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601A - 영유아 수용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수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601A
KR20140075601A KR1020130150335A KR20130150335A KR20140075601A KR 20140075601 A KR20140075601 A KR 20140075601A KR 1020130150335 A KR1020130150335 A KR 1020130150335A KR 20130150335 A KR20130150335 A KR 20130150335A KR 20140075601 A KR20140075601 A KR 2014007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rtion
inner container
infant
shaft member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20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0872B2/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유모차 등의 운반차체에 장착한 경우에, 충격으로부터 영유아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영유아 수용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 영유아 수용구(1)는, 2중 구조이고, 외 용기부(10)와, 외 용기부(10) 내에 배치되고, 영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내 용기부(20)를 구비한다. 영유아 수용구(1)는, 이들 외 용기부(10)와 내 용기부(20)를 연결하고, 내 용기부(2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재(40)를 또한 구비한다. 내 용기부(10) 및 외 용기부(20)가,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각각, 한쪽 방향으로 길고, 한쪽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쪽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 축부재(40)의 축선은, 어느 형태에 있어서, 긴변 방향인 한쪽 방향으로 연재된다.

Description

영유아 수용구{INFANTS CARRYING THING}
본 발명은, 영유아(infants) 수용구(carrying thing)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나 유모차 등의 운반차체에 장착 가능한 영유아 수용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 시트에 장착 가능한 영유아 수용구에서는, 급 브레이크나 충돌 사고 등의 이상 사태 시에 있어서도, 수용구 내의 영유아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이상 사태 시에 영유아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예를 들면 영국 특허 제1518108호 명세서(특허 문헌 1)에서는, 영유아가 수용되는 강고한 수용부(rigid enclosure)가, 차량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랫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실개평1-89061호 공보(특허 문헌 2)에서는, 영유아가 수용되는 반원호 형상의 바스켓이, 반원호 형상의 프레임의 가동대와 연동함으로써, 차와 평행 방향의 힘이 원심력으로 변환되어 반원 운동을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영국 특허 제1518108호 명세서 특허 문헌 2 : 일본 실개평1-89061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의 차량탑재용의 영유아 베드에서는, 플랫 베이스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측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수용부의 측벽은, 전후 방향에서 벗겨져 나간 상태이다. 따라서 전방 차로의 충돌 사고 등과 같이 강한 충격이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 단체(單體)로 외력에 견디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차량탑재용의 영유아 베드에서는, 반원호 형상의 바스켓이 반원운동 하기 때문에, 강한 충격이 있는 경우에는, 영유아의 총 이동 거리가 커진다. 그 때문에, 특히, 6개월 미만의 유아에게서는 신체에의 부담이 크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이나 유모차 등의 운반차체에 장착한 경우에, 충격으로부터 영유아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영유아 수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영유아 수용구는, 외(外) 용기부와, 외 용기부 내에 배치되고, 영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내(內) 용기부와, 외 용기부와 내 용기부를 연결하고, 내 용기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의 축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의 축부재는, 내 용기부의 대향하는 벽부분을, 외 용기부 상에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내 용기부 및 외 용기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각각, 한쪽 방향으로 길고, 한쪽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쪽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갖고 있다. 제1의 축부재의 축선은, 한쪽 방향으로 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1의 축부재의 축선은, 다른 쪽 방향으로 연재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내 용기부는, 외 용기부 상에 지지되는 제1의 내 용기부와, 제1의 내 용기부 상에 지지되는 제2의 내 용기부를 포함하고, 제1의 축부재는, 외 용기부와 제1의 내 용기부를 연결한다. 이 경우, 영유아 수용구는, 제1의 내 용기부와 제2의 내 용기부를 연결하고, 제2의 내 용기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의 축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의 축부재의 축선과 제2의 축부재의 축선은,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외 용기부는, 제1의 축부재를 지지하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구멍부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양단이, 외 용기부의 대향하는 벽부분에 장착되고, 외 용기부의 상방 공간을 늘어나는 손잡이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외 용기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를 또한 구비한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의 전단부분부터 차량의 바닥면에 당접 할 때까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레그 서포트 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의 축부재는, 내 용기부를 들어 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내 용기부는, 영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면과, 영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이 개략 플랫한 관계로 연재되는 베드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 용기부는, 영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면에 대해, 영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이 세워진 의자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내 용기부는, 시트면부의 이면이 제1의 축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을 가지며, 외 용기부는, 원통면에 당접하는 원통받이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 용기부 및 내 용기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통상 상태에서의 내 용기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내 용기부는, 외 용기부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 용기부가 외 용기부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영유아 수용구가 운반차체에 장착된 경우에, 충격으로부터 영유아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영유아 수용구가 베드 형상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들어나를 때에 있어서도, 내 용기부 내의 영유아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부분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축부재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
도 6은 축부재의 장착을 로크하는 회전 로크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축부재의 장착을 로크하는 회전 로크 부재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외 용기부의 한쪽의 측면에 장착된 회전 로크 부재를 외측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
도 9는 외 용기부의 다른 쪽의 측면에 장착된 회전 로크 부재를 내측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
도 10은 회전 로크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차량 시트에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비교예에서의 영유아용 베드의 차량 시트에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축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서, 영유아용 베드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서, 차량의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의 영유아용 베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에서의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에서, 차량의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의 영유아용 베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영유아용 의자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영유아용 의자의 통상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영유아용 의자가 요동하는 양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의 영유아 수용구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육아 기구이고, 차량이나 유모차 등의 운반차체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다. 영유아 수용구는, 적어도, 영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면과, 영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갖고 있으면 좋으며, 시트면 및 등받이면이 개략 플랫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시트면에 대해 등받이면이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즉, 영유아 수용구는, 베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유아를 눕힌 상태로 수용하여도 좋고, 의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유아를 앉게 한 상태로 수용하여도 좋다. 또한, 영유아 수용구가 특히 베드 형상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캐리콧(carycot)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가반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우선, 베드 형상으로 형성된 영유아 수용구(이하 「영유아용 베드」라고 한다)의 실시의 형태 1 내지 4에 관해 설명한다. 의자형 형상으로 형성된 영유아 수용구(이하 「영유아용 의자」라고 칭함)에 관해서는, 실시의 형태 5로서 뒤에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에 관해)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영유아용 베드(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영유아용 베드(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영유아용 베드(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 시트에 영유아용 베드(1)를 장착한 경우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측을, 영유아용 베드(1)의 정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유아용 베드(1)는, 외 용기부(10)와, 내 용기부(20)와, 축부재(40)와, 손잡이 부재(50)와, 베이스 부재(80)를 구비한다.
외 용기부(10) 및 내 용기부(20)는, 예를 들면 상자형 형상을 갖고 있고, 저벽과, 저벽의 사방을 둘러싸는 4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외 용기부(10) 및 내 용기부(20)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각각, 한쪽 방향으로 길고, 한쪽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쪽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도 1의 화살표(A2)로 도시되는 한쪽 방향을 「긴변 방향」, 도 1의 화살표(A1)로 도시되는 다른 쪽 방향을 「짧은변 방향」으로 표현한다. 외 용기부(10) 및 내 용기부(20)의 재질은,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경질 플라스틱 등 경질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 용기부(10)는, 그 짧은변 방향(A1)이 차량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차량 시트에 장착된다. 외 용기부(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벽의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11, 12)를 갖고 있다. 볼록부(11, 12)는, 긴변 방향(A2)에 따라 배치된다.
베드 형상의 형태를 갖는 내 용기부(20)는, 외 용기부(10) 내에 배치되고, 영유아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영유아용 베드(1)는, 외 용기부(10) 및 내 용기부(20)의 2중 베드 구조이다. 내 용기부(20)는, 외 용기부(10)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 용기부(20)는, 그 저벽과 측벽과의 경계 및 인접하는 측벽끼리의 경계가 완만한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 용기부(20)에서, 영유아는 전형적으로는, 차량의 좌우 방향(긴변 방향(A2))이 신장 방향이 되도록 위를 향하도록 수용된다. 내 용기부(20)는, 영유아가 누여지는 개략 플랫한 침상면(23)을 갖고 있다. 침상면(23)은, 저벽의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한 시트면 및 등받이면을 포함한다. 침상면(23)에는, 복수의 통기 구멍(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유아 수용구를 의자형상의 형태로서(예를 들면 「차일드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서는, 외 용기부(10) 및 내 용기부(20)는, 모 함께 짧은변 방향(A1)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짧은변측 측벽(즉, 영유아의 머리측 및 발측에 위치하는 측벽) 중의 적어도 한쪽을 갖지 않는 구조라도 좋다.
축부재(40)는, 외 용기부(10)와 내 용기부(20)를 연결하고, 내 용기부(20)를 들어 띄운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축부재(40)는, 내 용기부(20)의 대향하는 벽부분을, 외 용기부(10)상에 지지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부재(40)는, 그 축선이 긴변 방향(A2)으로 연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축부재(40)가, 내 용기부(20)의 대향하는 짧은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벽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 용기부(20)는, 축부재(40)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내 용기부(20)는, 축부재(40)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면 좋고, 반드시 외 용기부(10)로부터 완전하게 들뜬 상태로 지지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내 용기부(20)는, 외 용기부(10)와 부분적으로 접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축부재(40)는, 통상 상태에서 내 용기부(20)를 평형 지지할 수 있으면 좋고, 그 장착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축부재(40)의 재질은,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금속이면 좋다. 축부재(40)의 장착 구조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손잡이 부재(50)는, 양단이, 외 용기부(10)의 대향하는 벽부분에 장착되고, 외 용기부(10)의 상방 공간을 늘어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 부재(50)의 양단은, 외 용기부(10)의 대향하는 긴변측 측벽(긴변 방향으로 늘어나는 측벽)의 외측에 장착된다. 손잡이 부재(50)는, 캐리콧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 즉 침상면(23)이 대강 수평으로 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부재(50)는, 도시한 제1의 위치로부터, 외 용기부(10)의 측벽에 따른 제2의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여도 좋다. 영유아용 베드(1)를 차량 시트상에 장착한 경우에, 손잡이 부재(50)를 제2의 위치에 이동시켜 둠으로써, 내 용기부(20)에 영유아를 눕히거나 안아 올리거나 할 때에, 손잡이 부재(50)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베이스 부재(80)는, 차량 시트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80)의 윗면에는, 외 용기부(10)의 볼록부(11)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80)의 이 오목부(도시 생략)와 외 용기부(10)의 한쪽의 볼록부(11)와의 감합 상태가 로크됨으로써, 외 용기부(10)가 베이스 부재(8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외 용기부(10)의 다른 쪽의 볼록부(12)의 하단면이 차량 시트상에 재치됨으로써, 영유아용 베드(1)가, 차량 시트에 대해,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80)는, 외 용기부(1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80)는, 도 1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전단부분부터 차량의 바닥면에 당접할 때까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레그 서포트 부재(82)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영유아용 베드(1)를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80)를 통하여, 영유아용 베드(1)가 차량 시트에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베이스 부재(80)를 통하지 않고서, 영유아용 베드(1)가 직접 차량 시트에 장착되어도 좋다. 영유아용 베드(1)는, 차량에 설치된 안전 벨트(도시 생략)에 의해 외 용기부(10)의 소정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차량 시트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시트의 좌석부에, 외 용기부(10)의 볼록부(11, 12)가 당접된다. 따라서 볼록부(11, 12)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80)를 통하지 않고서 영유아용 베드(1)를 차량 시트에 장착하는 경우, 손잡이 부재(50)의 종 봉부(51)가, 차량의 등받이부에 당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영유아용 베드(1)의 차량 시트에의 장착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음과 함께, 차량의 전후 방향의 충돌시에서의 외 용기부(10)의 리바운드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손잡이 부재(50)의 횡 봉부(52)와 종 봉부(51)와의 교차 각도를 거의 9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축부재(40)의 장착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영유아용 베드(1)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축부재(40)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축부재(40)의 장착을 로크하는 회전 로크 부재(13)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 도 6 및 도 7에는, 영유아용 베드(1)를 정면에서 본 경우에, 우측에 위치하는 회전 로크 부재(13) 또는 그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축부재(40)는, 내 용기부(20)에 고정되어 있다. 축부재(40)는, 내 용기부(20)의 짧은변측 측벽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축부재(40)의 단부에는, 플랜지부(41)가 마련되어 있다.
도 1,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외 용기부(10)의 각 짧은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 부분에는, 축 장착부(16)가 마련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 장착부(16)는, 측벽의 상단부에 마련된 U자형상의 절입부(15)와, 축부(63)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전 로크 부재(13)를 포함한다. 절입부(15)에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재(40)의 축부분(42)이 감입된다. 회전 로크 부재(13)는, 절입부(15)에 감입되었던 축부재(40)를 로크한다.
회전 로크 부재(13)는, 상부측에 마련된 게이트부(61)와, 하부측에 마련된 조작부(62)를 포함한다. 게이트부(61)는, 도 6에 도시하는 로크 상태에서, 절입부(15)의 상방 공간을 차단한다. 이 때, 게이트부(61)의 단부가, 절입부(15)의 측벽에 마련된 오목부(14)(도 7)에 들어감으로써,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회전 로크 부재(13)의 회전기구에 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외 용기부(10)의 한쪽의 측면(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장착된 회전 로크 부재(13)를 외측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외 용기부(10)의 다른 쪽의 측면(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장착된 회전 로크 부재(13)를 내측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회전 로크 부재(13)의 분해도이다.
상술한 축부(63)에는, 스프링(66)이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66)의 일단(66a)은, 로크 부재(13)의 이면측의 돌기(64)에 고정되고, 그 타단(66b)은, 외 용기부(10) 본체측(축 장착부(16))에 고정된다. 스프링(66)은, 축부(63)의 표면측의 구멍(63a)에 삽입된 볼트(65)와, 이면측에 배치되는 잠금구(67)에 의해, 축부(63) 내에 고정된다.
조작부(62)는, 표측으로 길게 나와 있고, 조작부(62)가 유저의 손에 의해 압하되면,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62)가 압하됨에 의해, 축부(6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로크 부재(1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절입부(15)의 상방 공간을 차단하고 있던 게이트부(61)가, 외 용기부(10)의 몸체 내로 수용된다. 이에 의해, 절입부(15)의 상방 공간은 개방상태가 되기 때문에, 축부재(40)의 떼어냄이 가능해진다. 조작부(62)의 압하가 해제되면, 회전 로크 부재(13)는 스프링(66)의 가세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게이트부(61)의 단부가, 오목부(14)에 들어가고 그 저면에 당접함으로써, 회전 로크 부재(13)는, 원래의 위치(로크 상태시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 용기부(20)에 고정된 축부재(40)가, 외 용기부(10)에 마련된 축 장착부(16)에 장착되기 때문에, 축부재(40) 단부의 플랜지부(41)는, 외 용기부(10)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영유아를 내 용기부(20)에 눕히거나 안아 올리거나 할 때에, 영유아에게 플랜지부(41)가 접촉될 걱정이 없다.
또한, 외 용기부(10)측에 축부재(40)를 마련하고, 내 용기부(20)측에 축 장착부(16)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 용기부(10)에 고정된 축부재(40)의 플랜지부(41)가, 내 용기부(20)의 내측에 돌출하지 않는, 축부재 및 축 부착 부재의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 용기부(10)에 대해 내 용기부(20)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축부재(40)의 형상 및 축 장착부(16)의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 장착부(16)에 회전 로크 부재(13)를 채용함으로써, 축부재(40)를 떼어냄 가능하게 하였지만, 회전 로크 부재(13)가 없는 구성이라도 좋다. 즉, 외 용기부(10)에서, 절입부(15)에 상당하는 위치에, 예를 들면 원형상의 구멍부을 마련하고, 해당 구멍부에 축부재(40)를 고정적으로 삽입하여 두어도 좋다.
(사용 양태에 관해)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의 사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의 차량 시트에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영유아용 베드(1)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비교예에서의 영유아용 베드의 차량 시트에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내 용기부(20, 120)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석부(201) 및 등받이부(202)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200)에, 영유아용 베드(1)가 장착된 경우, 베이스 부재(80)의 후단면이 등받이부(202)에 당접하고, 베이스 부재(80)의 저면이 좌석부(201)에 당접한다.
여기서 우선, 도 13을 참조하면, 축부재(40)가 존재하지 않는 영유아용 베드(101)이 차량 시트(200)에 장착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영유아용 베드(101)는, 외 용기부(110)와 내 용기부(120)가, 연결부(140)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어 있다. 즉, 내 용기부(120)는 요동 불가능하다. 이 경우, 차량 시트(200)의 좌석부(201)의 경사각도에 의해서는, 내 용기부(20)의 침상면(123)이 수평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침상면(123)의 차량 전후 방향의 경사에 대응하는 선(L2)은, 바닥면(300)에 대해 경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당 비교 예의 영유아용 베드(101)에서는, 내 용기부(120) 내의 영유아가, 예를 들면 차량 전방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는, 축부재(40)에 의해 내 용기부(20)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 용기부(10)가, 차량 시트(200)의 좌석부(201)의 경사각도에 의존하여 기울어져서 설치되었다고 하여도, 내 용기부(20)의 침상면(23)은, 자중에 의해 수평으로 된다. 즉, 침상면(23)의, 차량 전후 방향의 경사에 대응하는 선(L1)은, 통상 상태에서, 항상 바닥면(300)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에 의하면, 내 용기부(20) 내의 영유아는 항상 수평상태로 누여지기 때문에, 영유아에게 부담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비교예에서는, 내 용기부(120)의 위치(기울어지고)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후 방향 어느 하나에의 충격이 있는 경우, 내 용기부(120) 내의 영유아는 충격을 신체의 일부(측부)에 집중해서 받게 된다. 또한, 도 13의 예와 같이, 내 용기부(120)가, 외 용기부(110)와 일체적으로 차량의 전방측으로 기울여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 급 브레이크시나 후방부터의 충돌 사고시에는, 내 용기부(120) 내의 영유아가 전방 방향으로 튀어나가 버릴 위험성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에서는, 내 용기부(20)가 축부재(40)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급 브레이크시나 전방으로의 충돌 사고 등, 차량의 앞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 및 후방부터의 충돌 사고 등, 차량의 뒷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내 용기부(20)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관성력 방향으로 요동한다. 즉, 차량의 앞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는,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 용기부(20)는,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요동한다. 차량의 뒷 방향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내 용기부(20)는, 차량의 후방 방향으로 요동한다. 한쪽 방향으로 요동한 내 용기부(20)는, 그 후, 다른 쪽 방향으로도 완만하게 요동한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내 용기부(20)가 이와 같이 요동함으로써, 내 용기부(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영유아는, 충격을 신체의 배면측에서 분산하여 받을 수 있다. 또한,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내 용기부(20)로부터 영유아가 튀어나가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 용기부(20)는, 외 용기부(10)에 완전히 덮혀진 상태이다. 따라서 강력한 충돌이 있는 경우에도, 외 용기부(10)에서 충격 외력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내 용기부(20)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영유아용 베드(1)를 차량 시트(200)에 장착한 경우, 차량에 특유한 이상 사태에서도, 영유아를 충격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용 베드(1)를 캐리콧으로서 사용할 때에도, 내 용기부(20)의 침상면(23)은 수평이 유지되기 때문에, 내 용기부(20) 내의 영유아는, 이동 중에도 쾌적하게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영유아용 베드(1)를 차량 시트에 장착한 예를 나타냈지만, 유모차 등에 장착한 경우에도, 영유아를 충격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용 베드(1)는, 내 용기부(20)의 과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축부재(40)에서의 축부분(42)(도 5)의 표면을 고무 등의 수지로 덮어서, 축부분(42)에 저항을 주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영유아용 베드(1)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 내 용기부(20)가 요동하지 않도록 해 두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영유아용 베드(1)에, 축부재(40)의 회전을 금지하는 공지의 로크 기구를 마련하여도 좋다. 단,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는, 내 용기부(20)를 떼어냄 가능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내 용기부(20)를 떼어내고, 외 용기부(10)상에 영유아를 재우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의 형태 2>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영유아용 베드(1)에서는, 차량의 전후 방향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는, 차량의 좌우 방향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실시의 형태 1과의 상위점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에 관해)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예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것들과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A)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영유아용 베드(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영유아용 베드(1A)의 축부재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A)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외 용기부(10), 내 용기부(20) 및 축부재(40)에 대신하여, 각각, 외 용기부(10A), 내 용기부(20A) 및 축부재(40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축부재(40A)는, 그 축선이 짧은변 방향(A1)으로 연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축부재(40A)가, 내 용기부(20A)의 대향하는 긴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벽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 용기부(20A)는, 축부재(40A)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축부재(40A)는, 통상 상태에서 내 용기부(20A)를 평형 지지할 수 있으면 좋고, 그 장착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축부재(40A)의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축부재(40A)는, 내 용기부(20A)의 긴변측 측벽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늘어나고 있다. 내 용기부(20A)의 긴변측 측벽은, 중앙 부분의 높이가 단(端) 부분의 높이보다도 높아지도록 완만한 산형(山型) 형상이다. 축부재(40A)는, 이 중앙 부분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부재(40A)의 형상 등은, 실시의 형태 1의 축부재(40)와 마찬가지여도 좋다.
외 용기부(10A)의 각 긴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 부분에는, 축 장착부(16A)가 상방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축 장착부(16A)에는, 짧은변 방향(A1)으로 관통하는 구멍부(15A)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부재(40A)가 해당 구멍부(15A)에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축 장착부(16A)는, 축부재(40A)를 떼어냄 가능한 구조라도 좋다.
또한, 외 용기부(10A)에 축부재(40A)가 마련되고, 내 용기부(20A)에 축 장착부(16A)가 마련되어도 좋다.
(사용 양태에 관해)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A)의 사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A)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8, 도 19는, 영유아용 베드(1A)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베이스 부재(80)(도 14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차량 시트에 영유아용 베드(1A)를 장착한 경우, 침상면(23)은, 통상 상태에서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상태가 유지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차량의 좌우 방향의 한쪽측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관성의 법칙에 의해, 내 용기부(20A)는, 축부재(40A)를 중심으로 하여, 충격 방향과는 반대측 방향으로 요동한다. 예를 들면, 차량의 좌측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관성력은 우측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내 용기부(20A)는 우측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내 용기부(20A) 내의 영유아는, 충격을 신체의 일부(머리부 또는 다리부)에서 집중하여 받는 일 없고, 배면측에 분산하여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영유아용 베드(1A)를 차량 시트에 장착한 경우, 차량에 특유한 이상 사태에서도, 영유아를 충격으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나타낸 영유아용 베드(1)에서는, 차량의 전후 방향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고, 상기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영유아용 베드(1A)에서는, 차량의 좌우 방향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는, 차량의 전후 및 좌우의 양방향으로부터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실시의 형태 1, 2와의 상위점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에 관해)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예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1, 2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들과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B)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영유아용 베드(1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B)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외 용기부(10)를 구비하지만, 내 용기부(20)에 대신하여 내 용기부(20B)를 구비한다. 내 용기부(20B)는, 외 용기부(10)상에 들어 띄운 상태로 지지되는 제1의 내 용기부(21)와, 해당 제1의 내 용기부(21)상에 들어 띄운 상태로 지지되는 제2의 내 용기부(2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2의 내 용기부(22)의 저벽에, 침상면(2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영유아용 베드(1B)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이용한 축부재(40)와, 실시의 형태 2에서 이용한 축부재(40A)와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다. 축부재(40)는, 외 용기부(10)와 제1의 내 용기부(21)를 연결하고, 제1의 내 용기부(21)를 들어 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축부재(40)가, 제1의 내 용기부(21)의 대향하는 짧은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벽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축부재(40A)는, 제1의 내 용기부(21)와 제2의 내 용기부(22)를 연결하고, 제2의 내 용기부(22)를 들어 띄운 상태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축부재(40A)가, 제2의 내 용기부(22)의 대향하는 긴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벽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축부재(40A)의 축선은, 축부재(40)의 축선과 직교하는 위치 관계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1의 내 용기부(21) 및 제2의 내 용기부(22)는, 그들이 일체로서, 축부재(40)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또한, 제2의 내 용기부(22)만이, 축부재(40A)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축부재(40, 40A)의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1의 내 용기부(21)에는, 각 긴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 부분에, 실시의 형태 2와 같은 축 장착부(16A)가 마련되어 있다. 제2의 내 용기부(22)에 장착된 축부재(40A)가, 이 축 장착부(16A)에 장착됨으로써, 제1의 내 용기부(21)와 제2의 내 용기부(22)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외 용기부(10)에는, 각 긴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 부분에,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축창착부(16)이 마련되어 있다. 제1의 내 용기부(21)에 장착된 축부재(40)가, 이 축 장착부(16)에 장착됨으로써, 외 용기부(10)와, 제1의 내 용기부(21) 및 제2의 내 용기부(22)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축부재(40, 40A)의 구체적인 장착 구조는, 실시의 형태 1, 2와 마찬가지여도 좋기 때문에,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제2의 내 용기부(22)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1)는, 제1의 내 용기부(21) 및 제2의 내 용기부(22)가 일체적으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된 때에, 외 용기부(10)의 내측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는, 축부재(40A)는, 제2의 내 용기부(22)보다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사용 양태에 관해)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B)의 사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B)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 도 24는, 영유아용 베드(1B)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영유아용 베드(1B)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6, 도 27은, 영유아용 베드(1B)가 요동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25 내지 도 27에서는, 베이스 부재(80)(도 10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차량 시트(200)에 영유아용 베드(1B)를 장착한 경우, 침상면(23)은, 통상 상태에서는, 도 2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차량의 전후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내 용기부(20B)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축부재(40)를 중심으로 하여, 충격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요동한다. 즉, 차량의 후방으로부터의 충격이 있는 경우, 도 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 용기부(20B)는 일체적으로 차량의 후방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차량의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이 있는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 용기부(20B)는 일체적으로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한,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차량의 좌우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에는, 내 용기부(20B)중의 제2의 내 용기부(22)만이, 축부재(40A)를 중심으로 하여, 충격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요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충격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제2의 내 용기부(22) 내의 영유아는, 그 충격을 신체의 배면측에 분산하여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영유아용 베드(1B)를 차량 시트에 장착한 경우, 차량에 특유한 이상 사태에서도, 보다 확실하게, 영유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 용기부(10)와 제1의 내 용기부(21)를 연결하는 축부재(40)가, 짧은변측 측벽에 장착되고, 제1의 내 용기부(21)와 제2의 내 용기부(22)를 연결하는 축부재(40A)가, 긴변측 측벽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축부재(40, 40A)의 장착 위치는, 반대라도 좋다. 즉, 제1의 내 용기부(21)와 제2의 내 용기부(22)가 일체적으로,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고, 제2의 내 용기부(22)만이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축부재(40, 40A) 및 축 장착부(16, 16A)를 배치하여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상기 실시의 형태 3에 나타낸 영유아용 베드(1B)에서는, 내 용기부(20B)를 2중 구조로 하고, 각각의 축선이 직교한 2조(組)의 축부재(40, 40A)를 마련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및 좌우의 양방향으로부터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충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시의 형태 3과 같은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는, 내 용기부를 2중 구조로 하지 않고, 또한, 1조의 축부재만으로, 차량의 전후 및 좌우의 양방향으로부터의 충격에 대처할 수 있다.
이하에, 상기 실시의 형태 3과의 상위점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에 관해)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의 구조예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들과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C)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영유아용 베드(1C)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C)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내 용기부(20) 및 축부재(40)를 구비하고 있지만, 외 용기부(10)에 대신하여 외 용기부(10B)를 구비한다. 외 용기부(10B)는, 각 짧은변측 측벽의 개략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한 형상의 축 장착부(16B)를 갖고 있다.
축 장착부(16B)는, 긴변 방향(A2)으로 관통하는 구멍부(15B)가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15B)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 형상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부재(40)가 해당 구멍부(15B)에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통상 상태에서, 축부재(40)는, 내 용기부(20)의 자중에 의해, 구멍부(15B)의 최하부 위치에 있다.
(사용 양태에 관해)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C)의 사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C)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1C)의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2는, 차량의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의 영유아용 베드(1C)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31, 도 32에서는, 베이스 부재(80)(도 28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차량 시트(200)에 영유아용 베드(1C)가 장착된 경우, 통상 상태에서, 침상면(23)은 수평이다. 차량의 전후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내 용기부(20)는, 축부재(40)를 중심으로 하여, 충격 방향과는 반대측으로(즉,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차량의 좌우 방향의 한쪽 측으로부터 충격이 있는 경우, 외 용기부(10)는, 충격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눌러진다. 한편으로, 내 용기부(20)는, 현재상태의 위치에 머무르려고 하기 때문에, 내 용기부(20)는, 충격 방향과는 반대측 방향(관성력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 때문에, 도 3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격이 가하여진 측의 축부재(40)는, 구멍부(15B) 내에서, 최하부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내 용기부(20)가 2중 구조가 아니고, 1조의 축부재(40) 밖에 존재하지 않아도, 실시의 형태 3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충격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내 용기부(20) 내의 영유아는, 그 충격을 신체의 배면측에 분산하여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의 형태의 영유아용 베드(1C)를 차량 시트에 장착한 경우도, 차량에 특유한 이상 사태에 있어서, 보다 확실하게, 영유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 용기부(20)의 짧은변측 측벽에 축부재(40)를 마련하고, 해당 축부재(40)가, 외 용기부(10)의 짧은변측 측벽에 마련된 긴구멍 형상의 구멍부(15B)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내 용기부(20)의 긴변측 측벽에 축부재를 마련하고, 해당 축부재가, 외 용기부(10)의 긴변측 측벽에 마련된 긴구멍 형상의 구멍부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즉, 실시의 형태 2의 도 15에서 도시한 구멍부(15A)를,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 형상으로 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의 충격에 대응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충격이 가하여진 측의 축부재(40)가 최하부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부재(40)의 축선이 비스듬히 상방으로 늘어나도록 축부재(40)를 경사시켜 두어도 좋다. 또는, 별도로, 축부재(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마련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구멍부(15B)의 하부로부터, 비스듬히 윗방향으로 경사하여 늘어나는 판부재(도시 생략)를 마련하고,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에, 해당 판부재 위를 축부재(40)의 플랜지부(41)가 비스듬히 상방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상방으로의 이동을 하기 쉽게 하여도 좋다.
또는, 관성의 법칙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충격이 가하여진 측의 축부재(40)를 최하부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물리적인 안내 수단을 별도 마련하여도 좋다. 물리적인 안내 수단을 마련한 영유아용 베드의 한 예를,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로서 이하에 나타낸다.
(변형예)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변형예에서의 영유아용 베드(1D)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4는, 차량의 좌우 방향 중 한쪽으로부터의 충격을 받은 경우의 영유아용 베드(1D)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변형예에서는, 외 용기부(10C)의 짧은변측 측벽의 하부에는, 구멍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영유아용 베드(1D)는, 안내 수단으로서, 구멍부(18)를 통과하고, 긴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부재(70)는, 적어도, 차량의 좌우 방향 중 차체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슬라이드 부재(70)는, 통상 상태에서, 외 용기부(10C)보다 측방으로 돌출한 부분과, 외 용기부(10C) 내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후자의 부분은, 경사면(71)을 갖고 있고, 경사면(71)은, 내 용기부(20)의 짧은변측 측벽과 하면과의 사이의 만곡면에 접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차량의 좌우 방향 중, 영유아용 베드(1D)의 장착 위치에 가까운 측의 차체으로의 강한 충격(측면충돌)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 경우, 차체가 내측에 변형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70)가, 변형한 차체에 의해 외 용기부(10C)의 내측으로 압입된다. 그러면, 슬라이드 부재(70)의 경사면(71)이, 내 용기부(20)의 하면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충격이 가하여진 측의 축부재(40)는, 구멍부(15B)의 최하방 위치로부터 상방 위치로 밀려 올려진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차량의 좌우 방향 중, 슬라이드 부재(70)가 장착된 측부터 강한 충격이 있는 경우에, 내 용기부(20)를 확실하게 경사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의 형태 및 변형예에 관한 영유아용 베드에 의하면, 내 용기부가 외 용기부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영유아용 베드가 차량이나 유모차 등의 운반차체에 장착된 경우에, 충격으로부터 영유아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들어나를 때에 있어서도, 내 용기부 내의 영유아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영유아 수용구가 영유아용 의자인 경우의 구조예 및 사용 양태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에, 실시의 형태 1에서 도시한 영유아용 베드와의 상위점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영유아용 의자의 구조에 관해)
처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영유아용 의자의 구조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관한 영유아용 의자(1E)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영유아용 의자(1E)의 통상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영유아용 의자(1E)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외 용기부(10), 내 용기부(20) 및 축부재(40)에 대신하여, 외 용기부(10D), 내 용기부(20C) 및 축부재(40B)를 구비하고 있다. 영유아용 의자(1E)는, 도 3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80)를 통하여 차량 시트(200)에 후향(後向)으로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외 용기부(10) 및 내 용기부(20)의 짧은변 방향(A1)이, 차량의 좌우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내 용기부(20C)는, 의자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고, 그 저벽은, 시트면(24)에 대해 등받이면(25)이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 용기부(20C)는, 긴변 방향(A2)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긴변측 측벽)을 포함하지만, 상기 실시의 형태 1 내지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짧은변측 측벽을 포함하지 않는다. 내 용기부(20C)의 시트면(24) 및 등받이면(25)의 경계 부분은,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 용기부(20C)에 예를 들면 1세 미만의 영유아가 수용되는 경우, 시트면(24)에는, 영유아의 엉덩이뿐만 아니라 다리부도 실려진다.
도 3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등받이면(25)에는, 내 용기부(20C)만을 관통하는 복수 높이의 어깨벨트 관통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면(24)에도, 내 용기부(20C)만을 관통하는 넓적다리 벨트 관통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외 용기부(10D)는, 내 용기부(20C)의 저벽과 한 쌍의 측벽을 하방측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외 용기부(10D)도 또한, 저벽과, 긴변 방향(A2)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긴변측 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유아용 의자(1E)는, 내 용기부(20C) 및 외 용기부(10D)의 2중 의자 구조이다. 외 용기부(10D)의 저벽중, 내 용기부(20C)의 시트면부(시트면(24)이 형성된 부분)를 지지하는 부분의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볼록부(11A)가, 베이스 부재(80)의 오목부(도시 생략)에 감합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영유아용 의자(1E)를 들어나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부재(도시 생략)가, 외 용기부(10D)의 예를 들면 측벽에 장착되어도 좋다.
축부재(40B)는, 실시의 형태 2의 축부재(40A)와 마찬가지로, 그 축선이 짧은변 방향으로 연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축부재(40B)는, 예를 들면, 내 용기부(20C)의 대향하는 측벽의 개략 중앙에 위치하는 벽부분으로서, 시트면(24) 가까이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부재(40B)는, 통상 상태에서 내 용기부(20C)를 평형 지지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외 용기부(10D)의 각 측벽의 개략 중앙 부분에는,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2에서 나타낸 축 장착부(16A)(도 35에서 부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 용기부(20C)의 저벽 이면(裏面)은, 외 용기부(10D)의 저벽 윗면(17)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한 상태로 축부재(40B)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 용기부(10D)의 저벽 윗면(17)으로부터 내 용기부(20C)를 완전하게 들어 띄운 상태로 배치하려고 하면, 축부재(40B)에 의해 안정적으로(평형 상태로) 내 용기부(20C)를 지지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 용기부(20C)는, 시트면부의 이면이, 축부재(40B)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을 가지며, 외 용기부(10D)는, 그 원통면에 당접하는 원통받이면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내 용기부(20C)의 등받이부(등받이면(25)이 형성된 부분)의 적어도 전방(상방)측의 이면은, 개략 플랫한 형상으로, 외 용기부(10D)의 저벽 윗면(17)과 당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 용기부(20C)는, 통상 상태에서 차량 후방측(도 36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일단은 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외 용기부(10D) 및 내 용기부(20C)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통상 상태에서 내 용기부(20C)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또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내 용기부(20C)의 등받이부의 상단(즉, 저벽의 전방단)에 외 용기부(10D)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27)는, 통상 상태에서, 외 용기부(10D)에서의 저벽의 전(상)단부에 걸려짐에 의해, 내 용기부(20C)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 내 용기부(20C)는, 도 36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 요동하도록, 외 용기부(10D)상에 장착되어 있다.
(사용 양태에 관해)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영유아용 의자(1E)의 사용 양태에 관해서는, 도 37을 또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영유아용 의자(1E)가 요동하는 양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부터의 충격이 있는 경우로서, 도 37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 내 용기부(20C)는, 축부재(40B)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요동한다. 내 용기부(20C)는, 통상 상태에서도 그 전단측이 경사 상방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충격시(이상 상태)에는, 일어나도록 요동한다. 내 용기부(20C)가 이와 같이 요동함으로써, 내 용기부(20C) 내에 수용되어 있는 영유아는, 충격을 신체의 배면측에서 분산하여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정 수단으로서, 내 용기부(20C)의 저벽의 전단측에 돌기부(27)를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내 용기부(20C)의 차량 후방 방향(도 36 등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다면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 용기부(10D)의 후단에 돌기부를 마련하여도 좋고, 외 용기부(10D) 및 내 용기부(20C)의 쌍방에, 각각이 계합 가능한 계합 오목부 및 계합 볼록부 등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6 등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만 내 용기부(20C)가 요동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영유아를 안정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면, 반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한 경우에도 내 용기부(20C)가 요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실시의 형태 1 내지 4에 나타낸 영유아용 베드와 마찬가지로, 내 용기부(20C)와 외 용기부(10D)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뜬 상태로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영유아용 의자에서도,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형태나, 차량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양쪽에 요동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형태의 경우, 한 쌍의 축부재는, 실시의 형태 1의 축부재(40)와 같이, 그 축선이 긴변 방향으로 연재되도록 배치되면 좋다. 또한, 후자의 형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실시의 형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 내 용기부를 2중 구조로 하여, 각각의 축선이 직교하는 2조의 축부재를 마련하여도 좋다.
상기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1A, 1B, 1C, 1D, 1E, 101 : 영유아용 베드
10, 10A, 10B, 10C, 10D, 110 : 외 용기부
11, 11A, 12 : 볼록부 13 : 회전 로크 부재
14 : 오목부 15 : 절입부
15A, 15B : 구멍부 16, 16A, 16B : 축 부착 부재
20, 20A, 20B, 20C, 120 : 내 용기부
21 : 제1의 내 용기부 22 : 제2의 내 용기부
23, 123 : 침상면 24 : 시트면
25 : 등받이면 26 : 어깨벨트 관통구멍
27 : 돌기부 40, 40A, 40B : 축부재
41 : 플랜지부 50 : 손잡이 부재
61 : 게이트부 62 : 조작부
63 : 축부 70 : 슬라이드 부재
80 : 베이스 부재 82 : 레그 서포트
140 : 연결부 200 : 차량 시트
201 : 좌석부 202 : 등받이부
300 : 바닥면

Claims (16)

  1. 외(外) 용기부와,
    상기 외 용기부 내에 배치되고, 영유아를 수용하기 위한 내(內) 용기부와,
    상기 외 용기부와 상기 내 용기부를 연결하고, 상기 내 용기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의 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축부재는, 상기 내 용기부의 대향하는 벽부분을, 상기 외 용기부 상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 및 상기 외 용기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각각, 한쪽 방향으로 길고, 상기 한쪽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쪽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의 축부재의 축선은, 상기 한쪽 방향으로 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 및 상기 외 용기부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각각 한쪽 방향으로 길고, 상기 한쪽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쪽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의 축부재의 축선은, 상기 다른 쪽 방향으로 연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는,
    상기 외 용기부 상에 지지되는 제1의 내 용기부와,
    상기 제1의 내 용기부 상에 지지되는 제2의 내 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축부재는, 상기 외 용기부와 상기 제1의 내 용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의 내 용기부와 상기 제2의 내 용기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의 내 용기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의 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축부재의 축선과 상기 제2의 축부재의 축선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 용기부는, 상기 제1의 축부재를 지지하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란 구멍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8. 제 1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외 용기부의 대향하는 벽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외 용기부의 상방 공간을 늘어나는 손잡이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 용기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단부분부터 차량의 바닥면에 당접할 때까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레그 서포트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축부재는, 상기 내 용기부를 들어 띄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는, 영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면과, 영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이 개략 플랫한 관계로 연재되는 베드 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는, 영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시트면에 대해, 영유아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이 세워진 의자형상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는, 시트면부의 이면이, 상기 제1의 축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을 가지며,
    상기 외 용기부는, 상기 원통면에 당접하는 원통받이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 용기부 및 상기 내 용기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통상 상태에서의 상기 내 용기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용기부는, 상기 외 용기부에 의해 완전히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수용구.
KR1020130150335A 2012-12-11 2013-12-05 영유아 수용구 KR20140075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0593 2012-12-11
JPJP-P-2012-270593 2012-12-11
JPJP-P-2013-220878 2013-10-24
JP2013220878A JP6230872B2 (ja) 2012-12-11 2013-10-24 乳幼児収容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601A true KR20140075601A (ko) 2014-06-19

Family

ID=5089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335A KR20140075601A (ko) 2012-12-11 2013-12-05 영유아 수용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75601A (ko)
CN (1) CN103859877B (ko)
TW (1) TW2014221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762A (zh) * 2018-06-08 2018-11-23 大连理工大学 一种汽车婴儿安全摇床
CN108820031B (zh) * 2018-08-13 2021-02-19 刘少华 一种自稳云台安抚婴儿车
CN110466589B (zh) * 2019-09-06 2022-10-2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婴儿车主动制动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60092B (it) * 1976-03-01 1982-07-10 Wingard Ltd Complesso a lettino a ritegno per il trasporto di neonati a bordo di autovetture
DE19540962C2 (de) * 1995-11-03 1999-09-02 Legenstein KFZ-Kinder-Sicherheitssitz
US6263526B1 (en) * 2000-07-07 2001-07-24 Chin-Chuan Tu Baby head pattern forming cot
US20080303321A1 (en) * 2004-05-08 2008-12-11 Britax Excelsior Limited Base for a Child Safety Support
US7753442B2 (en) * 2005-12-09 2010-07-13 Anecia Llc Spherically guided safety seating system
CN201545038U (zh) * 2009-11-23 2010-08-11 浙江晨辉婴宝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婴儿提篮
CN201677768U (zh) * 2010-05-13 2010-12-22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底座平移结构的汽车用儿童座椅
DE202011000229U1 (de) * 2011-01-31 2011-06-09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mbH & Co. KG, 95032 Babyträger in Form eines Schalensit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9877A (zh) 2014-06-18
TW201422182A (zh) 2014-06-16
CN103859877B (zh)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832B2 (en) Sw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nfant holding device
EP1817089B1 (en) Child swing with remote battery compartment
US9464646B2 (en) Mounting mechanism for toy bar of child-support device
CN101508255B (zh) 扶手装置及具有扶手装置的儿童座椅
JP5393617B2 (ja) 子供用安全シート組立体およびその操作方法
JP2012030625A (ja) 車両用チャイルドシート
JP565045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座席構造
KR20140075601A (ko) 영유아 수용구
JP6230872B2 (ja) 乳幼児収容具
JP5851786B2 (ja) 揺動ベッド
TWI797574B (zh) 兒童安全座椅
GB2429401A (en) Child car seat with base and wheeled support
CN103386905B (zh) 儿童车辆座椅和适于这种儿童车辆座椅的座椅和底座
TW202130528A (zh) 兒童安全座椅
JP637309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衝撃吸収構造
TWI761080B (zh) 嬰兒車
JP4141849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078040B1 (ko) 흔들놀이기구
JP411844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1904210B (zh) 儿童增高椅
JP6938071B1 (ja) 乳母車
TWI709502B (zh) 嬰兒車
KR101137175B1 (ko)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JP7133287B2 (ja) 頭部保護部材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202405771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