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680A -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680A
KR20140069680A KR1020120137257A KR20120137257A KR20140069680A KR 20140069680 A KR20140069680 A KR 20140069680A KR 1020120137257 A KR1020120137257 A KR 1020120137257A KR 20120137257 A KR20120137257 A KR 20120137257A KR 20140069680 A KR20140069680 A KR 2014006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ol
layer
e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862B1 (ko
Inventor
이진우
임동진
유아림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점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점착 부재는 적절한 조성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우수한 초기 점착력을 가지면서 고온고습 하에서도 점착력의 저하가 없을 뿐 아니라 PE계 발포층을 이용하여 충격흡수력도 우수하므로,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COMPRISING THE SAME}
실시예들은 점착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T 제품들에서는 부품 고정 등의 용도로 양면 점착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기재 필름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착 필름은 점착제층을 두껍게 형성한다 하더라도 충격흡수성이 낮아 유리와 같은 깨지기 쉬운 부품 고정에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재 필름과 함께 발포(foam) 재질의 기재를 병용함으로써 충격흡수 단점을 보완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IT 제품에서 사용되는 점착 필름은 보다 좁은 영역에서 높은 부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고온고습의 환경에서도 우수한 점착력을 발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초기 점착력(tack), 지속적인 접착력(adhesion) 및 응집력(cohesion)이 골고루 완비되어야 우수한 점착력을 발휘하는데, 여기에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조성 및 첨가제 성분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종래의 점착 필름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대부분 분자량이 낮고 아크릴 중합체와의 혼련 문제로 인해,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 점착력 저하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들은 고온고습한 환경에서도 우수한 점착력 및 충격흡수율을 갖는 점착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i)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ii)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부재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단량체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이 각각 50 내지 75 mol%, 5 내지 35 mol% 및 5 내지 35 mol%이고,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0몰%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은 (a)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b)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상기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이 때 상기 점착제층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이 각각 50 내지 75 mol%, 5 내지 35 mol% 및 5 내지 35 mol%이고,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0몰% 이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점착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점착 부재가 (i)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ii) 상기 적층체의 양면 상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점착제층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이 각각 50 내지 75 mol%, 5 내지 35 mol% 및 5 내지 35 mol%이고,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0몰% 이상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 부재는 우수한 초기 점착력(tack)을 가지면서 고온고습하에서도 점착력의 저하가 없고 충격흡수력도 우수하므로, 휴대폰 디스플레이,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우수한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향상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점착 부재에 대한 롤링볼 테스트의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점착 부재의 충격흡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 등이 실제보다 과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만,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점착 부재의 구성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1)는 기재층(40), 접착층(30), 발포층(20), 두 개의 점착제층(10)들, 및 이형지(50)를 포함한다.
상기 발포층(20)은 상기 기재층(40)의 적어도 일면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층(20)은 상기 기재층(40)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상기 기재층(4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발포층(20)들이 상기 기재층(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층(20)은 상기 기재층(40)의 상면에 배치되거나, 기재층(4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발포층(20)이 상기 기재층(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포층(20)과 상기 기재층(40)은 이들 사이에 접착층(30)을 배치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발포층(20)과 상기 기재층(40)이 접착층(30) 없이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층(40) 및 상기 발포층(20)은 상기 접착층(30)을 통하여 서로 접착된 하나의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접착층(30) 없이 상기 기재층(40) 및 상기 발포층(20)만으로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포층(20)은 상기 기재층(40)의 일면 상에 하나만 배치되거나, 두개의 발포층(20)들이 하나의 기재층(40)의 양면 상에 각각 배치(즉 샌드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10)들은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된다. 일례로서, 상기 적층체의 상면 또는 하면 상에 하나의 점착제층(10)만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적층체의 양면 상에 상기 점착제층(10)들이 배치(즉 샌드위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점착제층(10)들 중 하나는 상기 적층체의 상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적층체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점착제층(10)들 중 하나는 상기 발포층(20)의 상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기재층(4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10)들이 상기 적층체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점착제층(10)들은 상기 적층체의 상면 및 하면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점착제층(10)들 중 하나는 상기 발포층(20)의 상면에 직접 접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기재층(40)의 하면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적층체의 일면 상에 제 1 점착제층이 배치되고, 타면 상에 제 2 점착제층이 배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이 상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적층체가 기재층 및 이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제 1 점착제층이 상기 기재층 상에 직접 점착되고 상기 제 2 점착제층이 상기 발포층 상에 직접 점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10)들의 적어도 일면 상에 상기 이형지(50)가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지(50)는 상기 점착제층(10)들 중 하나에 직접 접합거나, 두 개의 이형지(50)들이 상기 점착제층(10)들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층일 수 있다. 즉,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아크릴산(acrylic acid; 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MA)를 주로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은 약 90mol% 이상이고, 더 한정한다면 약 95mol%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더 한정한다면 약 99mol% 이상일 수 있고, 가장 한정한다면 약 100mo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약 25 내지 50 mol%일 수 있다.
각 단량체별 구체적인 함량으로는,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2-EHA의 함량이 약 50 내지 75 mol%이고, AA의 함량이 약 5 내지 35 mol%이며, MA의 함량이 약 5 내지 35 mol%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2-EHA의 함량이 약 50 내지 70 mol%이고, AA의 함량이 약 10 내지 20 mol%이며, MA의 함량이 약 10 내지 30 mol%일 수 있다. 이때, MA와 AA의 함량의 합이 약 30 내지 50 mol%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2-EHA의 함량이 약 60 내지 75 mol%이고, AA의 함량이 약 15 내지 25 mol%이며, MA의 함량이 약 5 내지 15 mol%일 수 있다. 이때, MA와 AA의 함량의 합이 약 25 내지 40 mol%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또 다른 예로서,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2-EHA의 함량이 약 65 내지 75 mol%이고, AA의 함량이 약 18 내지 23 mol%이며, MA의 함량이 약 7 내지 12 mol%일 수 있다. 이때, MA와 AA의 함량의 합이 약 27 내지 33 mo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EA),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등과 같은 추가적인 단량체를, 전체 단량체의 몰수를 기준으로 약 10mol%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로 글리시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점착제층은 글리시딜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계 가교제의 예로서, N,N,N',N'-테트라글리시딜 m-크실렌 디아민,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글리시딜계 가교제로서 N,N,N',N'-테트라글리시딜 m-크실렌 디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약 0.2 내지 0.6 phr일 수 있으며, 더 자세하게, 상기 가교제는 상기 점착제층에 약 0.3 내지 0.5 phr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첨가량이 0.2phr 미만시에는 점착제층의 응집력(cohesion)이 부족하여 박리시 잔사를 야기할 수 있고, 0.6phr 초과시에는 초기 점착력(tack)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phr 단위는 상기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중합체 100중량부 당 첨가되는 가교제의 중량부를 의미한다.
가교제의 첨가에 대한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점착층은 글리시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교제를 0.2 내지 0.6 phr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글리시딜계 가교제를 0.3 내지 0.5 phr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상기와 같은 조성의 점착제층을 사용하여 높은 초기 점착력(tack)과 지속적인 접착력(adhesion)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점착제층은 유리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등과 같은 필름 등에 높은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약 30 내지 약 100 ㎛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약 50 내지 100 ㎛일 수 있다.
발포층(foam layer)
상기 발포층은 탄성을 가짐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층은 충격 흡수층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층이라면 발포 구조를 가지지 않는 다른 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폴리에틸렌(PE)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발포층은 PE계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층은 PE계 발포층일 수 있다.
상기 PE계 수지의 예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LLDPE, VLDPE)의 단일 수지 또는 이의 공중합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EVA), 및 상기 언급된 폴리머의 혼합물(예를 들어, PE-EVA 발포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상기 PE계 수지 외에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스티렌 블록 공중합 수지에 기초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방향족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에 기초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클로로프렌, 천연 고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의 기공의 직경은 약 0.1 내지 10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층의 기공률은 약 10 내지 90 %일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의 기공들의 직경 및 기공률은 적절한 충격 흡수를 위하여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검정색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발포층은 전체적으로 검정색일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은 검정색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에 포함되는 착색제는 검정색 염료 또는 안료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본 블랙, 반응성 염료(dye), 아조 염료, 니그로신, 페릴렌 안료 및 아닐렌 블랙과 같은 유기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의 두께는 약 100 내지 250 ㎛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발포층의 두께는 약 150 내지 200 ㎛일 수 있다. 상기 발포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충격흡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기재층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점착제층, 상기 발포층 및 상기 접착층을 지지하며, 점착 부재에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재층으로 PET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재층은 PET 단독 수지 또는 이의 공중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층은 PET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불투명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기재층은 검정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검정색 염료 또는 안료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반응성 염료(dye), 아조 염료, 니그로신, 페릴렌 안료 및 아닐렌 블랙과 같은 유기 착색제일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상기 기재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기재층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차광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약 5 내지 25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7 내지 20 ㎛일 수 있다.
접착층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발포층과 상기 기재층을 서로 접착시킨다. 즉,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발포층 및 상기 기재층에 접착되어, 상기 발포층을 상기 기재층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점착제층과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상기 점착제층과 다른 조성을 가지거나, 다른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은 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5 ㎛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 내지 4 ㎛일 수 있다.
이형지
상기 이형지는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함으로써, 점착 부재의 보관의 안정성을 위해 도입된다.
상기 이형지는 양쪽의 점착제층 모두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한쪽의 점착제층에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지는 둘 중 한쪽의 점착제층에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로서, 폴리에틸렌계 이형지, PET계 이형지 또는 글라신지(glassine pap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는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의 두께는 약 25 내지 100 ㎛일 수 있다.
점착 부재의 특성 및 물성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하나 이상의 부재들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한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양면 점착 필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의 총 두께는 약 35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약 100 내지 350 ㎛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50 내지 300 ㎛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ASTM D3330에 따른 180°박리강도가 약 1.10 N/㎜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10 내지 2.10 N/㎜일 수 있다. 나아가, 점착 부재의 180°박리강도는 약 1.30 N/㎜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30 내지 2.10 N/㎜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점착 부재의 180°박리강도는 약 1.50 N/㎜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50 내지 2.10 N/㎜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박리강도의 범위는 고온고습의 조건, 예를 들어 온도 약 85±1℃ 및 상대습도 85±5%의 조건에서 약 24시간 방치한 뒤에도 동일하게 발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ASTM D3121에 따른 롤링볼 테스트(도 3 참조)의 결과값이 약 11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 내지 110 ㎜일 수 있다. 나아가 점착 부재의 롤링볼 테스트의 결과값이 약 7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 내지 70 ㎜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점착 부재의 롤링볼 테스트의 결과값이 50㎜ 이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 내지 50 ㎜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는 충격흡수율이 30%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500mm의 높이에서 약 300g의 무게의 쇠공이 낙하될 때의 충격량에 대하여, 약 30% 이상,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60 %의 충격 흡수율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의 충격흡수율이 약 35%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55 %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점착 부재의 충격흡수율이 40%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40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율의 측정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약 10 내지 500 ㎛의 두께를 가지는 두 개의 스테인레스스틸판(SUS, 110) 사이에,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1)가 적층된다. 이후 무게 300g의 쇠공(100)이 상기 SUS판(110)으로부터 약 500mm 높이에서 자유 낙하된다. 이때, 하부의 SUS판(110)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측정되고, 이때, 측정된 충격량을 측정값으로 한다. 또한, 상기 SUS판(110) 사이의 점착 부재(1)이 제거되고,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충격량은 참조값으로 한다. 이들 값을 바탕으로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서 충격 흡수율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충격흡수율(%) = [참조값 - 측정값] / 참조값 X 100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점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본 발명의 점착 부재는 이하에 기술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점착 부재에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즉, 본 제조방법에 대한 설명은, 앞서의 점착 부재에 대한 설명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점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점착제의 제조 단계, 발포 적층체의 제조 단계, 점착제층의 형성, 권취 공정, 숙성 단계, 및 이형 필름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각 제조 단계별로 세부적인 공정을 설명한다.
(a) 점착제의 제조
점착제는 1종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가교제와 반응시켜 제조된다.
이들의 단량체 및 가교제의 종류와 첨가량 범위는, 앞서 점착 부재의 세부 내용에서 언급된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단량체 및 가교제의 종류 및 함량 범위와 동일하다.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반응시에 반응 용액의 고형분 함량 범위가 10 내지 60 wt%일 수 있으며, 용매로서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벤조일퍼옥사이드(BPO) 및 이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b) 발포 적층체의 제조
PE 발포 기재와 PET 필름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통상의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합지하여 적층체를 제조한다. 이 때 발포 적층체의 총 두께는 106 내지 280 ㎛ 인 것이 좋다.
(c) 점착제층의 형성
(c-1) 단면 점착 필름의 제조
이형지 위에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점착제를 코팅한 후, 상기 이형지에 코팅된 점착제를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발포 적층체의 기재층에 부착하여, 단면 점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c-2) 양면 점착 필름의 제조
양면 점착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이형 필름 위에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점착제를 코팅한 후, 상기 이형 필름에 코팅된 점착제를 앞서 얻은 단면 점착 필름의 발포층에 부착시킨다. 그 결과, 일면에 이형지가 접합되고 타면에 이형 필름이 접합된 양면 점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형 필름으로는 일반적인 실리콘 성분이 함유된 PET계 이형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된 이형지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단계 (c-2) 이후에, (d) 상기 단계 (c-2)에서 얻은 단면/양면 점착 필름을 이형 필름이 외면에 나오도록 권취하는 단계; 및 (e) 단계 (d)에서 얻은 권취물을 40~60℃에서 2~4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d) 권취 공정
상기 단계 (c)에서 제조된 단면/양면 점착 필름은 권취된다. 이 때 양면 점착 필름의 경우에는, 이형 필름이 외면에 나오도록 하여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 필름을 내면으로 하여 권취할 경우 추후 숙성 단계를 거치면서 주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e) 숙성 단계
단면/양면의 점착제층에 각각 이형지 및/또는 이형 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숙성 단계를 거치게 된다. 양면 점착 필름의 경우, 만약 숙성 공정 이전에 이형 필름을 제거한 뒤 숙성 공정을 거치게 되면 최종 점착 필름에서 컬(curl)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숙성 공정은 40 내지 60 ℃의 온도에서 2일 내지 4일간 수행될 수 있다.
(f) 이형 필름 제거
숙성 공정이 완료되면, 양면 점착 필름의 경우에는 이형 필름을 제거한다.
이후 보관의 편의를 위해 권취될 수 있으며, 이 때 이형지가 외면에 나오도록 권취할 수 있다.
표시장치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점착 부재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즉, 본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은 앞서의 점착 부재에 대한 설명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2), 터치 패널(3) 및 점착 부재(1)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2)은 영상을 표시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표시 패널(2)은 상향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로부터 발생한 영상은 상기 터치 패널(3)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의 예로서는 액정 표시장치 또는 유기전계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은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더 자세하게, 상기 터치 패널(3)은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은 정전식 터치스크린, 감압식 터치스크린 또는 저항막 방식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3)은 상기 표시 패널(2)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터치 패널(3)은 상기 표시 패널(2)과 대향된다. 상기 터치 패널(3)은 상기 점착 부재(1)를 통하여 상기 표시패널(2)의 상면에 접착된다.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표시 패널(2) 및 상기 터치 패널(3)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표시 패널(2) 및 상기 터치 패널(3)에 접착된다.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터치 패널(3)의 하면 및 상기 표시 패널(2)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재(1)는 중앙 부분에 오픈된 펀칭 영역(PA, 70)을 포함한다. 상기 펀칭 영역(PA)은 상기 표시 패널(2)의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점착 부재(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표시 패널(2)은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표시영역(DA, 61) 및 상기 유효 표시영역의 주위를 둘러싸는 비유효 표시영역(NA, 62)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 표시영역(61)은 상기 표시 패널(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펀칭 영역(70)은 상기 유효 표시영역(61)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표시 패널(2)로부터 발생한 영상은 상기 펀칭 영역(70)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 부재(1)는 폐루프(closed loop)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2) 중, 상기 점착 부재(1)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의 재질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일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패널(2)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표시 패널(2)에 포함된 유리 기판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터치 패널(3)에 포함된 유리 기판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패널(3)은 유리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터치 패널(3)의 유리 기판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터치 패널(3)에 포함된 PET 기판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 부재(1)는 향상된 초기 점착력 및 지속적인 접착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점착 부재(1)는 상기 표시 패널(2) 및 상기 터치 패널(3)을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향상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2)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2) 및 상기 터치 패널(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바일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및 물성 평가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a) 온도조절이 가능한 이중자켓의 1L용 유리 반응기를 준비하고, 70℃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288.6g을 채우고, 이후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72.3kg(420mol), 아크릴산(AA) 6.5kg(90mol),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 7.7kg(90mol)을 투입하여 용해시켰다. 여기에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8.6g을 추가로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합체에 가교제로서 N,N,N',N'-테트라글리시딜 m-크실렌 디아민(Tetra-DX, Nippon polyurethane사) 1.1kg (0.5phr) 을 배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b) 두께 16㎛의 블랙 PET 필름(SKC사 제품)과 두께 150㎛의 PE 발포 기재를 우레탄계 액상 접착제(3532 grade, 3M사)를 이용하여 통상의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합지하였다. 발포 적층체의 총 두께는 약 170㎛ 수준이 되도록 하였다.
(단계 c) 이형지(글라신지) 위에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이 때,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약 65㎛가 되도록 하였다. 그 위에 상기 단계 (b)에서 제조된 발포 적층체를 블랙 PET 필름 면과 접하도록 부착시켜 단면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형 필름(SKC사 제품) 위에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하고, 그 위에 앞서 제조된 단면 점착 필름을 PE 발포 기재 면과 접하도록 부착시켜, 양면 점착 필름을 얻었다. 건조 후의 점착 필름의 총 두께가 약 300㎛가 되도록 하였다.
(단계 d) 상기 단계 (c)에서 얻은 양면 점착 필름을 이형 필름이 외면에 나오도록 하여 권취하였다.
(단계 e) 권취된 양면 점착 필름을 40℃ 오븐에서 2일간 보관하여 숙성시켰다.
(단계 f) 숙성이 완료되면 점착 필름을 오븐에서 꺼내고, 이형 필름을 제거하였다. 이후 이형지가 외면에 나오도록 하여 권취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단량체의 첨가량을 2-EHA 360mol, AA 60mol, 및 MA 180m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단량체의 첨가량을 2-EHA 300mol, AA 120mol, 및 MA 180m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단량체의 첨가량을 2-EHA 420mol, AA 120mol, 및 MA 60m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가교제인 Tetra-DX의 첨가량을 0.65kg (0.3phr)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b)에서 PE 발포 기재의 두께를 20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가교제인 Tetra-DX의 첨가량을 0.22kg(0.1phr)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가교제인 Tetra-DX의 첨가량을 1.52kg(0.7phr)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단량체의 첨가량을 2-EHA 540mol, AA 30mol, 및 MA 30m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단량체의 첨가량을 2-EHA 480mol, AA 60mol, 및 MA 60m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a)에서 단량체의 첨가량을 2-EHA 180mol, AA 240mol, 및 MA 180mol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 경우 중합 단계에서 점도가 크게 상승하여, 이후의 단계를 진행할 수 없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특히 하기 표 1에는 총 단량체의 몰수를 기준으로 각각의 단량체의 첨가량을 mol%로 환산하여 정리하였다.
2-EHA
첨가량
(mol%)
AA
첨가량
(mol%)
MA
첨가량
(mol%)
Tetra-DX
첨가량
(phr)
PE
발포기재
두께(㎛)
권취시
이형필름
위치

공정진행
가능여부
실시예 1 70 15 15 0.5 150 외면 가능
실시예 2 60 10 30 0.5 150 외면 가능
실시예 3 50 20 30 0.5 150 외면 가능
실시예 4 70 20 10 0.5 150 외면 가능
실시예 5 70 15 15 0.3 150 외면 가능
실시예 6 70 15 15 0.5 200 외면 가능
실시예 7 70 15 15 0.1 150 외면 가능
실시예 8 70 15 15 0.7 150 외면 가능
비교예 1 90 5 5 0.5 150 외면 가능
비교예 2 80 10 10 0.5 150 외면 가능
비교예 3 30 40 30 0.5 150 외면 불가
시험예 1: 박리강도(peel strength)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필름의 박리강도를 ASTM D3330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폭 25㎜ 및 길이 100㎜ 이상으로 재단한 뒤 스테인레스스틸(SUS) 판에 부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상온에서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을 온도 23±1℃ 및 상대습도 50±5%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고, 이의 180°박리강도(N/㎜)를 측정하였다.
또한,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박리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샘플을 온도 85±1℃ 및 상대습도 85±5%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고, 이의 180°박리강도(N/㎜)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2: 롤링볼(rolling ball) 테스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ASTM D3121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할 점착 필름(1)을 30°경사를 갖는 경사로 아래에 위치시키고 무게 5.6g 및 지름 11mm의 쇠공(100)을 경사로 위에 위치시켰다. 이후 쇠공(100)을 굴려 175mm의 경사로를 내려오게 한 뒤, 쇠공이 점착 필름(1) 위를 굴러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3: 충격흡수율 측정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하고자 하는 점착 부재(1)을 가로 및 세로가 모두 50㎜인 2개의 스테인레스스틸판(SUS, 110) 사이에 적층시키고, 이를 센서(120, Bruel&Kjaer사) 위에 위치시켰다. 이후 무게 300g의 쇠공(100)을 SUS판(110)으로부터 500m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센서에 의해 충격 하중(load) 값을 측정하여 측정값으로 하였다. 또한, SUS판(110) 사이의 점착 부재(1)를 제거하고 동일한 절차로 충격 하중을 측정하여 참조값으로 하였다. 이들 값을 이용하여 아래 식에 따라 충격흡수율을 산출하였다:
충격흡수율(%) = [참조값(N) - 측정값(N)] / 참조값(N) X 100
시험예 4: 외관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필름의 외관을 관찰하여, 주름, 잔사, 컬(curl) 등의 현상이 없는지 확인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박리강도
(N/mm)
고온고습후
박리강도
(N/mm)

롤링볼
(mm)

충격흡수율
(%)

외관
평가
실시예 1 1.56 1.59 40 42
실시예 2 1.57 1.55 42 41
실시예 3 1.62 1.70 30 42
실시예 4 1.73 1.82 25 41
실시예 5 1.55 1.58 20 43
실시예 6 1.57 1.60 41 45
실시예 7 1.60 1.78 27 43
실시예 8 1.58 1.68 110 40
비교예 1 1.01 1.21 150 40
비교예 2 1.05 1.27 140 41
비교예 3 - - - - -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각각의 단량체 성분을 바람직한 범위로 사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8의 필름은, 박리강도, 충격흡수율 등의 면에서 모두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특히, 그 중에서도 가교제를 0.2~0.6phr 범위로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6의 필름이 롤링볼 테스트 및 외관 면에서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각각의 단량체 성분을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게 사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 및 2의 필름은 박리강도 및 롤링볼 테스트 면에서 매우 저조한 특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비교예 3의 필름은 중합 단계에서 점도가 크게 상승하여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점착 부재 2: 표시 패널 3: 터치 패널
10: 점착제층 20: 발포층 30: 접착층
40: 기재층 50: 이형지 61: 유효 표시영역
62: 비유효 표시영역 70: 펀칭 영역 100: 쇠공
110: 스테인레스스틸판 120: 센서

Claims (16)

  1. (i)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ii)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부재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단량체로서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이 각각 50 내지 75 mol%, 5 내지 35 mol% 및 5 내지 35 mol%이고,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0몰% 이상인, 점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글리시딜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가교제를 0.2 내지 0.6 phr의 양으로 함유하는, 점착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글리시딜계 가교제를 0.3 내지 0.5 phr의 양으로 함유하는, 점착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25 내지 50 mol%인, 점착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5mol% 이상인, 점착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9mol% 이상인, 점착 부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이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 부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일면 상에 제 1 점착제층이 배치되고, 타면 상에 제 2 점착제층이 배치되며, 이 때 상기 제 1 점착제층 및 상기 제 2 점착제층이 상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기재층 및 이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제 1 점착제층이 상기 기재층 상에 직접 점착되고, 상기 제 2 점착제층이 상기 발포층 상에 직접 점착되는, 점착 부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상기 발포층이 검정색 염료 또는 안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 부재.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재가
    ASTM D3330에 따른 180°박리강도가 1.10 N/㎜ 이상이고,
    ASTM D3121에 따른 롤링볼 테스트 결과값이 110㎜ 이하이며,
    충격 흡수율이 30% 이상인, 점착 부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율이, 500mm의 높이에서 약 300g의 무게의 쇠공이 낙하될 때의 충격량에 대한 충격 흡수율인, 점착 부재.
  13. (a)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b)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상기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이 때 상기 점착제층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이 각각 50 내지 75 mol%, 5 내지 35 mol% 및 5 내지 35 mol%이고,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0몰% 이상인,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가 상기 적층체의 양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c-1) 이형지 위에 상기 점착제를 코팅한 후, 상기 이형지에 코팅된 점착제를 상기 적층체의 기재층에 부착하여, 단면 점착 필름을 얻는 단계; 및
    (c-2) 이형 필름 위에 상기 점착제를 코팅한 후, 상기 이형 필름에 코팅된 점착제를 상기 단면 점착 필름의 발포층에 부착시켜, 양면 점착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2) 이후에,
    (d) 상기 단계 (c-2)에서 얻은 양면 점착 필름을 이형 필름이 외면에 나오도록 권취하는 단계; 및
    (e) 단계 (d)에서 얻은 권취물을 40 내지 60 ℃에서 2일 내지 4일간 숙성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 부재의 제조방법.
  16. 표시 패널; 외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 패널;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점착되는 점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점착 부재가 (i)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발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ii) 상기 적층체의 양면 상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점착제층이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아크릴산(AA)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MA)를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되, 상기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들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이 각각 50 내지 75 mol%, 5 내지 35 mol% 및 5 내지 35 mol%이고, 상기 2-EHA, AA 및 MA의 함량의 합이 90몰% 이상인, 표시 장치.
KR1020120137257A 2012-11-29 2012-11-29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44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57A KR101440862B1 (ko) 2012-11-29 2012-11-29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257A KR101440862B1 (ko) 2012-11-29 2012-11-29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680A true KR20140069680A (ko) 2014-06-10
KR101440862B1 KR101440862B1 (ko) 2014-09-17

Family

ID=5112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257A KR101440862B1 (ko) 2012-11-29 2012-11-29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642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080232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WO2018080231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WO2018080233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CN111913315A (zh) * 2019-05-07 2020-11-10 三星显示有限公司 结合部件、显示模块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WO2022139403A1 (ko) * 2020-12-23 2022-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EP3998524A4 (en) * 2019-07-08 2022-07-1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667B1 (ko) * 2003-06-07 2006-10-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상기 시트를사용한 고무 발포체 점착 시트
KR100964618B1 (ko) * 2007-11-22 2010-06-21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고분자 발포 폼의 표면개질을 이용한 점착테이프의제조방법 및 그 구조물
JP2011252095A (ja) * 2010-06-02 2011-12-15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テープ
KR20130092112A (ko) * 2012-02-10 2013-08-20 (주)앤디포스 내충격성이 우수한 터치스크린 패널용 양면테이프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642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20500951A (ja) * 2016-10-27 2020-01-1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JP2019535854A (ja) * 2016-10-27 2019-12-1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分子フォーム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含む感圧型タッチパネル
WO2018080233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KR20180046381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US10831328B2 (en) 2016-10-27 2020-11-10 Lg Chem, Ltd. Polymer foam adhesive tape and pressure-sensitive type touch panel comprising the same
CN109906258A (zh) * 2016-10-27 2019-06-18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泡沫粘合带和包括其的压敏型触摸面板
WO2018080231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WO2018080232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폼 점착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응형 터치 패널
CN109890924A (zh) * 2016-10-27 2019-06-14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泡沫粘合带和包括其的压敏型触摸面板
US11194426B2 (en) 2016-10-27 2021-12-07 Lg Chem, Ltd. Polymer foam adhesive tape and pressure-sensitive type touch panel comprising the same
US10908748B2 (en) 2016-10-27 2021-02-02 Lg Chem, Ltd. Polymer foam adhesive tape and pressure-sensitive type touch panel comprising the same
CN109906258B (zh) * 2016-10-27 2021-08-10 株式会社Lg化学 聚合物泡沫粘合带和包括其的压敏型触摸面板
CN111913315A (zh) * 2019-05-07 2020-11-10 三星显示有限公司 结合部件、显示模块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EP3998524A4 (en) * 2019-07-08 2022-07-1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INDICATOR
US11861097B2 (en) 2019-07-08 2024-01-0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139403A1 (ko) * 2020-12-23 2022-06-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862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862B1 (ko) 점착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602776B2 (ja) 両面粘着テープ、作製方法、使用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組み立てられる物品
KR102463777B1 (ko) 점착 시트
CN103122227B (zh) 光学薄膜用粘合剂组合物、光学薄膜用粘合剂层、粘合型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KR101544685B1 (ko) 점착 테이프
KR20180087234A (ko) 점착 시트
EP2537903A2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2561378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US20110143071A1 (en) Sheet for absorbing impact and sealing having adhesivenes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4198745A (ja)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用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1168658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CN105308142B (zh) 压敏粘合剂组合物
KR20140142240A (ko) 재박리성 보호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790420A (zh) 光学用粘合剂层、光学用粘合剂层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光学膜、及图像显示装置
CN103242748A (zh) 丙烯酸类压敏胶粘带
TWI786159B (zh) 雙面黏著片材
WO2020158517A1 (ja) 粘着剤層付き光学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TW201821576A (zh) 光學用黏著劑層、光學用黏著劑層之製造方法、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KR20160093552A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20190093509A (ko)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된 광학 적층체
JP6886579B2 (ja)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物品及び携帯電子端末
JP6032032B2 (ja) 粘着剤組成物
JP2013067737A (ja) 透明粘着シート
KR20170037876A (ko) 발포 수지 시트 및 이것을 구비하는 전기ㆍ전자 기기
JP2019065213A (ja) 発泡体基材粘着テープ、物品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