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160B1 -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160B1
KR102341160B1 KR1020170078144A KR20170078144A KR102341160B1 KR 102341160 B1 KR102341160 B1 KR 102341160B1 KR 1020170078144 A KR1020170078144 A KR 1020170078144A KR 20170078144 A KR20170078144 A KR 20170078144A KR 102341160 B1 KR102341160 B1 KR 10234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cover body
decorative member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063A (ko
Inventor
조명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1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01H9/047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provided with 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 드러나는 홀을 생략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 및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와,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TRUNK SWITCH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는 차체 후방에 형성되어 짐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트렁크는 트렁크 리드에 의해 적재 공간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트렁크 리드는 래치를 포함하는 잠금수단에 의해 잠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전동식 잠금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동식 잠금장치는 트렁크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작동 신호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최근 차량의 제조사를 표시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에 장착되는 엠블럼과 일체화된 트렁크 스위치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는 부품수를 줄이고 차량 외관의 디자인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의 일예가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7001호(2016. 11. 3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트렁크 스위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디(17)에 엠블럼(10)이 고정되고, 바디(17)에 마련된 버튼 홀(16)에 푸시 타입의 푸시 버튼(13)이 장착되며, 바디(17)에 마련된 커버 홀(22)에 푸시 커버가 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푸시 커버는 바디(17) 안쪽에 배치되는 트렁크 록의 전면을 덮는다. 이러한 트렁크 스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푸시 버튼(13)이 눌리면 푸시 버튼(13)이 바디(17) 안쪽에 배치된 텍 스위치(12)와 접촉하여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트렁크 스위치는 푸시 버튼(13)이 바디(17)에 형성된 버튼 홀(16)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버튼 홀(16)을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7001호 (2016. 11. 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 드러나는 홀을 생략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장식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을 덮어 상기 커버 조립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필름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필름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필름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절개 형성된 커버필름 절개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도장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결합되는 림부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가요성 버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버튼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다이아프램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가요성 버튼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다이아프램부 안착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면취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커버 바디의 타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결합되는 보스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바디는 초음파 융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체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 조립체가 완전히 덮어 외부로 드러나는 홀이 없으므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차량의 엠블럼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이너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 조립체에 커버필름과 장식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제조에 이용되는 필름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를 이용한 커버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에서 조작하여 차량의 트렁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차량의 트렁크 리드 등 차체(10)에 설치된다.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체(10)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120)와, 하우징(110)을 덮는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 조립체(130) 상에 차례로 결합되는 커버필름(155) 및 장식부재(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스위치(120)와 커버 조립체(130)가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111)과, 이너 하우징(111)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너 하우징(111)과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116)을 포함한다.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스위치(120)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너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하우징 개방부(112)가 구비되고, 이 하우징 개방부(112)는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덮인다.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는 플런저 가이드(113)와, 복수의 보스 결합부(114)가 구비된다. 플런저 가이드(113)는 후술할 플런저(150)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보스 결합부(114)는 커버 조립체(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아우터 하우징(116)은 이너 하우징(111)의 외곽 대부분을 감싸면서 차체(10)에 고정된다.
이너 하우징(111)과 아우터 하우징(116)의 사이에는 아우터 하우징(116)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118)가 마련된다. 우천 시나 세차 중에 차체(10)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물 등의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이너 하우징(111)은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어 있어 그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없고, 아우터 하우징(116)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배수로(118)를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이너 하우징(111)을 아우터 하우징(116)이 감싸는 구조 이외에, 스위치(120) 등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덮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설치된다. 스위치(120)로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푸쉬형 스위치, 또는 커버 조립체(130)의 가요성 버튼(140)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스위치가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120)는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122)에는 커넥터(124)가 연결되며, 스위치(120)의 전기적 신호가 커넥터(124)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130)는 이너 하우징(11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이너 하우징(111)의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는다. 커버 조립체(130)는 커버 바디(131)와, 커버 바디(131)의 중간에 결합되는 가요성 버튼(140)을 포함한다.
커버 바디(131)는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도록 이너 하우징(111)에 결합된다. 커버 바디(131)의 일측에는 커버 바디 개구(132)가 마련된다. 커버 바디 개구(132)는 가요성 버튼(140)에 의해 덮일 수 있도록 가요성 버튼(14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 바디(131) 일면의 커버 바디 개구(132) 둘레에는 다이아프램부 안착홈(133)이 마련된다. 커버 바디(131)의 타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34)가 돌출 구비된다. 이들 고정돌기(134)는 커버 바디 개구(13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또한 커버 바디(131)의 타면에는 복수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들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는 하우징(11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각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에는 결합홀(137)이 마련된다. 복수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 중 일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는 커버 바디(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 바디 삽입홈(138)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의 결합홀(137)과 연결된다.
가요성 버튼(140)은 커버 바디 개구(132)를 덮도록 커버 바디(131)에 결합된다. 가요성 버튼(140)은 실리콘 등의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요성 버튼(140)은 커버 바디 개구(132)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커버 바디(131)와 결합되는 림부(141)와, 림부(141)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144)를 포함한다. 림부(141)는 굽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이아프램부(144)는 림부(141)의 상측을 덮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림부(141)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34)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홈(142)이 마련된다. 다이아프램부(144)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10) 내측의 스위치(120) 쪽으로 굽힘 변형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144)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면취홈(145)이 배치된다. 사용자가 적절한 가압력으로 다이아프램부(144)를 눌러 조작하기 위해서는 다이아프램부(144)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안된다. 반면, 다이아프램부(144)의 두께가 얇으면 사용자 조작감은 향상될 수 있지만, 다이아프램부(144)가 하측으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부(144)의 가장자리를 둥글게 모깍이한 형태의 면취홈(145)을 다이아프램부(144)의 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함으로써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면취홈(145)이 형성된 다이아프램부(144)의 가장자리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므로 사용자가 다이아프램부(144)를 누를 때 다이아프램부(144)가 원활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아프램부(144)를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 적절한 두께로 하면서 사용자 조작감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가요성 버튼(140)은 그 고정홈(142)에 커버 바디(131)의 고정돌기(134)가 삽입됨으로써 커버 바디(131)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홈(142)과 고정돌기(134)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즉, 고정홈(142)이 커버 바디(131)에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돌기(134)가 가요성 버튼(140)에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가요성 버튼(140)의 다이아프램부(144)는 커버 바디(131)의 다이아프램부 안착홈(133)에 삽입됨으로써 커버 바디(1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커버 바디(131)와 가요성 버튼(140)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 방법을 이용하면 커버 바디(131)와 가요성 버튼(140)을 견고하고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커버 바디(131)와 가요성 버튼(140) 간의 결합 방법은 인서트 사출 방법 이외의 다양한 다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70)를 통해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가 이너 하우징(111)의 보스 결합부(114)에 결합된 된 후, 고정부재(170)가 이너 하우징(111)의 저면으로부터 이너 하우징(111)에 결합되어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의 결합홀(137)에 삽입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가 이너 하우징(111)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보스 결합부(114)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136) 사이는 실링부재(172)가 배치되어 보스 결합부(114)와 커버 바디 결합 보스(135)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의 가장자리와 이너 하우징(111)의 가장자리 사이에도 실링부재(174)가 개재되어 커버 조립체(130)와 이너 하우징(111)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를 하우징(1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커버 조립체(130)를 이너 하우징(111)에 초음파 융착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와 이너 하우징(111)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는 고정부재(170)에 의한 결합 방법이나, 초음파 융착법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110)과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종래의 트렁크 스위치는 푸시 버튼이 바디의 버튼 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버튼 홀을 통해 수분이나 이물질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 조립체(130)가 완전히 덮어 외부로 드러나는 홀이 없으므로, 방수 성능이 우수하고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커버필름(155)이 부착되는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외관 품질을 높이기 위해 커버 조립체(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도장 처리될 수 있다. 가요성 버튼(140)의 일면과 커버 바디(131)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차체(10)의 색상과 같은 색상, 또는 다른 색상으로 도장 처리함으로써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해 커버 조립체(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의 가요성 버튼(140)이 누름 조작될 때, 가요성 버튼(140)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플런저(150)를 통해 스위치(120)에 전달된다. 플런저(150)는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플런저(150)는 이너 하우징(111)의 플런저 가이드(113)에 지지되어 가요성 버튼(140)의 누름 조작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150)는 플런저 가이드(11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151)와, 플런저 바디(151)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 접촉부(153)를 포함한다. 버튼 접촉부(153)는 가요성 버튼(140)의 다이아프램부(144)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다이아프램부(144)와 면접촉하는 평평한 상면을 갖는다. 다이아프램부(144)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버튼 접촉부(153)를 통해 플런저(150)에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플런저(150)는 이너 하우징(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76)에 의해 가요성 버튼(140) 측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따라서 가요성 버튼(140)에 의해 스위치(120) 측으로 이동한 플런저(150)는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귀될 수 있다.
플런저(15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120)와 가요성 버튼(140) 사이에 배치되어 가요성 버튼(140)의 가압력을 스위치(120)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버필름(155)은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을 덮어 커버 조립체(130)를 보호한다. 커버필름(155)은 외부의 이물질을 커버 조립체(130)에 도달하지 못하게 차단하고, 커버 조립체(130)의 도장 박리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커버필름(155)은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을 구비한다. 커버필름 관통홀(156)은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삽입홈(138)과 같은 개수로, 커버 바디 삽입홈(138)과 마주하도록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커버필름 관통홀(156)은 커버필름(155)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은 커버필름(155) 내측의 적어도 일부에 절개 형성된다. 도면에는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이 커버필름 관통홀(156)에서 커버필름(155)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은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될 때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들뜸 없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커버 조립체(130)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커버필름(155)이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으로 인해 커버 조립체(130)의 곡면에 맞춰 원활하게 굽힘 변형되어 커버 조립체(13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장식부재(160)는 커버 조립체(13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 조립체(130)에 결합된다. 장식부재(160)는 커버필름(155)에 의해 덮인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결합된다. 장식부재(160)는 제조사의 로고를 형상화한 엠블럼 형태나, 또는 심미성 및 디자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장식부재(160)에는 커버 조립체(130)의 가요성 버튼(140)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161)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장식부재 개구(161)를 통해 가요성 버튼(140)을 조작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30)와 마주하는 장식부재(160)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가 돌출 구비된다.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는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삽입홈(138)과 같은 개수로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에는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70)가 삽입되는 결합홀(163)이 마련된다.
장식부재(160)는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가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 및 커버 조립체(130)의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70)가 장식부재 결합 보스(162)의 결합홀(163)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장식부재(160)는 접착제에 의해 들뜸 없이 커버필름(155) 위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결합 방법을 통해 장식부재(160)는 커버 조립체(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체(10)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 엠블럼과 일체로 설치될 수 있어, 디자인 품질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성이 우수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스위치(120)와 플런저(150) 등의 부품을 장착하고, 하우징(110)에 커버 조립체(130)를 결합하여 하우징(110)의 하우징 개방부(112)를 덮은 후, 커버 조립체(130) 상에 커버필름(155)과 장식부재(160)를 차례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의 제조 과정에서 특히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커버필름(155)을 부착하는 작업은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커버필름(155)은 쉽게 굽힘 변형되므로 작업자가 다루기 어렵고, 커버필름(155)의 부착 과정에서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 상의 정해진 부착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필름(155) 사이에 기포가 생기게 되면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커버필름(155)은 후술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를 이용한 커버필름 부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는 상호 접촉하여 공정 챔버(C)를 형성하는 제 1 챔버 케이스(210) 및 제 2 챔버 케이스(230)와, 제 1 챔버 케이스(210)에 구비되는 제 1 안착부(212)와, 제 2 챔버 케이스(230)에 구비되는 제 2 안착부(232)와, 제 2 챔버 케이스(23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와, 공정 챔버(C)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기(245)와, 공정 챔버(C)에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는 제 1 안착부(212)로 커버필름(155)을 지지하고 제 2 안착부(232)로 커버 조립체(130)를 지지한 상태에서 커버필름(155)에 균일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커버필름(155)을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의 조립 과정에서 하우징(110)과,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필름(155)과, 장식부재(160)의 조립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120)가 설치된 하우징(110)에 커버 조립체(130)가 조립된 후, 커버 조립체(130) 상에 커버필름(155)과 장식부재(160)가 차례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120)가 설치된 하우징(110)에 커버 조립체(130)가 조립된 것을 반제품(190)이라 칭한다.
또한 커버필름(155)은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양쪽 면에 제 1 이형 필름(182) 및 제 2 이형 필름(185)이 부착된 상태로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 커버필름(155)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커버필름 절개 슬릿(157)을 갖는다. 커버필름(155)은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되는 커버필름(155)의 일면에는 점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커버필름(155)의 일면은 제 2 이형 필름(185)에 의해 덮여 보호되고, 커버필름(155)의 타면은 제 1 이형 필름(182)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제 2 이형 필름(185)은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되기 전에 커버필름(155)에서 박리되고, 제 1 이형 필름(182)은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된 후 커버필름(155)에서 박리될 수 있다.
제 1 이형 필름(182)에는 핀 결합홀(183)이 구비된다. 핀 결합홀(183)은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마주하도록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핀 결합홀(183)의 크기는 커버필름 관통홀(156)보다 작다. 제 1 이형 필름(182)에 핀 결합홀(183)을 형성함으로써, 커버필름(155)과 제 1 이형 필름(182)의 합착 시 커버필름(155)과 제 1 이형 필름(182) 사이에 기포가 갇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제 2 이형 필름(185)에는 이형 필름 관통홀(186)이 마련된다. 이형 필름 관통홀(186)은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커버필름 관통홀(156)과 마주하도록 커버필름 관통홀(15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형 필름 관통홀(186)의 크기는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보다 작다. 제 2 이형 필름(185)에 이형 필름 관통홀(186)을 형성함으로써, 커버필름(155)과 제 2 이형 필름(185)의 합착 시 커버필름(155)과 제 2 이형 필름(185) 사이에 기포가 갇히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제 2 이형 필름(185)으로는 커버필름(155)으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종이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챔버 케이스(210)는 그 단부가 제 2 챔버 케이스(230)의 단부와 접하여 제 2 챔버 케이스(230)와 함께 밀폐된 공정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는 모양을 갖는다. 제 1 챔버 케이스(210)에는 커버필름(155)이 안착되는 제 1 안착부(212)가 배치된다. 제 1 안착부(212)는 커버필름(155)이 놓이는 평평한 안착면(213)을 갖는다. 커버필름(155)이 들뜸 없이 안착면(213)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 1 안착부(212)는 실리콘 등 탄성력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면(213)에는 공기 분사구(215)가 마련된다. 공기 분사구(215)는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기 공급기(245)와 연결된다. 공기 공급기(245)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 분사구(215)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공기 분사구(215)의 설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에 안착된 상태에서 공기 분사구(215)를 통해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커버필름(155)은 안착면(213)에서 떨어져 제 2 챔버 케이스(230)에 장착되는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안착부(212)에는 가이드 핀(220)이 배치된다. 가이드 핀(220)은 커버필름(155)에 구비되는 커버필름 관통홀(156) 및 커버 조립체(130)에 구비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138)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면(213)으로부터 돌출된다. 가이드 핀(220)의 개수나 설치 위치는 커버필름 관통홀(156)이나 커버 바디 삽입홈(138)의 개수나 설치 위치에 대응한다. 가이드 핀(220)은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 상에서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핀(220)의 단면적은 커버필름 관통홀(156)의 크기보다 작고, 제 2 이형 필름(185)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보다 크며,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 핀(220)이 핀 결합홀(183)에 삽입될 때 가이드 핀(220)과 제 2 이형 필름(185)의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생기지 않고, 제 1 이형 필름(182)은 가이드 핀(220)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지지될 수 있다.
이 밖에, 제 1 챔버 케이스(210)에는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커버필름(155)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225)가 설치된다. 히터(225)는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커버필름(155)을 가열하여 커버필름(155)의 유연성을 높여준다. 커버필름(155)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면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더욱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면에는 히터(225)가 제 1 안착부(212)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히터(225)는 안착면(213)에 놓인 커버필름(155)을 가열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챔버 케이스(230)는 그 단부가 제 1 챔버 케이스(210)의 단부와 접하여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함께 밀폐된 공정 챔버(C)를 형성할 수 있는 모양을 갖는다. 제 2 챔버 케이스(230)에는 커버 조립체(130)를 포함하는 반제품(190)이 안착되는 제 2 안착부(232)가 배치된다. 제 2 안착부(232)는 반제품(190)을 그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이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커버필름(155)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챔버 케이스(230)에는 배기구(234)가 마련된다. 배기구(234)는 진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진공 펌프(250)와 연결된다. 진공 펌프(250)에서 공급되는 진공압은 배기구(234)를 통해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 사이의 공정 챔버(C)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가 상호 접하여 만들어지는 공정 챔버(C)는 진공 펌프(250)의 진공압이 미치는 부분과 공기 공급기(245)의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공정 챔버(C)를 두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커버 조립체(130)에 의해 공정 챔버(C)가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밖에, 제 1 챔버 케이스(210)나, 제 2 챔버 케이스(230), 또는 제 1 안착부(212)나 제 2 안착부(232)에 공정 챔버(C)를 구획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안착부(212)에 놓이는 커버필름(155)에 의해 공정 챔버(C)가 구획될 수도 있다.
공정 챔버(C)가 진공 펌프(250)의 진공압이 미치는 부분과 공기 공급기(245)의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진공 펌프(250)가 작동하면, 커버필름(155)의 상측 공간의 압력이 낮아져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흡착될 수 있다.
제 2 챔버 케이스(230)는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에 의해 움직인다.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는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제 1 챔버 케이스(210) 쪽으로 전진시키거나,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제 1 챔버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도록 후퇴시킬 수 있다.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240)는 제 1 챔버 케이스(210)를 움직이거나,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는 진공압을 이용함으로써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곡면이나 단차가 있는 경우에도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에 균일한 압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필름(155) 사이에 기포가 갇히거나, 커버필름(155)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를 이용한 커버필름 부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커버 조립체(130)와, 커버 조립체(13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는 커버필름(155)을 준비한다. 이때, 커버 조립체(130)는 스위치(120)가 설치된 하우징(110)과 결합된 상태로 준비될 수 있고, 커버필름(155)은 그 양쪽 면에 제 1 이형 필름(182) 및 제 2 이형 필름(185)이 부착된 필름 조립체(180)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물론, 커버 조립체(130)는 하우징(110) 등 다른 부품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준비될 수 있고, 커버필름(155)도 다른 이형 필름이 부착된 상태나 다른 이형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준비된 커버필름(155)을 제 1 안착부(212)에 안착하고, 커버 조립체(130)를 커버필름(155)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제 2 안착부(232)에 안착한다. 제 1 안착부(212)에 커버필름(155)을 안착하는 과정에서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안착부(212)의 가이드 핀(220)을 이용하여 필름 조립체(180)에서 제 2 이형 필름(185)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이 가이드 핀(220) 위에 놓이도록 필름 조립체(180)를 가이드 핀(220) 위에 배치하고 필름 조립체(180)를 누르면, 가이드 핀(220)의 끝단이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 및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을 통과하여 제 1 이형 필름(182)에 도달한다. 이때, 가이드 핀(220)의 단면적은 제 1 이형 필름(182)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보다 크므로, 제 1 이형 필름(182)이 가이드 핀(220)에 의해 가압되어 커버필름(155)에서 박리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필름(155)은 제 1 이형 필름(182)과 합착된 상태로 제 1 안착부(212)의 안착면(213) 위에 안착된다. 이때, 가이드 핀(220)의 단면적은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제 2 이형 필름(185)은 가이드 핀(220)에 의해 지지되어 안착면(213) 상에서 움직임이 제한된다. 따라서 커버필름(155) 역시 안착면(213) 상의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자세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접촉시켜 제 1 챔버 케이스(210)와 제 2 챔버 케이스(230) 사이에 밀폐된 공정 챔버(C)를 형성한다.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된 커버필름(155)과 제 2 안착부(232)에 안착된 반제품(190)은 공정 챔버(C)에 수용되고, 공정 챔버(C)는 진공 펌프(250)의 진공압이 미치는 부분과 공기 공급기(245)의 공기가 공급되는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에 안착된 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되기 전까지 히터(225)를 작동시켜 커버필름(155)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커버필름(155)에 열을 가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진공 펌프(250)를 작동시켜 공정 챔버(C)에 진공압을 제공하면 커버필름(155)의 상측 공간의 압력이 낮아져 커버필름(155)이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당겨진다. 이때, 공기 공급기(245)를 작동시켜 안착면(213)의 공기 분사구(215)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을 분사 공기로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커버필름(155)은 안착면(213)에서 분리되어 커버 조립체(130)의 일면 형상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변형되면서 커버 조립체(13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챔버 케이스(230)를 제 1 챔버 케이스(210)로부터 이격시키고 커버필름(155)이 부착된 반제품(190)을 제 2 챔버 케이스(2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커버필름(155)을 덮고 있는 제 1 이형 필름(182)을 커버필름(155)에서 분리하고 커버 조립체(130)에 장식부재(160)를 결합하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100)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30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에 나타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300)는 앞서 설명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필름 가압부재(310)와 탄성부재(315)를 더 포함하고, 가이드 핀(320)의 구조가 다소 변형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필름 가압부재(310)는 제 1 안착부(212)에 안착되는 커버필름(155)을 제 2 안착부(232)에 안착되는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1 안착부(212)에 마련되는 가이드홈(33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필름 가압부재(310)의 단면적은 안착면(213)에 놓이는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 크기보다 크다. 필름 가압부재(310)는 가이드 핀(320)을 지지한다. 탄성부재(315)는 가이드홈(330)에 배치되어 필름 가압부재(3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15)는 탄성부재(315)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커버필름(155)을 더욱 견고하게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가이드 핀(320)은 필름 가압부재(310)에 결합되는 핀 바디부(321)와, 핀 바디부(3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핀 팁부(322)를 포함하는 다단 구조를 갖는다. 핀 바디부(321)의 단면적은 커버필름(155)을 덮어 보호하는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핀 팁부(322)의 단면적은 커버필름(155)을 덮어 보호하는 제 2 이형 필름(185)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 크기보다 작다. 이러한 가이드 핀(320)은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 상의 정위치에 배치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즉, 커버필름(155)을 제 1 안착부(212)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 핀(320)의 핀 팁부(322)를 제 1 이형 필름(182)의 핀 결합홀(183)과, 커버필름(155)의 커버필름 관통홀(156) 및 제 2 이형 필름(185)의 이형 필름 관통홀(186)에 삽입함으로써, 필름 조립체(180)를 안착면(213) 상의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 상에 더욱 원활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400)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에 나타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400)는 도 20에 나타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300)와 대부분의 구성이 같고, 다만 안착면(213) 상에 구비되는 필름 흡착홀(410)과, 필름 흡착홀(410)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석션 펌프(42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필름 흡착홀(410)은 커버필름(155)을 안착면(213)에 흡착시킬 수 있는 흡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착면(213) 상에 복수로 구비된다. 석션 펌프(420)는 복수의 필름 흡착홀(410)과 연결되는 유로(415)를 통해 복수의 필름 흡착홀(410)에 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400)는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에 안착될 때, 석션 펌프(420)가 필름 흡착홀(410)에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커버필름(155)이 안착면(213) 상의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석션 펌프(420)는 커버필름(155)을 커버 조립체(130)에 부착하는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진공 펌프(250)가 작동하기 전까지만 작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스위치(120)와 가요성 버튼(140) 사이에 플런저(150)가 배치되어 플런저(150)가 가요성 버튼(140)의 변형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을 스위치(120)에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플런저(15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요성 버튼(140)이 직접 스위치(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방법은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200)(300)(400)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진공압을 활용하는 다양한 다른 형태의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10 : 하우징
111 : 이너 하우징 112 : 하우징 개방부
113 : 플런저 가이드 114 : 보스 결합부
116 : 아우터 하우징 118 : 배수로
120 : 스위치 122 : 기판
124 : 커넥터 130 : 커버 조립체
131 : 커버 바디 132 : 커버 바디 개구
133 : 다이아프램부 안착홈 134 : 고정돌기
135 : 커버 바디 결합 보스 136 : 커버 바디 결합 보스
138 : 커버 바디 삽입홈 140 : 가요성 버튼
141 : 림부 142 : 고정홈
144 : 다이아프램부 145 : 면취홈
150 : 플런저 151 : 플런저 바디
153 : 버튼 접촉부 155 : 커버필름
156 : 커버필름 관통홀 157 : 커버필름 절개 슬릿
160 : 장식부재 161 : 장식부재 개구
162 : 장식부재 결합 보스 170 : 고정부재
172, 174 : 실링부재 176, 315 : 탄성부재
180 : 필름 조립체 182, 185 : 제 1, 2 이형 필름
183 : 핀 결합홀 186 : 이형 필름 관통홀
190 : 반제품
200, 300, 400 :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
210, 230 : 제 1, 2 챔버 케이스 212, 232 : 제 1, 2 안착부
213 : 안착면 215 : 공기 분사구
220, 320 : 가이드 핀 225 : 히터
234 : 배기구 240 : 챔버 케이스 이동장치
245 : 공기 공급기 250 : 진공 펌프
310 : 필름 가압부재 321 : 핀 바디부
322 : 핀 팁부 330 : 가이드홈
410 : 필름 흡착홀 415 : 유로
420 : 석션 펌프

Claims (20)

  1.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을 덮어 상기 커버 조립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필름의 내측 적어도 일부에 절개 형성된 커버필름 절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장식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은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장식부재의 일면에는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커버 바디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 바디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필름에는 상기 장식부재 결합보스가 삽입되는 커버필름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필름이 결합되는 상기 커버 조립체 일면의 적어도 일부는 도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결합되는 림부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와 상기 가요성 버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버튼의 변형으로 전달되는 가압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다이아프램부가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버튼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대해 상기 가요성 버튼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아프램부가 상기 커버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다이아프램부 안착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의 림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5.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을 덮어 상기 커버 조립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커버 바디 개구의 둘레에 따라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와 결합되는 림부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림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은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면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의 상기 커버 바디와 상기 가요성 버튼은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커버 바디의 타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가 결합되는 보스 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보스 결합부와 상기 커버 바디 결합보스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바디는 초음파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20.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일측에 하우징 개방부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개방부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버 바디 개구가 마련된 커버 바디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바디 개구를 덮는 가요성 버튼을 갖는 커버 조립체; 및 상기 가요성 버튼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식부재 개구를 갖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식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커버 조립체의 일면을 덮어 상기 커버 조립체를 보호하도록 상기 커버 조립체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조립체 및 상기 스위치가 설치되는 이너 하우징과,
    상기 이너 하우징의 외곽을 감싸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는 아우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KR1020170078144A 2017-06-20 2017-06-20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KR10234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4A KR102341160B1 (ko) 2017-06-20 2017-06-20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44A KR102341160B1 (ko) 2017-06-20 2017-06-20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63A KR20180138063A (ko) 2018-12-28
KR102341160B1 true KR102341160B1 (ko) 2021-12-17

Family

ID=6500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44A KR102341160B1 (ko) 2017-06-20 2017-06-20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1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08B1 (ko) * 2011-08-03 2012-01-31 송미순 슬림용 전기 접촉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7718Y1 (ko) * 2014-03-17 2015-07-13 진영전기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KR101594334B1 (ko) * 2014-10-13 2016-02-1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345B1 (ko) * 2006-11-01 2013-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745091B1 (ko) 2015-05-22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모듈
KR102210572B1 (ko) * 2015-06-17 2021-02-01 장희승 버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108B1 (ko) * 2011-08-03 2012-01-31 송미순 슬림용 전기 접촉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7718Y1 (ko) * 2014-03-17 2015-07-13 진영전기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KR101594334B1 (ko) * 2014-10-13 2016-02-1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스위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63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7888B2 (en) Key fob device and method
US10438758B2 (en) Trunk switch module for vehicle
EP0949052B1 (en) Resin mold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case
US9212759B2 (en) Ventil
WO2014092117A1 (ja) 防水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US20210193408A1 (en) Hermetically sealed over-molded button assembly
US9744919B2 (en) Rear trim strip f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rear trim strip
US20140224685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touch screen device
CN110239455B (zh) 用于车门的开关组件的软上装饰件及其制造方法
US20120039052A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2341160B1 (ko)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KR102360844B1 (ko)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의 커버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US20140183067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touch screen device
JP7329070B2 (ja) 防水仕様の電気スイッチ組立体
JP200906697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526494B1 (ko)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JP3766062B2 (ja) 浴室テレビ
FR2800904A1 (fr) Dispositif de commutation unitaire etanche
US20140184042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touch screen device
KR101737859B1 (ko) 차량용 포브 키
EP2090369A1 (en) Showerhead for domestic purpose
KR101728676B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개폐장치
KR200450686Y1 (ko) 워머 내장형 폼 패드의 제조를 위한 금형
JP4888627B2 (ja) アームレストの製造方法
KR101324137B1 (ko) 돔키 내부 공기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홈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