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50B1 -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50B1
KR101328050B1 KR1020070013388A KR20070013388A KR101328050B1 KR 101328050 B1 KR101328050 B1 KR 101328050B1 KR 1020070013388 A KR1020070013388 A KR 1020070013388A KR 20070013388 A KR20070013388 A KR 20070013388A KR 101328050 B1 KR101328050 B1 KR 101328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upling plate
electronic device
ke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381A (ko
Inventor
조동혁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 되는 금속 재질의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스위치가 눌려져서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키들의 케이스에 대한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상기 견고한 결합을 위한 구성에 의한 전자기기의 두께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의 키보드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바디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플레이트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 플레이트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용 전자기기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130: 케이스
131: 상부 케이스 132: 하부 케이스
140: 키 150, 150': 결합 플레이트
151: 돌기홈 153: 결합홈
155, 155', 156': 유도홈 160: 누름 패드
161: 누름 돌기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문자나 명령 등을 입력받는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나 도구에 의해 문자나 명령 등을 입력받는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터치 패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키보드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스위치를 눌러서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의 키보드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1 바디(10)의 전면에는 마이크(11)가, 배면에는 배터리(13)가 결합 된다. 제2 바디(20)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21)와 스피커(23)가 장착된다. 제1 바디(10)와 제2 바디(20)의 인접한 모서리 부분에는 그들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5)가 배치된다.
제1 바디(10)는 상부 케이스(31)와 하부 케이스(33)가 결합되어 외관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31)의 전면의 대부분의 영역에는 복수의 키들(40)이 배열된다. 상부 케이스(31)의 전면에서 키들(40)이 배열되지 않은 영역은 사이드부(35)라 칭 해질 수 있다. 양측의 사이드부(35)들 사이에서는 복수의 지지리브(37)들이 연장한다. 지지 리브(37)들은 키들(40)을 구획한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바디(1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31)의 키홀(39)을 통해 노출되는 키들(40)은 지지패드(50)의 일 면에 배열된다. 지지패드(5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패드(50)에서 키들(40)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인 결합부(51)에는 복수의 결합공(53)들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3)들은 상부 케이스(31)의 사이드부(35) 및 지지리브(37)에서 돌출한 결합돌기(미도시)가 삽입되는 공간이 된다.
지지패드(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60)은 키들(40)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위치(61)들을 가진다. 상기 키들(40)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될 때, 상기 키들(40)에 의해 스위치(61)들이 눌려진다. 상기 누려짐에 의하여, 각 스위치(61)는 그에 설정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키들(40)이 결합된 지지패드(50)가 상부 케이스(3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리브(37)들에 의해 키들(40) 사이가 이격되어 키들(40)이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인상을 줄 수 없게 된다.
지지리브(37)들을 제거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하여 키들(40)이 장착된 지지패드(50)가 상부 케이스(31)에서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는 지지패드(50)와 상부 케이스(31)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지패드(50) 자체의 강성 또한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키들을 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하면서도 상기 결합의 견고성의 추구가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반하지 않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 되는 금속 재질의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결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스위치가 눌려져서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 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와 이중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는 상기 키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기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키 사이에는 누름 패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누름패드에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누름돌기는 상기 돌기홈을 통해 상기 스위치를 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기홈 주변에서 연장하도록 개구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누름 조작되는 키에 대응하는 부분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홈들은 상기 돌기홈 각각의 외주의 일정 범위에서 겹치도록 개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용 전자기기(10)의 일 예로서 개시되었을 뿐이고, 본 발명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기기라면, PDAs, 휴대용 게임기기,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계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0)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 형태의 본체를 가진다. 제1 바디(110)는 상부 케이스(131)와 하부 케이스(133)가 결합된 케이스(1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부 케이스(131) 측에는 마이크(111)가 장착되고, 하부 케이스(133) 측에는 배터리(11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바디(120)에는 디스플레이(121)와 스피커(123)가 장착된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가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체는 하나의 바디로만 구성되거나, 2 이상의 바디가 슬라이딩 또는 스위블 등이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31)의 사이드부(135)를 제외한 부분에 개구된 키홈(135, 도 4 참조)을 통해서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키들(140)이 노출된다. 상기 키들(140)은 서로에게 인접한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키들(140)이 상기 케이스(130)에 결합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라인(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플레이트(1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키들(140)이 하측에는 결합 플레이트(150)가 배치된다. 결합 플레이트(15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견고하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게 된다.
결합 플레이트(150)는 케이스(130)에 결합 된다. 상기 결합을 위하여, 결합 플레이트(150)의 가장자리에 결합홈(153)이 형성된 채로 결합 플레이트(150)가 케이스(130)와 이중 사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 사출에 의하여 결합 플레이트(150)에 형성된 결합홈(153)을 통해서는 상부 케이스(131)의 사이드부(137) 측의 일 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일 부분의 단부는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 플레이트(150)에 견고하게 걸리게 된다.
상기 결합에 의하여, 결합 플레이트(150)가 케이스(130), 구체적으로는 상부 케이스(131)에서 이탈될 염려가 없어진다. 결합 플레이트(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자체적으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결합 플레이트(150)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도 없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은 다른 재질에 비하여 얇게 형성할 수 있어서, 휴대용 전자기기(100)가 결합 플레이트(150)에 의해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50)에는 키들(140)이 바로 배치될 수 있으나, 도 4와 같이 누름패드(160)를 개재한 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누름패드(160)는 고무 등과 같은 탄력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어, 키들(140)을 누름 조작할 때의 클릭감을 좋게 한다. 누름패드(160)와 결합 플레이트(150) 사이의 결합, 그리고 키들(140)과 결합 플레이트(150) 사이의 결합은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패드(160)의 일 부분은 결합 플레이트(150)에 형성된 돌기홈(151)을 통해 연장한다. 누름패드(160)에 대응하여 인쇄회로기판(170)에는 돔 스위치(dome switch)와 같은 스위치(171)가 배치된다. 사용자가 키들(140) 중 하나를 누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하나의 키에 연동된 누름돌기(161)가 스위치(171)를 눌러준다. 스위치(171)는 누름돌기(161)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통전되면서 상기 통전에 따라 설정된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70)에 발생시킨다.
누름돌기(161)와 돌기홈(151) 및 스위치(171)는 키들(14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키들(14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누름패드(160)를 채택하지 않는다면, 키들(140) 각각에 누름돌기(161)와 같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스위치(171)를 눌러주면 될 것이다. 스위치(17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광원(173)은 예를 들어, LED이며, 키들(140)이 눌려질 때 작동하여 상기 키들(140)에 대한 백라이팅(back-lighting)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 플레이트(150)에는 돌기홈(151)들 사이로 연장하도록 개구되는 유도홈(155)들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홈(155)들은 결합 플레이트(150)의 누름 조작되는 키들(140)에 대응하는 부분들의 탄성 변형을 유도한다. 그 결과로 결합 플레이트(150)의 강성이 완화되어, 키들(140)의 키를 누름 조작이 원활해짐과 동시에 사용자가 클릭감을 더욱 명확하게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의 결합 플레이트(150)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플 레이트(150')의 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도 5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돌기홈(151)의 외주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유도홈들(155' 및 156')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들 유도홈들(155' 및 156')은 돌기홈(151)의 외주를 따라서 일정 각도 범위에서 서로 겹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도홈들(155' 및 156')에 의하여, 돌기홈(151)에 대응하는 키들(140)이 눌려질 때 결합 플레이트(150')가 상기 키들(140)의 눌려짐을 제약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돌기홈(151) 주변 부분에 대한 결합 플레이트(150')의 강성이 완화되어 상기 주변 부분의 눌려짐에 따른 운동이 자유로워진다. 사용자도 키들(140)을 누를 때 보다 향상된 클릭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키들이 장착되는 결합 플레이트가 금속 재질로 형성됨과 동시에 케이스에 견고하게 결합됨에 됨에 따라, 키들이 전자기기에서 이탈할 염려가 없으면서도 상기 구성에 의해 전자기기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상기 키들이 견고한 고정을 위한 다른 구성에 비하여 최소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 재질의 결합 플레이트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줄어든 두께만큼 키를 두껍게 가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보다 볼륨감있는 키들을 전자기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의 테두리에 전자기기의 내부를 향해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크결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스위치가 눌려져서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및
    상기 케이스와 후크결합되도록 상기 후크결합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후크결합부가 삽입 가능한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키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키의 배면에서 상기 키를 지지하는 금속 재질의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와 이중 사출되어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는 상기 키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상기 키 사이에 배치되는 누름패드에서 돌출한 적어도 하나의 누름돌기는 상기 돌기홈을 통해 상기 스위치를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기홈 주변에서 연장하도록 개구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누름 조작되는 키에 대응하는 부분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는 상기 돌기홈 각각의 외주의 일정 범위에서 겹치도록 개구되는 한 쌍의 유도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070013388A 2007-02-08 2007-02-08 휴대용 전자기기 KR10132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388A KR101328050B1 (ko) 2007-02-08 2007-02-08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388A KR101328050B1 (ko) 2007-02-08 2007-02-08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81A KR20080074381A (ko) 2008-08-13
KR101328050B1 true KR101328050B1 (ko) 2013-11-08

Family

ID=3988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388A KR101328050B1 (ko) 2007-02-08 2007-02-08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544B1 (ko) * 2009-07-10 2011-06-30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269A (ko) * 2000-10-09 2002-04-17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
KR100652639B1 (ko) * 2004-06-17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269A (ko) * 2000-10-09 2002-04-17 윤종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
KR100652639B1 (ko) * 2004-06-17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381A (ko)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4210B2 (ja) 電子機器
CN106444967B (zh) 防水笔记型电脑
US7119291B2 (en)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KR100652750B1 (ko) 입력버튼 겸용 보호창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0182474A (ja) キ―パッド組立機構
WO2008023789A1 (fr) Dispositif électronique
JP2006092536A (ja) 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および移動電話端末
JP4932385B2 (ja) 携帯電子機器
JP4610518B2 (ja)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機
TW201501158A (zh) 鍵盤裝置
KR101328050B1 (ko) 휴대용 전자기기
US20070275751A1 (en) Faceplate having keys for mobile phone
JP2003510715A (ja) 電子機器のためのキーボード
JP2008054141A (ja) 電子機器
JP4767793B2 (ja) 電子機器
JP3099977U (ja) 携帯電話機の入力キー部材
KR20070028697A (ko) 필름커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버튼구조
JP4371895B2 (ja) キースイッチ構造
US20030153282A1 (en) Mobile phone with replaceable key assemblies
JP2003132763A (ja) バリエーション対応ドームスイッチ
KR100741796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63B1 (ko) 일체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272345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70096116A (ko) 입력장치 및 그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652674B1 (ko) 키 연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