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572B1 -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572B1
KR102210572B1 KR1020150085715A KR20150085715A KR102210572B1 KR 102210572 B1 KR102210572 B1 KR 102210572B1 KR 1020150085715 A KR1020150085715 A KR 1020150085715A KR 20150085715 A KR20150085715 A KR 20150085715A KR 102210572 B1 KR102210572 B1 KR 102210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mounting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918A (ko
Inventor
장희승
Original Assignee
장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희승 filed Critical 장희승
Priority to KR102015008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5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버튼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튼장치는: 게임기에 장착되는 패널부와, 패널부에 장착되는 버튼부 및 버튼부의 누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패널부에는 버튼부와 스위치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장치{BUTTON DEVICE}
본 발명은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락기의 게임 변경에 따른 버튼의 교체 시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락기는 시뮬레이션, 아케이트, 어드벤쳐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오락기는 개인용 컴퓨터상에서 이루어지는 PC오락기, 전용 오락기를 TV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비디오 오락기 및 기판을 이용하여 업소에서 사용하는 업소용 오락기로 분류할 수 있다.
보통 오락실 등에 설치되는 오락기는 오락기 본체, 오락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게임이 진행되는 것을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모니터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용자는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게임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오락기 내부에는 게임진행을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에서는 게임의 시작, 진행, 종료 등 모든 게임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제어부는 스위치로부터 조작신호를 수신받아 모니터로 게임진행신호를 송신하고, 모니터는 게임진행신호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용자는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한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9764호(공개일:2000.06.05)에는 스위치 작동용 버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부에 버튼부와 스위치부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부품수 및 제조단가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오락기의 게임변경시 교체가 용이한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부에 의해 외부에서 액체가 스위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는 오락기에 장착되는 패널부와, 상기 패널부에 장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누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에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중공되어 패널의 하부로 연장되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버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스위치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되는 접촉바가 구비되는 누름버튼부 및 상기 누름버튼부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작동에 의해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결합부에 장착시키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스위치부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과 상기 결합부는 원터치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결합부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결합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진입홀부 및 상기 진입홀로 진입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장착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결속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외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로 액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마감캡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는 패널부에 버튼부와 스위치부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부에 의해 외부에서 액체가 스위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에 따라 버튼부와 스위치부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고, 마감캡에 의해 장착부를 커버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원터치결합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방수부에 의한 배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마감캡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원터치결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방수부에 의한 배수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마감캡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100)는 패널부(110), 버튼부(130) 및 스위치부(140)를 포함한다.
패널부(110)는 오락기에 장착된다. 오락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조작부가 구비되는데, 패널부(110)는 조작부에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널부(110)를 직사각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오락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110)에는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20)를 포함한다. 장착부(120)는 중공되어 패널부(110)의 하부로 연장되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0)는 버튼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122) 및 스위치부(140)가 결합되는 결합부(124)를 포함한다.
안착부(122)는 'ㄴ'자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어 버튼부(130)를 지지하고, 결합부(124)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편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원터치결합부(146)에 의해 스위치부(140)를 고정한다.
이러한, 장착부(120)는 패널부(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패널부(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패널부(110)의 사출성형 시 장착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버튼부(130)는 스위치부(140)로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장착부(120)에 삽입되어 안착부(122)에 안착되고, 스위치부(140)와 접촉되는 접촉바(133)가 구비되는 누름버튼부(132) 및 누름버튼부(132)를 장착부(120)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6)를 포함한다. 누름버튼부(132)는 커버캡(134)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36)는 결합부(124)에 지지되어 누름버튼부(132)를 탄성지지하고, 결합부(124)에는 접촉바(133)가 수용되는 수용홈부(125)가 형성된다. 수용홈부(125)에 접촉바(133)가 수용되므로 누름버튼부(132)의 회전은 방지된다.
접촉바(133)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누름버튼부(132)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제한턱(133a)이 구비된다. 커버캡(134)은 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부(140)는 버튼부(130)의 누름작동에 의해 연동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버튼부(130)의 누름작동에 의해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142) 및 스위치(142)를 결합부(124)에 장착시키는 장착브라켓(144)을 포함한다. 장착브라켓(144)은 스위치(142)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145)를 포함하고, 장착브라켓(144)과 결합부(124)는 원터치결합부(146)에 의해 결합된다.
원터치결합부(146)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브라켓(144)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47)와, 결합부(124)에 걸림돌기(147)가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진입홀부(148) 및 진입홀부(148)로 진입된 걸림돌기(147)가 장착브라켓(144)의 회전에 의해 결속되도록 결합부(124)에 형성되는 결합홈(149)을 포함한다.
장착부(120)는 방수부(150)를 더 포함한다. 방수부(15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액체가 스위치부(14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안착부(122)에 형성되는 배수홀(152)을 포함한다. 배수홀(152)은 안착부(122)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부(130)와 장착부(120) 사이틈으로 유입된 액체는 배수홀(152)을 통해 스위치부(140) 접촉없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누름버튼부(132)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유입방지리브(135)가 형성된다. 유입방지리브(135)는 액체가 누름버튼부(132)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착부(122)의 바닥면은 배수홀(15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방수부(150)는 장착부(12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154)를 포함한다. 즉, 패널부(110)의 표면에 높은 돌출리브(154)가 형성되어 장착부(12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0)는 마감캡(1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는 패널부(110)에 복수개의 장착부(120)가 구비되고, 각각에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가 구비되는데, 게임에 따라 사용 가능한 버튼부(130)가 정해지므로 불필요한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는 제거될 수 있으며,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가 제거된 장착부(120)에는 마감캡(160)이 구비되어 커버할 수 있다. 마감캡(16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배수홀(152)과 결합되는 결합후크(162)가 형성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패널부(110)에는 복수개의 장착부(120)가 구비된다. 장착부(120)는 패널부(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사출성형에 의해 패널부(110)에 장착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누름버튼부(132)는 패널부(110)의 장착부(120)에 삽입되어 안착부(122)에 안착된다. 장착부(12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36)가 구비되어 누름버튼부(132)를 장착부(120)로부터 탄성지지한다. 이때, 누름버튼부(132)의 접촉바(133)의 단부에는 제한턱(133a)이 형성되어 누름버튼부(132)의 승강범위가 제한되며, 접촉바(133)는 결합부(124)의 수용홈부(125)에 수용됨에 따라 회전이 방지되므로 누름버튼부(132)의 누름작동시 회전되지 않는다.
이후, 장착부(120)의 하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24)에 스위치부(140)를 장착한다. 스위치(142)는 장착브라켓(144)과 파지부(145)에 의해 결합되고, 장착브라켓(144)은 장착부(12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원터치결합부(146)에 의해 결합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2)가 결합된 장착브라켓(144)을 장착부(120)의 하단으로 삽입한후,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47)가 진입홀부(148)를 통과하고, 회전에 의해 결합홈(149)에 안착되므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부(110)의 장착부(120)에는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가 결합되고, 스위치(142)의 단자는 전선이 연결되어 버튼부(130)의 누름동작에 의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패널부(110)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120)에 의해 게임에 맞는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를 미리 설치하고, 패널부(110)만 오락기의 조작부에 장착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품 불량시 해당 장착부(120)에서 버튼부(130) 또는 스위치부(1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100)의 방수부(150)에 의한 방수성능을 설명한다. 버튼장치(100)는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버튼장치(100)에 물, 커피, 음료 등을 쏟거나 오락기의 야외사용에 의해 우천 시 빗물이 버튼장치(100)의 상부로 침입하게 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0)와 장착부(120) 사이 틈새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액체는 안착부(122)에 형성되는 배수홀(152)을 통해 외측으로 배수된다. 이때, 배수홀(152)은 안착부(1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므로 액체는 스위치부(140)와의 접촉이 차단된다.
그리고, 버튼부(130)와 장착부(120) 사이로 유입된 액체는 버튼부(130)의 표면을 따라 중앙으로 유입될 수 있는데, 누름버튼부(132)의 하단 가장자리에 하부로 돌출 형성된 유입방지리브(135)에 의해 안착부(122)로 낙하되고, 배수홀(15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안착부(122)는 배수홀(15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원활한 배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장착부(12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돌출리브(154)가 돌출 형성되어 1차적으로 장착부(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배수홀(152)을 통해 배수되는 구조에 의해 방수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장착부(120)에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마감캡(160)에 의해 장착부(120)가 커버될 수 있다. 이는 게임에 따라 버튼부(130)의 개수가 정해지게 되는데,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가 불필요할 경우, 장착부(120)로부터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를 제거하고, 마감캡(160)으로 커버할 수 있다. 이때, 마감캡(160)에는 결속후크(162)가 구비되어 배수홀(152)과 결합되므로써 고정된다. 이처럼 버튼부(130)와 스위치부(14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게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에 의하면, 패널부에 버튼부와 스위치부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방수부에 의해 외부에서 액체가 스위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에 따라 버튼부와 스위치부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버튼장치 110 : 패널부
120 : 장착부 122 : 안착부
124 : 결합부 125 : 수용홈부
130 : 버튼부 132 : 누름버튼부
133 : 접촉바 133a : 제한턱
134 : 커버캡 135 : 유입방지리브
136 : 탄성부재 140 : 스위치부
142 : 스위치 144 : 장착브라켓
145 : 파지부 146 : 원터치결합부
147 : 걸림돌기 148 : 진입홀부
149 : 결합홈 150 : 방수부
152 : 배수홀 154 : 돌출리브
160 : 마감캡 162 : 결합후크

Claims (10)

  1. 오락기에 장착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에 장착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누름작동에 의해 연동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부에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버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외부에서 상기 스위치부로 액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부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배수홀 및 상기 장착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가 제거시 마감캡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마감캡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수홀에 걸림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스위치부와 접촉되는 접촉바가 구비되는 누름버튼부; 및
    상기 누름버튼부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버튼부의 누름작동에 의해 접촉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를 상기 결합부에 장착시키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스위치부의 둘레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라켓과 상기 결합부는 원터치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결합부는 상기 장착브라켓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결합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진입되도록 형성되는 진입홀부; 및
    상기 진입홀로 진입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장착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결속되도록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85715A 2015-06-17 2015-06-17 버튼장치 KR10221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15A KR102210572B1 (ko) 2015-06-17 2015-06-17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15A KR102210572B1 (ko) 2015-06-17 2015-06-17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18A KR20160148918A (ko) 2016-12-27
KR102210572B1 true KR102210572B1 (ko) 2021-02-01

Family

ID=5773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715A KR102210572B1 (ko) 2015-06-17 2015-06-17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160B1 (ko) * 2017-06-20 2021-12-1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CN111785555A (zh) * 2020-07-29 2020-10-16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用于全海深的水下按压式开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254Y1 (ko) 2000-02-22 2000-08-16 문한영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KR200465981Y1 (ko) * 2012-04-06 2013-03-20 조진 전기 전자용 버튼 판
KR101369417B1 (ko) * 2012-10-15 2014-09-23 장근대 게임기용 버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646U (ko) * 1996-10-22 1998-07-15 김영환 씨디-롬(cd-rom) 게임기의 래스트 스위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254Y1 (ko) 2000-02-22 2000-08-16 문한영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KR200465981Y1 (ko) * 2012-04-06 2013-03-20 조진 전기 전자용 버튼 판
KR101369417B1 (ko) * 2012-10-15 2014-09-23 장근대 게임기용 버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18A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572B1 (ko) 버튼장치
CN106012429B (zh) 用于洗衣机的控制面板组件及具有其的洗衣机
WO2010062529A3 (en) Interactive manual cup dispenser
CN203530716U (zh) 洗衣机旋钮按键
CN102257205A (zh) 家用器具、特别是洗碗机
CN104947379A (zh) 洗衣机
EP2883990A1 (en) Washing machine control display device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same
KR101369417B1 (ko) 게임기용 버튼장치
CN203630546U (zh) 一种使用微型投影仪装置的卫浴控制器
WO2007063502A3 (en) A tea mak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liquid collection chamber
CN202537141U (zh) 旋盖到位保护装置及电压力锅
CN205582786U (zh) 一种按钮开关
CN205649318U (zh) 一种安全的立式螺杆挤压榨汁机
CN204995215U (zh) 饮水机
CN205582785U (zh) 一种按钮开关
CN205812299U (zh) 陶瓷音响茶盘
CN205582779U (zh) 一种按钮开关
CN103556445B (zh) 一种多功能挂烫机
CN108685428B (zh) 可一键拆卸杯盖盖片的杯盖及该杯盖盖片的拆卸方法
CN211823023U (zh) 一种能防水引流的开关装置
CN207302315U (zh) 一种多功能无线遥控器
CN107780145B (zh) 一种柔性防水按键以及洗衣机
CN207678129U (zh) 便于更换控制模板的遥控器结构
BR112017005527B1 (pt) Dispositivo para adição de um bloco de teclas a um dispositivo configurado com um receptor sem fio
CN107785199B (zh) 一种具有复位功能的防水膜以及防水按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