 수직의 후육벽 (79A, 79B) 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의 면 (48A" 및 48B") 을 형성하는 수직 스탠드부 (43A 와 43B) 는 폭「α」를 갖는다. 또, 중간부 (42A 와 42B) 나 자유단 부분 (48A 와 48B) 도 마찬가지로 그것들의 기부 (41) 측에 있어서 폭「α」를 갖는다. 이 폭「α」는, 하우징 (30) 1 쌍의 대향하는 후육벽 (79A, 79B) 에 의해 형성된 간극의 크기「a'」 (도 8 참조) 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크기로 설정함으로써, 컨택트 부재 (40) 를 하우징 (30) 에 설치할 때, 컨택트 부재 (40) 의, 특히 기부 (41) 측에 대해서는 하우징 (30) 에 순조롭게 안내된다. 또, 컨택트 부재 (40) 가 하우징 (30) 에 설치된 후에는, 탄성 걸림편 (44) 의 수직 스탠드부 (43) 를,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와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규제하여, 컨택트 부재 (40) 의 하우징 (30) 에 대한 좌우 방향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기판 커넥터 (8) 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부분, 특히, 자유단 부분 (48A, 48B) 은,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의 가장 연장된 부분에 있어서 최대폭「a」 (도 9 참조) 를 갖고, 이 최대폭「a」는, 그것들의 기부 (41) 측에 있어서의 폭「α」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우징 (30) 의 후육벽 (79A, 79B) 의 간극「a'」는, 이 최대폭「a」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컨택트 부재 (40) 가 하우징 (30) 에 설치되었을 때, 이들 부분은,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의 면 (48A", 48B") 에 있어서, 후육벽 (79A, 79B) 의 내벽 (79A", 79B") 과 충돌하게 된다. 이 결과, 컨택트 부재 (40) 는,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의 일부, 즉, 면 (48A", 48B") 에 있어서, 하우징 (30) 의 소정 부분에 의해 걸리게 된다.
컨택트 부재 (40) 를 하우징 (30) 에 설치할 때, 컨택트 부재 (40) 가 하우징 (30) 에 순조롭게 안내되도록, 자유단 부분 (48A, 48B) 의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에는, 중심을 향하여 구부러짐을 형성함으로써 유도부 (48A', 48B') 가 형성되어 있다. 컨택트 부재 (40) 를 하우징 (30) 에 장착할 때, 이들 유도부 (48A', 48B') 를 면 (49A, 49B) 부근에 있어서, 하우징 (30) 의 후육부 (79) 에 형성한 테이퍼 (79A', 79B') 와 충돌시켜, 자유단 부분 (48A, 48B) 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자유단 부분 (48A, 48B) 등을 하우징 (30) 내로 순조롭게 안내할 수 있다.
컨택트 부재 (40) 가 하우징 (30) 내로 안내되고, 탄성 걸림편 (44A, 44B) 이 하우징 (30) 의 소정 위치, 즉, 오목상으로 형성된 고정부 (78) 에 도달했을 때, 탄성 걸림편 (44A, 44B) 의 탄성 작용에 의해, 자유단 부분 (48A, 48B) 은 하우징 (30) 의 고정부 (78) 에 끼워진다. 이 때, 탄성 걸림편 (44A, 44B) 의 자유단 부분 (48) 은,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하우징 (30) 의 소정 부분, 즉, 후육부 (79) 의 면 (79A", 79B") 과 면 (48A", 48B") 에서 충돌하고, 이들의 충돌을 통하여, 컨택트 부재 (40) 의 하우징 (30) 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컨택트 부재나 외부 쉘의 장착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는 한편으로, 컨택트 부재나 외부 쉘의 장착 후에는, 그것들의 장착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폭광부 (45) (45A, 45B) 에 대응하여, 하우징 (30) 에는, 슬라이드면 (77) 을 따라 간극 (37) 이 형성되어 있다. 폭광부 (45) 는, 이 하우징 (30) 의 간극 (37) 에, 슬라이드면 (77) 을 따라 삽입되고, 슬라이드면 (77) 과,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30) 의 누름부 (37') 사이에 지지된다. 이 경우, 폭광부 (45) 의 가로폭「β」 (도 9 참조) 는, 하우징 (30) 의 개방된 폭, 바꿔 말하면, 하우징 (30) 의 누름부 (37') 의 폭「d」 (도 8 참조) 보다 크기 때문에, 폭광부 (45) 는,「β-d」의 길이 부분에 있어서, 하우징 (30) 의 누름부 (37') 와 중복 부분을 갖는다. 이 길이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측으로의, 컨택트 부재 (40) 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에, 외부 쉘 (50) 의 개품도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다. 외부 쉘 (50) 은, 컨택트 부재 (40) 와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 형상을 갖고 있고, 수용 공간 (33) 의 바닥면을 덮는 기부 (51) 와,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되고, 수용 공간 (33) 의 양측 측면을 덮는 측벽 부분 (59) 과, 슬라이드 방향에 있어서 측벽 부분 (59) 과 연속된 상태로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되고, 컨택트 부재 (40) 의 땜납부 (47) 의 양측을 덮는 측벽 부분 (52) 과, 측벽 부분 (52) 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측벽의 일부를 잘라냄으로써 대략 역팔자상의 단면을 가진 지지편 (54) 과, 또한, 지지편 (54) 에 대해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 즉, 바닥측에 형성한 지지대 (55) 를 포함한다.
기부 (51) 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B」측에는, 외부 쉘 (50) 의 외부를 향하여 캔틸레버상으로 잘라낸 걸림편 (58) 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쉘 (50) 은, 끼워맞춤면 (36) 의 면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30) 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 (30) 의 관통공 (32) (도 5 참조) 을 향하여 변위한 걸림편 (58) 을 미리 형성해 둠으로써, 하우징 (30) 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이동을 이용하여 외부 쉘 (50) 의 걸림편 (58) 을 관통공 (32) 에 삽입하고, 또한, 그 단면 (端面) (58') 을 관통공 (32) 의 소정의 벽면 (32') 과 충돌시킬 수 있다. 이 충돌을 통하여, 외부 쉘 (50) 의 하우징 (30) 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기부 (51) 는, 설판부 (35) 와 상면 (36') 사이에 형성된 간극 (35') 을 따라, 또, 측벽 부분 (59) 은, 수용 공간 (33) 의 배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간극 (35") 을 따라, 각각 하우징 (30) 에 삽입된다. 이 결과,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용 공간 (33) 의 면 중, 끼워맞춤면 (36) 을 제외한 삼면이 외부 쉘 (50) 에 의해 덮인다. 또한, 이들 부분을 삽입한 후에는, 수용 공간 (33) 의 내부에 배치된 컨택트 부재 (40) 와 외부 쉘 (50) 사이에 하우징 (30) 의 일부가 개재되게 되기 때문에, 여분의 부품을 형성하는 일 없이, 하우징 자체를 이용하여 컨택트 부재 (40) 와 외부 쉘 (50) 을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전방측의 측벽 부분 (59) 에는, 수용 공간 (33) 에서 떨어진 측으로 변위한 탄성편 (57)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편 (57) 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 (3) 와 기판 커넥터 (8) 의 끼워맞춤시에, 이들 탄성편 (57) 은 기판 커넥터 (8) 의 외부 쉘 (92) 과 탄성 접촉하여, 그라운드 접촉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측벽 부분 (52) 은, 예를 들어, 굽힘부 (52') 를 형성하는 등 하여, 측벽 부분 (59) 에 비하여 땜납부 (47) 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땜납부 (47) 에 납땜되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 (24) 과 외부 쉘 (50) 사이의 절연 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지지편 (54) 은, 동축 케이블 (2) 의 외부 도체 (22) (도 10 참조) 를 지지한다. 지지편 (54) 은, 이 외부 도체 (22) 에 납땜되고, 이 결과, 외부 도체 (22) 는 외부 쉘 (50) 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지지편 (54) 을 형성함으로써, 동축 케이블 (2) 을 납땜할 때의 편차를 감소시켜, 동축 케이블의 심선 (24) 등을 안정적인 상태에서 납땜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 (54) 의 선단 (54') 의 간극「c」 (도 11, 도 8 참조) 는,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2) 의 외부 도체 (22) 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크기로 함으로써, 가는 직경의 동축 케이블 (2) 을 지지편 (54) 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편 (54) 의 바닥측에는, 지지대 (55)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지지편 (54) 에 의해 동축 케이블 (2) 을 지지할 수 없으며, 동축 케이블이 지지편 (54) 의 더욱 아래에 위치하게 된 경우라도, 동축 케이블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걸림편 (44) 이나 폭광부 (45) 등을 컨택트 부재 (40) 에 형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것들 탄성 걸림편이나 폭광부를 동일한 방법으로 외부 쉘 (50) 에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외부 쉘 (50) 에 탄성 걸림편을 형성한 양태도 포함한다. 또,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동축 케이블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원발명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전기 케이블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블과 컨택트 부재 (40) 나 외부 쉘 (50) 사이의 접속은, 납땜에 한정되지 않고 압착 등의 접속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 수직 끼워맞춤형의 여러 가지 타입의 커넥터에 응용할 수 있다.
1 : 커넥터 장치
2 : 동축 케이블
3 : 케이블 커넥터
8 : 기판 커넥터
22 : 외부 도체
24 : 심선
30 : 하우징
36 : 끼워맞춤면
37 : 간극
37' : 누름부
40 : 컨택트 부재
44 : 탄성 걸림편
45 : 폭광부
47 : 땜납부
48" : 충돌면
49 : 면
50 : 외부 쉘
52 : 측벽 부분
52' : 굽힘부
54 : 지지편
55 : 지지대
70 : 슬라이드 뚜껑
79" : 충돌면
80 : 공간
81 : 하우징
90 : 컨택트 부재
92 : 외부 쉘

Claims (17)

  1.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하여 사용되고,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면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면의 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과 접속되는 컨택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컨택트 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른 일방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기부에 대해,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일방의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연장된, 상기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와,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기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피걸림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측과는 반대측의 상기 피걸림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소정 부분에 의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형성된 1 쌍의 탄성 걸림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의 폭은, 상기 기부측보다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에 있어서 크게 설정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은, 대략 역 팔 (八) 자상의 단면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이 각각 걸리는 1 쌍의 대향하는 벽부를 갖고,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측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의 최대폭보다 작은 케이블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대향하는 탄성 걸림편은 판상의 금속을 잘라냄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과 판면에서 충돌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인 케이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면의 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속되는 외부 쉘을 추가로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와 상기 외부 쉘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케이블 커넥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는, 상기 컨택트 부재가 상기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할 때의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넓게 형성된 폭광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상기 폭광부가 삽입되는 간극을 갖고,
    상기 간극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폭광부는, 상기 슬라이드면과, 상기 폭광부에 대해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 사이에 지지되는 케이블 커넥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접속되는 접속부를 제외하고, 상기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수용 공간의 면 중, 상기 끼워맞춤측의 면을 제외한 면이, 상기 외부 쉘에 의해 덮여 있는 케이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된 상기 외부 쉘의 측벽 부분에 의해 그 양측이 덮여 있고, 이들 측벽 부분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을 향하여 세워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양측 측면을 덮는 상기 외부 쉘의 측벽 부분에 비하여, 상기 땜납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케이블 커넥터.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재와 상기 외부 쉘 사이에 상기 하우징이 개재되는 케이블 커넥터.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에, 상기 동축 케이블을 지지하는, 대략 역팔자상의 단면을 가진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 대해 상기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상기 외부 쉘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땜납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측과는 반대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끼워맞춤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장치.
KR1020130161117A 2012-12-27 2013-12-23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687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4340 2012-12-27
JP2012284340A JP5903726B2 (ja) 2012-12-27 2012-12-27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327A true KR20140085327A (ko) 2014-07-07
KR101687867B1 KR101687867B1 (ko) 2016-12-19

Family

ID=51017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117A KR101687867B1 (ko) 2012-12-27 2013-12-23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50319B2 (ko)
JP (1) JP5903726B2 (ko)
KR (1) KR101687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74B1 (ko) * 2014-09-18 2016-02-12 (주)이피씨코리아 방수기능을 가지는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19615A (ko) * 2020-03-24 2021-10-06 두원중공업(주) 전동압축기의 모터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9676B2 (ja) *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6254542B2 (ja) * 2015-02-10 2017-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6443433B2 (ja) * 2016-12-22 2018-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763418B2 (ja) 2018-04-27 2020-09-30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672877B (zh) * 2018-05-15 2019-09-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同軸電纜之連接座及連接結構
JP7340400B2 (ja) 2018-11-30 2023-09-0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024990B2 (en) * 2018-11-30 2021-06-01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multiple cables to electrical device
US10992092B2 (en) 2018-11-30 2021-04-27 Molex, Llc Connector that connects to electric wires and to other connectors
JP1646281S (ko) 2019-03-26 2019-11-25
JP1643701S (ko) 2019-03-26 2019-10-21
JP1646280S (ko) 2019-03-26 2019-11-25
JP7312014B2 (ja) * 2019-05-16 2023-07-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KR20220020989A (ko) 2019-07-01 2022-02-21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CN113451808B (zh) * 2020-03-26 2024-01-3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端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791A (ja) * 1996-12-25 1998-09-1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5158730A (ja) * 2003-11-07 2005-06-16 Jst Mfg Co Ltd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8262773A (ja) 2007-04-11 2008-10-30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レセプタクルハウジング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9037955A (ja) * 2007-08-03 2009-02-19 Hirose Electric Co Ltd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10092811A (ja) 2008-10-10 2010-04-22 I-Pex Co Ltd 多連装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5983B2 (ja) * 2004-11-01 2008-07-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ブレードコンタクト
KR100968327B1 (ko) * 2007-03-14 2010-07-08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다극동축커넥터
CN201440511U (zh) * 2009-03-05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47904B2 (ja) * 2009-04-16 2013-07-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729648B2 (ja) * 2011-10-13 2015-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1791A (ja) * 1996-12-25 1998-09-1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5158730A (ja) * 2003-11-07 2005-06-16 Jst Mfg Co Ltd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8262773A (ja) 2007-04-11 2008-10-30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レセプタクルハウジングと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9037955A (ja) * 2007-08-03 2009-02-19 Hirose Electric Co Ltd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10092811A (ja) 2008-10-10 2010-04-22 I-Pex Co Ltd 多連装電気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74B1 (ko) * 2014-09-18 2016-02-12 (주)이피씨코리아 방수기능을 가지는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19615A (ko) * 2020-03-24 2021-10-06 두원중공업(주) 전동압축기의 모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27394A (ja) 2014-07-07
KR101687867B1 (ko) 2016-12-19
JP5903726B2 (ja) 2016-04-13
US9450319B2 (en) 2016-09-20
US20140187085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67B1 (ko) 케이블 커넥터 및 이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US8814599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crimping ring
KR101294607B1 (ko) 전기커넥터 및 그 조립체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US632239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43798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KR100997427B1 (ko) 전기커넥터
US737781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60135964A (ko) 저 인덕턴스 차폐 커넥터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JP2013048073A (ja) 複数プラグ付き接続ユニット
JP2006054057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76822A (ja) シ−ルドコネクタ装置
JP200731755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10092811A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JP201903303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46954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1097184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11138687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3303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493842B1 (ko) 전기 커넥터 장치 및 이 전기 커넥터 장치에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JP5473638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