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0034A - 초단열 복층 유리 - Google Patents

초단열 복층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0034A
KR20140060034A KR1020120126628A KR20120126628A KR20140060034A KR 20140060034 A KR20140060034 A KR 20140060034A KR 1020120126628 A KR1020120126628 A KR 1020120126628A KR 20120126628 A KR20120126628 A KR 20120126628A KR 20140060034 A KR20140060034 A KR 2014006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as
glasses
thickne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082B1 (ko
Inventor
전윤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26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82B1/ko
Priority to JP2015541675A priority patent/JP6332813B2/ja
Priority to CN201380058750.8A priority patent/CN104797772A/zh
Priority to EP13852501.9A priority patent/EP2918765B1/en
Priority to US14/441,011 priority patent/US9903152B2/en
Priority to PCT/KR2013/008944 priority patent/WO2014073794A1/ko
Publication of KR2014006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06B3/6775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during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의 구조를 제어하여, 열관류율 0.7W/㎡K 미만으로 단열성능이 월등히 우수한 초단열 복층 유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는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1~3mm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제3 유리; 상기 제1 내지 제3 유리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11~13mm의 두께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되, 각각에 아르곤(Ar) 가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충진 가스층; 및 상기 충진 가스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단열 복층 유리{SUPER ADIABATIC PAIR-GLASS}
본 발명은 복층 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성능이 월등히 우수한 초단열 복층 유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을 구성하는 소재 중 유리는 유일하게 빛에 대한 투과도를 갖는 중요한 소재이지만, 투과도를 확보해야 하는 이유로 벽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고 밀도가 높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벽체에 비해 10배 이상 취약하다.
종래의 1장으로 구성된 유리는 열관류율이 5W/㎡K를 초과하기 때문에 냉방 및 난방 열이 외부로 유출되어 에너지 절약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최근, 단일 유리의 단열성능을 보완한 복층 유리(pair-glass)가 대두되었다. 현재 일반화되어 사용되는 2장의 유리로 구성된 복층 유리는 단열 코팅이 적용되지 않은 유리 사용 시 유리의 열관류율이 2.7W/㎡K 정도 수준이며, 저방사 코팅이 적용된 유리와 아르곤(Ar) 등의 비활성 가스를 충진 가스로 적용할 경우, 열관류율 1.3W/㎡K 수준까지의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복층 유리는 일반적으로 0.4~0.5W/㎡K 수준의 열관류율을 갖는 벽체와 비교하여 여전히 높은 열관류율을 갖는다. 최근 에너지 절감형 주택의 경우에는 유리의 열관류율이 0.7W/㎡K 미만, 창틀을 포함한 창호의 열관류율 기준으로는 1.0W/㎡K 미만의 단열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0.7W/㎡K 미만의 단열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진공유리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진공유리는 2장의 유리 사이에 10-3torr 정도의 진공유지로 인해 부가적으로 유리 표면에 7000kg/㎡의 하중이 인가되는 상태로, 외부 충격 또는 열 누적에 따른 온도 불균일 등 외부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하여 파손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유통되는 3장의 유리로 구성된 삼복층 유리는 유리의 열관류율이 1.0W/㎡K 이상으로 단열성능이 목표에 미달하고, 유리가 3장으로 구성되어 빛의 투과도는 낮아지고, 반사율은 높아져 열취득계수가 낮고 쾌적한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20447호(1998.05.12.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여러장의 판유리가, 그 전둘레에 걸쳐 스페이서를 이용하고, 두께 방향에 간격을 갖는 상태로 배치되고, 적어도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판유리 중 한편의 판유리의 외측면에 저방사율 코팅이 형성되어 있는 복층 유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층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의 구조를 제어하여 단열성능이 월등히 우수한 초단열 복층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는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1~3mm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제3 유리; 상기 제1 내지 제3 유리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11~13mm의 두께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되, 각각에 아르곤(Ar) 가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충진 가스층; 및 상기 충진 가스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는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1~3mm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제3 유리; 상기 제1 내지 제3 유리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6~10mm의 두께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되, 각각에 크립톤(Kr) 가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충진 가스층; 및 상기 충진 가스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면 유리와 외면 유리 사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충진 가스층을 최적의 두께로 형성하여 열관류율 0.7W/㎡K 미만을 구현할 수 있어 단열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다.
둘째, 충진 가스층을 구획하는 매질을 1~3mm 두께의 박판 유리로 구성하여, 복층 유리 전체의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태양광의 부분적 입사/흡수에 따른 열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충진 가스층 구획용 박판 유리의 표면에 반사방지 코팅층을 적용함으로써, 다수의 유리로 구성되는 것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 감소를 최소화하여 쾌적한 시야를 확보하고, 아울러 열취득계수를 증가시켜 겨울철 태양광선의 실내유입을 통한 자연 난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넷째, 창틀의 구조 변경을 통해 충진 가스층의 수를 증가시킬 경우, 추가적인 단열 성능의 증진이 가능하여 제로 에너지 하우스의 창호 솔루션으로 의미가 있다.
다섯째, 진공유리와 달리 진공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파손의 위험이 일반 복층유리와 유사한 수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성능이 월등히 우수한 초단열 복층 유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초단열 복층 유리(100)는 제1 유리(110), 제2 유리(120), 3개의 제3 유리들(PG1~PG3), 4개의 충진 가스층들(G1~G4) 및 밀봉재(13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저방사 코팅층(140) 및 복수의 반사방지 코팅층(150)을 포함한다.
우선, 전체적인 형상을 보면, 한 쌍의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가 서로 이격되어 대향된다. 3개의 제3 유리들(PG1~PG3)이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4개의 충진 가스층들(G1~G4)이 제1 내지 제3 유리들(110, 120, PG1, PG2, PG3)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재(130)가 제1 및 제2 유리(110, 120) 및 제3 유리들(PG1~PG3)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4개의 충진 가스층들(G1~G4)의 측면을 밀봉시킨다.
이때, 제1 유리(110)는 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외면 유리일 수 있다. 제1 유리(110)는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유리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통상의 소다라임(soda-lime)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1 유리(110)는 바람직하게 3~12mm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 5~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유리(120)는 건물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면 유리일 수 있다. 제2 유리(120)는, 제1 유리(110)와 마찬가지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유리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통상의 소다라임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2 유리(120)는 바람직하게 3~12mm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 5~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 유리(110, 120)의 두께가 3mm 미만일 경우, 풍압에 의해 파손의 위험이 있을 수 있고, 12mm를 초과하는 경우 최종 복층 유리의 하중과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제3 유리들(PG1~PG3)은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유리(110)와 제2 유리(12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partition)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3 유리들(PG1~PG3)은 파티션 유리로도 불리운다.
이러한 제3 유리들(PG1~PG3)은 1~3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층 유리(100) 전체의 하중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태양광의 부분적 입사나 흡수에 따른 열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유리들(PG1~PG3)의 두께가 1mm 미만일 경우, 복수의 충진 가스층들(G1~G4) 형성을 위한 공간 구획이 어려울 수 있고, 반면에 두께가 3mm를 초과하면 최종 복층 유리의 하중이 증가하고, 유리에 의해 투과되는 태양광 에너지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태양광 에너지의 감소는 겨울철 일사에 의한 난방 효과를 저감하여, 건물 난방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제3 유리들(PG1~PG3)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유리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통상의 소다라임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3 유리들(PG1~PG3)의 일측과 타측의 표면, 즉 제3 유리들(PG1~PG3) 중 어느 하나와 그에 인접한 충진 가스층들(G1~G4) 중 어느 하나 사이에,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등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반사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layer, 1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반사방지 코팅층(150)은 유리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 소재의 단일 코팅 적용과 고굴절, 저굴절 소재의 다층 코팅 적용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낮은 단가를 실현하기 위해서 저굴절 소재를 이용한 단일층 구성의 저반사 막을 적용한다. 저굴절 소재는 다공성 실리콘 산화막(SiO2), 불화 마그네슘(MgF2) 등의 소재를 적용하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반사방지 코팅층(150)은 제3 유리들(PG1~PG3) 중 어느 하나와 그에 인접한 충진 가스층들(G1~G4) 중 어느 하나의 계면에서의 광 반사에 의한 일사량 감소를 최소화한다.
반사방지 코팅층(150)이 적용된 초단열 복층 유리(100)는 계면 반사율이 기존 4%에서 1% 정도로 감소하여 일사량 확보에 유리하며, 제3 유리들(PG1~PG3)에 의한 반사 이미지가 중첩되는 효과도 현저하게 감소시켜 사용자의 쾌적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열취득계수를 증가시켜 겨울철 태양광선의 실내유입을 통한 자연 난방 효과를 극대화한다.
반사방지 코팅층(150)이 적용된 제3 유리들(PG1~PG3)로는 태양전지 패널의 최외각 덮개 유리로 적용되는 상용 제품의 적용이 가능하다.
반사방지 코팅층(150)은 물리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액상 코팅(Wet coating)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충진 가스층들(G1~G4)은 제3 유리들(PG1~PG3)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각각 충진된 후 밀폐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진 가스층들(G1~G4)은 제1 내지 제3 유리들(110, 120, PG1, PG2, PG3)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충진 가스층들(G1~G4)은 열전달을 저지하는 장벽으로 작용한다. 열은 복사, 대류, 전도의 세 가지 방법으로 전달되는데, 복사는 전자기파의 진행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판유리의 복층 구성만으로는 차단하는 효과가 미미하다. 하지만, 충진 가스층들(G1~G4)은 외부 공기에 의한 대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의미 있는 수준으로 감소시키며, 공기의 열전도도 또한 낮기 때문에 전도에 의한 열전달도 감소시킨다.
이때, 충진 가스층들(G1~G4)의 두께 및 구성 가스의 종류가 열전달 성능에 영향을 준다. 충진 가스층들(G1~G4)의 두께가 감소하면, 밀폐 공기가 대류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대류 열전달은 감소하지만, 전도되는 두께의 감소에 따라 전도 열전달은 증가하게 되어 일정 두께 이하에서는 단열 성능이 저하된다.
반대로, 충진 가스층들(G1~G4)의 두께가 증가하면, 전도 열전달은 감소하지만, 대류 열전달이 증가하여, 역시 단열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최상의 단열 성능을 구현하는 최적 두께가 존재하게 된다.
충진 가스층들(G1~G4)을 구성하는 가스로는 공기(air), 아르곤(Ar), 크립톤(Kr)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자량이 높은 순서, 즉 크립톤(Kr)>아르곤(Ar)>공기 순으로 단열 성능이 우수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스 입자의 무게가 증가하고 점도가 높을수록, 입자의 움직임에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류 현상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단열 성능 향상을 위해, 충진 가스층들(G1~G4)은 주 가스인 아르곤(Ar) 가스를 50% 이상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아르곤(Ar) 가스 85~95%와 공기 5~15%, 더욱 바람직하게 아르곤(Ar) 가스 90%와 공기 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진 가스층들(G1~G4)은 열관류율(Ug)을 최소로 구현할 수 있도록 아르곤(Ar) 가스에 최적화된 두께, 즉 11~13mm의 두께, 바람직하게 12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충진 가스층들(G1~G4)은 주 가스인 크립톤(Kr) 가스를 50% 이상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크립톤(kr) 가스 85~95%와 공기 5~15%, 더욱 바람직하게 크립톤(Kr) 가스 90%와 공기 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진 가스층들(G1~G4)은 열관류율(Ug)을 최소로 구현할 수 있도록 크립톤(Kr) 가스에 최적화된 두께, 즉 6~10mm의 두께, 바람직하게 8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충진 가스층들(G1~G4)이 상기한 아르곤(Ar) 가스 또는 크립톤(Kr) 가스 각각에 대해 최적화된 두께를 벗어날 경우 전술한 바에 의해 복층 유리(100)의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아르곤 가스 또는 크립톤 가스의 함량이 85% 미만일 경우, 대류 현상의 증가로 인해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반면에 95%를 초과하는 경우, 단열 성능은 더 이상 증가되지 않고 비용만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100)의 목표 열관류율(Ug)은 0.7W/㎡K 미만이다. 이는 현존하는 단열 유리 중 단열 성능이 가장 우수한 진공 복층 유리의 열관류율(Ug)이 0.7~0.9W/㎡K 수준인 점을 참작하여 설정한 것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충진 가스층들(G1~G4)의 구성 가스 및 두께, 제3 유리들(PG1~PG3)의 두께를 상기한 범위로 유지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 가스층들(G1~G4)은 적어도 4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목표 열관류율(Ug)을 만족하는 단열 성능을 구현하는 최소 충진 가스층의 개수가 4개이기 때문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4개의 충진 가스층들(G1~G4)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진 가스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전제하에, 충진 가스층의 구성 개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열관류율(Ug)은 지속적으로 감소가 가능하므로, 건물의 단열 목표에 따라 충진 가스층의 개수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층 유리의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충진 가스층들은 하나의 제3 유리와 그에 인접한 다른 제3 유리 사이, 및 제1 및 제2 유리와 그에 각각 인접한 하나의 제3 유리 사이에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창틀의 구조 변경을 통해 충진 가스층의 수를 증가시킬 경우, 추가적인 단열 성능의 증진이 가능하여 제로 에너지 하우스의 창호 솔루션으로 의미가 있다.
상기의 충진 가스층들(G1~G4)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아르곤 가스 또는 크립톤 가스를 밀봉재(130)의 일 영역에 형성된 주입홀(미도시)을 통해 제3 유리들(PG1~PG3)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충진한 후 주입홀을 밀봉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봉재(130)는 제1 내지 제3 유리들(110, 120, PG1, PG2, PG3)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의 가장자리(edge)에 형성되어 충진 가스층들(G1~G4)의 측면을 밀봉시킨다.
밀봉재(1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두 장의 유리에 대해, 충진 가스층들(G1~G4)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고, 제1 및 제2 유리(110, 120)와 제3 유리들(PG1~PG3)의 가장자리를 유연하고 기밀성 있게 밀봉시킨다.
밀봉재(130)는 일반적으로 1차 밀봉재(미도시)와 2차 밀봉재(미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며, 1차 밀봉재는 유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주입된 단열 가스의 복층 유리 제조 공정 중에 1차 유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접착 시간이 짧은 소재를 사용한다. 일례로, 1차 밀봉재로는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2차 밀봉재는 복층유리 내부 공기층의 완벽한 밀봉과, 장시간의 사용 중에도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2차 밀봉재로는 폴리설파이드(Polysulfide), 실리콘계 접착제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중에서 선택한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밀봉재(130)는 복층 유리 가공 후 내부 충진 가스층들(G1~G4)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흡습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습제는 실리카겔, 염화칼슘, 활성 알루미나 등의 물질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초단열 복층 유리(100)는 제2 유리(120)의 내측면, 즉 제2 유리(120)와 그에 인접한 충진 가스층(G4) 사이에 저방사 코팅층(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저방사 코팅층(140)은 원적외선을 반사하는 저방사(low-Emissivity) 성능을 갖고 있어, 장파장 영역(2.5~50㎛)의 원적외선 복사 에너지를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높이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때, 저방사 코팅층(140)은 3~15% 정도의 수직 방사율(Emissivity)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방사율이란 적외선 파장 영역에 있는 적외선 에너지의 흡수 정도를 나타낸다.
저방사 코팅층(140)은, 일례로, 은(Ag), 구리(Cu), 금(Au), 알루미늄(Al),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ated doped tin oxide)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유전체/은(Ag)/유전체의 샌드위치 구조막 등을 적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는 SnZnOxNy 또는 SnZnNx 등의 금속(산)질화물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저방사 코팅에 대한 공지 기술은 광범위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 공지된 저방사 코팅을 제2 유리(120)의 내측면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저방사 코팅층(140)을 제2 유리(120)의 내측면에 적용하면, 충진 가스층들(G1~G4)로 차단하지 못 했던 복사에 의한 열전달을 추가로 차단하게 되어 단열 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렇듯, 표면에 저방사 코팅층(140)이 형성된 제2 유리(120)는 저방사 로이 유리(low emissivity Low-e glass)로 불리워지며, 이러한 저방사 로이 유리는 여름에는 태양 복사열을 반사시키고, 겨울에는 실내 난방기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보존해 줌으로써,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저방사 코팅층(140)은 통상의 스퍼터링(spattering)법,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법, 스프레이(spray)법 등을 이용하여 제2 유리(120) 표면에 상기한 물질들이 직접 코팅 또는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단열 복층 유리(100)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충진 가스층이 최적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열관류율 0.7W/㎡K 미만, 나아가 벽체의 열관류율과 유사한 0.5W/㎡K 수준의 열관류율을 구현할 수 있어 단열 성능이 월등히 우수하다.
또한, 진공유리와 달리 진공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파손의 위험이 일반 복층유리와 유사한 수준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시편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구조를 갖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따른 복층 유리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즉, 내면 유리는 방사율 3%의 저방사 코팅층이 충진 가스층과의 접촉면에 형성된 두께 6mm의 저방사 로이 유리로 형성된다.
2. 물성 평가
표 2는 제조된 복층 유리 시편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 각각의 열관류율(Ug), 태양열취득계수(g-값,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가시광선 투과율, 유리 외측면 온도 및 유리 내측면 온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 2의 값은 NFRC 100-2010 기준에 의거 계산된 결과이며, 열관류율(Ug) 및 유리 표면 온도 계산 시 내외기 온도 조건은, 외기 온도 -18℃, 내기 온도 21℃이며, 태양열취득계수(g-값) 계산 시 내외기 온도 조건은, 외기 온도 32℃, 내기 온도 24℃이다.
[표 2]
Figure pat00002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를 비교한 결과, 충진 가스층의 개수가 많을수록 열관류율(Ug)이 낮아졌고, 적어도 충진 가스층의 개수가 4개일 때 열관류율(Ug)이 0.7W/㎡K 미만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반사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실시예 1, 3이 그렇지 않은 실시예 2와 비교예 1~4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충진 가스층의 개수가 4개 이상인 실시예 1~3 및 비교예 4의 경우, 충진 가스층의 개수가 4개 미만인 비교예 1~3에 비해 단열 성능이 우수하였고, 충진 가스층의 개수가 가장 많은 실시예 3이 단열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초단열 복층 유리 110 : 제1 유리
120 : 제2 유리 PG1~PG3 : 제3 유리
G1~G4 : 충진 가스층 130 : 밀봉재
140 : 저방사 코팅층 150 : 반사방지 코팅층

Claims (13)

  1.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1~3mm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제3 유리;
    상기 제1 내지 제3 유리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11~13mm의 두께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되, 각각에 아르곤(Ar) 가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충진 가스층; 및
    상기 충진 가스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가스층은
    아르곤 가스 85~95%와 공기 5~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3.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어 있는 제1 유리 및 제2 유리;
    상기 제1 유리와 상기 제2 유리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1~3mm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의 제3 유리;
    상기 제1 내지 제3 유리들 중에서 인접한 두 개의 유리 사이에 6~10mm의 두께로 적어도 4개 이상 형성되되, 각각에 크립톤(Kr) 가스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충진 가스층; 및
    상기 충진 가스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가스층은
    크립톤 가스 85~95%와 공기 5~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 및 제2 유리는
    5~8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열 복층 유리는
    상기 제2 유리와 그에 인접한 충진 가스층 사이에 형성되는 저방사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열 복층 유리는
    상기 제3 유리의 표면에 형성되는 반사방지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8. 5장 이상의 유리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각각의 유리들 사이에 아르곤(Ar) 가스 또는 크립톤(Kr) 가스를 포함하는 충진 가스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열관류율이 0.7W/㎡K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는 충진 가스층은
    11~1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는 충진 가스층은
    아르곤 가스 85~95%와 공기 5~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립톤 가스를 포함하는 충진 가스층은
    6~1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립톤 가스를 포함하는 충진 가스층은
    크립톤 가스 85~95%와 공기 5~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단열 복층 유리는
    최외각 유리 사이에 1~3mm 두께로 형성된 복수의 파티션 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단열 복층 유리.
KR1020120126628A 2012-11-09 2012-11-09 초단열 복층 유리 KR101596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628A KR101596082B1 (ko) 2012-11-09 2012-11-09 초단열 복층 유리
JP2015541675A JP6332813B2 (ja) 2012-11-09 2013-10-07 超断熱複層ガラス
CN201380058750.8A CN104797772A (zh) 2012-11-09 2013-10-07 超级绝热多层玻璃
EP13852501.9A EP2918765B1 (en) 2012-11-09 2013-10-07 Super-insulating multi-layer glass
US14/441,011 US9903152B2 (en) 2012-11-09 2013-10-07 Super-insulating multi-layer glass
PCT/KR2013/008944 WO2014073794A1 (ko) 2012-11-09 2013-10-07 초단열 복층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628A KR101596082B1 (ko) 2012-11-09 2012-11-09 초단열 복층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034A true KR20140060034A (ko) 2014-05-19
KR101596082B1 KR101596082B1 (ko) 2016-02-19

Family

ID=50684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628A KR101596082B1 (ko) 2012-11-09 2012-11-09 초단열 복층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3152B2 (ko)
EP (1) EP2918765B1 (ko)
JP (1) JP6332813B2 (ko)
KR (1) KR101596082B1 (ko)
CN (1) CN104797772A (ko)
WO (1) WO2014073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2862B2 (en) * 2012-11-30 2016-05-10 Guardian Industries Corp. Refrigerator door/window
WO2015200793A1 (en) * 2014-06-26 2015-12-30 Corning Incorporated Insulated glass unit
SE540740C2 (sv) * 2015-03-24 2018-10-30 Crusader Int Ab Glasenhet
EP3774681A1 (en) * 2018-04-12 2021-02-17 AGC Glass Europe Multiple glazing unit
KR102131258B1 (ko) 2019-09-02 2020-07-07 주식회사 진우전자 쇼케이스장치
KR20210078328A (ko) * 2019-12-18 2021-06-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복층 유리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FR3108651B1 (fr) * 2020-03-24 2023-02-24 Saint Gobain Vitrage isolant à transmission élevée d’ondes GSM
US20240167325A1 (en) * 2022-11-23 2024-05-23 Jeld-Wen, Inc. Multiple pane insulated glazing uni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of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556A (ja) * 2002-05-15 2003-11-25 Fukuchi Kenso:Kk 熱割れ防止多層高断熱ガラス
JP2009538812A (ja) * 2006-05-30 2009-11-12 ダウ コ−ニング コ−ポレ−ション 電子デバイスを有する断熱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43828A1 (fr) * 2008-10-17 2010-04-22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incorporant au moins un revetement antireflet et utilisation d'un revetement antireflet dans un vitrage multip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3608B1 (fr) * 1983-03-28 1987-08-07 Mondon Charles Vitrage energetique " menuise "
JPS6027624A (ja) * 1983-07-22 1985-02-12 Toyota Motor Corp 電磁遮蔽ウインドガラス
US4928448A (en) * 1988-05-02 1990-05-29 Enhanced Insulations, Inc. Thermally insulating window and method of forming
US5270084A (en) * 1989-09-28 1993-12-14 Parker Design Limited Insulating glass unit
JP3916009B2 (ja) * 1996-09-12 2007-05-1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断熱複層ガラス
JPH10120447A (ja) 1996-10-15 1998-05-12 Nippon Sheet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US7976916B2 (en) * 1999-05-25 2011-07-12 Saint-Gobain Vitrage Refrigerated display case having a transparent insulating glazing unit
JP3073130U (ja) 2000-04-06 2000-11-14 サンエス化学工業株式会社 複層ガラス
CH696408A5 (de) * 2002-11-27 2007-05-31 Troesch Glas Ag Mehrscheiben-Isolierverglasung.
JP2005263517A (ja) * 2004-03-16 2005-09-29 Nippon Sheet Glass Co Ltd Hud用コンバイナー付き車両用ガラス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46870B2 (ja) 2005-04-12 2010-09-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採光断熱材
CN101054883A (zh) * 2007-06-19 2007-10-17 董祥义 一种保温隔音三层玻璃
WO2009118930A1 (ja) 2008-03-28 2009-10-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ネルブロック
JP5310019B2 (ja) 2008-05-28 2013-10-0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
JP2010132497A (ja) 2008-12-04 2010-06-17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CN101481986A (zh) * 2009-02-11 2009-07-15 哈尔滨鸿盛房屋节能体系研发中心 四层玻璃保温塑钢门窗
JP5424059B2 (ja) * 2009-09-15 2014-02-26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構造体及び保冷ショーケース
JP2011236083A (ja) 2010-05-11 2011-11-24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
JP5747717B2 (ja) 2010-08-03 2015-07-1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遮音断熱複層ガラス
EP2436865A1 (en) * 2010-10-04 2012-04-04 Inles d.d. Window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556A (ja) * 2002-05-15 2003-11-25 Fukuchi Kenso:Kk 熱割れ防止多層高断熱ガラス
JP2009538812A (ja) * 2006-05-30 2009-11-12 ダウ コ−ニング コ−ポレ−ション 電子デバイスを有する断熱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43828A1 (fr) * 2008-10-17 2010-04-22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incorporant au moins un revetement antireflet et utilisation d'un revetement antireflet dans un vitrage multi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5567A1 (en) 2015-10-01
WO2014073794A1 (ko) 2014-05-15
EP2918765A4 (en) 2015-12-02
CN104797772A (zh) 2015-07-22
US9903152B2 (en) 2018-02-27
JP6332813B2 (ja) 2018-05-30
EP2918765B1 (en) 2017-12-13
EP2918765A1 (en) 2015-09-16
KR101596082B1 (ko) 2016-02-19
JP2016501812A (ja)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082B1 (ko) 초단열 복층 유리
JP7228640B2 (ja) 複層ガラスユニット
US10494859B2 (en) Insulating glass units with low-E and antireflective coating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50527B1 (ko) 두 개의 로이 스택을 포함하는 단열 다층 창유리
EA017986B1 (ru) Составной стеклопакет с улучшенной селективностью
WO2014081653A1 (en) Energy-efficient film
JP2012505984A (ja) 少なくとも1つの反射防止膜を組み込む多重窓ガラスユニット及び多重窓ガラスユニットにおける反射防止膜の使用
JP4013264B2 (ja) 複層ガラス
CN106495503A (zh) 一种低辐射镀膜玻璃
JPH10120447A (ja) 複層ガラス
US20220042370A1 (en) Double-Pane Insulating Glazing Units
KR101336876B1 (ko) 적외선 차단용 이중 창호 시스템
KR101283789B1 (ko) 다층 유리패널
JP2020055736A (ja) 窓ガラス用断熱性三層複層ガラス
WO2005001214A1 (fr) Panneau transparent d'isolation thermique et de conservation de chaleur
WO2018091576A1 (en) Multichamber gas-filled insulated glass unit
JP7071639B2 (ja) 窓ガラス用断熱性三層複層ガラス
EP4336011A1 (en) Aerogel triple insulated glazing unit
EA041667B1 (ru) Асимметричный вакуумный изоляционный блок остекления
EP2909412B1 (en) System of multilayered thermally-insulating glazing units
KR20210137530A (ko) 비대칭적인 진공-절연 글레이징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5