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951A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951A
KR20140074951A KR1020147010143A KR20147010143A KR20140074951A KR 20140074951 A KR20140074951 A KR 20140074951A KR 1020147010143 A KR1020147010143 A KR 1020147010143A KR 20147010143 A KR20147010143 A KR 20147010143A KR 20140074951 A KR20140074951 A KR 2014007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ngine
disposed
fue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히로 고가
나오키 쓰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7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에서는, 점검용 도어(3a)가 설치되는 펌프룸(S2)에서의 외주측의 위치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본 발명은, 엔진 오일이나 연료 등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각종 필터 장치를 탑재한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는, 엔진 오일이나 디젤 연료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일상적으로 점검이나 정비가 필요한 보조 기기류를 점검 정비가 용이한 위치에 배치하여 점검·정비의 용이함과 효율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 기계의 건물에 설치된 개폐 도어의 내측에, 연료 필터, 작동유 필터 등의 보조 기기를 설치한 유압 셔블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1―288777호 공보(2001년 10월 19일 공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압 셔블에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개시된 유압 셔블에서는, 건설 기계의 건물에 설치된 개폐 도어의 내측에, 연료 필터와 작동유 필터를 같은 높이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환 시에 필터의 아래쪽에 교환용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필터를 같은 높이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교환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각종 필터의 장착 위치를 최적화하여, 필터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를 회전시킴으로써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旋回) 가능한 상태로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旋回體) 상에 배치된 엔진과,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되고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와, 엔진을 격납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된 엔진룸과, 유압 펌프를 격납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된 펌프룸과, 펌프룸 내에 액세스 가능한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펌프룸의 외주측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필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필터 장치는, 2개 이상의 필터 장치가 인접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필터 장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필터 장치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인접 배치된 필터 장치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되는 펌프룸 내의 외주를 따라, 엔진 오일 필터나 연료 필터 등의 복수의 필터 장치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필터 장치는, 적어도 각각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필터 장치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인접 배치된 필터 장치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교환이 필요한 복수의 필터 장치를 펌프룸에 집약하여 그 외주를 따라 배치하였으므로, 필터 교환 시에 개폐 도어의 개구부로부터 액세스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복수의 필터 장치가, 적어도 각각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필터 장치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가지고, 인접 배치된 필터 장치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필터 교환 시에 필요한 필터 장치의 주변에, 교환 가능한 필터를 인출하거나 장전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교환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복수의 필터 장치는, 필터의 교환 주기가 긴 필터 장치가 상대적으로 펌프룸에서의 외주측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필터의 교환 기간이 짧은 필터 장치를 펌프룸에서의 개폐 도어 등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 교환 기간이 긴 필터 장치를 안쪽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필터 교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또는 제2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복수의 필터 장치에는, 엔진 오일 필터, 연료 프리필터, 연료 메인 필터가 포함된다.
여기서는, 3종류의 필터 장치를 펌프룸 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필터의 교환 수명이 비교적 짧은 연료 프리필터나 엔진 오일 필터를 펌프룸의 외주측에 배치하고, 필터의 교환 수명이 비교적 긴 연료 메인 필터를 펌프룸의 안쪽에 배치하는 등, 각 필터 장치의 특성에 따라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3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연료 메인 필터가 펌프룸의 안쪽에, 연료 프리필터가 연료 메인 필터의 바로 앞쪽으로서 펌프룸의 차체 후방 가까이의 외주측에, 엔진 오일 필터가 펌프룸의 차체 전방 가까이의 외주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 필터 장치의 필터 교환 수명 등을 고려하여, 배치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로써, 필터 교환이 자주 행해지는 필터 장치(연료 프리필터, 엔진 오일 필터)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펌프룸은, 엔진룸으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이로써,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된 엔진룸과 펌프룸을, 서로 차폐(遮蔽)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엔진룸 내에 설치되어 있고,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를 엔진룸 내에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종래에는 엔진룸 내에도 배치되어 있었던 필터 장치를, 후처리 장치의 탑재에 의해 스페이스가 적고된 엔진룸으로부터 인접하는 펌프룸으로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종류가 상이한 복수의 필터 장치를 펌프룸 내에 집약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복수의 필터 장치가 엔진룸과 펌프룸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었던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필터 장치에 관한 필터의 교환 작업이나 유지보수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후방측 면에 배치된 점검용 도어를 연 상태로 확인 가능한 펌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펌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펌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펌프룸에 오퍼레이터가 액세스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후방측 면에 배치된 점검용 도어를 연 상태에서 확인 가능한 펌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펌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펌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에 대하여, 도 1∼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후」,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유압 셔블(1)의 캡(cab)(10) 내의 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유압 셔블(1) 전체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은, 후방 소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5)와, 엔진(6)과, 유압 펌프(7)와, 후처리 장치(8)와, 캡(10)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에서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크롤러 벨트(C)를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진, 후진시키는 동시에, 위쪽에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 탑재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 상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면에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5)와, 엔진(6)과, 유압 펌프(7)와, 후처리 장치(8)와, 캡(10)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는, 우측 후방측면의 부분에, 개폐 가능한 점검용 도어(3a)를 가지고 있다. 점검용 도어(3a)는, 후술하는 각종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도 3 참조) 등]가 배치된 펌프룸(S2)에, 차체의 외측으로부터 액세스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서 굴곡된 붐(boom)(11)과, 붐(11)의 선단에 장착된 암(arm)(12)과, 암(12)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bucket)(1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은, 유압 호스(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유(壓油)에 의해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를 구동함으로써, 붐(11)이나 암(12), 버킷(13) 등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토사나 자갈 등의 굴삭을 행하는 토목 공사의 현장에 있어서 작업을 행한다.
카운터웨이트(5)는, 예를 들면,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상자 중에 고철이나 콘크리트 등을 넣어 굳힌 것으로서, 채굴 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엔진룸(S1)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5)에 인접하는 엔진룸(S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룸(S1)은, 개폐 가능한 엔진 후드(14)에 의해 덮힌 점검용의 상부 개구를 가지고 있고, 엔진룸(S1) 내에 배치된 엔진(6) 등의 정비는, 이 엔진 후드(14)를 개폐하여 행해진다.
유압 펌프(7)는, 엔진(6)에 연결되어 있고, 엔진(6)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구동된다. 또한, 유압 펌프(7)는, 엔진(6)이 배치된 엔진룸(S1)에 인접하고, 또한 펌프룸(S2)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펌프룸(S2)은, 유압 펌프(7)에 의해 펌핑된 오일이 엔진룸(S1)에 비산(飛散)하지 않도록, 차폐판에 의해 엔진룸(S1)으로부터 차폐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8)는, 엔진(6)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유해 물질(예를 들면, NOx 등)을 정화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룸(S1)에서의 엔진(6)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엔진(6)의 위쪽으로 후처리 장치(8), 측방에 센서류(9)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엔진룸(S1) 내에 각종 필터 장치를 설치하는 스페이스의 여유가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3종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 모두를 펌프룸(S2) 내에 설치하고 있다.
캡(10)은, 유압 셔블(1)의 운전자가 승강하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캡(10)은, 운전자가 실내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승강용 도어를 좌측면에 가지고 있다.
[펌프룸(S2) 내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 면에 설치된 점검용 도어(3a)를 연 펌프룸(S2) 내에, 3종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를 배치하고 있다.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각각 상이한 높이 위치 L1, L2, L3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중복되지 않는 어긋난 위치에서, 각각 펌프룸(S2)의 외주측 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필터 장치의 필터 교환 주기는, 연료 메인 필터(21)가 약 1000H, 연료 프리필터(22)가 약 500H, 엔진 오일 필터(23)가 약 500H이다. 또한, 각 필터 장치의 필터 교환은, 필터 장치의 아래쪽 공간에 있어서,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연료 탱크로부터 엔진(6)을 향해 디젤 연료가 공급되는 루트로서는, 연료 탱크, 연료 프리필터(22), 엔진(6), 연료 메인 필터(21), 엔진(6)의 연소실로 되어 있다.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메인 필터(21)는, 유압 셔블(1)의 디젤 연료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 펌프룸(S2) 내에서의 엔진(6)의 연소실의 바로 위쪽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메인 필터(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의 개구부에서 볼 때, 다른 필터 장치[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와 비교하여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메인 필터(2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위치가, 다른 필터 장치와 비교하여 가장 낮은 위치(높이 위치 L1)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메인 필터(21)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메인 필터(2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연료 메인 필터(21)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인접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필터 장치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오퍼레이터가 손을 넣거나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삽입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확보되어 있다. 또한, 연료 메인 필터(21)는, 인접 배치된 연료 프리필터(22)와는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료 프리필터(22)의 필터 교환용의 작업 스페이스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메인 필터(21)는, 필터의 교환 주기가 가장 길므로, 교환 작업의 횟수가 다른 필터 장치보다 적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면으로부터, 연료 메인 필터(21)는, 다른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 중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프리필터(22)]
연료 프리필터(22)는, 연료 메인 필터(21)와 마찬가지로 디젤 연료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 설치된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메쉬가 거친 필터 장치로서, 펌프룸(S2)에서의 연료 탱크(도시하지 않음)의 바로 아래 흐름(directly downstream)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프리필터(2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의 개구부에서 볼 때, 연료 메인 필터(21)의 바로 앞쪽에서, 펌프룸(S2)의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프리필터(22)는,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위치가, 인접하는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높고, 엔진 오일 필터(23)보다 낮은 위치(높이 위치 L2)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프리필터(22)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프리필터(22)는, 연료 메인 필터(21)가 인접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연료 프리필터(22)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인접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손을 넣거나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삽입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프리필터(22)는, 필터의 교환 주기가 비교적 짧으므로(약 500H) 교환 작업의 횟수가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면으로부터, 연료 프리필터(22)는,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바로 앞쪽에서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오일 필터(23)]
엔진 오일 필터(23)는, 엔진 오일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여과하기 위해, 펌프룸(S2) 내에서의 엔진(6)의 바로 위쪽 흐름(directly upstream)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의 개구부에서 볼 때 가장 바로 앞쪽에서, 펌프룸(S2)의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오일 필터(23)는, 다른 필터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상부 선회체(3)에서의 차체 전방 가까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위치가, 다른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보다 높은 위치(높이 위치 L3)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 오일 필터(23)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엔진 오일 필터(23)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인접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손을 넣거나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삽입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오일 필터(23)는, 연료 프리필터(22)와 마찬가지로, 필터의 교환 주기가 비교적 짧으므로(약 500H) 교환 작업의 횟수가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면으로부터, 연료 프리필터(22)와 마찬가지로, 엔진 오일 필터(23)가,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서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징>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가 설치되는 펌프룸(S2)에서의 외주측의 위치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는, 연료 메인 필터(21)와 연료 프리필터(22)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필터 장치를 분리하는 방향(도 5에서는, 아래쪽)에 적어도 필터 장치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연료 메인 필터(21)와 연료 프리필터(22)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필터 교환 시에 점검용 도어(3a)를 연 상태에서 필터 교환 작업을 실시할 때, 필터 장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필요로 하는 작업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여 필터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에 대하여, 도 7∼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의 배치라는 점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1의 구성과는 상이하게 되어 있다. 단,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이므로,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우측의 공간에 연료 메인 필터(21)와 엔진 오일 필터(23)가 상이한 높이 위치에 인접 배치되어 있고, 좌측의 공간에 연료 프리필터(22)가 단독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필터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배치는, 다음과 같다.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메인 필터(2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의 개구부에서 볼 때, 다른 필터 장치[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와 비교하여 가장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메인 필터(2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위치가, 인접 배치된 엔진 오일 필터(23)보다 낮고, 연료 프리필터(22)와 동등한 위치(높이 위치 L11)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메인 필터(21)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인접하는 엔진 오일 필터(23)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엔진 오일 필터(23)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손을 넣거나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삽입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그 아래쪽에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메인 필터(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의 교환 주기가 가장 길므로, 교환 작업의 횟수가 다른 필터 장치보다 적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면으로부터, 연료 메인 필터(21)는, 교환 주기가 짧은 다른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 중 개구로부터는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프리필터(22)]
연료 프리필터(2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의 개구부에서 볼 때, 펌프룸(S2)의 후단측 가까이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 프리필터(2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위치가, 연료 메인 필터(21)와 동등하며, 엔진 오일 필터(23)보다 낮은 위치(높이 위치 L12)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연료 프리필터(22)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손을 넣거나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삽입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그 아래쪽에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프리필터(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의 교환 주기가 비교적 짧으므로(약 500H) 교환 작업의 횟수가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면으로부터, 연료 프리필터(22)는, 펌프룸(S2)에서의 외주측의 작업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오일 필터(23)]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의 개구부에서 볼 때 가장 바로 앞쪽에서, 펌프룸(S2)의 외주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오일 필터(23)는, 연료 메인 필터(21)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오일 필터(2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의 위치가, 다른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보다 높은 위치(높이 위치 L13)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 오일 필터(23)는,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손을 넣거나 필터 렌치 등의 작업 공구를 삽입하거나 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오일 필터(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 프리필터(22)와 마찬가지로, 필터의 교환 주기가 비교적 짧으므로(약 500H) 교환 작업의 횟수가 연료 메인 필터(21)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교환 작업의 작업성의 면으로부터, 연료 프리필터(22)와 마찬가지로, 엔진 오일 필터(23)가, 점검용 도어(3a)의 개구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서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징>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검용 도어(3a)가 설치되는 펌프룸(S2)에서의 외주측의 위치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높이 방향으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 장치[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는, 연료 메인 필터(21)와 엔진 오일 필터(23)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필터 장치를 분리하는 방향(도 9에서는, 아래쪽)에 적어도 필터 장치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오퍼레이터가 필터 교환 시에 점검용 도어(3a)를 연 상태에서 필터 교환 작업을 실시할 때, 필터 장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필요로 하는 작업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여 필터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의 높이 위치가 모두 상이하도록, 각각의 필터 장치를 배치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필터 장치 중, 서로 인접하는 2개 이상의 필터 장치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B)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복수의 필터 장치의 하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를 배치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필터 장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 위치가 상이하도록, 각 필터 장치를 배치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복수의 필터 장치로서, 연료 메인 필터(21), 연료 프리필터(22), 엔진 오일 필터(23)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종류의 필터 장치를 탑재한 유압 셔블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3종류의 필터 장치를 펌프룸(S2) 내에 배치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종류, 또는 4종류 이상의 필터 장치를 펌프룸 내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종류가 상이한 필터 장치가 아니고, 복수의 필터 장치 중에 같은 종류의 필터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유압 셔블은, 각종 필터의 장착 위치를 최적화하여, 필터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필터 장치를 탑재한 각종 건설 기계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3a 점검용 도어
4 작업기
5 카운터웨이트
6 엔진
7 유압 펌프
8 후처리 장치
9 센서류
10 캡
11 붐
11a 유압 실린더
12 암
12a 유압 실린더
13 버킷
13a 유압 실린더
14 엔진 후드
21 연료 메인 필터(필터 장치)
22 연료 프리필터(필터 장치)
23 엔진 오일 필터(필터 장치)
L1∼L3 높이 위치
L11∼L13 높이 위치
P 오퍼레이터
S1 엔진룸
S2 펌프룸

Claims (7)

  1.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를 회전시킴으로써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旋回) 가능한 상태로 탑재된 상부 선회체;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된 엔진;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
    상기 엔진을 격납하기 위해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된 엔진룸;
    상기 유압 펌프를 격납하기 위해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 설치된 펌프룸; 및
    상기 펌프룸 내에 액세스 가능한 개폐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펌프룸의 외주측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필터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치 중, 2개 이상의 필터 장치가 상기 개폐 도어의 개구부에서 볼 때 바로 앞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치는, 각각의 필터 장치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필터 장치와 같은 크기의 스페이스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복수의 필터 장치 중, 2개의 필터 장치가 인접 배치되어 있고, 인접 배치된 필터 장치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 배치된 상기 필터 장치는, 한쪽의 필터 장치의 하면이, 다른 쪽의 필터 장치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장치는, 상기 필터의 교환 주기가 긴 필터 장치가 상대적으로 상기 펌프룸에서의 외주측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유압 셔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장치에는, 엔진 오일 필터, 연료 프리필터, 연료 메인 필터가 포함되는, 유압 셔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메인 필터가 상기 펌프룸의 안쪽에, 상기 연료 프리필터가 상기 연료 메인 필터의 바로 앞쪽으로서 상기 펌프룸의 차체 후방 가까이의 외주측에, 상기 엔진 오일 필터가 상기 펌프룸의 차체 전방 가까이의 외주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은, 상기 엔진룸으로부터 차폐(遮蔽)되어 있는, 유압 셔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후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는, 유압 셔블.
KR1020147010143A 2012-05-22 2012-09-05 유압 셔블 KR20140074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6495A JP5198674B1 (ja) 2012-05-22 2012-05-22 油圧ショベル
JPJP-P-2012-116495 2012-05-22
PCT/JP2012/072647 WO2013175648A1 (ja) 2012-05-22 2012-09-05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951A true KR20140074951A (ko) 2014-06-18

Family

ID=4853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143A KR20140074951A (ko) 2012-05-22 2012-09-05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3071B2 (ko)
JP (1) JP5198674B1 (ko)
KR (1) KR20140074951A (ko)
CN (1) CN103620124B (ko)
DE (1) DE112012000301B4 (ko)
WO (1) WO2013175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419A (zh) * 2022-05-31 2022-09-23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泵舱平台移动机构及作业机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9102B1 (en) * 2014-01-24 2018-03-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6233378B2 (ja) * 2015-10-02 2017-11-2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燃料供給装置
JP6873618B2 (ja) * 2016-06-30 2021-05-19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JP7103067B2 (ja) * 2018-08-29 2022-07-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動力源用フィルタの取付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建設機械
JP7164415B2 (ja) * 2018-11-21 2022-11-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348B2 (ja) * 1997-06-12 2002-08-19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におけるボンネット内部の冷却構造
JP2001288777A (ja) 2000-04-05 2001-10-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4172135B2 (ja) * 2000-05-18 2008-10-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フィルタ類装着構造
JP3755487B2 (ja) * 2002-06-21 2006-03-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オイルフィルタ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US20070131466A1 (en) * 2005-12-12 2007-06-14 Gutzwiller Timothy M Work machine with electrical and hydraulic service centers
JP4364193B2 (ja) * 2005-12-15 2009-11-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燃料供給装置
JP4900163B2 (ja) * 2007-09-26 2012-03-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30216B2 (ja) * 2010-10-29 2014-1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573345B2 (en) * 2011-02-15 2013-11-05 Deere & Company Ground level servicing of large work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419A (zh) * 2022-05-31 2022-09-23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泵舱平台移动机构及作业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4119A1 (en) 2014-09-25
US9033071B2 (en) 2015-05-19
WO2013175648A1 (ja) 2013-11-28
DE112012000301T5 (de) 2014-11-13
JP2013241802A (ja) 2013-12-05
DE112012000301B4 (de) 2015-07-16
CN103620124A (zh) 2014-03-05
CN103620124B (zh) 2014-11-05
JP5198674B1 (ja)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951A (ko) 유압 셔블
KR101453133B1 (ko) 건설 기계의 NOx 저감 장치의 배치 구조
EP2194194B1 (en) Construction machine
JP6297905B2 (ja) 建設機械
JP5103558B2 (ja) 建設機械
JP4953191B2 (ja) 建設機械
EP3101181B1 (en) Construction machine
EP2876219B1 (en) Construction machine
EP2474672A1 (en) Wheel type working vehicle
JP6392707B2 (ja) 作業機械
JP5654856B2 (ja) 油圧ショベル
JP2015101955A (ja) 自走式建設機械
WO2014192197A1 (ja) 作業車両
JP2013117189A (ja) 作業機械
CN104334803B (zh) 作业车辆
CN105986585B (zh) 小回转型挖土机
DE112012006639T5 (de) Baumaschine, an der ein mit einem Schalldämpfer versehenes Gegengewicht befestigt ist
JP5729244B2 (ja) 建設機械
JP4172135B2 (ja) 建設機械のフィルタ類装着構造
JP6944437B2 (ja) 建設機械
JP2015137615A (ja) 建設機械
RU146190U1 (ru)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е отделение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машины
JP2022081167A (ja) 建設機械
JP6002397B2 (ja) 作業機械
JP2020147925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