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8376B1 -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8376B1
KR100538376B1 KR10-2003-0029995A KR20030029995A KR100538376B1 KR 100538376 B1 KR100538376 B1 KR 100538376B1 KR 20030029995 A KR20030029995 A KR 20030029995A KR 100538376 B1 KR100538376 B1 KR 100538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key
conduct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648A (ko
Inventor
조승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2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3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키버튼을 통한 데이터의 입력이 인체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인 방식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키버튼의 터치감을 향상시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PCB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키버튼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로 전달하는 입력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키버튼은 그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는 달리 사용과정에서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PCB상에서 LED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스위치류의 구조물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PCB의 설계가 용이하고, 키버튼의 작동에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함으로써 단말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key in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인쇄회로기판)에 문자나 도형등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구비되는 키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란 휴대폰이나 팜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또는 HPC(Hand Held PC:휴대용 PC)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컴퓨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내장된 PCB에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입력장치에는 통상적으로 키입력 방식(key stroke type)의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 폴더형 휴대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형 휴대폰은 크게 리어케이스(100)와 그 상단부에 힌지고정되는 프론트케이스(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리어케이스(100)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0)와 음성을 출력하는 송화부(12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각종 회로소자가 실장된 PCB(미도시)가 내장되며, 상기 PCB로 각종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장치(130)가 구비되는데, 이는 표면에 서로 다른 문자나 도형등이 형성된 다수개의 키버튼(13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200)에는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210)가 구비되며, 각종 문자나 도형등의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창(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LCD창(220)에는 키입력장치(130)를 통해 입력되거나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가 각종 문자나 도형등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 단면도로서, 키입력장치를 구성하는 키버튼의 설치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케이스(100)의 상면에는 버튼삽입공(10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삽입공(101)에는 키버튼(131)이 삽입 및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키버튼(131)과 PCB(140)의 사이에는 탄성고무로 구성된 패드(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PCB(140)의 표면에는 키버튼(131)과 대응되는 돔 스위치(141)가 구비되며, 패드(150)의 하면에는 상기 키버튼(1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141)의 중심부를 가압하는 돌기(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키버튼(131)을 누르면 돔 스위치(141)가 가압되어 PCB(140)의 접점과 순간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됨으로써, 상기 PCB(140)로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키입력장치는 키버튼이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작동하며, 돔 스위치와 같은 구조물이 필수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키버튼의 작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구조물에 기계적인 피로가 발생 및 누적되어, 내구성의 저하 및 작동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폰 설계시 키버튼의 상,하 작동에 따른 공간을 확보해야 함으로써, 휴대폰의 소형화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에도 키버튼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CB에 LED(Light Emitling Diode: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있는데, 상기 키버튼이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관계로 그 하측에 직접 LED를 배치할 수 없었으며, 그에 따라 키입력장치의 설계시 LED의 배치를 위한 공간확보에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키버튼을 통한 데이터의 입력이 인체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인 방식으로 구현됨과 동시에, 키버튼의 터치감을 향상시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입력시 불필요한 인체의 접촉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표면에 직접 버튼부를 형성하여, 데이터 입력시 손가락의 터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 케이스의 내부에 PCB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키버튼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로 전달하는 입력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키버튼은 그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때, 상기 도전체는 그 상면이 상기 버튼부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키입력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PCB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되는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인체의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가 일체로 구비된 도전체수용판과; 상기 도전체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로 전달하는 입력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그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20, 이하 '단말기'라함)에는 케이스(21)의 내부로 각종 회로소자가 구비된 PCB(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PCB(22)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10)는 케이스(21)의 상면에 다수로 설치되며 표면에 각기 다른 문자나 도형등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직의 관통공(110)이 형성된 키버튼(11)과, 상기 관통공(110)의 내측에 인서트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키버튼(11) 터치시 인체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12)와, 상기 키버튼(11)과 PCB(2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전체(12)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22)로 전달하는 입력패드(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패드(13)는 표면에 GND층(130, ground layer)이 형성되고, 상면으로 상기 도전체(12)의 하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부(131)가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PCB(22)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입력부(131)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는 FPCB(132,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연성인쇄회로기판)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키버튼(11)을 통한 데이터의 입력이 종래와는 달리 스위치류의 구조물에 의한 기계적 방식이 아닌 인체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즉 인체의 접촉에 의해 도전체(12)에 수신된 생체전기는 신호입력부(131)에 입력되고 FPCB(132)를 통해 PCB(22)로 전달됨으로써, 키버튼(11)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 입력시 키버튼(11)과 입력패드(13)에 기계적 작동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상기 키버튼(11)의 하측에도 LED(23)를 배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PCB(22)상의 원하는 장소 어디에나 용이하게 LED(23)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패드(13)와 키버튼(11)의 사이에 접착층(14)을 형성하여 상호 일체로 구성하면, 키입력장치(10)의 조립시 상기 키버튼(11)과 입력패드(13)를 케이스(21)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PCB(22)상에 직접 입력패드(13)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PCB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키버튼(11)의 상면을 케이스(21)의 표면에 비해 낮게 형성하고, 상기 키버튼에 형성된 관통공(110)을 중심으로 돌출부(111)를 형성하면, 상기 키버튼(11)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가 촉감으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전체(12)의 상면을 키버튼(11)의 표면에 비해 낮게 형성하면, 상기 도전체(12)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데이터 입력시 불필요한 인체의 접촉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키입력장치(10)는 케이스(2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 각기 다른 문자나 도형등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수직의 관통공(150)이 형성된 버튼부(15)와, 상기 버튼부(15)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부가 상기 관통공(150)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15) 터치시 인체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160)가 일체로 구비된 도전체수용판(16)과, 상기 도전체수용판(16)과 PCB(2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전체(160)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22)로 전달하는 입력패드(1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력패드(17)는 도전체수용판의 하면에 형성된 GND층(170)과, 상면에 상기 도전체(160)의 하부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입력부(171)가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PCB(22)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입력부(171)로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FPCB(17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인체의 접촉에 의해 도전체(160)에 수신된 생체전기는 신호입력부(171)에 입력되고 FPCB(172)를 통해 PCB(22)로 전달됨으로써, 버튼부(15)에 대응되는 데이터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케이스(21)의 표면에 직접 버튼부(15)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키버튼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 입력시 손가락의 터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부(15)를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15)에 형성된 관통공(150)을 중심으로 돌출부(151)를 형성하면, 상기 버튼부(15)의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가 촉감으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전체(160)의 상면을 버튼부(15)의 표면에 비해 낮게 형성하면, 상기 도전체(160)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데이터 입력시 불필요한 인체의 접촉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버튼이 인체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사용과정에서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PCB상에서 LED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스위치류의 구조물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PCB의 설계가 용이하고, 키버튼의 작동에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함으로써 단말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키버튼과 입력패드의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호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키입력장치의 조립시 상기 키버튼과 입력패드를 케이스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PCB상에 직접 입력패드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PCB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키버튼의 상면을 케이스의 표면에 비해 낮게 형성하고, 상기 키버튼에 형성된 관통공의 둘레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키버튼에 대한 터치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가 촉감으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전체의 상면을 키버튼의 표면에 비해 낮게 형성하여, 데이터 입력시 불필요한 인체의 접촉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의 표면에 직접 버튼부를 형성하여, 데이터 입력시 손가락의 터치에 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버튼부의 표면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중심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버튼부에 대한 터치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데이터 입력시 사용자가 촉감으로 그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전체의 상면을 버튼부의 표면에 비해 낮게 형성하여, 데이터 입력시 불필요한 인체의 접촉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
도 1b는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 휴대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장치
11 : 키버튼
110 : 관통공 111 : 돌출부
12 : 도전체
13 : 입력패드
130 : GND층 131 : 신호입력부
132 : FPCB
14 : 접착층
15 : 버튼부
150 : 관통공 151 : 돌출부
16 : 도전체수용판
160 : 도전체
17 : 입력패드
170 : GND층 171 : 신호입력부
172 : FPCB
20 : 이동통신단말기
21 : 케이스 22 : PCB
23 : LED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케이스(21)의 내부에 PCB(22)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20)에 적용되는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관통공(110)이 형성된 키버튼(11)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체의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12)와, 상기 도전체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로 전달하는 입력패드(13)를 포함하되;
    상기 키버튼은 그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돌출부(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12)는 그 상면이 상기 키버튼(11)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6. 삭제
  7. 삭제
  8. 케이스(21)의 내부에 PCB(22)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20)에 적용되는 키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관통공(150)이 형성된 버튼부(15)와; 상기 버튼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인체의 접촉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도전체(160)가 일체로 구비된 도전체수용판(16)과; 상기 도전체에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PCB로 전달하는 입력패드(17)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는 그 상면이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둘레에 돌출부(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160)는 그 상면이 상기 버튼부(15)의 표면에 비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KR10-2003-0029995A 2003-05-12 2003-05-12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KR10053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995A KR100538376B1 (ko) 2003-05-12 2003-05-12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9995A KR100538376B1 (ko) 2003-05-12 2003-05-12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648A KR20040097648A (ko) 2004-11-18
KR100538376B1 true KR100538376B1 (ko) 2005-12-21

Family

ID=37375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9995A KR100538376B1 (ko) 2003-05-12 2003-05-12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6632A3 (en) 2006-09-29 2012-10-24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with illuminated touch screen
KR101141655B1 (ko) * 2006-09-29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648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21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US20090128496A1 (en) Light-emitting keyboard
JPH1031929A (ja) キーパッド構造
KR20040029005A (ko) 손가락끝 촉각 입력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휴대정보단말기
KR101410175B1 (ko) 터치 키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CN212675455U (zh) 电子设备
KR100538376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키입력장치
US20080164132A1 (en) Button input device using E-paper
KR1006675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커버
KR100528794B1 (ko)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
KR1010623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광형 사이드키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100677456B1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KR101272345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70112956A (ko) 키 입력장치
KR100518008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구조
KR20060119643A (ko) 다단접점을 갖는 돔 스위치
JP2000156135A (ja) キートップ構造
KR100551412B1 (ko) 휴대 통신기기용 키패드의 키입력장치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80099930A (ko) 투명 전도성 접점 구조를 갖는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78220B1 (ko) 다면체 구조를 갖는 키 입력장치
KR200264776Y1 (ko)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본체에 연결되는밴드의 구조
CN115295339A (zh) 斜面反向按键系统
KR101751457B1 (ko) 다층 구조의 일체형 키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