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367B1 -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367B1
KR101012367B1 KR1020040001270A KR20040001270A KR101012367B1 KR 101012367 B1 KR101012367 B1 KR 101012367B1 KR 1020040001270 A KR1020040001270 A KR 1020040001270A KR 20040001270 A KR20040001270 A KR 20040001270A KR 101012367 B1 KR101012367 B1 KR 10101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key butt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084A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6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79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ontacts, e.g. interspersed fingers or hel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엄지손가락이 자유롭게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가 원할하도록 키버튼을 형성하는 이동통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는 다수의 키버튼이 패드부의 상부면에 돌설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각 키버튼의 상부면은 각각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한다.







키패드, 키버튼, 패드부, 경사면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KEYPAD OF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X1-X1 단면도.
도 3은 종래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키패드 110 : 패드부
120 : 키버튼 121 : 경사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엄지손가락이 자유롭게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가 원할하도록 키버튼을 형성하는 이동통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단말기(4)의 키패드(1)는 도 1,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드부(2)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키버튼(3)이 돌설되었다.
그리고 상기 키버튼(3)의 상부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4)의 키패드(1)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4)의 입력부와 연관되게 설치되며 이때, 키버튼(3)의 상단부는 단말기(4)의 전면케이스의 표면으로 노출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4) 사용시 키패드(1)의 키버튼(3)을 누름조작하여 특정인과 무선전화연결 및 특정의 무선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었다.
이때, 단말기(4)사용시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한손으로 단말기(4)를 파지한 후 단말기(4)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P)을 이용하여 단말기(4)에 설치된 키패드(1)의 키버튼(3)을 누름조작하였다.
그러나 상기 다수의 키버튼(3)은 그 상부면이 모두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단말기(4)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P)에서 가까운 위치의 키버튼(3)은 엄지손가락(P)을 구부려서 그 상부면을 수직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으나, 엄지손가락(P)으로 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키버튼(3)의 상부면은 엄지손가락(P)이 비스듬하게 접촉되어 눌러주므로써,키버튼(3)의 상부면 접촉된 엄지손가락(P)이 미끄러져서 누름조작이 잘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특히 엄지손가락이 자유롭게 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가 원할하도록 키버튼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키버튼이 패드부의 상부면에 돌설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각 키버튼의 상부면은 각각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올바른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 4, 5,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키버튼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100)는 도4,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면적의 패드부(110)와, 상기 패드부(11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다수의 키버튼(120)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키버튼(120)의 상부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21)으로 형성하되, 일정위치의 키버튼(120)을 기준으로 상대적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각 키버튼(120)의 경사면(121)은 그 경사각(θ1, 2, 3)을 점점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P)에 근접된 키버튼(120)"B3"의 경사면(121)의 경사각(θ1)은 멀리 떨어져 있는 키버튼(120)"B1,B2" 경사면(121)의 경사각(θ1),경사각(θ2)경사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을 각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올바른 실시예를 첨부된 5, 6, 7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인 키패드(10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면부에 키버튼(120)의 경사면(121)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같이 단말기에 설치된 키패드(100)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P)으로 누름작동할 경우 도 6,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엄지손가락(P)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키버튼(120)B3의 상부 경사면(121)은 엄지손가락(P)을 구부려서 수직방향으로 상태로 누름작동하며, 엄지손가락(P)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있는 키버튼(120)B1은 엄지손가락(P)을 길게 펴쳐서 비스듬하게 접촉한 상태로 누름조작한다.
이때, 상기 키버튼(120)B1의 상부면은 소정의 경사각(θ1)을 갖는 경사면(121)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되는 엄지손가락(P)이 미끄러지지 않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P)을 키버튼(120)B1를 안정적으로 누름조작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소정위치의 키버튼을 기준으로 상대적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각 키버튼의 상부 경사면의 경사각을 크게 형성하므로써, 본 발명인 키패드가 설치된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키버튼을 누름조작시 각 키버튼의 위치와 관계없이 오작동이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의 키버튼이 패드부의 상부면에 돌설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각 키버튼의 상부면은 각각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각 키버튼의 경사면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키버튼을 기준으로 이격거리에 비례하여 그 경사각이 점점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2. 삭제
KR1020040001270A 2004-01-08 2004-01-08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101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270A KR101012367B1 (ko) 2004-01-08 2004-01-08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270A KR101012367B1 (ko) 2004-01-08 2004-01-08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84A KR20050073084A (ko) 2005-07-13
KR101012367B1 true KR101012367B1 (ko) 2011-02-09

Family

ID=3726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270A KR101012367B1 (ko) 2004-01-08 2004-01-08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14B1 (ko) * 2004-11-24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다운 키들을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26A (ko) * 2000-05-16 2001-11-28 윤종용 단일 계단 키와, 계단 키 어셈블리 및 계단 키 어셈블리를구비한 단말기
KR20030038267A (ko) * 2001-11-10 2003-05-16 김도환 휴대 전화기의 보조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826A (ko) * 2000-05-16 2001-11-28 윤종용 단일 계단 키와, 계단 키 어셈블리 및 계단 키 어셈블리를구비한 단말기
KR20030038267A (ko) * 2001-11-10 2003-05-16 김도환 휴대 전화기의 보조 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084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7835A3 (en) User interface device
US7800008B2 (en) Sid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3060240U (ja) 移動体通信機器の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キー
EP1265261A3 (en) Keypad for mobile phone with electroluminescent element
EP1152442A3 (en) Keypad structure with inverted domes
US5822703A (en) Portable telephone with dial keys and line keys mounted on different surfaces
KR10101236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TW200303032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0528794B1 (ko)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
US20120032884A1 (en) Wireless mouse
JP3099977U (ja) 携帯電話機の入力キー部材
KR20120027506A (ko) 조작 키 및 단말 장치
KR100917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100344850B1 (ko) 휴대폰의 터치 방식 버튼 구조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KR101300277B1 (ko) 휴대 단말기
KR1006316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TWI242222B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20131586A1 (en) Handsfree device for a telephone
KR101016481B1 (ko) 원호단면형상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93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2열 키패드
KR100714851B1 (ko) 메탈돔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신호인식방법
CN101478579B (zh) 移动装置
JP2020109575A (ja) 携帯型入力端末用のカバーシート
KR20050021711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