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950A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950A
KR20140074950A KR1020147010142A KR20147010142A KR20140074950A KR 20140074950 A KR20140074950 A KR 20140074950A KR 1020147010142 A KR1020147010142 A KR 1020147010142A KR 20147010142 A KR20147010142 A KR 20147010142A KR 20140074950 A KR20140074950 A KR 2014007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hydraulic
main valve
mounting portion
hydraulic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미치 다카기
고지 호시
요시히코 이나가키
료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7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25Drive system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hovels (AREA)

Abstract

유압 셔블(1)은,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작업기(4)의 우측편에 탑재된 메인 밸브(22)와, 메인 밸브(22)에 제1 단이 접속된 복수의 유압 호스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시키는 장착부(2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본 발명은, 유압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압유(壓油)에 의해 구동되는 각종 액추에이터를 탑재한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보다,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을 회전시킴으로써 주행하는 하부 주행체에 대하여 선회(旋回) 가능한 상부 선회체(旋回體)를 구비하고, 상부 선회체 상에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붐(boom), 버킷(bucket) 등의 작업기가 탑재된 유압 셔블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는, 작업기의 측방에 배치된 메인 밸브에 접속된 유압 호스를, 작업기(붐)의 측면에 장착된 장착부를 통하여 배치한 유압 셔블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106450호 공보(2010년 5월 13일 공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압 셔블에서는,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공보에 개시된 유압 셔블에서는, 붐의 측면에 유압 호스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의 외장(外裝) 부분(예를 들면, 작동유 탱크의 커버 등)의 사이즈가 크게 되었을 경우에는, 붐을 상하로 구동했을 때, 유압 호스의 장착부와 외장의 일부가 간섭하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 선회체의 외장 사이즈가 크게 된 경우라도, 유압 호스와 외장의 일부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여 유압 호스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한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크롤러 벨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와, 붐과, 작업 기구와, 복수의 유압 실린더와, 메인 밸브와, 유압 호스와,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는,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붐은, 상부 선회체 상에 유압에 의해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작업 기구는, 붐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고 각종 작업을 행한다. 복수의 유압 실린더는, 붐 및 작업 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해 붐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는, 상부 선회체 상에서의 붐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호스는, 제1 단(端)이 메인 밸브에, 제2 단이 유압 실린더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메인 밸브로부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압유를 공급한다. 장착부는, 유압 호스의 중간 부분을 붐의 상면에 고정시킨다.
여기서는, 상부 선회체 상에 장착된 붐이나 붐의 선단에 장착된 작업 기구를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압유를 공급함으로써 작업을 행하는 유압 셔블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 상에서의 붐의 측방에 배치된 메인 밸브로부터 각각의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 호스의 중간 부분이 붐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장착부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기구에는, 버킷이나 립퍼(ripper), 커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붐의 상면이란, 박스 구조의 붐이 상하로 구동되는 방향에서의 캡(cab) 측의 면을 의미하고 있다.
이로써, 유압 호스의 일부가 붐의 상면 상에 배치되므로, 유압 호스의 중간 부분이 붐의 측면에 고정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붐을 상하 이동시켰을 때 생기는 유압 호스의 벤딩량(amount of bending)을 적정한 범위로 컨트롤할 수 있다.
이 결과, 최근의 상부 선회체 상에 탑재되는 기기(機器)의 증가 등에 따라 상부 선회체의 외장 높이가 증가한 경우라도, 유압 호스와 상부 선회체의 외장의 일부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유압 호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유압 호스는, 붐을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의 외장 부분을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는, 붐을 최상 위치까지 들어올린 상태에 있어서, 유압 호스가 상부 선회체의 외장 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유압 호스의 벤딩량이 가장 커지는 붐 위치에 있어서, 유압 호스가 상부 선회체의 외장 부분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2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메인 밸브의 근방에서 있어서, 장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브래킷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부와 장착부와의 사이의 유압 호스가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단이 메인 밸브에 접속된 유압 호스를 붐의 상면(장착부)을 향해 직선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메인 밸브 근방에 브래킷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1 단이 메인 밸브에 접속된 유압 호스를, 브래킷을 통하여 용이하게 붐의 상면(장착부)을 향해 직선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브래킷부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장착된 시트부(seat part)와, 시트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유압 호스를 유도하는 유도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시트부와 시트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유도부를 가지는 브래킷부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차체 전후 방향이란, 유압 셔블의 캡의 운전석에 오퍼레이터가 착석한 상태에서의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이로써, 간소한 구성의 브래킷부를 사용함으로써, 붐의 측방에 배치된 메인 밸브에 제1 단이 접속된 유압 호스를 붐의 상면을 향해 유도함으로써, 메인 밸브로부터 장착부까지 직선적으로 유압 호스를 배치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유압 셔블로서, 장착부는, 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접속부와, 유압 호스가 붐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접속부와, 유압 호스를 붐의 상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장착부를 사용하고 있다.
이로써, 장착부 자체의 고정 개소(箇所)를 붐 측면에 설치하면서, 유압 호스를 붐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외장 커버를 취한 상태에서의 작업기 주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작업기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작업기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압 셔블에 있어서 복수의 유압 호스를 붐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부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외장 커버를 취한 상태에서의 작업기 주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구성에 있어서 유압 호스를 고정시키는 브래킷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브래킷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붐을 상하로 구동했을 때의 유압 호스의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붐을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상하로 이동시켰을 때의 유압 호스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에 대하여,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전후」, 「좌우」방향에 대해서는, 유압 셔블(1)의 캡(10) 내의 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로부터 본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유압 셔블(1) 전체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은, 후방 소(小)선회형의 유압 셔블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액추에이터)(4)와,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5)와, 엔진룸(6)과, 캡(10)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에서의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크롤러 벨트(P)을 회전시킴으로써, 유압 셔블(1)을 전진, 후진시키는 동시에, 상부에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가능한 상태로 탑재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 상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상면에 작업기(4)와, 카운터웨이트(5)와, 엔진룸(6)과, 캡(10)과, 메인 밸브(22)(도 2 참조)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4)에 포함되는 붐(11)의 단부(端部)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작업기 장착부(3a)를 가지고 있다. 작업기 장착부(3a)는, 상부 선회체(3)의 상면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를 구성하는 메인 빔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붐(11)의 회동 중심으로 되는 회동축이 장전된다.
작업기(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의 상면 대략 중앙에 설치된 작업기 장착부(3a)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작업기(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서 굴곡된 붐(11)과, 붐(11)의 선단에 장착된 암(arm)(12)과, 암(12)의 선단에 장착된 버킷(작업 기구)(1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유압 셔블(1)은, 유압 호스(20)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를 구동함으로써, 붐(11)이나 암(12), 버킷(13) 등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토사나 자갈 등의 굴삭을 행하는 토목 공사의 현장에 있어서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이 작업기(4)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단(後段)에 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운터웨이트(5)는, 예를 들면, 강판을 조립하여 형성한 상자 중에 고철이나 콘크리트 등을 넣어 굳힌 것으로서, 채굴 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엔진룸(6)의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엔진룸(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5)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개폐 가능한 엔진 후드(14)에 의해 덮힌 점검용의 상부 개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엔진룸(6)의 내부에는, 하부 주행체(2)나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엔진(도시하지 않음)이나 쿨링 코어(도시하지 않음) 등이 수용되어 있다.
캡(10)은, 유압 셔블(1)의 운전자가 승강하는 실내 공간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캡(10)은, 운전자가 실내 공간에 출입하기 위한 승강용 도어를 좌측면에 가지고 있다.
메인 밸브(22)는, 도시하지 않은 유압 펌프로부터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통하여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에 대하여 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작업기 장착부(3a)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밸브(22)의 배치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후방 소선회형이므로, 상부 선회체(3)의 상면측의 스페이스가 통상의 유압 셔블보다 좁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밸브(22)는, 상부 선회체(3)의 상면측에서의 작업기 장착부(3a)의 후방이 아니고 우측편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의 주변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기(4)를 구성하는 붐(11)이나 암(12), 버킷(13)을 각각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11a, 12a, 13a)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는,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작업기 장착부(3a)의 우측편에 배치된 메인 밸브(22)에 한쪽의 단부(제1 단),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에 다른 쪽의 단부(제2 단)가 각각 접속된 복수의 유압 호스(2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된다.
복수의 유압 호스(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밸브(22)에 제1 단에 접속되고, 그 중간 부분이 붐(11)의 상면(11b)에 고정되고, 제2 단이 각각의 유압 실린더(11a, 12a, 13a)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유압 호스(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붐(11)을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장착부(21) 등의 배치에 의해, 상부 선회체(3)의 외장 부분(H)에 접촉되지 않도록, 외장 부분(H)의 형상을 따라 배치된다. 이로써, 유압 호스(20)의 벤딩량(amount of bending)이 가장 커지는 붐(11)의 최상부 위치까지 붐(11)을 반복적으로 상하 이동시킨 경우라도, 유압 호스(20)를 손상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붐(11)의 중앙 약간 아래 가까이의 위치에는,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고정시키는 장착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유압 호스(20)의 제1 단부측에는,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측으로 유도하는 브래킷부(23)와 호스 클램프(hose clamp)(24)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부(2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붐(11)의 측면(11c)에 고정되는 접속부(21a)와,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1b)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21a)는, 평판형의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볼트(31)를 사용하여 붐(11)의 측면(11c)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21b)는,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접속부(21a)의 평판형의 강판을 대략 U자형으로 절곡하여 성형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부(21) 자체는, 평판형의 접속부(21a)의 부분에서, 붐(11)의 측면(11c)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장착부(21)는, 평판형의 접속부(21a)와 연결되는 부분(고정부(21b)에 있어서,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하고 있다.
메인 밸브(2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붐(1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붐(1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붐(11)의 중심선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브래킷부(23)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의 평면에서 볼 때, 작업기 장착부(3a)의 우측편에 배치된 메인 밸브(22)에 제1 단이 접속된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즉 붐(11)에 고정된 장착부(21)의 고정부(21b)를 향해 대략 직선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메인 밸브(2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래킷부(2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작업기 장착부(3a)의 메인 밸브(22) 측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브래킷부(23)는, 평면형의 강판을 굴곡시켜 구성된 부재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23a)와, 유도부(23b)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23a)는,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평판형 강판의 일부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볼트를 사용하여 작업기 장착부(3a)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유도부(23b)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 장착부(3a)의 측면에 고정된 시트부(23a)에 대하여 소정 각도분 경사지게 되도록 형성된 평판형 강판의 일부로서, 호스 클램프(24)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부(23a)에 대한 유도부(23b)의 굴곡 각도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을 향해 대략 직선 상으로 유도하는 방향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유도부(23b)는, 유압 셔블(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장착된 시트부(23a)에 대하여, 붐(11)의 상면(11b)을 향해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호스 클램프(2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을 향해 대략 직선 상으로 유도하기 위해, 유도부(23b)에 장착되어 있다. 즉, 호스 클램프(24)는, 시트부(23a)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굴곡된 유도부(23b)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을 향해 대략 직선 상으로 유도할 수 있다.
< 붐(11)의 상하 이동에 따른 유압 호스(20)의 동작>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 상에서의 작업기(4)의 우측편에 탑재된 메인 밸브(22)와, 메인 밸브(22)에 제1 단이 접속된 복수의 유압 호스의 중간 부분을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시키는 장착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의 수송 시에서의 붐(11)의 위치(S1)(도면 중 실선 참조)로부터 붐(11)을 가장 아래쪽으로 하강시킨 위치(S2), 붐을 가장 위쪽까지 상승시킨 위치(S3)까지, 복수의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을 적정한 범위 내로 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즉, 가장 아래쪽으로 하강시킨 붐(11)의 위치(S2)에서는, 메인 밸브(22)의 근방에 장착된 브래킷부(23)로부터 붐(11)에 장착된 장착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커진다. 그러므로,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은 최소로 된다. 이 때, 복수의 유압 호스(2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한 벤딩량을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유압 셔블(1)의 수송 시에서의 붐(11)의 위치(S1)에서는, 붐(11)의 위치(S2)와 비교하여, 약간, 브래킷부(23)로부터 장착부(21)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므로, 복수의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은 약간 크게 되어 있을뿐, 상부 선회체(3)의 외장 부분(H)에 접촉할 정도의 벤딩량은 생기고 있지 않다.
다음에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킨 붐(11)의 위치(S3)에서는, 메인 밸브(22)의 근방에 장착된 브래킷부(23)로부터 붐(11)에 장착된 장착부(21)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아진다. 그러므로,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은 최대로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이 가장 커지는 붐(11)의 위치(S3)에 있어서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딩량이 최대로 된 유압 호스(20)를, 상부 선회체(3)의 외장 부분(H)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붐(11)의 상승 및 하강을 행할 때에 있어서의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을 적정한 범위 내로 되도록 컨트롤하는 동시에 벤딩량이 최대로 되는 위치(S3)에 있어서도 상부 선회체(3)의 외장 부분(H)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압 호스(20)를 배치함으로써, 붐(1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유압 호스(20)와 외장 부분(H)의 일부가 접촉하여 유압 호스(20)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상에 고정시키는 장착부(21)의 붐(11)에 대한 장착 위치를, 종래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붐(11)의 상하 이동에 따른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의 변동의 범위를 적정한 범위 내로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로써, 유압 셔블(1)이 트레일러의 베드(bed)에 탑재된 상태로 반송(搬送)될 때 수송 시의 높이 규제에 저촉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밸브(22)의 근방에 배치된 브래킷부(23)로부터 붐(11)의 상면(11b) 상을 향해 대략 직선형으로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붐(11)을 상하 이동시켰을 때 생기는 유압 호스(20)의 비틀림(twist)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위쪽까지 상승시킨 붐(11)의 위치에 있어서, 복수의 유압 호스(20)가 상부 선회체(3)의 외장 부분(H)에 접촉되지 않도록, 외장 부분(H)을 따라 유압 호스(20)를 배치하고 있다.
이로써, 유압 호스(20)의 벤딩량이 가장 커지는 붐(11)의 최상부 위치까지 붐(11)을 반복 상하 이동시킨 경우라도, 상부 선회체(3)의 외장 부분(H)에 접촉하여 유압 호스(20)를 손상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평판형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21a)와, 평판형의 강판을 대략 U자형으로 가공하여 성형된 고정부(21b)를 포함하는 장착부(21)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착부(21)의 형상으로서는, 유압 호스(20)의 개수나 형상, 유도해야 할 방향을 따라,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유압 호스(20)를 모아서 붐(11)의 상면(11b) 위로 유도하는 브래킷부(23)를, 평판형의 강판을 굴곡시켜 형성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래킷부(23)의 형상으로서는, 유압 호스(20)의 개수나 형상, 유도해야 할 방향을 따라,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4)의 선단에 장착되는 작업 기구[(부속품(attachment)]으로서 버킷(13)을 장착한 유압 셔블(1)을 예로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립퍼, 커터 등의 다른 작업 기구를 작업기의 선단에 장착한 유압 셔블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유압 셔블은, 유압 호스와 상부 선회체의 외장의 일부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유압 호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압 호스를 통하여 각종 액추에이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건설 기계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1 유압 셔블
2 하부 주행체
3 상부 선회체
3a 작업기 장착부
4 작업기
5 카운터웨이트
6 엔진룸
10 캡
11 붐
11a 유압 실린더
11b 상면
11c 측면
12 암
12a 유압 실린더
13 버킷
13a 유압 실린더
14 엔진 후드
20 유압 호스
21 장착부
21a 접속부
21b 고정부
22 메인 밸브
23 브래킷부
23a 시트부
23b 유도부
24 호스 클램프
31 볼트
H 외장 부분
S1∼S3 위치

Claims (4)

  1. 크롤러 벨트(crawler belts)를 회전시킴으로써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旋回) 가능한 상태로 탑재된 상부 선회체;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 유압에 의해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붐(boom);
    상기 붐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고 각종 작업을 행하는 작업 기구(器具);
    상기 붐 및 상기 작업 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붐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유압 실린더;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서의 상기 붐의 측방에 배치된 메인 밸브;
    제1 단(端)이 상기 메인 밸브에, 제2 단이 상기 유압 실린더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메인 밸브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에 대하여 압유(壓油)를 공급하는 유압 호스; 및
    상기 유압 호스의 중간 부분을 상기 붐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붐의 측면에 고정되는 접속부와, 상기 유압 호스가 상기 붐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고 있는,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호스는, 상기 붐을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의 외장(外裝)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유압 셔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의 근방에서, 상기 장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브래킷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의 유압 호스가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부는,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장착된 시트부(seat part)와,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 호스를 유도하는 유도부를 가지고 있는, 유압 셔블.
KR1020147010142A 2012-05-22 2012-09-05 유압 셔블 KR201400749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6494A JP5290453B1 (ja) 2012-05-22 2012-05-22 油圧ショベル
JPJP-P-2012-116494 2012-05-22
PCT/JP2012/072644 WO2013175647A1 (ja) 2012-05-22 2012-09-05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950A true KR20140074950A (ko) 2014-06-18

Family

ID=4939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142A KR20140074950A (ko) 2012-05-22 2012-09-05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003901A1 (ko)
JP (1) JP5290453B1 (ko)
KR (1) KR20140074950A (ko)
CN (1) CN103635635B (ko)
DE (1) DE112012000379B4 (ko)
WO (1) WO2013175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3013B2 (ja) * 2011-08-24 2014-01-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における配管取付け構造
EP2787128A4 (en) * 2011-11-30 2016-02-24 Volvo Constr Equip Ab HYDRAULIC PIPE FASTENER BAGGER WITH SWIVEL BOOM
JP5803981B2 (ja) * 2013-06-07 2015-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バルブ装置
JP5803985B2 (ja) * 2013-06-14 2015-11-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配索構造
JP6345087B2 (ja) * 2014-11-14 2018-06-20 Kyb−Ys株式会社 機器取付構造
JP6451242B2 (ja) * 2014-11-17 2019-01-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10362738B2 (en) * 2015-09-10 2019-07-30 Komatsu Ltd. Work vehicle
JP6618436B2 (ja) * 2016-07-28 2019-12-11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小型油圧ショベル
JP6406325B2 (ja) * 2016-08-01 2018-10-1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7975091A (zh) * 2017-11-22 2018-05-01 三重机有限公司 一种管路布局结构及应用其的挖掘机
JP7339095B2 (ja) * 2019-09-24 2023-09-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線条体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0273A1 (en) * 1979-07-16 1981-02-05 Caterpillar Tractor Co Mounting assembly for hydraulic conduits of a mobile apparatus
JPH0510044Y2 (ko) * 1986-09-22 1993-03-11
JP2002327453A (ja) * 2001-05-07 2002-11-15 Komatsu Ltd 建設機械の作業機用油圧配管のクランプ装置
US8523120B2 (en) * 2004-06-14 2013-09-03 Komatsu Ltd. Component support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with component attached via the same
JP5019516B2 (ja) * 2007-02-27 2012-09-0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配管配設構造
JP2010031513A (ja) * 2008-07-28 2010-02-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油圧ホースの保護装置
JP4851506B2 (ja) * 2008-10-28 2012-01-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301480B2 (ja) * 2010-02-11 2013-09-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611881B2 (ja) * 2010-08-27 2014-10-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5647A1 (ja) 2013-11-28
JP5290453B1 (ja) 2013-09-18
US20140003901A1 (en) 2014-01-02
CN103635635A (zh) 2014-03-12
CN103635635B (zh) 2015-11-25
DE112012000379T5 (de) 2014-02-20
DE112012000379B4 (de) 2015-07-16
JP2013241801A (ja)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950A (ko) 유압 셔블
US9010809B2 (en) Oil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vehicle
KR101233228B1 (ko) 작업 차량
US8857384B2 (en) Construction machine
EP2581505B1 (en) Operating machine with hydraulic hose guide means
KR20070109906A (ko) 건설 기계
US11105067B2 (en) Work machine
WO2015078810A1 (en) Travel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US9234328B2 (en) Upper slewing body for construction machine
KR20170066275A (ko) 작업 차량
KR20140074951A (ko) 유압 셔블
JP4685695B2 (ja) 建設機械
CN103485376B (zh) 工程机械
JP6232421B2 (ja) ミニショベル
EP3832027B1 (en) Construction machine
CN110226009B (zh) 液压挖掘机
EP3369866A1 (en) Front loader
US10384532B2 (en) Work vehicle
KR102504696B1 (ko) 전동식 건설 기계
JP2021001434A (ja) 作業車両
JP7282610B2 (ja) 杭打機
JP2005061061A (ja) 建設機械
JP7345536B2 (ja) 作業機械
EP4095319A1 (en) Construction machine
JP2013249649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