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989A -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989A
KR20220020989A KR1020227002710A KR20227002710A KR20220020989A KR 20220020989 A KR20220020989 A KR 20220020989A KR 1020227002710 A KR1020227002710 A KR 1020227002710A KR 20227002710 A KR20227002710 A KR 20227002710A KR 20220020989 A KR20220020989 A KR 2022002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plug
housing
insul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무 가지우라
야스토시 가메다
Original Assignee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2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1 mm 또는 그 미만의 높이를 가능하게 하지만 정합된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견고성을 갖는 특징부를 갖는 로우 프로파일 와이어-보드 커넥터. PCB에 대한 표면 장착 납땜을 위해 구성된 장착 계면을 갖는 보드 커넥터는 다수의 와이어를 종결하는 상보적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 커넥터는, 2개의 단부에서 PCB에 납땜될 수 있는 블레이드-형상 단자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을 PCB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드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와 맞물리는 중간 부분을 갖는다. 상보적 커넥터는 장착 계면과 예각으로 삽입되어, 정합 커넥터의 전방 부분을 보드 커넥터의 전방 부분에 맞물릴 수 있다. 이어서, 상보적 커넥터의 후방은 리세스 내로 회전되어 후방 근처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본 출원은, 2019년 7월 1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인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2/869,511호에 대해 우선권 및 35 U.S.C. §119(e) 하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로써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와이어-보드 전기 커넥터는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 PCB)와 전자 시스템의 다른 컴포넌트 사이에서 전력 및/또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일 예에서, 전력 와이어를 PCB의 표면 상의 전도성 전력 트레이스에 연결하는 와이어-보드 커넥터에 의해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된 디바이스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데이터 와이어를 PCB의 표면 상의 전도성 데이터 트레이스에 연결하는 와이어-보드 커넥터에 의해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된 디바이스에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로우 프로파일 와이어-보드 커넥터의 구현예가 설명된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제2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으로서, 개구는 적어도 절연 하우징의 제1 벽 및 제2 벽에 의해 한정되고, 제1 벽은 제2 커넥터로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제2 벽은 상기 제1 벽을 가로지르는 것인 절연 하우징; 절연 하우징의 제1 벽에 부착되고 개구 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 및 절연 하우징의 제2 벽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은 제2 커넥터가 개구에 삽입될 때 제2 커넥터 상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연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 절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 및 절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하우징은 제2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는 개구의 제1 단부에서 제2 커넥터와 맞물리기 위한 제1 보유 특징부 및 개구의 제2 단부에서 제2 커넥터를 맞물리기 위한 제2 보유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단부는 제1 방향에서 제2 단부로부터 오프셋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제2 커넥터가 개구 내에 있을 때 제1 방향에서 제2 커넥터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를 보드 커넥터와 정합시키는 방법은, 케이블 커넥터를 제1 방향을 따라 보드 커넥터의 리세스 내로 삽입하는 단계,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음에 의해 케이블 커넥터를 보드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케이블 커넥터에 스프링 힘을 가하는 것,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케이블 커넥터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
도 1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 및 플러그 커넥터(140)를 포함하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대해 삽입된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도 2d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측면도이다.
도 2e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도 2b에 예시된 삽입된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측면도이다.
도 2f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도 2c에 예시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측면도이다.
도 2g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도 2c에 예시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평면도이다.
도 2h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2i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2c에 예시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도 2b에 예시된 삽입된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2j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2c에 예시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도 2c에 예시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1a 및 도 1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확대도이다.
도 3의 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 및 와이어(104a 및 104b)로부터 분리된 리셉터클 하우징(130)을 예시하는, 도 1a 및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분해도이다.
도 3의 D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절연 와이어(104b) 및 리셉터클 단자(122b)를 통한 도 1a 및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에 포함될 수 있는 절연 와이어(104) 및 리셉터클 단자(122)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4a의 리셉터클 단자(122)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14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140)의 분해도이다.
도 5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140)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a 및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140)에 포함될 수 있는 스프링 탭(144)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 및 플러그 커넥터(250)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7a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보드에 2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a)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보드에 4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보드에 6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c)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서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단면 X1-X1’의 측면도이다.
도 9d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단면 X1-X1’의 측면도이다.
도 9e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평면도이다.
도 9f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대안적인 단면 X2-X2’의 측면도이다.
도 9g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고정된 위치에 있는, 도 7a 및 도 7b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대안적인 단면 X2-X2’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일부 구현예에 따라, 와이어 커버(290)가 리셉터클 하우징(230)으로부터 제거된,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의 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의 D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0의 C에 도시된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단자 랜스 슬롯(238a)의 확대도이다.
도 10의 E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절연 와이어(204b) 및 리셉터클 단자(222b)를 통한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1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커버(290)가 제거된,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분해도이다.
도 11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리셉터클 단자(222b) 및 절연 와이어(204b)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1b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222b)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11b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222b)의 평면도이다.
도 13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플러그 커넥터(25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b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플러그 커넥터(250b)의 상부 분해도이다.
도 13c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플러그 커넥터(250b)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도 8b의 플러그 커넥터(250b)에 포함될 수 있는 잠금 탭(254)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와이어-보드(또는 케이블-보드)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가 신뢰할 수 있는 동작을 제공하면서 작은 볼륨을 점유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커넥터를 위한 설계 기법을 인식하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는 1 mm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법은 의도하지 않은 부정합에 저항하는 컴팩트 커넥터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종결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에 압력이 가해지면, 작은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게 부정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예를 들어,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지면, 리셉터클은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와이어는, 예를 들어, 와이어가 전자 디바이스 외부로 연장될 때 당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버드에 부착된 와이어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밖으로 연장될 수 있고, 사용 중에 의도하지 않게 당겨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및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리셉터클 커넥터를 부정합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서로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삽입 방향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의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 내의 부재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방향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스프링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에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에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블레이드 접점과 정합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 에지는 플러그의 블레이드에 대향하는 측면을 따라 플러그 하우징의 부분과 상호잠금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 예에서, 고정 방향은 블레이드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대향 측면을 향한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이 고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리셉터클의 후방 에지 상의 특징부는 플러그 하우징 상의 상보적 특징부와 상호잠금되어, 리셉터클이 플러그의 리세스 밖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힘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에 고정시키기 위해, 삽입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게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리세스의 바닥 표면을 따라 가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에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장착면에 대해 각진 삽입 방향을 따라 러그 커넥터의 리세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에지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맞물릴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에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블레이드 점접과 정합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방 에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블레이드 접점을 갖는 부분을 따라 플러그 하우징의 부분과 상호잠금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로부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주의한 상향 제거를 방해할 수 있다.
플러그 및/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 부분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부주의한 후방 제거를 방해하는 특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것은, 리셉터클의 후방이 플러그 커넥터의 장착면을 향해 회전하도록, 맞물린 전방 에지를 중심으로 리셉터클 커넥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이어서, 리셉터클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후방에 있는 특징부는 플러그 커넥터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홀딩하도록 맞물릴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특징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에 고정시키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맞물리는 플러그 커넥터 내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의 측벽에 결합된 잠금 탭일 수 있다. 잠금 탭은 측벽의 대향 측면 위에 배치된 접힌 금속 조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잠금 탭의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보드에 납땜될 수 있다. 이러한 납땜은 보드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의 부착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탭은, 리셉터클 커넥터가 부주의하게 상향으로 당겨지는 경우에, 플러그 커넥터 내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보드 홀딩하기 위한 적절한 접촉력을 제공하기 위해 보드에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 에지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 플러그 커넥터의 후방의 특징부와 맞물리는 돌출부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후방 슬라이딩 모션이 플러그 커넥터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 내로의 리셉터클의 삽입 시에 압축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 사이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후방 슬라이딩 모션이 부여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 및 플러그 커넥터(140)를 포함하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리셉터클 커넥터(120) 및 플러그 커넥터(140)의 측단면도이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정합 커넥터는 이들의 단자의 형상에 기초하여 플러그 및 리셉터클로서 식별된다. 이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정합 시에 접촉력을 생성하도록 편향되는 부재를 갖는 단자를 갖는다. 여기서, 편향 부재는 이들 사이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로부터의 블레이드와 정합하는 대향 부재이다. 그러나, 커넥터를 서로 정합시키고 고정시키는 것에 대한 본원의 설명은 그러한 커넥터의 단자의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40)는 인쇄 회로 보드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다수의 와이어를 종결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드에 장착된 커넥터는 리셉터클을 위해 형상화된 단자를 가질 수 있고, 케이블을 종결하는 커넥터는 블레이드로서 형상화된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커넥터는 일부 플러그 단자 및 일부 리셉터클 단자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정합 동안 플러그 단자가 강성일 필요는 없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 단자 둘 모두는 정합 시에 편향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40)는 일부 구현예에서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는 기판(102)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장착은 플러그 커넥터(140)의 장착면을 보드(102) 상에 배치하고 커넥터를 보드에 표면 장착 납땜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2개의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를 종결시킬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정합 구성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20) 및 플러그 커넥터(140)는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 내의 전도체를 보드(102) 상의 전도성 패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높이가 1 mm 미만인 작은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높이는 커넥터 중 하나가 장착되는 기판의 표면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리셉터클 하우징(130)을 포함하며, 리셉터클 하우징(130)은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 중 단자(122a)가 도 1b에 도시된다. 리셉터클 하우징(13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는 인청동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b에서, 리셉터클 단자(122a)는 절연 와이어(104a)의 전도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단자(122a)의 크림핑된 부분(124a)은 전도체를 홀딩한다. 전도체는 일부 구현예에서, 은 도금과 같은 도금을 갖거나 갖지 않는 구리 또는 다른 금속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설계는 작은 직경의 와이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도체는 32 AWG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직경은 34 AWG, 예컨대, 36 AWG 또는 40 AWG보다 작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22a)의 단자 랜스(126a)는 리셉터클 하우징(130)의 개구 내로, 그리고 예시된 구현예에서는 이를 통해 돌출되어, 절연 와이어(104a)가 리셉터클 하우징(130)으로부터 멀리 당겨질 때 리셉터클 단자(122a)가 리셉터클 하우징(13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 랜스(126a)는 리셉터클 하우징(130)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 하우징(130)의 바닥 벽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22a)는 도 3의 C 및 도 3의 D 및 도 4a 및 도 4b에 추가로 예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 내로 삽입될 때 정합된 커넥터의 높이가 1 mm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도록,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1 mm 또는 그 미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40)는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 및 스프링 탭(144a 및 144b)을 지지할 수 있는 플러그 하우징(15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5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 및 스프링 탭(144a 및 144b)은, 보드(102)에 대한 플러그 단자의 표면 장착 납땜을 지원하기 위해 도금과 함께 또는 도금 없이, 인청동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는 블레이드 접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42a)는 보드(102)의 표면 상의 패드에 표면 장착 납땜하도록 구성된 제1 부분(162a)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삽입될 때 리셉터클 단자(122a)와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2 부분(162b)을 갖는다. 플러그 하우징(150)의 바닥 표면은,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 및 스프링 탭(144a 및 144b)이 보드(102) 상의 전도성 패드에 장착(예를 들어, 납땜)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 및 스프링 탭(144a 및 144b)을 보드(10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를 보드(102)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 및 스프링 탭(144a 및 144b)을 보드(102)에 고정시키는 것은 플러그 하우징(150)을 보드(102)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 각각은 보드(102)에 납땜하도록 구성된 하우징(150) 외부의 부분 및 또한 납땜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150)의 내부의 부분을 갖는다. 2개의 부분 사이에서, 플러그 단자는 하우징(150)의 벽과 맞물려서, 단자의 단부가 보드에 납땜될 때 하우징을 보드에 고정시킨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142a)는, 리셉터클 단자(122a)에 연결된 절연 와이어(104a)의 전도체가 보드(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보드(102)의 표면 상의 전도성 패드에 대한 리셉터클 단자(122a)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40)는 1 mm 또는 그 미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는 절연체(108)(도 3의 C 및 도 3의 D 및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됨)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106)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전도체(들)(106)는 플라스틱(108)에 둘러싸인 한 쌍의 구리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와이어는 AWG 36 또는 40 와이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은 임의의 수의 와이어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j는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플러그 커넥터(140)와 정합시키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d 내지 도 2f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측면도이다. 도 2h 내지 도 2j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2g는 플러그 커넥터(140)에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갖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평면도이며, 이는 도 2h 내지 도 2j에 도시된 단면 X-X를 표시한다.
도 2a, 도 2d 및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삽입 방향(110)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1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방향(110)은 보드(102)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는데,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전방 단부와 보드(102) 사이보다는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와 보드(102) 사이에서 더 큰 거리로 배향된 리셉터클 커넥터(120)로 플러그 커넥터(140) 내에 삽입되는 것의 결과이다. 각을 이룬 삽입은 리셉터클 커넥터(120)로부터의 돌출부가 플러그 하우징(150)의 특징부 아래로 연장될 수 있게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플러그 커넥터(140)에 부분적으로 고정시킨다.
도 2a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50)은 리셉터클 하우징(130)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리세스(152)를 포함한다. 리세스(152)는 리셉터클 하우징 돌출 부분(138a 내지 138c)을 각각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수용 부분(152a 내지 152c)을 포함한다. 수용 부분(152a 및 152b) 및 돌출 부분(138a 및 138b)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14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후방 단부에서 슬롯(154)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 부분(152b 및 152c) 및 돌출 부분(138b 및 138c)은 도 2h 내지 도 2j에 도시된다. 도 2h 내지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분(152c) 및 돌출 부분(138c)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140) 및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전방 단부 상에 배치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의 리세스(152) 내에 삽입됨에 따라,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분(138c)은 수용 부분(152c)에 진입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리세스(152) 내에 삽입되면, 리셉터클 커넥터(120)는 보드(102)를 향해 방향(112)으로 회전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20)에 대한 회전 축은 플러그 하우징(150)의 전방 벽과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전방의 맞물림에 의해 확립될 수 있고, 삽입 방향(110)에 수직일 수 있다. 도 2b, 도 2e 및 도 2i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방향(112)으로 회전된 후의 삽입된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돌출 부분(138c)은 수용 부분(152c)에 삽입되고, 돌출 부분(138a, 138b)은 수용 부분(152a, 152b)에 삽입되지 않는다.
플러그 하우징(150)은,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고정될 때,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를 수용하는, 플러그 하우징(150)의 후방 벽에 슬롯(154)을 가질 수 있다.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는 이들이 슬롯(154)을 통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 내에 삽입되는 동안, 플러그 커넥터(140)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탭(144a)은 리셉터클 커넥터(12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탭(144a)의 유연성 부분(148a)은,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플러그 커넥터(140)에 고정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40)의 리세스(152)의 바닥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방향(110)을 따라 고정 방향(114)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푸시(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스프링 탭(144a 및 144b)의 유연성 부분(148a 및 148b)은 도 2a 및 도 2b에서 눌린 상태로 그리고 도 2c에서 이완된 상태로 도시된다. 돌출 부분(160a 및 160b)은, 스프링 탭(144a 및 144b)가 리세스(152)의 바닥 표면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를 푸시할 때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 부분(160a 및 160b)은 보드(102)로부터 멀어지게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하우징(150)의 돌출 부분(160a 및 160b)은,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고정될 때, 리셉터클 하우징(130)의 돌출 부분(138a, 138b)보다 보드(102)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도 2h 내지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부분(152b)은 보드(102)로부터 멀어지게 상향 방향으로 수용 부분(152b) 위에 위치된다. 도 2c, 도 2f 및 도 2j는 삽입된 고정된 상태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돌출 부분(138a 및 138b)은 수용 부분(152a 및 152b)에 삽입된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D는 도 1a 내지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3의 A는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리셉터클 하우징(130)과 단자(122a)의 맞물림을 예시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30)은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의 단자 랜스(126a 및 126b)에 리셉터클 하우징(130)을 고정시키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슬롯(136)을 포함한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서, 단자 랜스(126a)는 리셉터클 하우징(130)의 바닥 표면 상의 슬롯(136) 내로 연장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30)으로부터의 단자(122a)의 철수를 차단한다. 도 3의 A는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40)에 삽입될 때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단자 슬롯(134a 및 134b)을 추가로 예시한다.
도 3의 C는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 및 와이어(104a 및 104b)로부터 분리된 리셉터클 하우징(130)을 예시하는, 도 1a 및 도 1b의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분해도이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는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형성하기 위해 리셉터클 하우징(130)의 단자 슬롯(134c 및 134d)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의 C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는 전도체(106a 및 106b)를 둘러싸는 와이어 절연체(108a 및 108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D는 절연 와이어(104b) 및 리셉터클 단자(122b)를 통한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 및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4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20) 내의 리셉터클 단자(122a 및 122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리셉터클 단자(122), 및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절연 와이어(104)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리셉터클 단자(122) 및 절연 와이어(104)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106) 및 와이어 절연체(108)를 각각 홀딩하는 리셉터클 단자(122)의 크림핑된 부분(124)이 도시된다. 전도체(106a) 주위의 크림핑된 부분은 리셉터클 단자(122a)와 전도체(106a)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22)는, 블레이드 접점을 가질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리셉터클 접점(142a 및 142b)의 제1 및 제2 측면과 접촉하도록 형상화된 제1 및 제2 접점 부분(128a 및 128b)을 포함한다. 접촉 부분(128a 및 128b)은,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접촉부 상에 접촉력을 가하도록 유연할 수 있다. 접촉 부분(128a 및 128b)은 정합 계면에서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접촉 부분(128a 및 128b)을 0.06 mm만큼 변위시키는 것은 접촉 부분(128a 및 128b) 상에 800 MPa의 압력을 가하고 0.58 N의 접촉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랜스(126)는 리셉터클 단자(122)의 바닥 측면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단자 랜스(126)는, 리셉터클 하우징(130)에 리셉터클 단자(122)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향으로 튀어 나와 리셉터클 하우징(130)의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바닥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바이어스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a 및 도 1b의 플러그 커넥터(140)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5a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합될 때의 플러그의 상부 사시도이다. 접촉 부분(228a 및 229a)은 정합 계면 커넥터(140)에서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분해도이다. 도 5c는 플러그 단자(142a)를 관통하는 플러그 커넥터(140)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의 스프링 탭(144a 및 144b)은 고정 방향(114)(도 2f)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가압하기 위해 정합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20)에 스프링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의 예이다. 다양한 구현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스프링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프링 탭(144a 및 144b)이 플러그 하우징(150)의 대향 측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스프링 탭(144a 및 144b)은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가 연장되는 벽(151d)(예를 들어, 전방 벽(151d))에 수직인 플러그 하우징(150)의 측면(151a 및 151b)에 부착된다.
플러그 하우징(150)은 측면(151a 및 151b) 상에 개구(158a 및 158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 개구(158b)는 도 5a 및 도 5b에서 가시적이다. 개구(158a 및 158b)는, 스프링 탭(144a 및 144b)의 유연성 부분(148a 및 148b)이 리셉터클 커넥터를 수용하는 플러그 하우징(150)의 개구 내로 연장될 수 있도록 플러그 하우징의 벽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20)가 플러그 커넥터(120) 내에 삽입될 때, 유연성 부분(148a 및 148b)은 리셉터클 커넥터(120)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스프링 탭(144a 및 144b)의 유연성 부분(148a 및 148b)은,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분리되어, 플러그 단자(142a 및 142b)를 따라 위치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스프링 탭(144a 및 144b)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전방 단부가 플러그 하우징(150) 내에 삽입될 때 압축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탭(144a 및 144b) 내의 스프링 힘이 리셉터클 커넥터(120)를 고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개구(158a, 158b)는, 유연성 부분(148a, 148b)의 만곡부의 코너가, 유연성 부분(148a, 148b)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개구 내에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유연성 부분(148a, 148b)의 압축을 수용할 수 있다.
스프링 탭(144a 및 144b)은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150)에 홀딩될 수 있다. 스프링 탭(144a, 144b)은, 그들이 리셉터클 커넥터(120)의 삽입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20)와 플러그 하우징(150) 사이에 포획되도록, 플러그 하우징(150)의 전방 벽(151d)에 인접하게 홀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프링 탭(144a 및 144b)의 결합 부분(146a 및 146b)은 플러그 하우징(150)의 벽(151a 및 151b)의 측면 상에 클리핑될 수 있다. 유연성 부분(148a 및 148b)을 결합 부분(146a 및 146b)에 연결하는 세장형 부분(예를 들어, 도 5b의 147b)은 개구(158a 및 158b)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구현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40)의 스프링 탭(144a 및 144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스프링 탭(144)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스프링 탭(144)의 결합 부분(146) 및 유연성 부분(148)을 도시하며, 세장형 부분(147)은 결합 부분(146)을 유연성 부분(148)에 연결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스프링 탭(144)은 리셉터클 커넥터를 플러그 하우징과 맞물리는 위치 내로 가압하는 힘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유연성 부분(148)을 0.3 mm만큼 변위시키는 것은 스프링 탭(144) 상에 800 MPa의 압력을 가할 수 있고 0.44 N의 접촉력을 생성한다.
도 7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20) 및 플러그 커넥터(250)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b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측단면도이다.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의 플러그 커넥터(140)와 유사하게, 플러그 커넥터(250)는, 예컨대, 일부 구현예에서 인쇄 회로 보드일 수 있는 표면 장착 납땜에 의해 보드(20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a의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20)는 12개의 절연 와이어를 종결하며, 이들 중 절연 와이어(204a 및 204b)가 라벨링된다. 도 7a에 도시된 정합 구성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20) 및 플러그 커넥터(250)는 절연 와이어의 전도체를 보드(202) 상의 전도성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7a에 도시된 절연 와이어는 도 1a 및 도 1b의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에 대해 설명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높이가 1 mm 미만인 작은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20)와 유사하게, 리셉터클 커넥터(220)는 절연 와이어 각각에 대한 리셉터클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리셉터클 하우징(230)을 포함하며, 그 중 단자(222a)가 도 2b에 도시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3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는 인청동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리셉터클 단자는 0.75 mm 내지 0.2 mm, 0.1 mm 내지 0.14 mm, 예컨대 0.12 mm의 두께를 갖는 인청동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b에서, 절연 와이어(204a)의 전도체(206a)는 리셉터클 단자(122a)에 장착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단자(222a)의 크림핑된 부분(224a)은 전도체(206a)를 홀딩한다. 전도체(206a)는 일부 구현예에서 구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22a)의 단자 랜스(226a)는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개구 내로, 그리고 예시된 구현예에서는 이를 통해 돌출되어, 절연 와이어(204a)가 리셉터클 하우징(230)으로부터 멀리 당겨질 때 리셉터클 단자(222a)가 리셉터클 하우징(230)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자 랜스(226a)는 리셉터클 하우징(230)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상단 벽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222a)는 도 11a 및 도 11b 및 도 12a 및 도 12b에 추가로 예시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20)는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상단 측면 상에 배치된 와이어 커버(290)를 더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와이어 커버(29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커버(290)는 절연 와이어를 리셉터클 하우징(230) 내의 제위치에 홀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와이어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커버(290)는 도 10의 B에 추가로 예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20)는 1 mm 또는 그 미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40)와 유사하게, 플러그 커넥터(250)는 12개의 플러그 단자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플러그 하우징(270)을 포함하며, 그 중 플러그 단자(252a 및 252b)는 라벨링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러그 커넥터(250)는 1 mm 또는 그 미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70)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단자는, 보드(202)에 대한 플러그 단자의 표면 장착 납땜을 지원하기 위해 도금과 함께 또는 도금 없이, 인청동과 같은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252a)는 보드(202)의 표면 상의 패드에 표면 장착 납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부분(262a) 및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삽입될 때 리셉터클 단자(222a)와 접촉하도록 위치된 제2 부분(262b)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250)의 플러그 단자는 블레이드 접점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70)의 바닥 표면은, 플러그 단자가 보드(202) 상의 전도성 패드에 장착(예를 들어, 납땜)될 수 있게 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 플러그 단자를 보드(20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플러그 단자(252a 및 252b) 각각은 보드(202)에 납땜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하우징(270) 외부의 부분 및 또한 납땜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270)의 내부의 부분을 갖는다. 2개의 부분 사이에서, 플러그 단자는 하우징(270)의 벽과 맞물려서, 단자의 단부가 보드(202)에 납땜될 때 하우징(270)을 보드(202)에 고정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러그 단자(252a 및 252b)를 보드(202)에 고정시키는 것은 플러그 하우징(270)을 보드(202)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단자(252a)는 절연 와이어(204a)의 전도체 및 보드(202)의 표면 상의 하나 이상의 전도성 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리셉터클 단자(222a)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의 구현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20)는,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전방을 보드(202)의 표면에 대해 예각으로 플러그 하우징(270)의 전방 벽과 맞물리고, 이어서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후방을 플러그 하우징(270)의 리세스 내로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 하우징(270)에서 고정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후방은 플러그 하우징(270) 상의 특징부와 맞물려서, 리셉터클 커넥터(220)를 플러그 커넥터(2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플러그 하우징(270)은 잠금 탭(254a 및 254b)을 지지한다. 잠금 탭(254a 및 254b)은 유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잠금 탭(254a 및 254b)은, 보드(202)의 표면에 대한 잠금 탭(254a 및 254b)의 표면 장착을 지원하기 위해 도금과 함께 또는 도금 없이, 인청동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잠금 탭(254a 및 254b)은 스테인리스 강 또는 스프링 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탭(254a 및 254b) 각각은 플러그 하우징(270)의 벽의 측면 위에 배치된 다수의 접힌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접힌 부분 중 하나 이상은 보드(202)의 표면 상의 패드(들)에 장착(예를 들어, 납땜)하기 위해 보드(20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잠금 탭(254a 및 254b)은 하우징(270)을 보드(202)에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보드(202)의 표면에 납땜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잠금 탭(254a 및 254b)은 플러그 커넥터(250)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구조를 보드(202)의 표면 상의 전도성 패드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절연된 와이어는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절연체(208)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체(206)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체(들)(106)는 플라스틱(108)에 둘러싸인 한 쌍의 구리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설계는 작은 직경의 와이어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도체는 32 AWG 미만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직경은 34 AWG, 예컨대, 36 AWG 또는 40 AWG보다 작거나, 또는 더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은 임의의 수의 케이블 및/또는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에 리셉터클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사용하여 상이한 수의 케이블 및/또는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a 내지 200c)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8a는 보드에 2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a)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b는 보드에 4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c는 보드에 6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c)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도 7a 및 도 7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220) 및 플러그 커넥터(250)를 정합시키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9a 및 도 9b는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c 및 9d는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9f 및 9g는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에 삽입되고 고정될 때의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대안적인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9e는 단면(도 9c 및 도 9d의 X1-X1' 및 도 9f 및 도 9g의 X2-X2')을 표시하는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200)의 평면도이다.
도 9a, 도 9c 및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전방 단부는 삽입 방향(210)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14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방향(210)은 전기적 상호연결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설명된 삽입 방향(110)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방향(210)은 보드(202)에 대해 예각을 이룰 수 있는데,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전방 단부와 보드(202) 사이보다는 절연 와이어와 보드(202) 사이에서 더 큰 거리로 배향된 리셉터클 커넥터(220)로 플러그 커넥터(250) 내에 삽입되는 것의 결과이다. 각을 이룬 삽입은 리셉터클 커넥터(220)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플러그 하우징(270)의 특징부 아래로 연장될 수 있게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20)를 플러그 커넥터(250)에 부분적으로 고정시킨다.
플러그 단자는 삽입 방향(210)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도 9a에 도시된다(플러그 단자(252a)로 라벨링됨). 도 9a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70)은 리셉터클 하우징(230)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리세스(27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220)은 하나 이상의 전방 돌출 부분, 예컨대 전방 돌출분(240a 내지 240b)을 더 포함하며, 이 중 전방 돌출 부분(240a)이 도 9f에서 라벨링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2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후방이 플러그 하우징 내로 가압될 때 플러그 커넥터 상의 상보적인 특징부와 맞물리는 특징부를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그러한 특징부는 후방 근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특징부는 후방 측면 돌출 부분(240c 내지 240d)일 수 있으며, 그 중 후방 측면 돌출 부분(240d)이 도 9a에서 라벨링된다.
플러그 하우징(270)은 전방 수용 부분(284a 내지 284b)(그 중 전방 수용 부분(284a)이 도 9f에서 라벨링됨) 및 후방 측면 돌출 부분(282a 내지 282b)(이들 중 후방 측면 돌출 부분(282b)이 도 9a에서 라벨링됨)을 더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270)의 전방 수용 부분(284a 내지 284b)은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전방 돌출 부분(240a 내지 240b)을 각각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70)의 후방 측면 돌출 부분(282a 내지 282b)은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후방 하우징 돌출 부분(240c 내지 240d)과 각각 맞물리도록 위치될 수 있고, 플러그 하우징의 후방 벽을 형성하거나 그 일부일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70)의 후방 측면 돌출 부분(282a 내지 282b) 및 후방 측면 돌출 부분(240c 내지 240d)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250) 및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후방 단부에서 슬롯(276)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전방 돌출 부분(240a) 및 플러그 하우징(270)의 전방 수용 부분(284a)은 플러그 커넥터(250) 및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전방 단부 상에 각각 배치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의 리세스(272) 내에 삽입됨에 따라, 도 9f 및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돌출 부분(240a)은 전방 수용 부분(284a)에 진입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의 리세스(272) 내에 삽입되면,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후방은 보드(202)를 향해 방향(212)으로 회전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20)에 대한 회전 축은 플러그 하우징(270)의 전방 벽과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전방의 맞물림에 의해 확립될 수 있고, 삽입 방향(210)에 수직일 수 있다. 도 9b, 도 9d 및 도 9g는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방향(212)으로 회전된 후 플러그 커넥터(250)에 고정된 리셉터클 커넥터(220)를 도시한다.
플러그 하우징(170)은,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 내로 하강될 때 절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는, 플러그 하우징(270)의 후방 벽에 슬롯(276)을 가질 수 있다. 절연 와이어는 슬롯(276)을 통해 신장되고 연장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20)는 리셉터클 커넥터(220) 및 플러그 커넥터(250) 상의 특징부의 맞물림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250)는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후방이 플러그 커넥터(250) 내로 회전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220) 상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을 갖는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의 리세스(27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21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잠금 탭(254a 내지 254b)은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잠금 레지(242a 내지 242b)와 맞물릴 수 있으며, 그 중 잠금 레지(242b)가 도 9a에 도시된다.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잠금 레지(242a 내지 242b)은 플러그 커넥터(250)의 리세스(272)에 리셉터클 커넥터(2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잠금 탭(254a 내지 254b)의 유연성 부분(258a 내지 258b) 상에 래칭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70)의 후방 측면 돌출 부분(282a 내지 282b)은, 절연 와이어가 후방 방향으로 당겨질 때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리세스(272)의 후방 단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전방 돌출 부분(240a 내지 240b) 및 플러그 하우징(270)의 전방 수용 부분(284a 내지 284b)은 보드(202)로부터 멀어지게 상향 방향으로의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E는 도 8b 및 도 9a 내지 9g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10의 A는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230b)은 단자 랜스 슬롯을 더 포함하며, 그 중 단자 랜스 슬롯(238a)이 라벨링되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접점의 단자 랜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 또한 잠금 레지(242b)가 도시되며, 이는 리셉터클 커넥터(220b)가 플러그 커넥터(250b)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250b)의 잠금 탭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레지는 레지 위의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측벽의 평면에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또는 레지 아래의 측벽의 평면으로부터의 돌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레지는 레지 위의 벽 내로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잠금 레지(242b)의 바닥 측면은, 리셉터클 커넥터(220b)가 플러그 커넥터(250b)에 삽입될 때 잠금 탭 위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둥근 에지를 갖고, 잠금 레지(242b)의 상단 측면은, 리셉터클 커넥터(220b)가 플러그 커넥터(250b)에 고정되고 리셉터클 커넥터(220b)에 상방력이 가해질 때 상단 측면이 잠금 탭 위에서 부주의하게 글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도 10의 B는 와이어 커버(290b)가 리셉터클 하우징(230b)으로부터 제거된,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커버(290b)는 돌출부(292) 및 와이어 슬롯(294)을 포함한다. 돌출부(292)는 와이어 커버(290b)를 리셉터클 하우징(230b)에 고정시키기 위해 리셉터클 하우징(230b)의 측벽 상의 와이어 커버 슬롯(234)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슬롯(294)은 절연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와이어 커버(290b)가 제거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단자의 크림핑된 부분(예를 들어, 224a)이 절연 와이어를 홀딩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10의 C는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0의 C는 리셉터클 하우징(230b)의 전방 돌출 부분(240a 내지 240b) 및 후방 측면 돌출 부분(240c 내지 240d)을 도시한다. 도 10의 C는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230b)의 전방 벽에 있는 단자 슬롯을 도시하고, 그 중 단자 슬롯(236a)이 라벨링된다. 단자 슬롯은, 리셉터클 단자가 플러그 단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리셉터클 커넥터(220b)가 플러그 커넥터(250b)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250b)의 플러그 단자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10의 C는 또한 단자 랜스 슬롯를 도시한다. 도 10의 D는 리셉터클 하우징(230b)과 단자(222a)의 맞물림을 예시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의 D에서, 리셉터클 단자(222a)의 단자 랜스(226a 및 227a)는 리셉터클 하우징(230b)의 상단 표면 상의 단자 랜스 슬롯(238a) 내로 연장되어, 리셉터클 하우징(230b)으로부터의 단자(222a)의 철수를 차단한다.
도 10의 E는 절연 와이어(204b) 및 리셉터클 단자(222b)를 통한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E에 도시된 단면은, 크림핑된 부분(224b 및 225b)의 일부, 단자 랜스(226b) 중 하나, 및 접촉 부분(228b) 중 하나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222b)의 일 측면을 포함한다. 도 10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와이어는 전도체(예를 들어, 절연 와이어(204b)의 20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 및 도 12a와 도 12b는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리셉터클 단자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11a는 일부 구현예에 따른, 와이어 커버(290)가 제거된, 도 8b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분해도이다. 도 11b는 리셉터클 커넥터(220)의 절연 와이어(204) 및 리셉터클 단자(222a)의 사시도이다. 리셉터클 단자(222b)는 단자 랜스(226b 및 227b) 및 접촉 부분(228b 및 229b)을 포함한다. 단자 랜스(226b 및 227b)는 리셉터클 하우징(230)의 단자 랜스 슬롯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자 랜스(226b 및 227b)는 접촉 부분(228b 및 229b)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단자 랜스(226b 및 227b)는, 리셉터클 하우징(230b)에 리셉터클 단자(222b)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향으로 튀어 나와 리셉터클 하우징(230b)의 특징부와 맞물리도록, 상단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바이어스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와이어(204b)는 전도체(206b) 및 절연체(208b)를 포함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된 부분(224b)은 절연체(208b)를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크림핑된 부분들(225b)은 전도체(206b)를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림핑된 부분들(225b)은 전도체(206b)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도체(206b) 주위의 크림핑된 부분(225b)은 리셉터클 단자(222b)와 전도체(206b)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리셉터클 단자(222a 및 222b)의 크림핑된 부분(224a 및 224b)은 리셉터클 단자(222a 및 222b)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222a)의 크림핑된 부분(225a)은 리셉터클 단자(222b)의 크림핑된 부분(224b)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크림핑된 부분(224a)은 크림핑된 부분(225b)보다 더 넓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크림핑된 부분(224a 및 224b) 사이의 오프셋 및 크림핑된 부분(225b)에 인접한 크림핑된 부분(224a)의 위치는 리셉터클 단자의 조합된 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와이어 커버(290b)의 와이어 슬롯(294)은 리셉터클 단자(222a 및 222b)의 오프셋-위치된 크림핑된 부분(224a 및 224b)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접촉부(228b 및 229b)는 리셉터클 커넥터(220b)가 플러그 커넥터(250b)에 삽입될 때 플러그 커넥터(250b)의 플러그 단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접촉 부분(228b 및 229b)은,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합될 때 플러그 커넥터(250b)의 플러그 접촉부 상에 접촉력을 가하도록 유연할 수 있다. 접촉 부분(228a 및 229a)은 정합 계면에서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접촉부(228b 및 229b)를 0.06 mm만큼 변위시키는 것은, 리셉터클 커넥터(220)가 플러그 커넥터(250) 내로 낮춰질 때 절연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형상화될 수 있는 플러그 하우징(270)의 후방 벽의 슬롯(276) 및 접촉 부분(228b 및 229b) 상에 1,000 MPa의 압력을 가한다. 절연 와이어는 슬롯(276.d)을 통해 신장 및 연장될 수 있고, 0.59 N의 접촉력을 생성한다.
도 12a는 리셉터클 단자(222b)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b에 도시된 리셉터클 단자(222b)의 평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8b의 플러그 커넥터(250b)를 추가로 예시한다. 도 13a는 플러그 커넥터(250b)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a는 플러그 하우징(270b)의 후방 벽(271c) 내의 전방 수용 부분(284a), 후방 측면 돌출 부분(282a 내지 282b), 및 수용 슬롯(276), 및 플러그 하우징(270b)의 측벽 위에 배치된 잠금 탭(254a 내지 254b)을 도시한다. 도 13b는 도 7a 및 도 7b의 플러그 커넥터(250b)의 분해도이다. 도 13b에서, 플러그 단자 및 잠금 탭(254a 내지 254b)을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플러그 하우징(270b)의 단자 슬롯(274) 및 잠금 탭 슬롯(280a 내지 280b)을 도시하기 위해, 플러그 단자 및 잠금 탭(254a 내지 254b)이 플러그 하우징(270b)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3c는 플러그 단자(252b)를 관통하는 플러그 커넥터(250b)의 단면의 측면도이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탭(254a)은 결합 부분(256a 내지 256b) 및 유연성 부분(258)을 포함한다. 결합 부분(256a 내지 256b)은 플러그 하우징(270b)의 측벽(271a)의 측면에 걸쳐 접을 수 있고, 결합 부분(256a 내지 256b)의 슬롯 내로 연장되는 플러그 하우징(270b)의 측벽(271a)으로부터의 돌출부에 부착될 수 있다. 결합 부분(256a 내지 256b)은 각각 측벽(217a)의 2개의 측면에 걸쳐 들어맞는 U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유연성 부분(258)은 플러그 하우징(270b)의 리세스(272)와 정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연성 부분(258)은 플러그 커넥터(250b) 내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 커넥터(220b)에 대한 간극을 제공하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270b)의 측벽(예를 들어, 271b) 내로 가압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20b)가 삽입될 때, 유연성 부분(258)은 리셉터클 커넥터(220b) 상의 레지(242a 또는 242b)와 맞물리면서 스프링 백(spring back)될 수 있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유연성 부분(258)은 "M" 형상이다. M 형상은 플러그 하우징(270b) 내로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작 조건의 범위에 걸쳐 플러그 하우징(270b)으로부터의 리셉터클 커넥터(220b)의 부주의한 해제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유지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연성 부분(258)에 적절한 가요성/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구현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50b)의 잠금 탭(254a 내지 254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잠금 탭(254)의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탭(254)은 결합 부분(256a 및 256b) 및 유연성 부분(258)을 포함한다. 잠금 탭(254)은 보드(202)의 패드에 장착(예를 들어, 납땜)될 수 있는 장착 부분(260)을 더 포함한다. 유연성 부분(258)이 리셉터클 하우징(230b)의 잠금 돌출부와 맞물릴 때, 결합 부분(256a 및 256b)은 리셉터클 하우징(230b)을 플러그 하우징(270b)에 홀딩할 수 있고, 장착 부분(260)은 리셉터클 하우징(230) 및 플러그 하우징(270b)을 보드(202)에 홀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0.08 mm만큼 유연성 부분(258)을 변위시키는 것은 900 MPa의 압력을 가하고 2.7 N의 접촉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예에 대한 몇몇 양태가 이와 같이 설명되면, 다양한 변경, 수정 및 개선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착안될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구현예에서, 2개의 와이어는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종결된다. 당업자는 그러한 커넥터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은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종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를 갖는 커넥터가 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에 의해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와이어가 종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커넥터는 각각 단일 전도체로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를 종결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다른 구현예에서, 와이어는 동축 또는 쌍축 케이블과 같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절연 와이어(104a 및 104b) 또는 전기 케이블은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둘러싸는 다른 전도체(예를 들어, 접지 및/또는 차폐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와이어 커버는 커버를 제자리에 홀딩하기 위해 리셉터클 하우징과 맞물리는 특징부를 갖는 별개의 피스로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커버는 와이어 주위에 삽입 몰딩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수정 및 개선은 본 개시의 일부로서 의도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장점이 나타났지만, 본 발명의 모든 구현예가 모든 설명된 장점을 포함하지는 않을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구현예는 본원 및 일부 경우에서 유리한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특징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단지 예시일 뿐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는 단독으로, 조합하여, 또는 전술한 구현예에서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다양한 배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적용에서 상기 설명에서 기술되거나 도면에 예시된 컴포넌트의 세부사항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설명된 양태는 다른 구현예에서 설명된 양태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가 제공되는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의 일부로 수행된 동작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순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구현예에서 순차적인 동작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동작이 예시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고, 이는 일부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구현예가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요소를 수정하기 위해 청구항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서수 용어의 사용은 하나의 청구항 요소의 다른 것에 대한 임의의 우선순위, 선호도 또는 순서 또는 방법의 동작이 수행되는 시간적 순서를 자체로 함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청구항 요소을 구별하기 위해 특정 이름을 갖는 하나의 청구항 요소를 동일한 이름을 갖는(그러나, 서수 용어를 사용함)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라벨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정의되고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든 정의는 사전적 정의, 참조로 통합된 문헌의 정의 및/또는 정의된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정 관사 "a" 및 "an"은 반대로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요소의 목록을 참조한 어구 "적어도 하나"는, 요소의 목적 내의 요소 중 임의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요소의 목록 내에 구체적으로 나열된 각각의 모든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요소의 목록 내의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의는 또한, 어구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요소의 목록 내에서 구체적으로 식별된 요소 이외의 요소가, 구체적으로 식별된 그러한 요소와 관련되든 무관하든,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어구 "및/또는"은 이렇게 결합된 요소, 즉 일부 경우에는 결합적으로 존재하고 다른 경우에는 분리적으로 존재하는 요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으로 나열된 다수의 요소는 동일한 방식으로, 즉, 그렇게 결합된 요소 중 "하나 이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및/또는" 절에 의해 구체적으로 식별된 요소 이외의 다른 요소가, 구체적으로 식별된 그러한 요소와 관련되든 무관하든, 선택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포함하는"과 같은 개방형 언어와 함께 사용될 때 "A 및/또는 B"에 대한 참조는 일 구현예에서, 오직 A(선택적으로 B 이외의 요소를 포함함); 다른 구현예에서, 오직 B(선택적으로 A 이외의 요소를 포함함); 또 다른 구현예에서, A 및 B 둘 모두(선택적으로 다른 요소를 포함함);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및/또는"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목록에서 항목을 구분할 때 "또는" 또는 "및/또는"은 포함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데, 즉, 요소의 수 또는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하나 초과, 및 선택적으로 추가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오직 이와 반대로 명시적으로 표시된 용어, 예를 들어 "~ 중 오직 하나" 또는 "~ 중 정확히 하나" 또는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이루어진"은 요소의 수 또는 목록 중 정확히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지칭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또는"은 오직, "어느 하나", "~ 중 하나", "~ 중 오직 하나", 또는 "~ 중 정확히 하나"와 같은 배타적 용어가 후술될 때에만 배타적인 대안(즉, "둘 모두가 아닌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을 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청구항에서 사용될 때 "본질적으로 이루어진"은 특허법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including, comprising)" 또는 "갖는(having)," "함유하는(containing)", "수반하는(involving)" 및 이들의 변형의 사용은 그 앞에 나열된 항목 및 이들의 균등물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7)

  1. 제2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으로서, 상기 개구는 적어도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1 벽 및 제2 벽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1 벽은 상기 제2 커넥터로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벽은 상기 제1 벽을 가로지르는 것인 절연 하우징;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제1 벽에 부착되고 상기 개구 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 및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제2 벽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개구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커넥터 상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유연성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
    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분은 상기 제2 커넥터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제2 커넥터로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의 상기 개구는 바닥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바닥 표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 부분은 상기 제2 커넥터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은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상기 절연 하우징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 후면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 벽은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개구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및/또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위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위에 들어맞는 U-형상 결합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은 유연성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제1 측벽의 제1 및 제2 대향 측면 주위에 배치된 제1 잠금 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의 제2 측벽의 제1 및 제2 대향 측면 주위에 배치된 제2 잠금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상기 개구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탭은 상기 결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기판의 표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단자는 블레이드 접점(blade contact)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1 밀리미터(mm) 또는 그 미만의 적층 높이를 갖는, 전기 커넥터.
  12. 제2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개구의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커넥터와 맞물리기 위한 제1 보유 특징부 및 상기 개구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커넥터를 맞물리기 위한 제2 보유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인 절연 하우징;
    상기 절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 및
    상기 절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개구 내에 있을 때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커넥터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에 부착된 결합 부분, 만곡된 부분, 및 상기 만곡된 부분을 상기 결합 부분에 연결하는 세장형 부분을 포함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부재의 상기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은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부분은 상기 제2 개구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만곡된 부분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만곡된 부분이 압축될 때,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만곡된 부분의 코너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전기 커넥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유 특징부는 각각, 상기 제2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돌출 부분과 맞물 상호잠금하도록 구성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단자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에 위치되고;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커넥터의 이동을 방해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개구 내로의 상기 제2 커넥터의 삽입 시에 상기 제2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위치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도성 단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의 표면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분리되는, 전기 커넥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1 및 제2 대향 측면에 부착된 제1 및 제2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면은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단자는 상기 제1 및 제2 대향 측면과 상이한,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3 측면에 부착되는, 전기 커넥터.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도성 단자는 상기 개구의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1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절연 하우징은 상기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에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리세스된 영역 내로의 상기 제2 커넥터의 삽입 시에 상기 제2 커넥터에 결합된 복수의 전기 전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케이블 및/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3. 제12항의 전기 커넥터,
    상기 제1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복수의 전도성 단자; 상기 제1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지지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종결되고 상기 제2 복수의 전도성 단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전기 전도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4. 케이블 커넥터를 보드 커넥터와 정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보드 커넥터의 리세스 내로 삽입하는 단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스프링 힘을 가하는 것;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
    에 의해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상기 보드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힘을 가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상기 보드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과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상기 보드 커넥터의 리세스 내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보드 커넥터의 슬롯에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결합된 전기 전도체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체를 수용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02710A 2019-07-01 2020-07-01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KR20220020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9511P 2019-07-01 2019-07-01
US62/869,511 2019-07-01
PCT/IB2020/000567 WO2021001688A1 (en) 2019-07-01 2020-07-01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989A true KR20220020989A (ko) 2022-02-21

Family

ID=7406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2710A KR20220020989A (ko) 2019-07-01 2020-07-01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4358B2 (ko)
JP (1) JP2022538502A (ko)
KR (1) KR20220020989A (ko)
CN (1) CN114072971A (ko)
TW (1) TW202118157A (ko)
WO (1) WO2021001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410B2 (ja) * 2019-08-02 2022-05-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N113451808B (zh) * 2020-03-26 2024-01-3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端子
CN111555067B (zh) * 2020-04-15 2022-03-04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连接器
JP2022175488A (ja) * 2021-05-13 2022-1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ケーブル
DE102021122329A1 (de) 2021-08-30 2023-03-02 Md Elektronik Gmbh Verbinder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Leiterplatte mit zumindest einem Leite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6783B2 (ja) 2000-07-14 2003-03-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796825B2 (en) * 2002-10-17 2004-09-28 Speed Tech Corp. Electrical connector for attaching a circuit board
TWM249287U (en) * 2003-12-19 2004-11-01 Molex Taiwan Ltd Card edge connector
JP4115983B2 (ja) 2004-11-01 2008-07-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ブレードコンタクト
JP4020907B2 (ja) 2004-11-01 2007-12-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4328709B2 (ja) 2004-11-01 2009-09-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7156678B2 (en) 2005-04-07 2007-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inted circuit connector assembly
JP4889243B2 (ja) * 2005-06-09 2012-03-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装置
JP4605785B2 (ja) 2005-11-30 2011-0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M296515U (en) * 2006-03-21 2006-08-21 Molex Taiwan Ltd Card edge connector
JP4917448B2 (ja) * 2007-02-02 2012-04-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425316B2 (ja) 2007-06-29 2010-03-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9181769A (ja)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CN201440511U (zh) 2009-03-05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72174B2 (ja) 2009-04-16 2012-07-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385022B2 (ja) 2009-06-16 2014-01-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
CN201773985U (zh) * 2010-05-19 2011-03-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CN201887188U (zh) * 2010-06-08 2011-06-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JP5774402B2 (ja) * 2011-07-25 2015-09-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一対の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US9240653B2 (en) 2012-03-27 2016-01-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Wire-to-board connector
JP6058355B2 (ja) 2012-07-19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03726B2 (ja) 2012-12-27 2016-04-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6251500B2 (ja) 2013-06-27 2017-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TWI489697B (zh) * 2013-08-09 2015-06-21 Wistron Corp 線對板連接器組合及其板端連接器
JP6249676B2 (ja) 2013-08-21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TWM470405U (zh) 2013-09-27 2014-01-11 Bellwether Electronic Corp 電連接器
CN103811942B (zh) 2014-02-07 2018-01-1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
US9306325B2 (en) * 2014-03-18 2016-04-05 Cho-Yao Cheng Plug, socket and their combined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or
JP6254542B2 (ja) 2015-02-10 2017-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6534829B2 (ja) 2015-02-26 2019-06-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CN106299805B (zh) 2015-05-18 2019-02-12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6483038B2 (ja) 2016-01-22 2019-03-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と実装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JP6594248B2 (ja) 2016-04-04 2019-10-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源コネクタ装置
CN206004039U (zh) 2016-08-04 2017-03-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8157A (zh) 2021-05-01
US11374358B2 (en) 2022-06-28
WO2021001688A1 (en) 2021-01-07
CN114072971A (zh) 2022-02-18
JP2022538502A (ja) 2022-09-02
US20210006012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0989A (ko) 낮은 높이를 갖는 와이어-보드 커넥터
JP6096323B2 (ja) 双方向掛け止め
US735429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US10063006B2 (en) Wire mount electrical connector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US8043114B2 (en) Reduced-height wire to board connector
EP051099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e terminals
US7591661B2 (en) Connector
EP0561405A1 (en) Hybrid input/output connector having low mating force and high cycle life and contacts and latching system therefor
US7112089B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09027524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N111193125A (zh) 连接器
US20070155227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258788A (zh) 带有锁定机构的电连接器插座
CN113078510A (zh) 连接器组件
EP1548894B1 (en) A connector
CA2571702A1 (en)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EP053096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bus bars
US6629853B2 (en) Self-aligning power connector system
EP2028729A1 (en) Connector for jack
US6217352B1 (en)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dual biased contact pins
TWM249260U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retention means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CN210111175U (zh) 电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