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266A -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266A
KR20140068266A KR1020147012959A KR20147012959A KR20140068266A KR 20140068266 A KR20140068266 A KR 20140068266A KR 1020147012959 A KR1020147012959 A KR 1020147012959A KR 20147012959 A KR20147012959 A KR 20147012959A KR 20140068266 A KR20140068266 A KR 2014006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ey
keys
line
key
operatio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이와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ergonomic functions, e.g. for miniature keyboards; characterised by operational sensory functions, e.g. sound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04Larger or different actuat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24Profile on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손가락으로부터의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조작 키, 및 그 조작 키를 구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조작 키는, 전역에서 위로 볼록하고, 양단 사이에 최대점을 갖는 매끄러운 곡선분인 상변을 갖는 제 1 면; 및 곡선분과,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을 연결하고, 대향하는 변의 방향으로는 전역에서 위로 볼록한, 연결된 양단의 변 사이에 최대점을 제공하며, 대향하는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하강하는 곡면인 제 2 면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면의 최대점으로부터 제 1 면의 저변을 향하여, 제 1 면을 따라 저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는, 최대점으로부터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을 향하여, 제 2 면을 따라 그 대향하는 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보다 짧다.

Description

조작 키 및 단말 장치{OPERATION KEY AND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조작 키, 및 그 조작 키를 구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등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다기능화가 진행될 뿐만 아니라,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단말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단말 장치의 표면적 중, 큰 면적을 점유하는 조작부를 소형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조작부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조작부에 포함되는 각 조작 키를 작게 설계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조작 키가 작아지면, 사용자는 키 조작의 어려움에 직면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 키의 숫자 및 문자 등의 표기 면적이 또한 작아질 것이다. 이런 이유로, 사용자는 숫자 및 문자 등을 확인하는 불편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조작성이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조작 키를, 가능한 한 작은 면적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95호에 관한 단말 장치의 조작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 (101) 는, 수평 방향으로 3 개의 키들, 수직 방향으로 3 개의 키들이 배열된 9 개의 조작 키들 (102) 을 갖는다. 조작 키 (102) 는, 조작성이나 기능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각 조작 키 (102) 의 형상이 가능한 한 크게 형성되고, 조작부 (101) 가 점유하는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 각 조작 키 (102) 간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배열된다. 각 조작 키 (102) 는,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는 경사가 되도록 형상화된다. 조작부 (101) 는, 수직 방향으로 3 단의 계단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된다.
따라서, 각 조작 키 (102) 가 상부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는 경사의 형상을 갖는다면, 그 경사는, 사용자의 조작 시의 손가락의 경사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손가락과 조작 키 (102) 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이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계단 형태로 조작 키 (102) 가 배열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인접하는 키들 간에 단차가 생긴다. 따라서, 사용자는 압하를 원하는 키와 수직 방향으로 근접하는 키들을 촉각으로 식별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7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95호에 관한 단말 장치의 조작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 (103) 는, 도 6 과 유사하게, 수평 방향으로 3 개, 수직 방향으로 3 개가 배열된 9 개의 조작 키들 (104) 을 갖는다.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조작 키들 (104) 사이에는, 세퍼레이터 (105) 가 설치된다. 이 세퍼레이터 (105) 에 의해, 사용자는, 압하를 원하는 키와 수평 방향으로 근접하는 키들을 촉각으로 식별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의 조작 키를 조작할 때, 엄지에 의해 조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엄지의 배 (belly) 가, 조작 키와의 접촉면이 된다. 엄지의 배는, 엄지의 손끝으로부터 제 2 관절까지의 중심선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고, 또한 평면과 유사하다. 따라서, 엄지에 의해 터치되는 조작 키의 면의 형상이 엄지의 조작 키와의 접촉면의 형상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사용자는 엄지에 의해 조작 키를 용이하게 압하할 수 있고, 또한 조작 키에 가장 효율적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도 8 은,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조작할 때의 엄지의 움직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엄지의 손끝으로부터 제 2 관절까지의 중심선은, 휴대 전화기의 중심선과 평행이 아니고, 휴대 전화기의 중심선과의 사이에 일정 각도 α 를 갖는다. 따라서, 엄지는, 조작 키 (102) 에 대하여 일정 각도 α 를 갖는 방향으로부터 조작 키 (102) 를 조작한다.
도 9 는, 도 6 에 나타낸 조작 키 (102) 를, 도 8 에 나타낸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한 경우의 조작 키 (102) 와 손가락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점 K 는 엄지가 무언가를 압하할 때 극도로 힘이 가해지는 점을 나타낸다. 엄지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서 조작 키 (102) 를 압하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23584호도 관련 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엄지가 접촉하는 조작 키의 면의 형상이 엄지의 조작 키와의 접촉면의 형상과 유사한 경우에, 엄지로부터의 힘이 조작 키에 전달되기 쉽다. 그러나, 조작 키 (102) 가 도 6 에 나타낸 형상을 갖는 경우에,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키에 엄지가 접촉하는 면의 형상은, 엄지의 조작 키와의 접촉면과는 상이하다. 즉, 엄지의 조작 키 (102) 와의 접촉면이 평면적이지만, 조작 키 (102) 는, 각 L 을 갖는 모난 형상 (angular shape) 을 갖는다. 이와 같은 조작 키 (102) 를 엄지가 압하할 때, 손가락의 힘이 극도로 가해지는 위치는 점 K 대신에 각 L 을 갖는 터칭점이다. 도 9 는 왼손 엄지를 이용한 조작 키 (102) 의 조작 예를 나타내지만, 오른손 엄지를 이용하여 조작 키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유사하다. 따라서, 도 6 에 나타난 조작 키가 이용되면, 점 K 로부터 시프트되는 점에 극도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손가락으로부터의 힘이 조작 키에 효율적으로 전달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조작 키에 대한 사용자의 미묘한 조작감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손가락의 힘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조작 키, 및 그 조작 키를 구비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조작 키는, 전역 (全域) 에서 위로 볼록하고, 양단 사이에 최대점을 갖는 매끄러운 곡선분인 상변을 갖는 제 1 면, 및 그 곡선분과,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을 오버레이하고, 대향하는 변의 방향으로는 전역에서 위로 볼록하고, 양단 사이에 최대점을 가지며, 그 대향하는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하강하는 곡면인 제 2 면을 포함하며, 제 1 면의 최대점으로부터 제 1 면의 저변을 향하여, 제 1 면을 따라 저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는, 최대점으로부터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을 향하여, 제 2 면을 따라 그 대향하는 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의 제 1 단말 장치는, 전역에서 위로 볼록하고, 양단 사이에 최대점을 갖는 매끄러운 곡선분인 상변을 갖는 제 1 면, 및 그 곡선분과,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을 오버레이하고, 대향하는 변의 방향으로는 전역에서 위로 볼록하고, 양단 사이에 최대점을 가지며, 대향하는 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하강하는 곡면인 제 2 면을 포함하는 조작 키를 포함하며, 제 1 면의 최대점으로부터 제 1 면의 저변을 향하여, 제 1 면을 따라 저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는, 최대점으로부터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을 향하여, 제 2 면을 따라 그 대향하는 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보다 짧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부터의 힘을 단말 장치의 조작 키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는 단말 장치가 구비한 조작 키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 는 단말 장치가 구비한 조작 키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c 는 단말 장치가 구비한 조작 키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는 조작 키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b 는 조작 키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는 조작 키의 배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정점의 높이가 각 라인마다 상이한 조작 키의 배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95호에 관한 단말 장치의 조작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195호에 관한 단말 장치의 조작부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조작할 때의 엄지의 움직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의 조작 키를 조작한 경우의 조작 키와 손가락 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 (10)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 (10) 의 예로서, 휴대 전화기를 나타낸다. 단말 장치 (10) 는 상측 하우징 (11) 및 하측 하우징 (12) 을 포함한다. 하측 하우징 (12) 은 조작부 (20) 를 갖는다. 조작부 (20) 는 제 1 조작부 (21) 및 제 2 조작부 (22) 를 포함한다. 제 1 조작부 (21) 는 결정 키 (enter key), 애플리케이션 기동 키 (application activation key) 및 통화 키 (call key) 와 같이, 단말 장치 (10) 의 기능들을 조작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제 2 조작부 (22) 는 숫자 및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을 포함한다.
도 2a 는 제 2 조작부 (22) 에 포함되는 각 조작 키 (23) 의 형상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b 는, 도 2a 에 나타난 조작 키 (23) 의 단면 A1-A2 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c 는, 도 2a 에 나타난 조작 키 (23) 의 단면 B1-B2 에서의 단면도이다. 조작 키 (23) 의 각각의 각 (square) 은 D1, D2, D3 및 D4 로 각각 나타내진다. 단면 A1-A2 은 선분 D1-D2 의 중점과 선분 D3-D4 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을 통과하는 단면이다. 단면 B1-B2 은 선분 D1-D4 의 중점과 선분 D2-D3 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을 통과하는 단면이다. 단면 A1-A2 과 선분 D1-D2 의 교점을 E1 로 한다. 또한, 단면 A1-A2 과 선분 D3-D4 의 교점을 E2 로 한다. 또한, 단면 B1-B2 과 선분 D2-D3 의 교점을 F1 로 하고, 단면 B1-B2 과 선분 D1-D4 의 교점을 F2 로 한다.
도 2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 D1-C-D2 은, C 를 정점으로 하는 아치 형상이 된다. 곡선 D1-C-D2 과 선분 D1-D2 을 오버레이하는 면은 조작 키 (23) 의 전면 D1-C-D2 으로 나타내진다. 곡선 D1-C-D2 과 대향하는 선분 D3-D4 을 오버레이하는 면은 조작 키 (23) 의 상면 D1-C-D2-D3-D4 이다. 각 D1, 각 D2, 각 D3 및 각 D4 를 오버레이하는 면은 조작 키 (23) 의 저면이다. 정점 C 는 저면 D1-D2-D3-D4 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다. 상면 D1-C-D2-D3-D4 은 정점 C 로부터 선분 D3-D4 향하여 직선으로 하강하는 경사를 갖는다.
여기서, 전면 D1-C-D2 은 제 1 면으로도 나타내진다. 상면 D1-C-D2-D3-D4 은 제 2 면으로도 나타내진다. 정점 C 는 최대점으로도 나타내진다. 전면 D1-C-D2 인 제 1 면은, 전역에서 위로 볼록하고, 각 D1 과 각 D2 사이에 정점 C 를 갖는 매끄러운 곡선분을 갖는 상변 D1-C-D2 을 갖는다. 상면 D1-C-D2-D3-D4 인 제 2 면은, 상기 곡선분 D1-C-D2 과,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는 변 D3-D4 을 오버레이하고, 대향하는 변 D3-D4 의 방향으로는 전역에서 위로 볼록하고, 변 D1-D4 과 변 D2-D3 사이의 면 오버레이에서 최대점을 가지며, 상기 대향하는 변 D3-D4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하강하는 곡면이다.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키 (23) 의 단면 A1-A2 에서의 단면은, C 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 E1-C-E2 이 된다. 선분 C-E1 과 선분 E1-E2 이 이루는 각 β 는, 예각, 90 도 또는 둔각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조작 키 (23) 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를 향하여 손가락이 이동할 때 걸리는 것 (catch) 을 막기 위하여, 각 β 는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D1-C-D2 의 정점 C 로부터 전면 D1-C-D2 의 저변 D1-D2 을 향하여, 전면 D1-C-D2 을 따라 저변 D1-D2 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는, 정점 C 로부터 변 D1-D2 과 대향하는 변 D3-D4 을 향하여, 상면 D1-C-D2-D3-D4 을 따라 대향하는 변 D3-D4 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선의 길이보다 짧다. 도 2b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점 C 로부터 E1 을 향하여 하강하는 거리 C-E1 는, 정점 C 로부터 E2 를 향하여 하강하는 거리 C-E2 보다 짧다.
또한, 도 2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키 (23) 의 단면 B1-B2 에서의 단면의 상변은 아치 형상으로 형상화된다. 이 형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조작 키들 (23) 사이에 골 (valley) 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 키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조작 키들 (23) 과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는 인접하는 조작 키들 (23) 을 촉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3a 는 도 2a 에 나타난 조작 키 (23) 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b 는 도 2a 에 나타난 조작 키 (23) 를 조작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점 A 는 손가락의 힘이 극도로 가해질 수 있는 점을 나타낸다. 도 3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키 (23) 는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하여 점차 상승하는 경사를 갖는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손가락이 조작 키 (23) 에 피팅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키 (23) 를 압하하기 쉬울 수 있다. 또한, 도 3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키 (23) 의 상면 D1-C-D2-D3-D4 은 모난 부분이 없고 평면 형상에 가까운 곡면을 갖기 때문에, 조작 키 (23) 의 접촉면의 형상은 엄지와 피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 키 (23) 를 압하할 때, 손가락에 모난 감촉이 없기 때문에, 위화감 없이 점 A 에 극도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키 (23) 에 대하여 손가락으로부터의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키 (23) 는, C 를 정점으로 하는 아치를 형성하고 있는 곡선 D1-C-D2 과 선분 D1-D2 을 오버레이하는 전면, 및 곡선 D1-C-D2 과, 그 곡선 D1-C-D2 과 대향하는 선분 D3-D4 을 오버레이하는 상면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작 키 (23) 를 압하할 때, 손가락의 힘이 극도로 가해질 수 있는 점 A 에서 조작 키 (23) 를 압하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으로부터의 힘을 조작 키 (23) 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사용자의 왼손 엄지에 의해 조작하는 경우의 실시형태를 상술하였다. 그러나, 형상은 상기 언급된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오른손 엄지에 의한 조작은 상기 설명과 거의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키의 형상에 의하면, 좌우 어느 쪽의 엄지에 의해 조작 키 (23) 를 압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손가락으로부터의 힘을 조작 키 (23) 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조작 키 (23) 의 수평 방향의 단면의 상변이 아치 형상이 되기 때문에, 그 조작 키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조작 키 (23) 와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사용자는, 인접하는 조작 키 (23) 를 촉각으로 식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곡선 D1-C-D2 은, C 를 정점으로 하는 아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위로 볼록하고 선분 D1-D2 상에 최대점을 갖는 매끄러운 곡선이면 된다. 최대점은, 곡선 D1-C-D2 을 따라, 저면 D1-D2-D3-D4 까지의 거리가 가장 큰 점이다. 또한, 매끄러운 곡선은 미분가능한 곡선을 의미한다. 또한,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D1-C-D2-D3-D4 의 선분 D3-D4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선인 선분 C-E1 은, 직선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분 C-E1 은 위로 볼록할 수도 있고, 또는 아래로 볼록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전면 D1-C-D2 의 선분 D3-D4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선인 선분 C-E2 은, 직선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분 C-E2 은 위로 볼록할 수도 있고, 또는 아래로 볼록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조작 키 (23) 의 배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는,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진 제 2 조작부 (22) 의 조작 키 (23) 의 배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조작 키 (23) 는 순서에 맞춰 (in order) 배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 키의 배열은 제 1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라인에 배열된 조작 키 (23) 가 다른 라인들에 배열된 조작 키 (23) 보다 위에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의 라인에 배열된 조작 키 (23) 는 다른 라인들에 배열된 조작 키 (23) 보다 아래에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 (10) 의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조작 키 (23) 가 서로 수평 방향으로 시프트하는 위치에 배열됨으로써, 사용자는, 조작 키 (23) 의 라인을 촉각으로 식별하기 쉽다.
또한, 조작 키 (23) 는, 촉각으로 식별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각 라인의 조작 키들 (23) 의 면이 다른 감촉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의 라인의 조작 키 (23) 는 거친 감촉의 표면을 갖고, 다른 라인들의 조작 키 (23) 는 매끄러운 감촉의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조작 키 (23) 는 각 라인마다 상이한 정점 C 의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 는 정점 C 의 높이가 각 라인마다 상이한 조작 키 (23) 의 배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단측에 있는 조작 키 (23) 는, 가장 높은 정점 C 를 갖고, 하단측에 있는 조작 키들 (23) 은 점차 낮아지는 정점들 C 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으로, 최상단에 있는 조작 키 (23) 는 가장 낮은 정점 C 를 갖고, 하단측에 있는 조작 키들 (23) 은 점차 높아지는 정점들 C 을 가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키 (23) 는 각 라인이 시프트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키 (23) 의 라인을 촉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작 키 (23) 의 각 라인마다 상이한 감촉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키 (23) 의 라인을 촉각으로 식별하기 쉽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조작 키 (23) 는 각 라인마다 상이한 정점 C 의 높이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작 키 (23) 의 라인을 촉각으로 식별하기 쉽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조작부 (22) 의 조작 키 (23) 만을 도 2 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조작부 (20) 의 모든 키들을 도 2 에 나타낸 형상으로 해도 된다.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 발명의 구성 및 상세에는,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여러 변경들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1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09-164059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전형적인 단말 장치의 하나로서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게임기 및 리모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단말 장치
11 상측 하우징
12 하측 하우징
20, 101 및 103 조작부
21 제 1 조작부
22 제 2 조작부
23 조작 키
102 및 104 조작 키
105 세퍼레이터

Claims (1)

  1.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발명.
KR1020147012959A 2009-07-10 2010-07-02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KR201400682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4059 2009-07-10
JPJP-P-2009-164059 2009-07-10
PCT/JP2010/061647 WO2011004878A1 (ja) 2009-07-10 2010-07-02 操作キーおよび端末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662A Division KR20120027506A (ko) 2009-07-10 2010-07-02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266A true KR20140068266A (ko) 2014-06-05

Family

ID=434293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959A KR20140068266A (ko) 2009-07-10 2010-07-02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KR1020127000662A KR20120027506A (ko) 2009-07-10 2010-07-02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662A KR20120027506A (ko) 2009-07-10 2010-07-02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03772A1 (ko)
EP (1) EP2453338A4 (ko)
JP (2) JPWO2011004878A1 (ko)
KR (2) KR20140068266A (ko)
CN (1) CN102473038A (ko)
WO (1) WO2011004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7657B (zh) 2011-05-05 2014-02-21 Htc Corp 手持式電子裝置
CN102778925B (zh) * 2011-05-12 2016-06-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DE102018213123A1 (de) * 2018-08-06 2020-02-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chtzeitfähigen Datenübertragung zwischen zwei Netzwerke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13987A (en) * 1983-01-21 1986-11-12 James M. Lapeyre Touch type computer keyboards
JPH06309992A (ja) * 1993-04-26 1994-11-04 Hitachi Ltd キーパッド
US5515763A (en) * 1993-12-22 1996-05-14 Vandervoort; Paul B. Tactile key tops
JPH07244548A (ja) * 1994-03-04 1995-09-19 Hikari Tanaka 文字符号入力鍵盤装置
JP3136388B2 (ja) * 1994-10-13 2001-02-19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キートップ板の製造方法
US5545866A (en) * 1995-03-31 1996-08-13 Delco Electronics Corp. Non-stick painted pushbutton assembly
JP2001125708A (ja) * 1999-10-26 2001-05-11 Toshihide Tsuji 長い爪でも操作性の良いキーボード装置
US6495784B2 (en) * 2000-05-16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KR100337786B1 (ko) * 2000-08-19 2002-05-24 윤종용 와이드 키패드 및 정전기 방지용 와이드 키패드 결합구조
DE10136520A1 (de) * 2001-07-26 2003-02-20 Siemens Ag Tastaturmatte
JP2003123584A (ja) 2001-10-18 2003-04-25 Canon Electronics Inc 入力キー及び入力キーカバー
US20040057573A1 (en) * 2002-06-24 2004-03-25 Feller Victor G. Keypads for oblique viewing
KR100630116B1 (ko) * 2004-09-09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데이터 입력 키 및 그의 키 어레이
US7525534B2 (en) * 2005-03-14 2009-04-28 Palm, Inc. Small form-factor keypad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JP4146866B2 (ja) * 2006-06-06 2008-09-10 サンアロ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D588563S1 (en) * 2006-07-24 2009-03-17 Nokia Corporation Handset
CN201392758Y (zh) * 2006-09-25 2010-01-27 捷讯研究有限公司 手持无线通信设备
US8100594B2 (en) * 2006-10-27 2012-01-24 Symbol Technologies, Inc. Data input arrangement with a shaped interface
JP4931561B2 (ja) * 2006-11-16 2012-05-1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JP2009009195A (ja) 2007-06-26 2009-01-15 Casio Comput Co Ltd 端末装置
JP2009105634A (ja) * 2007-10-23 2009-05-14 Docomo Technology Inc 通信端末装置
TWI400735B (zh) * 2007-12-26 2013-07-01 Htc Corp 按鍵結構
JP5344418B2 (ja) 2008-01-10 2013-11-20 出光興産株式会社 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04878A1 (ja) 2012-12-20
JP2014041651A (ja) 2014-03-06
WO2011004878A1 (ja) 2011-01-13
CN102473038A (zh) 2012-05-23
EP2453338A1 (en) 2012-05-16
US20120103772A1 (en) 2012-05-03
EP2453338A4 (en) 2014-06-11
KR20120027506A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6295B2 (en) Outwardly decreasing height key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eyboard
EP19509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KR20140068266A (ko)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US20130257726A1 (en) Edge to edge qwerty keypad for a handheld device
KR100743139B1 (ko) 5방향 키 조작 장치
JP2012168869A (ja) 携帯端末及びキー操作装置
JP5333661B2 (ja) 操作入力装置
US20110006995A1 (en)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4286114B2 (ja) 入力装置
US9082565B2 (en) Composite switch and portable device with same
JP2015041193A (ja) キー入力装置、電子機器、キー入力装置の製造方法、及びキー表示方法
US8692775B2 (en) Key structure of operation section of electronic devic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0123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JP5674407B2 (ja) 入力装置
JP6666556B2 (ja) マウス
KR200274708Y1 (ko) 단말장치용 키 버튼구조
JP2007233621A (ja) キーボード装置
KR20040042980A (ko) 한글 입력 장치
JP2008278061A (ja) 携帯端末
CN101478579B (zh) 移动装置
JP2006245898A (ja) 携帯情報端末
JP2006277684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
JP2020161390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JPH117861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0029622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