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944A -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상호 작용 패키징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상호 작용 패키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944A
KR20140077944A KR1020147011429A KR20147011429A KR20140077944A KR 20140077944 A KR20140077944 A KR 20140077944A KR 1020147011429 A KR1020147011429 A KR 1020147011429A KR 20147011429 A KR20147011429 A KR 20147011429A KR 20140077944 A KR20140077944 A KR 20140077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ble cover
section
exemplary
resistance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573B1 (ko
Inventor
펠몬트 이브스
Original Assignee
펠몬트 이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펠몬트 이브스 filed Critical 펠몬트 이브스
Publication of KR2014007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with outer strippable or release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dhesive Tapes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어떤 대상물을 위한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대상물에 부착되는(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의 수용면에 부착되는) 부착 섹션 및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는 자유 섹션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힘을 가함으로써 대상물로부터 부착 섹션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대상물에 부착된다. 저항 변화는, 예를 들면, 태브, 루프, 절첩부, 가변-강도 접착제 스트립, 조직 및/또는 박리 코팅을 채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을 포함하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은 대상물로부터 패키징 시스템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변화되는 특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상호 작용 패키징{REMOVABLE COVERING AND INTERACTIVE PACKAGING}
우선권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국제출원은 접착제 배킹된 물품을 위한 보호용 피복재 및 이것을 도포하는 방법(출원일: 2011년 10월 20일)에 관한 미국 특허 출원 61/549,317, 접착제 배킹된 물품을 위한 보호용 패키징에 관한 미국 특허 출원 No. 61/561,522(출원일: 2011년 11월 18일),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상호작용적 패키징에 관한 미국 특허 출원 No. 61/654,748(출원일: 2012년 6월 1일)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출원의 각각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인체를 포함하는 다른 대상물 상에 배치되고, 그곳에 접착제를 통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보호층(예를 들면, 밴드, 박막, 시트, 테이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제조 분야, 건설 분야, 의약 분야 및 기타 분야에서, 어떤 대상물의 표면 상에 손상 또는 외상, 노출(예를 들면, 산화를 유발하는 공기에의 노출), 오염(예를 들면, 병원체 또는 손으로 전달되는 오염물에 의한 오염), 또는 조발성 상호작용(예를 들면, 의도되지 않은 대상물에 대한 접착 또는 원하지 않는 정렬 상태로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막을 제공하기 위한 빈번한 요구가 있다. 또한 보호막은 2 개의 표면 사이의 계면의 정렬, 고착, 부착 또는 아니며 제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는 건축 대상물의 베이스 구조물, 타일 또는 절연층을 피복하기 위한 적층판 또는 베니어판의 적용, 고감도 전자 부품 상의 보호층의 적용 , 또는 탄성 밴드의 적용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자체는 비접착성 지지용 디바이스에 대한 일시적 고착의 수단으로서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보호되는 대상물 자체가 대상물을 다른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인 적용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접착층 상에 배치되고, 적용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접착성 대상물은 피복재가 제거되도록 그것의 의도된 적용 배향으로부터 선회 및 회전되어야 한다. 비보호 상태의 접착면을 이후에 정렬해 주어야 하므로 위치이상 또는 오용이 유발될 수 있다. 제거를 위한 피복재 노출의 프로세스는 접착될 표면의 효과적인 배치 및/또는 정렬을 방해할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가 이와 같은 조작에 관련되는 잠재적 문제점을 보여줄 수 있다. 접착 밴드의 적용에서, 전형적으로 밴드의 중앙(패드)에 인접하는 배킹(backing)의 파지용 태브가 접근될 수 있도록 또는 눈에 보일 수 있도록, 밴드의 하면(접착면)이 상방으로 선회되어야 한다. 피복재가 제거되면, 하면이 피부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밴드는 다시 180 도 선회되어야 하고, 이러한 재배향 중에 밴드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무심코 접착될 수 있고, 따라서 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피복재가 그 적용 과정 중에 초기에 일부만 제거된 경우, 밴드는 무심코 나머지 부착물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회전되어야 하고, 이것에 의해 다시 밴드의 요소가 밴드의 다른 부분에 접착될 가능성이 있고, 밴드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거나 밴드를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다. 피복재가 적용 전에 완전히 제거된 경우, 접착면이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어야 하고, 밴드의 중앙 패드의 오염 또는 상처에의 부착 전에 파지되었던 접착제 구역의 빈약한 접착의 우려가 있다. 밴드의 접착면의 파지 및 해방은 사용자가 장갑을 끼고 있는 경우에 특히 어렵다. 적용 전의 밴드 내에 탄력이 생성되도록 사용자가 밴드를 긴장 상태로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밴드 피복재를 제거하고 접착면을 사용자의 양손으로 파지해야 하므로, 이 경우도 디바이스의 멸균 또는 접착성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손의 기능이 제한된 환자의 경우, 예를 들면, 심한 관절염의 경우 또는 한 손이 부상으로 인해 기능 저하인 경우에, 피복재의 제거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밴드 패키징의 제거는 밴드의 준비 및 위치결정 단계에서 추가의 단계를 의미한다.
피복재를 제거할 때 수반되는 잠재적 문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는 평면에 장식용 피복재 또는 디바이스의 접착하는 것에서 설명될 수 있고, 이들 피복재는 강성을 가지거나(예를 들면, 베니어판)나 가요성을 가지거나(예를 들면, 탄성 시트나 직물 시트) 무관하다. 장식용 피복재 또는 디바이스가 강성을 가지는 경우, 장식용 피복재 또는 디바이스 상의 접착층은 접착면을 미리 정렬 상태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노출되어야 하고, 상호 부착될 디바이스(예를 들면, 장식용 피복재와 표면)가 접근할 때, 표면들이 오정렬된 배향으로 부주의하게 부착되기 쉽다. 이 경우, 장식용 피복재 또는 디바이스의 제거 및 재배치가 필요하고, 넓은 접착 면적이나 접착제의 고유 강도로 인해 접착 강도가 큰 경우, 접착된 표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장식용 피복재가 가요성을 갖는 경우, 피복재 제거 후의 동일한 정렬 문제에 직면하고, 또한 적용의 과정 중에 수정이 불가능한 절첩부가 생성될 수 있고, 접착된 표면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많은 다른 실시예가 존재하지만, 다른 표면에 부착될 하나의 디바이스의 정렬 및 배치를 도와줄 수 있는 피복재 또는 피복재 디바이스(예를 들면, 보호용 피복재)가 요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사하게, 이와 같은 피복재 디바이스 및 통합된 패키징의 조합은 디바이스 자체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 디바이스의 위치, 배향, 적용 및 사용을 제어하는 것을 도와 줄 수 있고, 배킹의 제거를 촉진할 수 있다. 이들 양자 모두의 사용 유형에서, 패키징 디바이스가 피복재 디바이스의 일체 부분으로서 기능하도록 또는 상기 피복재 디바이스의 적용을 촉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재료 및 폐기물이 감소될 수 있고, 사용의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물을 위한 실질적으로 평면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전형적으로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 대상물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 및 대상물에 부착되는 제 2 부착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부착 섹션 및 제 2 부착 섹션은 제 1 자유 섹션의 대향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전형적으로 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힘을 가함으로써 대상물로부터 제 1 부착 섹션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도록 충분히 가요성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된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대상물에 부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물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는 태브 섹션,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 및 대상물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을 포함하는, 대상물을 위한 실질적으로 평면의 착탈가능한 커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제 1 자유 섹션 및 제 2 자유 섹션은 제 1 부착 섹션의 대향 단부 및 태브 섹션의 동일 단부에 연결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전형적으로 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힘을 가함으로써 대상물로부터 제 1 부착 섹션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도록 충분히 가요성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된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대상물에 부착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적용을 촉진하도록 (예를 들면, 접착층 또는 협착 메커니즘을 통해)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상호작용하는 대상물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위한 패키징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패키징 시스템은 패키징 시스템의 대향 단부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대상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패키징 시스템은, 패키징 시스템이 대상물로부터 제거되는 것과 동시에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대상물로부터 제거되도록,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상호작용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패키징 시스템은 이 패키징 시스템이 대상물로부터 제거될 때 스토리(story)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관련되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패키징 시스템은 이 패키징 시스템이 대상물로부터 제거될 때 메시지나 정보를 나타내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의 요약, 뿐만 아니라 예시적 목적물 및/또는 이점, 및 본 발명이 완성되는 방식을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하는 도면에서 더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1 및 도 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1 및 도 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1 및 도 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거 단계에서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거 단계에서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제거 단계에서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7은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1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제거 단계에서 도 1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제거 단계에서 도 1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제거 단계에서 도 1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 및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제거 단계에서 도 24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대상물, 및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제거 단계에서 도 24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대상물, 및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제거 단계에서 도 2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대상물, 및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제거 단계에서 도 2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대상물, 및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4는 예시적 대상물, 접착층,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제거 단계에서 도 3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7은 제거 단계에서 도 3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8은 제거 단계에서 도 3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9는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3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40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1은 대상물 상에 위치된 도 4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적용 단계에서 도 4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4는 적용 단계에서 도 4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5는 표면에 적용된 도 4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6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7은 절첩 단계에서 도 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절첩 단계에서 도 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절첩된 상태로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내에 위치된 도 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0은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1은 도 50의 좌측 상에서 도시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2는 제거 단계에서 도 50의 좌측 상에서 도시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3은 도 50의 우측 상에서 도시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4는 제거 단계에서 도 50의 우측 상에서 도시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5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6은 제거 단계에서 도 55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7은 제거 단계에서 도 55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8은 제거 단계에서 도 55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9는 예시적 대상물, 접착층, 및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0은 접착층의 중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도 59 및 도 61의 좌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도 61의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그래프이다.
도 61은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2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3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4는 패키징 시스템의 중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도 63의 좌측 및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위해 63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로부터 도 62의 패키징 시스템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그래프이다.
도 65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내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6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7은 도 6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8은 제조 단계에서 도 6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9는 제조 단계에서 도 6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0a는 도 67-69에 도시된 단계에서 제조된 도 6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0b는 다른 제작 단계에서 도 70a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2는 도 7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3은 제조 단계에서 도 7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4는 제조 단계에서 도 7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5는 제조 단계에서 도 7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6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7은 제조 단계에서 도 7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8은 제조 단계에서 도 7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9는 제조 단계에서 도 7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0은 도 1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2는 제거 단계에서 도 8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3은 제거 단계에서 도 8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4는 제거 단계에서 도 8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5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6은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7은 제거 단계에서 도 86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8은 제거 단계에서 도 86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9는 제거 단계에서 도 86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0은 도8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86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1은 도8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86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2는 도8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86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93은 예시적 연장 섹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4는 다른 예시적 연장 섹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5는 대상물 및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부착되는 2 개의 예시적 연장 섹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6는 제조 단계에서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을 도시한다.
도 97은 제조된 도 96의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을 도시한다.
도 98은 제조 단계에서 다른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을 도시한다.
도 99는 제조된 도 98의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을 도시한다.
도 100은 제조 단계에서 다른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을 도시한다.
도 101는 제조된 도 100의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을 도시한다.
도 102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예시적 연장 섹션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3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내의 도 10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예시적 연장 섹션,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4는 제거 단계에서 도 10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예시적 연장 섹션, 대상물, 및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5는 제거 단계에서 도 10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예시적 연장 섹션, 대상물, 및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6은 제거 단계에서 도 10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예시적 연장 섹션, 대상물, 및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7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103의 패키징 시스템 및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08은 도 10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예시적 연장 섹션,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09는 예시적 연장 섹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0은 다른 예시적 연장 섹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1은 또 다른 예시적 연장 섹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2는 또 다른 예시적 연장 섹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3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내의 연장 섹션 및 대상물을 포함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4는 도 11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대상물, 및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5는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113의 패키징 시스템 및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16은 제조 단계에서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7은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8은 또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9는 또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0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1은 제거 단계에서 도 120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2는 다른 제거 단계에서 도 120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3은 또 다른 제거 단계에서 도 120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4는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5는 제거 단계에서 도 120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6은 다른 제거 단계에서 도 120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7은 제조 단계에서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8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9는 제조 단계에서 도 128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접착 스트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0은 제조 후에 구성된 도 12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접착 스트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1은 제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접착 스트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2는 제조 후에 구성된 도 13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접착 스트립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3은 변화된 접착 구역을 포함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4는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13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35는 변화된 접착 구역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6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도 13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37은 변화된 접착 구역을 포함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8은 제거 단계에서 도 137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9는 다른 제거 단계에서 도 137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0은 또 다른 제거 단계에서 도 137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1은 변화된 접착 구역을 포함하는 대상물에의 적용 전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2는 대상물에 적용된 도 14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3은 대상물로부터의 제거 단계에서 도 14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4는 대상물로부터의 다른 제거 단계에서 도 14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5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6은 도 14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7은 대상물로부터의 제거 단계에서 도 14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8은 대상물로부터의 제거 단계 및 대상물을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에서 도 14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49는 대상물로부터의 제거 단계 및 대상물을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에서 도 14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0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1은 도 15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2는 표면에의 적용을 위해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도 15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3은 표면에의 적용을 위해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을 표면에 적용하는 단계에서 도 15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4는 표면에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도 15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수용면(예를 들면, 접착층을 갖는 대상물)을 위한 착탈가능한 피복재(예를 들면,, 배킹 또는 배킹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수용면의 위치결정, 배향, 적용 및 사용 뿐만 아니라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를 촉진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적용 시 대상물에 의해 피복되는 수용면에 적용될 수 있는 접착제를 노출시키기 위해 대상물(예를 들면,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박리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관련된다.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구조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구조가 대상물에 가하는 박리에 대한 저항 레벨에 관련된다. 박리에 대한 저항은 전체 피복재의 최종 적용 전에 수용면 상에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적절한 배치를 허용하도록 박리 경로를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예를 들면, 배킹)의 섹션 또는 구조적 기구에 가해지는 박리 힘 벡터의 적용에 의해 보호된 디바이스 또는 대상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의 재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보호된 디바이스 및/또는 대상물은 전형적으로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사각형이고, 대칭이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평면이 아닌, 사각형이 아닌, 또는 대칭이 아닌 대상물,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패키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의 대상물,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패키징 시스템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더욱이, 매우 긴 대상물(예를 들면, 폭보다 상당히 긴 길이를 갖는 것)의 경우,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패키징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길이 방향 대신 대상물의 폭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시는 수용면에 가해질 보호층에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박리 강도의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많은 메커니즘의 사용을 포함한다. 이들 메커니즘의 각각은 임의의 소정의 디바이스 상에서 혼합 및 상호교환을 촉진한다. 연속층으로서 도시되는 특정 부분을 구비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개시가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임의의 층이 다중 부분을 포함하는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종종 이러한 개시는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박리되는 접착층을 말한다. 접착층은 착탈가능한 층 상에 유지된 상태(즉, 수용면에 접착제가 남지 않는 상태)에서 박리될 수 있고, 또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박리되고, 수용면 상에 접착층을 남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수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패키징 시스템의 양태가 설명된다. 본 설명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 또는 패키징 시스템의 단일 측면(예를 들면, 좌측이나 우측만)이 설명될 것이다. 착탈가능한 피복재 또는 패키징 시스템은,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 한 상호 좌우대칭상인 좌측 및 우측을 포함한다(즉, 좌측 및 우측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착탈가능한 피복재 또는 패키징 시스템의 단일 측면의 설명은 다른 측면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단일 측면의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패키징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패키징 시스템의 양태는 제거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후에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제거 단계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 사이의 부착 구역에 대체로 대응한다.
도 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 및 수용면(1002)을 가지는 대상물(100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일차적 태브(100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횡측 자유 섹션(1008), 및 대상물(1003)의 수용면(1002)에 부착되지 않는 이차적 태브(1007)(예를 들면, 횡측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를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는 또한 중앙 섹션(1005)(예를 들면, 부착 섹션) 및 수용면(1002)에 부착되는 횡측 섹션(1006)(예를 들면, 부착 섹션)을 포함한다.
도 2는 수용면(1002)이 접착층인 다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접착층(1002)은 대상물(1003) 또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와 대상물(100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이다. 도 3-6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 및 대상물(1003)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1003)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7에서, "단계 0"은 도 1 및 도 2에 대응하고; "단계 1"은 도 3에 대응하고; "단계 1B"는 도 4에 대응하고; "단계 2"는 도 5에 대응하고; "단계 3"은 도 6에 대응한다.
도 8은 도 1 및 도 2(즉, 단계 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 수용면(1002), 대상물(100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4(즉, 단계 1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1 및 도 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 수용면(1002) 및 대상물(100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6(즉, 단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1 및 도 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 수용면(1002) 및 대상물(100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단계 0 후에 정중선 이탈력의 적용을 요구하는 일차적 태브(1004)의 파지 단계가 이어진다. 단계 1은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힘을 요구한다. 단계 1B는 (예를 들면, 횡측 자유 섹션(1008)이 이차적 태브(1007)에 부착되는 경우에)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힘을 요구하거나, (예를 들면, 횡측 자유 섹션(1008)이 이차적 태브(1007)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전혀 힘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2 중에, 제거에 대한 전단 저항이 존재하지만, 이차적 태브(1007)는 노출된다. 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한다. 따라서, 이차적 태브(1007)는 제 2의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단계 3 중에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수용면에 적용되었을 때,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절첩부를 제공하고, 따라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양 평면의 일부가 수용면의 상이한 섹션에 부착되도록, 구성 및 배향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중앙 종단부는 수용면에 부착되지 않고,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인 박리 각도로 수용면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중앙 섹션을 박리하기 위한 일차적 태브로서의 기능을 한다. 동일한 힘 벡터로 90 도 내지 180 도 박리가 완성되면, 박리 각도는 중앙 섹션과 연속하는 횡측 섹션 내에서 더 높은 박리 저항을 갖는 0 도 박리 각도(전단)로 이행한다. 제 2 실시형태는 횡측 섹션과 연속되는 이차적 태브를 포함하고, 횡측 섹션에 가해지는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의 이차적 박리 각도를 허용하도록 수용면에 부착되지 않는다.
도 1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 및 수용면(1012)을 가지는 대상물(101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일차적 태브(101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제 1 자유 섹션(1017), 태브 섹션(1018), 및 대상물(1013)의 수용면(1012)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19)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는 또한 중앙 섹션(1015)(예를 들면, 부착 섹션) 및 수용면(1012)에 부착되는 횡측 섹션(1016)(예를 들면, 제 1 부착 섹션)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유 섹션(1017) 및 제 2 자유 섹션(1019)은 횡측 섹션(1016)의 대향 단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자유 섹션(1017) 및 제 2 자유 섹션(1019)은 태브 섹션(1018)의 동일한 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1 자유 섹션(1017), 제 2 자유 섹션(1019), 및 후자의 섹션(1016)은 태브 섹션(1018)에 연결되는 루프를 형성한다.
도 12-15는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 및 대상물(1013)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1013)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6에서, "단계 0"은 도 11에 대응하고; "단계 1"은 도 12 및 도 13에 대응하고; "단계 2"는 도 14에 대응하고; "단계 3"는 도 15에 대응한다.
도 17은 도 11(즉, 단계 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 수용면(1012), 대상물(101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4(즉, 단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도 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 수용면(1012) 및 대상물(101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단계 0 후에 정중선 이탈력의 적용을 요구하는 일차적 태브(1014)의 파지 단계가 이어진다. 단계 1은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힘을 요구한다. 단계 2의 초기 부분(즉,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으로부터 전단 박리 강도 저항으로의 변위)는 도 14에 도시된 배향에 도달된 후에 발생한다. 단계 2의 후기 부분(즉, 전단 안정기)은 당기는 힘이 주로 횡방향일 때 발생한다. 단계 3 중에, 루프는 수용면(1012)으로부터 해방된다.
루프를 포함하는 이와 같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에서, 180 도의 박리 강도 저항과 전단 박리 강도 저항 사이의 이동 정도는 태브 섹션(1018)과 루프의 접합점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자유 섹션(1017)은 수용면(1012)의 외연부에 더 근접하고(즉, 태브 섹션(1018)은 수용면의 중심으로부터도 루프에 연결된다), 제거에 대한 저항은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으로부터 전단 박리 강도 저항으로 더 신속하게 변위된다. 다시 말하면, 도 16에서 단계 2의 초기 부분 내에서 힘/저항 곡선의 기울기는 더 커질 것이다(즉, 더욱 급한 기울기가 됨).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수용면에 적용되었을 때,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루프를 한정하는 횡측 섹션을 제공하고, 따라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양 평면의 일부가 수용면의 상이한 섹션에 부착되도록, 구성 및 배향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횡측 섹션은 횡측 섹션의 비부착 표면을 따라 중앙 섹션과 연속된다. 횡측 섹션과 중앙 섹션 사이의 연결부는 횡측 섹션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중앙 종단부는 수용면에 부착되지 않고,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인 박리 각도로 수용면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중앙 섹션을 박리하기 위한 일차적 태브로서의 기능을 한다. 동일한 힘 벡터로 90 도 내지 180 도 박리가 완성되면, 박리 각도는 중앙 섹션과 연속하는 횡측 섹션 내에서 더 높은 박리 저항을 갖는 적어도 일부의 0 도 박리 각도(전단)로 이행한다. 힘 벡터를 증가시키고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박리 저항이 극복되고, 피복재는 수용면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9는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 1021B) 및 수용면(1022) 및 중앙 기구(1025)(예를 들면, 흡수 패드 또는 비접착성 표면)를 가지는 대상물(102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좌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는 태브 섹션(1028A), 제 1 자유 섹션(1027A), 및 대상물(1023)의 수용면(1022)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29A)을 포함한다. 좌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는 또한 수용면(1022)에 부착되는, 그리고 중앙 기구(1025)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횡측 섹션(1026A)을 포함한다.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B)는 태브 섹션(1028B), 제 1 자유 섹션(1027B), 및 대상물(1023)의 수용면(1022)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29B)을 포함한다.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B)는 또한 수용면(1022)에 부착되는 횡측 섹션(1026B)을 포함한다. 또한,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B)는 수용면(1022)에 부착되는, 그리고 중앙 기구(1025)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중앙 태브(1024B)를 포함한다.
좌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에 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유 섹션(1027A), 제 2 자유 섹션(1029A), 및 횡측 섹션(1026A)은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더욱 이 루프는 태브 섹션(1028A)에 연결된다.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B)에 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유 섹션(1027B), 제 2 자유 섹션(1029B), 및 횡측 섹션(1026B)은 연결되어 루프를 형성하고, 더욱 이 루프는 태브 섹션(1028B)에 연결된다. 루프는 또한 중앙 태브(1024B)에 연결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 1021B)의 태브 섹션(1028A, 1028B)은 상이한 위치에서 자체의 각각의 루프에 연결된다.
도 20-22는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 1021B)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피복재(1021A, 1021B)의 태브 섹션(1028A, 1028B)의 연결점은 제거 프로세스를 변경하고, 각각의 제거 단계에서 저항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접착되지 않은 중앙 섹션(예를 들면, 중앙 태브(1024B)은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인 박리 각도를 제공하기 위한 이차적 힘 벡터를 위한 태브가 되는 점인, 박리 저항이 전단력에 접근하는 횡측 섹션 상의 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루프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관련된다.
도 23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수용면(1032)을 포함하는 대상물(103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는 횡측 배킹 섹션(1034) 및 중앙 배킹 섹션(1035)을 포함한다. 중앙 배킹 섹션(1035)은 수용면(1032)에 부착되지 않는 중앙 태브(1035A) 및 수용면(1032)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35B)을 포함한다.
횡측 배킹 섹션(1034)은 제 1 자유 섹션(1036), 제 2 자유 섹션(1038), 및 수용면(1032)에 부착되지 않는 부착 섹션(1039)을 포함한다. 횡측 배킹 섹션(1034)은 또한 수용면(1032)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37)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측 배킹 섹션(1034)은 대상물(1033)의 외연부를 감아 싼다.
도 24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00) 내의 도 2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대상물(103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패키징 시스템(200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2000A) 및 우측 슬리브(200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200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2000A, 2000B)의 각각은 상측면(2003A, 2003B) 및 하측면(2002A, 2002B)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은 함께 대상물(1033) 및 그 수용면(1032)의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형적으로 각각의 횡측 배킹 섹션의 부착 섹션(1039)(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부착 섹션(1039))은 패키징 시스템(2000)의 각각의 상측면(2003A 또는 2003B)에 부착된다. 또한, 전형적으로 각각의 중앙 배킹 섹션의 중앙 태브(1035A)(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중앙 태브(1035A))은 패키징 시스템(2000)의 각각의 하측면(2002A 또는 2002B)에 부착된다.
도 25 및 도 26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도 24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대상물(1033),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00A, 200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때,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도 제거된다. 초기에, 중앙 배킹 섹션의 제 1 부착 섹션(1035B)이 수용면(1032)으로부터 제거될 때 180 도의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제거 프로세스 중의 어떤 시점에서, 횡측 배킹 섹션(1034)은 완전히 연장되고(도 26 참조),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게 된다. 제거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횡측 배킹 섹션의 제 1 자유 섹션(1036)은 180 도의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는 힘에 의해 맞물릴 수 있다.
도 27은 도 24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대상물(1033),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대상물(1033),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00) 내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대상물(103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와 도 23-26의 그것 사이의 일차적 차이는 (i) 대상물(1033) 및 (ii) 패키징 시스템(2000)에 대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의 부착 위치이다. 도 29에서, 횡측 배킹 섹션의 제 1 부착 섹션(1037)은 도 23-26에서와 같은 수용면(1032)보다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1033)의 상면에 부착된다. 또한, 각각의 횡측 배킹 섹션의 부착 섹션(1039)(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부착 섹션(1039))은 도 23-26에서 보다 패키징 시스템(2000)의 중앙 부분에 더 근접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상측면 (2003A 또는 2003B)에 부착된다.
도 30-31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도 29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대상물(1033),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00A, 200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때,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도 제거된다. 초기에, 중앙 배킹 섹션의 제 1 부착 섹션(1035B)이 수용면(1032)으로부터 제거될 때 180 도의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제거 프로세스 중의 어떤 시점에서, 횡측 배킹 섹션(1034)은 완전히 연장되고(도 31 참조),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게 된다. 제거 프로세스를 완료하기 위해, 횡측 배킹 섹션의 제 1 자유 섹션(1036)은 180 도의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는 힘에 의해 맞물릴 수 있다. 그러나, 도 23-26에 비해, 도 29-31에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는 제 1 자유 섹션(1036)이 대상물(1033)의 상면 상에 위치하므로 수용면(1032)이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 1 자유 섹션(1036)을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일차적 또는 이차적 수용면의 상이한 구역에 적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분리된 비연속 섹션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제공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패키징을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는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인 박리 각도에서 중앙 섹션을 박리시킨다. 일차적 수용면 또는 이차적 수용면에 적용되는 횡측 섹션은 중앙 섹션에 비해 증가되는 박리 저항을 발생하는 전단력을 받는다. 횡측 섹션은 일차적 수용면 또는 이차적 수용면에 부착되지 않는 이차적 태브(예를 들면, 제 1 자유 섹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도 23-31에 관해 도시 및 설명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자유 섹션, 부착 섹션, 및 태브를 채용하지만, 또한 도 11-22에 관해 도시 및 설명된 바와 같은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모두는 변경된 접착제 강도의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2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00) 내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대상물(103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2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은 도 29-31의 것과 유사하지만,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는 횡측 배킹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수용면(1032)에 부착되지 않는 중앙 태브(1035A) 및 수용면(1012)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35B)를 포함하지만, 또한 제 2 부착 섹션(1035C) 및 제 3 부착 섹션(1035D)도 포함한다. 제 2 부착 섹션(1035C)은 수용면(1032)에 부착되는 추가의 접착층(10)에 부착된다. 제 3 부착 섹션(1035D)은 수용면(1032)에 부착된다. 제 2 부착 섹션(1035C) 및 추가의 접착층(1040)은 제거 중에 박리 강도 저항을 증대시킨다. 제 3 부착 섹션(1035D)은 최종 제거 단계에서 박리 강도 저항을 감소시킨다.
추가의 접착층(1040)이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또는 수용면(1032)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된 위치에 추가의 접착층(1040)을 가지기 보다 상이한 강도 접착제가 박리 강도 저항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도시된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접착층(2005)은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의 좌측 및 우측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중앙 접착층(2005)은 수용면(1032)(예를 들면, 접착층)의 오염이나 손상에 대해 향상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00) 내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 및 대상물(1033)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는 도 32의 것과 유사하지만, 이 착탈가능한 피복재(1031)는 수용면의 외연부에 제 3 부착 섹션(1035D)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2 부착 섹션(1035C) 및 추가의 접착층(1040)은 최종 제거 단계 중의 제거 중에 박리 강도 저항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이것이 부착되는 수용면 사이의 접착제 강도의 변화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제공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접착제 강도는 변화된 접착제 강도의 구역에서 조절될 수 있다.
도 34는 예시적 대상물(1003), 접착층(1002), 및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A, 1001B)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A, 1001B)의 각각은 일차적 태브(100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및 중앙 섹션(1005)을 포함한다.
범례 3001은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의 영역을 식별하는 패턴을 보여준다. 범례 3002는 중간 박리 강도 저항의 영역을 식별하는 패턴을 보여준다. 범례 3003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의 영역을 식별하는 패턴을 보여준다. 이들 박리 강도 저항은 접착층(1002)와 대면하는 중앙의 섹션 측의 조직 또는 표면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A)가 일차적 태브(1004)의 당김에 의해 제거될 때, 초기에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중간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최종적으로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제거 프로세스 중에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A)를 제거하기 위해 점점 더 큰 힘이 요구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B)가 일차적 태브(1004)의 당김에 의해 제거될 때, 초기에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중간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최종적으로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수용면에 부착되는 구역을 따라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표면 조직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는 피복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더 거친 조직의 구역은 접착성이 낮고, 더 매끈한 구역은 접착성이 높다.
도 35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41) 및 수용면(1042)(예를 들면, 접착층)을 포함하는 대상물(1043)을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41)는 일차적 태브(104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제 1 자유 섹션(1046), 및 수용면(1042) 또는 대상물(1043)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48)(예를 들면, 이차적 태브)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41)는 또한 수용면(1042)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45)(예를 들면, 횡측 섹션) 및 (예를 들면, 접착층(1050)을 통해) 대상물(1043)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부착 섹션(1047)을 포함한다.
도 36-38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41) 및 대상물(1043)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9는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1043)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4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39에서, "단계 0"은 도 35에 대응하고; "단계 1"은 도 36에 대응하고; "단계 2"는 도 37에 대응하고; "단계 3"는 도 38에 대응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부착된 수용면의 2 개 이상의 표면과 결합하는 연장부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중앙 섹션은 접착되지 않는 태브를 포함하고,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의 박리 각도에서 중앙 섹션의 박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횡측 섹션은 중앙 섹션과 연속되고, 중앙 섹션을 박리시킨 동일한 힘 벡터에 대한 전단 저항을 보이는 이차적 수용면에 부착된다. 횡측 섹션은 이 횡측 섹션이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의 각도에서 박리되도록 이차적 수용면에 부착되지 않는 이차적 태브를 보일 수 있다.
도 40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51) 및 대상물(1053)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1은 대상물(1053) 상에 위치되는 도 4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5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대상물(1053)은 수용면(1052)(예를 들면, 접착층)을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5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51)는 횡측 배킹 섹션(1054) 및 중앙 배킹 섹션(1055)을 포함한다. 중앙 배킹 섹션(1055)은 수용면(1052)에 부착되지 않는 중앙 태브(1055A) 및 수용면(1052)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55B)을 포함한다.
횡측 배킹 섹션(1054)은 제 1 자유 섹션(1056)(예를 들면, 이차적 태브) 및 수용면(1052)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58)을 포함한다. 횡측 배킹 섹션(1054)은 또한 (예를 들면, 접착층(1050)을 통해) 중앙 배킹 섹션의 제 1 부착 섹션(1055B)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57) 및 (예를 들면, 접착층(1050)을 통해) 대상물(1053)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부착 섹션(1059)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측 배킹 섹션(1054)은 대상물(1053)의 외연부를 감아 싼다.
도 42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 및 대상물(106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는 접착층(1060)을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는 또한 제 1 부착 섹션(1066), 제 2 부착 섹션(1067), 및 접착층(1060)을 통해 대상물(1063)에 부착되는 제 3 부착 섹션(1068)을 포함한다. 도 44를 참조한다. 또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는 제 1 자유 섹션(1065) 및 제 2 자유 섹션(1069)을 포함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유 섹션(1065) 및 제 2 자유 섹션(1069)은 태브를 생성하기 위해 접착층(1060) 상에 절첩되거나 래핑(wrapping)될 수 있다. 제 1 자유 섹션(1065) 및 제 2 자유 섹션(1069)을 접착층(1060) 상에 절첩시킴으로써,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가 대상물(1063)에 적용될 때, 제 1 자유 섹션(1065) 및 제 2 자유 섹션(1069)은 대상물(1063)에 부착되지 않는다. 도 44를 참조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는 대상물이 표면 상에 배치될 필요가 있을 때까지 대상물(1063)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는 표면(1062)에 적용된 도 42-44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 및 대상물(106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4에 도시된 구성으로 시작하여, 대상물(1063)로부터 제 1 부착 섹션(1066)을 제거하기 위해,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의 좌측 및 우측의 제 1 자유 섹션(1065)이 파지되어 당겨질 수 있다. 다음에 대상물(1063)의 저면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교 또는 시멘트와 같은 접착제의 건조 또는 경화를 허용하기 위해) 표면(1062)에 대상물(1063)을 누르거나 고정하기 위해, 제 1 부착 섹션(1066)은 (예를 들면, 접착층(1060)을 통해) 대상물(1063)에 인접하는 표면(1062)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는 표면(1062) 상에 대상물(1063)의 적용 또는 배치를 촉진하는 마킹(예를 들면, 격자선, 안내선, 및/또는 정렬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마킹은 착탈가능한 피복재(1061)의 외면(즉, 대상물(1063)에 대면하지 않는 표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도 45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되었으나, 이와 같은 마킹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 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마킹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상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표면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킹은 가시적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제거 프로세스 중에 표면 상에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사용자에 의한 정렬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횡측 섹션을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 제작될 수 있는 중앙 섹션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 수용면 상의)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중앙 섹션이 각각의 접착층을 포함하는 경우, (90 도 내지 180 도의 박리로 제거된) 동일한 접착층이 제 3 수용면에 재부착될 수 있다.
도 46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수용면(1072)(예를 들면, 접착층) 및 중앙 패드(1070)을 포함하는 대상물(104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는 횡측 배킹 섹션(1074) 및 중앙 배킹 섹션(1075)을 포함한다. 중앙 배킹 섹션(1075)은 수용면(1072)에 부착되지 않는 중앙 태브(1075A) 및 수용면(1072)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75B)을 포함한다. 횡측 배킹 섹션(1074)은 제 1 자유 섹션(1076)(예를 들면, 이차적 태브) 및 수용면(1072)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78)을 포함한다. 도시된 제 1 자유 섹션(1076)은 자체 상에 절첩되어 접착층에 의해 접합되는 섹션으로 형성된다. 횡측 배킹 섹션(1074)은 또한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중앙 배킹 섹션의 제 1 부착 섹션(1075B)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77) 및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1073)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부착 섹션(1079)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측 배킹 섹션(1074)은 대상물(1073)의 외연부를 감아 싼다.
도 47은 절첩 단계에서 도 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제 1 자유 섹션(1076)(예를 들면, 이차적 태브)는 제 2 부착 섹션(1079)의 상면 상에 절첩되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중앙 태브(1075A)는 제 1 부착 섹션(1075B)의 저면 또는 외면 상에 절첩되었다.
도 48은 추가의 절첩 단계에서 도 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우측은, 제 1 자유 섹션(1076)이 대상물(1073)의 중앙 부분 상에 위치하도록, 대략 패드(1070)의 우측 연부에 위치되는 절첩선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절첩되었다.
도 49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00) 내의 추가의 절첩 단계에서 도 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좌측은, 제 1 자유 섹션(1076)이 (i)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의 우측 및 (ii) 대상물(1073)의 중앙 부분 상에 위치하도록, 대략 패드(1070)의 좌측 연부에 위치되는 절첩선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절첩되었다.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좌측은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우측에 앞서 절첩될 수 있다. 절첩된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는 패키징 시스템(2000) 내에 위치된다.
패키징 시스템(200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2000A) 및 우측 슬리브(200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200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2000A, 2000B)의 각각은 상측면(2003A, 2003B) 및 하측면(2002A, 2002B)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은 함께 대상물(1073) 및 그 수용면(1072)의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의 중앙 배킹 섹션의 중앙 태브(1075A)(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중앙 태브(1075A))는 전형적으로 패키징 시스템(2000)의 각각의 하측면(2002A 또는 2002B)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00A, 200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때,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중앙 배킹 섹션(1075)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또한, 상측면(2003A, 2003B)이 이격될 때 자연적인 스프링 장력에 의해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 및 대상물(1073)의 좌측 및 우측은 펼쳐진다. 대상물(1073) 및 수용면(1072)이 배치된 후, 각각의 측부의 제 1 자유 섹션(1076)은 횡측 배킹 섹션(1074)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1071)를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고, 가요성 대상물을 따라 수용면에 부착될 수 있고, 연결된 패키징에 의해 둘러싸이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가요성 대상물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더 작은 패키지 치수 및 재료를 위해 절첩될 수 있다. 통합된 패키징을 제거하면 동시에 가요성 대상물이 펼쳐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박리에 의해 피복재가 제거된다. 본 실시형태로의 통합을 위해 박리 저항을 증가시키는 임의의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0은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01A, 1101B) 및 수용면(1102)(예를 들면, 접착층)을 갖는 대상물(110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좌측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01A)와 같이 (예를 들면, 접착층(1000)을 통해) 대상물(1013)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거나, 우측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01B)와 같이 (예를 들면, 수용면(1102)이 접착층일 때, 또는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1013)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01A, 1101B)는 각각 대상물(1013) 또는 수용면(1012)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1104A, 1104B)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01A, 1101B)의 각각은 또한 대상물(1013) 및 수용면(1012)에 각각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105A, 1105B)을 각각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상대적 탄성의질 또는 대상물의 상대적 탄성에 대한 접착 위치(즉 대상물의 상면이나 저면)을 변경함으로써,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 메커니즘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1 및 도 52는 대상물(1083) 및 그 접착층(1082) 보다 낮은 탄성(즉, 낮은 가요성, 낮은 팽창성, 및/또는 높은 강성)을 갖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81)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081)는 대상물(1083)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1084) 및 저면(즉, 수용면(1012) 및 대상물(1083))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85)을 포함한다.
도 52에서, 장력이 제 1 자유 섹션(1084)에 가해진다. 대상물(1083) 및 그 접착층(1082)은 착탈가능한 피복재(1081)보다 높은 탄성(즉, 높은 가요성, 높은 팽창성, 및/또는 낮은 강성)을 가지므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과 탄성의 차이의 조합으로 인해 제 1 부착 섹션(1085)의 자유 단부(즉, 제 1 자유 섹션(1084)의 연결부의 대향 단부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단부)는 제 1 부착 섹션(1085)의 나머지 부분에 앞서 접착층(1082)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1082)으로부터의 전단 인장 강도 저항은 먼저 제거력이 가해지는 위치로부터 가장 먼 착탈가능한 피복재(1081)의 부분(즉, 제 1 자유 섹션(1084)의 자유 단부)에서 극복된다. 전형적으로, 접착층(1082)은 이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제거 후에 대상물(1083) 상에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3 및 도 54는 대상물(1093) 및 접착층(1090)보다 높은 탄성(즉 높은 가요성, 높은 팽창성, 및/또는 낮은 강성)을 갖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대상물(1093)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1094) 및 접착층(1090)에 의해 대상물(1083)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95)를 포함한다.
도 54에서, 장력이 제 1 자유 섹션(1094)에 가해진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91)는 대상물(1093)보다 높은 탄성(즉, 높은 가요성, 높은 팽창성, 및/또는 낮은 강성)을 가지므로, 착탈가능한 피복재(1091)는 변형(예를 들면, 신장)된다. 이러한 변형과 탄성의 차이의 조합으로 인해 제 1 부착 섹션(1095)의 단부(즉,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단부 또는 제 1 자유 단부의 대향 단부)는 제 1 부착 섹션(1085)의 나머지 부분에 앞서 접착층(1082)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1090)으로부터의 전단 인장 강도 저항은 먼저 제거력이 가해지는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착탈가능한 피복재(1091)의 부분(즉, 제 1 자유 섹션(1094)의 자유 단부)에서 극복된다. 전형적으로, 접착층(1090)은 제거 후에 착탈가능한 피복재(1091) 상에 잔류하고, 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1091)와 유사하게 변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부착된 수용면 사이의 상이한 확장성 특성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로의 통합을 위해 박리 저항을 증가시키는 임의의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고, 피복재 상의 또는 수용면을 가지는 대상물 상의 팽창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력을 받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횡측 섹션이 수용면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 경우, 힘 벡터는 수용면의 횡측 종단부에서 시작하여 중앙으로 전진하는 전단 파괴를 유발한다. (전단력을 받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횡측 섹션이 수용면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경우, 힘 벡터는 수용면의 중앙 종단부에서 시작하여 횡측으로 전진하는 전단 파괴를 유발한다.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은 부착 섹션을 따른 상이한 위치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강성 또는 가요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5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00),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 및 수용면(1112)(예를 들면, 접착층)을 가지는 대상물(111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일차적 태브(111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횡측 보강 섹션(1117), 및 대상물(1113)의 수용면(1112)에 부착되지 않는 접착층(1116)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는 수용면(1112)에 부착되는 중앙 섹션(1115)(예를 들면, 부착 섹션)을 또한 포함한다. 횡측 보강 섹션(1117)은 접착층(1116)을 통해 중앙 섹션(1115)의 저면에 부착된다.
패키징 시스템(200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2000A) 및 우측 슬리브(200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200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2000A, 2000B)의 각각은 상측면(2003A, 2003B) 및 하측면(2002A, 2002B)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은 함께 대상물(1113) 및 그 수용면(1112)의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차적 태브(1114)(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태브(1114))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면, 도시된 접착층(1118)을 통해) 패키징 시스템(2000)의 각각의 하측면(2002A 또는 2002B)에 부착된다.
도 56-58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도 5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 대상물(1113), 및 패키징 시스템(200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00A, 200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때, 착탈가능한 피복재(1111)도 제거된다. 초기에 중앙 섹션(1115)이 수용면(1112)으로부터 제거될 때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섹션(1115)의 제 1 부분이 제거된 후, 박리 강도 저항은 횡측 보강 섹션(1117) 및 접착층(1116)으로 인해 증가한다. 더 두꺼운 섹션(즉, 횡측 보강 섹션(1117) 및 접착층(1116))은, (i) 더 얇은 섹션에서 180 도 박리보다 90 도 박리에 더 근접하는 박리 각도를 요구함으로써 및/또는 (ii) 동시에 수용면(1112)으로부터 박리되어야 하는 중앙 섹션(1115)의 횡측 부분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박리 강도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되는 박리 강도 저항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를 들면, 도 61의 좌측의 반쪽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섹션을 적층시키기 보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081)의 일부의 두께가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두께 변화는 원활한 변화로부터 급격한 변화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화를 제공하기 위해 점진적, 단계적 또는 급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수용면을 따라 저항 변화가 발생하는 위치는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변화는 (예를 들면, 도 61의 우측 반쪽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면에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081)의 일부의 중앙에서의 두께 변화에 기인되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가요성의 변화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제공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단계 1(예를 들면, 도 56)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중앙 섹션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횡측 연부가 높은 강성을 가지는 경우 패키지가 분리될 때 90 도 내지 180 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되고, 박리 각도는 순간적으로 더 낮아지고, 박리에 대한 저항은 더 높아진다.
도 34에 관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변화되는 박리 강도 저항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조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예를 들면, 변화되는 접착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변화되는 박리 코팅을 포함함으로써 변화되는 박리 강도 저항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9는 예시적 대상물(1123), 접착층(1122), 및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21A, 1121B)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21A, 1121B)의 각각은 일차적 태브(112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및 중앙 섹션(1125)을 포함한다. 음영은 박리 코팅이 많거나 적은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더 어두운 영역은 더 많은 박리 코팅을 나타내고, 더 밝은 영역은 더 적은 박리 코팅을 나타낸다.
따라서, 착탈가능한 피복재(1121A)가 일차적 태브(1124)의 당김에 의해 제거될 때, 초기에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중간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최종적으로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제거 프로세스 중에 착탈가능한 피복재(1121A)를 제거하기 위해 점점 더 큰 힘이 요구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21B)가 일차적 태브(1124)의 당김에 의해 제거될 때, 초기에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중간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다음에 높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하고, 최종적으로 낮은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1은 배킹 층을 적층시킴으로써, 그리고 저항 증가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하는 2 개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0의 좌측 그래프는 접착층의 중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도 59 및 도 61의 좌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그래프이다. 도 60의 우측 그래프는 접착층의 중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도 61의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그래프이다. 양 그래프의 x 축 상의 단위는 임의의 단위이다.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또 다른 기술은 도 11-22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루프를 채용한다. 특히, 소정의 루프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인 저항의 백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가한다. 반대로, 소정의 루프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인 저항의 백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제거에 대한 저항이 감소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기 위한 또 다른 기술은, 예를 들면, 도 1-10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절첩부를 채용한다. 특히, 소정의 절첩부의 길이를 증가시키면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인 저항의 백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가한다. 반대로, 소정의 절첩부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인 저항의 백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제거에 대한 저항이 감소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패키징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도 또한 제거에 대한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2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패키징 시스템은 조직화된 영역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외연부에서 상호 접착되는 상면 및 저면을 갖는다. 백색 공간 및 점선은 상면과 저면 사이의 자유 내부 공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 공간은 좌측 및 우측 연부에 인접하는 폭(W)으로부터 정중선에 인접하는 폭(t)을 향해 경사를 이룬다.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즉, 정중선에 의해 분리된 부분)은 정중선에서 상호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3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좌측 반쪽 및 우측 반쪽은 달성될 수 있는 변화되는 저항을 설명하도록 상이하다.
도 64는 패키징 시스템의 중간점으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도 63의 좌측 및 우측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위해 63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로부터 도 62의 패키징 시스템을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의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형상은 이것이 패키징 시스템 내의 자유 공간의 경사진 폭과 상호 작용할 때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또는 수용하는 대상물의 조직을 점차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더욱 거친 조직의 구역은 접착면의 감소로 인해 더 낮은 접착성을 갖고, 반면에 더 매끈한 구역은 더 높은 접착성을 갖는다.
도 65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 내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2에서와 같이, 이 패키징 시스템은 조직화된 영역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외연부에서 상호 접착되는 상면 및 저면을 갖는다.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은 상면과 저면 사이의 자유 내부 공간 내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패키징 시스템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이 (i) 감소된 폭 변화 및 (ii) 일치된 외형(즉, 패키징 시스템의 부착된 연부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의 폭의 외형)을 가지므로 저항 변화가 더 낮고, 이 변화는 도 62-64에서보다 덜 급격하다.
도 66는 본체 섹션(3002), 이차적 풀 태브(pull tab; 3003), 및 본체 섹션(3002) 내의 개구(3004)를 포함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7은 초기 절첩선을 가지는 도 6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8은 이차적 풀 태브(3003)가 도 67에 도시된 초기 절첩선 상으로 절첩된 후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차적 풀 태브(3003)의 단부는 본체 섹션(3002) 내의 개구(3004)를 통과한다. 도 68은 또한 제 2 절첩선을 보여준다.
도 69는 본체 섹션(3002)의 좌측 부분, 개구(3004), 및 이차적 풀 태브(3003)이 제 2 절첩선 상으로 절첩된 후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적 풀 태브(3003)는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의 좌측을 향해 외방으로 연장된다.
도 70a는 도 67-69에 도시된 단계에서 제조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 및 대상물(300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대상물(3008)은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에 부착될 수 있다. 본체 섹션(3002)의 우측 부분은 일차적 풀 태브(3005)를 형성하기 위해 하방으로 절첩된다.
도 70b는 이차적 풀 태브(3003)가 대상물(3008)의 외연부의 주위에 절첩된 후의 도 70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 및 대상물(300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차적 풀 태브(3003)는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3008)에 부착될 수 있고, 대상물(3008)에 부착되지 않는 다른 태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1은 본체 섹션(3012), 이차적 풀 태브(3013), 및 3 개의 선형 개구에 의해 본체 섹션(3002) 내에 형성되는 플랩 섹션(3014)을 포함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1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2는 초기 절첩 이동 상태의 도 6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301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3은 이차적 풀 태브(3013)가 플랩 섹션(3014)의 하측으로 절첩된 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301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적 풀 태브(3013)는 더 당겨지고, 본체 섹션(3012)의 좌측 부분은 플랩 섹션(3014)의 하측으로 절첩된다.
도 75는 이차적 풀 태브(3013)가 본체 섹션(3012)의 좌측 부분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포개진 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301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적 풀 태브(3003)는 착탈가능한 피복재(3001)의 좌측을 향해 외방으로 연장된다. 대상물은 본체 섹션(3012) 및 플랩 섹션(3014)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차적 풀 태브는 대상물의 외연부를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고, 및/또는 본체 섹션(3012)의 우측 부분은 일차적 풀 태브(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기 위해 하방으로 절첩될 수 있다.
도 76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중앙 섹션(302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중앙 섹션(3021)은 부착 섹션(3023), 본체 섹션(3022), 및 본체 섹션(3022) 내의 개구(302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섹션(3023)은 초기 절첩선 상으로 절첩된다.
도 77은 부착 섹션(3023)이 도 76에 도시된 초기 절첩선 상으로 절첩된 후의 중앙 섹션(302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7은 또한 제 2 절첩선을 보여준다.
도 78은 부착 섹션(3023)이 도 776에 도시된 제 2 절첩선 상으로 절첩된 후의 중앙 섹션(302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섹션(3023)의 일부는 개구(3024) 내에 위치된다.
도 79는 중앙 섹션(3021) 및 수용면(3029)(예를 들면, 접착층)을 구비하는 대상물(302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0은 중앙 섹션(3021), 대상물(3028), 및 연장 섹션(3027)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3028) 및 수용면(3029)은 중앙 섹션의 부착 섹션(3023) 및 본체 섹션(3022)에 위치된다. 대상물(3028)은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중앙 섹션(3021)에 부착될 수 있다. 본체 섹션(3022)의 우측 부분은 일차적 풀 태브(3025)를 형성하기 위해 하방으로 절첩된다.
연장 섹션(3027)은 연장부 본체(3027B) 및 연장부 부착부(3027A)를 포함한다. 연장부 부착부(3027A)는 전형적으로 개구(3024) 내에 위치되는 부착 섹션(3023)의 일부에 부착된다. 연장 섹션(3027)은 대상물(3028)의 연부를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3028)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6-80에서, 중앙 섹션(3021) 및 연장 섹션(3027)은 함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대상물 상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6-80에 따른 2 개의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하나는 도 76-80에 도시된 배향으로, 다른 하나는 본체 섹션(3022)의 우측 연부를 중심으로 동일 평면 내에서 180 도 회전된 상태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일한 좌측 및 우측을 가지는 단일의 더 큰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더 큰 대상물 상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1은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수용면(3029)(예를 들면, 접착층)을 갖는 대상물(302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좌측 및 우측의 각각은 중앙 섹션(3021) 및 연장 섹션(3027)을 포함한다. 중앙 섹션(3021)은 부착 섹션(도시되지 않음), 본체 섹션(3022), 본체 섹션(3022) 내의 개구(도시되지 않음), 및 일차적 풀 태브(3025)를 포함한다. 연장 섹션(3027)은 연장부 본체(3027B) 및 연장부 부착부(3027A)를 포함한다. 도 8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3027)은 대상물(3028)의 연부의 주위에서 절첩된다.
도 82는 제거 단계에서 도 8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302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중앙 섹션의 일차적 풀 태브(3025)는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힘으로 당겨졌고, 중앙 섹션의 본체 섹션(3022)는 수용면(3029)으로부터 제거되었다.
도 83은 제거 단계에서 도 8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3028)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중앙 섹션의 일차적 풀 태브(3025)는 수용면(3029)에 부착되는 제 2 절첩선(도 77 및 도 78 참조) 상에서 절첩된 부착 섹션(3023)의 일부를 남기고 그 완전 연장부까지 당겨졌다. 이 위치에서, 중앙 섹션(3021)의 단부 상에서 당겨지는 힘에 대한 전단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도 84는 추가의 제거 단계에서 도 8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연장 섹션(3027)은 대상물(3028) 상으로 절첩된 연장부 본체(3027B)의 일부를 당기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중앙 섹션(3021)의 부착부 및 연장 섹션(3027)을 중심으로 하는 절첩된 구성으로 인해,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피복재가 부착되는 대상물의 상이한 표면 상의 박리 저항을 변화시키는 관통 구조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85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10),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 및 수용면(1132)(예를 들면, 접착층)을 가지는 대상물(113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일차적 태브(113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및 대상물(1133)의 수용면(1132)에 부착되지 않는 연장 섹션(1136)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는 수용면(1132)에 부착되는 중앙 섹션(1135)(예를 들면, 부착 섹션)을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36)은 대상물(1133)의 외연부를 초과하여 연장된다. 연장 섹션(1136)은 제거를 완료하기 위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도록 패키징 시스템(2010)과 상호 작용하고, (평면도로 도시되었을 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키징 시스템(201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2010A) 및 우측 슬리브(201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201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2010A, 2010B)의 각각은 상측면(2013A, 2013B) 및 하측면(2012A, 2012B)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 및 패키징 시스템(2010)은 함께 대상물(1133) 및 그 수용면(1132)의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차적 태브(1134)(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태브(1114))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면, 도시된 접착층(1138)을 통해) 패키징 시스템(2010)의 각각의 하측면(2012A 또는 2012B)에 부착된다.
도 86-88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도 85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 대상물(1133), 및 패키징 시스템(20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10A, 201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때,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도 제거된다. 초기에 중앙 섹션(1135)이 수용면(1132)으로부터 제거될 때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이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36)은 제거를 완료하기 위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도록 패키징 시스템(2010)과 상호작용한다. 도 87은 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연장 섹션(1136)이 패키징 시스템(2010)과 상호 작용을 개시하는 순간을 도시한다. 특히, 연장 섹션(1136)은 패키징 시스템(201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앙 섹션(1135)이 수용면(1132)으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제거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킨다. 이 제거 단계에서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 및 패키징 시스템(2010)을 완전히 제거하기 전에 대상물을 표면에 더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89-92는 도 85-88에 도시된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각각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10),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 및 대상물(1133)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들 각각의 상측면(2013A, 2013B)을 구비하는 좌측 슬리브(2010A) 및 우측 슬리브(2010B)을 포함하는 패키징 시스템(2010)이 도시되어 있다. 최외측 점선은 소정의 슬리브의 상측면과 하측면(또한 도 85-88 참조) 사이의 패키징 시스템(2010)의 부착 부분 내의 자유 공간(2014A, 2014B)을 나타낸다. 점선을 초과하여, 슬리브의 상측면 및 하측면이 상호 부착된다. 내측의 점선은 연장 섹션(1136) 및 대상물(1133)의 위치를 나타낸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31)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면, 중앙 섹션(1135) 및 일차적 태브(1134))는 대상물(1133)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도 89 또는 도 90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36)은 테이퍼진 형상을 갖고, 자유 공간(2014A, 2014B)은 각각의 슬리브(2010A, 2010B)의 중앙 연부에 인접하는 폭이 테이퍼를 이룬다. 도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10A, 201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연장 섹션(1136)은 패키징 시스템(2010) 내의 자유 공간(2014A, 2014B)의 테이퍼진 부분과 만난다. 도 91에서, 연장 섹션(1136)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앙 섹션(1135)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36)과 패키징 시스템(2010)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제거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고, 사용자에 의한 대상물(1133)의 배치 및 적용을 촉진시킨다. 이 시점에서 연장 섹션(1136) 사이의 제거에 대한 저항은 전단 박리 강도 저항과 동등하고, 반면에 중앙 섹션(113)과 수용면(1132) 사이의 제거에 대한 저항은 더 약한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이다.
도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36)은 패키징 시스템(201) 내의 자유 공간(2014A, 2014B)의 테이퍼진 부분을 강제 개방할 수 있고, 또는 연장 섹션(1136)은 패키징 시스템(2010의 중앙 연부를 통과하여 변형될 수 있다.
패키징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연장 섹션은 가변 제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상물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3 및 도 94는 예시적 연장 섹션(400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4001)은 본체 섹션(4002), 저항 기구(4003), 및 풀 태브(4004)를 포함한다. 도 93에서 연장 섹션의 저항 기구(4003)는 이것이 상호 작용하는 패키징의 파지부(즉, 원 내의 파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도 94에서 연장 섹션의 저항 기구(4003)는 도 93에서의 연장 섹션의 저항 기구(4003)에 비해 제거 프로세스의 더욱 초기에 저항을 제공하도록 본체 섹션(4002)의 중간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본체 섹션(4002)의 길이는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고, 또는 대상물 또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상의 연장 섹션(4001)의 배치는 제거 프로세스의 소정의 단계에서 저항의 증가를 달성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도 95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41)에 부착되는 수용면(1142)을 가지는 대상물(1143)의 상면에 부착되는 2 개의 예시적 연장 섹션(4001A, 4001B)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4001A, 4001B)은 각각 본체 섹션(4002A, 4002B), 저항 기구(4003A, 4003B), 및 풀 태브(4004A, 4004B)를 포함한다. 풀 태브(4004A, 4004B)는 대상물(1143)로부터 연장 섹션(4001A, 4001B)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풀 태브(4004A, 4004B)는 사용자가 패키징을 당길 때 연장 섹션(4001A, 4001B)이 제거되도록 패키징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6-97은 본체 섹션(4012) 및 저항 기구(4013)를 포함하는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401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기구(4013)는 본체 섹션(4012)에 부착되어 도 97에 도시된 2 층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8-99는 본체 섹션(4012) 및 상이한 저항 기구(4013)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4011)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기구(4013)는 본체 섹션(4012)에 부착되어 도 99에 도시된 2 층 구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7의 2 층 구역에 비해, 도 99의 2 층 구역은 더 작고, 이것은 제조 상의 이점 또는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0-101은 본체 섹션(4022) 및 추가로 개구(4025)를 포함하는 저항 기구(4023)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 2 부재 연장 섹션(4021)를 도시한다. 개구(4025)는 더 작은 2 층 구역을 제공하고, 이것은 제조 상의 이점 또는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2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 예시적 연장 섹션(4031), 및 수용면(1152)(예를 들면, 접착층)을 가지는 대상물(115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는 수용면(1152)에 부착되지 않는 일차적 태브(1154) 및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수용면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155)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 태브(1154)는 접착층(1158)을 통해 보강 섹션(1159)에 부착된다. 보강 섹션(1159)은 일부의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 연장 섹션(4031)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의 각각의 측부의 횡측 부분에 (즉, 접착층(1156)을 통해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 1 부착 섹션(1155)에) 부착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 1 부착 섹션(1155) 및 연장 섹션(4031)의 중첩되는 부분 및 부착되는 부분은 2 층 배킹을 형성하고, 이것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도 103은 패키징 시스템(2020) 내의 도 103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 예시적 연장 섹션(4031), 및 대상물(1153)을 도시한다. 패키징 시스템(202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2020A) 및 우측 슬리브(202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202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2020A, 2020B)의 각각은 상측면(2023A, 2023B) 및 하측면(2022A, 2022B)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 예시적 연장 섹션(4031), 및 패키징 시스템(2020)은 대상물(1153) 및 그 수용면(1152)의 배치를 촉진하도록 상호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각의 보강 섹션(1159)(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보강 섹션(1159))은 전형적으로 패키징 시스템(2020)의 하측면(2022A 또는 2022B)에 부착된다. 대안적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일차적 태브(1154)는 패키징 시스템(2020)의 각각의 하측면(2022A 또는 2022B)에 부착된다.
도 104-106은 상이한 제거 단계에서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 대상물(1153), 예시적 연장 섹션(4031), 및 패키징 시스템(202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07은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1153)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07에서, "단계 0"은 도 102에 대응하고; "단계 1"은 도 104에 대응하고; "단계 2"는 도 105에 대응한다.
도 1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20A, 2020B)를 상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때, 착탈가능한 피복재(1151)도 제거된다. 단계 0 후에 중간 개방력의 적용이 요구되는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20A, 2020B)의 당김 분리가 이어진다. 단계 1은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힘을 요구한다.
단계 2에서, 요구되는 힘은 (i) 협착 저항 및 (ii) 증가된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힘에 대한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으로부터 천이된다. 협착 저항은 도 62-65 및 도 85-101에 대해 설명한 연장 섹션(4031)과 패키징 시스템(2020)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협착 저항은 연장 섹션(4031)과 내부의 자유 공간이 형상 및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20A)의 구조에 의존한다. 따라서, 연장 섹션(4031) 및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20A)는 특정 협착력을 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2는(i) 협착 저항 및 (ii) 증대된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필요로 한다. 증대된 180 박리 강도 저항은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 1 부착 섹션(1155) 및 연장 섹션(4031)의 중첩 및 부착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2 층 배킹의 결과이다. 예를 들면, 도 105를 참조한다 단계 2 후에, 협착 저항 및 증대되는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이 극복된다.
도 108-112는 예시적 연장 섹션(4041) 및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연장 섹션(4041)은 본체 섹션(4042) 및 저항 기구(4043)를 포함한다. 도 10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4041)이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에 적용되는 경우, 본체 섹션(4042)의 적어도 일부는 중첩 구역(4046)을 형성하도록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와 중첩된다. 이 중첩 구역은 더 두꺼우므로, 이것은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 또는 저항 기구(4043)보다 큰 강성을 갖거나 작은 변형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 및/또는 연장 섹션(4041)인 패키징과 상호작용하여 협착 저항을 유발하므로 중첩 구역(4046)의 형상을 변화시키면 제거에 대한 저항도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9에서의 중첩 구역(4046)은 도 110에서의 중첩 구역보다 넓다. 따라서, 패키징 협착점에서 소정의 폭에 대해, 도 109의 연장 섹션(4041)과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는 도 109의 연장 섹션(4041)과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보다 큰 협착 저항을 제공한다.
더욱이, 협착 저항이 증가되는 속도도 중첩 구역(4046)의 형을 이용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9의 중첩 구역(4046)은 이 중첩 구역(4046)이 협착점에 도달할 때 협착 저항의 급격한 증가를 유발한다. 대조적으로, 더 많은 중첩 구역(4046)이 협착점을 통과할 때(즉, 상부로부터 하부로) 도 111의 중첩 구역(4046)은 협착 저항의 점진적 증가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도 110의 중첩 구역(4046)은 협착 저항의 완만한 점진적 증가를 제공한다(즉, 도 111에 비해 당겨진 거리 당 협착 저항의 증가가 적다).
도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4041) 및 그 저항 기구(4043)의 형상에 의해 생성되는 협착 저항의 변화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161)의 폭(W1) 및 연장 섹션의 저항 기구(4043)의 최대 폭(W2)의 비교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저항 기구의 폭(W2)과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폭(W1) 사이의 차이가 크면, 더 큰 협착 저항이 유발된다.
도 113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30),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 및 수용면(1172)(예를 들면, 접착층)을 가지는 대상물(117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일차적 태브(117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및 대상물(1173)의 수용면(1172)에 부착되지 않는 연장 섹션(1176)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는 수용면(1172)에 부착되는 중앙 섹션(1175)(예를 들면, 부착 섹션)을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76)은 대상물(1173)의 외연부를 초과하여 연장된다. 연장 섹션(1176)은 제거를 완료하기 위한 추가 저항을 제공하도록 패키징 시스템(2030)과 상호 작용하고, (평면도로 도시되었을 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키징 시스템(203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2030A) 및 우측 슬리브(203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203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2030A, 2030B)의 각각은 상측면(2033A, 2033B) 및 하측면(2032A, 2032B)을 각각 포함한다. 슬리브(2030A, 2030B)의 각각은 또한 각각의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에 자유 공간(2034A, 2034B)을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 및 패키징 시스템(2030)은 함께 대상물(1173) 및 그 수용면(1172)의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차적 태브(1174)(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태브(1114))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면, 도시된 접착층(1178)을 통해) 패키징 시스템(2030)의 각각의 하측면(2032A 또는 2032B)에 부착된다.
도 114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2030),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 및 대상물(1173)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30A, 2030B)의 각각은 또한 파지 섹션(2035A, 2035B) 및 협착점(2036A, 2036B)을 포함한다. 각각의 협착점은, 자유 공간이 패키징 시스템(2030)의 중심선 또는 정준선에 인접하여 더 좁아지도록, 소정의 슬리브의 상측면 및 하측면을 부착함으로써 생성된다.
도 115는 시간의 함수로서 대상물(1173)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 115에서, "단계 0"은 도 113 및 도 114에 대응한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파지 섹션(2035A, 2035B)을 통해)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30A, 2030B)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착탈가능한 피복재(1171)도 역시 제거된다. 단계 0 후에 정준선 이탈력의 적용이 요구되는 좌측 및 우측 슬리브(2030A, 2030B)의 당김 분리가 이어진다. 단계 1은, 중앙 섹션(1175)이 수용면(1072)으로부터 박리될 때,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
단계 2에서, 단계 2에서, 요구되는 힘은 협착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힘에 대한 180 도 박리 강도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으로부터 천이된다. 협착 저항은 도 62-65 및 도 85-112에 대해 설명한 연장 섹션(1176)과 패키징 시스템(2030)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협착 저항은 연장 섹션(4041)의 형상, 자유 공간(2034A, 2034B), 및 협착점(2036A, 2036B)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도 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1176)의 최대 폭은 협착점(2036A, 2036B)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연장 섹션(1176)이 협착점(2036A, 2036B)과 만나도록 슬리브(2030A, 2030B)가 상호로부터 충분히 멀리 당겨진 경우, 협착 저항은 슬리브의 추가의 당김을 방해한다. 단계 2 중에,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대상물(1173) 및 그 수용면(1172)은 패키징 시스템(2030)으로부터 배출되고, 사용자는 패키징 시스템(2030)을 파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른 표면 상의) 원하는 위치에 대상물(1173)과 그 수용면(1172)을 배치할 수 있다.
단계 3 중에, 사용자는 협착 저항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힘으로 슬리브(2030A, 2030B)를 당긴다. 협착 저항은 연장 섹션(1176)의 비틀림이나 협착점(2036A, 2036B)에서 슬리브의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의 접착제의 약화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패키징에 의해 나타나는 저항 및 이에 따라 배킹의 박리 저항을 변화시키는 협착 메커니즘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제공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패키징의 제거가 착탈가능한 피복재도 박리시키는 실시형태에서, 박리 저항은 패키징 내의 통로를 통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슬라이딩 능력을 제한하는 플러깅(plugging) 기구를 장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116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슬리브를 포함하는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50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특히, 각각의 슬리브는 상측면(5001), 손잡이 요소(5002), 상부 태브(5003), 하측면(5004), 및 저부 태브(5005)을 포함한다. 손잡이 요소(5002)는 상측면(5001)에 부착되는 단부를 가지는 스트립이다. 사용 시, 사용자는 한 손으로부터 2 개의 손가락을 각각의 손잡이 요소(5002)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 2 개의 손가락을 벌려서 슬리브 내의 대상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17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슬리브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50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특히, 각각의 슬리브는 상측면(5011), 손잡이 요소(5012), 상부 태브(5013), 하측면(5014), 및 저부 태브(5015)을 포함한다. 손잡이 요소(5012)는 각각의 슬리브의 외연부에 부착되는 평평한 부분을 가지는 D 형 링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 시, 사용자는 한 손으로부터 2 개의 손가락을 각각의 손잡이 요소(5012)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 2 개의 손가락을 벌려서 슬리브 내의 대상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18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슬리브를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50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특히, 각각의 슬리브는 상측면(5021), 손잡이 요소(5022), 상부 태브(5023), 하측면(5024), 및 저부 태브(5025)을 포함한다. 손잡이 요소(5022)는 각각의 슬리브의 외연부의 호형 천공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 천공은 슬리브 내의 대상물(5026)과 중첩되지 않는다. 호형 천공은 슬리브의 외연부까지 연장되거나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각각의 슬리브 상의 천공을 파괴할 수 있고, 한 손으로부터 2 개의 손가락을 각각의 손잡이 요소(5022)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 2 개의 손가락을 벌려서 슬리브 내의 대상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19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좌측 및 우측 슬리브를 포함하는 또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503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특히, 각각의 슬리브는 상측면(5031), 손잡이 요소(5032), 상부 태브(5033), 하측면(5034), 및 저부 태브(5035)을 포함한다. 손잡이 요소(5032)는 각각의 슬리브의 외연부로부터 연장되는 패키징 재료의 호 및 각각의 슬리브의 외연부로부터 컷아웃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개구이다. 이 경우에도, 사용 시, 사용자는 한 손으로부터 2 개의 손가락을 각각의 원형 개구 내에 삽입할 수 있고, 이 2 개의 손가락을 벌려서 슬리브 내의 대상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부착되거나 일체형인 손잡이(예를 들면, 손잡이 요소)를 통해 패키징을 수조작으로 연장함에 의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방향의 변화에 의해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제공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손잡이 또는 태브를 통해 패키징을 분리시키고, 패키징은 제 1 박리 저항 및 박리 각도에서 제 1 박리 힘 벡터를 제공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90 도 내지 180 도의 범위의 박리 각도에서 박리되는 이차적 태브(예를 들면, 상부 태브 및/또는 저부 태브)를 이용하여 박리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20-123은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6000) 및 대상물(600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패키징 시스템(6000)은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1A, 6001B)(예를 들면, 손의 이미지)를 각각 포함하는 좌측 슬리브(6000A) 및 우측 슬리브(6000B)를 포함한다. 도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6002)은 중앙에 위치되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3)(예를 들면, 얼굴의 이미지),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A)(예를 들면, 손의 이미지)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B)(예를 들면, 손의 이미지)를 가진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1A, 6001B)는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A)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B)와 동일하지만, 요소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예시적 디자인 요소는 패키징 시스템(6000)의 슬리브(6000A, 6000B)가 대상물(6002)로부터 제거될 때 스토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관련된다.
도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거 단계 중에, 중앙에 위치된 디자인 요소(6003)는 슬리브(6000A, 6000B)가 분리될 때 가시화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되는 스토리는 얼굴을 보여주고, 이것은 원래 2 개의 손의 후측에 은닉되어 있었으나, 2 개의 손이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드러난다.
도 122에 도시된 제 2 제거 단계 중에, 대상물(6002) 상의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A)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B)는 슬리브(6000A, 6000B)가 더욱 분리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가시적으로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되는 스토리는 얼굴이 여전히 가시적이고, 2 개의 손은 얼굴의 양측으로부터 추가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 123에 도시된 최종 제거 단계 중에, 대상물(6002)의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A)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B)는 완전히 가시화되고, 슬리브(6000A, 6000B)는 대상물(6002)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되는 스토리는 얼굴이 여전히 가시적이고, 2 개의 손은 이동 중단된 상태로 얼굴의 양측 상에 위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24-126은 다른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6010) 및 대상물(601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패키징 시스템(6010)은 좌측 슬리브(6010A) 및 우측 슬리브(6010B)를 포함하고, 각각은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1A, 6011B)(예를 들면, 텍스트, 슬로건, 로고, 상표, 상표의 일부, 이름, 이름의 일부, 및/또는 약칭)을 포함한다.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1A, 6011B)는, 도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이미지를 나타내는 것에 관련될 수 있다. 도 125-1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6002)은 중앙에 위치되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3)(예를 들면, 텍스트, 슬로건, 로고, 상표, 상표의 일부, 이름, 이름의 일부, 및/또는 약칭),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4A)(예를 들면, 텍스트, 슬로건, 로고, 상표, 상표의 일부, 이름, 이름의 일부, 및/또는 약칭)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4B)(예를 들면, 텍스트, 슬로건, 로고, 상표, 상표의 일부, 이름, 이름의 일부, 및/또는 약칭)을 갖고 있다. 도시된 예시적 디자인 요소는 패키징 시스템(6010)의 슬리브(6010A, 6010B)가 대상물(6012)로부터 제거될 때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에 관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징 시스템의 슬리브(6010A, 6010B) 상의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1A, 6011B)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3, 6014A, 6014B)에 관한 메시지나 정보를 나타낸다.
제 1 제거 단계 중에, 중앙에 위치된 디자인 요소(6013)는 슬리브(6010A, 6010B)가 분리될 때 가시화된다. 도 125에 도시된 제 2 제거 단계 중에, 대상물(6012) 상의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4A)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4B)는 슬리브(6010A, 6010B)가 더욱 분리될 때 부분적으로 가시화된다. 도 126에 도시된 최종 제거 단계 중에, 대상물(6012)의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4A)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14B)는 완전히 가시화되고, 슬리브(6010A, 6010B)는 대상물(6012)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패키징 시스템 및 대상물 및 이들이 가지고 있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는 마케팅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메시지나 정보를 전달한다.
도 127은 도 120-123의 예시적 패키징 시스템(6000) 및 대상물(6002) 뿐만 아니라 제조 단계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패키징 시스템(6000)은 2 개의 부재인 좌측 슬리브(6000A) 및 우측 슬리브(6000B)를 포함하고, 이들은 접착층(6021)에 의해 접합되거나 접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리브(6000A, 6000B)의 각각은 상측면(6023A, 6023B) 및 하측면(6022A, 6022B)을 각각 포함한다. 상측면(6023A, 6023B)은 각각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1A, 6001B)(예를 들면, 손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대상물(6002)은 중앙에 위치되는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3)(예를 들면, 얼굴의 이미지),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A)(예를 들면, 손의 이미지)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B)(예를 들면, 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1A, 6001B)는 좌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A) 및 우측 가시적 디자인 요소(6004B)와 동일하지만, 요소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81)의 각각의 측면(즉, 좌측 및 우측)은 일차적 태브(118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및 대상물(6002)의 저면에 부착되지 않는 횡측 자유 섹션(1185)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181)는 또한 중앙 섹션(1185)(예를 들면, 부착 섹션) 및 대상물(6002)의 저면에 부착되는 횡측 부착 섹션(1186)을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181) 및 패키징 시스템(6000)은 대상물(6002) 및 그 수용면(예를 들면, 저면)의 배치를 촉진시키도록 공동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차적 태브(1184)(즉, 착탈가능한 피복재(1181)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 상의 태브(1184))는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패키징 시스템(6000)의 각각의 하측면(6022A 또는 6022B)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는 관련되는 패키징으로 지향되는 힘 벡터를 따라 피복재 제거에 대해 적어도 2 단계의 저항 변화를 제공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단계 변화는 수용면 상의 이미지의 제 1 부분을 노출시키고, 제 2 단계 변화는 수용면 상의 나머지 이미지를 노출시킨다.
도 128-130은 제거에 대한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하는 다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0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201)는 일차적 태브(1204)(예를 들면, 중앙 종단부 또는 자유 섹션) 및 개구(1206)를 가지는 본체 섹션(1205)(예를 들면, 중앙 섹션 or 부착 섹션)을 포함한다. 접착층(1301)은 본체 섹션(1205)의 저면에 적용되고, 개구(1206)를 통해 착탈가능한 피복재(1201)의 상면의 대상물에 노출된다.
제거 중에, 사용자가 일차적 태브(1204)를 잡고,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1201)를 당길 때, 초기에 제거에 대한 저항은 본체 섹션(1205)과 대상물의 표면(이것은 접착층일 수 있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후의 제거 단계에서, 개구(1206)의 우측 및 접착층(1301) 및 대상물의 표면과의 이들의 상호작용은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전형적으로, 접착층(1301)이 더 큰 저항을 제공하므로 제거에 대한 저항은 증가한다.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착탈가능한 피복재(1201)를 더 당김에 따라, 개구(1206)의 점진적으로 더 커지는 폭방향 섹션 및 노출되는 접착층(1301)로 인해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대된다.
이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개구(1206)의 형상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제거에 대한 저항이 변화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특히,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방향의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로 취해지는 소정의 횡단면(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폭 방향 횡단면)에서 개구(1206)가 가지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폭의 백분율은 소정의 제거 단계에서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도시된 물방울 형상의 개구(1206)는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점진적으로 증대된 후, 단부를 향해 다소 급격하게 감소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원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형상의 개구를 채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31은 제거에 대한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하는 다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1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211)는 일차적 태브(1214) 및 본체 섹션(1215)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접착 스트립(1311)은 본체 섹션(1215)에 적용될 수 있다. 본체 섹션(1215)의 상면 및 성형된 접착 스트립(1311)은 전형적으로 대상물의 수용면(예를 들면, 접착층) 상에 배치된다.
제거 중에, 사용자가 일차적 태브(1214)를 잡고,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1211)를 당길 때, 초기에 제거에 대한 저항은 본체 섹션(1215)과 대상물의 표면(이것은 접착층일 수 있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후의 제거 단계에서, 성형된 접착 스트립(1311) 및 이것의 대상물의 표면과의 상호작용은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전형적으로, 성형된 접착 스트립(1311)은 더 큰 저항을 제공하므로 제거에 대한 저항은 증가한다.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착탈가능한 피복재(1211)를 더 당김에 따라, 성형된 접착 스트립(1311)의 점진적으로 더 커지는 폭방향 섹션에 의해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대된다.
이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접착 스트립(1311)의 형상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제거에 대한 저항이 변화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특히,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방향의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로 취해지는 소정의 횡단면(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폭 방향 횡단면)에서 성형된 접착 스트립(1311)이 가지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폭의 백분율은 소정의 제거 단계에서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도시된 물방울 형상의 접착 스트립(1311)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점진적으로 증대된 후, 단부를 향해 다소 급격하게 감소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원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형상의 접착 스트립을 채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32는 제거에 대한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하는 또 다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2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221)는 일차적 태브(1224) 및 본체 섹션(1225)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섹션(1225)은 성형된 코팅 구역(122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섹션(1225)의 상면 및 성형된 코팅 구역(1226)은 전형적으로 대상물의 수용면(예를 들면, 접착층) 상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섹션(1225)은 성형된 코팅 구역(1226)과 상이한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코팅은 박리 코팅(예를 들면, 실리콘화 코팅)일 수 있으나, 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이 코팅은 상이하고, 대상물 상의 접착층과 결합되었을 때 제거에 대한 2 가지 상이한 저항을 제공한다.
제거 중에, 사용자가 일차적 태브(1224)를 잡고,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1221)를 당길 때, 초기에 제거에 대한 저항은 본체 섹션(1225)과 대상물의 표면(이것은 접착층일 수 있다)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후의 제거 단계에서, 성형된 코팅 구역(1226) 및 이것의 대상물의 표면과의 상호작용은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전형적으로, 전형적으로, 성형된 코팅 구역(1226)은 더 큰 저항을 제공하므로 제거에 대한 저항은 증가한다.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착탈가능한 피복재(1211)를 더 당김에 따라, 성형된 코팅 구역(1226)의 점진적으로 더 커지는 폭방향 섹션에 의해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대된다.
이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코팅 구역(1226)의 형상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제거에 대한 저항이 변화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특히,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방향의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로 취해지는 소정의 횡단면(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폭 방향 횡단면)에서 성형된 코팅 구역(12261)이 가지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폭의 백분율은 소정의 제거 단계에서 제거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도시된 물방울 형상의-코팅 구역(1226)은 제거 프로세스 중에 점진적으로 증대된 후, 단부를 향해 다소 급격하게 감소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원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코팅 구역의 형상을 채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133은 제거에 대한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하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는 본체 섹션(1235) 및 (예를 들면, 접착제 차이 및/또는 코팅 박리제 차이를 통해) 이 본체 섹션(1235)보다 높은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가지는 형상의 코팅 구역(1236)을 포함한다. 제거 중에,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의 상단부는 초기에 대상물로부터 제거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로 취해지는 소정의 횡단면(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횡단면)에서 대상물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은 (i) 본체 섹션 및 성형된 코팅 구역의 횡단면 부분의 폭(A, B, 및 C)을 측정하고, (ii) 측정된 폭에 상대적 저항 인자를 곱하고, 다음에 (iii) 이들을 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된 코팅 구역(1236)이 본체 섹션(1215)에 의해 제공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의 2 배의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소정의 횡단면에서 대상물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 = 1A + 2B + 1C.
이러한 관점에서, 도 134는 박리축(즉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을 따라 거리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저항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다음에 성형된 코팅 구역(1236)의 하측의 협폭의 섹션에서 약간 감소한다. 저항이 약간 감소하는 것은 착탈가능한 피복재(1231)가 거의 완전한 제거에 근접했음을 사용자에게 예고 또는 시사해 주는 것이다. 다음에 저항은 대상물의 배치를 용이화하기 위해 제거 프로세스의 말기에서 증대된다.
도 135는 제거에 대한 변화되는 저항을 달성하는 다른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는 본체 섹션(1245) 및 (예를 들면, 접착제 차이 및/또는 코팅 박리제 차이를 통해) 이 본체 섹션(1245)보다 낮은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가지는 형상의 코팅 구역(1246)을 포함한다. 제거 중에,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의 상단부는 초기에 대상물로부터 제거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로 취해지는 소정의 횡단면(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횡단면)에서 대상물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은 (i) 본체 섹션 및 성형된 코팅 구역의 횡단면 부분의 폭(A, B, 및 C)을 측정하고, (ii) 측정된 폭에 상대적 저항 인자를 곱하고, 다음에 (iii) 이들을 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된 코팅 구역(1246)이 본체 섹션(1245)에 의해 제공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의 1/3 배의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소정의 횡단면에서 대상물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 = 3A + 1B + 3C.
이러한 관점에서, 도 136은 박리축(즉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을 따라 거리의 함수로서 대상물로부터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작용력 또는 저항의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은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다음에 착탈가능한 피복재(1241)의 단부에서 성형된 코팅 구역(1246)의 급격히 확대되는 섹션에서 급격하게 감소된다. 제거의 말기의 저항의 감소는 대상물의 배치를 용이화할 수 있다.
도 137-140는 상이한 제거 단계 중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는 일차적 태브(1254), 본체 섹션(1255), 및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을 포함한다. 이 변화되는 접착 구역은 본체 섹션(1255)과 상이한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갖고, 이것은 접착제 강도의 증대 또는 감소, 상이한 박리 코팅, 또는 조직의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37은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를 도시한다.
도 138은 조기 제거 단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의 제 1 부분은 당겨졌고, 제거된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의 일부와 함께 접착 연부(125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접착 연부(1259)는 제거된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의 섹션과 대상물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의 섹션 사이의 경계를 효과적으로 한정한다. 전형적으로 접착 연부(1259)는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에서 취해지는 횡단면이다. 접착 연부(1259)는 사용자에 의한 부정확한 제거로 인해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선에 대해 정확하게 수직이 아닐 수 있다.
도 139는 추가 제거 단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의 더 큰 부분이 당겨졌고, 제거된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의 일부와 함께 접착 연부(125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139의 접착 연부(1259)는 도 138의 접착 연부(1259)보다 큰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의 백분율을 포함하므로, 도 139에 도시된 제거 단계는 도 138에 도시된 제거 단계와 다른 제거에 대한 저항(즉, 본체 섹션(1255)과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 사이의 제거에 대한 상대적 저항에 의존하는 증대되거나 감소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
도 140은 또 다른 제거 단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의 훨씬 더 큰 부분이 당겨졌고, 제거된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의 일부와 함께 접착 연부(125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140의 접착 연부(1259)는 도 139의 접착 연부(1259)와 상이한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의 백분율을 포함하므로, 도 140에 도시된 제거 단계는 도 139에 도시된 제거 단계와 다른 제거에 대한 저항(즉, 본체 섹션(1255과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 사이의 제거에 대한 상대적 저항에 의존하는 증대되거나 감소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
도 141-144는 예시적 대상물(1263)로부터 상이한 제거 단계 중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6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61)는 일차적 태브(1264) 및 본체 섹션(1265)을 포함한다. 예시적 착탈가능한 대상물(1263)은 변화되는 접착 구역(1266)을 가지는 수용면(1262)(예를 들면, 접착층)을 포함한다. 이 변화되는 접착 구역(1266)은 수용면(1262)과 상이한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갖고, 이것은 접착제 강도의 증대 또는 감소, 상이한 박리 코팅, 또는 조직의 변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41은 도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1261)와 예시적 대상물이 부착되기 전의 2 개의 요소를 도시한다. 도 143은 제거 단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26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섹션(1265)의 제 1 부분은 대상물의 수용면(1262)으로부터 당겨졌고, 접착 연부(126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접착 연부(1269)는 제거된 착탈가능한 피복재(1261)의 섹션과 대상물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착탈가능한 피복재(1263)의 섹션 사이의 경계를 효과적으로 한정한다. 전형적으로 접착 연부(1269)는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선에 대해 90 도인 각도에서 취해지는 횡단면이다. 접착 연부(1269)는 사용자에 의한 부정확한 제거로 인해 착탈가능한 피복재가 제거되는 축선에 대해 정확하게 수직이 아닐 수 있다.
도 144는 추가 제거 단계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261)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섹션(1265)의 더 작은 부분이 변화되는 접착 구역(1266)과 접촉하고, 본체 섹션(1265)의 대부분은 접착 연부(1269)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143의 접착 연부(1269)는 도 144의 접착 연부(1269)보다 큰 변화되는 접착 구역(1266)의 백분율을 포함하므로, 도 143에 도시된 제거 단계는 도 144에 도시된 제거 단계와 다른 제거에 대한 저항(즉, 본체 섹션(1265)과 변화되는 접착 구역(1256) 사이의 제거에 대한 상대적 저항에 의존하는 증대되거나 감소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갖는다.
도 137-140 및 도 141-144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비교는 제거에 대한 저항의 변화가 착탈가능한 피복재 상의 변화된 접착 구역(즉, 도 137-140) 또는 대상물 상의 변화된 접착 구역(즉, 141-144)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원하는 제거에 대한 저항을 달성하기 위해 이들 2 개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조합(즉,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대상물의 양자 모두의 변화된 접착 구역)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 145는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11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46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110)을 도시한다. 대상물은 본체 부분(111), 중앙 구역(112)(예를 들면, 중앙 패드), 및 중앙 구역(112)의 양측 상의 2 개의 단부 부분(114, 116)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부분은 대상물(110)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도 145의 평면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도 1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접착층(117, 118)을 통해) 대상물(110)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20) 및 제 2 부착 섹션(122)을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또한 2 개의 손잡이(140, 141)를 포함하고, 이것은 그 중앙 단부(즉, 대상물(110)에 대해 중앙)에서 제 1 부착 섹션(120) 및 제 2 부착 섹션(122)에 각각 연결된다 2 개의 손잡이(140, 141)는 대상물(110)의 하측 및 대상물의 주위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손잡이(140, 141)는 대상물의 중앙 구역(112)의 주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손잡이(140, 141)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또는 대상물(110)의 길이를 따라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140, 141)는 대상물(110)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를 촉진시켜준다. 예를 들면, 손잡이(140, 141)는 도 146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더욱이, 손잡이(140, 141)로 인해 사용자는 대상물(110)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할 수 있고, 또 표면에 부착될 대상물(110)의 일측에 접근하거나 일측을 조작하지 않고도 그 표면에 대상물(110)을 적용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110)의 일부의 구성요소는 도 147-149에 도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147은 대상물(110)로부터의 제거 단계에서 도 145 및 도 1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0, 141)는 외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 초기에, 손잡이(140, 141)가 전형적으로 접착층을 포함하지 않는 중앙 구역(1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부착 섹션(120) 및 제 2 부착 섹션(121)을 당길 때, 제거에 대한 저항은 비교적 낮다. 다음에, 손잡이(140, 141)가 접착층(117, 118)(도 146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147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부착 섹션(120) 및 제 2 부착 섹션(121)을 당길 때, 제거에 대한 저항은 증대된다. 따라서, 중앙 구역(112)은 노출되고, 도 1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예를 들면, 환자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8은 대상물(110)로부의 제거 단계 및 대상물을 표면(129)에 적용하는 단계에서 도 145 및 도 146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0, 141)가 접착층(117, 118)(도 146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148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부착 섹션(120) 및 제 2 부착 섹션(121)을 당기고, 대상물(110)은 표면(129)에 적용된다.
도 1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0, 141)는 대상물(110)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더 당겨질 수 있고, 접착층(117, 118)(도 146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 149에는 도시되지 않음)은 대상물(110)을 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표면(129)에 부착될 수 있다. 저항의 변화 또는 변경을 생성하는 임의의 전술한 메커니즘은 이 예시적 실시형태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50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21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51은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2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대상물(201)은 본체 섹션(211), 중앙 구역(212), 2 개의 단부 섹션(214, 216), 및 중앙 브릿지(205)를 포함한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대상물(210)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을 포함한다.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의 각각은 대상물(210)로부터의 제거를 촉진시키는 대상물(210)의 중앙에 가장 근접하는 그 각각의 단부 상에 태브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예시적 실시형태는 이러한 태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상호결합 태브 메커니즘(예를 들면, 접착층, 핀 및 홀 메커니즘, 슬롯 및 태브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대상물(210)의 중앙에 가장 근접하는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의 단부는 대상물(210)에 부착되지 않는다.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또한 상호결합 연장 섹션(242, 24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결합 연장 섹션(242, 243)은 상호결합하는 상보적 노치를 포함한다. 상호결합 연장 섹션(242, 243)의 상호결합 특성은 주로 표면(예를 들면, 상처)에의 적용 전에 대상물(210)의 상이한 또는 가변적인 정도의 프리텐션을 제공하는 다른 기구 또는 설계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110)의 일부의 구성요소는 도 147-154에 도시되지 않았다.
도 152는 표면에의 적용을 위해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210)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도 150 및 도 151의 예시적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210)의 단부는 상방으로(즉, 표면에 적용될 대상물의 일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었다.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는 중앙 브릿지(20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졌다. 도 153에서,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대상물(210)의 단부는 더욱 상방으로 굴곡되었고, 상호결합 연장 섹션(242, 243)은 상호 결합되었다. 상호결합 연장 섹션(242, 243)을 상호 결합한 후,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은 상처를 포함하는) 표면 상에 중앙 브릿지(205)를 포함하는 대상물(2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은 같은 기간 중에 접착층의 더 큰 섹션을 노출하는 도 152에서 보다 훨씬 더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졌다.
도 154는 표면에 적용될 때 중앙 브릿지(205)를 포함하는 대상물(210)를 도시한다. 상호결합 연장 섹션(242, 243)은 상호 해방되었고, 브릿지(205)는 표면의 전역에 장력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대상물(210) 및/또는 브릿지(205) 상의 접착제는 표면에 대상물(210)을 부착한다.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은 대상물(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2 개의 단부 섹션(214, 216)은 (예를 들면, 접착층을 통해)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52-1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 프로세스의 결과 대상물(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의 섹션은 대상물(210)로부터 제 1 부착 섹션(220) 및 섹션 부착 섹션(222)의 후속되는 완전한 제거를 위한 태브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가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예시적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및/또는"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관련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면은 개략도이고, 반드시 축적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특수 용어는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었고, 제한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예시적 청구항의 실시형태
배킹에 대해
B1. 일정한 제거 속도(또는 힘) 또는 제거 방향에 적용되었을 때 제거에 대한 저항이 상이한 구역을 갖는 대상물(배킹, 대상물 또는 양자 모두 상의 접착제)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B2. 상이한 저항의 구역으로 인해 대상물이 배킹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므로, 대상물의 안정화, 배향, 적용의 도움을 가능하게 하는 대상물로부터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상이한 구역을 갖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B3. B1 및/또는 B2에 따른 착탈가능한 피복재(1251)로서, 변화되는 저항의 메커니즘은 다음을 포함한다:
배킹 내의 절첩부;
배킹 내의 루프(loop);
(접착 강도를 변화시키는) 피복재 또는 대상물 내의 상이한 조직;
상이한 구역(피복재 또는 대상물) 내의 접착제의 상이한 양 또는 강도;
(피봇 또는 힌지와 같은) 피복재에 대한 2 개의 상호작용 층;
배킹에 대한 2 개의 별개의 층;
대상물의 2 개 이상의 표면에 피복재를 부착하는 것;
대상물 자체의 박리(tear away) 부분;
대상물 자체의 일시적 절첩부;
배킹의 방향의 변위; 및/또는
(대상물과 배킹 사이의 상이한) 확장성.
B4. A 착탈가능한 피복재 as in B1-B3 wherein 보조 태브, 루프, 절첩부, 및/또는 기타 형상이 초기 제거 단계 후의 피복재의 최종 제거를 도와주는 B1-B3에서와 같은 착탈가능한 피복재 (2 단계).
B5. 단일의 단계로 제거될 수 있는 B1-B3에서와 같은 착탈가능한 피복재.
포장재(패킹 시스템)에 대해
E1. 대향 단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동축으로 제거되는 포장재로서, 이 포장재는 배킹을 수용하기 위한 표면(예를 들면, 절첩부)을 갖는다.
E2. 배킹의 제거를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포장재.
시스템(포장재 + 피복재)에 대해
S1. 포장재에 가해지는 대향하는 동축의 힘 벡터가 배킹의 섹션 또는 섹션들에 전달되는 시스템.
S2. 포장재 상에 가해지는 이와 같은 힘에 의해 피복재가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그 후 제거에 대한 저항이 증대되는 시스템.
S3. 저항의 증가가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연속적인 증가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시스템.
S4. 저항의 증가가 이차적 힘 점(force point)(예를 들면, 제 2 태브 또는 당김 루프)를 해방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는 시스템.
S5. 저항의 증가가 배치를 위해 대상물을 안정화, 배향, 및/또는 준비하는 시스템.
S6. 피복재 제거를 완료하기 전에, (디바이스 자체에 접촉하지 않고) 대상물이 부분적으로 노출(활성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S7. 패키징 제거를 완료하기 전에, (디바이스 자체에 접촉하지 않고) 대상물이 완전히 노출(활성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S8. 저항의 증가로 인해 포장재/피복재로부터 동일한 정도로 해방되도록 2 개의 하프(half)를 정렬하는 시스템.
S9. 저항의 증가가 보호된 디바이스와 포장재 사이의 내부의 루멘(lumen) 협착에 의해 생성되는 시스템.
S10. 디바이스가 개방될 때, 래핑(wrapping) 상의 디자인의 외관이 개방되는 시스템.
S11. (까꿍하듯이) 얼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손처럼 보이는 시스템.
D1.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대상물(보호된 대상물)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보호용 평면의 피복재;
상기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또는 구조적 기구를 가지는 상기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
배킹의 섹션 또는 구조적 기구에 가해지는 박리 힘 벡터의 적용에 의해 상기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는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
상기 보호된 대상물로부터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제거 힘 벡터가 가해질 때 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부착되는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구성되고, 가해지고, 상기 대상물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디바이스.
D2.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대상물(보호된 대상물)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는 착탈가능한 보호용 평면의 피복재;
상기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 또는 구조적 기구를 가지는 상기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
배킹의 섹션 또는 구조적 기구에 가해지는 박리 힘 벡터의 적용에 의해 상기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는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는 상기 디바이스;
상기 보호된 대상물로부터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극복되어야 하는 힘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제거 힘 벡터가 가해질 때 이 착탈가능한 피복재에 부착되는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구성되고, 가해지고, 상기 대상물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디바이스.
D3.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2 개 이상의 섹션으로 구성되는 패키징 포장재;
상기 섹션은 패키징 디바이스 자체의 대향측에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지향되는 힘 벡터의 적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강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 부착되고;
상기 패키징 포장재는 보호용 피복재의 섹션에 대한 부착부를 가진다.
대향측 사이의 접착제 연결 구역이 패키징 디바이스 자체의 대향측에 가해지는 힘의 축에 대해 180 도로 배향되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대향측 사이의 접착제 연결 구역이 0 내지 180 도의 범위의 각도로 배향되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대향측 사이의 접착제 연결 구역이 패키징 디바이스에의 힘의 적용 시 대향하는 섹션의 분리를 촉진하도록 사각형이 아닌 형상을 갖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부착된 섹션이 상호 좌우 대칭인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부착된 섹션이 상호 좌우 대칭이 아닌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패키징 디바이스의 섹션에 대해 압축력을 가해도 보호된 디바이스에 압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패키징 디바이스의 내부 포켓의 치수가 수용된 대상물의 치수를 초과하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분리될 대향하는 섹션이 분리력의 적용을 촉진하기 위한 루프, 태브, 선형 요소, 스트링, 또는 기타 기구를 명시하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대향하는 섹션이 한 손에 의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세그먼트가 분리될 때 정렬을 돕거나 외관의 변화가 발생되도록, 피규어, 캐릭터, 로고, 단어 또는 기타 대상물과 같은 디자인 요소가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 가시화되는 D3에서와 같은 디바이스.
D4.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향 섹션의 대향측에 대향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대향 섹션을 갖는 D3에서와 같은 패키징 디바이스; 및
대상물에 부착된 D1 및/또는 D2에서와 같은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로서, 부착된 대상물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수용되는,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
여기서, 패키징 디바이스의 대향 섹션의 분리에 의해, 노출된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 디바이스를 후속하여 분리시키는 분리력이 착탈가능한 피복재 디바이스에 전달되도록, 착탈가능한 피복재 디바이스의 구역은 패키징 디바이스의 구역에 부착된다.
D5.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향 섹션의 대향측에 대향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대향 섹션을 갖는 D3에서와 같은 패키징 디바이스; 및
대상물에 부착된 D1 및 D2에서와 같은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로서, 부착된 대상물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수용되는,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
여기서, 패키징 디바이스의 대향 섹션의 분리에 의해,
패키징 시스템과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상호작용이 개방력에 도달하는 저항의 증가를 나타내는 점(point)에서 노출된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 디바이스를 후속하여 분리시키는 분리력이 착탈가능한 피복재 디바이스에 전달되도록, 착탈가능한 피복재 디바이스의 구역은 패키징 디바이스의 구역에 부착된다.
D6.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향 섹션의 대향측에 대향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대향 섹션을 갖는 D3에서와 같은 패키징 디바이스; 및
대상물에 부착된 D1 및 D2에서와 같은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로서, 부착된 대상물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수용되는,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
여기서, 패키징 디바이스에 가해졌을 때 개방력에 도달하는 저항의 증가가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패키징 디바이스 및 수용된 보호용 피복재의 제거 중에 발생하도록,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변화된 폭의 영역을 나타낸다.
D7.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향 섹션의 대향측에 대향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대향 섹션을 갖는 D3에서와 같은 패키징 디바이스; 및
대상물에 부착된 D1 및 D2에서와 같은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로서, 부착된 대상물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수용되는, 착탈가능한 보호용 피복재;
여기서, 패키징 디바이스에 가해졌을 때 개방력에 도달하는 저항의 증가가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패키징 디바이스 및 수용된 보호용 피복재의 제거 중에 발생하도록, 패키징 디바이스의 섹션 내의 내부 공간 폭은 변화된 크기의 영역을 나타낸다.
D8. 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한다:
대향 섹션의 대향측에 대향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는 대향 섹션을 갖고, 패킹 디바이스의 내측 여백 사이의 폭이 균일하지 않은, D3에서와 같은 패키징 디바이스;
균일하지 않은 폭 또는 횡단면적을 갖는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수용되는 대상물;
상기 수용된 대상물의 더 넓은 섹션과 패키징 시스템(2020) 내의 더 좁은 내부의 비교에 의해 패키징 제거의 저항의 증가가 발생하도록, 상기 패키징 디바이스의 대향 섹션이 개방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대상물.
제거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양이 증가되는 저항의 점에서 제한되도록 보호용 패키징 디바이스의 제거 저항의 변화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도와주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보호용 패키징 디바이스의 제거 저항의 변화가 적용, 배치, 활성화 또는 활용을 위해 수용된 대상물을 안정화, 활성화, 준비 및 배향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보호용 패키징 디바이스의 제거 중의 저항의 변화에 의해 수용된 대상물에 분산력 또는 비틀림 힘의 전달이 가능해지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패키징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제거 후에 가해진 개방력의 증가가 개방력에 대한 저항의 증가를 극복하는, 그리고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패키징 디바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패키징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제거 후에 가해진 개방력의 증가가 개방력에 대한 저항의 증가를 극복하는, 그리고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패키징 디바이스의 나머지 부분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패키징 디바이스 및 부착된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부분적인 제거 후에 패키징 디바이스 또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상에 이차적 점(secondary point)까지 개방력을 가함으로써 패키징 디바이스 및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나머지 부분을 제거되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증가된 개구 저항의 점에 이르는 패키징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제거 후에 패키징 디바이스의 이차적 점까지 개방력을 가함으로써 보호된 디바이스로부터 패키징 디바이스의 나머지 부분이 제거될 수 있는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개방력을 가함으로써 패키징 시스템의 세그먼트 상의 디자인 요소가 분리되어 시스템의 외관의 변화를 생성하도록 피규어, 캐릭터, 로고, 단어 또는 기타 대상물과 같은 디자인 요소가 패키징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 가시화되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피규어, 캐릭터, 로고, 단어 또는 기타 대상물과 같은 디자인 요소가 패키징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 가시화되는 D4, D5, D6, D7 및/또는 D8과 같은 시스템.
여기서, 피규어, 캐릭터, 로고, 단어 또는 기타 대상물과 같은 디자인 요소는 수용된 보호된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 존재하고;
수용된 보호된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상기 디자인 요소는 상기 보호된 디바이스가 비개방 상태의 패키징 디바이스 내에 잔류하는 중에 가시화되지 않고;
개방력을 가함으로써 패키징 디바이스의 세그먼트 상의 상기 디자인 요소는 분리되고, 동시에 상기 보호된 디바이스 상의 디자인 요소가 노출된다.

Claims (15)

  1. 대상물(1003)을 위한 실질적으로 평면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로서,
    상기 대상물(1003)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1007);
    상기 대상물(1003)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05); 및
    상기 대상물(1003)에 부착되는 제 2 부착 섹션(1006)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 섹션(1005) 및 상기 제 2 부착 섹션(1006)은 상기 제 1 자유 섹션(1007)의 대향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는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1001)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제 1 부착 섹션(1005)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최종 부착 구역 다음으로 큰, 착탈가능한 피복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최종 부착 구역 다음으로 크도록,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6. 대상물(1013)을 위한 실질적으로 평면의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로서,
    상기 대상물(1013)에 부착되는 제 1 부착 섹션(1016);
    상기 대상물(1013)에 부착되지 않는 태브 섹션(1018);
    상기 대상물(1013)에 부착되지 않는 제 1 자유 섹션(1017); 및
    상기 대상물(1013)에 부착되지 않는 제 2 자유 섹션(1019)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유 섹션(1017) 및 상기 제 2 자유 섹션(1019)은 (i) 상기 제 1 부착 섹션(1016)의 대향 단부 및 (ii) 상기 태브 섹션(1018)의 동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는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1011)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대상물(1013)로부터 상기 제 1 부착 섹션(1016)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를 허용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은 최종 부착 구역 다음으로 큰, 착탈가능한 피복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상이한 부착 구역에서 변화되도록,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제거에 대한 저항이 최종 부착 구역 다음으로 크도록,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상기 대상물에 부착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은 수용면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i) 상기 대상물의 수용면의 1/2을 피복하는 좌측, 및 (ii) 상기 대상물의 수용면의 다른 1/2을 피복하는 우측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좌측은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우측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섹션은,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제거에 대한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저항이 변화되도록, 상기 대상물에 대면하는 가변 조직의 표면을 갖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섹션은 상기 대상물로부터 제거에 대한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저항이 변화되도록 상기 대상물에 대면하는 변화되는 박리 코팅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는 상기 대상물보다 약한 탄성을 갖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1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두께는, 상기 대상물로부터 제거에 대한 상기 착탈가능한 피복재의 저항이 변화되도록, 상기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변화되는, 착탈가능한 피복재.
KR1020147011429A 2011-10-20 2012-10-19 착탈가능한 피복재 KR102022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9317P 2011-10-20 2011-10-20
US61/549,317 2011-10-20
US201161561522P 2011-11-18 2011-11-18
US61/561,522 2011-11-18
US201261654748P 2012-06-01 2012-06-01
US61/654,748 2012-06-01
PCT/US2012/061033 WO2013059600A1 (en) 2011-10-20 2012-10-19 Removable covering and interactive packag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649A Division KR20190107760A (ko) 2011-10-20 2012-10-19 착탈가능한 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944A true KR20140077944A (ko) 2014-06-24
KR102022573B1 KR102022573B1 (ko) 2019-09-18

Family

ID=481413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649A KR20190107760A (ko) 2011-10-20 2012-10-19 착탈가능한 피복재
KR1020147011429A KR102022573B1 (ko) 2011-10-20 2012-10-19 착탈가능한 피복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649A KR20190107760A (ko) 2011-10-20 2012-10-19 착탈가능한 피복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092455B2 (ko)
EP (1) EP2768454B1 (ko)
JP (2) JP6203185B2 (ko)
KR (2) KR20190107760A (ko)
CN (2) CN105963075B (ko)
AU (2) AU2012325922B2 (ko)
BR (1) BR112014009112B1 (ko)
CA (1) CA2850521C (ko)
WO (1) WO2013059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236205B2 (en) 2011-03-31 2016-08-25 Brijjit Medical, Inc. Force modulating tissue bridge
CN105963075B (zh) 2011-10-20 2019-10-15 佛尔蒙特·伊夫斯 可移除的覆盖物及交互包装
CN104797202B (zh) 2012-11-16 2017-10-17 佛尔蒙特·F·伊夫斯 用于将线状元件紧固到工件的固定装置
FR3009188B1 (fr) * 2013-08-05 2017-02-17 Urgo Lab Dispositif applicateur de pansement interface
WO2015055289A2 (en) * 2013-10-16 2015-04-23 Cheshire Cat B.V. Packaging for non-touch application
US20160022402A1 (en) * 2014-07-03 2016-01-28 Houman Soloma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adhesive medical mesh deployment
WO2016072358A1 (ja) * 2014-11-04 2016-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GB2540955A (en) * 2015-07-31 2017-02-08 Polarseal Tapes & Conv Ltd Patch for person's skin
US20190099300A1 (en) * 2016-03-31 2019-04-04 Senju Usa, Inc. Adhesive skin patch
CN109862833B (zh) 2016-10-21 2023-03-28 埃姆格公司 调整力的组织间桥、相关工具、套件和方法
EP3434190A1 (en) * 2017-07-26 2019-01-30 Koninklijke Philips N.V. Skin-mountable device and mounting method
US20190046370A1 (en) * 2017-08-09 2019-02-14 Jeffrey Coleman Dispenser for a sterile bandage on a continuous roll
USD862695S1 (en) 2017-10-20 2019-10-08 Emrge, Llc Medical tool for use in applying medical article
USD876641S1 (en) 2017-10-20 2020-02-25 Emrge, Llc. Medical article for treating a wound and/or scar tissue
JP7114271B2 (ja) * 2018-02-26 2022-08-0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貼付用補助具
EP3813750B1 (en) 2018-06-28 2022-03-02 KCI Licensing, Inc. Release liner with edge protection
WO2020014310A1 (en) * 2018-07-13 2020-01-16 Kci Licensing, Inc. Advanced wound dressing with compression and increased total fluid handling
JP2022500106A (ja) * 2018-09-06 2022-01-04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適応可能接着性創傷被覆材
CA3153899A1 (en) 2019-10-11 2021-04-15 Felmont F. Eaves Medical device for applying force on biological tissue, or the like
CN111616861A (zh) * 2020-07-02 2020-09-04 杨永华 一种非接触性立体创面敷贴
CN112315671B (zh) * 2020-12-07 2022-03-25 贵州卡布婴童用品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折叠吸收部的耐用纸尿裤
USD980434S1 (en) 2021-01-14 2023-03-07 Emrge, Llc Medical article for treating a wound and/or scar tissu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122U (ko) * 1987-12-29 1989-07-13
JPH02262515A (ja) * 1988-11-30 1990-10-25 Sherwood Medical Co 傷用包帯
JPH08257057A (ja) * 1995-03-20 1996-10-08 Nichiban Co Ltd 医療用貼付材
WO2000010492A1 (en) * 1998-08-19 2000-03-02 Tor Petterson Package for housing a self-adhesive bandage
JP2003325575A (ja) * 1999-11-12 2003-11-18 Akira Yamato パッド付き傷保護用粘着シート
KR100693214B1 (ko) * 2004-12-13 2007-03-13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반창고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264A (en) 1905-02-27 1906-03-13 Joseph E Chambers Suture-bridge.
FR419096A (fr) 1910-08-09 1910-12-26 Andre Lenormand Attache métallique pour sutures
US1248450A (en) 1917-03-22 1917-12-04 Alfred Burke Hair ornament.
US1908229A (en) 1932-05-12 1933-05-09 F H Noble & Co Fastener for soft collars and other articles
FR794710A (fr) 1935-09-11 1936-02-24 Pince pour suture chirurgicale
US2254620A (en) 1939-11-14 1941-09-02 George I Miller Clip
US2371978A (en) 1941-12-13 1945-03-20 Roy G Perham Clamp for retaining the edges of a wound in apposition
US2341121A (en) 1942-09-03 1944-02-08 Waldes Kohinoor Inc Clip
US2421193A (en) 1943-08-02 1947-05-27 Cleveland Clinic Foundation Surgical dressing
US2679671A (en) 1952-03-03 1954-06-01 Jr Guy S Garber Elastic clamp
US2912735A (en) 1957-02-14 1959-11-17 Tidy Pin Company Inc Diaper fastener
US3014483A (en) 1959-10-26 1961-12-26 Avco Corp Surgical bridge for supporting sutures
US3120687A (en) 1960-01-18 1964-02-11 Paul K Greening Spring clip for diapers and the like
US3068870A (en) 1960-03-18 1962-12-18 Levin Abraham Wound clip
US3082773A (en) 1961-09-21 1963-03-26 Tip Top Products Company Hair clip
US3487836A (en) 1968-07-16 1970-01-06 Benjamin W Niebel Surgical strip stitch
US3625220A (en) 1969-10-07 1971-12-07 Horizon Ind Ltd Extendible suture guard
US3695271A (en) 1970-06-03 1972-10-03 Technalytics Inc Retention suture bridge
US3831608A (en) 1972-11-24 1974-08-27 Bio Medicus Inc Suture bridges
US3861008A (en) 1973-04-05 1975-01-21 Arne T Wannag Clamp for surgical purpose, preferably for holding together fabrics serving to limit an operation field
US4011639A (en) 1974-04-24 1977-03-15 Wilson Manufacturing Corporation Clip
US3901239A (en) * 1974-07-18 1975-08-26 Johnson & Johnson Disposable diaper with permanently attached adhesive tabs and permanently attached cover strips
US4264008A (en) 1977-11-21 1981-04-28 Kozlow William J Adhesive bandage and package
USD260681S (en) 1979-01-02 1981-09-08 Technalytics, Inc. Retention suture bridge
US4275736A (en) 1979-01-02 1981-06-30 Technalytics, Inc. Retention suture bridge
US4702251A (en) 1982-04-12 1987-10-27 Kells Medical, Incorporated Wound closure device
US4506669A (en) 1982-09-22 1985-03-26 Blake Joseph W Iii Skin approximator
US4539990A (en) 1983-09-16 1985-09-10 Stivala Oscar G Sutureless closure system
USD293717S (en) 1985-05-14 1988-01-12 Proulx Raymond E Venipuncture site protector
US4646731A (en) 1985-05-20 1987-03-03 Brower Arthur B Self adhesive suture and bandage
US4742826A (en) 1986-04-07 1988-05-10 Mclorg Anthony B Cicatrisive strip with bias
JPS62252495A (ja) 1986-04-24 1987-11-04 Nitto Electric Ind Co Ltd 伸縮性布接着テ−プ
US4815468A (en) 1987-01-09 1989-03-28 Annand David S Sutureless closure
US4825866A (en) 1987-08-27 1989-05-02 Robert Pierce Wound closure device
JPH01104122A (ja) 1987-10-17 1989-04-21 Nakajima Seisakusho:Kk 捕鳥装置
US5230701A (en) 1988-05-13 1993-07-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omeric adhesive and cohesive materials
JPH074806Y2 (ja) * 1988-08-11 1995-02-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性ドレッシングシート
US5074293A (en) * 1988-11-30 1991-12-24 Sherwood Medical Company Wound dressing having peeling-force varying release liners
JPH02189147A (ja) 1989-01-17 1990-07-25 Haruo Yoshida 救急絆創膏
US5127412A (en) 1990-03-14 1992-07-07 Cosmetto Aristodeme J Skin tensioning
US5366480A (en) 1990-12-24 1994-11-22 American Cyanamid Company Synthetic elastomeric buttressing pledget
US5176703A (en) 1991-10-30 1993-01-05 Peterson Meldon L Sutureless closure for a skin wound or incision
DK0612232T3 (da) * 1991-11-06 1999-11-08 Bioderm Inc Tillukkende sårforbinding samt applikator
US5578026A (en) * 1992-06-30 1996-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unitary release material
USD354134S (en) 1993-04-13 1995-01-03 Menicon Co., Ltd. Pincette for an ocular lens
USD359144S (en) 1993-04-21 1995-06-06 Janelle L. Healzer Combined hair clasp and garland retainer
US5630430A (en) 1993-07-16 1997-05-20 Tecnol Medical Products, Inc. Wound closure device
GB2311096B (en) * 1993-08-17 1998-03-04 Kimberly Clark Co Mechanical fastening tapes and method for their construction
US5441540A (en) 1993-09-20 1995-08-15 Kim; Paul S.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tissue expansion
US5397297A (en) * 1994-02-28 1995-03-14 Hunter; Theodore K. Adhesive bandage with improved application system
US5489083A (en) 1994-04-18 1996-02-06 Rollor; Edward A. Apparatus for moving mechanical objects away from each other
DE4433450A1 (de) * 1994-09-20 1996-03-21 Wim Dr Med Fleischmann Vorrichtung zum Versiegeln eines Wundgebietes
US5562705A (en) 1995-05-23 1996-10-08 Whiteford; Carlton L. Sutureless wound closure device
US5709243A (en) * 1995-11-20 1998-01-20 Aeroquip Corporation Low spill female coupling
US5733251A (en) * 1996-08-20 1998-03-31 Medical Device Designs, Inc. Pop top dressing applicator
US6196228B1 (en) 1996-11-26 2001-03-06 Cns, Inc. Nasal dilator
US5775345A (en) 1997-06-23 1998-07-07 Chou; Kuo-Hua Hair clip
US5947998A (en) 1997-09-30 1999-09-07 Technical Alternatives, Ltd. Wound closure strips and packages thereof
CA2244017A1 (en) 1998-07-28 2000-01-28 Stephane Tetreault Moisture-curable adhesive suture strip
USD407489S (en) 1998-08-12 1999-03-30 Southington Tool & Mfg. Corp. Surgical staple remover
US5947917A (en) 1998-08-28 1999-09-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Adhesive bandage or tape
US6159497A (en) * 1998-10-30 2000-12-12 Noven Pharmaceuticals, Inc. Patch applicator
FR2794969B1 (fr) * 1999-06-16 2002-01-18 Technosphere Sarl Pansement adhesif
FR2801188B1 (fr) 1999-11-22 2002-11-08 Didier Detour Dispositif permettant la fermeture non traumatique, sans suture, des bords ouverts d'une plaie de la peau d'un mammifere
US7066182B1 (en) 2000-09-27 2006-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formable adhesive wound closures
US20020111641A1 (en) 2001-01-08 2002-08-15 Incisive Surgical, Inc. Bioabsorbable surgical clip with engageable expansion structure
US6894204B2 (en) 2001-05-02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pered stretch removable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US6765123B2 (en) * 2001-12-21 2004-07-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multilayered wound dressings
DK174983B1 (da) 2002-04-10 2004-04-05 Hollister Inc Tømbar stomipose med integreret lukke
US20030221700A1 (en) 2002-06-04 2003-12-04 La Fauci Mary G. Hair clip for firmly holding hair
US7110117B2 (en) 2002-06-28 2006-09-19 Seethrough Ltd. Hair color measurement and treatment
US7332641B2 (en) 2003-10-10 2008-02-19 Clozex Medical Llc Interlac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US7118545B2 (en) * 2003-10-14 2006-10-10 Boyde Sandra M Wound dressing retainer and fastening device
US6966103B2 (en) 2004-03-03 2005-11-22 Gould Sheldon D Fastening system
US20060200198A1 (en) 2004-08-31 2006-09-07 Riskin Daniel J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tissue opening
US8157839B2 (en) 2004-08-31 2012-04-17 Wadsworth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losing a tissue opening
USD530420S1 (en) 2004-09-03 2006-10-17 Medical Components, Inc. Suture wing
AU2006247595B2 (en) 2005-05-12 2012-02-09 Canica Design Inc. Dynamic tensioning system and method
US20100081983A1 (en) 2005-12-23 2010-04-01 Biosara Corporation Wound guard bandage
WO2008019051A2 (en) 2006-08-03 2008-02-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vices and bandage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scars and/or keloid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CA2702338C (en) 2007-10-11 2016-11-08 Spiracur, Inc.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 and methods of use
WO2009051472A1 (en) 2007-10-16 2009-04-23 Eurotape B.V. Device for adhering to the skin of a patient
EP2397093B1 (en) 2007-11-02 2015-12-02 Biomet C.V. Elbow fracture fixation system
ITMI20072156A1 (it) 2007-11-13 2009-05-14 Biofarmitalia Spa Cerotto nasale
US7665191B2 (en) 2007-12-14 2010-02-23 Gould Sheldon D Integral fastening system
KR20090066415A (ko) 2007-12-20 2009-06-24 이기웅 흉터 방지용 탄력 밴드
TWM340039U (en) 2008-03-19 2008-09-11 xu-zheng Fang Recovery bandage for wounds without suture
MX366624B (es) * 2008-04-29 2019-07-16 Celanese Int Corp Sistema de carbonilacion de metanol que tiene un absorbedor con multiples opciones de disolvente.
US20100051046A1 (en) 2008-08-29 2010-03-04 The Pink Hippo Inc. Hair retention system
US20100236566A1 (en) 2009-02-20 2010-09-23 Barbara Carey Stachowski Butterfly clip
EP2416816B1 (en) 2009-04-10 2014-10-15 Spiracur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US8444614B2 (en) 2009-04-10 2013-05-21 Spiracur,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closed incisio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N101606856B (zh) 2009-07-07 2011-12-28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生物组织夹具装置
DE102009036165A1 (de) 2009-07-28 2011-02-03 Karl Storz Gmbh & Co. Kg Vorrichtung zum Dehnen von Gewebebereichen
US8151808B2 (en) 2009-07-29 2012-04-10 Jui-Ming Tu Elastic hair clip
CA2770834C (en) 2009-08-11 2016-11-22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dressing applicators
US8936628B2 (en) 2009-08-17 2015-01-20 Kls-Martin, L.P. Suture-retaining sternal clamp assembly
KR101136933B1 (ko) * 2010-02-11 2012-04-20 김유은 한 손으로 쉽게 부착가능한 일회용 반창고
CN101828939B (zh) 2010-06-02 2011-12-21 张升平 皮肤伤口锁合器
CN201683935U (zh) 2010-06-02 2010-12-29 张升平 皮肤伤口锁合器
CN201806846U (zh) * 2010-10-14 2011-04-27 上海万霖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可单手操作的创可贴
BR112013016440A2 (pt) 2010-12-29 2016-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tira elástica, substrato elástico e método de fixação de uma tira
US8637726B2 (en) 2011-01-02 2014-01-28 Omnitek Partners Llc Shape and pressure adjustable dressing
AU2012236205B2 (en) 2011-03-31 2016-08-25 Brijjit Medical, Inc. Force modulating tissue bridge
EP2704639A4 (en) 2011-05-03 2015-07-08 Dermaclip Internat Ltd DEVICES FOR SAFELY CLOSING TISSUE OPENINGS HAVING MINIMUM MINIMIZED HEALING
US9974532B2 (en) 2011-09-23 2018-05-22 Surgical Perspective Sas Clip for organ retraction dur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CN105963075B (zh) 2011-10-20 2019-10-15 佛尔蒙特·伊夫斯 可移除的覆盖物及交互包装
US10123800B2 (en) 2011-11-01 2018-11-13 Zipline Medical, Inc.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US9050086B2 (en) 2011-11-01 2015-06-09 Zipline Medical, Inc.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US8323313B1 (en) 2011-11-01 2012-12-04 Zipline Medical, Inc. Surgical incision and closure apparatus with integrated force distribution
WO2013086525A2 (en) 2011-12-08 2013-06-13 Iridex Coporation Fasteners,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for ophthalmic tissue closure and fixation of ophthalmic prosthesis and other uses
US10213350B2 (en) 2012-02-08 2019-02-26 Neodyne Biosciences, Inc. Radially tensioned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D671265S1 (en) 2012-03-16 2012-11-20 Rust Innovations, Llc Hair clip
USD674544S1 (en) 2012-03-16 2013-01-15 Rust Innovations, Llc Hair clip
USD667167S1 (en) 2012-03-16 2012-09-11 Rust Innovations, Llc Hair clip
EP2852419B1 (en) 2012-05-22 2019-11-20 Smith & Nephew plc Wound closure device
US10751050B2 (en) 2012-06-15 2020-08-25 University Of Washington Microstructure-based wound closure devices
USD683860S1 (en) 2012-11-27 2013-06-04 Air Cradle, LLC Hand-supported flexible chin sling
USD690020S1 (en) 2012-11-27 2013-09-17 Air Cradle, LLC Hand-supported flexible chin sling
CN103892877A (zh) 2012-12-27 2014-07-02 吴崇芳 皮肤减张器
WO2014116281A1 (en) 2013-01-25 2014-07-31 Patenaude Bart Atraumatic wound care and closure system
US9138244B2 (en) 2013-02-27 2015-09-22 Biomet C.V. Dynamic compression plate
US20140336701A1 (en) 2013-05-09 2014-11-13 Anthony Barr McLorg C-spring suture for primary closure of surgical incisions
US9517163B2 (en) 2013-07-03 2016-12-13 3K Anesthesia Innovations, Llp Pre-stressed pressure device
USD780317S1 (en) 2014-07-30 2017-02-28 Joseph Vandervoort Above-the-eyebrow adhesive strip sweatband
US10709809B2 (en) 2014-12-30 2020-07-14 Michel HEYMANS Multi-layer adhesive tape to compress and contract a scar
US10064616B2 (en) 2015-07-17 2018-09-04 William Lear Variable stiffness suture bridges compatible with various suture patterns
CN205144638U (zh) 2015-10-16 2016-04-13 王晓梅 医用缝合锁扣
CN105147344B (zh) 2015-10-19 2018-12-21 张新平 皮肤伤口辅助愈合装置
US20180353335A1 (en) 2015-11-09 2018-12-13 Dale Norman Walker Wound treatment device for treating a skin wound and a method of treating a skin wound
USD790072S1 (en) 2015-12-15 2017-06-20 Eugene Lloyd Hiebert Cervical collar
JP2019513070A (ja) 2016-03-01 2019-05-23 キトテック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創傷閉鎖のための微細構造に基づく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D811609S1 (en) 2016-05-22 2018-02-27 Tracey Jean Huff Bandage clip
USD831220S1 (en) 2016-08-31 2018-10-16 Tactile Systems Technology, Inc. Head garment
CN109862833B (zh) 2016-10-21 2023-03-28 埃姆格公司 调整力的组织间桥、相关工具、套件和方法
USD862695S1 (en) 2017-10-20 2019-10-08 Emrge, Llc Medical tool for use in applying medical article
USD876641S1 (en) 2017-10-20 2020-02-25 Emrge, Llc. Medical article for treating a wound and/or scar tissue
CA3153899A1 (en) 2019-10-11 2021-04-15 Felmont F. Eaves Medical device for applying force on biological tissue, or the lik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122U (ko) * 1987-12-29 1989-07-13
JPH02262515A (ja) * 1988-11-30 1990-10-25 Sherwood Medical Co 傷用包帯
JPH08257057A (ja) * 1995-03-20 1996-10-08 Nichiban Co Ltd 医療用貼付材
WO2000010492A1 (en) * 1998-08-19 2000-03-02 Tor Petterson Package for housing a self-adhesive bandage
JP2003325575A (ja) * 1999-11-12 2003-11-18 Akira Yamato パッド付き傷保護用粘着シート
KR100693214B1 (ko) * 2004-12-13 2007-03-13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반창고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573B1 (ko) 2019-09-18
AU2017208314B2 (en) 2019-04-04
CN105963075B (zh) 2019-10-15
JP6474468B2 (ja) 2019-02-27
US20190038474A1 (en) 2019-02-07
EP2768454A1 (en) 2014-08-27
JP6203185B2 (ja) 2017-09-27
CA2850521A1 (en) 2013-04-25
BR112014009112A2 (pt) 2017-05-23
EP2768454B1 (en) 2018-04-18
CN103889384A (zh) 2014-06-25
US20220142823A1 (en) 2022-05-12
KR20190107760A (ko) 2019-09-20
CN105963075A (zh) 2016-09-28
US11229555B2 (en) 2022-01-25
AU2012325922B2 (en) 2017-06-01
AU2017208314A1 (en) 2017-08-17
US20140227483A1 (en) 2014-08-14
CA2850521C (en) 2020-08-25
EP2768454A4 (en) 2015-06-24
AU2012325922A1 (en) 2014-04-10
US10092455B2 (en) 2018-10-09
WO2013059600A1 (en) 2013-04-25
JP2017221746A (ja) 2017-12-21
BR112014009112B1 (pt) 2021-06-01
JP2014530721A (ja) 2014-11-20
CN103889384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7944A (ko) 착탈가능한 피복재 및 상호 작용 패키징
US20110070391A1 (en) Releasably adhesive tapes
JP5036385B2 (ja) フィルムドレッシング
WO1997043991A1 (en) A dressing comprising a main part and a handle part
AU2008363029B2 (en) Film dressing
US8822751B2 (en) Adhesive bandage with barrier tear away tabs
JP4260800B2 (ja) 絆創膏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95050A1 (en) Catheter and medical tubing securement device
JP2007126425A (ja) 貼付剤
KR20200000706U (ko) 반창고 세트
GB2421188A (en) Improved adhesive dressing
JP5860097B2 (ja) 鎮痛消炎貼付剤
JP2006225313A (ja) 剥離補助貼付材及び剥離補助貼付材の使用方法
JP2006265128A (ja) 剥離補助貼付材及び剥離補助貼付材の使用方法
JP2005021542A (ja) 救急絆創膏
JP2006326004A (ja) 湿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30313A (ja) 救急用絆創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