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639B1 -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639B1
KR100652639B1 KR1020040045122A KR20040045122A KR100652639B1 KR 100652639 B1 KR100652639 B1 KR 100652639B1 KR 1020040045122 A KR1020040045122 A KR 1020040045122A KR 20040045122 A KR20040045122 A KR 20040045122A KR 100652639 B1 KR100652639 B1 KR 100652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keypad
mobile terminal
slit
sl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962A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39B1/ko
Priority to CNB2004100964709A priority patent/CN100393081C/zh
Publication of KR2005011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면에 판면을 관통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면에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피씨비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메인피씨비의 상측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기 각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대해 분리되는 복수의 버튼부와, 상기 각 버튼부가 형성되게 상기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표면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외관 품질의 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SLIM TYPE KEY 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본체 11 : 상부폴더
21 : 하부폴더 31 : 메인피씨비
51 : 케이스 52 : 프론트커버
53 : 개구 61 : 키패드
62 : 금속플레이트 63 : 버튼부
64 : 식별부 65 : 슬릿
66 : 패드베이스 68 : 누름돌기부
69 : 충전성형부
본 발명은,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표면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폴더(11) 및 하부폴더(21)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폴더(11)의 일측에는 하부폴더(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엘시디패널(15)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폴더(21)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3)와, 케이스(23)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피씨비(31)와,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부(43)를 구비하여 케이스(23)의 내부 메인피씨비(31)의 상측에 수용되는 키패드(4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3)의 일측에는 상부폴더(11)의 가동힌지부(13)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배터리(28)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23)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 접촉결합되는 프론트커버(24) 및 리어케이스(29)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커버(24)에는 복수의 버튼부(43)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결합공(25)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메인피씨비(31)의 상면에는 누름 조작시 온/오프 동작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위 메탈돔이라고 하는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33) 및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35)가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피씨비(31)와 프론트커버(24) 사이에는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게 복수의 버튼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키패드(41)가 배치되어 있다.
키패드(41)는, 메인피씨비(31)의 상면에 배치되는 키패드본체(42)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게 키패드본체(42)의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부(43)를 구비하고 있다. 키패드본체(42)의 저부면에는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접촉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된 복수의 누름돌기(4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는, 프론트커버(24)는 합성수지부재로 되어 있어 재질의 특성상 일정한 형상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유지해야 하므로 두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어 슬림화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되는 프론트커버(24) 및 각 버튼부(43)는 재질의 특성상 표면 경도가 낮아 긁힘 및/또는 찍힘 등 손상이 발생되기 쉽고 내마모성이 낮아 시간이 경과될 경우 외관 품질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줄일 수 있고 표면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면에 판면을 관통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면에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피씨비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메인피씨비의 상측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기 각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대해 분리되는 복수의 버튼부와, 상기 각 버튼부가 형성되게 상기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은 일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릿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은 서로 인접된 복수의 버튼부의 연결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개방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각 단부가 서로 연 통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슬릿은 복수의 버튼부가 단일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플레이트 및 버튼부는 스테인레스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키패드의 표면은 연마, 랩핑, 부식 및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표면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에는 서로 다른 기호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식별가능하게 식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버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후에 합성수지부재로 상기 금속플레이트 및 버튼부의 관통 영역 및 상기 슬릿의 내부에 충전성형되는 충전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충전성형부는 투명재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메인피씨비의 상측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기 각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대해 분리되는 복수의 버튼부와; 상기 각 버튼부가 형성되게 상기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영역의 평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는, 상면에 판면을 관통하여 개구(53)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51)와, 상면에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33)를 구비하여 케이스(51)의 내부에 수용설치되는 메인피씨비(31)를 구비한 단말기본체(10)와;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개구(53)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케이스(51)의 내부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62)와,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금속플레이트(62)와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금속플레이트(62)에 대해 분리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부(63)와, 버튼부(63)가 형성될 수 있도록 버튼부(63)의 외각을 따라 금속플레이트(6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65)을 구비한 키패드(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0)는, 서로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폴더(21) 및 상부폴더(11)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상부폴더(11)의 일측에는 가동힌지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폴더(21)의 일측에는 가동힌지부(13)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폴더(11)에는 소정의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엘시디패널(15)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폴더(21)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28)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하부폴더(21)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51)와, 케이스(51)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피씨비(3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1)는, 두께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52) 및 리어케이스(29)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커버(52)의 상면에는 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메인피씨비(31)의 상면에는 누름 조작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33)와, 조명을 위한 복수의 발광소자(3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메인피씨비(31)의 상측에는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버튼부(63)를 구비하여 개구(53)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키패드(61)가 설치되어 있다.
키패드(61)는,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개구(53)를 통해 상면이 외부에 노출되게 케이스(51)의 내부에 메인피씨비(31)의 상측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62)와, 금속플레이트(62)의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금속플레이트(62)로부터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금속플레이트(62)와 분리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부(63)와, 버튼부(63)를 형성하도록 버튼부(63)의 외각을 따라 금속플레이트(6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65)을 구비하고 있다.
금속플레이트(62) 및 버튼부(63)는 두께가 대략 1㎜ 이하의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부재를 마련하여 소정 형상, 예를 들면 타원 형상의 버튼부(63)가 형성되도록 버튼부(63)의 둘레에 판면을 관통하여 타원형상의 슬릿(65)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슬릿(65)은 내부에 단일의 버튼부(63)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각 슬릿(65)의 개방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슬릿(65)에 의해 복수의 버튼부(63)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금속플레이트(62) 및/또는 버튼부(63)의 표면은 헤어라인 또는 미러 면이 형성되도록 연마 가공 또는 랩핑 가공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를 하거나 화학적 부식, 전기적 부식 및/또는 엠보싱 등의 방법으로 표면처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버튼부(63)에는 식별이 가능하게 서로 다른 숫자, 기호, 문자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식별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버튼부(6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금속플레이트(62)는 개구(5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개구(53)의 형상에 대응되게 거의 직사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연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절곡된 스커트부(67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커트부(67a)의 하단에는 메인피씨비(3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67b)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플레이트(62) 및 버튼부(63)의 배면에는 광이 투과할 수 있고 탄성을 가지는 투명성의 탄성부재, 예를 들면 투명성의 실리콘 러버 등으로 형성되는 패드베이스(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베이스(66)는 누름돌기부(68)와 충전성형부(6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저부면에는 각 누름조작스위치(33)에 접촉가능하게 복수의 누름돌기부(68)가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각 슬릿(65)을 포함하여 각 버튼부(63)의 숫자, 기호 및 문자로 된 식별부(64)의 관통영역에 충전 성형되는 충전성형부(69)가 형성된다. 여기서, 누름돌기부(68)와 충전성형부(6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드베이스(66)는 키패드(61)의 형성 후 인서트 사출 등의 방법으로 금속플레이트(62) 및 버튼부(63)의 배면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72)의 판면에 개방영역이 단말기본체(10)의 하측을 향하도록 복수의 타원형상의 슬릿(75)이 형성되게 하여 단일의 슬릿(75)에 의해 단일의 버튼부(73)가 형성되도록 슬림형 키패드(71)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플레이트(82,92)의 판면에 사각형상 또는 삼각형상을 가지는 단일의 슬릿(85,95)을 형성하여 단일의 버튼부(83,93)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각 버튼부(83,93)와 금속플레이트(82,92)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게 슬릿(85,95)의 개방 영역이 케이스(51)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게 하고 각 슬릿(85,95)이 서로 연통된 형태의 긴 길이를 가지는 단일의 슬릿(85,95)에 의해 복수의 버튼부(83,93)가 형성되도록 슬림형 키패드(81,91)를 각각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버튼부(63)를 하향 가압하면 해당 버튼부(63)는 금속플레이트(62)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분리된 부분이 하향 이동되고, 해당 누름돌기부(68)가 해당 누름조작스위치(33)를 가압함으로써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버튼부(63)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버튼부(63)는 자체의 탄성력 및/또는 패드베이스(66)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발광소자(35)로부터 방사된 빛은 패드베이스(66)와 슬릿(65) 및 식별부(64)를 차례로 통과하게 되어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각 버튼부(63)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버튼부가 타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으로 각각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도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전화기, 피디에이(PDA), 전자계산기, 전자수첩, 노트북 컴퓨터 또는 소위 핸드헬드피씨라고 하는 휴대용 소형 컴퓨터 등에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키패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에 판면을 관통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면에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를 구비하여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설치되는 메인피씨비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금속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금속플레이트에 대해 분리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부와,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금속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내마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표면처리가 가능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림형 키패 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금속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게 금속플레이트에 대해 분리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부와,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금속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내마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표면처리가 가능하여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림형 키패드가 제공된다.

Claims (19)

  1. 상면에 판면을 관통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면에 복수의 누름조작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피씨비를 구비한 단말기본체와;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메인피씨비의 상측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각 버튼부가 형성되게 상기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판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과,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기 각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릿에 의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대하여 일부가 분리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부를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일측이 개방된 타원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일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서로 인접된 복수의 버튼부의 연결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개방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각 단부가 서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의 버튼부가 단일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 및 버튼부는 스테인레스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표면은 연마, 랩핑, 부식 및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표면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서로 다른 기호 및 문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식별가능하게 식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버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하부 위치에는 상기 슬릿에 충전성형되는 충전성형부 및 상기 누름조작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누름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드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베이스는 투명재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13. 금속부재로 형성되고 판면이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메인피씨비의 상측에 수용되는 금속플레이트와;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상기 각 누름조작스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은 상기 금속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금속플레이트에 대해 분리되는 복수의 버튼부와; 상기 각 버튼부가 형성되게 상기 버튼부의 외각을 따라 상기 금속플레이트의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서로 인접된 복수의 버튼부의 연결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개방영역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각 단부가 서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의 버튼부가 단일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플레이트 및 버튼부는 스테인레스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표면은 연마, 랩핑, 부식 및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표면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하부 위치에는 상기 슬릿에 충전성형되는 충전성형부 및 상기 누름조작스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누름돌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드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베이스는 투명재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키패드.
KR1020040045122A 2004-06-17 2004-06-17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0652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22A KR100652639B1 (ko) 2004-06-17 2004-06-17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NB2004100964709A CN100393081C (zh) 2004-06-17 2004-11-30 一种薄型键区及具备薄型键区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122A KR100652639B1 (ko) 2004-06-17 2004-06-17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62A KR20050119962A (ko) 2005-12-22
KR100652639B1 true KR100652639B1 (ko) 2006-12-06

Family

ID=3570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122A KR100652639B1 (ko) 2004-06-17 2004-06-17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2639B1 (ko)
CN (1) CN100393081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668A2 (en) * 2008-03-25 2009-12-17 Motorola, Inc.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KR101328050B1 (ko) * 2007-02-08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854B1 (ko) * 2005-03-10 2006-06-26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611B1 (ko) * 2006-03-13 2007-11-09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통신기기용 일체형 금속 전면커버
KR100787563B1 (ko) * 2006-04-19 2007-12-21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휴대용 단말기의 일체형 금속 전면 커버의 제조방법
KR100795893B1 (ko) 2006-07-20 2008-01-21 (주)삼영테크놀로지 컴퓨터용 키입력 장치
KR100837190B1 (ko) 2006-07-20 2008-06-11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컴퓨터용 키입력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754A (en) 1978-12-28 1981-10-06 Sharp Kabushiki Kaisha Thin and flat keyboard integral with a metallic housing
KR200326795Y1 (ko) 2003-06-16 2003-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20040047316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KR20050063343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팬택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
KR20050094942A (ko) * 2004-03-23 2005-09-29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818A (en) * 1990-11-26 1993-07-06 Data Entry Products, Incorporated Data entry control panel
KR100337786B1 (ko) * 2000-08-19 2002-05-24 윤종용 와이드 키패드 및 정전기 방지용 와이드 키패드 결합구조
CN1221882C (zh) * 2002-07-19 2005-10-05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按键结构
KR100871119B1 (ko) * 2002-07-30 2008-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3754A (en) 1978-12-28 1981-10-06 Sharp Kabushiki Kaisha Thin and flat keyboard integral with a metallic housing
KR20040047316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KR200326795Y1 (ko) 2003-06-16 2003-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20050063343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 팬택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
KR20050094942A (ko) * 2004-03-23 2005-09-29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9494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50B1 (ko) * 2007-02-08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WO2009151668A2 (en) * 2008-03-25 2009-12-17 Motorola, Inc.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WO2009151668A3 (en) * 2008-03-25 2010-04-01 Motorola, Inc.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US8280459B2 (en) 2008-03-25 2012-10-02 Motorola Mobility, Inc. Integral housing and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962A (ko) 2005-12-22
CN1710915A (zh) 2005-12-21
CN100393081C (zh)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750B1 (ko) 입력버튼 겸용 보호창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454203B1 (ko)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JP4190568B1 (ja) 携帯端末
KR100652639B1 (ko)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053978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US6313420B1 (en) Slide switch
JP3783935B2 (ja) 電子機器のためのキーボード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KR200415225Y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60081874A (ko) 누름 및 슬라이딩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사이드 키를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JP201400702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200364952Y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JPH0758815A (ja) 携帯電話器の操作装置
KR970031414A (ko) 멤브레인 실드(Membrane Shield)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100652674B1 (ko) 키 연동 방지 기능을 구비한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휴대용 단말기
KR200354164Y1 (ko)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KR101272345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016481B1 (ko) 원호단면형상의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1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팅 구조
KR970006941B1 (ko) 전화기의 투명 키 버튼 유니트
KR101328050B1 (ko) 휴대용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