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345B1 -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345B1
KR101272345B1 KR1020060107438A KR20060107438A KR101272345B1 KR 101272345 B1 KR101272345 B1 KR 101272345B1 KR 1020060107438 A KR1020060107438 A KR 1020060107438A KR 20060107438 A KR20060107438 A KR 20060107438A KR 101272345 B1 KR101272345 B1 KR 101272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contact pattern
signal generator
circuit boar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735A (ko
Inventor
류창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3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접점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제2 접점패턴과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변형되어 상기 제2 접점패턴을 상기 제1 접점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돔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돔 조립체는, 돔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누를 때 상기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돔 조립체의 강성 및 탄성을 보강하여 그의 피로 수명을 증대시키면서도 돔 조립체에 대한 누름 조작의 편리성 및 클릭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돔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를 누름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는 신호발생장치의 돔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신호발생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신호발생장치의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돔 조립체의 몸체가 누름 방향(P)으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폴더부 200: 본체부
300: 신호발생장치 310: 회로기판
330: 몸체 400: 키버튼장치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발생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돔 스위치를 구비한 회로기판을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 상에 복수의 돔(20)들이 배열된다. 이렇게 복수의 돔(20)들이 구비된 회로기판(10)은 전자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돔(20)들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른 신호를 전자기기가 입력받는 통로가 된다.
도 2a는 도 1의 라인(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0)에는 돔(20)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접점패턴(11)이 형성된다. 접점패턴(11)은 서로 이격된 내측패턴(11-1)과 외측패턴(11-2)으로 형성된다. 이때, 돔(20)의 몸체(21)의 외주부는 외측패턴(11-2)과 접속된 상태이다. 또한, 돔(20)의 몸체(21)의 중앙에는 몸체(21)의 전체적인 돌출 방향과 반대되게 돌출된 템플(23)이 형성된다.
도 2b는 도 2a를 누름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돔(20)을 누르게 되면 돔(20)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에 따라, 돔(20)의 몸체(21)는 주로 템플(23)을 통해서 내측패턴(11-1)과도 접촉하게 된다. 그에 따라, 내측 및 외측 패턴(11-1 및 11-2)이 돔(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돔(20)에 대응하게 설정된 신호가 회로기판(10)에 발생되는 것이 다. 사용자가 돔(20)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돔(20)은 다시 원래 상태(도 2a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회로기판(10)에 일정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돔(20)들은 반복적으로 눌려지게 된다. 그에 따라, 돔(20)이 반복적인 변형에 따라 탄성력을 잃고 소성 변형되기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돔(20)의 소성 변형에 따라, 돔(20)은 누름 조작 후에 원래 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돔(20)의 조작에 따른 클릭감을 제대로 느낄 수 없게 된다.
나아가, 돔(20)의 변형에 따라, 접점패턴(11)과 몸체(21)와의 접촉이 불량해진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른 정확한 신호의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호발생장치가 반복적인 조작에 대한 향상된 피로수명을 가지면서도 조작시의 클릭감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작동 수명 및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신호발생장치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접점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제2 접점패턴과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변형되어 상기 제2 접점패턴을 상기 제1 접점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돔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돔 조립체는, 돔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누를 때 상기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제8항에 따르는 신호발생장치;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신호발생장치를 가압하는 누름키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로서 폴더부(100) 및 본체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형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폴더부(100)의 전면 측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110)와, 청각 정보를 출력시키는 스피커(130)가 배열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0)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모듈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체부(200)는 폴더부(100)의 일 모서리 측에 형성된 폴더힌지부(150)와 인 접한 모서리에 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힌지부(250)에 의해 폴더부(100)에 연결된다. 본체부(200)는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상부커버(210)에는 복수의 버튼공(230)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부커버(210)에는 마이크홀(270)이 형성되어, 본체부(200) 내에 설치되는 마이크(미도시)에 소리가 입력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부커버(210)와 하부커버(2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신호발생장치(300) 및 키버튼장치(400)가 배치된다.
신호발생장치(300)는 키버튼장치(400)의 아래 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310)은 하부커버(220)에 장착된다. 또한, 돔 조립체(330)는 회로기판(310)에 복수로 장착된다. 이러한 돔 조립체(330)들의 회로기판(310)에 대한 견고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복수의 돔 조립체(330)들을 감싸는 돔시트(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키버튼장치(400)는 버튼패드(410)에 복수의 키버튼(430)들이 배열된 형태를 취한다. 복수의 키버튼(430)들은 각각 상부커버(210)의 버튼공(2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상의 신호발생장치(300)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a는 신호발생장치(300)의 돔 조립체(33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신호발생장치(300)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돔 조립체(330)는 돔 형상의 몸체(331)를 가진다. 몸체(331)는 복수의 레이어들로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레어어(331-1 및 331-2)가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이들은 결합은 본딩이나 압착 등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몸체(331)에는 변형유도부가 형성된다. 변형유도부는, 예를 들어 작동슬릿(333)과 같이 몸체(331)의 일 부분들이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작동슬릿(333)은 몸체(331)의 전체, 즉 제1 및 제2 레이어(331-1 및 331-2) 모두가 개구된 형태 또는 그들 중 일부만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작동슬릿(333)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작동슬릿(333)들 사이의 연결된 부분은 몸체(331)의 텐션을 유지하기에 텐션부(335)라 칭해질 수 있다.
이제,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신호발생장치(3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신호발생장치(300)의 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돔 조립체(330)의 몸체(331)가 누름 방향(P)으로 누름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310)의 주면에는 접점패턴(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점패턴(311)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점패턴(311-1 및 311-2)들을 포함한다. 이때, 몸체(331)의 외주는 접점패턴(311) 중 외곽에 위치한 제2 접점패턴(311-2)에 접속된 상태로 회로기판(310)에 장착된다.
몸체(33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331-2)의 중앙에는 제1 접점패 턴(311-1)을 향하여 전체적인 돌출 방향과 반대로 돌출한 돌출부(331-2')가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1 레이어(331-1)은 돔 형태 그대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적어도 제2 레이어(331-1)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접점패턴(311-1 및 311-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돔 조립체(330)의 몸체(331)를 누름 방향(P)으로 누르게 되면, 몸체(331)는 작동슬릿(333)들을 기준으로 중앙 부분들이 주로 작동슬릿(333)에 의해 쉽게 제1 접점패턴(311-1) 측으로 변형된다. 그에 따라, 제2 레이어(311-2)의 돌출부(131-2')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점패턴(311-1)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로, 제2 접점패턴(311-2)은 몸체(331)를 통해 제1 접점패턴(3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발생장치(300)는 특정한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텐션부(335, 도 4b)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331)의 중앙 부분은 제1 접점패턴(311-1)에서 분리되면서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누름 조작에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하더라도, 몸체(331)는 제1 및 제2 레이어(331-1 및 331-2)과 같은 복수의 레이어들로 형성되어 있기에 그 강성 및 탄성이 보완되어 오래도록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피로에 의해 몸체(331)가 변형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하고 클릭감이 저하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몸체(331)가 제1 및 제2 레이어(331-1 및 331-2)와 같은 복수의 레이어들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작동슬릿(333)들과 같은 변형유도부가 형성되기에, 몸체(331)를 누름 조작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기기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중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 그 형태에 무관하게 어떤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PDA, MP3 플레이어, 전자 사전 등의 전자기기에도 역시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장치는 복수의 레이어들에 의해 돔 조립체의 몸체가 형성되기에 반복적인 누름 조작에 대해 보다 긴 피로수명을 갖추게 된다.
나아가, 몸체에 변형유도부가 형성되기에, 복수의 레이어들에 의한 누름 조작시에 몸체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위와 같은 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신호 발생을 위한 조작이 용히하게 한다.

Claims (9)

  1.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접점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및
    상기 제2 접점패턴과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변형되어 상기 제2 접점패턴을 상기 제1 접점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돔 조립체로 구성되고,
    상기 돔 조립체는,
    돔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누를 때 상기 몸체의 탄성 변형을 유도하고, 상기 몸체에 개구되는 작동 슬릿을 구비하는 변형유도부를 포함하는 신호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중 적어도 가장 내측의 레이어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릿은 이격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 슬릿들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릿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들 중 가장 내측의 레이어에는 중앙 부분이 돌출되어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발생장치.
  8.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신호발생장치;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신호발생장치를 가압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60107438A 2006-11-01 2006-11-01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272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438A KR101272345B1 (ko) 2006-11-01 2006-11-01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438A KR101272345B1 (ko) 2006-11-01 2006-11-01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35A KR20080039735A (ko) 2008-05-07
KR101272345B1 true KR101272345B1 (ko) 2013-06-05

Family

ID=39647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438A KR101272345B1 (ko) 2006-11-01 2006-11-01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160B1 (ko) * 2017-06-20 2021-12-1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856A (ja) * 1996-02-23 1997-09-05 Fujikura Ltd キードーム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856A (ja) * 1996-02-23 1997-09-05 Fujikura Ltd キードーム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735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6806B2 (en) Mobile terminal
JP6945311B2 (ja) カバー
JP4190568B1 (ja) 携帯端末
KR100955133B1 (ko)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KR101272345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3783935B2 (ja) 電子機器のためのキーボード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US20080164132A1 (en) Button input device using E-paper
KR200415225Y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180269Y1 (ko) 셀룰라폰의 키패드
KR20050119962A (ko)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364952Y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JP2003132763A (ja) バリエーション対応ドームスイッチ
KR100538376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KR100741796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28050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051800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JP2000243181A (ja) 押圧型スイッチ構造
JP4749371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652674B1 (ko) 키 연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KR100382567B1 (ko) 소형 정보단말기용 입력키의 스위칭 장치
KR100843263B1 (ko) 키 입력장치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101004885B1 (ko)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