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854B1 -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854B1
KR100591854B1 KR1020050020207A KR20050020207A KR100591854B1 KR 100591854 B1 KR100591854 B1 KR 100591854B1 KR 1020050020207 A KR1020050020207 A KR 1020050020207A KR 20050020207 A KR20050020207 A KR 20050020207A KR 100591854 B1 KR100591854 B1 KR 100591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fonts
thin film
metal thin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홍
장세규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면서 폰트(62a)들을 부여하고 폰트(62a)들이 부여되지 않은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을 씌우는 간단한 구성과 공정만으로 극히 얇은 키 시트(60)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성수지 필름(61)의 투명한 윤기와 광택, 평탄성, 탄력성 그리고 내마모성을 십분 활용하면서 램프(L)의 광원을 차폐시키는 빛의 명암으로 더욱 선명한 폰트(62a)를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ULTRA SLIM KEYPAD FOR PORTABLE APPLIAN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돔 스위치 및 회로기판을 포함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 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돔 스위치 F : 프런트 하우징
G1 : 상금형 G2 : 하금형
H : 회로기판 H1 : 접점
L : 램프 S : 스페이서
S1 : 구멍 60 : 키 시트
61 : 합성수지 필름 62 : 반투명 금속박막
62a : 폰트 63 : 불투명 인쇄층
64 : 화이트 인쇄층 64a : 칼라 인쇄부
65 : 라인홀 66a : 볼록키
66b : 오목키 67 : 매팅층
68 : 인쇄층 70 : 패드
71 : 돌기 72 : 라인돌기
73a : 볼록부 73b : 오목부
100 :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필름에 반투명 금속박막을 증착시키면서 폰트들을 부여하고 폰트들이 부여되지 않은 반투명 금속박막에 인쇄층을 씌워 극히 얇은 키 시트를 완성토록 한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가정용 전화기, PDA, 셀룰러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에 적용되고 있으며 회로기판과 연동되어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소개되는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는 편의상 셀룰러폰용 키패드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에 크게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를 나타내는 돔 스위치(D) 및 회로기판(H)을 포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는 기본적으로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L)를 내장한 프런트 하우징(F) 속에 구비되며 돔 스위치(D) 위에 놓여지는 패드(20)와, 다이얼키나 기능키 등과 같이 각각의 기능으로 식별되도록 키탑(11) 위에 기호, 문자, 숫자 등이 새겨진 폰트(11a)를 갖는 키(10)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드(20)는 돔 스위치(D)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회로기판(H)의 접점(H1)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돌기(21)를 구비하며, 키(10)는 키탑(11) 위에 인쇄, 스프레이로 새겨진 폰트(11a)를 갖는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는 프런트 하우징(F)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10)가 단지 폰트(11a)만을 인식하는 기능적인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어 미려한 휴대단말기를 선호하는 소비자들에게는 크게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키패드(50)에 적용된 키(10)는 사용자가 기능적(휴대단말기의 고유기능인 통신기능, 콘텐츠 접근기능 또는 모드 전환기능 등)으로만 활용할 수 있도록 단지 폰트(11a)만이 부여되어 그 미적 디자인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두께 또한 두꺼워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합성수지 필름에 반투명 금속박막을 증착시키면서 폰트들을 부여하고 폰트들이 부여되지 않은 반투명 금속박막에 인쇄층을 씌우는 간단한 구성과 공정만으로 극히 얇은 키 시트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며, 합성수지 필름의 윤기와 광택, 평탄성, 탄력성 그리고 내마모성을 십분 활용하면서 램프의 광원을 차폐시키는 빛 의 명암으로 더욱 선명한 폰트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돔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패드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에 있어서,
반투명 금속박막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에 부여된 폰트들, 상기 폰트들 이외의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에 씌워지는 인쇄층을 구비하여 상기 패드에 접착되는 키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돔 스위치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패드에 접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키 시트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는
반투명 금속박막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을 마련하는 스텝,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에 폰트들을 부여하는 스텝,
상기 폰트들 이외의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에 전체적으로 인쇄층을 씌우는 스텝,
상기 각각의 폰트들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의 원형영역을 제외한 상기 합성수지 필름에 전체적으로 매팅층을 씌우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미 설명부호 S는 회로기판(H)과 돔 스위치(D)를 격리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이고, S1은 회로기판(H)의 접점(H1)의 위치를 보장시키기 위한 구멍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는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을 제공하는 램프(L)를 내장한 프런트 하우징(F) 속의 돔 스위치(D) 위에 놓여지는 패드(70)를 구비하며, 기호, 문자 또는 숫자 등이 새겨진 폰트(62a)를 갖는 키 시트(60)를 포함한다.
패드(70)는 돔 스위치(D)의 탄성에 연동되면서 회로기판(H)의 접점(H1)을 터치할 수 있도록 돌출 성형된 돌기(71)를 구비하고, 램프(L)는 점 광원인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미 도시되었지만 면 광원인 EL 램프(EL Lmap; Electro Luminescence Lamp)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키 시트(60)는 반투명 금속박막(62)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61)과, 이 반투명 금속박막(62)에 부여된 폰트(62a)들, 그리고 이들 폰트(62a) 이외의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씌워지는 인쇄층[68; 예를 들면 블랙 인쇄층(63)]을 구비하여 패드(70)에 접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합성수지 필름(61)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열가소성 폴리에스터 수지로서 탄력성, 내마모성, 투명성, 내후성 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적합]나, PMMA[PolyMmethylMethacrylate; MMA(MethylMethacrylate) Monomer를 주원료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탄력성, 견고성, 투명성, 내후성 및 착색성 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적합] 또는 PC[PolyCarbonate; 투명하고 단단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내열성 및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에 적합]를 적용할 수 있고, 이 합성수지 필름(6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자체의 윤기와 광택을 충분히 이용토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에 기인하는 폰트(62a)의 보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면 모니터의 보안경이나 썬팅된 차량유리와 같이 광원이 제공될 경우에는 빛을 선명하게 통과시키고 광원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빛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빛의 철저한 차폐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에칭이나 레이저 마킹 또는 음각인쇄하여 폰트(62a)들을 부여하고, 이들 폰트(62a)를 제외한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 예를 들면 불투명 인쇄층(63)]을 씌움으로써 램프(L)로부터 제공된 광원이 폰트(62a)를 경유하여 외부로 선 명하게 비추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반면 폰트(62a) 이외의 부분은 인쇄층(68)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폰트(62a)의 선명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는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면서 폰트(62a)들을 부여하고 폰트(62a)들이 부여되지 않은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을 씌우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극히 얇은 키 시트(60)를 완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필름(61)의 윤기와 광택, 평탄성, 투명성, 탄력성 그리고 내마모성을 십분 활용하면서 램프(L)의 광원을 차폐시키는 빛의 명암으로 더욱 선명한 폰트(62a)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 시트(60)의 인쇄층(68)은 추가적으로 화이트 인쇄층(64)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화이트 인쇄층(64)은 예를 들면 통화버튼용의 녹색과 전원버튼용의 적색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다수의 폰트(62a)들 중에서 1 내지 3개 정도의 서로 다른 색상을 띄는 폰트(62a)를 구현할 수 있도록 칼라 인쇄부(64a)를 함께 구비하여 각각의 기능에 따른 폰트(62a)들의 칼라 빛 시감을 특별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램프(L)로부터 제공된 광원이 화이트 인쇄층(64)을 통과하여 반투명 금속박막(62)의 폰트(62a)를 지나 투명의 합성수지 필름(61)으로 입사될 경우 폰트(62a)는 화이트 색상으로 밝게 비추어질 것이고, 반면 램프(L)로부터 제공된 광원이 화이트 인쇄층(64)의 칼라 인쇄부(64a; 예를 들면 녹색 또는 적색)를 통과하여 반투명 금속박막(62)의 폰트(62a)를 지나 투명의 합성수지 필름(61)으로 입사될 경우에는 녹색 또는 적색의 빛을 갖는 폰트(62a)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폰트(62a)들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키 시트(60) 자체에 라인홀(65)을 구비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키 시트(60)의 라인홀(65)에 이물질의 침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지는 라인돌기(72)를 갖는 패드(70)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개시한 바와 같이 키 시트(60)는 탄력성과 견고성 그리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PET, PMMA 또는 PC 등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61)으로 이루어져 있어 경박단소화가 가능하나, 이러한 키패드(100)의 경박단소화의 특성은 폰트(62a) 상호간의 거리를 밀접하게 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하나의 폰트(62a)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터치할 경우 이웃하는 폰트(62a)에 간섭을 끼칠 가능성이 짙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미리 키 시트(60) 자체에 폰트(62a)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라인홀(65)을 구비시키고, 더불어 키 시트(60)의 라인홀(65)에 이물질의 침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지는 라인돌기(72)를 갖는 패드(70)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에 적용된 키 시트(60)는 도 3a 및 도 4a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을 기준하여 부분적으로 볼록지는 볼록키(66a)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연동하여 키 시트(60)의 볼록키(66a)에 일치하는 볼록부(73a)를 구비한 패드(7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역으로 도 3b 및 도 4b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을 기준하여 부분적으로 오목지는 오목키(66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연동하여 키 시트(60)의 오목키(66b)에 일치하는 오목부(73b)를 구비한 패드(70)를 제공할 수 있다.
키 시트(60)의 폰트(62a)가 인쇄층(68)의 화이트 인쇄층(64) 또는 칼라 인쇄부(64a)에 의하여 화이트 빛 또는 칼라 빛으로 특별히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시감을 제공하였다면 키 시트(60)의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한 촉감을 고려한 것이며, 이들 시감과 촉감의 조화로서 더욱 선명한 폰트(62a)를 갖는 키패드(100)를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완성하는 것이며, 아울러 패드(70)의 볼록부(73a) 또는 오목부(73b)는 키 시트(60)의 볼록키(66a)와 오목키(66b) 각각에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는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를 제외한 합성수지 필름(61) 전체에 씌워지는 매팅층(67; Matting Layer: 광택을 없앤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매팅층(67)은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 이외의 합성수지 필름(61)에 미세요철을 갖도록 불투명 페인트의 인쇄로서 제공할 수 있고, 볼록키(66a)와 오목키(66b)가 합성수지 필름(61)에 의하여 투명의 광택과 윤기를 갖는 화이트 빛 또는 칼라 빛의 폰트(62a)를 구현하는 것과는 반대로, 볼록키(66a)와 오목키(66b) 주변을 매팅층(67)으로 씌워 불투명으로 처리하면서 광택과 윤기를 함께 없앰으로써 투명과 불투명, 광택과 탁함, 윤기와 거칠음이라는 상호간의 극명한 대비를 통하여 폰트(62a)의 시감적 식별과 촉감적 구별을 더욱 선명하고 명확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하우징(F)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 시트(60)를 제조한 후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71)를 갖는 패드(70)에 접착시켜 완성되는 과정을 거친다.
더욱 구체적으로, 키 시트(60)는 반투명 금속박막(62)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61)을 마련하고(S10), 이 반투명 금속박막(62)에 레이저 마킹이나 에칭 또는 음각인쇄로 폰트(62a)들을 부여한 후(S20), 이들 폰트(62a)를 제외한 반투명 금속박막(62) 전체에 걸쳐서 인쇄층[68; 예를 들면 블랙 인쇄층(63)]을 제공하면서(S30) 필요에 따라서 불투명 인쇄층(63)에 화이트 인쇄층(64)을 씌우며(S30a),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의 원형영역(원형영역이 아닌 다각형영역도 가능함은 물론임)을 제외한 합성수지 필름(61) 전체에 걸쳐서 매팅층(67)을 인쇄함으로써(S40)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반투명 금속박막(62)이라고 정의하였지만 불투명 금속박막인 경우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불투명 금속박막일 경우에는 인쇄층(68)의 불투명 인쇄층(63)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으며 불투명 금속박막 그대로 투명의 합성수지 필름(6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다양한 금속질감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은 반투명 금속박막(62)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61)의 마련(S10), 반 투명 금속박막(62)에 폰트(62a) 부여(S20),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 불트명 인쇄층(63) 및 화이트 인쇄층(64)] 제공(S30, S30a), 그리고 합성수지 필름(61)에 매팅층(67)의 제공(S40)이라는 간단한 공정만으로 키 시트(60)를 완성할 수 있어 생산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키 시트(60)를 상금형(G1) 및 하금형(G2)으로 압착하여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의 원형영역에 맞추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록키(66a) 또는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은 오목키(66b)를 구현하고(S50), 폰트(62a)들 상호간을 구획시키기 위한 라인홀(65)을 키 시트(60) 자체에 뚫은 후(S60), 라인홀(65)에 끼워지는 라인돌기(72)를 가지며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에 대응하는 볼록부(73a) 또는 오목부(73b)를 구비한 패드(70)를 키 시트(60)에 접착시킴으로써 키패드(100)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S7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고 레이저 마킹이나 에칭 또는 음각인쇄를 통한 폰트(62a)를 구현한 후 인쇄층[68; 불투명 인쇄층(63) 또는 화이트 인쇄층(64)]을 제공하면서 매팅층(67)을 추가하여 투명과 불투명 그리고 빛의 투과와 차폐 더불어 화이트 빛과 칼라 빛으로 각각 시감할 수 있는 평탄한 키 시트(60)를 제작한 후 상금형(G1)과 하금형(G2)으로 압착하여 촉감할 수 있는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를 함께 제공하면서 패드(70)에 접착시킴으로써 얇고 미려한 키패드(100)를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는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면서 폰트(62a)들을 부여하고 폰트(62a)들이 부여되지 않은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을 씌우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극히 얇은 키 시트(60)를 완성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 필름(61)의 투명한 윤기와 광택, 평탄성, 탄력성 그리고 내마모성을 십분 활용하면서 램프(L)의 광원을 차폐시키는 빛의 명암으로 더욱 선명한 폰트(62a)를 구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폰트(62a)들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키 시트(60) 자체에 라인홀(65)을 구비시키고, 이와 더불어 키 시트(60)의 라인홀(65)에 이물질의 침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워지는 라인돌기(72)를 갖는 패드(70)를 제공하여 폰트(62a)들간의 독립된 동작(움직임)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키 시트(60)의 폰트(62a)가 인쇄층(68)의 화이트 인쇄층(64) 또는 칼라 인쇄부(64a)에 의하여 화이트 빛 또는 칼라 빛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시감을 제공하면서 키 시트(60)의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를 통하여 촉감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 감각을 동원한 미감상의 고급스러움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그리고, 볼록키(66a)와 오목키(66b)가 합성수지 필름(61)에 의하여 투명의 광택과 윤기를 갖는 화이트 빛 또는 칼라 빛의 폰트(62a)를 구현하는 것과는 반대로 볼록키(66a)와 오목키(66b) 주변을 매팅층(67)으로 씌워 불투명으로 처리하면서 광택과 윤기를 함께 없앰으로써 상호간의 극명한 대비를 통한 폰트(62a)의 시감적 식별과 촉감적 구별을 더욱 선명하고 명확하게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은 반투명 금속박막(62)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61)의 마련(S10), 반투명 금속박막(62)에 폰트(62a) 부여(S20),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 불투명 인쇄층(63) 및 화이트 인쇄층(64)] 제공(S30, S30a), 그리고 합성수지 필름(61)에 매팅층(67)의 제공(S40)이라는 간단한 공정만으로 키 시트(60)를 완성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고 레이저 마킹이나 에칭 또는 음각인쇄를 통하여 폰트(62a)를 구현한 후 인쇄층[68; 불투명 인쇄층(63) 또는 화이트 인쇄층(64)]을 제공하면서 매팅층(67)을 추가함으로써 시감할 수 있는 평탄한 키 시트(60)를 제작한 후 상금형(G1)과 하금형(G2)으로 압착하여 촉감할 수 있는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를 함께 제공하여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키패드(100)를 신속하게 완성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61)에 반투명 금속박막(62)을 증착시키면서 폰트(62a)들을 부여하고 폰트(62a)들이 부여되지 않은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인쇄층(68)을 씌우는 간단한 구성과 공정만으로 극히 얇은 키 시트(60)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핵심 특징으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공정 및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고 특허청 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9)

  1.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71)를 갖는 패드(7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에 있어서,
    반투명 금속박막(62)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61),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62)에 부여된 폰트(62a)들, 상기 폰트(62a)들 이외의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씌워지는 인쇄층(68)을 구비하여 상기 패드(70)에 접착되는 키 시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60)는 상기 폰트(62a)들 상호간을 구획시키는 라인홀(65)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패드(70)는 상기 라인홀(65)에 끼워지는 라인돌기(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60)는 상기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을 기준하여 부분적으로 볼록지거나 오목지는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70)는 상기 키 시트(60)의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에 각각 일치하는 볼록부(73a) 또는 오목부(73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60)는 상기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 이외의 상기 합성수지 필름(61)에 씌워지는 매팅층(6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100).
  6. 돔 스위치(D)를 가압하기 위한 돌기(71)를 갖는 패드(70)에 접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키 시트(60)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60)는
    반투명 금속박막(62)이 증착된 합성수지 필름(61)을 마련하는 스텝(S10),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62)에 폰트(62a)들을 부여하는 스텝(S20),
    상기 폰트(62a)들 이외의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62)에 전체적으로 인쇄층(68)을 씌우는 스텝(S30, S30a),
    상기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의 원형영역을 제외한 상기 합성수지 필름(61)에 전체적으로 매팅층(67)을 씌우는 스텝(S40)을 포함하여 이루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60)를 상금형(G1) 및 하금형(G2)으로 압착하여 상기 각각의 폰트(62a)들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의 원형영역에 맞추어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를 구현하는 스텝(S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시트(60)는 상기 폰트(62a)들 상호간을 구획시키는 라인홀(65)을 뚫는 스텝(S60)을 포함하고,
    상기 라인홀(65)에 끼워지는 라인돌기(72)를 가지며 상기 볼록키(66a) 또는 오목키(66b)에 대응하는 볼록부(73a) 또는 오목부(73b)를 구비한 상기 패드(70)를 상기 키 시트(60)에 각각 접착시켜 키패드(100)를 완성하는 스텝(S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20)스텝에서 상기 폰트(62a)들은 상기 반투명 금속박막(62)에 레이저 마킹, 에칭 또는 음각인쇄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의 제조방법.
KR1020050020207A 2005-03-10 2005-03-10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91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07A KR100591854B1 (ko) 2005-03-10 2005-03-10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207A KR100591854B1 (ko) 2005-03-10 2005-03-10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854B1 true KR100591854B1 (ko) 2006-06-26

Family

ID=3718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207A KR100591854B1 (ko) 2005-03-10 2005-03-10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8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512A (ja) * 1992-01-28 1993-08-13 Nec Corp 照光式キートップの構造
JPH06275169A (ja) * 1993-03-18 1994-09-30 Fujitsu Ltd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20010039294A (ko) * 1999-10-29 2001-05-15 양윤홍 통신기용 키패드
KR20020035293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20050119962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60000264A (ko) * 2004-06-28 2006-01-06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4512A (ja) * 1992-01-28 1993-08-13 Nec Corp 照光式キートップの構造
JPH06275169A (ja) * 1993-03-18 1994-09-30 Fujitsu Ltd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20010039294A (ko) * 1999-10-29 2001-05-15 양윤홍 통신기용 키패드
KR20020035293A (ko) * 2000-11-06 2002-05-11 송문섭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20050119962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림형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20060000264A (ko) * 2004-06-28 2006-01-06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1563B2 (en) Legend highlighting
KR10081024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제조방법 및 그 키패드
EP2486559B1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lucent carrier element of the display panel
JPH0850831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装置
TW200840314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0517535C (zh) 一种透光按键
KR20040063003A (ko) 키시트부재와 그 제조방법
CN205946417U (zh) 具有透明底部的移动设备保护壳套结构
CN100490038C (zh) 按键及键盘
EP1956804B1 (en) Manufacturing of back lighting structure for mobile terminal
KR100591854B1 (ko) 휴대단말기용 초슬림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0231849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63589B1 (ko) 키패드 제조방법
WO2006090948A1 (en) Keypad for wireless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113784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8345B1 (ko) 입체장식부가 구비된 데코레이션 유닛
KR200411441Y1 (ko) 휴대폰용 키패드
JP4685440B2 (ja) キートップ、キーシート、及び押釦装置
CN107390301A (zh) 一种显示屏的盖板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TW201812819A (zh) 發光皮套鍵盤及其包覆膜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4431425B2 (ja) 加飾成形体
CN2500505Y (zh) 显示图样的结构
TWI571385B (zh) 可變色之具有金屬光澤的透光板體及透光板模組
CN201698939U (zh) 按键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