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76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76B1
KR101977076B1 KR1020120081424A KR20120081424A KR101977076B1 KR 101977076 B1 KR101977076 B1 KR 101977076B1 KR 1020120081424 A KR1020120081424 A KR 1020120081424A KR 20120081424 A KR20120081424 A KR 20120081424A KR 101977076 B1 KR101977076 B1 KR 101977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es
dummy
switch
pressed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619A (ko
Inventor
정준엽
박민호
정호석
신연지
박병덕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76B1/ko
Priority to US13/899,330 priority patent/US9177738B2/en
Publication of KR2014001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5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pre-assembled groups of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4Movable contacts fixed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74One molded piec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탑과, 상기 키탑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대응되는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압부,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다른 스위치가 함께 가압되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와 다른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가압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메모 작성, E-mail의 수신·발신 및 스케줄 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한 다양한 기능의 수행과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는 입력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장치는 돔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및 조그 휠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돔 스위치를 이용한 입력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쿼티(QWERTY) 자판을 갖는 키패드, 홈 키, 볼륨 조절을 위한 사이드 키 등에 적용된다. 사이드 키와 같이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장치의 경우, 가압되는 스위치 및 이에 인접한 스위치가 함께 눌려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입력장치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스위치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탑과, 상기 키탑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대응되는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압부,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다른 스위치가 함께 가압되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와 다른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회로기판을 가압하며, 상기 키탑은 탄성 변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키탑의 일 지점이 가압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른 가압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상기 더미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비하여 이동이 제한되거나, 타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가압부보다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더미 가압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키탑과 다른 물질로 형성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키탑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3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더미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및 제3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더미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키탑에서 상기 제3액추에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의 가압시 차별화된 키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스위치 간의 간격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스위치 간의 간격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스위치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가압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의 각 단부는 상기 제3액추에이터가 상기 제3스위치를 가압할 때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가 함께 가압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복수의 가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가압부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3스위치가 가압되었을 때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신호가 생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제2스위치가 각각 가압되는 경우 음량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3스위치가 가압되는 경우 음량이 소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키탑에서 상기 제3액추에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에 비하여 리세스되거나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키탑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키탑과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압부 및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시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가압부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시트부, 및 상기 제1 및 제2시트부 사이에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제3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와 마주보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위치,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지지부재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가압되도록 형성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제어기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더미 가압부는 가압부가 이동되어 대응되는 스위치를 가압하는 경우 회로기판에 지지되어 인접한 가압부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인접한 스위치가 함께 눌리는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키탑의 형상 조정, 제3액추이에터와 제3스위치 간의 간격 조정,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의 형상 조정, 시트의 분리 구조 등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1c는 도 1a의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도 2의 입력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4 내지 8은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변형예들을 보인 단면도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디(101, 102)를 포함한다. 제1및 제2바디(101, 102)의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본 실시예는 제1바디(101)와 제2바디(102)가 상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프레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바디(102)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카메라(121), 제1음향출력부(152), 제1조작유닛(131), 마이크(122)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바디(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부(152)와 제1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102)에는 제2조작유닛(132, 도 1c 참조), 제3조작유닛(133), 인터페이스부(170), 전원공급부(19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조작유닛(131, 132, 133)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조작유닛(131, 132, 133)은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3조작유닛(132, 133)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3조작유닛(133)은 제1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사진 촬영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2바디(102)에는 제2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는 제1카메라(121, 도 1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제2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2바디(102)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52')는 제1음향출력부(152, 도 1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제2바디(102)의 단부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제2바디(1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바디(102)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a의 이동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2바디(102)는 제1바디(101)에 의해 일부 영역이 가려진 닫힌 상태에서 가려졌던 영역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에는 제2조작유닛(132)이 장착된다.
제2조작유닛(132)은 쿼티(QWERTY) 타입의 배열을 갖는 키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키버튼들에는 키 입력을 위한 키정보(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등)가 표시되며, 백라이트를 통해 상기 키정보가 강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바디(102)의 측면에는 제3조작유닛(133)이 배치된다. 제3조작유닛(133)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사진 촬영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동작을 방지하는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2의 입력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200)는 누름 조작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200)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예를 들어, 제2바디(102)의 측면에 배치되며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3조작유닛(133)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에는 회로기판(210)이 구비된다. 회로기판(21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되거나, 상기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기판(770, 도 8 참조)과 연성회로기판(780, 도 8 참조)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210)은 베이스(211) 및 상기 베이스(211) 상에 패턴화되는 도전층(212)과 접점부(213)를 포함한다. 베이스(211)는 에폭시 수지, 베이클라이트 수지 등과 같은 절연체로 형성되며, 얇은 기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베이스(211)의 일면에는 도전층(212) 및 이와 공간적으로 분할되는 접점부(213)가 인쇄되어 회로를 형성한다.
회로기판(210)에는 복수의 스위치(220)가 설치된다. 스위치(220)는 돔(dome)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220)는 도전층(212)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부(213)를 덮도록 배치되고, 누름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됨으로써 도전층(212)과 접점부(2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스위치(2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키탑(230)이 누름 조작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키탑(230)의 양측 및 가운데 부분에 대한 키 입력을 구별하도록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241, 242, 243)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스위치(221, 222, 223)를 보이고 있다.
입력장치(200)는 키탑(230), 복수의 가압부(240) 및 더미 가압부(250)를 포함한다.
키탑(230)은 단말기 바디에 일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키탑(230)은 복수의 스위치(220)를 덮도록 이들이 배열되는 방향을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키탑(230)에는 문자, 숫자, 기호, 문양 등이 적어도 하나 이상 인쇄될 수 있다.
키탑(230)은 강성이 큰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키탑(230)은 PC(PolyCarbornate)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높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Glass Fiber 또는 Carbon Fiber가 첨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키탑(230)의 어느 지점이 가압되더라도 변형(bending)이 일어나지 않아 보다 정확한 키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은 양측에 비하여 리세스되거나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고 균형감 있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 키탑(230)의 강성이 보다 확보될 수 있다.
키탑(230)의 배면에는 복수의 가압부(2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가압부(240)는 복수의 스위치(220)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키탑(230)의 누름 조작에 의해 대응되는 스위치(220)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복수의 가압부(240)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241, 242)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3액추에이터(243)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1 또는 제2액추에이터(241, 242)는 키탑(230)의 어느 일측이 누름 조작되면 대응되는 제1 또는 제2스위치(221, 222)를 각각 가압하도록 형성되며, 제3액추에이터(243)는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이 누름 조작되면 대응되는 제3스위치(223)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또는 제2스위치(221, 222)가 각각 가압되는 경우 음량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고, 제3스위치(223)가 가압되는 경우 음량이 소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240)는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가 키탑(230)에 비치도록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부(24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키탑(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압부(240)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240)와 다른 가압부(240) 사이에는 더미(dummy) 가압부(250)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미 가압부(250)는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240)에 의해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220)가 가압될 때 회로기판(210)에 지지되어, 인접한 상기 다른 가압부(240)에 의해 대응되는 다른 스위치(220)가 함께 가압되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더미 가압부(250)가 제1 및 제3액추에이터(241, 243)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더미 액추에이터(251)와, 제2 및 제3액추에이터(242, 243)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더미 액추에이터(252)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더미 가압부(250)는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부(240)와는 달리 백라이트가 키탑(230)에 비치지 않도록 불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가압부(250)는 가압부(240)와 함께 인서트 사출에 의해 키탑(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도면과 같이, 키탑(230)의 배면에는 복수의 가압부(240) 및 더미 가압부(250)를 구비하는 시트(260)가 부착될 수 있다.
더미 가압부(250)는 복수의 가압부(240)보다 회로기판(210)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21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키탑(230)은 더미 가압부(250)에 의해 지지되어 항상 일정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키탑(230)이 눌리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가압부(240) 사이에 더미 가압부(250)가 배치되는 구조에 의하여, 키탑(230)은 더미 가압부(250)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더미 가압부(250)가 시소 운동의 지지대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탑(230)의 일 지점이 가압되어 어느 하나의 가압부(240)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인접한 다른 가압부(240)는 회로기판(210)에 지지되는 더미 가압부(250)에 의해 어느 하나의 가압부(240)에 비하여 이동이 제한되거나, 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가압부(240)에 의해 어느 하나의 스위치(220)가 가압될 때, 더미 가압부(250)는 회로기판(210)을 가압하며, 키탑(230)은 어느 정도 탄성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 변형의 정도는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연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a 및 3b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3a와 같이 사용자가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제3액추에이터(243)는 누름 조작되는 일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대응되는 제3스위치(223)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3액추에이터(243)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251, 252)는 회로기판(210)을 가압하며, 키탑(230)의 양측은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251, 252)를 시소 운동의 중심으로 하여 타방향을 따라 이동되거나, 키탑(230)의 중심에 비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241, 242)가 제3액추에이터(243)와 함께 이동되나, 그 이동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 대응되는 제1 및 제2스위치(221, 222)를 가압하지 않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도 3b와 같이 사용자가 키탑(230)의 일측[본 도면에서는 제2액추에이터(242)에 대응되는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제2액추에이터(242)는 누름 조작되는 일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대응되는 제2스위치(222)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2액추에이터(242)에 인접한 제2더미 액추에이터(252)는 회로기판(210)을 가압하며,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과 타측은 제2더미 액추에이터(252)를 시소 운동의 중심으로 하여 타방향을 따라 이동되거나, 키탑(230)의 중심에 비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제2액추에이터(242)와 인접한 제3액추에이터(243)는 대응되는 제3스위치(223)를 가압하지 않을 정도로만 이동되며, 제1액추에이터(241)는 대응되는 제1스위치(221)로부터 이격되어 멀티 클릭이 방지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가압부(240)가 이동되어 대응되는 스위치(220)를 가압하는 경우 더미 가압부(250)는 회로기판(210)에 지지되어 인접한 가압부(240)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인접한 스위치(220)가 함께 눌리는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독립적인 클릭이 가능하게 된다.
구조적인 측면과 더불어, 제어적인 측면에서, 구조물의 변형에 의해 멀티 클릭이 발생하더라도 제어부가 어느 하나의 클릭만을 인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내에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241, 242, 243)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액추에이터가 가압될 경우, 제3스위치(223)가 가압되었을 때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신호가 생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액추에이터가 가압되는 경우는 사용자가 키탑(230)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려고 했으나 인접한 부분까지 함께 눌리는 경우라고 보고, 이를 제어적으로 바로잡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8은 도 2에 도시된 입력장치(200)의 변형예들을 보인 단면도들이다. 이하의 입력장치(300, 400, 500, 600, 700)는 앞서 설명한 입력장치(200)와 일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앞선 입력장치(200)와는 다른 구조적 특징을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하며, 앞서 설명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액추에이터(343)와 제3스위치(323) 간의 간격은 제1액추에이터(341)와 제1스위치(321) 간의 간격 및 제2액추에이터(342)와 제2스위치(322)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키탑(330)에서 제3액추에이터(343)에 대응되는 부분의 가압시 차별화된 키감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액추에이터(343)와 제3스위치(323) 간의 간격이 증가하게 되면, 키탑(330)의 가운데 부분을 누름 조작하기 위해서는 키탑(330)의 양측을 누름 조작하는 경우보다 더 큰 힘이 작용되어야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메커니즘에 따라 제1 및 제2액추에이터(341, 342)는 대응되는 제1 및 제2스위치(321, 322)로부터 보다 이격되거나, 제3액추에이터(343)의 이동 거리에 비하여 짧은 거리만큼 이동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스위치(420)는 복수의 가압부(44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액추에이터(441, 442)의 각 단부(441a, 442a)는 내측이 외측보다 짧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제3액추에이터(443)가 제3스위치(423)를 가압할 때 제1 및 제3스위치(421, 422)가 함께 가압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3액추에이터(443)가 이동될 때 제1 또는 제2액추에이터(441, 442)가 함께 이동되더라도 각 단부(441a, 442a)는 대응되는 제1 또는 제2스위치(421, 422)를 가압할 정도로는 누르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멀티 클릭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500)는 키탑(530)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시트(560)를 더 포함한다. 시트(560)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압부(540) 및 더미 가압부(550)는 시트(56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시트(560)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키탑(5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560)는 복수의 가압부(540)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제1 내지 제3시트부(561, 562, 5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시트부(561, 562)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541, 542)를 구비하며, 키탑(5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3시트부(563)는 제1 및 제2시트부(561, 562) 사이에 이들과 분리되어 배치되고, 제3액추에이터(543)와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551, 552)를 구비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회로기판(610)은 지지부재(670)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651, 652)의 가압에 의해 지지부재(67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3스위치(623)는 앞선 입력장치(200, 300, 400, 500)의 구조와 달리 회로기판(610)의 배면, 즉 지지부재(670)와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탑(630)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게 되면,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651, 652)는 회로기판(610)을 가압하여 지지부재(670)를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3스위치(623)는 지지부재(670)에 의해 가압되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3스위치(623)는 제1 및 제2스위치(621, 622)와는 다른 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가압되는 메커니즘이 제1 및 제2스위치(621, 622)와는 상이하므로, 독립적인 키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장치(700)는 단말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 키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는 제어기판(770)이 배치되며, 복수의 스위치(720)를 구비하는 회로기판(710)은 연성회로기판(780)을 통하여 제어기판(7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판(770)과 회로기판(710)은 지지부재(79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790)는 제어기판(770)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791)와 회로기판(710)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79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부(791, 792)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710)은 접착시트 또는 다른 기구 구조를 이용하여 제2지지부(79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복수의 스위치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및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탑;
    상기 키탑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대응되는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압부;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다른 스위치가 함께 가압되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와 다른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3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액추에이터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3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더미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및 제3액추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2더미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회로기판을 가압하며, 상기 키탑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탑의 일 지점이 가압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다른 가압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상기 더미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비하여 이동이 제한되거나,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가압부보다 상기 회로기판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가압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키탑과 다른 물질로 형성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키탑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탑에서 상기 제3액추에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의 가압시 차별화된 키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3스위치 간의 간격은 상기 제1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스위치 간의 간격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스위치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가압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의 각 단부는 상기 제3액추에이터가 상기 제3스위치를 가압할 때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가 함께 가압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내에 상기 복수의 가압부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가압부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제3스위치가 가압되었을 때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스위치가 각각 가압되는 경우 음량이 조절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3스위치가 가압되는 경우 음량이 소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탑에서 상기 제3액추에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에 대응되는 부분에 비하여 리세스되거나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키탑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키탑과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압부 및 상기 더미 가압부는 상기 시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복수의 가압부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시트부; 및
    상기 제1 및 제2시트부 사이에 분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제3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압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액추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와 마주보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액추에이터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스위치;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지지부재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더미 액추에이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지지부재를 향하여 이동되면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가압되도록 형성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복수의 스위치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는 입력장치;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 및
    상기 제어기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탑;
    상기 키탑의 배면에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대응되는 스위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압부;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다른 스위치가 함께 가압되는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압부 중 어느 하나의 가압부와 다른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스위치가 가압될 때 상기 회로기판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81424A 2012-07-25 2012-07-25 이동 단말기 KR10197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24A KR101977076B1 (ko) 2012-07-25 2012-07-25 이동 단말기
US13/899,330 US9177738B2 (en) 2012-07-25 2013-05-21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24A KR101977076B1 (ko) 2012-07-25 2012-07-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19A KR20140013619A (ko) 2014-02-05
KR101977076B1 true KR101977076B1 (ko) 2019-05-10

Family

ID=4999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24A KR101977076B1 (ko) 2012-07-25 2012-07-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77738B2 (ko)
KR (1) KR1019770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472B1 (ko) * 2011-12-06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CN105491184B (zh) * 2014-10-13 2018-09-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键盘的手机套
KR20180031782A (ko) 2015-08-17 2018-03-28 셀가드 엘엘씨 개선된 전지 분리기 및 관련 방법
JP2017091917A (ja) * 2015-11-13 2017-05-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US10707032B1 (en) * 2016-12-02 2020-07-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travel-magnifying input/output structure
KR102574210B1 (ko) 2018-08-24 202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174961B (zh) * 2019-05-31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7464B2 (en) 2007-07-30 2012-06-26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462U (ko) * 1997-06-27 1999-01-25 김영환 시소형 스위치의 버튼구조
BR0311243A (pt) * 2002-05-23 2005-05-10 Digit Wireless Llc Teclados e comutadores de teclas
CN1932711B (zh) * 2005-09-16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多向式按键
KR100860458B1 (ko) * 2007-03-09 2008-09-25 주식회사 팬택 일체형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개인휴대단말기
KR101688140B1 (ko) * 2010-05-19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7464B2 (en) 2007-07-30 2012-06-26 Sharp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19A (ko) 2014-02-05
US9177738B2 (en) 2015-11-03
US20140027256A1 (en) 201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07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WO2009157336A1 (ja) 携帯端末装置
KR20100054668A (ko) 이동 단말기
US8923935B2 (en) Mobile terminal and keypa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18111B1 (ko) 이동 단말기
US834544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noise shielding structur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EP2169920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367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02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786514B1 (ko) 이동 단말기
CN108024449B (zh) Fpc组件及终端设备
KR1016047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020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980708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7671A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31B1 (ko) 휴대 단말기
KR101119474B1 (ko) 키패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553951B1 (ko) 휴대 단말기
KR20150060438A (ko) 이동 단말기
KR1014425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