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885B1 -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885B1
KR101004885B1 KR1020090054729A KR20090054729A KR101004885B1 KR 101004885 B1 KR101004885 B1 KR 101004885B1 KR 1020090054729 A KR1020090054729 A KR 1020090054729A KR 20090054729 A KR20090054729 A KR 20090054729A KR 101004885 B1 KR101004885 B1 KR 10100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electrode
input device
key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키 입력 장치는 접촉에 의해서 키 동작을 하기 위한 버튼영역을 구비하는 키 버튼부; 상기 키 버튼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키 버튼부와 접하는 면의 반대되는 면에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되도록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전극 기판부;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전극 기판부의 일면에 접착되는 베이스 기판부; 및 상기 전극 패턴과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키 버튼부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전극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Key input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센서를 사용한 키 입력 장치 및 상기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카네비게이션, 휴대하기가 간편한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개인휴대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있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점차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제공서비스도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다양한 부가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추세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고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키 입력장치는 통신 기기의 경량화, 소형화, 박형화의 추세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 위에 회로의 접점을 온/오프하는 메탈 돔 스위치를 올려놓고 돔 스위치 위에 키패드를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의 키 입력 장치는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키 스위치, 상기 키 스위치 하부에 배치되는 돔 시트, 상기 돔 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메탈 돔, 메탈 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가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돔 스위치를 사용한 키 입력 장치는 상기 돔 구조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구조의 키 입력 장치를 사용하면 플랫한 형태의 개인휴대단말기를 제조할 수 없다.
또한, 점차 부가적인 기능이 증가하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는 돔 스위치 방식을 이용한 키 입력 장치를 사용하면 하나의 버튼으로 2차적인 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렵고, 그러한 이유 때문에 복잡한 기능을 가지는 개인휴대단말기에는 스위치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그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압력 센서부를 사용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는 접촉에 의해서 키 동작을 하기 위한 버튼 영역을 구비하는 키 버튼부; 상기 키 버튼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키 버튼부와 접하는 면의 반대되는 면에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되도록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전극 기판부;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전극 기판부의 일면에 접착되는 베이스 기판부; 및 상기 전극 패턴과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키 버튼부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전극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상기 압력 센서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인쇄되는 압력 잉크층 및 상기 압력 잉크층 하부에 상기 압력 잉크층 보다 작은 면적으로 인쇄되는 카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상기 압력 잉크층은 폴리머와 메탈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는 상기 전극 기판부 및 상기 베이스 기 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상기 전극 패턴은 입력 패턴이 복수개의 갈래로 연장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패턴이 상기 입력 패턴 사이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상기 키 버튼부는 상기 버튼들의 영역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상기 베이스 기판부는 상기 키 패드부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상기 압력 센서부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는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신체의 접촉에 의해서 키 동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을 구비하는 키 패드부, 상기 키 패드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키 버튼부와 접하는 면의 반대되는 면에 상기 버튼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전극 기판부,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전극 기판부의 일면에 접착되는 베이스 기판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상기 전극 패턴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인쇄되는 압력 잉크층 및 상기 압력 잉크층 하부에 상기 압력 잉크층 보다 작은 면적으로 각각 인쇄되는 카본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부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및 상기 키 입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키 입력 장치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부에서 누르는 힘에 따라 다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상기 압력 잉크층은 폴리머와 메탈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는 상기 전극 기판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상기 전극 패턴은 입력 패턴이 복수개의 갈래로 연장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패턴이 상기 입력 패턴 사이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는 압력 센서부에 의해서 키 버튼부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키 입력이 가능하므로 돔 스위치와 같이 돌출되지 않는 플랫한 구조의 키 입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는 키 버튼부를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2차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버튼으로 부가적인 키 입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되며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키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110), 제어부 및 키 입력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110)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 바디(112)와 메인 바디(112)에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 바디(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는 슬라이드 타입뿐만 아니라 플립 타입, 폴더 타입 및 스윙 타입 등의 본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슬라이딩 바디(114)에는 디스플레이(116)가 장착될 수 있으며, 메인 바디(112)에는 키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키 입력부(118)를 눌러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내부에는 메인 회로기판, 진동을 위한 진동 수단, 스피커 등의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부품들이 함께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키 입력 장치(120)로부터 전달되는 키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때, 제어부는 키 입력 장치(120)의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2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2차 기능이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입력 장치(120)를 접촉하면 버튼 음의 크기를 조정하는 기능을 하지만 키 입력 장치(120)를 보다 세게 누르게 되면 인터넷 접속과 같은 부가 기능이 수행되는 등의 키 입력 장치(120)의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키 입력 장치(12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를 개폐하지 않고도 키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 장치(120)는 개폐된 상태에서 음량을 조절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키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110)의 측면에 위치한 키 입력 장치(120)는 음량 조절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기능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키 입력 장치가 키 입력부(118)로 대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키 입력 장치(120)가 개인휴대단말기에 한정되지만 개인휴대단말기뿐만 아니라 PDA에 적용되어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키 입력 장치 로 사용된다거나 디지털 카메라에서 초점 조절을 위한 스위치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전자기기의 키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키 입력 장치 중에서 전극 기판부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키 입력 장치는 키 버튼부(130), 전극 기판부(140), 접착 테이프(150), 베이스 기판부(160) 및 압력 센서부(170)를 포함한다.
키 버튼부(130)는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에 장착되며, 키 버튼부(130)의 저면은 전극 기판부(140)와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입력을 위해서 키 버튼부(130)를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압력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등에 키 입력이 이뤄진다. 이때, 키 버튼부(130)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로 사용될 수 있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그 크기 및 재질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전극 기판부(140)는 키 버튼부(13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본체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전극 기판부(140)의 단부에는 전극 패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기판부(14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전극 패턴(142)은 전극 기판부(14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패턴이 복수개의 갈래로 연장되는 입력 단자(146) 및, 출력 패턴이 입력 패턴 사이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출력 단자(14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패턴(142)은 입력 단자(146) 및 출력 단자(148)가 서로 깍지를 끼우는 듯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데(interdigitate-type), 이러한 형상은 전극 패턴(142)과압력 센서부(17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므로 전극 패턴(142)의 전기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입력 단자(146)와 출력 단자(148)는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되지 않은 상태이며,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서 압력 센서부(170)와 전극 패턴(142)이 서로 접촉되는 순간에 서로 통전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에 의해서 키 신호를 개인휴대단말기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전극 기판부(140) 및 베이스 기판부(160) 사이에 배치되어 전극 기판부(140) 및 베이스 기판부(160)를 서로 접착시키는 접착 테이프(150)를 포함한다.
이때, 접착 테이프(150)는 압력 센서부(170)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 홀(1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부(170) 주변에 해당되는 전극 기판부(140) 및 베이스 기판부(160)가 서로 접착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120)를 사용한 개인휴대단말기는 돔 스위치와 같이 누름에 의한 떨림 또는 키감(tactile feel)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튼이 제대로 눌러졌는지 감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발광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제어부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의 발광모드를 일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 장치(120)는 누를 때 마다 개인휴대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된 진동 장치가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사용자의 누름에 대응하여 반응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부(160)는 압력 센서부(170)가 상부에 인쇄되며, 접착 테이프(150)에 의해서 전극 기판부(140)의 저면에 접착되게 된다.
압력 센서부(170)는 베이스 기판부(160) 상에 인쇄되는 데, 전극 기판부(140)의 전극 패턴(14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압력 센서부(170)는 베이스 기판부(160)의 일면에 인쇄되는 압력 잉크층(172) 및, 상기 압력 잉크층(172) 하부에 압력 잉크층(172) 보다 작은 면적으로 인쇄되는 카본층(17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잉크층(172)은 폴리머에 메탈이 포함되는 잉크 형태의 재질이며, 예를 들어 양자 터널링 혼합물(QTC:Quantum Tunneling Composite)이 대표적일 수 있으며, 압력의 세기에 비례하여 도체가 되어서 전기적인 신호가 통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력 잉크층(172)은 액체 상태로 형성되므로 베이스 기판부(160)의 일면에 쉽게 인쇄되어 보다 용이하게 제조된다.
또한, 카본층(174)은 압력 잉크층(172)과 마찬가지로 액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 잉크층(17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120)는 압력 잉크층(172)과 카본층(174)이 베이스 기판부(160) 상에 용이하게 인쇄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제조가 간단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12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부(130)의 하부에는 전극 기판부(140)가 배치되며, 전극 기판부(140)의 하부에는 베이스 기판부(160)상에 장착된 압력 센서부(170)가 배치되게 된다. 이때, 전극 기판부(140) 및 베이스 기판부(160)를 접착하기 위해서 전극 기판부(140) 및 베이스 기판부(160) 사이에 접착 테이프(15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키 버튼부(130)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 센서부(170)가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신호에 의해서 개인휴대단말기에 키 입력이 가능하므로 돔 스위치를 대체할 수 있고, 돔 스위치와 같은 돌출된 구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플랫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는 키 버튼부(130)를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서 2차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키 버튼부(130)의 수를 줄여서 사이즈를 슬림하게 할 수 있고 하나의 버튼으로 부가적인 키 입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는 압력 센서부(170)를 베이스 기판 부(160)에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으며, 베이스 기판부(160)를 접착 테이프(150)를 사용하여 전극 기판부(140)에 접착시키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재료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키 입력 장치에서 전극 기판부의 전극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키 입력 장치는 키 패드부(230), 전극 기판부(240), 접착 테이프(250), 베이스 기판부(260) 및 압력 센서부(270)를 포함한다.
키 패드부(230)는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체에 장착되며, 키 패드부(230)의 저면은 전극 기판부(240)와 접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키 패드부(230)는 다수개의 버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기판부(240)는 키 패드부(230)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본체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패턴(242)은 전극 기판부(24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키 패드부(230)에 형성된 복수개의 버튼 영역에 대응되도록 전극 기판부(240)에 다수개가 형성되게 된다.
접착 테이프(250)는 압력 센서부(270)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 홀이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부(270) 주변에 해당되는 전극 기판부(240) 및 베이스 기판부(260)가 서로 접착되도록 한다.
베이스 기판부(260)는 압력 센서부(270)가 상부에 인쇄되며, 접착 테이 프(250)에 의해서 전극 기판부(240)의 저면에 접착되게 된다. 이러한 전극 기판부(24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기판부(260)는 플라스틱 필름(PET film)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압력 센서부(270)는 베이스 기판부(260) 상에 인쇄되는 데, 전극 기판부(240)의 전극 패턴(24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압력 센서부(270)는 베이스 기판부(260)의 일면에 인쇄되는 압력 잉크층 및, 상기 압력 잉크층 하부에 압력 잉크층 보다 작은 면적으로 인쇄되는 카본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극 기판부(240)에 인쇄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는 다수개의 버튼 영역이 형성되므로 다수개의 버튼이 필요한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키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키 입력 장치 중에서 전극 기판부에 형성된 전극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키 입력 장치에서 전극 기판부의 전극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20 : 키 입력 장치
130 : 키 버튼부 140, 240 : 전극 기판부
150, 250 : 접착 테이프 160, 260 : 베이스 기판부
170, 270 : 압력 센서부 230: 키 패드부

Claims (12)

  1. 접촉에 의해서 키 동작을 하기 위한 버튼 영역을 구비하는 키 버튼부;
    상기 키 버튼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키 버튼부와 접하는 면의 반대되는 면에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되도록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전극 기판부;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전극 기판부의 일면에 접착되는 베이스 기판부; 및
    상기 전극 패턴과 인접하도록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인쇄되어 형성되며, 상기 키 버튼부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전극 패턴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센서부;
    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인쇄되는 압력 잉크층 및, 상기 압력 잉크층 상부에 상기 압력 잉크층 보다 작은 면적으로 인쇄되는 카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잉크층은,
    폴리머와 메탈의 혼합물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기판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입력 패턴이 복수개의 갈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패턴이 상기 입력 패턴 사이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부는,
    일면에 상기 버튼 영역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키 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부는,
    상기 키 패드부에 형성된 상기 버튼 영역들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압력 센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장치.
  8. 내부에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신체의 접촉에 의해서 키 동작을 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을 구비하는 키 패드부, 상기 키 패드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키 버튼부와 접하는 면의 반대되는 면에 상기 버튼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전극 기판부,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되는 상기 전극 기판부의 일면에 접착되는 베이스 기판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부의 일면에 상기 전극 패턴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인쇄되는 압력 잉크층 및 상기 압력 잉크층 상부에 상기 압력 잉크층 보다 작은 면적으로 각각 인쇄되는 카본층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부를 포함하는 키 입력 장치; 및
    상기 키 입력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키 입력 장치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패드부에서 누르는 힘의 세기에 따라 다른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잉크층은,
    폴리머와 메탈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기판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입력 패턴이 복수개의 갈래로 연장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패턴이 상기 입력 패턴 사이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20090054729A 2009-06-19 2009-06-19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100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29A KR101004885B1 (ko) 2009-06-19 2009-06-19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29A KR101004885B1 (ko) 2009-06-19 2009-06-19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885B1 true KR101004885B1 (ko) 2010-12-28

Family

ID=4351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729A KR101004885B1 (ko) 2009-06-19 2009-06-19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8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34B1 (ko) 2005-12-27 2007-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접촉 센서를 이용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34B1 (ko) 2005-12-27 2007-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접촉 센서를 이용한 키패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9930B2 (ja)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両面キーボード
JP4899963B2 (ja) 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731241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CN101480024A (zh) 触感用户接口输入设备
JP5576690B2 (ja) 携帯無線装置
KR101977076B1 (ko) 이동 단말기
US8319671B2 (en) Keypad structure
JP2006216473A (ja) 薄型キーシート
KR101004885B1 (ko)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JP2007179921A (ja) メタルドーム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装置
KR10088881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37767A (ko)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4434Y1 (ko)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KR100764569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JP4545693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1010061A (ja) 電子機器
CA2719332C (en) Keypad structure
KR100867607B1 (ko)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0734379B1 (ko) 무선 단말기의 초박막형 키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8856B1 (ko) 키 입력장치
KR100844441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KR101084856B1 (ko) 모바일입력장치
KR20080039735A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12089238A (ja)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