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616A -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616A
KR20140078616A KR1020147006185A KR20147006185A KR20140078616A KR 20140078616 A KR20140078616 A KR 20140078616A KR 1020147006185 A KR1020147006185 A KR 1020147006185A KR 20147006185 A KR20147006185 A KR 20147006185A KR 20140078616 A KR20140078616 A KR 2014007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product
alkali metal
metal fluoride
imide salt
thio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1480B1 (ko
Inventor
아츠시 후쿠나가
신지 이나자와
고지 닛타
쇼이치로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8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 C01B21/086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containing one or more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3/00Compounds of sodium or potassium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설파민산, 할로겐화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의 혼합물을 가열 반응시켜 제1 중간 생성물을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중간 생성물을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와 반응시켜 제2 중간 생성물을 생성한다. 그 후, 상기 제2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극성 용매에서 반응시켜 목적 생성물 MN(SO2F)2(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임)을 얻는다.

Description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IMIDE SALT}
본 발명은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에 첨가되는 지지염으로서 LiN(SO2F)2 등의 이미드염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용융염 전지의 전해질로서, KN(SO2F)2 또는 NaN(SO2F)2, 또는 이의 혼합물이 주목받고 있다.
KN(SO2F)2 및 KN(SO2F)2의 제조 방법은 하기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에서는, 요소와 플루오로술폰산을 반응시켜 HN(SO2Cl)2를 생성한 후, 이것과 KF를 니트로메탄 또는 디클로로메탄 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KN(SO2F)2를 생성한다.
그런데, LiN(SO2F)2, KN(SO2F)2, NaN(SO2F)2 등을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이미드염을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간단하게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원료로부터 목적 생성물을 얻을 때까지 여러 공정이 필요하고, 또한 불소화 반응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비특허문헌 1: Z. Anorg. Allg. Chem, 2005, 631, p. 55-5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드염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MN(SO2F)2 (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임)으로 표시되는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설파민산, 할로겐화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의 혼합물을 가열 반응시켜 제1 중간 생성물을 생성하는 제1 공정;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미반응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무용매로 가하여 반응시켜 제2 중간 생성물을 생성하는 제2 공정; 및 제2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극성 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이미드염을 생성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 중에서 HN(SO2X1)(SO2X2) (여기서,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소를 나타냄; 이하, 동일한 내용이 적용됨)와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반응시켜 알칼리 금속 이미드염을 얻는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가 디클로로메탄에 실제로 불용성이어서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의 농도를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반응 속도는 느리다.
한편, HN(SO2X1)(SO2X2)와 알칼리 금속 불화물의 반응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알칼리 금속 불화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용매 중에서 반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 불화물의 용매인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반응을 행하더라도 반응 속도가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알칼리 금속 불화물은 물에 매우 잘 용해되기 때문에 물을 용매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HN(SO2Cl)2가 가수분해되기 때문에 물을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이것을 고려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하였다:
먼저, 설파민산, 할로겐화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의 혼합물을 가열 반응시켜 제1 중간 생성물을 얻는다. 제1 중간 생성물에는 HN(SO2X1)(SO2X2)이 포함된다.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목적 생성물인 MN(SO2F)2를 얻는 통상의 수단은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HN(SO2X1)(SO2X2)를 단리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HN(SO2X1)(SO2X2)의 단리를 행하지 않고, 대안적으로, 제1 중간 생성물에 남아 있는 염화티오닐 등을 제거하여, 다음 단계를 행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방법이라도 목적 생성물의 수율은 거의 저하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HN(SO2X1)(SO2X2)를 포함하는 제1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무용매로 반응시킴으로써, 할로겐 원소의 하나가 불소로 치환되고 단시간에 반응이 완료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무용매로 반응시킨다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되던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반응을 의미한다.
셋째, 제2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2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극성 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목적 생성물 MN(SO2F)2를 얻을 수 있으며, 이 합성 방법은 종래의 합성 방법과 비교하여 반응 시간이 단축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를 고려하여,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으로 목적 생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즉, 설파민산, 할로겐화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을 반응시켜 제1 중간 생성물을 생성한다.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미반응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첨가한 후에 극성 용매를 첨가하여, 목적 생성물 MN(SO2F)2를 얻는다. 이 방법에 따르면, 종래 방식과 비교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단시간 내에 목적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제1 단계에서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HN(SO2X1)(SO2X2)를 단리하지 않기 때문에, 공업적 관점에서 HN(SO2X1)(SO2X2)의 단리를 위한 증류 설비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 방법은 목적 생성물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공정에서, 제1 중간 생성물에 포함되는 HN(SO2X1)(SO2X2)의 할로겐 원소 중 하나가 불소에 의해 치환되며, 다른 할로겐 원소는 제3 공정에서 불소로 치환된다. 2단계의 할로겐 원소의 불소화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2 공정에서 HN(SO2X1)(SO2X2)를 알칼리 금속염으로 변환시켜, 가수분해 가능한 HN(SO2X1)(SO2X2)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제3 공정에서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가 매우 잘 용해되는 물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즉,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에 의한 HN(SO2X1)(SO2X2)의 불소화 공정을, 소정의 용매에서 행하는 대신에 상기 개시한 바와 같은 2 단계로 행하면, HN(SO2X1)(SO2X2)의 가수분해를 억제하고 HN(SO2X1)(SO2X2)의 불소화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미드 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공정에서 반응시키는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의 양은 제1 중간 생성물에 대하여 몰량으로 과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정에서, 알칼리 금속 불화물의 첨가량은 제1 중간 생성물의 양에 대하여 몰량으로 과량이다. 이에 의해 출발 설파민산으로부터 얻어지는 중간 생성물 (HN(SO2X1)(SO2X2)) 대부분을 불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미반응된 HN(SO2X1)(SO2X2)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목적 생성물의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3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3 중간 생성물로부터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로부터 용매 추출에 의해 이미드염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SO2F)2로 표시되는 이미드염과 중간 생성물인 염 및 산은 소정 용매에 있어서의 용해도가 다르다. 따라서, 목적 생성물 MN(SO2F)2은 용매 추출법에 의해 중간 생성물로부터 분리된다.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반응시키기 전에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HN(SO2X1)(SO2X2)는 물과 반응하여 가수분해하여, 부생성물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가수분해에 의한 부생성물의 발생이 감소된다.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극성 용매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는,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보다 프로톤성 극성 용매에서의 용해도가 더 높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공정에서 기체의 발생이 정지된 후에 제2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공정에서, 염화티오닐과 설파민산의 반응으로 이산화황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산화황의 발생의 정지는, 설파민산의 반응이 종료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황의 발생이 정지되면 다음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로 인해, 미반응된 설파민산의 양이 감소되어, 수율이 증가된다.
도 1은 KN(SO2F)2 생성의 반응식으로서, 각 공정의 중간 생성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를 참조하여, KN(SO2F)2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제1 공정에서, 염화티오닐(SOCl2)을 설파민산(NH2-SO2OH) 및 클로로술폰산(HSO3Cl)과 혼합하여 반응시킨다. 염화티오닐(SOCl2)은 설파민산(NH2-SO2OH)에 대한 염소 공여체로서 작용한다. 이 반응에 의해 제1 중간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제1 중간 생성물은 HN(SO2Cl)2을 포함한다.
제1 공정의 생성물에는 HN(SO2Cl)2 뿐 아니라 이산화황, 염산, 황산 및 질산등의 부생성물이 포함된다. 질산 생성량은, 염산 및 황산의 생성량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설파민산이 HN(SO2Cl)2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중간 생성물 중 HN(SO2Cl)2 이외의 물질은 본원에서 제1 부생성물이라고 한다. 제1 부생성물에는 미반응되어 잔존하는 염화티오닐 등도 포함된다.
제2 공정에서는,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과잉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불화칼륨(KF)을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이에 의해 KN(SO2F)(SO2Cl)이 얻어진다. 이 반응에서, HN(SO2Cl)(SO2Cl)의 염소 원자 중 하나는 불소로 치환되고, 나머지 염소는 치환되지 않는다. 황산, 염산 및 질산은 불화칼륨과 반응하여 염을 형성한다. 불화칼륨의 양은 몰량으로 제1 중간 생성물의 양에 비하여 과량이다. 제2 공정으로부터의 생성물은 제2 중간 생성물이라 하며, 제2 중간 생성물 중 KN(SO2F)(SO2Cl) 이외의 다른 물질은 제2 부생성물이라고 한다.
제3 공정에서, 제2 중간 생성물에 물을 가하여 KN(SO2F)(SO2Cl)과 불화칼륨(KF)을 반응시켜 KN(SO2F)2을 생성한다. 제3 공정에서의 생성물을 제3 중간 생성물이라 하며, 제3 중간 생성물 중 KN(SO2F)(SO2Cl) 이외의 물질을 제3 부생성물이라고 한다.
<실시예 1>
(제1 공정)
설파민산, 클로로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을 불활성 분위기에서 1.0 : 1.0 : 2.4의 몰비로 혼합하고, 환류 하에 가열한다. 온도는 130℃이다.
설파민산과 클로로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의 반응으로 HN(SO2Cl)2가 생성된다. 또한, 이 반응으로 이산화황, 황산 및 염산을 포함하는 부생성물이 생성된다. 이산화황은, 염화티오닐과 설파민산의 반응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이산화황의 발생은 반응의 지속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산화황 발생이 정지될 때까지 계속 가열한다.
반응 완료 후에, 반응계에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염화칼슘관을 반응계의 증기 배출구에 부착하고, 반응계 전체를 냉각한다. 이에 따라 수분의 침입에 의한 HN(SO2Cl)2의 가수분해가 억제된다.
(제2 공정)
제1 중간 생성물을 감압(650 Pa 이하) 하에 소정 시간 정치하여,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염화티오닐(SOCl2)을 제거한다. 이 공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실시된다. 염화티오닐(SOCl2)은 물과 심하게 반응하는 반면, 후속 공정에서는 물을 첨가해야 한다. 잔존하는 염화티오닐(SOCl2)은, 물과 반응하여 전체 반응계를 제어할 수 없게 한다.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과잉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해당하는 중간 생성물(이하, 중간 생성물 A라 함)을 무용매로 불화칼륨(KF)과 반응시킨다. 구체적으로, 미리 건조한 불화칼륨(KF) 분말에 중간 생성물 A를 적하함으로써 반응을 실시한다. 첨가시, 불화칼륨(KF)이 HN(SO2Cl)2과 반응하여 KN(SO2F)(SO2Cl)를 생성한다. HCl은 부생성물로서 발생한다. HCl 발생이 정지되거나 열 발생이 정지되면 반응이 완료된다.
불화칼륨(KF)과 중간 생성물 A의 반응을 용매 존재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HN(SO2Cl)2의 가수분해 때문에 물은 용매로서 이용할 수 없다. 물 이외의 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지만, 물 이외의 극성 용매에서 불화칼륨(KF)의 용해도가 낮아서, 불화칼륨(KF)과 제1 중간 생성물의 반응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불화칼륨(KF)과 제1 중간 생성물의 반응을 무용매로 수행하기 때문에 반응 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불화칼륨(KF)의 양은 몰량으로 중간 생성물 A의 양에 비하여 과량이다. 대안적으로, 불화칼륨(KF)의 양을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불화칼륨(KF)의 첨가량은 HN(SO2Cl)2의 거의 전량을 KN(SO2F)2로 변환하고 부생성물인 황산 및 염산의 거의 전량을 염으로 변환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이다.
제3 공정에서의 반응을 고려하여 불화칼륨의 양을 매우 과량으로 한다. 즉, 제3 공정에서 물에 용해되는 불화칼륨의 양을 고려하여 불화칼륨(KF)의 첨가량을 결정한다. 따라서, 제3 공정에서 불화칼륨(KF)의 재첨가를 피할 수 있다.
(제3 공정)
제3 공정에서, 제2 중간 생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KN(SO2F)(SO2Cl)과 불화칼륨(KF)을 반응시킨다. 그 다음, 이 용액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한다. 실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용액을 교반할 수 있다. 이 처리에 의해 KN(SO2F)2가 생성된다.
(제4 공정)
제4 공정에서는 제3 공정에서 얻은 제3 중간 생성물로부터 KN(SO2F)2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제3 중간 생성물을 감압시켜 물을 제거한다. 따라서, 불화칼륨(KF), 염화칼륨(KCl), 황산칼륨(K2SO4), 질산칼륨(KNO3) 및 KN(SO2F)2 의 혼합 분말(건조물)이 얻어진다.
그 다음, 이들 염을 에탄올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또는 헥산을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액을 얻는다. 불화칼륨(KF), 염화칼륨(KCl), 황산칼륨(K2SO4) 및 질산칼륨(KNO3)은 이 혼합액에 용해되는 반면, KN(SO2F)2는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혼합액으로부터 KN(SO2F)2가 석출된다. 혼합액을 여과 또는 원심 분리함으로써, KN(SO2F)2를 분리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KN(SO2F)2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절차로 얻어진 KN(SO2F)2의 수율은 설파민산을 기준으로 90%였다. 제4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19F-NMR로 분석하여 수율을 구했다. 제4 공정에서 얻은 생성물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F-는 0.17 ppm, Cl-은 0.1 ppm 미만, SO4 2-는 0.19 ppm, K+는 1.5 ppm이었다. 따라서, 상기 제조 방법으로 KN(SO2F)2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출발 물질인 설파민산, 플루오로술폰산 및 염화티오닐로부터 KN(SO2F)2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클로로술폰산 대신에 플루오로술폰산을 이용하였다.
제1 공정에서는, 설파민산, 플루오로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을 반응시켜 HN(SO2Cl)(SO2F)를 얻는다. 즉, 실시예 1의 제2 공정 중에 생성되는 물질이 이 공정에서 얻어진다. 이것은, 설파민산의 OH기가 염소로 치환되어 얻어지는 중간체가 플루오로술폰산과 술폰화 반응하기 때문일 수 있다.
제2 공정에서, 제1 공정에서 얻어진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과잉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불화칼륨(KF)을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이에 의해, 부생성물, 즉 황산 및 염산의 거의 전량이 염으로 전환된다.
제3 공정에서, 제2 공정의 제2 중간 생성물에 물을 첨가한다. 이에 따라 KN(SO2F)2가 생성된다. 제4 공정에서는, 제3 공정의 제3 중간 생성물로부터, KN(SO2F)2을 추출한다.
<MN(SO2F)2의 생성>
KN(SO2F)2 이외의 MN(SO2F)2(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임)를 얻기 위해서는, 제2 공정에서 첨가되는 알칼리 금속 불화물을 목적 생성물에 상응하는 금속 불화물로 한다. 구체적으로, LiN(SO2F)2를 얻기 위해서는 LiF를 사용한다. NaN(SO2F)2를 얻기 위해서는 NaF를 이용한다. RbN(SO2F)2를 얻기 위해서는 RbF를 사용한다. CsN(SO2F)2를 얻기 위해서는 CsF를 이용한다.
MN(SO2F)2의 제조 방법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공정 내지 제4 공정으로 MN(SO2F)2가 제조된다. MN(SO2F)2의 제조시, 제1 공정에서 클로로술폰산(HSO3Cl) 대신에 플루오로술폰산(HSO3F)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설파민산, 할로겐화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의 혼합물을 가열한다. 제1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과잉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다음에, 제2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2 중간 생성물을 물과 반응시킨다. 이에 의해 MN(SO2F)2(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임)가 얻어진다. 이 방법에 따르면, 종래 방법과 비교하여 단시간 내에 MN(SO2F)2를 합성할 수 있다.
(2) 제2 공정에서 반응시키는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의 양은 제1 중간 생성물의 양에 비해 몰량으로 과량이다. 이에 의해, 미반응된 HN(SO2X1)(SO2X2)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목적 생성물의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제3 공정에서 얻어지는 제3 중간 생성물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건조물을 얻고, 이후 용매 추출하여 건조물로부터 목적 생성물을 분리한다. 용매 추출에 이용되는 용매는 에탄올 및 디클로로메탄이다. 대안적으로, 에탄올과 헥산을 이용할 수도 있다. MN(SO2F)2는 에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에서 실질적으로 불용인 반면, MN(SO2F)2 이외의 제3 중간 생성물, 즉 황산칼륨, 염화칼륨, 불화칼륨 등은 에탄올 및 디클로로메탄 중 어느 하나, 또는 에탄올 및 헥산 중 어느 하나에 용해된다. 이러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면, 목적 생성물 MN(SO2F)를 추출할 수 있다.
(4) 제1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MF)을 반응시키기 전에 알칼리 금속 불화물(MF)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을 제거하는 이 처리는 물과의 반응에 의한 HN(SO2X1)(SO2X2)의 가수분해를 억제한다.
(5) 제3 공정에서, 제2 중간 생성물의 건조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MF)의 반응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서 프로톤성 극성 용매인 물을 사용한다. 알칼리 금속 불화물(MF)은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에서보다 프로톤성 극성 용매에서 더 잘 용해된다. 따라서, MN(SO2X1)(SO2F)와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6) 제1 공정에서의 기체 발생의 정지 후에 제2 공정을 실시한다. 제1 공정에서, 염화티오닐과 설파민산이 반응하여 이산화황이 발생한다. 이산화황 발생의 정지가 다음 공정으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미반응된 설파민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체 발생 또는 기체 발생의 정지를 압력계나 유량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양태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 제3 공정에서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인 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 및 MN(SO2X1)(SO2F)를 용해시키는 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대신에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양태에 있어서, 염화티오닐(SOCl2), 설파민산(NH2-SO2OH) 및 클로로술폰산(HSO3Cl)을 제1 공정에서 혼합하여 반응시켰다. 그러나, 이들 반응물을 수 단계에서 혼합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어, 설파민산(NH2-SO2OH)을 먼저 염화티오닐(SOCl2)과 반응시킨다. 화합물들을 충분히 반응시킨 후에, 여기에 클로로술폰산(HSO3Cl)을 혼합하고 가열한다. 이 절차에 따라서, 제1 공정의 목적 생성물인 HN(SO2Cl)2을 또한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MN(SO2F)2(여기서, M은 알칼리 금속임)로 표시되는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으로서,
    설파민산, 할로겐화술폰산 및 염화티오닐의 혼합물을 가열 반응시켜 제1 중간 생성물을 생성하는 제1 공정;
    상기 제1 중간 생성물로부터 미반응의 염화티오닐을 제거한 것에 무용매로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첨가 반응시켜, 제2 중간 생성물을 생성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제2 중간 생성물과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극성 용매에서 반응시켜 이미드염을 생성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 반응시키는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의 양은 상기 제1 중간 생성물의 양에 대하여 몰량으로 과량인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에서 얻어진 제3 중간 생성물로부터 극성 용매를 제거하여 얻은 건조물로부터 용매 추출에 의해 이미드 염을 분리하는 것인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 생성물과 상기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를 반응시키기 전에, 알칼리 금속 불화물 MF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것인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용매는 프로톤성 극성 용매인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 기체 발생이 정지된 후에 상기 제2 공정을 실시하는 것인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KR1020147006185A 2011-10-18 2012-09-25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KR101901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9128A JP5899789B2 (ja) 2011-10-18 2011-10-18 イミド塩の製造方法
JPJP-P-2011-229128 2011-10-18
PCT/JP2012/074552 WO2013058069A1 (ja) 2011-10-18 2012-09-25 イミド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616A true KR20140078616A (ko) 2014-06-25
KR101901480B1 KR101901480B1 (ko) 2018-09-21

Family

ID=4814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185A KR101901480B1 (ko) 2011-10-18 2012-09-25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2966B2 (ko)
JP (1) JP5899789B2 (ko)
KR (1) KR101901480B1 (ko)
CN (1) CN103889893B (ko)
WO (1) WO2013058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789B1 (ko) 2012-08-06 2017-05-22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비스(할로술포닐)아민의 제조 방법
CN105658572B (zh) * 2013-11-18 2017-09-19 日本曹达株式会社 二磺酰亚胺盐的颗粒或粉末及其制造方法
FR3014438B1 (fr) * 2013-12-05 2017-10-06 Rhodia Operations Procede de preparation d'un compose fluore et soufre et de ses sels en milieu aqueux
FR3020060B1 (fr) * 2014-04-18 2016-04-01 Arkema France Preparation d'imides contenant un groupement fluorosulfonyle
US10020538B2 (en) 2015-11-13 2018-07-10 Uchicago Argonne, Llc Salts for multivalent ion batteries
EP3489192A1 (en) * 2017-11-28 2019-05-29 Nippon Shokubai Co., Ltd.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composition
CN108275666B (zh) * 2018-01-25 2021-04-27 广州理文科技有限公司 一种双(氟磺酰)亚胺碱金属盐的制备方法
FR3081456B1 (fr) * 2018-05-23 2020-12-18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sel d'imides contenant un groupement fluorosulfonyle
FR3081720A1 (fr) * 2018-06-01 2019-12-06 Arkema France Procede de recuperation et/ou purification d'un sel de potassium du bis(fluorosulfonyl)imid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3452B2 (ja) 2000-01-31 2005-02-23 森田化学工業株式会社 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WO2009123328A1 (en) * 2008-03-31 2009-10-08 Nippon Shokubai Co., Ltd. Sulfonylimide sal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621783B2 (ja) * 2008-03-31 2011-01-26 株式会社日本触媒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046523A (zh) 2008-07-23 2011-05-04 第一工业制药株式会社 双(氟磺酰基)亚胺阴离子化合物的制备方法和离子对化合物
CN101747242B (zh) * 2008-11-28 2013-06-19 华中科技大学 双(氟磺酰)亚胺和(全氟烷基磺酰基氟磺酰基)亚胺碱金属盐的制备方法
JP5471045B2 (ja) * 2009-06-03 2014-04-16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イミド酸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8069A1 (ja) 2013-04-25
US9352966B2 (en) 2016-05-31
US20140241973A1 (en) 2014-08-28
CN103889893A (zh) 2014-06-25
JP2013087019A (ja) 2013-05-13
JP5899789B2 (ja) 2016-04-06
CN103889893B (zh) 2016-08-17
KR101901480B1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480B1 (ko) 이미드염의 제조 방법
KR101890787B1 (ko) 리튬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의 제조 방법
CN111498819B (zh) 制备含有氟磺酰基基团的酰亚胺
US8377406B1 (en) Synthesis of bis(fluorosulfonyl)imide
CN103347811B (zh) 氟磺酰亚胺铵盐的制造方法
JP5461401B2 (ja) ビス(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アニオン化合物の製造方法
CN104755418B (zh) 用于制备含有氟磺酰基基团的酰亚胺盐的方法
RU2655326C2 (ru) Получение гексафторфосфатной соли и пентафторида фосфора
JP2010280586A (ja) イミド酸塩の製造方法
JP6691740B2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7128427B2 (ja) 四フッ化硫黄の製造方法
JP6495041B2 (ja) ジハロリン酸アルカリ金属塩の製造方法およびジフルオロリン酸アルカリ金属塩の製造方法
JP4005174B2 (ja) 五フッ化リン及び五フッ化ヒ素の製法
NL2020683B1 (en) Production of lithium hexafluorophosphate
JP5672016B2 (ja) フッ素化合物の製造方法
JP5653130B2 (ja) ビス(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の製造方法
EP2945933B1 (en) Process for preparing 5-fluoro-1-methyl-3-difluoromethyl-1h-pyrazole-4-carbaldehyde
JPH02240056A (ja) メタンスルホニルフルオライドの製造方法
JP2012214464A (ja) N−スルフィニル−ペルフルオロアルカンスルホンアミ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